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383A -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383A
KR19980077383A KR1019970014486A KR19970014486A KR19980077383A KR 19980077383 A KR19980077383 A KR 19980077383A KR 1019970014486 A KR1019970014486 A KR 1019970014486A KR 19970014486 A KR19970014486 A KR 19970014486A KR 19980077383 A KR19980077383 A KR 1998007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ell
error occurs
err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631B1 (ko
Inventor
전한구
민승현
김원무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1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631B1/ko
Priority to US09/034,822 priority patent/US6157629A/en
Publication of KR1998007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CDMA시스템에서 각 디바이스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그 주파수에 해당되는 단말기들의 호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기지국을 이루고 있는 각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제 1과정(ST1-ST6)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오류가 발생한 셀의 서비스 상태를 오프시키고 그 오류가 발생한 셀이 기본 주파수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과정(ST7)(ST8)과; 상기 기본 주파수에 존재하는 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존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변경하고, 기본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주파수를 제외한 주파수를 구하는 제 3과정(ST9)(ST10)과; 상기 제 3과정에서 산출한 주파수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해쉬함수로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토록 하는 제 4과정(ST11)(ST1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CDMA시스템에서 기지국 디바이스 오류시 CDMA채널 변경에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일반적으로, CDMA시스템에서는 주파수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FA로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디바이스가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오류가 발생하여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경우 그 해당 주파수에 해당되는 단말기들은 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지국에서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을 셀(CELL)이라하고, 이 셀은 도 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섹터(Alpha, Beta, Gamma)로 나누어지고, 여러개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이 주파수를 자신의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를 가지고 어떤 주파수를 사용할 것인지를 Hash함수를 가지고 결정을 한다. 기지국에는 여러 디바이스가 있는데, RFC(Radio Frequency Card)는 섹터당 영역을 담당하고, ACC(Analog Common Card)는 주파수당 영역을 담당하고, SIC(Sector Interface Card)는 주파수당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멀티 FA로 기지국이 운용되고 있을 때 RFC카드가 오류가 발생되어 이상동작을 일으켰을 경우 해당 주파수와 섹터에 있는 단말기들은 호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SIC나 ACC카드가 오류가 발생되어 이상동작을 일으켰을 경우에도 해당 주파수에 대응하는 단말기들은 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종래의 CDMA시스템에서는 각 디바이스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그 주파수에 해당되는 단말기들의 호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멀티 FA로 동작하는 CDMA시스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이 멀티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 : 이하 FA라 약칭함) 동작시 해당 셀(CELL)을 담당하는 디비이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디바이스가 정상상태로 복원된 경우에도 그 셀에 해당하는 단말기의 호 서비스가 유지되도록 한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을 이루고 있는 각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오류가 발생한 셀의 서비스 상태를 오프시키고 그 오류가 발생한 셀이 기본 주파수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기본 주파수에 존재하는 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존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변경하고, 기본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주파수를 제외한 주파수를 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산출한 주파수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해쉬함수로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토록 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기지국을 이루고 있는 각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중에 다시 정상적으로 복원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의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오류 상태에서 정상으로 복윈된 디바이스가 존재할 경우 그 디바이스의 주파수 섹터당 셀의 서비스 상태를 온시키고 오류상태에서 정상동작을 하는 셀이 기본주파수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기본주파수에 있는 셀이 정상동작을 하였을 경우 정상동작하는 기본주파수를 구하고 기존에 동작하고 있는 기본주파수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시키고, 다른 주파수에 있는 셀이 정상동작을 하였을 경우 정상동작이 일어난 셀의 주파수를 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해당 셀에 존재하는 단말기에게 제 3과정에서 산출한 주파수를 전송하여 그 단말기에서 해쉬함수로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토록 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DMA시스템의 기지국 디바이스 블록 구성도,
도 2의 (A),(B)는 CDMA시스템에서 각 디바이스가 담당하고 있는 셀(Cell)영역 분할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CDMA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오류발생시 셀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CDMA시스템에서 오류 발생된 디바이스가 정상동작시 셀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주파 카드20 : 아날로그 공통 카드
30 : 채널 공통 카드40 : 섹터 인터페이스 카드
50 : 시간 및 주파수 카드60 :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일반적인 CDMA시스템이며,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국, 교환국, 그외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중에서 기지국은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는 부분으로 기지국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CP(Base statio Control Process)(60)와 CCC(Channel Common Card)(30)와, ACC(Analog Common Card)(20)와, RFC(Radio Frequency Card)(10), TFC(Time Frequency Card)(50), SIC(Sector Interface Card)(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RFC(10)는 고주파 랙(RF Rack)내의 각 모듈들의 관리, 조정, 감시 등을 수행하며, BCP)(60)와 접속하여 초기화 과정의 리무브(remove)와 PLD데이타를 다운로딩(Downloading)하는 리스토어(restore)와 고주파 랙의 스태터스를 BCP(60)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하며, BCP(60)에서 요구하는 주파수를 설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송 파워와 수신 파워를 결정하며 그외에 다른 부가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ACC(20)는 BCP(60)와 통신하기 위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라우팅을 하며 초기화를 위한 리무브와 PLD 구성을 전송하는 리스토어 기능을 하며, CCC(30)에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고 CCC(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CCC(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TFC(50)는 다른 서브 디바이스에게 클럭과 TOD(Time of Day)를 제공해주고, SIC(40)를 리세트시키는 리부브와 PLD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리스토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SIC(40)는 ACC(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섹터단위로 구분하여 RFC(10)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CCC(30)는 실질적인 채널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파이롯트, 동기, Paging, 액세스, 트래픽 채널로 구분되며, 각각의 채널의 역할은 파일롯트 온된 단말기가 처음 파워를 온(ON) 했을 때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파일롯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처음으로 통신하는 역할을 하며, 동기(Sync.)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을 하고, 페이징은 단말기가 수신해야 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액세스는 단말기가 기지국에 전송해야할 데이터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트래픽은 실질적인 통화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멀티 FA로 기지국이 운용되고 있을 때 이 디바이스들 중에서 ACC(20), RFC(10), SIC(40)가 오류를 일으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였을 경우 그 주파수를 담당하고 있는 셀안의 단말기는 호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도 2의 (A)에서는 ACC, SIC의 디바이스가 오류가 일어나 비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였을 경우 주파수 1에 해당되는 단말기는 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 2의 (B)에서는 RFC의 디바이스가 주파수 1의 베타(Beta)섹터에 오류가 일어나 비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였을 경우 주파수 1의 베타섹터에 해당하는 단말기는 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지국이 멀티 FA로 동작하고 있을 때 기지국은 자신이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의 개수와 주파수 번호를 해당 셀의 모든 단말기에게 전송을 한다. 단말기는 이 주파수를 받으면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해쉬(Hash)함수를 가지고 어떤 주파수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384,466,589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에서 466주파수를 담당하고 있는 알파 섹터의 RFC가 오류를 일으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때 466주파수를 사용하고 있고 알파 섹터에 있는 단말기들은 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서 자동적으로 오류가 일어난 RFC를 감지하여 RFC가 담당하고 있는 466주파수의 알파 섹터의 단말기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를 재전송하여 466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384나 589주파수를 사용하도록 변경시킨다. 그리고 각 단말기는 기본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데 단말기는 처음 파워 온을 할 때 이 주파수로 단말기에 필요한 세팅을 하려한다. 기지국의 디바이스중에 이 기본 주파수에 해당하는 셀에 오류가 발생할 시 기지국은 자동적으로 지금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중에서 하나를 기본주파수로 변경하여 단말기에 호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 되었다.
이중 도 3은 디바이스 오류발생시 자동으로 해당 셀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먼저, 각 디바이스(RFC, SIC, ACC)등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ST1-ST3). 즉, 주파수당 섹터당 이큅(equip)된 RFC상태와 주파수당 이큅(equip)된 ACC상태를 검사한다. 이 후 주파수당 섹터당 RFC 오류가 발생하거나, 주파수당 SIC 오류가 발생하거나 주파수당 ACC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ST4-ST6), 오류가 발생한 디바이스의 주파수, 섹터당 셀에 해당하는 부분(service-on-off)의 필드를 오프시킨다(ST7). 다음 단계로 오류가 발생한 셀(CELL)이 기본 주파수인지를 확인하여(ST8), 기본 주파수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기존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변경시키고(ST10).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에게 상기에서 산출한 새로운 주파수를 전송해준다(ST11). 이에 따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는 상기한 새로운 주파수를 전송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자신의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를 가지고 해쉬(Hash)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이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한다(ST12). 다음으로 상기 단계(ST8)에서 오류가 일어난 셀이 기본주파수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류가 일어난 셀의 주파수를 제외한 주파수를 산출하고(ST9),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에게 그 산출한 주파수를 전송해준다(ST11). 이에 따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는 상기한 주파수를 전송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자신의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을 가지고 해쉬(Hash)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이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ST12).
한편, 디바이스가 오류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시 자동으로 해당 셀의 주파수를 변경해야 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해당 셀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변경하게 된다.
즉, 기지국내의 BCP는 각 디바이스(RFC, SIC, ACC)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ST13-ST15). 즉, 주파수당 섹터당 이큅(equip)된 RFC상태와 주파수당 이큅(equip)된 SIC상태 및 주파수당 이큅(equip)된 ACC상태를 검사한다. 이후 주파수당 섹터당 오류가 발생한 RFC가 다시 정상 동작을 하거나, 주파수당 오류가 발생한 SIC가 다시 정상 동작을 하거나 주파수당 오류가 발생한 ACC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ST16-ST18),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주파수, 섹터당 셀에 해당하는 부분(service-on-off)의 필드를 온(ON)시킨다(ST19). 다음 단계로 오류에서 정상적으로 복원된 셀(CELL)이 기본 주파수인지를 확인하여(ST20), 기본 주파수에 존재하는 셀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정상동작하는 기본주파수를 구하고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기본주파수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하며(ST22),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에게 새로운 주파수를 전송해준다(ST23). 이에 따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는 상기한 새로운 주파수를 전송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자신의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를 가지고 해쉬(Hash)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이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한다(ST24). 다음으로 상기 단계(ST2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셀이 기본주파수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셀의 주파수를 구하고,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에게 그 산출한 주파수를 전송해준다(ST23). 이에 따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는 상기한 주파수를 전송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자신의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을 가지고 해쉬(Hash)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이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ST2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디바이스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면 자동으로 CDMA 패널을 변경해 줌으로써 디바이스의 오류로 인한 단말기의 호서비스 단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이 멀티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 : 이하 FA라 약칭함) 동작시 해당 셀(CELL)을 담당하는 디비이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디바이스가 정상상태로 복원된 경우에도 그 셀에 해당하는 단말기의 호 서비스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CDMA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이루고 있는 각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제 1과정(ST1-ST6)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오류가 발생한 셀의 서비스 상태를 오프시키고 그 오류가 발생한 셀이 기본 주파수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과정(ST7)(ST8)과;
    상기 기본 주파수에 존재하는 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존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변경하고, 기본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주파수를 제외한 주파수를 구하는 제 3과정(ST9)(ST10)과;
    상기 제 3과정에서 산출한 주파수를 해당 셀에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해쉬함수로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토록 하는 제 4과정(ST11)(ST1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ST1-ST6)은 주파수당 섹터당 이큅된 RFC상태와 주파수당 이큅된 SIC상태 및 주파수당 이큅된 ACC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단계(ST1-ST3)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한 각 디바이스에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T4-ST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3. CDMA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이루고 있는 각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중에 다시 정상적으로 복원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의 검사하는 제 1과정(ST13-ST18)과;
    상기 오류 상태에서 정상으로 복윈된 디바이스가 존재할 경우 그 디바이스의 주파수 섹터당 셀의 서비스 상태를 온시키고 오류상태에서 정상동작을 하는 셀이 기본주파수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과정(ST19)(ST20)과;
    상기 기본주파수에 있는 셀이 정상동작을 하였을 경우 정상동작하는 기본주파수를 구하고 기존에 동작하고 있는 기본주파수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시키고, 다른 주파수에 있는 셀이 정상동작을 하였을 경우 정상동작이 일어난 셀의 주파수를 구하는 제 3과정(ST21)(ST22)과;
    상기 해당 셀에 존재하는 단말기에게 제 3과정에서 산출한 주파수를 전송하여 그 단말기에서 해쉬함수로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토록 하는 제 4과정(ST23)(ST2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KR1019970014486A 1997-04-18 1997-04-18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자동 변경방법 KR10023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486A KR100238631B1 (ko) 1997-04-18 1997-04-18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자동 변경방법
US09/034,822 US6157629A (en) 1997-04-18 1998-03-04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utomatically changing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486A KR100238631B1 (ko) 1997-04-18 1997-04-18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자동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383A true KR19980077383A (ko) 1998-11-16
KR100238631B1 KR100238631B1 (ko) 2000-01-15

Family

ID=1950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486A KR100238631B1 (ko) 1997-04-18 1997-04-18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자동 변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57629A (ko)
KR (1) KR100238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530B1 (ko) * 2006-01-16 2007-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7448B1 (en) * 1999-10-18 2003-07-01 Lucent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wireless system base station
KR20050012061A (ko) * 2003-07-24 2005-01-3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시디엠에이-2000 시스템에서 기지국 주파수 자동 설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408A (en) * 1987-04-30 1989-09-26 Motorola, Inc.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data channels o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US5666653A (en) * 1990-08-07 1997-09-09 Inventahl Ab Wide are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wide area through a wide are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528599A (en) * 1993-08-30 1996-06-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ombining signals in a digital pipelined signal adder
US5491718A (en) * 1994-01-05 1996-02-13 Nokia Mobile Phones Ltd. CDMA radiotelephone having optimized slotted mode and long code operation
US5619492A (en) * 1995-06-16 1997-04-08 Unisys Corporation CDM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bit rates are dynamically allocated
US5854786A (en) * 1995-08-09 1998-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consolidation (DISCO) interface units for packet switched interconnection system
US5978413A (en) * 1995-08-28 1999-11-02 Bender; Paul E.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US5740166A (en) * 1996-03-18 1998-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United access channel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5930248A (en) * 1997-03-04 1999-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electively using multicast with variable offset ti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530B1 (ko) * 2006-01-16 2007-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7629A (en) 2000-12-05
KR100238631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0394B1 (en) Reconfigurator for modifying characteristics of base stations
RU21850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илот-сигнал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жестк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US6496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covery of a failed overhead channel in a wireless network
KR100454935B1 (ko) 기지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방법
EP0793894B1 (en) Cellular radio system and a base station
EP1199816A1 (en)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failure of radio function
US20230336245A1 (en) Monitoring method, control module and computer medium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9980077383A (ko)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KR1002975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이나믹 기능을 이용한 기지국의 채널자원 관리방법
EP1873646A1 (en) Radio base station equipment
US6181929B1 (en) Method for switching cell site controllers
KR1999005652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KR100329655B1 (ko) 오버헤드채널의다이나믹제어방법
KR100241693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KR1002896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 관리 방법
KR100264379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오버헤드 채널의 절체 및 복구 방법
KR100258020B1 (ko) 무선호출 위성전송시스템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위성링크를 통한 이중화절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313756B1 (ko)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250621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중앙제어국 재기동시 데이터 복원장치
KR100208191B1 (ko)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지정방법
KR100310228B1 (ko) Cd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파일롯채널의이중화방법
AU688612C (en) Cellular radio system and a base station
KR100313927B1 (ko) 기지국 프로세서의 상태 제어 방법
KR20000026902A (ko) 보드 기능 감시 방법
JPH03120917A (ja) 無線基地局送受信機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