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57B1 -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57B1
KR100735957B1 KR1020057016917A KR20057016917A KR100735957B1 KR 100735957 B1 KR100735957 B1 KR 100735957B1 KR 1020057016917 A KR1020057016917 A KR 1020057016917A KR 20057016917 A KR20057016917 A KR 20057016917A KR 100735957 B1 KR100735957 B1 KR 10073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unit
controlling power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646A (ko
Inventor
베른드트 필그람
디에트마르 벤젤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11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시스템(FS1,FS2)에 접속되는 모니터링 유닛(KE)을 이동국에 포함한다. 그 시간 시구간과 시작 및 종료 시각이 모니터링 유닛(KE)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국의 활동 정지 동안, 필요치 않은 무선 시스템 유닛과, 가능하다면 이동국의 다른 유닛들도 비활동화되거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UMTS/GSM/EDGE COMBINED RADIO STATION}
본 발명은 무선국, 특히 이동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무선국은 상이한 시간 패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무선 표준으로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국의 송신 및 수신 장치에서는 많은 수의 기능이 개시되고 신호가 발생되어야 하는데, 이 기능 및 제어 신호의 타이밍은 특정 패턴과 관련되며, 이는 이동 무선 표준에 대해 특정된다.
최근 몇 년간, 이동 무선 분야에서 다양한 표준이 확립되었으며, 이는 추가로 개발되거나 장래에 새로운 표준으로 대체될 것이다. 이동 무선 표준의 알려진 예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Service for GSM Evolution) 표준이라 지칭되는 GSM의 8 PSK(8-phase Shift Keying) 추가 개발 외에,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와 같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방법에 기초하는 다양한 표준이 있다. 4 세대 이동 무선 표준은 현재 이미 MBS(Mobile Broad Band System)로서 개발 중이다.
다양한 표준이 경합함으로써 이동 무선용 이동국에 대한 요건이 증가되었다. 이동국은 복수의 이동 무선 시스템과 표준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동국이 각 표준의 다양한 시간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적합한 이벤트 제어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CDMA 및 TDMA와 같은 2개의 상이한 이동 무선 표준에 있어서의 전송 방법은, 상이한 기호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며, 전송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사전 결정된 길이를 각각 갖는 전송 프레임 내에 구성된다. 연속 신호 시퀀스의 각 전송 프레임의 이 구조 및/또는 길이는 사전 결정되며 이동국에 의해 식별된다. 이동국은 자신의 시간 시퀀스 제어를 이 구조에 따라 정렬해야 한다. 이 프레임 구조 내에서, 이동국에서 어떠한 동작도 일어나지 않는 시간 주기가 종종 존재한다. 특히, 이동국이 입중계 호(incoming calls)를 기다리는 시간 동안, 소위 페이징 모드(paging mode)에서, 비교적 긴 동작 정지(activity pauses)가 존재하는데, 최대한 긴 전력 공급 용량을 갖고 가능한 한 대기 시간(standby time)이 길도록 하기 위해 이동국의 전력 소비가 최소로 감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활동 정지 동안 특정 기능 블록을 중지시키거나 완전히 스위치 오프(switch off)할 수 있어야 한다.
독일 공개공보 DE 100 09 683에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무 선-주파수 오실레이터, 카운터 또는 주파수 분배기와 같은 최대한 많은 유닛들이GSM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이동국에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활동 정지 동안 비활동화된다. 활동 정지 동안, 이동국의 다음 활성화 시간은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활동 정지 동안 발생하는 인터럽트 요청에 응답하여, 시스템의 다음 활성화까지 유지되는 시간 주기는 감소된 시간 주기가 이 활성화를 준비하기에 충분하도록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대기 상태 시간은, 통신 유닛과 자신의 기지국 또는 프로세스의 메인 스테이션 사이의 동기화를 잃지 않고 인터럽트 요청에 응답하여 감소된다. 주지의 방법 및 주지의 이동국은 하나의 표준만이 지원된다는 단점을 지닌다. 종래의 방법 및 이동국을 이용하여서는, 복수의 무선 표준을 지원하며 여러 무선 표준에 관련되는 이동국의 유닛들이 활동 정지 동안에 비활동화되는 이동국 동작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어도 2개의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장치와, 제 9 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시스템을 갖는다. 무선 시스템 각각은 각 무선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계되는데, 이 무선 표준은 상이하다. 무선국, 특히 이동국 형태인 무선국은 상이한 시간 패턴을 갖는 이들 상이한 무선 표준에 대한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을 갖는데,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에 전기 접속되며, 특히 이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으로부터 다운스트림(downstream) 접속된다.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은 특히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 형태이다. 또한, 모니터링 유닛은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해 무선국의 각 무선 시스템에 전기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국을 제조할 수 있게 하며, 각 무선 시스템의 시스템 관련 유닛과 무선국의 다른 유닛이 그들의 요구조건 프로파일 및 요구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각각 요구되는 전력 소비에 맞추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당한 전력 소비 감소를 달성할 수 있게 하므로, 무선국의 대기 시간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모든 무선 시스템에 대해 단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만이 기능을 수행하므로, 회로 복잡성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간단한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는 매우 콤팩트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특히 전체적으로 최대한 작은 무선국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활동 정지 동안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동작 정지 동안 무선국을 제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 무선 시스템은 분리된 시간 제어 유닛을 가지는데, 각 시간 제어 유닛은 전용 동기화 라인, 특히 각 경우의 단일 동기화 라인을 통해 모니터링 유닛에 전기 접속되며, 이 동기 라인은 양방향적이다.
유리하게는 각 무선 시스템은 클록 신호 발생기를 갖는다. 모니터링 유닛은 제 2 신호 라인을 통해 클록 신호 발생기 중 단지 하나에만 전기 접속되는데, 이는 대응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 유닛과 클록 신호 발생기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프로세서 유닛, 전력 공급 유닛 및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 유닛은 프로세서 유닛과, 전력 공급 유닛과,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에 전기 접속되는데, 이는 각 경우의 분리된 신호 라인을 통해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모니터링 유닛은 프로세서 유닛, 전력 공급 유닛 및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에 의해 가정될 수 있는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 상태가 상이한 전력 소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각 무선 시스템에 직접 관련되는 유닛 외에도, 활동 정지 동안에 무선국의 다른 유닛을 활동화시키거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 동작시킬 수도 있으므로,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2개의 신호 라인에 의해 프로세서 유닛에 전기 접속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라인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이용되어 이에 의해 활동 정지의 시간 주기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무선국에서, 특히 그 시작 및 시구간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상이한 시간 패턴에 일치된다. 또한, 모니터링 유닛과 프로세서 유닛 사이의 제 2 신호 라인을 통해 무선 시스템을 다시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시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무선국의 활동 정지의 시작 및/또는 종료 시각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프로세서 유닛이 신호 라인을 통해 각 무선 시스템, 특히 각 무선 시스템의 각 클록 신호 발생기에 전기 접속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무선국의 전력 소비가 변경되는 동작 상태의 시작 및/또는 종료 시각 및/또는 전력 소비가 변경되는 동작 상태의 시간 주기는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개시될 수 있다.
무선 시스템은 UMTS, GSM 및 GSM/EDGE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무선국, 특히 이동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무선국은 적어도 2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는데, 각각 하나의 무선 표준을 지원하고 상이한 시간 패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무선 표준으로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설계되며, 무선국의 유닛에 의해 활동 정지 동안에 상이한 전력 소비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동작 상태로의 전환이 무선국에서 수행되며, 동작 상태는 특히 활동 정지가 각 시간 유닛에서 측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상이한 시간 패턴의 시작 및 시구간에 일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활동 정지 동안 무선국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데, 무선국의 전력 감소를 상당히 감소시켜서, 무선국의 대기 시간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간단한 방식으로 덜 복잡하게 수행될 수 있다.
시간 주기와 활동 정지의 시작 및/또는 종료 시각은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동국의 유닛의 동작 상태 전환이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수행 및/또는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무선 시스템과 관련되는 시간 제어 유닛은 비활동화되거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의 클록 신호가 비활동화되는 활동 정지 동안, 이 활동 정지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주기는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활동 정지의 시간 시구간은 프로세서 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모니터링 유닛으로 프로그래밍된다.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세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각 무선 시스템에 대해 클록 신호 발생기로 전송된다. 이 제 2 신호는 이 무선 시스템을 위한 클록 신호 발생기의 관련 무선 시스템에 대한 시간 제어 유닛에 의해 활동 정지의 시작 시각에 대한 트리거 신호의 개시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이용된다. 무선 시스템의 시간 제어 유닛에 대한 트리거 신호는 모니터링 유닛으로 전송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단 모니터링 유닛이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스위치 오프 신호가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이전에 트리거 신호가 송신되어 온 시간 제어 유닛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활동 정지 동안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 특히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 및/또는 무선국의 전력 공급 유닛의 스위치 오프 또는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의 전환 이벤트에서,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 특히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 및/또는 전력 공급 유닛은 활동 정지가 종료되기 전에 재활동화된다.
감산 시간은, 활동 정지가 종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 주기가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 및/또는 전력 공급 유닛의 활동화를 위해 감소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산 시간은, 감산 시간 간격 내에서 안정된 클록 신호 및/또는 안정된 전력 공급이 활동 정지의 종료 시에 달성 또는 발생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활동 정지의 시작 및/또는 종료에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프로세서 유닛으로의 신호 전송은 무선 시스템을 프로그래밍을 다시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그 변경이 정확한 사전 결정된 시각을 요구하지 않는 과정에 대한 변경, 특히, 클록 분할 배율 및/또는 스위칭 온 또는 오프, 또는 전압 공급에 대한 변경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도 1)는 이동 무선국에 배열된다. 이 장치는 2개의 무선 시스템(FS1, FS2)을 구비하는데, 예시적 실시예의 제 1 무선 시스템(FS1)은 UMTS 이동 무선 표준을 지원하며, 제 2 무선 시스템(FS2)은 GSM/EDGE 이동 무선 표준을 지원한다. 제 1 무선 시스템(FS1)은 클록 신호 발생기(TG1) 및 시간 제어 유닛(ZS1)을 갖는다. 제 2 무선 시스템(FS2)은 아날로그적으로(analogously) 클록 신호 발생기(TG2) 및 시간 제어 유닛(ZS2)을 갖는다. 이동국은 UMTS 및 GSM/EDGE 표준 이외의 추가적인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모니터링 유닛(KE)을 포함하는데, 이는 이동국의 활동 정지를 모니터링하는 데 이용된다. 모니터링 유닛(KE)은 제 1 무선 시스템(FS1)과 제 2 무선 시스템(FS2)에 전기 접속된다. 제 1 무선 시스템(FS1)용 클록 신호 발생기(TG1)는 클록 신호 라인(TS2)을 통해 모니터링 유닛(KE)에 접속된다. 모니터링 유닛(KE)과 제 1 무선 시스템(FS1) 사이의 제 2 전기 접속은 시간 제어 유닛(ZS1)과 모니터링 유닛(KE) 사이의 양방향 동기화 라인(SY1)에 의해 제공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무선 시스템(FS2)용의 시간 제어 유닛(ZS2)은 양방향 동기화 라인(SY2)을 통해 모니터링 유닛(KE)에 전기 접속된다. 2개의 동기화 라인(SY1)과 동기화 라인(SY2)은 이중 라인(차동 라인) 형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제 1 무선 시스템(FS1)의 클록 신호 발생기(TG1)는 클록 신호 라인(TS3)을 통해 시간 제어 유닛(ZS1)에 전기 접속되며, 제 2 무선 시스템(FS2)의 클록 신호 발생기(TG2)는 클록 신호 라인(TS4)를 통해 시간 제어 유닛(ZS2)에 전기 접속된다.
모니터링 유닛(KE)은 클록 신호 라인(TS1)을 통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 형태인) 제 1 주파수 발생기 유닛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모니터링 유닛(KE)은 제 1 제어 신호 라인(SS1)을 통해 전력 공급 유닛(EV)에 전기 접속되며, 제 2 제어 신호 라인(SS2)을 통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 형태인)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모니터링 유닛(KE)은 2개의 제어 신호 라인(SS3,SS4)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PE)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PE)은 제어 신호 라인(SS5)을 통해 무선 시스템(FS1,FS2)과, 특히 클록 신호 발생기(TG1,TG2)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무선 주파수 오실레이터(HFO)는 클록 신호 라인(TS5)을 통해 2개의 무선 시스템(FS1,FS2)과, 특히 클록 신호 발생기(TG1,TG2)에 전기 접속된다.
이동국 및 그 시스템 유닛의 전력 소비에 대한 제어 프로세스에 관한 한 과정을 후술할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HFO), 전력 공급 유닛(EV),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 및 모니터링 유닛(KE)은 활성 상태인데, 이는 동작 상태라 지칭되며, 대기 모드 또는 비활동 상태에서의 전력과 비교할 때 그 전력 소비는 상대적으로 높다. 예시적 실시예의 프로세서 유닛(PE)은 제어 신호 라인(SS5)을 통해 제 1 주파수 무선 시스템(FS1)에 대한 클록 신호 발생기(TG1)를 프로그래밍하며, 이 클록 신호 발생기(TG1)는 클록 신호 라인(TS3)을 통해 시간 제어 유닛(ZS1)에 대한 클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시간 제어 유닛(ZS1)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소비를 갖는 비활동 동작 상태에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프로세서 유닛(PE)은 제어 신호 라인(SS5)을 통해 시간 제어 유닛(ZS1)의 이벤트(event)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이용된다. 시간 제어 유닛(ZS1)에서, 이 이벤트는 이동국에서 활동 정지의 시작 시각에서 개시되는 트리거 신호를 유도한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PE)은 제어 신호 라인(SS3)을 통해 모니터링 유닛(KE)에서 활동 정지의 시간 시구간을 프로그래밍한다.
트리거 신호는 활동 정지의 시작 시각에서 시간 제어 유닛(ZS1)에서 개시되며, 동기화 라인(SY1)을 통해 모니터링 유닛(KE)으로 전송된다. 동시에, 시간 제 어 유닛(ZS1)의 동기화 라인(SY1)의 신호 입력은 송신에서 수신으로 전환된다. 그 직후, 모니터링 유닛(KE)은 스위치 오프 신호를 시간 제어 유닛(ZS1)에 송신하며, 이것에 의해 시간 제어 유닛(ZS1)에 대한 클록 신호가 스위치 오프된다. 시간 제어 유닛(ZS1)은 전력 소비가 활동 상태에서보다 적은 동작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시간 제어 유닛(ZS1)이 완전히 비활동화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시간 제어 유닛(ZS1)이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동작 상태로 전환되고 시간 제어 유닛(ZS1)에 대한 클록 신호가 스위치 오프된 후, 활동 정지가 종료될 때까지의 남은 시간은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NFO)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의해 측정되며, 클록 신호는 클록 신호 라인(TS1)을 통해 전송된다.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HFO) 및/또는 전력 공급 유닛(EV)이 제 2 무선 시스템(FS2)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경우, 2개의 유닛(HFO 및/또는 EV)은 제어 신호 라인(SS1,SS2)을 통해 적합한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오프되거나 감소된 전력 소비 상태,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활동 정지가 종료될 때까지의 남은 시간이 유리한 방식으로 결정된다는 사실은, 활동 정지가 종료하기 전의 적절한 시각에 스위치 오프된 유닛(HFO 및/또는 EV)을 다시 한번 활동화시키기 위해, 활동 정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감산 시간을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주파수 오실레이터(HFP) 및/또는 전력 공급 유닛(EV)은 각 제어 신호 라인(SS1,SS2)을 통하여 모니터링 유닛(KE)에 의해 적합한 제어 신호로써 활동화된다. 감산 시간은, 안정된 클록 신호가 클록 신호 라인(TS5)을 통해 발생되고 활동 정지가 종료되기 전에 안정된 전압 공급이 전력 공 급 유닛(EV)을 위해 발생될 수 있게끔 정의된다.
활동 정지가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로부터의 클록 신호의 주기 시구간의 정수 곱이 아닌 경우, 클록 신호 발생기(TG1)로부터의 클록 신호는 클록 신호 라인(TS2)을 통해 활동 정지가 종료되기 전에 감산 시간의 시간 간격의 종료시에 발생된다. 따라서, 활동 정지의 시간 시구간의 비-정수 나머지가 측정될 수 있다. 활동 정지가 종료될 때, 모니터링 유닛(KE)은 동기화 라인(SY1)을 통해 시작 신호를 시간 제어 유닛(ZS1)으로 송신한다. 이때부터, 시간 제어 유닛(ZS1)은 재활동화되며, 클록 신호 발생기(TG1)로부터의 클록 신호와 함께 동작을 계속한다. 시간 제어 유닛(ZS1)의 동기화 라인(SY1)의 입력이 출력으로 전환된다.
모니터링 유닛(KE)과 프로세서 유닛(PE) 사이의 제어 신호 라인(SS4)은 모니터링 유닛(KE)으로 하여금 활동 정지의 시작 및/또는 종료 시각에 무선 시스템(FS1)을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는, 클록 신호가 프로세서 유닛(PE)에 존재하면, 정밀하게 사전 결정된 시각에서 수행할 필요가 없거나 인트럽트 지연 시간이 허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클록 분할 배율을 변경하거나 전압 공급을 온 또는 오프로 전환하거나 이들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활동 정지 동안 모니터링 유닛(KE) 및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에도 전압을 공급한다. 아날로그적 방식에서는, 제 1 무선 시스템(FS1)을 대신하거나 이에 더하여, 제 2 무선 시스템(FS2) 및/또는 제 2 무선 시스템(FS2)의 기능 유닛이 스위치 오프될 수 있거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시스템(FS1 또는 FS2)용의 단일의 클록 신호 발생기(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클록 신호 발생기(TG1))와 모니터링 유닛(KE) 사이의 하나의 접속이면 활동 정지의 시간 시구간의 비-정수 나머지를 결정하기에 충분하다. 이 단일 클록 신호 발생기는 가청-주파수 오실레이터(NFO)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의해 허용되는 것보다 더 미세한 시간 분해능(resolution)을 요구하는 모든 시간 제어 작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국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모든 활동 정지를 제어하는 데 하나의 가청-주파수와 하나의 무선-주파수 클록이면 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이동국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이동국의 활동 정지 동안, 이동국의 최대한 많은 시스템 유닛 - 무선 시스템의 유닛 및 가능하다면 이동국의 다른 유닛 - 을 비활동화시키거나 전력 소비가 감소되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동국의 모든 무선 시스템과 그 유닛의 전력 소비를 모니터링하는 데 단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이 이용된다. 이 모니터링 유닛은 공통 리소스를 관리하며, 이들 리소스에 각기 요구되는 수요 프로파일의 함수로서 요구되는 전력을 제공한다. 이는 활동 상태의 활동 정지 동안에 이동국에서 최소한의 기능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게 한다. 모니터링 유닛과 무선 시스템, 특히, 무선 시스템용의 시간 제어 유닛 사이의 전기 접속은 각 경우에 단지 하나의 동기화 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접속과 배선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회로 복잡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별개의 무선 표준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시스템과,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로 이루어진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과,
    상기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전기 접속된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은 동기화 라인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접속된 시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은 제 2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전기 접속된 클록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 유닛과,
    전력 공급 유닛과,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 상기 전력 공급 유닛 및 상기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의 동작 상태는 상이한 전력 소비를 가지며,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프로세서 유닛 사이에 전기 접속된 제 1 신호 라인과, 상기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프로세서 유닛 사이에 전기 접속된 제 2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의 제 1 신호 매칭 시간 패턴이 상기 제 1 신호 라인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을 재프로그래밍하는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 내의 각각의 클록 신호 발생기에 접속된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선택된 전력 소비에 따라서 상기 동작 상태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제어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되는 무선 표준은 UMTS, GSM 및 GSM/EDGE 표준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9.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으로서,
    별개의 무선 표준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시스템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별개의 무선 표준 및 가변 시간 패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송신 및 수신 동안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동작 정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동작 정지 동안 저 전력 동작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지 검출 단계는 상기 동작 정지에 대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지속기간을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동작 정지의 만료 전에 동작 상태를 활성시키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동작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시스템의 시간 제어 유닛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지의 지속기간을 모니터링 유닛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대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정지의 시작 시에 상기 무선 시스템의 시간 제어 유닛에 의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별개의 무선 표준을 각각 지원하고, 클록 신호 발생기 및 동작 정지의 시작 시에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시스템과,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로 이루어진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과,
    상기 제 1 주파수 발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에 전기 접속된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오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정지의 지속기간 후에 스위치 온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의 상기 시간 제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감소된 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시스템의 상기 시간 제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 온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 동작 상태로 진입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2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동작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시스템의 시간 제어 유닛으로 하여금 전력 소비가 감소된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동작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는 가청 주파수 오실레이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의해 결정된 상기 검출된 동작 정지의 종료 때까지 제 2 주파수 발생 유닛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방법.
KR1020057016917A 2003-03-12 2004-02-24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735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10771 DE10310771A1 (de) 2003-03-12 2003-03-12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Leistungsverbrauchs einer kombinierten UMTS/GSM/EDGE-Funkstation
DE10310771.1 2003-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646A KR20050113646A (ko) 2005-12-02
KR100735957B1 true KR100735957B1 (ko) 2007-07-06

Family

ID=3289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917A KR100735957B1 (ko) 2003-03-12 2004-02-24 무선국의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07965B2 (ko)
EP (1) EP1602178B1 (ko)
JP (1) JP4417333B2 (ko)
KR (1) KR100735957B1 (ko)
CN (1) CN1759537B (ko)
DE (2) DE10310771A1 (ko)
WO (1) WO2004082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0379B2 (en) * 2004-03-26 2007-04-03 Broadcom Corporation Low-power mode clock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60121954A1 (en) * 2004-12-03 2006-06-08 Motorola, In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the playback of multimedia messages
US20070263574A1 (en) * 2006-05-10 2007-1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8990599B2 (en) * 2007-12-14 2015-03-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optimiz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181059B2 (en) * 2008-09-26 2012-05-15 Apple In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power-down functionality
US9030979B2 (en) 2011-05-11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ulti-threaded processor mobile devices
KR101398501B1 (ko) * 2013-03-25 2014-05-27 (주)다보링크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3830A1 (en) * 2000-12-07 2002-06-12 Motorola, Inc. Multi-mod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mmon reference osc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071A (ja) * 1995-02-08 1996-08-30 Sony Corp 送信機及び送受信機
JP3438062B2 (ja) 1996-11-06 2003-08-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EP1027811B1 (de) * 1997-10-29 2002-07-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sende/empfangseinrichtung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zur datenübertragung
US6473607B1 (en) * 1998-06-01 2002-10-2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elf-calibrating sleep timer
TR200103629T2 (tr) 1999-06-14 2002-05-21 Ericsson Inc. Bağlama devrelerini kapsayan çok modlu radyotelefonlar ve ilişkili yöntemler ve devreler
DE10009683A1 (de) * 2000-02-29 2001-08-30 Nokia Mobile Phones Ltd Verfahren zum Unterbrechen eines Ruhezustandes einer Kommunikationseinheit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insbesondere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JP2002009688A (ja) 2000-06-23 2002-01-11 Sanyo Electric Co Ltd 間欠受信方法及び間欠受信装置並びに電話機
US6960962B2 (en) * 2001-01-12 2005-11-01 Qualcomm Inc. Local oscillator leakage control in direct conversion processes
US6993669B2 (en) * 2001-04-18 2006-01-31 Gallitzin Allegheny Llc Low power clocking systems and methods
DE60134723D1 (de) * 2001-05-21 2008-08-21 Sony Deutschland Gmbh Architektur eines zweimodusfunkgrätes für ein digitales und schnurloses kommunikationssystem
EP1313220A1 (en) * 2001-11-19 2003-05-21 Motorola,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le clock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GB0204108D0 (en) * 2002-02-21 2002-04-10 Analog Devices Inc 3G radio
US7190679B2 (en) * 2002-05-16 2007-03-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transmit events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US7421291B2 (en) * 2002-08-12 2008-09-0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ve power management for a hand held host
US7242972B2 (en) * 2004-02-25 2007-07-10 Motorola, Inc.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with three states of active, dormant, and semi-dormant having the capability of adjusting an inactivity time based on mobility indica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3830A1 (en) * 2000-12-07 2002-06-12 Motorola, Inc. Multi-mod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mmon reference oscil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9537B (zh) 2011-03-30
WO2004082157A1 (de) 2004-09-23
DE502004009565D1 (de) 2009-07-16
KR20050113646A (ko) 2005-12-02
US20060079297A1 (en) 2006-04-13
JP2006520116A (ja) 2006-08-31
EP1602178A1 (de) 2005-12-07
CN1759537A (zh) 2006-04-12
US7907965B2 (en) 2011-03-15
DE10310771A1 (de) 2004-09-23
EP1602178B1 (de) 2009-06-03
JP4417333B2 (ja)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380B2 (ja) モービル通信受信機における電力消費を減少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089073B1 (ko) 전력 제어에 대해 최적화된 기상 시간을 갖는 듀얼 모드 블루투스/무선 디바이스
KR100742009B1 (ko) 전자 디바이스내의 클록 인에이블먼트를 동기화
US6442407B1 (en) Mobile radio telephone set
US5918170A (en) Synchronizing radio telephone to receive every Nth overhead message train
US5369798A (en) Method and circuit for saving the power of a battery used in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79079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combined UMTS/GSM/EDGE radio station
KR0153351B1 (ko) 평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페이징 수신기
US20120120993A1 (en) Resynchronization Method for Recovering from Sleep Mode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JPH109405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待ち受け方法
JP2001102981A (ja) 無線中継方式
JPH07326998A (ja) 間欠受信装置
JP2007074355A (ja) 基地局装置と当該基地局装置を用いた制御チャネルの重なり監視方法
CN100565422C (zh) 可编程且可中止的时钟发生单元
JP2680349B2 (ja) 無線呼出用受信機
JP2004023350A (ja) 基地局及び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0178668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CN108601044A (zh) 网络制式的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0582568B1 (ko) 덱트 시스템의 동기화 제어 장치
CN201260176Y (zh) 跳频信号发生装置
JPH04360431A (ja) ディジタル通信網の網同期方式
JP2001053668A (ja) Phs通信装置
KR20070008895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의 슬롯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77383A (ko)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JPH05308317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