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224B1 -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224B1
KR102263224B1 KR1020150078809A KR20150078809A KR102263224B1 KR 102263224 B1 KR102263224 B1 KR 102263224B1 KR 1020150078809 A KR1020150078809 A KR 1020150078809A KR 20150078809 A KR20150078809 A KR 20150078809A KR 102263224 B1 KR102263224 B1 KR 10226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signal
broadcast
broadcast receiving
de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717A (ko
Inventor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24B1/ko
Priority to EP16803619.2A priority patent/EP3254460B1/en
Priority to AU2016273461A priority patent/AU2016273461B2/en
Priority to PCT/KR2016/004840 priority patent/WO2016195264A1/en
Publication of KR2016014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7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modulating an analogue carrier signal to encode digital information or demodulating it to decode digital information, e.g. ADSL or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수신장치는,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와;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디모듈레이터는,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따라 중계장치의 수신 밴드가 변경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중계장치에 대한 전압 제어와 커맨드의 생성 및 출력을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하므로, 타이밍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게 되어, 보다 개선된 시청 환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다.
방송수신장치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방송수신장치는 처리된 방송신호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된 이 방송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텔레비전(TV)이 있고, 후자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방송수신장치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송수신장치가 방송국의 방송 장비로부터 직접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고, 방송수신장치가 유선 접속된 RF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가 위성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위성 안테나는 지구의 정지궤도 상에 위치한 위성으로부터 무선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방송신호는 지상 중계장치를 통해 유선으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는 이렇게 위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되게 한다.
국제적 표준 규격인 다이젝(DiSEqC: Digital Satellite Equipment Control)은 하나의 방송수신장치가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지상 중계장치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되는 저잡음변환기(LNB: 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와, 위성 선택을 위한 다이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신호 수신을 위해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지상 중계장치로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방송수신장치에는 LNB 전압 제어를 위한 LNB IC가 별도로 마련된다. LNB IC는 채널 선택에 따라 LNB 전압을 변경하고, 이후 규정된 시간 이내에 튜너 IC를 통해 수신된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다이젝 커맨드가 지상 중계장치로 출력되게 된다.
그런데, LNB 전압 변경과 다이젝 커맨드 출력 간의 타이밍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는데 반해, 독립된 구성인 LNB IC와 튜너 IC가 각각 별도로 제어되는 기존의 방송수신장치에서는 규정된 타이밍을 만족시키기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방송수신장치 내에 장착되는 PCB 사이즈가 점차 소형화되고, 내부 버스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이밍을 정확하게 준수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와;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디모듈레이터는,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따라 중계장치의 수신 밴드가 변경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구성인 디모듈레이터에 의해 LNB 전압이 설정 및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되므로, 타이밍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디모듈레이터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커맨드에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타이밍 제어의 오류로 인한 튜닝 실패의 리스크를 줄이고, 시청자의 시각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터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채널 정보가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시청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중계장치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하는 스위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중 원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중계장치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된 저잡음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저잡음변환기는,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를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할 수 있다. 이에,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방송신호장치에서 수신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톤 신호에 따라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다이젝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중계장치 및 방송수신장치 간에 커맨드가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스위치 박스는, 단일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포트가 마련되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일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SatCR에도 커맨드의 송신이 가능하다.
디모듈레이터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일 수 있다. 이에, I2C 및 다이젝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는,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RF 튜너를 더 포함하며, 디모듈레이터는 RF 튜너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에 LNB 전압 설정 기능을 추가하여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은,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디모듈레이터가,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중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중계장치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구성인 디모듈레이터에 의해 LNB 전압이 설정 및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되므로, 타이밍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커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와; 변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커맨드에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타이밍 제어의 오류로 인한 튜닝 실패의 리스크를 줄이고, 시청자의 시각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커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채널 정보가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시청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중계장치의 스위치 박스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중 원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중계장치의 저잡음변환기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를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방송신호장치에서 수신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톤 신호에 따라, 저잡음변환기에 의해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이젝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중계장치 및 방송수신장치 간에 커맨드가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디모듈레이터는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일 수 있다. 이에, I2C 및 다이젝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단계와; 튜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에 LNB 전압 설정 기능을 추가하여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방송수신장치로 중계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는 위성방송 시스템은, 중계장치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된 저잡음변환기와;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스위치 박스를 포함하고, 방송수신장치는,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와;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디모듈레이터는,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중계장치로 출력하고, 스위치 박스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구성인 디모듈레이터에 의해 LNB 전압이 설정 및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되므로, 타이밍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디모듈레이터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변 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커맨드에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타이밍 제어의 오류로 인한 튜닝 실패의 리스크를 줄이고, 시청자의 시각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터는,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채널 정보가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시청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저잡음변환기 는,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 를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할 수 있다. 이에,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방송신호장치에서 수신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톤 신호에 따라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다이젝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중계장치 및 방송수신장치 간에 커맨드가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스위치 박스는, 단일 케이 블을 통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포트가 마련되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일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SatCR에도 커맨드의 송신이 가능하다.
디모듈레이터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일 수 있다. 이에, I2C 및 다이젝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는,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RF 튜너를 더 포함하며, 디모듈레이터는 RF 튜너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에 LNB 전압 설정 기능을 추가하여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와 도 3은 도 1의 위성방송 시스템이 구현된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신호의 처리 및 전달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22KHz 톤신호를 이용하여 정의된 다이젝 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톤 버스트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다이젝 커맨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튜너 칩 및 메인 ScC가 PCB에 실장된 형태로 구현된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9의 튜너 칩 내의 디모듈레이터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기존의 LNB IC가 별도로 마련된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중계장치로 제어 커맨드가 출력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 커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신호의 왜곡이 개선된 경우를 예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모듈레이터에 LNB 컨트롤 블록이 포함된 경우 중계장치로 제어 커맨드가 출력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과정에 따라 출력되는 커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부분은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방송 시스템(1)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위성 중계 기반의 신호전달 구조에 따르는 바, 방송신호를 통신 위성(300)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지상 중계장치(200)와, 지상 중계장치(200)로부터 방송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방송수신장치(100)는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으로 표현하나, 셋탑박스(set-top box, STB)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위성(300)은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위성 내부에서 증폭/주파수 변환하여 지상으로 재송신한다.
예를 들어, 방송국(400)의 방송 송출장비 즉, 송신 안테나(500)로부터 출력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는 상향 링크(업링크, uplink) 신호로 변환되어 통신 위성(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위성(300)은 상향 링크된 RF 신호를 수신하면, 이 상향 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다운링크, downlink) 신호를 방송수신장치(100) 측의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 위성(300)에는 상향 링크된 RF 캐리어를 소정 주파수 대역 내에서 증폭하고, 이 RF 주파수들을 GHz 대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위성 중계기 즉, 트랜스폰더(transponder)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수신장치(100)에 연결된 지상 중계장치(200)(이하, 중계장치 라고도 한다)는 지구의 정지궤도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위성(300)으로부터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중계장치(200)는,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위성 접시(satellite dish) 즉, 안테나(antenna, ANT)를 통해 통신 위성(300)으로부터의 하향 링크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 링크된 신호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중계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한다. 방송수신장치(100)가 텔레비전인 경우 자체적으로 방송영상을 표시하며, 방송수신장치(100)가 셋탑박스인 경우 처리한 영상신호를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출력한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위성방송 시스템(1)이 구현된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1)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101, 102), 위성 방송신호를 중계하는 지상 중계장치(200), 위성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들(301, 302, 30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상 중계장치(200)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된 저잡음변환기(LNB)(210)와 스위치 박스(220)(이하, 스위치 디바이스 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저잡음변환기(210)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되어, 위성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신호(예를 들어, Ku-Band의 경우, 10,700 내지 12,700 MHz)를 방송수신장치(101, 102)에서 처리 가능한 1GHz 대의 신호(예를 들어, 650 내지 2,150 MHz 범위 내의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저잡음변환기(210)는 위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 즉,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스위치 박스(220)는 후술하는 디모듈레이터(도 4의 11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압 레벨(예를 들어, 13V 또는 18V)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위성(301, 302, 303)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수직편파(vertical polarization)와 수평편파(horizontal polarization)가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 박스(220)는 수직편파 또는 수평편파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위성(301, 302, 303)으로부터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압 레벨에 따른 방송신호(수평편파(H) 또는 수직편파(V))의 선택적 수신 즉, 스위칭을 H/V polarisation switching 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박스(220)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위성을 선택하는 위성 자동 선택기 예를 들어, 다이젝 스위치(DiSEqC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박스(220)가 단일 케이블을 사용하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채널 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 예를 들어, SatCR(Satellite Channel Router, Satellite Control Router 또는 Single Cable Router 라고도 한다)로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방송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텔레비전(TV)(101)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102)로 구현되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3)에 영상/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1, 102)는 방송국과 같은 신호공급원(image source) 즉. 헤드엔드(headend)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는, 방송수신장치(101, 102)가 통신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위성 방송수신장치로 구현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방송수신장치(101, 102)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의 종류가 위성 방송신호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방송수신장치(101, 102)는 다양한 형식의 외부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테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1, 102)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을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1, 102)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등을 통해서도 수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신호공급원은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신호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3)는 방송수신장치(102) 즉, 셋탑박스를 통해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VOD와 같은 서비스를 더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0)가, 예를 들면 컴퓨터 본체에 접속된 모니터 등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기설정된 통신 규약(protocol)에 기초하여 중계장치(200)와 통신하는 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command)를 중계장치(200)에 전송하고,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여 방송신호를 중계장치(200)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 및 중계장치(200)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규약 또는 통신 포맷은 다양한 종류의 규격이 적용될 수 있는데, 양자간의 통신은 적어도 방송수신장치(100) 및 중계장치(200) 쌍방이 모두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100)와 중계장치(200) 간의 통신 규격으로서 다이젝(DiSEqC: Digital Satellite Equipment Control)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시스템(1)이 하나의 중계장치(200)에 대해 하나의 방송수신장치(100)가 접속되어 있는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1)이 하나의 중계장치(200) 및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를 포함하는 형태도 구현 가능한 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도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송수신장치(100)에서 방송신호의 처리 및 전달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들의 방송수신장치(100)는 앞선 도 1 내지 도 3의 방송수신장치(100, 101, 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방송수신장치(100, 101, 102)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 모듈(110), 튜너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140),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0),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60), 방송수신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 및 방송수신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튜너 모듈(110)은 RF 튜너(tuner)(111)와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RF 튜너(111)는 위성(300)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신호 즉,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중계장치(200)를 통해 유선으로 수신한다.
RF 튜너(111)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할 수 있다. RF 튜너(111)는 예를 들어, 믹서, 위상고정루프(PPL: Phase Locked Loop), 발진기를 포함하는 RF I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F 튜너(111)는 방송신호를 발진주파수와 혼합하고 중간주파수로 변환 즉, 다운 컨버팅(down-converting) 및 증폭하여 디모듈레이터(112)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모듈레이터(112)로 출력되는 신호는 필터링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신호 또는 8PSK(octal phase shift keying) 변조 신호인 것을 일례로 한다.
디모듈레이터(112)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라고도 함) 형태의 신호로 출력한다. 디모듈레이터(112)는 예를 들어, QPSK 변조 신호로서 I 채널과 Q 채널의 신호들 즉, IP, IN, QP, QN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TS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모듈레이터(112)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채널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신호를 중계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방송수신장치(100)에는 RF 튜너(111)와 디모듈레이터(112)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튜너 모듈(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단일 구성 예를 들어, 싱글 칩으로 구현된 튜너 모듈(110)은 방송수신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RF 튜너(111)와 디모듈레이터(112)가 각각 튜너 칩 및 디모듈레이터 칩으로 구성되어, PCB 상에 실장되게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20)는 튜너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이 표시 및 출력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120)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각종 부가 데이터와 같은 각 특성별 신호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21), TS 신호를 방송수신장치(10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122),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코더(122)는 예를 들어,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신호처리부(120)는 방송수신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며, 메인 SoC는 후술하는 제어부(180)를 구현하는 일례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수신장치(100)에는 튜너 모듈(110)에 대응하는 튜너 칩 및 메인 ScC가 실장된 PCB가 마련된다.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방송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도시되지 아니함)과, 패널(도시되지 아니함)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다양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트와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지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여기서, 터치입력은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등을 포함한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가 셋탑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D-sub 케이블 등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도 3의 103)로 출력하는 A/V 출력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출력부는 디스플레이장치(103)의 A/V 입력부와 연결되어 영성/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입력부(140)는 방송수신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며, 방송수신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방송수신장치(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방송수신장치(100)에 전송한다.
키패드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방송수신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제어부(18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8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방송수신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110 내지 17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60), 제어부(18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방송수신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통신부(160)는 입력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6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유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 1 내지 N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0)는 방송수신장치(100) 및 입력장치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케이블 등의 유선으로 더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100) 본체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방송수신장치(100)의 커넥터(도시되지 아니함)에 착탈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에서 통신부(160)는 유선 케이블에 의해 중계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다이젝 인터페이스(DiSEqC interface)를 포함한다.
다이젝 프로토콜은 각 버전 별로 기능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DiSEqC 1.0은 4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을 허용한다. DiSEqC 1.1은 16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 즉, 스위칭을 허용한다. DiSEqC 1.2는 16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을 허용하며, 위성 모터(도시되지 아니함)의 싱글축의 제어를 허용한다. 여기서, 위성 모터(도시되지 아니함)는 중계장치(200)의 위성 안테나의 오리엔테이션을 조정하도록 중계장치(200)에 마련된 구성이며, DiSEqC 1.2는 방송수신장치(100)가 방송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위성을 선택하도록 중계장치(200)의 위성 안테나의 오리엔테이션을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DiSEqC 2.0은 DiSEqC 1.0 기반에서 중계장치(200) 및 방송수신장치(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DiSEqC 2.1은 DiSEqC 1.1 기반에서 중계장치(200) 및 방송수신장치(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DiSEqC 2.2는 DiSEqC 1.2 기반에서 중계장치(200) 및 방송수신장치(1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즉, DiSEqC 2.x 버전 하에서는 방송수신장치(100) 및 중계장치(200) 상호간에 서로 커맨드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중계장치(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수신장치(100)의 디모듈레이터(112)에 의해 소정 전압 레벨에 따른 커맨드가 생성 및 출력되며, 해당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으로 이루어진 다이젝 커맨드가 된다.
다이젝 커맨드는 디지털 방식으로 규정이 되어 있는데,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0'과 '1'을 아날로그 신호인 22KHz 톤(Tone)신호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22KHz 톤신호를 이용하여 정의된 다이젝 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톤 버스트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다이젝 커맨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0' 데이터 비트(bit) 혹은 '1' 데이터 비트를 나타내도록 톤 신호를 만들고 이들의 조합에 의한 다이젝 커맨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비트들로 구성된 다이젝 커맨드는 케이블을 통해 중계장치(200)로 송신됨으로써, 스위치 박스(220)에 의한 위성 소스의 전환 즉, H/V polarisation switching 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이젝 데이터는 H/V polarisation switching 을 위해 13V와 18V 중 어느 하나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신호에 부가되는 것으로(superimposed), 위성 선택을 위해 연속적인 22 kHz 톤(continuous 22 kHz tone) 신호 사이에 삽입되며, 다이젝 커맨드 버스트(burst) 전후에 각각 짧은 갭(short quiet gaps)이 제공된다. 다이젝 메시지(DiSEqC messages)는 하나 이상의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톤 버스트(Tone-Burst)는 22 kHz 캐리어(carrier)를 사용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atellite Position A를 선택하기 위한 Unmodulated 와 Satellite Position B를 선택하기 위한 Modulated 에 각각 대응하는 2가지 타입의 톤 버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 채널에 대응되는 수신 대상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즉, 하이 밴드(High band)(예를 들어, 11.7 내지 12.75GHz) 또는 로 밴드(Low band)(예를 들어, 10.7 내지 11.7GHz)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톤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톤 신호에 의해 LNB(210)에서 수신 밴드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중계장치(100)로 출력되는 다이젝 커맨드는 LNB 전압이 결정(예를 들어, 18V에서 13V로 변경)되고, 15ms 후에 다이젝 스위치 커맨드(Typical 54ms)가 출력되고, 15ms 후에 톤 버스트 커맨드(Typical 12.5ms)가 출력되며, 그 15ms 이후에 22k 톤 신호가 출력되는 포맷으로 규정된다. 도 8의 경우 LNB 전압이 18V에서 13V로 변경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응답하여 LNB 전압이 13V 에서 18V 로 변경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다이젝 커맨드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에서는 중계장치(200)의 스위치 박스(220)가 단일 케이블을 사용하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채널 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 즉, 세시알(SatCR)로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바, 채널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 출력되는 다이젝 커맨드는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채널 전환 시 LNB 전압이 13V에서 18V 전환되고, 4~20ms 이후에 변경된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다이젝 커맨드(DiSEqC Command)가 출력되고, 2~40ms 내에 8V에서 13V로 전압 변경이 이루어 진다. 여기서, SatCR은 복수의 방송수신장치가 단일 케이블(unicable 또는 single cable)을 사용하여 중계장치(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므로, 해당 방송수신장치(또는 튜너)를 식별하는 정보 즉, 포트 넘버가 포함된 커맨드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커맨드 출력이 완료되면, 다른 방송수신장치로부터의 커맨드 출력이 가능하도록 전압 레벨을 18V에서 13V로 변경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전원공급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0)의 각 구성들(110 내지 160 및 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70)는 인가되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DC 전원을 소정 레벨로 레귤레이팅하여 방송수신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들(110 내지 160 및 18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드형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구성할 수 있고, DC 전원을 소정 레벨로 감압하여, 방송수신장치(100) 내부 각부(110 내지 160 및 180)의 정격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회로 등으로 구성된 전원 변환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방송수신장치(100)에서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 디모듈레이터(112)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13V 또는 18V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전원이 공급되며, 해당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가 선택적으로 수신된다.
제어부(18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방송수신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7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 모듈(110) 및 신호처리부(120)가 처리하는 방송신호의 수신/분리/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를 포함한 사용자입력부(1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방송수신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원공급부(170)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방송수신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ROM) 및 방송수신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인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으로부터 램으로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컴(Micro Computer, MICOM)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롬에 저장된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램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방송수신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방송수신장치(100)의 제어부(180)가 단일 프로세서 예를 들어 CPU로 구현되는 경우, CPU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디코딩, 디모듈레이팅,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에 대한 제어, 입력장치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에 대한 대응, 통신부(160)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등을 실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방송수신장치(100)가 모니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방송수신장치(100)가 디지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G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지원되는 특정 기능, 예를 들어, 채널 선택에 응답하여 중계장치(200)로 커맨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전용 프로세서로서 마련되는 칩(chip)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를 구현하는 일례인 프로세서는 방송수신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도 9의 600)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620)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메인 SoC(620)는 방송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수신장치(100)에는 튜너 모듈(110)에 대응하는 튜너 칩(610)과, 신호처리부(120) 및 제어부(180)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ScC(620)가 실장된 PCB(600)가 마련된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튜너 칩(610) 및 메인 ScC(620)가 PCB(600)에 실장된 형태로 구현된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9의 튜너 칩(610) 내의 디모듈레이터(112)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메인 SoC(620)에 마련된 제어부(1800)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채널 변경과 같은 소정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튜너 칩(610)에 마련된 디모듈레이터(112)로 채널 변경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디모듈레이터(112)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내부 버스(bus)를 이용한 I2C 제어 신호(control signal)가 된다.
디모듈레이터(112)는, 제어부(180)에 의해 출력된 채널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 즉, 13V 또는 18V을 가지며 해당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케이블을 통해 중계장치(200)로 출력한다. 중계장치(200)로 출력되는 커맨드는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이젝 커맨드(DiSEqC command)의 포맷을 가지며, 톤 버스트와 다이젝 메시지가 타임 갭들(time-gaps)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수직편파(Vertical)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선택된 경우, 다이젝 커맨드를 포함하는 13V의 신호가 디모듈레이터(112)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이젝 커맨드에는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 즉, 하이 밴드 또는 로 밴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중계장치(200)는 수신된 다이젝 커맨드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위성(300)으로부터 해당 밴드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방송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RF 튜너(110)로 송신된다. 그리고, RF 튜너(110)에서 튜닝된 방송신호는 디모듈레이터(120)를 통해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로 복조되어 메인 Soc(620)에 마련된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디모듈레이터(112)에는 중계장치(200)의 LNB 전압을 제어하는 컨트롤 블록(112a)이 추가된다.
LNB 컨트롤 블록(112a)은 사용자의 채널 선택과 같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제어부(180)로부터 제어 신호(I2C control signal)가 수신되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는 신호가 중계장치(200)로 출력되도록 한다. LNB 컨트롤 블록(112a)은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중계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중계장치(200)가 위성으로(300)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스위칭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B 컨트롤 블록(112a)은 아날로그 신호인 22kHz 톤 신호를 이용한 다이젝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와 PWM 컨트롤러(ctrl)를 포함한다. 이렇게 생성되는 다이젝 커맨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AC에 의해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0' 데이터 비트 혹은 '1' 데이터 비트의 조합으로서 생성되며, PWM 컨트롤러에 의해 펄스폭이 제어된다. 여기서, LNB 컨트롤 블록(112a)에는 제어부(1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22kHz 톤 신호를 감지하는 톤 감지기(Tone detector)가 마련된다.
LNB 컨트롤 블록(112a)은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Vin)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Voltage Reference (Ref.)), 전압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조정 즉, 레귤레이트하는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 조정된 전압을 가지는 다이젝 커맨드를 중계장치(200)로 출력하는 출력 게이트(Gate)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 게이트를 통해 출력되는 다이젝 커맨드의 전압은, 중계장치(200)의 스위치 박스(220)에 의해 H/V polarisation switch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13V와 18V 중 하나의 레벨을 가지게 된다. 전류 리미트 선택기(Current Limit Select)는 출력 게이트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이 리니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13V와 18V 중 대응되는 하나의 값으로 조정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디모듈레이터(112)는 RF 튜너(110)으로부터 I 채널의 신호들 IP, IN 및 Q 채널의 신호들 QP, QN을 각각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ADC(I) 및 ADC(Q)와, ADC(I) 및 ADC(Q)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도록 원하는 신호(desired signal)를 선택하는 프런트 엔드(Front End)와, QPSK 또는 8PSK로 변조된 방송신호가 복조되도록 프런트 엔드의 출력 신호를 4가지 또는 8가지의 성상도(Constellation)와 매핑하는 매퍼(mapper)(X(A)PSK)와, 복조된 신호에 대해 일정 크기가 되도록 진폭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와, 비더피(Viterbi) 복호와 RS 복호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정정기(FEC: Forward Error Correction)와, 최종적으로 복조된 신호로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출력하는 TS 인터페이스(TS Interface)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모듈레이터(112)에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방송수신장치(100)의 내부 버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I2C 컨트롤러(I2C ctrl)와, 중계장치(200)를 포함한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이젝(DiSeqC)이 지원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는 도 10과 같이 디모듈레이터(112) 내부에 LNB 컨트롤 블록(112a)이 마련됨에 따라, 단일 구성인 디모듈레이터(112)에서 선국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즉, 수평/수직(Horizontal/Vertical) 편파 및 하이/로 밴드(High/Low band)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I2C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하는 다이젝 커맨드를 생성하여 중계장치(2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평/수직 편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I2C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LNB IC(LNB 프로세서)가 마련된 경우와 비교하여, LNB 전압 변경과 다이젝 커맨드 출력 간의 타이밍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므로, 규정된 타이밍을 준수하여 커맨드를 중계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기존의 LNB IC가 별도로 마련된 방송수신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방송수신장치(10)로부터 중계장치(20)로 제어 커맨드가 출력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 커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송수신장치(10)는 내부에 마련된 PCB(60)상에 RF 튜너(61)와 디모듈레이터(62)를 포함하는 튜너 칩과, 중계장치(20)에 공급되는 LNB 전압을 조정하는 LNB 프로세서(이하, LNBP 라고도 한다)(63)와, 메인 SoC(64)가 실장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파형을 가지는 다이젝 커맨드 즉, DiSeqC waveform을 위한 I2C 커맨드 즉, I2C 컨트롤 신호가 메인 SoC(64)로부터 발생되어 디모듈레이터(62)로 출력될 수 있다(701). 여기서, I2C 컨트롤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I2C 커맨드가 발생되고 110ms의 딜레이 이후(702), 메인 SoC(64)로부터 LNBP(63)로 LNB 전원 설정을 위한 I2C 커맨드 즉, I2C 컨트롤 신호가 출력된다(703). LNBP(63)는 수신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선국 채널에 대응하도록 13V 또는 18V의 전압 레벨로 LNB 전원을 설정할 수 있다(704).
LNB 전원이 설정되고 15ms 후, 디모듈레이터(62)로부터 LNBP(63)를 통해 중계장치(20)로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될 수 있다(705). 여기서, 출력되는 다이젝 커맨드는 설정된 LNB 전원 레벨의 신호에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다이젝 데이터가 부가된 것으로(superimposed), 예를 들어 톤 버스트 신호와 22kHz 톤 신호가 소정 타임 갭을 두고 연속하여 출력되는 형태를 가진다.
중계장치(20)에서는 705에서 출력된 다이젝 커맨드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성(30) 즉, outer satellite unit 에 대한 설정(setting)을 완료한다(706). 즉, 전압 레벨에 대응한 H/V polarisation switching 및 선국 채널에 따른 Low/High Band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당 설정에 대응하여 방송신호가 중계장치(2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로 수신되며, RF 튜너(61)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선국 채널에 대응하여 튜닝한다(707).
여기서, 도 12의 704와 705의 동작 주체가 각각 LNBP(63)와 디모듈레이터(62)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타이밍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LNBP(63)의 전압 레벨 설정 타이밍 t2과 디모듈레이터(62)로부터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되는 타이밍 t1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중계장치(20)에서는 이렇게 오류가 발생된 제어 커맨드를 인식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송수신장치(10)는 도 12의 전압 설정 및 다이젝 커맨드의 출력을 다시 시도하도록 규정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채널 선국과 튜너(61)의 튜닝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방송수신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일시적/간헐적으로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늦게 표시되는 등의 튜닝 실패(tuning fail)을 야기하여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모듈레이터(112)에 LNB 컨트롤 블록(112a)이 포함된 경우 중계장치(200)로 제어 커맨드가 출력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과정에 따라 출력되는 커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에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파형을 가지는 다이젝 커맨드를 위한 I2C 커맨드와 LNB 전원 설정을 위한 I2C 커맨드가 동시에 메인 SoC(620)로부터 발생되어 디모듈레이터(112)로 출력될 수 있다(801). 여기서, I2C 컨트롤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디모듈레이터(112)의 LNB 컨트롤 블록(112a)은 수신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선국 채널에 대응하도록 13V 또는 18V의 전압 레벨로 LNB 전원을 설정할 수 있다(802).
LNB 전원이 설정되고 15ms 후, 디모듈레이터(112)로부터 다이렉트로 중계장치(200)로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될 수 있다(803). 여기서, 출력되는 다이젝 커맨드는 설정된 LNB 전원 레벨의 신호에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다이젝 데이터가 부가된 것으로(superimposed), 예를 들어 톤 버스트 신호와 22kHz 톤 신호가 소정 타임 갭을 두고 연속하여 출력되는 형태를 가진다.
중계장치(200)에서는 705에서 출력된 다이젝 커맨드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성(300) 즉, outer satellite unit 에 대한 설정(setting)을 완료한다(804). 즉, 전압 레벨에 대응한 H/V polarisation switching 및 선국 채널에 따른 Low/High Band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당 설정에 대응하여 방송신호가 중계장치(20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0)로 수신되며, RF 튜너(111)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선국 채널에 대응하여 튜닝한다(805).
도 14에서는 802와 803의 동작 주체가 디모듈레이터(112)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타이밍 제어가 규정을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5과 같이 전압 레벨 설정 타이밍 t3와 다이젝 커맨드가 출력되는 타이밍 t4이 15ms 이하의 규정에 부합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902). 여기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은 채널 변경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단계 S902에서 수신된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디모듈레이터(11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904). 여기서, 제어부(180)로부터 디보듈레이터(112)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I2C 컨트롤 신호이며, 채널 변경 신호를 포함한다.
단계 S902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 예를 들어, 13V와 18V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며, 해당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신호가 디모듈레이터(112)로부터 중계장치(200)로 출력된다(S906). 단계 S906에는, 디모듈레이터(120)에서 전압 레벨을 13V와 18V 중 하나로 설정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전압 레벨의 설정은 13V에서 18V 또는 18V에서 13V로의 변경을 포함한다.
단계 S906에서 출력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하여, 단계 S902에서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 방송신호가 중계장치(20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0)로 수신된다(S908). 여기서, 중계장치(200)의 스위치 박스(220)는 커맨드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수직편파 또는 수평편파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며, LNB(210)는 커맨드 신호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라 원하는 채널(desired channel)에 대응하는 하이 밴드 또는 로 밴드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단계 S908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는 튜너모듈(110) 및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된다(S91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선국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커맨드 신호의 전압설정을 위한 컨트롤 블록(112a)를 디모듈레이터(112)의 내부에 마련하여, LNB 전압 제어와 다이젝 커맨드의 생성 및 출력을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함으로써,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한 타이밍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튜닝 실패가 감소되므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 및 리스크를 줄이고 선국 채널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시청 환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하여, 제조사에서는 지나치게 복잡하고 불필요한 회로 설계로 인한 각종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PCB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장비의 소형화/간소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송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송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8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16에 도시된 단계 S902 내지 S910을 포함하여, 제어부(180)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프로그램은 방송수신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튜너 모듈
111 : RF 튜너 112 : 디모듈레이터
120 : 신호처리부 121 : 디멀티플렉서
122 : 디코더 123 : 스케일러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통신부
170 : 전원공급부 180 : 제어부
200 : 중계장치 210 : 저잡음변환기
220 : 스위치 박스 300 : 통신 위성

Claims (25)

  1.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와;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의 수신 밴드가 변경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상기 커맨드에 상기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하는 스위치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된 저잡음변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잡음변환기는, 상기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상기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톤 신호에 따라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는, 단일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포트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RF 튜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RF 튜너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모듈레이터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중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상기 커맨드에 상기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장치의 스위치 박스에 의해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장치의 저잡음변환기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상기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톤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잡음변환기에 의해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튜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8.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중계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는 위성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위성 안테나에 마련된 저잡음변환기와;
    신호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방송신호의 선택적 수신이 가능한 스위치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와;
    상기 방송신호의 채널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디모듈레이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상기 중계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 박스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상기 커맨드에 상기 채널 정보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커맨드의 전압 레벨의 변경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커맨드에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변환기는, 상기 커맨드에 포함된 선택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소정 대역의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가용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소정 통신 규약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 및 상기 톤 버스트 신호와 타입 갭을 가지고 순차 출력되는 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톤 신호에 따라 로 밴드와 하이 밴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는, 단일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포트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채널 라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맨드는 다이젝 프로토콜에 따른 다이젝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RF 튜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RF 튜너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078809A 2015-06-03 2015-06-03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6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09A KR102263224B1 (ko) 2015-06-03 2015-06-03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6803619.2A EP3254460B1 (en) 2015-06-03 2016-05-10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6273461A AU2016273461B2 (en) 2015-06-03 2016-05-10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6/004840 WO2016195264A1 (en) 2015-06-03 2016-05-10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09A KR102263224B1 (ko) 2015-06-03 2015-06-03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717A KR20160142717A (ko) 2016-12-13
KR102263224B1 true KR102263224B1 (ko) 2021-06-09

Family

ID=5744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809A KR102263224B1 (ko) 2015-06-03 2015-06-03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254460B1 (ko)
KR (1) KR102263224B1 (ko)
AU (1) AU2016273461B2 (ko)
WO (1) WO2016195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0173A1 (en) * 2017-11-22 2019-05-2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Satellite receiver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satellite signals
KR102605145B1 (ko) * 2018-07-13 2023-11-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복수의 채널로 동작하는 복수의 다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9854A1 (en) 2006-11-06 2008-05-08 Casavant Scott D Satellite television ip bitstream generator receiv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614A (ja) * 1995-07-27 1997-02-14 Nec Corp 自動利得制御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用いた受信用フロン トエンド装置
KR20050010096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모듈레이터 일체형 더블 컨버젼 방식의 튜너
KR100736043B1 (ko) * 2005-08-1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EP2765722A3 (en) * 2007-01-25 2014-09-03 Thomson Licensing Frequency translation module interface
JP2013051461A (ja) * 2011-08-30 2013-03-14 Sony Corp 電力供給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1331663B1 (ko) * 2011-12-23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위성파 겸용 튜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9854A1 (en) 2006-11-06 2008-05-08 Casavant Scott D Satellite television ip bitstream generator receiv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264A1 (en) 2016-12-08
EP3254460A4 (en) 2018-01-10
KR20160142717A (ko) 2016-12-13
EP3254460B1 (en) 2021-06-30
AU2016273461A1 (en) 2017-09-07
EP3254460A1 (en) 2017-12-13
AU2016273461B2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525B2 (ja) 2つの独立したチャンネルをirdを用いて視聴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7943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terruptions in receiving media content due to a change in wireless frequency channel
EP1587253B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multimedia exchange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
US9883236B2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1544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3224B1 (ko)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1538A (ko) 채널 검색 방법
KR20200052835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755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90403A1 (en) Content outputt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230247254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46718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04396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제어 방법
US2023017945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7012712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a Signal on a Single Cable
KR2023001724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906818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携帯端末、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2011008159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7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9089273A (ja) データ供給装置、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供給方法、データ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88624A (ja) 移動体受信装置
JP200711040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anev EXPERIMENTAL MODEL OF PERSONAL VIDEO RECORDER FOR DVB-T WITH TVHEADEND AND VIDEO DISK RECORDER BASED ON RASPBERRY PI
KR20090121135A (ko) 광대역 멀티 위성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JP201309016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