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988B1 - 자동차의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988B1
KR100736988B1 KR1020050095673A KR20050095673A KR100736988B1 KR 100736988 B1 KR100736988 B1 KR 100736988B1 KR 1020050095673 A KR1020050095673 A KR 1020050095673A KR 20050095673 A KR20050095673 A KR 20050095673A KR 100736988 B1 KR100736988 B1 KR 10073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pedal
brake
module plat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220A (ko
Inventor
박형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하나의 회전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모듈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톱 램프 스위치의 사용 개수를 줄여서 부품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체를 구성하는 대쉬 보드에 소정 형상을 한 모듈 플레이트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지지축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각각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페달장치{Pedal device i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플레이트가 대쉬 보드에 장착된 상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스톱퍼의 작동 설명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 램프 스위치의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과 브레이크 밸브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보조공압라인이 모듈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모듈 플레이트 2-지지축
3-브라켓 4-클러치 페달
5-브레이크 페달 6-링크
7-클러치 부우스터 8-리저버 탱크
9-브레이크 밸브 10-핀
11-대쉬 보드 12-스톱퍼
13-부시 14-보조공압라인
15-커넥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모듈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페달은 통상적으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 등을 구비하고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행 중에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페달들을 적절히 조작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클러치 페달은 차체를 구성하는 대쉬 보드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페달들이 차체를 구성하는 다른 패널에 설치됨에 따라 부품들이 중복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작 환경을 마련해 주기에는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하나의 회전축상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모듈화를 통해 생 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톱 램프 스위치의 사용 개수를 줄여서 부품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페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쉬 보드에 모듈 플레이트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지지축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는 부시를 매개로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는 제1,2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축에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 페달에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증대시키는 클러치 부우스터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축에는 브레이크 밸브의 푸시로드가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밸브에는 상기 푸시로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푸시로드에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관통구멍을 가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의해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형성된 공기유입포트와 공기유출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축에는 스톱퍼 브라켓이 일체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스톱퍼 브라켓과 상호 작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복귀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접촉하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면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이격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톱 램프 스위치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쪽을 향해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 램프 스 위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쪽으로 향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면서 이 플런저의 선단부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오목홈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장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 바, 대시 보드에 소정 형상의 모듈 플레이트(1)가 고정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1)에 봉 형상의 지지축(2)이 브라켓(3)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축(2)에는 클러치 페달(4)과 브레이크 페달(5)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페달(4)과 일체로 장착된 제1 회전축(4a)이 상기 지지축(2)에 끼워져 클러치 페달(4)은 상기 제1 회전축(4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5)과 일체로 장착된 제2 회전축(5a)도 상기 지지축(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브레이크 페달(5)은 상기 제2 회전축(5a)을 매개로 상기 지지축(2)상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클러치 페달(4)의 제1 회전축(4a)에는 링크(6)를 매개로 클러치 부우스터(7)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4)이 상기 제1 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클러치 페달(4)의 회동운동이 상기 링크(6)를 매개로 상기 클러치 부우스터(7)에 전달되어, 클러치 부우스터(7)가 유압을 발생시켜 클러치 본체로 전달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부우스터(7)에는 리저버탱크(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의 제2 회전축(5a)에는 브라켓(5b)이 돌출되게 장착되면서 이 브라켓(5b)에 브레이크 밸브(9)의 푸시로드(9a)가 핀(10)을 매개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어 브레이크 페달(5)의 제2 회전축(5a)이 회전되면 상기 푸시로드(9a)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밸브(9)가 작동되게 된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이 클러치 페달(4)과 브레이크 페달(5)이 모듈 플레이트(1)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를 구성하는 대쉬 보드(11)에 형성된 관통구멍 속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지지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도 4에는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어 회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의 제2 회전축(5a)에는 스톱퍼 브라켓(5c)이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1)에는 스톱퍼(5d)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된 다음에 상기 브레이크 밸브(9)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 브레이크 페달(5)의 상기 스톱퍼 브라켓(5c)이 상기 스톱퍼(5d)에 닿아서 브레이크 페달(5)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도 5와 도 6에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이 페달이 조작될 때에 제동등을 점등시키거나 오프시키는 스톱 램프 스위치(12)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1)에 형성된 브라켓(1a)에 끼워져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플런저(12a)는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지 않을 때에 브레이크 페달(5)의 아암과 항상 접촉되게 브레이크 페달(5)의 아암쪽으로 돌출해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플런저(12a)가 브레이크 페달(5)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에 의한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반면에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어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플런저(12a)가 브레이크 페달(5)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신호가 발생하면서 제동등이 점등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의 페달아암이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플런저(12a)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오목홈(5e)이 형성되어 브레이크 페달(5)의 페달아암에 스톱 램프 스위치(12)의 플런저(12a)가 접촉될 때에 플런저(12a)의 선단부가 페달아암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홈(5e)속에 끼워지게 된다.
도 7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의 제2 회전축(5a)은 상기 지지축(2)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페달(5)의 제2 회전축(5a)은 부시(13)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축(2)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페달(4)의 제1 회전축(4a)도 부시(13)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축(2)에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이 회동되면서 제2 회전축(5a)이 회전될 때에 제2 회전축(5a)과 브라켓(5b)을 매개로 연결된 푸시로드(9a)가 상하로 운동하면서 브레이크 밸브(9)를 개폐하게 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브레이크 밸브(9)의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푸시로드(9a)는 밸브 하우징(9b)내에서 스프링(9c)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푸시로드(9a)에는 관통구멍(9d)을 가진 플런저(9e)가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9b)에는 공기유입포트(9f)와 공기유출포트(9g)가 각각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이들 포트사이에는 상기 플런저(9e)가 이동하면서 2개의 포트(9f,9g)를 서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게 된다.
도 8에는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의 밸브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푸시로드(9a)가 스프링(9c)에 의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지지되어, 상기 2개의 포트(9f,9g)는 상기 플런저(9e)에 의해 막혀져서 서로 연통되지 않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5)이 조작되게 되면, 상기 푸시로드(9a)에 의해 상기 플런저(9e)가 하강해서 플런저(9e)의 관통구멍(9d)이 상기 2개의 포트(9f,9g) 사이에 위치되면서 2개의 포트(9f,9g)는 플런저(9e)의 관통구멍(9d)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되어, 밸브의 공기유입포트(9f)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유출포트(9g)를 통해 브레이크 장치로 공급되어서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5)의 회동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9)가 개폐 작동됨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5)의 조작력이 종래의 플로워 패널의 설치식에 비해 경감되게 된다.
도 10에는 보조공압라인(14)이 상기 모듈 플레이트(1)를 관통해서 지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데, 상기 보조공압라인(14)은 압축공기를 주차브레이크로 공급하기 위한 3개의 보조공압라인과, 소제용 에어건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1개의 보조공압라인이 모듈 플레이트(1)를 관통해서 지지되게 된다.
상기 보조공압라인(14)을 모듈 플레이트(1)에 지지시키기 위해 모듈 플레이트(1)에는 나사산을 가진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공압라인(14)에는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를 가진 커넥터(15)를 장착하며, 이 커넥터(15)를 통해 보조공압라인(14)이 차실 내부로부터 차실 외부로 연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룸내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엔진소음이 보조공압라인(14)을 통해 차실 내부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하면 자동차의 페달장치에 의하면,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모듈 플레이트에 장착된 동일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모듈화시킴에 따라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장착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시에 제동등을 점등시키는 스톱 램프 스위치를 단지 1개만 사용하여 제동등을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감도 향상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대쉬 보드에 모듈 플레이트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지지축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는 부시를 매개로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는 제1,2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2 회전축에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 페달에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증대시키는 클러치 부우스터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축에는 브레이크 밸브의 푸시로드가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밸브에는 상기 푸시로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푸시로드에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관통구멍을 가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의해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형성된 공기유입포트와 공기유출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축에는 스톱퍼 브라켓이 일체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스톱퍼 브라켓과 상호 작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복귀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접촉하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면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이격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톱 램프 스위치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쪽을 향해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램프 스위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쪽으로 향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오목홈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장치.
KR1020050095673A 2005-10-11 2005-10-11 자동차의 페달장치 KR10073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73A KR100736988B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의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73A KR100736988B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의 페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220A KR20070040220A (ko) 2007-04-16
KR100736988B1 true KR100736988B1 (ko) 2007-07-09

Family

ID=3817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673A KR100736988B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의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601A (zh) * 2019-09-09 2019-12-20 苏州先锋物流装备科技有限公司 脚制动连杆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47A (ja) * 1984-05-26 1985-12-12 Iseki & Co Ltd 乗用車輛のペダル等取付部の構造
KR970003774Y1 (ko) * 1994-05-24 1997-04-23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폐달장치
KR19980041312U (ko) * 1996-12-23 1998-09-15 오상수 차량용 풋 브레이크밸브
JPH11105682A (ja) * 1997-10-07 1999-04-20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ペダルサポー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47A (ja) * 1984-05-26 1985-12-12 Iseki & Co Ltd 乗用車輛のペダル等取付部の構造
KR970003774Y1 (ko) * 1994-05-24 1997-04-23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폐달장치
KR19980041312U (ko) * 1996-12-23 1998-09-15 오상수 차량용 풋 브레이크밸브
JPH11105682A (ja) * 1997-10-07 1999-04-20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ペダルサポー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220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2149B (zh) 杆式车把车辆用致动装置
US6860170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US8985714B2 (en) Break actuating unit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CA2375380C (en) Driver control module
US6952980B2 (en) Pedal device wherein non-operated position of operating portion is adjustable
CN1899899A (zh) 制动控制装置
KR20060065537A (ko) 자동차의 조작 페달 장치
KR100736988B1 (ko) 자동차의 페달장치
KR20070068369A (ko) 브레이크-바이-와이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EP1215070B1 (en) Vehicle master cylinder mounting structure
CN2880591Y (zh) 转向照明车灯装置
EP1795420A2 (en)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bar-handle vehicle
KR100514829B1 (ko) 차량의 가변식 브레이크 페달
EP1795419B1 (en)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bar-handle vehicle
JPH04501243A (ja) 流体圧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用駆動ユニット
CN200942713Y (zh) 制动踏板及离合踏板总成
CN112867647B (zh) 车辆的集成制动装置与车辆
CN218949158U (zh) 一种集成微动开关的组合踏板
US20040217726A1 (en) Adjustable control vehicle pedal
KR100387847B1 (ko) 다목적 차량의 페달
CN217598539U (zh) 车辆的制动系统和车辆
CN219101909U (zh) 一种用于汽车驱动桥的新型气室
US2920711A (en) Combined body, brake system and accelerator pedal assembly
JP2003127846A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6929104B2 (en) Vertically oriented dual circuit pilot master cyl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