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043B1 -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043B1
KR100736043B1 KR1020050075287A KR20050075287A KR100736043B1 KR 100736043 B1 KR100736043 B1 KR 100736043B1 KR 1020050075287 A KR1020050075287 A KR 1020050075287A KR 20050075287 A KR20050075287 A KR 20050075287A KR 100736043 B1 KR100736043 B1 KR 10073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channel
digital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910A (ko
Inventor
강현구
류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043B1/ko
Priority to US11/447,041 priority patent/US20070042732A1/en
Publication of KR2007002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06Arrangements for obtaining constant bandwidth or gain throughout tuning range or ranges
    • H03J3/08Arrangements for obtaining constant bandwidth or gain throughout tuning range or ranges by varying a second parameter simultaneously with the tuning, e.g. coupling bandpass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튜너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필터 모듈과 상기 선택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된 RF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믹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는 상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튜너,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저잡음 증폭기

Description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Tuner and Broadcast signal receiver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튜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320: 튜너
321: 밴드 선택 필터 모듈
323: 가변 저잡음 증폭 모듈
325: 믹서 모듈
327: 밴드 선택 제어 모듈
327a: 제어 전압 생성 모듈
327b: 제어 비트 선택 모듈
329: 저장 모듈
본 발명은 지상파/케이블 용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튜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M 라디오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노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채널 선택시 디지털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밴드 셀렉션 필터를 형성함으로써 튜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위성, 지상파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필요하였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은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해당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튜너(tuner)는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RF 부품으로서, 일정한 전파(또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동조하여 그 전파만을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튜너의 내부를 보면 일반적으로 튜너의 입력 단에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또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존재하고,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면서 잡음을 억제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가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지상파 방송을 수신할 때에는 88MHz~108MHz에 해당하는 FM 라디오 주파수 대역이 지상파/케이블용 방송의 주파수 대역(54MHz~860MHz)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FM 라디오 주파수를 억제하기 위한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튜너(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122)는 안테나(110)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주파수 신호 중에서 45MHz 이하의 주파수를 제거하고, 지상파/케이블 방송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54MHz~860MHz)은 통과시킨다.
FM 노치 필터(notch filter)(124)는 하이 패스 필터(122)를 통과한 신 중에서 FM 라디오 주파수 대역(88MHz~108MHz)을 억제시키는 필터로서, 지상파 방송(NTSC/ATSC) 신호에서만 동작하고 케이블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저잡음 증폭기(126)는 FM 노치 필터(notch filter)(124)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noise)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저잡음 증폭기(126)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3dB 손실(loss) 형태의 감쇠기(128)에 의해 감쇠되고, 제1 채널 선택 필터(130)에 의해 튜닝된다. 제1 채널 선택 필터(130)는 채널 선택 및 이미지 주파수(image frequency)에 대한 리젝션(rejection)을 위하여 아날로그 전압(analog voltage)을 이용하여 감쇠기(128)를 통과한 신호를 튜닝한다. 이 때, 제1 채널 선택 필터(130)에 의한 채널 선택은 복조(demodulator)단(미도시)에서 전달된 채널 정보를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소정의 전압에 따라 가변하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과 인덕터(inductor)를 이용하여 채널에 맞는 공진 주파수를 형 성함으로써 채널 선택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VHF/UHF RF AGC(Auto-Gain Control) 증폭기(132, 136)는 입력된 RF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증폭하고, 제2 및 제3 채널 선택 필터(134, 138)는 각각 관련 채널을 선택하고 이미지 주파수(image frequency)에 대한 리젝션(rejection)을 강화한다. 그리고 나서, 튜너(120)를 통과한 VHF RF 신호 또는 UHF RF 신호는 각각 VHF 다운 믹서(140) 또는 UHF 다운 믹서(150)에 의해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된다. 이 때, 제1 채널 선택 필터(130)를 통과한 신호가 VHF 신호인지 UHF 신호인지에 따라 AGC 증폭기(132, 136)의 전원은 온(on) 또는 오프(off)되어 각각의 AGC 증폭기(132, 136)에 맞는 주파수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즉, VHF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UHF RF AGC 증폭기(136)의 전원 공급은 중단되고, VHF RF AGC 증폭기(132)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VHF 신호가 증폭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튜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RF 튜닝 필터(222)는 안테나(210)를 통하여 수신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채널을 선택하고, 이미지 주파수를 리젝션(rejection)한다. 이를 위해 RF 튜닝 필터(222)는 아날로그 전압으로 튜닝되는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한다.
가변 저잡음 증폭기(224)는 입력된 RF 신호 중 지상파/케이블 방송용 주파수 대역(54MHz~860MHz)에 대한 신호 세기를 증폭시키고 잡음을 억제한다. 노치 필터(notch filter)(226)는 가변 저잡음 증폭기(224)를 통과한 RF 신호 중에서 FM 라디오 주파수 대역(88MHz~108MHz)을 억제시킨다. 이 때, 노치 필터(notch filter)(226)는 지상파 방송(NTSC/ATSC) 신호에서만 동작하고 케이블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믹서(240)는 노치 필터(notch filter)(226)를 통과한 RF 신호와 VCO(23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믹싱하여 중간 주파수를 생성한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종래의 튜너 구조를 보면, 채널 선택시 버랙터(varactor) 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에 의해 튜닝 동작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코일과 콘덴서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가변으로 하고, 또는 코일에 의한 인덕턴스와 콘덴서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조합을 바꿀 수 있게 하여 여러 가지 주파수에 동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전압을 이용하여 제어할 경우에는 지상파/케이블 방송용 주파수 대역(54MHz~860MHz)에 대해 밴드폭(bandwidth) 6MHz에 대한 주파수 밴드 선택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한 이미지 리젝션 비율(image rejection ratio)도 변하게 됨으로써 특정 채널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RF 라디오 신호를 억제하기 위해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하고 있는데, 노치 필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억제되는 주파수 대역의 근접 채널에 영향을 주어 성능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잡음 지수(noise figure)의 증가에 따라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FM 라디오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노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채널 선택시 디지털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밴드 셀렉션 필터를 형성함으로써 튜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필터 모듈과 상기 선택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된 RF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믹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는 상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방송 신호로부터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튜너와, 상기 IF 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IF 신호를 필터링하는 IF 채널 선택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F 신호를 증폭하는 IF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I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IF 하향 믹서 및 상기 변환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튜너로 제공하는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는 상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신호 수신 장치(300)는 안테나(310), 튜너(320), IF 채널 선택 필터(330), IF 증폭기(340), IF 하향 믹서(350) 그리고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360)을 포함한다. 이 때, IF 채널 선택 필터(330), IF 증폭기(340) 그리고 IF 하향 믹서(350)는 I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을 합하여 'IF 신호 처리부'로 칭할 수도 있다.
안테나(310)는 공기 중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도선상의 전기적 변화로 전달해 준다.
튜너(320)는 안테나(31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소정의 채널 선택 정보를 기초로 IF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튜너(320)는 상기 채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RF 신호에 대해서만 IF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IF 채널 선택 필터(330)는 선택된 채널을 제외한 다른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IF 신호를 제거하고 IF 증폭기(340)는 필터링 된 IF 신호를 증폭한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상파/케이블 방송의 경우 선택된 채널의 대역폭은 6M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IF 증폭기(340)는 정교한 전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의 형태로 사용하거나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AGC)의 형태로 사용하여 이득(gain)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F 하향 믹서(IF down mixer)(350)는 IF 신호를 원래의 신호가 담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IF 하향 믹서(350)는 국부 발진 주파수(local oscillating frequency)를 공급하기 위한 IF 국부 발진기(IF Local Osc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360)은 IF 하향 믹서(350)에 의해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 때,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360)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조기는 튜 너(320)에게 채널 선택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튜너(320)는 상기 수신한 채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선택을 위한 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RF 신호만을 IF 신호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튜너(320)는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 가변 저잡음 증폭 모듈(323), 믹서 모듈(325),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 그리고 저장 모듈(329)을 포함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모듈들이 집적 회로로 형성되어 튜너(320)가 하나의 반도체 칩 또는 반도체 패키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31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는 다양한 주파수들이 섞여 있으므로,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은 소정의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만을 증폭할 수 있도록 밴드 패스 필터링을 수행한다. 즉,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채널들 전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만을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은 튜너(320)가 캔 타입(can-type)일 경우에는 수동 소자(passivce componen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튜너(320)가 집적 회로일 경우에는 능동 소자(active componen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은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의 제어에 의해 특정한 채널만을 선택하게 되는데,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36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채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 모듈(329)로부터 추출한다.
저장 모듈(329)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을 위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이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 및 제어 비트(control bit)를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저장한다. 이 때, 제어 비트는 8비트만 사용함으로써 현재 제공되는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을 위한 채널을 모두 표현할 수 있지만, 제어 비트가 반드시 8비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공되는 방송 채널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비트 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표 1]은 저장 모듈(329)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1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2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3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4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5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6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7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8
Figure 112005045173414-pat00009
Figure 112005045173414-pat00010
Figure 112005045173414-pat00011
Figure 112005045173414-pat00012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이, 채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 즉, 제어 비트를 저장 모듈(329)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비트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로 제공한다.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은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로부터 제공된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게 된다.
즉, 디지털 정보에 의해 특정한 채널만이 선택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FM 라디오 주파수를 억제하기 위한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미지 주파수(image frequency)를 억제하여 이미지 리젝션 비율(image rejection ratio)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변 저잡음 증폭 모듈(323)은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에 의해 필터링 된 RF 신호를 잡음까지 증폭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증폭하게 된다. 이 때, 이득(gain) 조절도 가능하다.
믹서 모듈(325)은 가변 저잡음 증폭 모듈(323)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한다. 이 때, 믹서 모듈(325)은 이미지 리젝션 비율(Image Rejection Ratio)을 크게 하기 위하여 이미지 리젝션 다운 믹서(Image Rejection Down Mixer)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밴드 선택 제어 모듈(327)은 제어 전압 생성 모듈(327a)과 제어 비트 선택 모듈(327b)을 포함한다.
제어 비트 서택 모듈(327b)은 수신한 채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비트를 저장 모듈(329)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비트를 제어 전압 생성 모듈(327a)로 제공한다.
도 5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어 비트 선택 모듈(327b)이 8비트의 제어 비트(327c)를 제어 전압 생성 모듈(327a)로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전압 생성 모듈(327a)은 제어 비트 선택 모듈(327b)로부터 수신한 제어 비트들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시킨 후, 이를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전압 생성 모듈(327a)은 제어 비트 각각에 대한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 후, 저항을 통하여 소정의 레벨을 갖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압은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로 제공되어 통과 대역을 제어하는데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에 버랙터(varator)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생성된 전압은 상기 버랙터(varator)의 입력으로 제공되어 커패시턴스를 조절함으로써 통과 대역을 제어하는데에 이용되고, 밴드 선택 필터 모듈(321)이 능동 소자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생성된 전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컷 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rising cut-off frequency, falling cut-off frequency)를 조절함으로써 통과 대역을 선택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지상파/케이블 용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채널 선택시 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수신된 RF 방송 신호로부터 라디오 주파수 신호가 선택되지 않도록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필터 모듈;
    상기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된 RF 방송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믹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는 상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튜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및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튜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은,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선택하는 제어 비트 선택 모듈; 및
    상기 선택된 디지털 정보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 전압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튜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는 8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튜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튜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들은 집적 회로로 형성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제공되는 튜너.
  7.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방송 신호로부터 라디오 주파수 신호가 선택되지 않도록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튜너;
    상기 IF 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IF 신호를 필터링하는 IF 채널 선택 필터;
    상기 필터링된 IF 신호를 증폭하는 IF 증폭기;
    상기 증폭된 I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IF 하향 믹서; 및
    상기 변환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튜너로 제공하는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는 상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필터 모듈;
    상기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된 RF 방송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믹서 모듈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상기 디지털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및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선택 제어 모듈은,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선택하는 제어 비트 선택 모듈; 및
    상기 선택된 디지털 정보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 전압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는 8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집적 회로로 형성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제공되는 방 송 신호 수신 장치.
KR1020050075287A 2005-08-17 2005-08-17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073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87A KR100736043B1 (ko) 2005-08-17 2005-08-17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11/447,041 US20070042732A1 (en) 2005-08-17 2006-06-06 Tuner and method for selecting a channel using band-selection filter and broadcast signal receiver including the tu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87A KR100736043B1 (ko) 2005-08-17 2005-08-17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10A KR20070020910A (ko) 2007-02-22
KR100736043B1 true KR100736043B1 (ko) 2007-07-06

Family

ID=3776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287A KR100736043B1 (ko) 2005-08-17 2005-08-17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42732A1 (ko)
KR (1) KR100736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5820A3 (en) * 2000-12-05 2004-04-14 Zarlink Semiconductor Limited Radio frequency tuner
US20100061432A1 (en) * 2008-09-11 2010-03-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duced cost saw-less catv rf tuner circuit for use in a cable modem
US9496620B2 (en) 2013-02-04 2016-11-15 Ubiquiti Networks, Inc. Radio system for long-range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US8836601B2 (en) 2013-02-04 2014-09-16 Ubiquiti Networks, Inc. Dual receiver/transmitter radio devices with choke
US8219059B2 (en) * 2009-11-13 2012-07-10 Ubiquiti Networks, Inc. Adjacent channel optimized receiver
KR101350583B1 (ko) * 2012-05-31 201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튜닝 장치 및 방법
US9397820B2 (en) 2013-02-04 2016-07-19 Ubiquiti Networks, Inc. Agile duplexing wireless radio devices
US9543635B2 (en) 2013-02-04 2017-01-10 Ubiquiti Networks, Inc. Operation of radio devices for long-range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US8855730B2 (en) 2013-02-08 2014-10-07 Ubiquiti Networks, Inc.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stacked array antenna
DE102013004673A1 (de) * 2013-03-19 2014-09-25 Tesat-Spacecom Gmbh & Co.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stärkermoduls eines Satelliten
ES2767051T3 (es) 2013-10-11 2020-06-16 Ubiquiti Inc Optimización de sistema de radio inalámbrica mediante análisis de espectro persistente
WO2015134753A1 (en) 2014-03-07 2015-09-11 Ubiquiti Networks, Inc. Cloud devic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9325516B2 (en) 2014-03-07 2016-04-26 Ubiquiti Networks, Inc. Power receptacl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s for networked living and work spaces
EP3120642B1 (en) 2014-03-17 2023-06-07 Ubiquiti Inc. Array antennas hav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US9941570B2 (en) 2014-04-01 2018-04-10 Ubiquiti Networks, Inc. Compact radio frequency antenna apparatuses
KR102263224B1 (ko) * 2015-06-03 2021-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7851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756285A (zh) * 2019-01-29 2019-05-14 云南大学 基于音频声学特征的非授权广播信号监测装置及监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0A (ko) * 1999-08-18 2001-03-05 정선종 룩업 테이블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광대역 주파수 자동 채널 선택용 디지털 텔레비전 튜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513A (en) * 1984-05-31 1986-12-30 Berko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television signals
JP3501751B2 (ja) * 2000-11-20 2004-03-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の駆動回路、及び該回路を備える表示装置
JP4543557B2 (ja) * 2001-01-31 2010-09-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US6925291B2 (en) * 2002-09-27 2005-08-02 Thomson Licensing S.A. Electronic alignment system for a television signal tuner
US7894790B2 (en) * 2004-04-02 2011-02-22 Broadcom Corporation Dual conversion receiver with reduced harmonic interference
US7251466B2 (en) * 2004-08-20 2007-07-31 Xceive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including an integrated band selection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0A (ko) * 1999-08-18 2001-03-05 정선종 룩업 테이블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광대역 주파수 자동 채널 선택용 디지털 텔레비전 튜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42732A1 (en) 2007-02-22
KR20070020910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043B1 (ko)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0736045B1 (ko)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8428536B2 (en) Low-cost receiver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JPH0678227A (ja) 放送信号の受信方法及び装置
CN101931426A (zh) 通讯和广播接收机前置可调谐滤波器的电路和调谐方法
US6795128B2 (en) Television tuner capable of receiving FM broadcast
JPH11225295A (ja) 受信機
JP4235560B2 (ja) チューナ用の自動利得制御
US7672654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a broadcasting wave
JP2006121710A (ja) 二重帯域チューナー
US6876401B2 (en) FM-broadcast-receivable television tuner for preventing adjacent-channel interference
JP2007036445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011511543A (ja) 制御可能な減衰段を有するifフィルタを備えるチューナおよび個別のチューナを備える受信機
JP2009016899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CN107612515B (zh) 电视调谐器芯片的放大器及其方法
JPH0730456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003283352A (ja) 高周波受信装置
US20170026068A1 (en) Receiving device
JP2005203935A (ja) チューナ装置とこれに用いる集積回路
JP3224991B2 (ja) チューナ回路
KR100199879B1 (ko) 텔레비전 튜너의 rf증폭 공용화장치
JP2006217013A (ja) Cofdm変調信号受信機
JP2009177579A (ja) 受信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半導体集積回路
JP2007142712A (ja) 高周波装置
JP2009206732A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