KR100739227B1 -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27B1
KR100739227B1 KR1020060092135A KR20060092135A KR100739227B1 KR 100739227 B1 KR100739227 B1 KR 100739227B1 KR 1020060092135 A KR1020060092135 A KR 1020060092135A KR 20060092135 A KR20060092135 A KR 20060092135A KR 100739227 B1 KR100739227 B1 KR 10073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composition
extrac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광덕신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덕신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덕신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작나무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및 열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5 내지 93 중량%; 0.5 내지 3중량%의 염료제; 및 잔존량의 향료, 살균제, 소염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암모니아수, 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물 및 칼륨백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제; 및 상기 추출물 85 내지 90 중량% 및 잔존량의 상기 제1제를 산화하는 산화제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염모제의 화학 물질 성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 또는 해소시키고, 모발 보호 및 염색 효과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자작나무 추출물, 염모제

Description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Composition for coloring hair containing extracts of Betula platyphyll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작나무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또는 열매로부터 추출물(이하 "자작나무 추출물"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부작용(피부 및 안점막 자극)이 거의 없고 염색시간이 매우 빠르며(3-15분이내), 탈모방지 효과와 염색 후 기타의 염모제와는 달리 트리트먼트를 한 것과 같이 머리결이 매우 부드러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는 염색 효과의 차이에 따라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로 구분할 수 있다.
영구 염모제는 색소 형성 물질이 모발 내부에 모피질 또는 무수질 층까지 침투하여 화학변화를 일으켜 불용성 색소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영구 염모제는 색소 자체가 모피질이나 모발 표면의 큐티클 층에 침투하여 물리적으로 흡착되는 것이다. 또한, 일시 염모제는 색소를 모발의 표면인 큐티클 층에만 물리적으 로 흡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영구 염모제는 다시 세 가지 즉, 식물성 염모제, 금속성 염모제 및 산화형 염모제로 나눌 수 있다. 식물성 염모제는 헤나 또는 카모마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염색 효과가 낮고 밝게 염색하는 것이 어렵다. 금속성 염모제는 납이 산화될 때 검게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화형 염모제는 염색효과가 우수하며, 밝은 색으로 염색이 가능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화형 염모제는 하기 표 1(제1제) 및 표 2(제2제)의 주요 성분을 포함한다.
구분 특징
염료중간체 자체는 색소가 아니지만 산화되면 색소로 변하는 물질 예)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p-톨루엔디아민
염료수정제 염료 중간체와 반응하여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물질 예) 레조르신, m-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알칼리성 큐티클을 열게 하고 색소 형성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 예)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MEA)
고급지방산 알칼리제와 반응하여 고급지방산염을 형성한다. 염료 중간체 또는 염료 수정제의 침투를 촉진시키고 세발시 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겔화제 2제와 혼합시 겔을 형성하게 한다. 예) 이소세틸알코올
용제 염료 중간체, 염료 수정제의 용해를 돕는다. 예) 이소프로필알코올
구분 특징
산화제 모발속의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여 모발을 탈색시키고 동시에 염료 중간체와 염료 수정제의 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색소를 만들어지도록 한다.
pH 조정제 과산화수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pH를 4.0 부근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 성분 중 디아민계 유기염료의 염료 중간체 및 염료 수정제는 피부를 자극하고 피부 세포와 결합하여 항원으로 작용하게 되어 피부에 발적, 발진, 소양, 심마진, 염증, 수포 등의 부작용, 즉 접촉성 피부염을 발생시키므로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접촉성 알레르기 피부염으로 고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극성으로 인해 염모제가 눈에 들어갈 경우 눈에 대해 큰 부작용을 나타내는 등 인체에 해로운 결과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은 모발을 손상시키거나 자극적인 냄새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염모가 완료되기까지 30~40분 정도의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해로운 작용이 없거나 감소된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작나무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또는 열매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자작나무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5∼7㎝, 너비 4∼6㎝이며 예첨두이다. 넓은 설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거의 털이 없으나 잎뒷면 맥액에 갈모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엽병은 1∼3㎝이며 측맥은 6∼8쌍이다. 꽃은 자웅동주로서 4∼5월에 피며 암꽃은 위로 서고, 수꽃은 이삭모양으로 아래로 처진다. 열매는 길이 3∼5㎝, 직경 0.8∼1.0㎝로서 9월에 익으며 아래로 처져 달리고 열매의 날개가 종자의 폭보다 넓다. 순백색의 수피를 갖고 있으며, 수평으로 종이장처럼 벗겨진다.
수피(樹皮)는 화피(樺皮), 수액(樹液)은 화수액(樺樹液)이라 하며 약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작나무 추출물은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및 열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작나무과 속하는 나무들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및 열매의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작나무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농축된 엑기스 형태 또는 이를 열풍건조시킨 분말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수득을 위해 자작나무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또는 열매를 잘 세정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물로 세단한 것 즉, 원료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열수추출하거나, 친수성 유기용매, 함수성 유기용매 또는 친유성 유기용매 중에서 용매추출할 수 있다.
열수추출은 자작나무 원료 1중량부에 대해 물 50 내지 150중량부를 넣고 100 내지 120℃에서 8 내지 12시간 가열하는 것이다.
용매추출은 원료 1중량부에 대해 유기용매 30 내지 100중량부를 넣고 40~50℃에서 5~10시간 추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45℃에서 8시간 추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보존하였다가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n-프로페놀일 수 있다. 함수성 유기용매는 함수메탄올, 함수에탄올 또는 함수아세톤일 수 있다. 또한, 친유성 유기용매는 n-부탄올, n-헥산, 초산에틸 또는 벤젠일 수 있다.
특히, 용매추출의 경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엑기스 형태의 추출물이 수득된다. 또한, 추출 후 유기용매층을 분리하여 용매를 건조시키면 건조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자작나무의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및 열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5 내지 93 중량%; 0.5 내지 3중량%의 염료제; 및 잔존량의 향료, 살균제, 소염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암모니아수, 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물 및 칼륨백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제; 및 상기 추출물 85 내지 90 중량% 및 잔존량의 상기 제1제를 산화하는 산화제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는 0.1 내지 5 중량%의 기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에서 제1제 및 제2제가 상기 한정된 범위의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 달성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자작나무 추출물을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추출물의 증가로 인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의 염료제는 그 종류 및 나타내고자 하는 모발의 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염모제용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3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바람직한 염모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범위 미만의 염료제로는 염모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중 자작나무 추출물의 상대적 양이 감소하여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이 상기 한정된 범위의 기포제를 포함하는 것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면 거품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품이 지나치게 발생하여 조성물이 쉽게 흘러버리는 형상이 되어 염모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기포제는 사포닌, 알킬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지방산 폴리옥시 에틸렌 등을 부가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형 양성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에서 기포제는 섬세한 거품을 형성하여 산화제의 산화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염모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섬세한 거품에 의해 염모제가 모근까지 도달되도록 하여 염색이 되지 않는 부분 없이 균일한 염모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섬세한 거품에 의해 염모제가 흘러내지리 않게 하여, 이른바 염모제의 발림성을 좋게 한다.
본 발명의 자작나무 추출물은 모발과 동일한 성분으로 수화상태의 케라틴이 염모 후 모발 표면의 큐티클 층을 재생, 강화시켜 모발의 수분 유지와 영양 성분의 탈락을 방지한다. 따라서, 모발을 보호하고 활성화를 촉진하여 염모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제 및 제2제가 각각 포장된 형태로 제공되었다가 사용시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제1제 및 제2제가 혼합된 상태는 겔 형상(액상 및 크림 형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이 제1제 및 제2제에 자작나무 추출물을 나누어 포함하는 것은, 염료제 또는 산화제의 양에 비해 자작나무 추출물의 양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제1제 및 제2제로 구성된 전체 염모제용 조성물 200중량% 중 자작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180중량% 이상이다), 염료제(제1제) 및 산화제(제2제)를 동일하게 자작나무 추출물에 분산시켜 둠으로써 자작나무 추출물에 의해 염료제와 산화제의 혼합과정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염료제와 산화제의 조속하고 균일한 혼합을 위해 자작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제1제 및 제2제에 각각 나누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산화제 및 pH 조정제는 염모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수, pH 조정제로서 인산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 즉, 향료, 살균제, 소염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암모니아수, 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물 또는 칼륨백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염료를 포함되는 염료는 다양한 색을 나타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염료의 종류는 염모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아민계 유기 염료로서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n-페닐-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황산톨루엔-2.5-디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보관 중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산소 차단 효과가 있는 포장재, 바람직하게 합성 수지와 얇은 알루미늄 박을 적층한 형태의 포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응을 사용시 제1제 및 제2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상의 액상 및 크림 형태로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추출물 제조예 1
세정 및 건조된 자작나무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또는 열매 10kg 및 물 2000L를 탱크에 넣고, 100℃에서 10시간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농축하였다. 추출물 엑기스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물 엑기스를 열풍건조하여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2
세정 및 건조된 자작나무 잎, 가지(껍질/피), 뿌리(껍질/피) 또는 열매 10kg 및 에탄올 2000L를 탱크에 넣고, 40~50℃에서 8시간 가열 환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가열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킴으로써 농축하였다. 추출물 엑기스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물 엑기스를 열풍건조하여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8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표3의 배합에 따라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제1제 및 제2제를 제조하였다.
조성\실시예 1 2 3 4 5 6 7 8
제 1 제 p-페닐렌디아민 2.250 1.650 1.300 0.750 2.250 1.650 1.300 0.750
m-페닐렌디아민 0.115 0.050 1.550 0.060 0.115 0.050 1.550 0.060
m-아미노페놀 1.050 0.750 0.800 0.100 1.050 0.750 0.800 0.100
레소르신 0.900 0.750 0.500 0.600 0.900 0.750 0.500 0.600
EDTA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메틸파라벤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티오글라이콜산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모노에탄올아민 0.500 0.600 0.700 0.800 0.500 0.600 0.700 0.800
추출물 90.435 91.450 90.400 92.940 85.435 91.350 90.300 87.940
기포제 5.000 0.100 0.100 5.000
제 2 제 과산화수소수* 8.000 8.000 8.000 8.000 8.000 8.000 8.000 8.000
EDTA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300 0.300 0.100 0.300 0.300 0.300 0.300 0.300
유동파라핀 1.000 1.000 0.500 1.000 1.000 1.000 1.000 1.000
세틸알콜 2.000 2.000 1.000 2.000 2.000 2.000 2.000 2.000
라놀린 1.000 1.000 0.5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인산 0.030 0.030 0.030 0.030 0.030 0.030 0.030 0.030
피로인산타트륨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추출물 87.400 87.400 89.600 87.400 87.400 87.400 87.400 87.400
합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단위: 중량%
*: 농도 34.5~35.5%
제1제의 제조
상기 표에 따라 배합된 제1제를 제조 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2000rpm의 속도로 3분간, 150rpm의 속도로 3 분간 패들믹서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패들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모노에탄올아민 0.8g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시켰다. 그리고, 혼합물을 질소 대기 중에서 여과 및 24시간 숙성시켰다.
제2제의 제조
한편, 상기 표에 따라 배합된 제2제를 제조 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2000rpm의 속도로 3분간, 150rpm의 속도로 3 분간 패들믹서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과산화수소, 인산 및 피로인산타트륨을 각각 8 g, 0.03g 및 0.07g 투입하고 패들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 혼합하였다. 그리고, 혼합물을 질소 대기 중에서 여과 및 24시간 숙성시켰다.
상기 실시예1 내지 8로부터 얻어진 염모제용 조성물로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1 (보존성 평가)
실시예 5의 제1제 및 제2제를 각각 알루미늄 박과 합성수지의 적층 포장재에 밀봉하여 습도 75%, 온도 40℃ 조건의 항온항습실에 1개월간 방치한 후, 꺼내어 염모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변질 또는 염색 효과의 저하 등 품질의 열화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패널 20명(남 10, 여 10)을 대상으로 실시예 5의 염모제용 조성물 및 시판 염색약(뮤스겟빙헤어컬러, (주)뮤스겐)으로 염모를 실시한 후 그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하프헤드 비교법 즉, 모발의 반쪽은 실시예 5의 조성물로 다른 반쪽은 시판 염모제로 염모하였다.
사용감으로 혼합성, 흐름성, 발림성 및 염모후 모발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사용감에 대해 좋다고 대답한 패널의 수에 따라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5 조성물 시판 염색약
혼합성
흐름성
발림성
모발의 감촉 ×
◎: 18초과
○: 14~18
△: 8~13
×: 8미만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은 시판 염색약에 비해 염모 후 모발의 감촉면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흐름성 및 발림성 면에서도 시판 염색약에 비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부작용 평가)
한편, 상기 시판 염색약을 사용한 반쪽 헤드의 두피에 독이 오르는 증상을 보이는 3명의 패널의 경우에서, 실시예 5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사용한 반쪽 헤드에서는 상기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시판 염색약을 사용한 반쪽 헤드의 두피에 독이 오르는 증상을 보이는 3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예 3의 염모제용 조성물을 팔목 위 직경 3cm의 원형으로 도포후 10분간 방치하였다. 10분 경과 후 씻어내었다. 피부에 어떠한 알레르기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4 (중금속 검출률)
추출물 제조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을 화학시험 연구소에 의뢰하여 IPC분석으로 중금속의 검출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 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Pb mg/kg 검출되지 않음 ICP 분석
Cd mg/kg 검출되지 않음 ICP 분석
Mn mg/kg 검출되지 않음 ICP 분석
Hg mg/kg 검출되지 않음 ICP 분석
As mg/kg 검출되지 않음 ICP 분석
본 발명의 자작나무 추출물에서는 시험 항목 금속들 중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예 5 (양모 테스트)
검정색과 흰색의 양모에 대하여 실시예 8의 염모제용 조성물과 시판 염색약으로 염모를 실시한 뒤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충분히 세정된 테스트용 양모에 실시예 8의 염모제용 조성물과 시판 염색약을 각각 바른 후 1시간 경과되었을 때, 삼푸, 헹굼 및 드라이하였다.
염착성의 비교는 색차를 통해, 모발 컨디셔닝 효과와 염색 견뢰도의 비교는 5점척도법(5= 효과가 가장 좋다; 4= 효과가 대단히 좋다; 3= 효과가 보통으로 좋다; 2= 효과가 약간 좋다; 1= 효과가 없다)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관능평가전문요원 10명으로 하여금 점수화하게 하고 그 점수의 평균을 구했다.
염착성
상기 염모된 양모와 미처리 양모의 색상 차이(ΔE)를 분광 광도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색차가 클수록 염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모발 컨디셔닝 효과
염모된 양모와 미처리 양모에 대해 손놀림시 감촉과 세게 20회씩 빗질하여 정전기 발생도를 평가함으로써 비교하였다.
염색 견뢰도
상기 염모된 양모를 땀성분과 유사한 산성용액에 담구어 일정시간 경과시킨 후 변색 정도를 관찰했다.
실시예 8의 염모제 조성물 시판 염색약
색상 차이(ΔE) 73 41
모발 컨디셔닝 효과 4.6 2.3
견뢰도 4.5 2.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 염모제용 조성물이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면에서 시판 염색약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의 식물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염모제 중 화학 물질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염착성,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견뢰도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용 조성물은 염모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자작나무의 잎, 가지 껍질, 뿌리 껍질 및 열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5 내지 93 중량%, 0.5 내지 3중량%의 염료제 및 잔량의 향료, 살균제, 소염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암모니아수, 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물 및 칼륨백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1제; 및
    상기 추출물 85 내지 90 중량% 및 잔량의 상기 제1제를 산화하는 산화제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서,
    상기 제1제는 0.1 내지 5 중량%의 기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으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4. 제 3 항에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n-프로페 놀, 함수메탄올, 함수에탄올, 함수아세톤, n-부탄올, n-헥산, 초산에틸 및 벤젠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5. 제 2 항에서,
    상기 기포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지방산 폴리옥시 에틸렌을 부가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형 양성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6. 제 1 항에서,
    상기 제1제 및 상기 제2제가 별도로 제공되어 사용시 혼합하면 겔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7. 제 1 항에서,
    상기 염료제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n-페닐-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및 황산톨루엔-2.5-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아민계 유기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8. 자작나무의 잎, 가지 껍질, 뿌리 껍질 및 열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5 내지 93 중량%; 0.5 내지 3중량%의 염료제; 및 잔량의 향료, 살균제, 소염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암모니아수, 글리콜산암모늄, 지방산알콜, 물 및 칼륨백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제조 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교반하는 단계;
    45℃까지 냉각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부의 알칼리제를 투입하고 25℃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및
    질소 대기 중에서 여과 및 숙성시키는 단계에 의해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제1제를 제조하고,
    자작나무의 잎, 가지 껍질, 뿌리 껍질 및 열매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5 내지 90 중량% 및 잔량의 상기 제1제를 산화하는 산화제 및 pH 조정제를 제조 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의 과산화수소, 0.01 내지 0.05중량%의 인산 및 0.05 내지 0.1중량%의 피로인산타트륨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 교반하는 단계; 및
    질소 대기 중에서 여과 및 숙성시키는 단계에 의해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제2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서,
    상기 알칼리제는 모노에탄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서,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서,
    상기 pH 조정제는 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60092135A 2006-09-22 2006-09-22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73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135A KR100739227B1 (ko) 2006-09-22 2006-09-22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135A KR100739227B1 (ko) 2006-09-22 2006-09-22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27B1 true KR100739227B1 (ko) 2007-07-13

Family

ID=3850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135A KR100739227B1 (ko) 2006-09-22 2006-09-22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03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삼인케미칼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5307A (ja) 1983-02-24 1984-09-04 Kao Corp 毛髪化粧料
KR970006472A (ko) * 1995-07-13 1997-02-21 이능희 탄닌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H10101534A (ja) 1996-09-26 1998-04-21 Nakamura Tsugunobu コールドパーマ方法、染毛方法、コールドパーマ液、染毛液、コールドパーマゲルおよび染毛ゲル
KR100414538B1 (ko) 1996-10-08 2004-04-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발화장품 조성물
KR100608711B1 (ko) 2004-06-04 2006-08-02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5307A (ja) 1983-02-24 1984-09-04 Kao Corp 毛髪化粧料
KR970006472A (ko) * 1995-07-13 1997-02-21 이능희 탄닌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H10101534A (ja) 1996-09-26 1998-04-21 Nakamura Tsugunobu コールドパーマ方法、染毛方法、コールドパーマ液、染毛液、コールドパーマゲルおよび染毛ゲル
KR100414538B1 (ko) 1996-10-08 2004-04-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발화장품 조성물
KR100608711B1 (ko) 2004-06-04 2006-08-02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03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삼인케미칼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215254B1 (ko) * 2019-07-09 2021-02-15 주식회사 삼인케미칼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9221B1 (ja) 染毛性整髪用組成物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CN110575410A (zh) 含防护蓝光成分的化妆品
KR10085092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18254A (ko) 항균성과 향 지속성을 개선시킨 잣나무 오일의 캡슐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푸 조성물
WO2014065274A1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EP3784207A1 (en) A cosmetic hair dyeing and/or bleaching composition, method, use and kit thereof
EP2100594A1 (de) Ternäre Mischungen mit Collagensynthese steigernder Wirkung
EP3542863A1 (de) Haaröl und seine verwendung
KR100739227B1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832044B1 (ko) 겔타입의 모발염색용 조성물
KR100838996B1 (ko) 감귤류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90012647A (ko) 동백 오일과 올리브 오일이 함유된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19275B1 (ko)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39225B1 (ko) 측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5933207B2 (ja) 化粧品用皮膚刺激緩和剤、及び、化粧品組成物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JPH07101836A (ja) 毛髪処理剤
KR101851306B1 (ko) 탄산수를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102045526B1 (ko)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51799B1 (ko) 숙성 발효를 이용한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60050A (ko) 매염 염모제 조성물
JPH10130129A (ja) 染毛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