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748B1 -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748B1
KR100738748B1 KR1020000068077A KR20000068077A KR100738748B1 KR 100738748 B1 KR100738748 B1 KR 100738748B1 KR 1020000068077 A KR1020000068077 A KR 1020000068077A KR 20000068077 A KR20000068077 A KR 20000068077A KR 100738748 B1 KR100738748 B1 KR 10073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preparation
prescription
setting file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927A (ko
Inventor
유야마히로유키
야스오카게이타
후쿠모토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7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18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several coin-freed apparatus from one pl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복수 기종(機種) 또는 복수 대(臺)의 조제(調劑) 기기(機器)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간단히 설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것의 해결 수단으로서,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2)를 구동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2)의 사용 조건은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처방 데이터 및 상기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에 근거하여 조제할 조제 기기(2)를 선택한다.
조제 기기, 처방 데이터, 설정 파일, 사용 조건 설정 파일

Description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DISPENSING MACHINES}
도 1은 조제 기기 제어 장치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도 3은 중대 에러 설정 파일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도 4는 중대 에러 기록 파일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도 5는 조제 기기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조제 기기ㆍ에러 상황의 감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 장치 2 : 조제 기기
3 : 중앙 처리 장치 4 : 하드 디스크 장치
5 : 다채널 통신부 6 : CRT 디스플레이
9 : 메모리 10 : 제어 프로그램
11 : 사용 조건 설정 파일 12 : 중대 에러 설정 파일
13 : 중대 에러 기록 파일 14 :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병원 또는 조제 약국 등의 의료 기관에서 사용되는 약제(藥劑) 분할 포장기나 약봉지 인쇄기 등, 조제 작업을 위한 각종 조제 기기를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처방 데이터를 입력해서, 정제(錠劑) 또는 산제(散劑)의 형태를 가진 약제를 분할 포장지에 분할 포장하기 위한 약제 분할 포장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장치에서는, 복수 대의 약제 분할 포장기를 제어하고, 또한 환자명과 복용 방법을 명기해서 약제를 집어넣는 약봉지를 제작하기 위한 약봉지 인쇄기를 제어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64-9201호 공보에는, 약제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사용하여 1대의 조작 테이블에서 복수 대의 약제 분할 포장기를 조작할 수 있는 약제 분할 포장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3-59호 공보에는, 비(非)동작 상태의 정제 포장기에 처방 데이터를 송신하여, 1대의 제어기에 의해 다수의 정제 포장기를 집중(集中) 제어하는 정제 포장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4-57348호 공보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조제의 종류에 적합한 조제기의 입력 장치에 할당하는 조제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6-312010호 공보에는, 정제 분할 포장기를 복수 대 사용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한 약품의 추가 투입을 적게 하는 것과 더불어 각각의 기계의 가동을 평균화하여 조제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조제 시스템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제어 장치에서도 조제 기기의 종류마다 제어 방식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제 기기의 종류와 대수는, 시설마다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시설마다 개별 규격으로 설계ㆍ제작을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기종마다 장비 또는 감시 방식이 다르고, 작용 시의 조작이 복잡하다. 특히, 약제 분할 포장기나 약봉지 인쇄기에서는, 각각의 기기를 입원/외래의 구분에 의해 전용화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어느 제어 장치에서도 이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어느 제어 장치에서도, 조제 기기가 에러에 의해 정지한 경우의 대책은 불충분하다. 예컨대, 일본국 특공평4-57348호 공보에서는, 조제할 수 없는 종류의 조제 데이터를 조제 지시서로서 출력하는 것만으로 그친다. 이 때문에, 매우 바쁜 조제실이라면, 누구도 알아차리지 못하게 부분 작업(정제ㆍ캡슐제의 분할 포장 작업, 약봉지의 제작 작업 등)이 체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조제 기기의 종류나 대수가 많을수록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집중적으로 사용 상황을 감시하고, 복구에 시간이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부분 작업의 체류를 회피하기 위해서, 해당하는 조제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고장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에러의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를 동일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제 기기의 에러 발생 상황을 일원화 관리하여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제1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를 구동 제어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불가 플래그와, 각각의 조제 기기가 전용(專用)하는 처방전 구분을 나타내는 전용 처방전 구분으로 된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을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와,
상기 처방 데이터 및 상기 사용 조건 설정 파일에 기억된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 조건에 근거하여, 사용 가능한 조제 기기를 선택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 조건 설정 파일에 근거하여, 사용 가능한 조제 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조건 설정 파일에는,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 조건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전체 조제 기기를 일원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결국, 각각의 시설마다 개별 규격으로 설계ㆍ제작하는 일이 없게 되어, 조제 기기를 증설할 경우에서도 제어 장치를 개변(改變)하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고, 사용 시의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드 디스크 장치에 기억하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에, 외래 처방전 전용, 입원 처방전 전용 또는 전용에 대한 지정이 없는 것 중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처방전 구분을 포함시키면, 복수 대인 각각의 기기를 입원/외래의 구분으로 전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제 작업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 상황은 모니터 화면에 일람(一覽) 표시되도록 하면, 에러의 조기(早期) 발견이 가능하게 되어, 조제의 부분 작업 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처방 데이터 및 상기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의 사용 불가 플래그에 근거하여, 사용 가능한 조제 기기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처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과 더불어, 모니터 화면에 에러 상황을 표시시키면, 더한층 유효하게 조제의 부분 작업 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하드 디스크 장치에 의해,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에서 발생하는 중대 에러의 상황, 에러 대책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중대 에러 설정 파일을 기억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 중의 중대 에러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조제 기기마다 중대 에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의해 일원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모니터 화면에 중대 에러 상황을 표시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에러 상황을 파악하기가 용이하게 되고, 해당하는 조제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모니터 화면에 에러 대책을 표시시키도록 하여, 대처 방법이 한눈에 파악될 수 있고, 조작 설명서 등을 조사할 필요가 없이, 에러의 복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그 조제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과 더불어 처방 데이터의 할당을 중지시켜, 부분 작업의 체류를 자동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그 중대 에러 상황을 중대 에러 기록 파일에 기록해서,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한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1)와, 이 제어 장치(1)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복수의 조제 기기(2)를 나타낸다.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1)는, 중앙 처리 장치(3)(CPU), 하드 디스크 장치(4), 다채널 통신부(5), CRT 디스플레이(6), 키보드(7) 및 마우스(8)를 구비한다.
중앙 처리 장치(3)(CPU)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9)(RAM)와, 제어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10)(ROM)을 내장한다. 메모리(9)(RAM)는 처방 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방 데이터 메모리, 기타 메모리(처리상에서의 작업 에리어, 변수 등)로 사용된다.
하드 디스크 장치(4)는, 각각의 기종ㆍ각각의 호기(號機)마다 사용 조건을 설정하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 각각의 기종마다 중대 에러를 설정하는 중대 에러 설정 파일(12), 중대 에러의 발생을 기록하는 중대 에러 기록 파일(13), 처방 데이터를 입력할 때 등의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각종 마스터 파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드 디스크 장치(4)에는, 플래시 메모리 등,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장치의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이라는 것은,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2)의 사용 조건으로서, 사용 불가, 전용ㆍ처방전 구분 등의 각종 데이터를 장비하는 기종ㆍ호기마다 등록하는 데이터 파일이다.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의 기억 내용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2에서, 기종이라는 것은, 조제 기기(2)의 기종 ID 번호를 나타낸다. 예컨대, 「정제 분할 포장기」이면 1, 「약봉지 인쇄기」이면 2를 입력한다. 신기종이 추가될 경우에는 기종 ID 번호를 추가하여 대응한다. 호기 번호라는 것은, 조제 기기(2)의 각각의 기종에서의 호기 번호를 나타낸다. 호기가 증가하는 경우는 호기 번호를 증가하여 대응한다. 사용 불가 플래그에는, 호기의 사용이 「가(可)」이면 0, 「불가(不可)」이면 1을 입력한다. 전용 처방전 구분이라는 것은, 호기의 처방 데이터의 할당에 있어서, 전용으로 하는 처방전 구분을 표시한다. 예컨대, 「지정 없음」(모든 처방전)이면 0, 「입원 처방전 전용」이면 1, 「외래 처방전 전용」이면 2를 입력한다. 처방전 구분은 입원/외래 구분만이 아니고, 입원 처방전을, 또한 입원 정기 처방전, 입원 임시 처방전, 퇴원 처방전 등 상세하게 구분하여도 좋다. 한정ㆍ시각대(時刻帶)라는 것은, 「전용 처방전 구분」의 전용화를 한정하는 시각대를 나타낸다. 「한정ㆍ시각대」를 지정하는 경우, 「유효」 체크 박스(口자 표시)를 온(ON)(마우스로 클릭하여 V 마크를 붙임)시켜, 한정하는 시각의 범위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정제 분할 포장기의 1호기에서는, 사용 조건은 「한정ㆍ시각대」가 유효하므로 「8:00∼13:00」의 범위에서만 외래 전용(외래 처방전 전용)이다. 이 이외의 시각에서는 「한정ㆍ시각대」의 범위 밖으로 되기 때문에, 전용의 「지정 없음」(결국 입원 처방전도 가능)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약봉지 인쇄기의 1호기에서는, 전용 조건은 「한정ㆍ시각대」가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상시 24시간에 걸쳐서 외래 전용이다.
또한, 한정이 유효가 아니면, 「상시, 24시간」의 의미로 된다. 기억 내용은, 도 1의 기기 구성에 대응하고 있으며, 기종 1 「정제 분할 포장기」는 M대 접속하고, 기종 2 「약봉지 인쇄기」는 L대 접속하며, 또한 기타 기종 N이 잇따르고 있다. 또한,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의 데이터는, 메뉴 화면(기동 버튼이 늘어선 정도의 화면이므로 도시 생략)으로부터 기동되는 사용 조건 설정 등록 화면(파일 구성과 마찬가지 화면 구성이므로 도시 생략)에서 입력한다.
중대 에러 설정 파일(12)은, 조제 기기(2)의 기종마다 상이한 중대 에러를 임의로 등록하는 데이터 파일이다. 중대 에러 설정 파일(12)의 기억 내용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에서, 기종이라는 것은, 조제 기기(2)의 기종 ID 번호를 나타낸다. 「정제 분할 포장기」이면 1, 「약봉지 인쇄기」이면 2를 입력한다. 중대 에러 번호라는 것은, 기종마다 상이한 중대 에러의 번호를 나타낸다. 조제 기기(2)로부터 수신하는 에러 번호 중에서, 중대한 것으로 판단하는 에러 번호만을 입력한다. 중대 에러 상황은, 중대 에러의 상황을 임의의 문자열(文字列)로 입력한 것이다. 에러 대책은, 중대 에러의 대책 방법을 임의의 문자열로 입력한 것이다. 중대 에러 상황 및 에러 대책의 데이터는 후술하는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도 7)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12)(도 3)의 데이터는, 메뉴 화면(도시 생략)으로부터 기동되는 중대 에러 설정 등록 화면(파일 구성과 마찬가지 화면 구성이므로 도시 생략)에 입력한다.
중대 에러 기록 파일(13)은, 중대 에러의 발생 상황을 기록하는 파일이다. 중대 에러 기록 파일(13)의 데이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생 일시ㆍ기종ㆍ호기마다 중대 에러 번호가 기록된다. 또한, 중대 에러 기록 파일(13)의 내용은, 보수 서비스 요원이, CSV(comma separated value: 콤마 구획) 형식 파일로 변환하고, 표 계산 소프트를 사용하여 일람표 형식으로 표시해 확인한다.
각종 마스터 파일에는, 약제 마스터, 환자 마스터, 용법 마스터, 진료과 마스터, 의사 마스터, 병동 마스터, 처방전 구분 마스터가 있으나, 코드와 명칭 등을 저장하도록 한 간단한 구성의 파일이므로 도면은 생략한다.
다채널 통신부(5)는, 조제 기기(2)의 각각의 호기와의 통신에 이용한다. 또한, CRT 디스플레이(6), 키보드(7), 및 마우스(8)는, 처방 데이터의 입력이나 각종 파일의 데이터 입력에 사용한다.
조제 기기(2)는, 주로 약제 분할 포장기나 약봉지 인쇄기이며, 이와 다른 것에는, 산제(散劑) 조제를 감사(監査)하는 산제 조제 감사기, 수제(水劑) 조제를 감사하는 수제 조제 감사기, 수제 분할 포장기 등의 기기가 포함되고, 제어 장치(1)에는, 1기종 이상ㆍ1대 이상 접속되어 있다. 조제 기기(2)의 각각의 기종에는 기종 ID 번호가 부여되는 것과 더불어, 기종마다 각각의 호기에는 호기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식별과 제어에 이용된다. 신기종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기종 ID 번호를 추가해서 대응한다. 호기가 증가할 경우에는 호기 번호를 증가시켜 대응한다. 제어 장치(1)와 조제 기기(2)의 사이는 고속 직렬 통신으로 접속하지만, 범용 버스 접속이나 네트워크(LAN) 접속 등, 어느 접속ㆍ통신 방법이라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14는 호스트 컴퓨터로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 CRT 디스플레이(6), 키보드(7), 및 마우스(8)만으로도 신규로 처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호스트 컴퓨터(14)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중앙 처리 장치(3)(CPU), CRT 디스플레이(6), 키보드(7), 마우스(8), 및 하드 디스크 장치(4)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하드 디스크 장치(4)가 독립한 파일 서버 장치(CPU 내장)로서, 중앙 처리 장치(3)(CPU)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서버 장치와 네트워크(LAN)로 접속한 것과 같은 클라이언트ㆍ서버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조제 기기(2)의 각각의 호기와의 통신에 대해서는, 다채널 통신부(5)를 사용하는 대신에, 조제 기기(2)의 각각의 호기도 포함시켜 동일한 네트워크(LAN)에 접속하여 통신해도 좋다.
이어서, 상기 제어 장치(1)에 의해, 정제 분할 포장기와 약봉지 인쇄기를 구동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CRT 디스플레이(6)에, 메뉴 화면(기동 버튼이 늘어선 정도의 화면이므로 도시 생략)으로부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1). 제어용 화면은, 도 6에 나타낸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과, 도 7에 나타낸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을 가리키고, 이것들은 각각의 윈도(window)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은, 조제 기기(2)의 감시 전용으로 CRT 디스플레이(6)를 별개로 설치하고, 거기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래서, 조작 대상인 표시 화면을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도 6)으로 한다.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에서는, 데이터 입력란은 모두 빈 초기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처방 데이터를 입력한다(단계 S2). 처방 데이터의 입력은 호스트 컴퓨터(14)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이나 키보드(7) 및 마우스(8)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제일에는 중앙 처리 장치(3)(CPU)에 내장한 달력 시계가 해당하는 금일의 날짜가 표시된다. 또한, 다른 공란에는, 호스트 컴퓨터(14)로부터 수신한 처방 데이터의 내용이 표시된다. 호스트 컴퓨터(14)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통신 데이터량을 적게 하기 위해, 각종 코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처방 데이터 내용을 표시할 때에는, 각종 코드를 검색 키로서 각종 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 데이터 등의 판독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수신 데이터 내에는 약제 코드 「시요우에 (シヨウエ)」로서 밖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약제 명칭 「정제 A」는 약제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약제 코드는, 약제사가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약제의 명칭으로부터 탁점(濁點)을 제외하여 단축한 바와 같은, 약제마다 일의(一意)의 코드이다(예컨대, 「정제(錠劑)(ジョウザイエ-)」는 「시요우에 (シヨウエ)」로 한다). 약제사는, 표시된 처방 데이터의 내용을 감사하여 문제가 되지 않으면, 「입력 OK」 버튼을 마우스(8)로 클릭한다. 또한, 처방 데이터의 내용은 키보드(7) 및 마우스(8)를 사용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처방 데이터의 입력」 화면 중, 교환 번호는 외래 환자의 경우에만, 회계 종료 시에 미리 건네어 두는 「약 교환권」 번호를 나타낸다. 이 처방 데이터(도 6)의 예에서는 처방전 구분이 「02」 입원이며(입원 환자), 교환 번호는 의미가 없으므로 「0000」으로 표시된다. 진료과, 의사, 병동, 처방전 구분은, 각각의 코드를 입력하면, 대응하는 각종 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 데이터가 판독되어 표시된다(예컨대, 진료과로 코드 「01」을 입력하면 「내과」로 표시된다). 「처방 No.」 난은, 약제[복수 가(複數 可)]와 용법이 한 조(組)로 된 「처방」의 연속 번호이다. 이 「처방」은 복수 개의 입력이 가능하다. 「코드」 입력란은, 약제 코드 또는 용법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난이다. 코드를 입력하면 약제 마스터 파일 또는 용법 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 데이터가 판독되어 표시된다. 「코드」 입력란은, 통상적으로는 약제 코드를 입력하지만(예컨대 「시요우에」), 선두(先頭)에 「/」기호를 입력하면, 그 후에 용법 코드를 입력한다(예컨대 「201」). 그리고, 용법 코드 「201」에 대응하는 용법 명이 표시된다[「분할 수 2 조(朝)·석(夕) 식후」]. 또한, 용법 코드를 입력한 용법 행에서는, 용법 명이 표시된 후, 「일수(日數)」 입력란이 표시되어 일수를 입력한다(예컨대 「7일분」). 「용량」 난은, 그 약제의 1일 양을 입력하기 위한 난이다. 단위(정, 캡슐, g, ml 등)는 약제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된다. 「복용 시기」 난은 1일 양인 용량을 복용 시기마다 분할한 1회 양을 입력하기 위한 난이다. 1회 양은, 정제, 캡슐제, 환제 등의 고형 제제의 경우에는 개수(알약의 개수)이지만, 산제의 경우에는 그램 수이다. 「형태」 난의 형태 코드는 약제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된다. 형태 코드라는 것은, 조제 작업에서 약제를 형태로 분류하기 위한 코드이다. 「분할 포장」은 약제 피더(feeder)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하여 포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히트실(heat seal)」은 제약 업체에서 포장된 히트실 포장인 채로 환자에게 주는 것을 의미한다. 「정제로 분할 포장」=11, 「정제로 히트실」=13, 「캡슐제로 분할 포장」=14, 「캡슐제로 히트실」=16, 「산제로 분할 포장」=17, 「산제로 히트실」=19 등을 입력한다. 「신규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그때에 표시되어 있는 처방 데이터를 다음번으로 하기 위해서 대피 기억하게 하여 표시가 소거되고, 임의의 처방 데이터를 환자 번호로부터 신규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예컨대, 환자 번호 「93026571」로 키보드 입력하면, 환자명(가타카나, 한자), 성별, 생년월일이 환자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된다. 연령은 생년월일과 금일의 날짜로부터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표시된다. 또한, 「입력 OK」 버튼이 조작되면, 「조제 기기ㆍ에러 상황 감시」 처리가 이루어진다(단계 S3).
조제 기기(2)ㆍ에러 상황의 감시 처리에서는,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로부터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행 레코드)를 취득(取得)한다(단계 S11).
그리고, 사용 불가 파일이 1(불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가 「불가」이면, 그 기종 N의 M호기는 사용 불가이므로, 종료 판단(단계 S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가 「가」라면,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로 설정된 기종 N의 M호기로부터 에러 상황 신호(에러 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13).
이어서, 중대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즉, 중대 에러 설정 파일(도 3) 내의 기종 N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신한 에러 번호가 중대 에러 번호로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중대 에러 번호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적인 에러이므로 종료 판단(단계 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중대 에러 번호로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 내의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를 「불가」로 설정한다(단계 S15).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의 「사용 불가 플래그」 난에 「불가」를 표시하고, 「중대 에러」 난에 중대 에러 번호와 중대 에러 상황을 표시한다(단계 S16).
또한,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 중, 「기종」 「호기 번호」「 사용 불가 플래그」 난에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의 내용을 그대로 표시한다. 또한, 다음의 「전용 처방전 구분」 난에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의 내용에 근거해서 현재 시각에서의 상황을 표시한다. 예컨대, 도 7에서의 정제 분할 포장기의 1호기는, 현재 시각은 「09:05」로서,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의 「한정ㆍ시각대」의 범위 내이므로, 「전용 처방전 구분」 난에는 현재의 상황으로서 「2(외래 전용)」로 표시한다. 그리고, 「한정ㆍ시각대」의 범위 밖에 있으면, 「0(지정 없음)」으로 표시한다. 또한, 「중대 에러」 난에는, 중대 에러 설정 파일(도 3)의 내용에 근거하여, 에러 발생 번호와 상황을 표시한다. 「★」 표시와 반전 표시 행은 처리 대상으로 하는 행 데이터를 나타내고, 상하 화살표 키나 마우스(8)의 클릭에 의해 임의로 행을 이동할 수 있다. 「에러 대책」 난에는, 행 데이터에 중대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대책을 표시한다. 에러 대책은, 중대 에러 설정 파일(도 3)에 설정된 내용이다. 「사용 불가/가」 버튼은, 클릭할 때마다 행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의 내용을 「1=불가」와 「0=가」로 번갈아 전환되며, 사용 불가를 임의로 설정ㆍ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캔슬(cancel)」 버튼은, 윈도를 소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중대 에러 발생 상황을 중대 에러 기록 파일(13)(도 4)에 기록한다(단계 S17). 이 기록 내용은, 후에 보수 서비스 요원이 확인하고, 조제 기기(2)의 가동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로부터 취득하는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종료되어 있으면, 도 5의 단계 S4로 되돌아가고,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의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를 검색하고(단계 S19), 단계 S11로 되돌아가 데이터 취득으로부터 반복한다.
「조제 기기ㆍ에러 상황 감시」처리가 종료되면, 도 5의 단계 S4로 되돌아가 정제 분할 포장기를 동작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처방 데이터의 약제 중에 정제 분할 포장기로 자동 분할 포장하는 「정제」 또는 「캡슐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약제 형태 코드로 판단함으로써 실행한다.
해당하는 약제의 형태 코드가 있으면, 정제 분할 포장기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제 기기[인수(引數):기종=1 「정제 분할 포장기」]의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5). 상세하게는, 도 5의 흐름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절차를, 인수의 기종에 「1」(정제 분할 포장기)을 설정하여 호출함으로써 실행한다.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처리에서는, 도 9 및 도 10의 흐름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변수 N(기종)에 인수 기종을 설정하고(단계 S21), 변수 M(호기 번호)에 「1」을 초기 설정한다(단계 S22). 그리고,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로부터 「기종 N의 M호기」의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행 레코드)를 취득한다(단계 S23).
여기서, 사용 불가 플래그가 1(불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가 「불가」라면, 그 기종 NㆍM호기는 사용 불가이므로, 호기의 종료 판단(단계 S29)으로 진행한다. 한편,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사용 불가 플래그가 「가」라면, 처방 데이터(도 6)의 「처방전 구분」이,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전용 처방전 구분」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 또한, 「전용 처방전 구분」이 「지정 없음」(모든 처방전)이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처방전 구분」이,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전용 처방전 구분」과 일치하고 있으면, 단계 S28에서 M호기를 사용 가능 후보로 설정한 후, 호기의 종료 판단을 실행한다(단계 S29). 단지, 최종적인 호기의 결정은 뒤의 처리 단계(단계 S32)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전용 처방전 구분」과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시각대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6).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한정ㆍ시각대」의 「유효」 체크 박스(口자 표시)가 온(V 마크)이면 시각대는 유효이고, 오프(V 마크 없음)이면 무효로 판단한다.
시각대가 유효라면, 현재 시각이 시각대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 이 판단은, 중앙 처리 장치(3)(CPU)에 내장한 달력 시계가 가리키는 현재 시각이,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한정ㆍ시각대」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현재 시각이 시각대의 범위 내에 있으면, 호기의 종료 판단(단계 S29)으로 진행하고, 범위 내에 없으면, 단계 S28에서 M호기를 사용 가능 후보로 설정한 후, 호기의 종료 판단으로 진행한다(단계 S29).
호기의 종료 판단에서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11)(도 2)로부터 취득하는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에서 기종 N의 호기의 종료인가를 판단한다. 호기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변수 M(호기 번호)을 「+1」(M←M+1)하여(단계 S30), 다음의 사용 조건 설정 데이터의 취득으로부터 반복한다. 한편, 호기가 종료되어 있으면, 사용 가능 후보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사용 가능 후보가 있다면, 사용 가능 후보의 호기 중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호기를 결정한다(단계 S32). 결정 방식에는, 호기로의 처방 데이터의 할당 수를 균등하게 하는 방식이나, 처방 데이터 내의 약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한 호기에 할당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기종 N 중에서 결정한 호기에, 기종마다 고유한 동작 명령을 송신한다(단계 S33). 예컨대, 기종이 정제 분할 포장기라면 분할 포장 명령이고, 약봉지 인쇄기라면 인쇄 명령이다.
한편, 사용 가능 후보가 없다면, 처방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도록 대피 기억한다(단계 S34). 대피 기억한 처방 데이터는 재차 「처방 데이터의 입력」 화면(도 6)에 표시된다. 그리고, 가동할 수 있는 호기가 1대도 없는 취지의 에러 상황을 사용 상황 모니터 화면(도 7)에 표시한다(단계 S35).
이상과 같이 해서,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처리가 종료하면, 「조제 기기의 제어」(도 5)의 단계 S6에서 조제 기기(2)ㆍ동작의 실행(인수:기종=2「약봉지 인쇄기」)을 한다. 이 처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절차(도 9)를, 인수의 기종에 「2」(약봉지 인쇄기)를 설정하여 호출함으로써 실행한다.
그 후, 처방 데이터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도 6)에서 「캔슬」 버튼을 클릭하면, 처방 데이터 입력 화면이 종료되고, 메뉴 화면(도시 생략)으로 복귀한다. 「캔슬」 버튼을 클릭하지 않는 경우, 단계 S2로 되돌아가 처방 데이터 입력으로부터 반복한다.
또한, 다른 기종을 접속하는 경우, 그 기종을 동작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 단계와, 그 기종의 기종 ID 번호를 인수로서 「조제 기기ㆍ동작의 실행」 절차를 호출하는 단계를 한 조로 해서 추가한다. 단지, 약봉지 인쇄기는, 예외적으로, 어느 처방 데이터의 경우에서도 반드시 동작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동작 필요 여부의 판단 단계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에 의하면,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간단히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조제 기기의 장비 상황이 다양하게 다른 시설에 대한 대응에서, 제어 장치의 설계ㆍ제작의 간략화가 도모되고, 사용 시의 조작도 통일될 수 있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에러에 대한 대처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 기종 또는 복수 대의 조제 기기를 구동 제어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불가 플래그와, 각각의 조제 기기가 전용(專用)하는 처방전 구분을 나타내는 전용 처방전 구분으로 된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을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와,
    상기 처방 데이터 및 상기 사용 조건 설정 파일에 기억된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 조건에 근거하여, 사용 가능한 조제 기기를 선택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 장치에 기억되는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의 전용 처방전 구분은 외래 처방전 전용, 입원 처방전 전용 또는 전용에 대한 지정이 없는 것 중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처방전 구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각각의 조제 기기의 사용 상황을 모니터 화면에 일람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처방 데이터 및 상기 사용 조건 설정 파일의 사용 불가 플래그에 근거하여 사용 가능한 조제 기기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처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과 더불어 모니터 화면에 에러 상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 장치는 상기 각각의 조제 기기에서 발생하는 중대 에러의 상황, 에러 대책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중대 에러 설정 파일을 기억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 중의 중대 에러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모니터 화면에 중대 에러 상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모니터 화면에 에러 대책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그 조제 기기를 사용 불가로 설정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 불가 설정 후에는 그 조제 기기로의 처방 데이터의 할당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조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상기 중대 에러 설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중대 에러에 해당하면, 그 중대 에러 상황을 중대 에러 기록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KR1020000068077A 1999-11-22 2000-11-16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KR10073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119999A JP4953495B2 (ja) 1999-11-22 1999-11-22 調剤機器用制御装置
JP99-331199 1999-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27A KR20010077927A (ko) 2001-08-20
KR100738748B1 true KR100738748B1 (ko) 2007-07-12

Family

ID=1824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077A KR100738748B1 (ko) 1999-11-22 2000-11-16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80968B1 (ko)
JP (1) JP4953495B2 (ko)
KR (1) KR100738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512B2 (en) * 2002-08-07 2005-05-17 Medco Health Solutions, Inc. Automated prescription filling system/method with automated labeling and packaging system/method automated order consolidation system/method
US20040133705A1 (en) * 2002-08-09 2004-07-08 Brian Broussard Controller for dispensing products
EP1527426A2 (en) 2002-08-09 2005-05-04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Secure medicament dispensing cabinet, method and system
US7747345B2 (en) * 2004-01-05 2010-06-29 Tosho Inc. Automatic drug dispenser and drug feeder
AT413483B (de) * 2004-03-11 2006-03-15 Knapp Logistik Automation Automatisches tablettenabfüllverfahren und -system
KR100767599B1 (ko) * 2006-11-13 2007-10-17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전보상 운전방법 및 장치
KR20090011858A (ko) 2007-07-27 2009-02-02 (주)제이브이엠 조제 대기환자 정보 이동장치 및 그 방법
CN103720590B (zh) * 2007-10-23 2015-09-3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送出装置
US9355220B2 (en) 2011-05-02 2016-05-31 Omnicell, Inc. Medication dispensing cabinet systems and methods
US10762173B2 (en) * 2011-12-05 2020-09-01 Omnicel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at dispensing units
KR101421679B1 (ko) * 2012-10-30 2014-07-24 안명구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WO2014123147A1 (ja) * 2013-02-07 2014-08-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調剤管理装置、調剤管理プログラム、調剤管理システム
JP6277656B2 (ja) * 2013-10-07 2018-02-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調剤支援システム、調剤支援プログラム、薬品情報登録方法
JP6996210B2 (ja) * 2017-10-06 2022-01-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薬品払出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561A (ja) * 1983-04-30 1984-11-17 三洋電機株式会社 錠剤包装装置
JPS62220403A (ja) * 1986-03-24 1987-09-28 株式会社東京商会 薬剤分包装置
JPS63117760A (ja) * 1986-11-07 1988-05-21 株式会社 東京商会 調剤制御装置
JPH05242169A (ja) * 1991-01-19 1993-09-21 Tokyo Shokai:Kk 調剤作業別処方箋処理装置
KR100388426B1 (ko) * 1994-10-21 2003-11-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161Y2 (ja) * 1982-01-28 1985-09-11 株式会社東京商会 投薬用自動錠剤分包機
JPS6030161A (ja) * 1983-07-08 1985-02-15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H0623208B2 (ja) 1987-07-02 1994-03-30 株式会社日本触媒 逆相懸濁重合法
JPH0662124B2 (ja) * 1987-09-11 1994-08-17 株式会社東京商会 薬剤分包機
US5021051A (en) 1989-04-06 1991-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barrier leg cuffs
JPH0457348A (ja) 1990-06-27 1992-02-25 Toppan Printing Co Ltd 金属薄板とその金属薄板の抜き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金属加工薄板
US5208762A (en) * 1990-12-06 1993-05-04 Baxter International Inc.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JP3083166B2 (ja) * 1991-02-25 2000-09-0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調剤装置
US5271703A (en) * 1992-05-08 1993-12-21 Si Handling System, Inc. Automatic order selection system capable of responding to simultaneous order requests
JP2856617B2 (ja) * 1993-01-25 1999-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6312010A (ja) 1993-04-30 1994-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剤システム制御装置
JPH06271024A (ja) * 1993-11-12 1994-09-27 Tokyo Shokai:Kk 注射薬調剤機
JPH0771576B2 (ja) * 1993-11-29 1995-08-02 株式会社東京商会 調剤制御装置
US5502944A (en) * 1993-12-03 1996-04-02 Owen Healthcare, Inc. Medication dispenser system
US5720154A (en) * 1994-05-27 1998-02-24 Medco Containment Services, Inc. Enhanced drug dispensing system
US5988858A (en) * 1995-06-09 1999-11-23 Kabushiki Kaisha Yuyama Seiksakusho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rugs
US5597995A (en) * 1995-11-08 1997-01-28 Automated Prescription Systems, Inc. Automated medical prescription fulfillment system having work stations for imaging, filling, and checking the dispensed drug product
JPH09215728A (ja) * 1996-02-07 1997-08-19 Yuyama Seisakusho:Kk 錠剤払出し方法
US5761877A (en) * 1996-02-23 1998-06-09 Quandt; W. Gerald System for individual dosage medication distribution
US5771657A (en) * 1996-05-07 1998-06-30 Merck Medco Managed Care, Inc. Automatic prescription filling, sorting and packaging system
US6226564B1 (en) * 1996-11-01 2001-05-01 John C. Stuart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s to prevent inadvertent administration of incorrect drug to patient
US5930145A (en) * 1996-12-03 1999-07-27 Yuyama Mfg. Co., Ltd. Method for medicament stock management by transponders and apparatus therefor
US5907493A (en) * 1997-01-31 1999-05-25 Innovation Associates, Inc. Pharmaceutical dispensing system
JPH10230667A (ja) * 1997-02-18 1998-09-02 Canon Inc 印字装置及びそのエラー対処方法
JPH10234824A (ja) * 1997-02-26 1998-09-08 Yuyama Seisakusho:Kk 薬剤払出装置及び数量入力装置
JPH11115018A (ja) * 1997-10-17 1999-04-27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表示装置
JP4286922B2 (ja) * 1997-12-11 2009-07-0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JPH11270939A (ja) * 1998-03-20 1999-10-05 Sanyo Electric Co Ltd 異常表示装置
KR100570463B1 (ko) * 1998-07-09 2006-04-1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포기용 밀봉 장치
US6256967B1 (en) * 1998-08-27 2001-07-10 Automed Technologies, Inc. Integrated automated drug dispenser method and apparatus
US6170230B1 (en) * 1998-12-04 2001-01-09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561A (ja) * 1983-04-30 1984-11-17 三洋電機株式会社 錠剤包装装置
JPS62220403A (ja) * 1986-03-24 1987-09-28 株式会社東京商会 薬剤分包装置
JPS63117760A (ja) * 1986-11-07 1988-05-21 株式会社 東京商会 調剤制御装置
JPH05242169A (ja) * 1991-01-19 1993-09-21 Tokyo Shokai:Kk 調剤作業別処方箋処理装置
KR100388426B1 (ko) * 1994-10-21 2003-11-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3495B2 (ja) 2012-06-13
KR20010077927A (ko) 2001-08-20
JP2001145687A (ja) 2001-05-29
US6580968B1 (en) 200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748B1 (ko) 조제 기기용 제어 장치
KR101122501B1 (ko) 조제제어시스템
JP6432281B2 (ja) 病棟薬剤業務支援システム
JP5708673B2 (ja) 薬剤管理指導支援システム
JP7147939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5905652A (en) System for preparing materials for guiding a patient in taking medicine
US20020062227A1 (en) Drug preparation instruction system
KR20020076119A (ko) 약제 분포 장치
JP4546605B2 (ja) 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
JP4398210B2 (ja) 薬品管理装置および薬品管理システム
JP7311747B2 (ja) 服薬指導支援システム、服薬指導支援プログラム
JP4575794B2 (ja) 病薬チェック装置及び病薬チェックプログラム
JP4360790B2 (ja) 薬剤包装装置
JP4903841B2 (ja) 薬品管理装置
JP4330238B2 (ja) 調剤制御装置及び調剤制御方法
JP4580456B2 (ja) 調剤機器用制御装置
JP2001087352A (ja) 薬剤の分包機の制御方法
KR100847400B1 (ko) 약제 분할 포장장치
JPH02107223A (ja) 医療情報処理装置
JPH08255201A (ja) 薬品投与監査チェックシステム
KR20230164983A (ko) 약제 포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440736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情報処理プログラム
GB2325760A (en) Computer-aided prescription of herb medicines
JP4695889B2 (ja) 相互作用チェック装置及び相互作用チェックプログラム
JPH02107259A (ja) 自動薬剤トータルオーダリング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