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95B1 -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95B1
KR100736195B1 KR1020060019648A KR20060019648A KR100736195B1 KR 100736195 B1 KR100736195 B1 KR 100736195B1 KR 1020060019648 A KR1020060019648 A KR 1020060019648A KR 20060019648 A KR20060019648 A KR 20060019648A KR 100736195 B1 KR100736195 B1 KR 10073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button
screen
grid lin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379A (ko
Inventor
노부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0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Abstract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에 있어서, 통신 유닛은 상기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정보의 일부를 표시한다. 복수의 조작 버튼은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며,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한다. 조작 제어 유닛은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CONTROL METHOD}
도 1은 이동 전화와 접속된 정보 기기 원격 조작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 전화의 블록도.
도 3은 이동 전화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동 전화의 조작 버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이동 전화 조작의 개략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조작의 개략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조작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디스플레이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조작의 개략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조작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제1 조작의 개략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제2 조작의 개략도.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제3 조작의 개략도.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제4 조작의 개략도.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제5 조작의 개략도.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조작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기기 원격 조작 시스템
2 : 이동 전화
2a : 디스플레이
3 : 정보 기기
3a : 디스플레이
4 : 전기 통신 회선(또는 네트워크)
5 : 기지국
20 : 통신 유닛
21 :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22 : 조작 제어 유닛
23 : 조작 유닛
24 : 조작 버튼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이동 전화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기는 흔히 네트워크에 접속되는데, 예컨대 이동 전화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 가능하다. 더욱이, 일부 정보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이며 이미지를 정교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보 기기를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 함)와 같은 원격 위치한 제2 정보 기기와 접속시킴으로써, 제1 정보 기기가 제2 정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정보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전화나 PDA(웹 브라우저를 이용 가능한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PC(소프트웨어가 사전 설치되어 있는 PC)를 조작하는 기술이 다음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IBM Japan "Software realizing remote operation of PC from mobile phone", [온라인], 보도 자료, [2005년 6월 2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06.ibm.com/jp/press/2002/05271.html>
또한, 웹 브라우저나 전용 뷰어(미리 결정된 언어를 이용 가능한 것)를 이용하여 PC(소프트웨어가 사전 설치되어 있는 PC)를 조작하는 기술이 다음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AT&T Labs-Research In the Spotlight "PC World included AT&T Labs (Cambridge) Virtual Network Computer Software in its 1 April feature on the evaluation of remote PC software", [온라인], [2005년 6월 2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research.att.com/spotlight/200204.html>
게다가, 이동 전화와 PC 간에 중계 서버를 설치하여 고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중계 서버를 이동 전화와 연결함으로써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PC를 조작하는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Masato NAKASU "Research of a computer remote operation system using a mobile phone", [온라인], Tsukuba University, [2005년 6월 2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iplab.cs.tsukuba.ac.jp/~baru/research/keitai.html>
IBM Japan과 NAKASU 논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PC와 이동 전화 간에 미리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PC의 화면 정보나 PC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전송한다. 간단히 말해서, 이 기술은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PC를 원격 조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PC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키보드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마우스나 터치 패널과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다. 마우스를 이용함으로써, PC의 화면 상의 임의 위치로 순식간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킨 직후에 마우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각종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 전화에는 일반적으로 전화를 걸기 위한 숫자 버튼과,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측 방향) 및 확인 버튼과, 특수 조작을 위한 수개의 버튼이 있다.
따라서,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PC를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는, PC의 마우스를 조작하는 것에 비해서, 이동 전화의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 위치로 순식간에 커서를 이동시킬 수 없다. 예컨대,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측 방향)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 위치로 점차 커서를 이동시킨다. 임의 위치로 쉽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대해서는 지금 현재로는 제안된 바가 없다.
마우스를 이동 전화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용 형태에서는, 이동 전화의 간단한 이동성을 저하시킨다. 사용자가 목적지 또는 수송 수단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전화를 조작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인터페이스는 실용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PC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성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PC를 직접 조작하는 조작성보다 매우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동 전화의 표준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한 조작으로 PC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로서,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는, 상기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과; 상기 정보의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며,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과;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로서,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이동 전화 제어 방법은, 상기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이동 전화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조작 버튼을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이동 전화를 제어하게 하는 이동 전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이동 전화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이동 전화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코드와; 복수의 조작 버튼을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제3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제4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는 제5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제6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7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정보 기기 원격 조작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전화(2)는 전기 통신 회선 또는 네트워크(4)와 기지국(5)을 통해 정보 기기(3)와 접속된다. 정보 기기(3)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이다.
정보 기기 원격 조작 시스템(1)에 있어서, 사무실이나 가정에 위치한 정보 기기(3)는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 상의 화면 정보는 전기 통신 회선(4)을 통해 수신되어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는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보다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a) 상의 화면 정보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된다.
한편, 이동 전화(2)로부터 정보 기기(3)로 데이터를 조작 또는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동 전화(2)에 있는 조작 버튼을 이용한다.
마우스나 터치 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기기(3)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a) 상의 임의 위치로 순식간에 마우스 커서(이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전화(2)의 경우에는, 휴대 이동성이 매우 중요하여, 마우스나 터치 패널과 같은 포인팅 장치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커서 이동 조작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커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전화(2)의 원격 조작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2는 이동 전화(2)의 블록도이다.
이동 전화(2)는 통신 유닛(20),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21), 디스플레이(2a), 조작 제어 유닛(22) 및 조작 유닛(23)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20)은 전기 통신 회선(4)을 통해 정보 기기(3)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21)은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를 제어하여 정보 기기(3)로부터의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21)은 디스플레이(2a)를 제어하여 커서 및 그리드 라인을 표시한다(후술함).
디스플레이(2a)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조작 제어 유닛(22)은 조작 유닛(23)의 조작 버튼(24)으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데이터 변환을 행한다.
도 3은 원격 조작 대상인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 상의 화면 정보와,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 상의 화면 정보의 일부를 보여준다.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는 비교적 대화면을 포함한다. 예컨대, 그 화면은 "(1024 도트)×(768 도트)"(XGA 표준)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의 화면은 고해상도이지만, 디스플레이(3a)보다는 작다. 예컨대, 그 화면은 "(240 도트)×(320 도트)"(QVGA 표준)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 상의 화면 정보를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화면 정보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디스 플레이(2a) 상에 표시하게 된다.
도 4는 이동 전화(2)의 조작 패널(조작 유닛(32))의 개략도이다. 조작 유닛(23)은 복수의 조작 버튼(24)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23)의 상부에는 상하좌우측 방향의 4개의 화살표 버튼, 즉 "상측" 화살표 버튼, "하측" 화살표 버튼, "좌측" 화살표 버튼 및 "우측" 화살표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중앙부에는 그 4개의 화살표 버튼으로 둘러싸인 "확인"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유닛(23)의 하부에는 다이얼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이 다이얼 버튼은 ((3행)×(3열))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1"에서 "9"까지의 버튼과, "0" 버튼, "*" 버튼, 그리고 "#"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통화" 버튼도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조작 버튼(24)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서, 기호 ("○"으로 둘러싸인 "+")는 커서를 나타낸다. 커서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보통 상하좌우측 방향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들 화살표 버튼을 누를 때마다 커서가 이동 거리 d 씩 이동된다. 도 5의 예에서, "우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하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커서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예컨대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정보 기기(3)의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같은 조작이 실현된다.
이동 거리 d를 고정시키게 되면, 커서를 이동 거리 d의 중간 지점에 위치시 킬 수 없다. 따라서, 이동 거리 d를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한번의 이동 거리 d가 8 도트인 상태에서, 커서를 우측 방향(+ x 방향)으로 36 도트 만큼, 하측 방향(+ y 방향)으로 40 도트 만큼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자. "우측" 화살표 버튼을 네 번 누르고 "하측" 화살표 버튼을 다섯 번 누르면, 커서가 목표 위치로부터 4 도트 만큼의 좌측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거리 d를 4 도트로 설정하고 "우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목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거리 d의 설정 조작을 제외하더라도, 조작 버튼을 열 번이나 눌러야 한다.
이동 전화(2)의 화면 크기가 "a×b" 도트이고, 이동 거리가 d 도트이며, 커서의 현재 위치가 (x, y)인 경우에, 이동에 필요한 (상하좌우측) 화살표 버튼의 누름 횟수의 평균은 다음의 수학식 1로 근사화된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1
이 수학식 1에서, 연산 [p]는 p의 소수점 아래 부분의 올림 계산 값이다.
수학식 1은 이산 방정식이다. 계산의 간이화를 위해서, 수학식 1은 연속 방정식인 다음의 수학식 2로 근사화된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2
수학식 2를 계산함으로써, 다음의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3
간단히 말하자면, 이동 전화(2)의 화면 크기가 "a×b" 도트이고, 이동 거리가 d 도트이며, 커서의 현재 위치가 (x, y)인 경우에, 이동에 필요한 (상하좌우측) 화살표 버튼의 누름 횟수의 평균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근사화된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4
수학식 3은 커서의 목표 지점이 화면 크기 "(a×b) 도트"의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가정 하에 누름 횟수의 평균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이동 전화(2)의 일반적인 화면 크기인 QVGA 표준의 화면 크기는 "240×320" 도트이다. 따라서, "a = 240, b = 320"과 이동 거리 "d = 8"을 수학식 3에 대입함으로써, 다음의 수학식 4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5
수학식 4의 계산 결과는 "(x, y) = (120, 160)"(디스플레이(2a) 화면의 중앙)일 때 최소값 17.5이고, "(x, y) = (0, 0)"(화면의 구석)일 때 최대값 35이다. 이 계산 결과의 평균은 23.333이다.
조작 버튼의 누름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 누름 횟수 1회 당 커서의 이동 거리 d를 길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화면 상에서 목표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가리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동 거리 d를 반복 설정해야 하는 횟수가 늘어나, 실제 조작에 있어 사용자에게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동 전화(2)의 버튼 조작은 길게 누름(잠시 동안 누름 상태 유지)과 짧게 누름(통상의 누름 조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길게 누름과 짧게 누름으로 이동 거리 d를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버튼을 길게 누른 후에 잇따라 누름으로써, 조작 상태를 "반복" 상태로 전환하여, 길게 누름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거리 d를 반복 횟수만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길게 누름은 짧게 누름보다 오래 걸리므로, 상기 방법은 커서의 이동 시간을 줄이는 데에 있어서 명확한 해결 수단이 될 수 없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서 이동 방법의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특수 버튼(예컨대,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화면의 중앙으로 강제적으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 동 전화(2)의 조작 제어 유닛(22)에 있어서, 이 조작은 "통화" 버튼의 누름을 인식했을 때 커서의 위치 데이터를 화면의 중앙 좌표 "(x, y) = (0, 0)"로 설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동 목적지(목표 위치)가 커서의 현재 위치에 가까운 경우에는, 커서를 중앙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커서를 "통화" 버튼을 눌러 중앙으로 이동시킨 후에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면, 커서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커서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 누름 횟수의 평균이 17.5로 된다. "통화" 버튼의 누름을 감안하면, 그 평균은 18.5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의 임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종래 기술)에, 누름 횟수의 평균은 23.333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누름 횟수의 평균이 종래 기술의 약 4/5로 줄어든다. 그 결과, 커서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 횟수의 평균이 줄어들어 조작성이 개선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2)의 조작례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2)의 조작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제2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커서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1" 버튼 ~ "9" 버튼(제1 버튼)과, 하나의 소정의 버튼, 예컨대 "통화" 버튼(제2 버튼)을 이용한다.
현재 위치로부터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통화" 버튼을 누른다(ST1).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 전화(2)의 처리 모드가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커서 고속 이동 모드로 바뀐다. 또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21)이 디스플레이(2a) 상에 "(3행)×(3열)"의 큰 그리드 라인(제1 그리드 라인)을 표시한다. 이 그리드 라인은 9개의 큰 셀(제1 셀)을 형성한다(ST2).
도 8에서는, 이 그리드 라인을 이용하여 제1 셀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그리드 라인으로 각 셀을 구별 표시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방법도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각 셀의 래티스 포인트를 표시하거나, 각 셀의 배경색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그리드 라인을 이용하여 각 셀을 구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구별 표시할 수도 있다.
"통화" 버튼을 다시 누르는 경우에는(ST3의 예), 이전 조작을 취소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그리드 라인을 제거(삭제)하고, 단계 ST1로 복귀한다. "통화"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T4로 진행한다.
단계 ST4에서는, 사용자가 9개의 다이얼 버튼("1" 버튼 ~ "9" 버튼) 중 하나를 누른다. "1" 버튼 ~ "9" 버튼은 "(3행)×(3열)"로 정렬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그리드 라인은 화면 상에서의 분할된 각 셀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a) 상의 셀을 보면서 커서의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다이얼 버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조작 흐름에 기초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도 9의 (a) 는 ST2에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큰 그리드 라인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도 9의 (a)에서, 커서의 위치(좌측 상부)는 (이동 전의) 커서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도 9의 (b)는 ST4에서 "4" 버튼을 누른 후의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4"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가 "4"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셀의 중앙(좌측 중간)으로 이동한다. 추가로, "(3행)×(3열)"의 작은 그리드 라인(제2 그리드 라인)이 셀에 표시된다. 이 그리드 라인은 9개의 작은 셀(제2 셀)을 형성한다(ST5).
"통화" 버튼을 다시 누르는 경우에는(ST6의 예), 이전 조작을 취소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작은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고, 단계 ST3로 복귀한다. "통화"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T7로 진행한다.
단계 ST7에서는, 사용자가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1" 버튼 ~ "9"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른다. 도 9의 (c)는 ST7에서 "9" 버튼을 누른 후의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9"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가 "9" 버튼에 대응하는 작은 셀의 위치로 이동한다. 추가로, 모든 그리드 라인이 제거되고, 디스플레이 상태가 통상의 조작 모드로 복귀한다(도 9의 (d)). 도 9의 (d)의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는,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이용하여 이동 거리 d(예컨대 d = 8 도트) 단위로 커서를 이동시켜, 결국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은 셀의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는 각각 디스플레이(2a)의 화면 크기의 1/9이다. 디스플레이(2a)의 화면 크기가 "(240 도트)×(320 도트)"인 경우에, 작은 셀의 크기는 "(27 도트)×(36 도트)"이다. 따라서, 도 9의 (d)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 횟수의 평균은 수학식 3에 "a = 27, b = 36, d = 8"을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6014966400-pat00006
수학식 5의 마지막 항의 "3"은 ST1에서 "통화" 버튼을 한 번 누른 것과, ST4, ST7에서 다이얼 버튼을 두 번 누른 것에 대응하는 것이다. 수학식 5에서, 최소값은 4.969이고, 최대값은 6.939이며, 평균은 약 5.625이다.
간단히, 제2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의 누름 횟수의 평균은 약 6인데, 이것은 종래 기술의 평균 "23"의 1/4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커서 이동에 필요한 조작 버튼의 누름 횟수가 상당히 줄어든다. 따라서, 단시간에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개선된다.
(제3 실시예)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2) 조작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2) 조작 흐름에 기초한 디스플레이(2a)의 표시예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다이얼 버튼("1" 버튼 ~ "9" 버튼)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와는 달리,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이용하 여 커서를 이동시킨다.
다이얼 버튼의 조작은 간단하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는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조작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으면서(블라인드 터치) 조작하기에는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이 용이하다.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커서의 이동 방향이 화면 상의 커서의 위치보다 더 중요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실시예(셀의 중앙에 커서를 표시)와는 다른 그리드 라인의 래티스 포인트 상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커서가 그리드 라인 상을 이동한다. 따라서, 그리드 라인은 커서의 자취(locus)를 나타내며, 화살표 버튼에 적합한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가 고속 조작할 수 있다.
ST10에서, 특수 버튼(예컨대, "통화" 버튼(제1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 전화(2)의 처리 모드가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커서 고속 이동 모드로 바뀐다.
또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의 현재 위치가 한 래티스 포인트 상에 있는 큰 그리드 라인(제1 그리드 라인)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ST11). 도 11의 (a)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준다.
제2 실시예에서는, 다이얼 버튼의 위치를 그리드 라인이 형성하는 셀의 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서, 그리드 라인으로 화면을 9개의 셀((3행)×(3열))로 분할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리드 라인과 그리드 라인들 사이의 공간의 수를 가시도(visibility)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드 라인들 사이의 수직 공간과 수평 공간 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 따른 그리드 라인들 사이의 공간은 각각 80 도트이다.
사용자는 커서를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더 가까이 이동시키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를 보면서(블라인드 터치)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누른다.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각 셀의 래티스 포인트(그리드 라인에 의해 형성됨) 상을 이동한다.
도 11의 (b)에서, "하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고 "우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한다.
커서를 목표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사용자가 특수 버튼(제2 버튼, 예컨대 "확인" 버튼)을 누른다(ST16).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의 래티스 포인트에 인접한 4개의 셀(제1 셀)을 분할하는 작은 그리드 라인(제2 그리드 라인)이 표시된다. 작은 그리드 라인은 큰 셀을 9개의 작은 셀(제2 셀)로 분할한다. 도 11의 (c)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준다. 제3 실시예에서, 큰 셀은 각각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 따른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그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 따른 2개의 작은 셀 사이의 공간은 각각 27 도트이다.
ST18에서,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누르면, 커서가 목표 위치에 더 가까워진다. 이 경우에서, 커서의 이동 단위는 작은 셀이다. 따라서, 커서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의 (d)에서, "하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고 "우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커서가 더욱더 목표 위치의 가까이로 이동한다.
커서를 목표 위치의 가까이로 이동시킨 후에,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른다(ST22).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의 위치가 결정되고, 처리 모드가 커서 고속 이동 모드에서 통상의 조작 모드로 복귀한다. 또한, 모든 그리드 라인이 제거된다(ST23). 도 11의 (e)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준다.
통상의 조작 모드로 커서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이용하여 소정의 이동 거리 d(예컨대 8 도트)의 단위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서가 큰 그리드 라인의 래티스 포인트 상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름으로써 커서가 80 도트만큼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화살표 버튼의 한 번 누름의 이동 거리는 8 도트이다. 따라서, 버튼 누름 횟수의 평균이 수학식 4의 1/10, 즉 약 2.333이다.
커서가 작은 그리드 라인의 래티스 포인트 상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커서가 큰 셀 내의 "3×3"개의 작은 셀 상을 이동한다. 따라서, 그 누름 횟수의 평균이 커서가 큰 그리드 라인의 래티스 포인트 상을 이동하는 경우에서의 누름 횟수의 평균보다 더 줄어든다. 간단히 말해서, 커서가 작은 그리드 라인의 래티스 포인트 상을 이동하는 경우에서의 누름 횟수의 평균은 2.333 이하이다.
작은 셀의 크기는 "(27 도트)×(27 도트)"이다. 따라서,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8 도트 단위로 커서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누름 횟수의 평균은 수학식 5에 의해 대략 계산되어, 2.333이다.
또한, "통화" 버튼을 한 번 누른 것과, "확인" 버튼을 두 번 누른 것을 감안 하여, 제3 실시예의 이동 전화(2)의 버튼 누름 횟수의 평균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계산된다.
2.333 + 2.333 + 2.333 + 3 ≒ 10 (회)
상기 평균 "10"은 제2 실시예의 이동 전화(2)의 누름 횟수의 평균 "6"보다는 큰 것이지만, 종래 기술의 누름 횟수의 평균 "23"의 1/2 이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서 이동에 필요한 조작 버튼의 누름 횟수가 상당히 줄어든다. 따라서, 단시간에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을 이용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a)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 방향을 따라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제3 실시예에서는, 커서의 이동 목적지가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에 있는지를 판정한다(ST13). 커서의 이동 목적지가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a) 상의 화면 정보의 일부가 커서 이동 방향의 반대 반향을 따라 이동되어, 디스플레이(2a) 상의 새로운 화면 정보 상에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도 12의 (a), 도 12의 (b) 및 도 12의 (c)는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도 12의 (a)는 정보 기기(3)의 디스플레이(3a)의 화면 정보의 일례를 보여준다. 그 화면 정보의 일부(도 12의 (a)에서 좌측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가 추출되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전화(2)의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된다.
도 12의 (b)의 디스플레이(2a) 상의 현재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2a) 상의 우측(목표 위치 포함)으로 커서를 더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a)의 현재 화면 정보에는 목표 위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우측"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뷰(디스플레이(3a) 상의 현재 화면 정보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a) 상의 좌측으로 그리드 라인들 사이의 한 공간 만큼 이동한다. 그 결과, 화면 정보의 새로운 부분(현재까지 표시되지 않은 우측 화면 정보)이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되어, 그 화면 정보의 새로운 부분 상의 목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화살표 버튼을 한 번 누르는 조작에 의해, 커서 이동과 뷰 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유효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에, 작은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커서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작은 그리드 라인을 이용한 커서의 이동을 계속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에, 작은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와 디스플레이(2a)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동시에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스플레이(2a)의 화면 정보의 뷰가 커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큰 그리드 라인들 사이의 한 공간 만큼 자동적으로 이동한다(ST20). 그 결과, 화면 정보의 새로운 부분(현재까지 표시되지 않은 우측 화면 정보)이 디스플레이(2a) 상에 표시되어, 작은 그리드 라인을 이용한 커서의 이동을 계속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화" 버튼을 이용한 취소 조작도 가능하다.
도 10의 ST15에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큰 그리드 라인이 제거되고, 통상의 조작 모드(ST10)로 복귀한다.
또한, 작은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동안에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ST21에서 예), 작은 그리드 라인이 제거되고, 큰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귀한다. 도 15는 이러한 취소 조작의 디스플레이 일례를 보여준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화" 버튼을 눌러 처리 모드를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커서 고속 이동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의 현재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 정보 기기(3)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의 커서의 현재 위치의 바뀜이 지정 정보로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4 실시예)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2)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 다.
제4 실시예의 이동 전화(2)의 기본 조작 흐름은 도 10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비해서, 처리 모드를 통상의 조작 모드에서 커서 고속 이동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커서가 상이하게 이동한다.
제4 실시예의 이동 전화(2)에 있어서,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큰 그리드 라인이 표시되고 커서의 현재 위치가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있는 래티스 포인트로 이동한다. 도 16의 (a)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준다. 다른 조작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수학식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서의 초기 위치를 디스플레이의 중앙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셀 상의 이동과 상관없이, 화살표 버튼(상하좌우)의 누름 횟수의 평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이점에 제1 실시예의 이점을 더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각종 처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달성 가능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메모리 장치에 실현 가능하다.
이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CD-ROM, CD-R, DVD 등), 광 자기 디스크(MD 등)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로부터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OS(운영 체계)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MW(미들웨어 소트웨어)가 각 처리의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는 컴퓨터로부터 독립된 장치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LAN이나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장치도 포함된다. 더욱이, 메모리 장치는 하나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메모리 장치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의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메모리 장치도 상기 메모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의 부품은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컴퓨터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의 각 처리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일 장치이거나, 복수의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정보 처리기 내의 처리 유닛, 마이크로컴퓨터 등도 컴퓨터에 포함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간략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장비 및 장치를 일반적으로 컴퓨터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전화의 표준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한 조작으로 PC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과;
    상기 정보의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각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며,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과;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상기 화면 상에 각 셀의 경계를 나타내는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인 이동 전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은 3행×3열의 래티스 상에 정렬된 9개의 제1 버튼과, 1개의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화면을 3행×3열의 9개의 제1 셀로 분할 하는 제1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셀들 중 하나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며,
    일차적으로 상기 제1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조작 제어 유닛이 상기 일차적으로 누른 제1 버튼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셀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하나의 제1 셀을 3행×3열의 9개의 제2 셀로 분할하는 제2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며,
    이차적으로 상기 제1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조작 제어 유닛이 상기 이차적으로 누른 제1 버튼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2 셀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및 제2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것인 이동 전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은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버튼과, 1개의 제1 버튼과, 1개의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화면을 복수의 제1 셀로 분할하여, 하나의 래티스 포인트가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인 제1 그리드 라인을 각각의 제1 셀의 경계로서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일차적으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작 제어 유닛이 상기 일차적으로 누른 화살표 버튼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의 각각의 래티스 포인트 상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일차적으로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셀을 복수의 제2 셀로 분할하여, 하나의 래티스 포인트가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인 각각의 제2 셀의 경계로서 제2 그리드 라인을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영역 상에 표시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작 제어 유닛이 상기 이차적으로 누른 화살표 버튼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각각의 래티스 포인트 상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및 제2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것인 이동 전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화살표 버튼들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인 이동 전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상기 커서가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정보의 새로운 부분을 표시하는 것인 이동 전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상기 커서가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인 이동 전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것인 이동 전화.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없이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인 이동 전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 중 소정의 하나를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이 상기 커서를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화면 상의 중앙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인 이동 전화.
  11.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이동 전화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이동 전화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조작 버튼을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 표시 단계에서,
    상기 화면 상에 각 셀의 경계를 나타내는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은 3행×3열의 래티스 상에 정렬된 9개의 제1 버튼과, 1개의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구별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화면을 3행×3열의 9개의 제1 셀로 분할하는 제1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셀들 중 하나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며,
    상기 이동 단계에서, 일차적으로 상기 제1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일차적으로 누른 제1 버튼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셀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제1 셀을 3행×3열의 9개의 제2 셀로 분할하는 제2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며,
    이차적으로 상기 제1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이차적으로 누른 제1 버튼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2 셀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은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버튼과, 1개의 제1 버튼과, 1개의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구별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화면을 복수의 제1 셀로 분할하고,
    하나의 래티스 포인트가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인 제1 그리드 라인을 각각의 제1 셀의 경계로서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계에서, 일차적으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일차적으로 누른 화살표 버튼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의 각각의 래티스 포인트 상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일차적으로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셀을 복수의 제2 셀로 분할하고,
    하나의 래티스 포인트가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인 각각의 제2 셀의 경계로서 제2 그리드 라인을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영역 상에 표시하며,
    이차적으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이차적으로 누른 화살표 버튼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각각의 래티스 포인트 상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및 제2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화살표 버튼들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상기 커서가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정보의 새로운 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상기 커서가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2 그리드 라인없이 상기 제1 그리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인 이동 전화 제어 방법.
  20. 컴퓨터로 하여금 정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이동 전화를 제어하게 하는 이동 전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이동 전화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이동 전화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코드와;
    복수의 조작 버튼을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제3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제4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셀의 각각을 구별 표시하는 제5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화면 상에 커서를 상기 정보의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표시하는 제6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의 복수의 셀 중 하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7 프로그램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19648A 2005-07-12 2006-02-28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KR100736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3066 2005-07-12
JP2005203066A JP4619882B2 (ja) 2005-07-12 2005-07-12 携帯電話およびその遠隔操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79A KR20070008379A (ko) 2007-01-17
KR100736195B1 true KR100736195B1 (ko) 2007-07-06

Family

ID=3707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648A KR100736195B1 (ko) 2005-07-12 2006-02-28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26316B2 (ko)
EP (1) EP1744240B1 (ko)
JP (1) JP4619882B2 (ko)
KR (1) KR100736195B1 (ko)
CN (1) CN100559807C (ko)
DE (1) DE60200600244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8297A1 (en) * 2005-04-08 2008-03-12 World Picom Kabushiki Kaisha Screen information edi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EP1771002B1 (en) * 2005-09-30 2017-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63588A1 (ja) * 2005-11-30 2007-06-07 Fujitsu Limited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GB0618979D0 (en) * 2006-09-27 2006-11-08 Malvern Scient Solutions Ltd Cursor control method
US20080120448A1 (en) * 2006-11-21 2008-05-22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mouse and keyboard using bluetooth
TWM318857U (en) * 2007-04-04 2007-09-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Network communicator with function of presentation controller
JP5003377B2 (ja) * 2007-09-21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マークの位置あわせ方法
US20100257489A1 (en) * 2007-12-25 2010-10-07 Takayuki Sakana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0935278A (en) * 2008-02-04 2009-08-16 E Lead Electronic Co Ltd A cur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384848B2 (ja) * 2008-04-28 2014-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れにおけるポインティング方法
ITFI20080103A1 (it) * 2008-05-22 2009-11-23 Fimi S R L Metodo e apparato per l'accesso alla comunicazione e/o alla scrittura attraverso l'utilizzo di un'interfaccia dedicata e controllo a scansione con feedback visivo di percorso anticipato.
KR101376244B1 (ko) * 2008-09-26 2014-03-2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US8527894B2 (en) * 2008-12-29 2013-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navigation
US10013135B2 (en) 2009-03-20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user interfaces with movable separators
TWI486946B (zh) * 2009-04-01 2015-06-01 Mstar Semiconductor Inc 移動游標的方法及應用其之顯示裝置
FR2944900A1 (fr) * 2009-04-22 2010-10-29 Jean Loup Gillot Nouveaux procedes de selection d'objet sur clavier ecran sans dispositif de pointage
CN102033691B (zh) * 2009-09-30 2013-01-30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光标走位提示方法和装置
US20110225553A1 (en) * 2010-03-15 2011-09-15 Abramson Robert W Use Of Standalone Mobile Devices To Extend HID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US20130139085A1 (en) * 2010-05-23 2013-05-30 Kenichi Ichino Operation Support Computer Program, Operation Support Computer System
EP2403227A1 (en) * 2010-06-30 2012-01-04 MStar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moving a cursor and display apparatus
JP2012014516A (ja) * 2010-07-01 2012-01-19 Mstar Semiconductor Inc カーソル移動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9851810B2 (en) * 2011-03-01 2017-12-26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CN102109963B (zh) * 2011-03-25 2013-03-06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于屏幕上进行光标定位的方法
JP5979560B2 (ja) * 2011-09-09 2016-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洗濯機
US9565156B2 (en) 2011-09-19 2017-0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te acces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ve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8490008B2 (en) 2011-11-10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122672B2 (en) 2011-11-10 2015-09-01 Blackberry Limited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310889B2 (en)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TWI448961B (zh) * 2011-12-16 2014-08-11 Wistron Neweb Corp 電子裝置及其操控方法
CA2789827C (en) 2012-01-19 2017-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US9557913B2 (en)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DE112012000189B4 (de) 2012-02-24 2023-06-15 Blackberry Limited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zum Vorsehen von Wortvorhersagen in Partitionen der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in naher Assoziation mit Kandidaten-Buchstaben
JP5854244B2 (ja) 2012-03-19 2016-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車載情報システム
US9201510B2 (en) 2012-04-16 2015-12-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9292192B2 (en) 2012-04-30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8640252B2 (en) 2012-05-07 2014-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bfuscating entry of sensitive information
KR101337520B1 (ko) * 2012-05-17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207860B2 (en) 2012-05-25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JP5414843B2 (ja) * 2012-05-31 2014-02-1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画像データ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16552B2 (en) * 2012-06-27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US9063653B2 (en) 2012-08-31 2015-06-23 Blackberry Limited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US9524290B2 (en) 2012-08-31 2016-12-20 Blackberry Limited Scoring predictions based on prediction length and typing speed
CN102999224A (zh) * 2012-12-29 2013-03-27 苏州市智诚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精确定位的笔记本电脑玻璃触控板
KR2015006980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36348B2 (en) 2014-03-18 2016-09-0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ursor in an electronic device
EP2985708A1 (en) * 2014-08-15 2016-02-17 Dassault Systèmes Navigation throug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three-dimensional modeled assembly of parts
CN105467874A (zh) * 2015-11-30 2016-04-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插座上电子设备类别的识别方法及装置
CN105630334B (zh) * 2016-02-15 2019-08-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虚拟鼠标移动的方法及装置
CN106326648A (zh) * 2016-08-18 2017-01-11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显示的光标移动方法、装置和医疗设备
CN106325673A (zh) * 2016-08-18 2017-01-11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显示的光标移动方法、装置和医疗设备
CN106293098B (zh) * 2016-08-18 2020-09-11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用于医疗显示的基于手势的光标移动方法及装置
CN106250711B (zh) * 2016-08-18 2019-12-06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显示的光标移动方法、装置和医疗设备
CN106325507B (zh) * 2016-08-18 2019-02-15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显示的光标移动方法、装置和医疗设备
CN106293097A (zh) * 2016-08-18 2017-01-04 青岛海信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显示的光标移动方法、装置和医疗设备
US20190149959A1 (en) 2017-11-16 2019-05-1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talk group memeber to perform an assignment
US11526322B2 (en) * 2018-08-25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techniques for merging content from separate computing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82A (ko) * 2000-08-31 2002-03-07 서평원 다기능 전화기
KR20050073435A (ko) * 2005-06-23 2005-07-13 (주)한아이디 티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1453A1 (de) 1995-06-13 1996-12-19 Andre Knau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mit einer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US6437803B1 (en) * 1998-05-29 2002-08-20 Citrix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local and remote windows into a single desktop environment
JPH10312233A (ja) * 1997-05-13 1998-11-24 Nec Corp 情報処理画面におけるポイント指定方法
US6795055B1 (en) * 2000-05-30 2004-09-21 Agilent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ositioning of cursor on display device
US6545666B1 (en) * 2000-05-30 2003-04-08 Agilent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cursor on display device
JP2002014773A (ja) * 2000-06-28 2002-01-18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
CN1464719A (zh) * 2002-06-06 2003-12-31 翁延鸣 屏幕选择式手机
DE10229068B3 (de) * 2002-06-28 2004-02-05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it Touch-Screen Display
US20040135819A1 (en) 2002-10-28 2004-07-15 Shalong Maa Computer remote control
JP2004184782A (ja) * 2002-12-04 2004-07-02 Footcall Co Ltd 地図情報取得システム、地図情報取得方法、地図情報表示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739078A (zh) * 2003-01-15 2006-02-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屏幕的手持设备
US7409209B2 (en) * 2003-04-24 2008-08-05 Microsoft Corporation Telephony remote control
JP4603778B2 (ja) * 2003-06-20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WO2005041029A2 (en) * 2003-10-24 2005-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 oper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document inspection apparatus
US7624192B2 (en) * 2003-12-30 2009-11-24 Microsoft Corporation Framework for user interaction with multiple network devices
JP2005301908A (ja) * 2004-04-15 2005-10-27 Toshiba Corp 情報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82A (ko) * 2000-08-31 2002-03-07 서평원 다기능 전화기
KR20050073435A (ko) * 2005-06-23 2005-07-13 (주)한아이디 티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4240A1 (en) 2007-01-17
EP1744240B1 (en) 2008-08-27
US20070015534A1 (en) 2007-01-18
CN100559807C (zh) 2009-11-11
DE602006002440D1 (de) 2008-10-09
JP4619882B2 (ja) 2011-01-26
JP2007027851A (ja) 2007-02-01
KR20070008379A (ko) 2007-01-17
CN1897597A (zh) 2007-01-17
US7526316B2 (en)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195B1 (ko)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US6078314A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947556B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 input device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JP4769552B2 (ja) 端末及び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5568604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working window in a computer system
EP1835385A2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57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content conversion for intuitively controlled portable displays
EP2280357A1 (en) Synchronization among plural browsers
JP20151950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211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for, program allow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US20060114224A1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control apparatus, and input control program storage medium
CN110347317A (zh) 一种窗口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交互智能平板
JP4713270B2 (ja) ウエブ閲覧装置及びウエブ情報表示方法
JP5981175B2 (ja) 図面表示装置、及び図面表示プログラム
JP5025450B2 (ja) 文字入力装置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JP200408674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311982A (zh) 信息选取方法及装置
KR101392321B1 (ko)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4435041B2 (ja) 携帯電話およびその遠隔操作方法
JP7196246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方法
KR20090029551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의 네비게이션장치 및 방법
JPH04243422A (ja) メニュー領域の自動拡大方法
CN115657843A (zh) 交互方法、智能指环、交互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971228B2 (ja) コンピュータの遠隔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