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529A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529A
KR19990056529A KR1019970076527A KR19970076527A KR19990056529A KR 19990056529 A KR19990056529 A KR 19990056529A KR 1019970076527 A KR1019970076527 A KR 1019970076527A KR 19970076527 A KR19970076527 A KR 19970076527A KR 19990056529 A KR19990056529 A KR 1999005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ccess
identification number
configuration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529A/ko
Publication of KR1999005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529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은, 오버헤드 채널 소자의 부하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한계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장애가 발생하여 해당 채널 소자의 채널 정보를 정상적인 다른 소자로 절체시키는 경우, 해당 채널 소자들의 정보 이동을 운영자가 쉽게 관리하고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를 일치시키고 채널 소자의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채널이 절체된 경우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절체된 경우 원래 자리로 채널 소자의 구성을 돌리고 오버헤드 채널 구성을 원래 자리로 되돌린 다음, 트래픽 채널의 구성을 원래 자리로 돌리고 트래픽 채널의 채널 소자 구성도 원래 자리로 되돌리는 과정; 원래 자리에서의 채널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 및 절체된 곳에 대한 추가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을 사용하는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및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DCS)에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95에 의하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MS)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운용되는 CDMA 시스템은 이동 단말과 기지국 외에,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여러 기지국 제어기들을 운영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System: BSM), 상기 기지국을 공중 교환 전화망(PSTN)으로 연결하는 교환국 시스템(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및 상기 교환국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의 서비스상태를 관리하는 위치 등록 시스템(Home Location Register: HLR)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기지국은 시스템 용량에 따라 몇 개의 주파수를 할당받아 그만큼의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주파수 채널을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 FA)이라고 한다. CDMA 시스템은 하나의 주파수 채널당 주파수 옵셋 및 시퀀스를 달리하여 여러 개의 액세스 채널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기존의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으로 접속되며, 각 셀 내의 이동 단말은 해당 셀을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무선 채널(radio channel)을 형성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순방향(Forward) 채널이라 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기지국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역방향(Reverse) 채널이라 한다.
순방향 채널은 64개의 왈시 의사 잡음(Walsh Pseudorandom Noise: Walsh PN) 시퀀스에 의해 확산되므로 모두 64개의 코드 채널을 가진다. 순방향 채널은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hronous channel),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및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순방향 파일럿 채널은 이동 단말이 시스템의 획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도 주변 여러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파일럿 시퀀스 중 가장 큰 신호를 택하도록 해준다. 이동 단말은 수신된 파일럿 시퀀스 중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선택해 동기를 맞춤으로써, 가장 인접한 기지국을 찾을 수 있다.
순방향 동기 채널은 1200bps의 고정된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에 기지국의 여러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담아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은 그 메시지에 있는 PILOT_PN, LC_STATE 및 SYS_TIME 정보를 분석하고, 자신의 긴 코드 타이밍(Long Code Timing)과 시스템 타이밍을 CDMA 시스템 시간과 동기시킨다.
순방향 페이징 채널은 서비스 영역내의 이동 단말에게 시스템의 부가 정보, 특정 이동 단말을 위한 번호 할당(Paging), 명령 및 채널 할당 등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데이터 전송률은 동기 채널을 통해서 결정된다.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시간을 동기시킨 이동 단말은 페이징 채널을 감시한다.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페이징 채널이 하나보다 많으면, 해싱 함수(hashing function)를 이용해서 자신이 감시해야할 페이징 채널을 결정한다.
순방향 트래픽 채널은 통화 중에 정해진 이동 단말에 사용자와 신호 처리(signalling) 정보를 전달한다.
이동 단말로부터 기지국의 방향으로 개설되는 역방향 채널은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과 트래픽 채널을 포함한다.
역방향 액세스 채널은 이동 단말이 기지국과의 통신을 개시하거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동 단말은 액세스 채널을 사용하여 임의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함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한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은 통화 중 이동 단말이 기지국으로 사용자와 신호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실제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트래픽 채널을 제외한 파일럿(Pilot), 동기(Synchronous), 페이징(Paging) 채널들을 부가적인 채널, 즉 오버헤드(overhead) 채널이라고 한다. 각 기지국과 이동 단말은 부가적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일럿 또는 페이징(또는 코드)으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자신이 수신해야 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여러 채널은 각각 채널 소자(Channel Element: CE)에 의하여 관리된다. 하나 채널을 관리하는 채널 소자는 다른 채널로 변환이 가능하다. 채널 카드는 그 종류에 따라서 하나의 카드가 4개, 8개, 16개의 소자를 가질 수 있으며, 아무런 소자도 할당되어 있을 수도 있다.
채널 소자에 아무런 소자도 할당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NULL_DEVICE라고 하고, 채널의 할당 상태에 따라서 트래픽 채널 소자를 (Traffic Channel Element: TCE), 페이징 채널 소자(Paging Channel Element: PCE), 액세스 채널 소자(Access Channel Element: ACE), 파일럿 채널 소자(Pilot Channel element: PIL), 동기 채널 소자(Sync. Channel element: SYN) 및 대기 파일럿 채널 소자(Standby Pilot Channel element: SPIL)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대기 파일럿 채널 소자는 파일럿 채널과 절체가 가능하다.
채널 소자에 대한 하드웨어적인 의미는 채널 카드의 채널 칩 조합(Channel Chip Set)이 어떤 프로세스가 로딩되어 동작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오버헤드 채널의 경우, 페이징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들은 그 양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다른 채널과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버헤드 채널 소자는 중복된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중복된 채널 소자로는 파일럿 액세스 채널 소자(Pilot Access Channel Element: PAC), 동기 액세스 채널 소자(Sync. Access Channel Element: SAC), 파일럿 동기 액세스 채널 소자(Pilot Sync. Access Channel Element: PSA) 및 파일럿 동기(Pilot Sync. Channel Element: PSC)가 있다. 중복된 형태의 채널을 사용하게 되면, 나머지 채널을 트래픽으로 전용 유지가 가능해지므로 그만큼 효율이 좋아진다.
통상 채널 카드는 그 하드웨어 버전에 따라 4개의 채널 소자를 위한 디지털 채널 소자 장치(Digital Channel Element Assembly: DCEA), 8개의 채널 소자를 위한 8 채널 소자 장치(Eight Channel Element Assembly: ECEA) 및 16개의 채널 소자를 위한 CDMA 16채널 소자 장치(CDMA Channel Element board Assembly: CCEA)로 구분된다.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CCEA를 사용하게 된다.
CCEA는 기본적으로 셀 내에서 호 처리를 담당한다. CCEA는 전송할 기저대역(base band) 아날로그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제어 및 전송 보드 장치(Control And Transmit board Assembly: CATA)와 접속되어 있으며, 고주파부(Radio Frequency Unit: RFU)로부터 입력되어 CATA에서 변환된 신호를 받아들인다.
또한 보코더 음성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CATA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한다. 그리고 채널 소자는 CDMA 인터페이스를 위한 변/복조(Modulation/Demodulation)를 담당한다.
채널 소자는 채널 소자 프로세서와 여러 가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소자 및 메모리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그 채널 소자가 어느 채널을 관리하느냐는, 결국 소프트웨어적으로 그 채널 소자에 어떤 채널 기능이 로딩되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채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로딩된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Program Loaded Data: PLD)의 제어를 통해서 가능하다.
그런데 오버헤드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소프트웨어 구조는 차이가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부셀(subcell) 별로 설정된다. 그러나 트래픽 채널은 주파수 할당(FA)별로 관리된다.
도 1 은 오버헤드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채널은 섹터별 주파수 할당(FA) 별로 분석 관리된다. 그러나 트래픽 채널은 주파수 할당별로 관리가 된다.
하드웨어 적으로 오버헤드 채널은 주파수 할당 #1 내의 어느 곳에 위치해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그러나 기능상 아무런 장애가 없으려면, 정확한 데이터로서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오버헤드 채널로서의 키(Key) 값을 관리해야만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에는 오버헤드 채널의 위치, 각 키 값 및 트래픽 채널의 배정이 지정되어 있다. 섹터의 경우, 각 섹터별로 골고루 트래픽 채널(TC_ID)을 배정하게 되어 있다.
도 2 는 섹터, 채널 카드에서 초기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에 지정된 채널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채널 식별번호(TC#)를 사용하여 채널 소자를 배치하였다. 도 2에서 PSA는 파일럿, 동기, 액세스 결합 채널 소자를 나타내며, PCE는 페이징 채널 소자를, TC #는 트래픽 채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식별 번호(TC_ID)를, CE #는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CE_ID)를 각각 나타낸다.
채널 카드(Channel Card: CC)에서의 채널 소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부하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한계점 이상으로 가열되는 등의 현상에 의하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오버헤드 채널 소자가 그 자리에 장애로 계속 남아 있게 되면, 그 해당 채널 정합 프로세서(Channel Interface Processor: CIP) 이하의 호는 모두 호 장애를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파일럿 채널 소자가 장애로 남아 있게 되면, 해당 섹터(옴니-셀인 경우 해당 주파수 할당)의 호는 모두 호 장애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정상적인 다른 소자로 옮겨야 한다. 즉, 정상인 트래픽 채널이 그 채널 소자를 바꿔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오버헤드 채널의 절체(switch)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다른 이유로 오버헤드 채널의 절체가 계속해서 발생하게 되면, 실제로 사용자 통신(Man Machine Communication: MMC)을 이용하는 운영자가 해당 채널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진다.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오버헤드 채널은 호의 유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장애가 발생된 채널이 절체된 경우, 종래 방식에 의한 채널 관리로는 데이터 불일치로 인한 해당 기지국의 호 불통 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채널의 절체를 체크하여 절체된 경우 채널의 구성을 원래 자리로 돌린 다음 원래 자리에서의 채널을 삭제함으로써 데이터의 불일치 현상을 막아 채널 소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오버헤드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구조도.
도 2 는 섹터, 채널 카드에서 초기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에 지정된 채널 배치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액세스 추가 삭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버헤드 채널 정보의 원래 자리를 이용한 삭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의 실시예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에 있어서, 운영자가 MMC(Man Machine Communication)를 통해서 채널 관리 과정을 시작하는 제 1 과정과; 운영자와 정합하는 제 2 과정; MMC 입력을 처리하는 제 3 과정; MMC 입력 내용을 통해 추가 또는 삭제될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 내용상의 오류를 검증하는 제 4 과정; 변화된 채널 카드의 상태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 5 과정; 변화된 내용에 대하여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 및 제 2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별도의 운영자 정합 오류 처리 함수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6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별도의 구성 관리 오류 처리 함수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4 과정은, 추가 또는 삭제 명령어와; 추가 또는 삭제될 채널 정보; 해당 기지국 식별 번호; 해당 기지국의 섹터 식별 번호; 해당 섹터의 주파수 할당 식별 번호; 해당 채널이 위치하는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해당 채널이 위치하는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의 실시예는,
페이징 채널 구성 데이터 구조를 통해 해당 페이징 채널이 실장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액세스 구성을 조사해서 적절한 액세스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액세스 삭제인 경우 액세스 구성 구조(Access Configuration Structure)를 참고해서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채널 소자 번호를 할당받는 단계; 주어진 번호의 액세스 채널이 액세스 구성 구조에 이미 추가되어 있거나 수행하려는 명령어 상태가 이미 진행되어 있다면, 이미 처리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해당 액세스 채널의 추가 및 삭제가 해당 채널 카드의 추가 및 삭제에 관련되었으면 해당 채널 카드를 실장 또는 비실장하는 단계; 및 입력값이 시스템의 셀 유형에 일치하지 않으면 입력값을 오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의 실시예는,
액세스 채널 구성을 갱신하고, 트래픽 채널의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찾는 제 1 단계와; 페이징 구성을 갱신하는 제 2 단계; 및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기준으로 채널 구성을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액세스 채널 구성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를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삭제이고 액세스 채널 구성의 실장 상태가 비 실장으로 절체된 경우,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와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를 원래의 값으로 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구된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와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는 트래픽 구성을 찾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에서 액세스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삭제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에서 액세스 채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구한 액세스 채널의 원래 채널 정합 카드 식별 번호와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가지고 채널 구성의 데이터를 찾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해당 채널이 절체된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2) 절체된 경우, 채널 소자 구성(CE Configuration: CE CONF)을 원래 자리로 돌린다. 오버헤드 채널 구성을 원래 자리로 돌린다. 트래픽 채널 구성을 원래 자리로 돌린다. 트래픽 채널의 채널 소자 구성을 원래 자리로 돌린다.
3) 원래 자리에서의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4) 절체된 곳에서의 추가 기능은 제한하여 데이터의 불일치 현상을 막는다.
이하 오버헤드 채널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추가 삭제가 발생되는 액세스 채널(ACE)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세스 채널은 다른 채널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많아 코딩에 가장 어려움이 발생되는 채널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액세스 추가 삭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운영자가 MMC를 통해서 채널 관리 과정을 시작한다(110). 채널 관리 과정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않으면 운영자 정합 오류 처리 함수를 구동한다(120). 채널 관리 과정이 정상적으로 시작되면 운영자와의 정합을 시도한다(130). 운영자와의 정합에 실패하면 운영자 정합 오류 처리 함수를 구동한다(120).
운영자와 정합하게 되면 MMC에 의한 명령어 입력을 처리한다(140). 입력 처리에 실패하면 구성 관리의 오류 처리 함수를 구동한다(150).
그 다음에는 입력 내용을 통해 오류를 검사한다(160). 오버헤드 채널 중 가장 고려 사항이 많은 액세스 채널을 통해서 입력 내용의 검사 및 오류 검사의 전형적인 예를 살펴본다. 액세스 채널에 대한 명령어 입력 모습은 다음과 같다.
ACT-AC : BTS=AA, SECTOR=BB, FA=CC, CIP=EE, CE=FF ;
DACT_AC : BTS=AA, SECTOR=BB, FA=CC, PC=DD ;
여기서 "ACT"는 임의의 장치 또는 소자를 추가하라는 명령어이다. 그러므로 "ACT-AC"는 액세스 채널을 추가하라는 명령어이다. "BTS=XX"는 기지국 번호가 XX임을 뜻한다. "SECTOR=XX"는 섹터 번호가 XX임을 뜻한다. "FA=XX"는 해당 섹터의 주파수 할당의 번호가 XX임을 뜻한다. "CIP=XX"는 액세스 채널이 위치할 채널 카드 정합 프로세서 번호가 XX임을 뜻한다. 해당 소자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이 입력값만으로 삭제한다. "CE=XX"는 액세스 채널이 위치할 채널 소자의 번호가 XX임을 나타낸다. 해당 소자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이 입력값만으로 삭제한다. "PC=XX"는 액세스 채널이 속하는 페이징 채널의 번호가 XX임을 뜻한다. 주의할 것은 여기서 액세스 채널의 번호는 MMC에 의해서 입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액세스 채널의 번호는 프로그램 내에서 자동으로 입력하게 되어 있다.
이하 도 3 의 과정(16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페이징 채널 구성(CONF) 데이터 구조(structure)를 조사하여, 입력값 중 해당 페이징 채널이 실장된 상태인지를 조사한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조사하여 적절한 액세스 번호를 할당한다. 액세스 번호는 항상 순차적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액세스 추가인 경우, 기존의 실장된 액세스 채널 번호 중 가장 높은 번호의 다음 번호를 할당한다. 액세스 삭제인 경우, 기존의 실장된 액세스 채널 번호 중 가장 높은 번호를 할당한다.
액세스 삭제인 경우에는 채널 정합 프로세서와 채널 소자 번호를 입력받지 않으므로, 액세스 채널 구성 구조를 참고해서 채널 정합 프로세서와 채널 소자 번호를 할당한다.
주어진 번호의 액세스 채널이 액세스 구성 구조에 이미 추가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삭제 등 수행하려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상태라면, ALREADY 처리하여 수행을 중지하고, ALREADY 메시지를 보낸다.
해당 채널 소자가 있는 채널 카드의 추가 삭제가 해당 채널 소자가 있는 채널 카드의 추가 삭제의 의미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예를 들어, 채널 카드에 채널 소자가 16개가 있다고 하자. 또한 이 16개의 채널 소자에는 단 하나의 액세스 채널만 있고 다른 채널 소자는 모두 NULL_DEVICE이다. 이 경우 해당 액세스 채널을 삭제하면 모든 채널 소자가 NULL_DEVICE가 된다. 그러므로 해당 채널 카드가 삭제되어야 한다. 반대로 액세스 채널을 추가하려는 채널 카드가 비실장(N_EQUIP)인 경우, 해당 채널 카드 자체를 실장시키게 된다. 이 기능은 별도의 채널 카드의 추가 삭제 기능 없이 채널 소자의 추가 삭제 만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CDMA 시스템과 PCS 시스템 간에, 그리고 셀 유형이 섹터 형상인지 옴니 형상인지에 따라, 부셀(SUBCELL)별 채널 정합 프로세서의 배정이 달라지므로, 해당 입력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틀리면 입력값 오류 처리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정확한 값의 데이터를 추가 삭제하도록 한다. 그러면 운용자의 실수로 오버헤드 채널의 데이터가 불일치 하는 현상을 막아 원활한 호 소통이 가능해진다.
도 3 의 과정 (170)에서는 하위 프로세서로 신호를 전송한다. 과정 (160)에서 해당 액세스 채널의 추가 삭제가 해당 채널 카드의 추가 삭제로 영향을 미치게 되면, 하위 프로세서로 해당 정보를 전송해 주어야 한다.
도 3 의 과정 (180)에서는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PLD)를 갱신(UPDATE)한다. 이 경우 오버헤드 채널 정보의 원래 자리를 이용한 삭제 과정을 사용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버헤드 채널 정보의 원래 자리를 이용한 삭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세스 채널 구성 갱신 및 트래픽 채널의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Original CIP)와 원래 채널 소자(Original CE)를 찾는다(210).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액세스 채널 구성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채널 소자를 입력값으로 대입한다. 액세스 채널의 삭제이고, 액세스 채널 구성의 실장 상태(EQUIP_STATUS)를 비실장(N_EQUIP)으로 절체된 경우라면, 액세스 채널 구성의 채널 정합 프로세서와 원래 채널 실장 프로세서(ORG_CIP)가 다르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채널 정합 프로세서와 채널 소자를 원래 값으로 지정하여 원래 자리로 되돌린다. 또한 여기서 채널 정합 프로세서와 채널 소자는 절체된 트래픽 채널의 원래 값으로 보존하여, 트래픽 채널 구성을 찾는데 사용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절체된 경우의 삭제에서 바로 액세스 채널 소자 구성을 원래 자리의 값으로 대치한다는 것이다.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의 액세스 채널 수(NUM_AC)를 증가시키고, 액세스 채널의 삭제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의 액세스 채널 수를 감소시킨다(22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기 단계(210)에서 찾아낸 액세스 채널의 원래 자리 식별 번호(ID)를 가지고, 채널 구성의 데이터를 일치시킨다(230). 여기서도 채널 구성을 찾을 때 원래 값을 기준으로 찾아서, 절체된 경우 원래 값으로 바로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원래 자리에 있을 경우, 원래의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채널 소자와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채널 소자가 일치할 것이므로 원래 값을 기준으로 채널 구성을 찾아서 변경하면 결국 원래 자리로 되돌리면서 원래 자리 기준 삭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오버헤드 채널의 절체 상황을 파악하여 채널 정보 데이터의 불일치 현상을 막고 채널 소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2)

  1.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에 있어서,
    운영자가 MMC(Man Machine Communication)를 통해서 채널 관리 과정을 시작하는 제 1 과정과;
    운영자와 정합하는 제 2 과정;
    MMC 입력을 처리하는 제 3 과정;
    MMC 입력 내용을 통해 추가 또는 삭제될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 내용상의 오류를 검증하는 제 4 과정;
    변화된 채널 카드의 상태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 5 과정;
    변화된 내용에 대하여 프로그램 로드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 및 제 2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별도의 운영자 정합 오류 처리 함수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6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별도의 구성 관리 오류 처리 함수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추가 또는 삭제 명령어와;
    추가 또는 삭제될 채널 정보;
    해당 기지국 식별 번호;
    해당 기지국의 섹터 식별 번호;
    해당 섹터의 주파수 할당 식별 번호;
    해당 채널이 위치하는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해당 채널이 위치하는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5.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에 있어서,
    페이징 채널 구성 데이터 구조를 통해 해당 페이징 채널이 실장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액세스 구성을 조사해서 적절한 액세스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액세스 삭제인 경우 액세스 구성 구조(Access Configuration Structure)를 참고해서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채널 소자 번호를 할당받는 단계;
    주어진 번호의 액세스 채널이 액세스 구성 구조에 이미 추가되어 있거나 수행하려는 명령어 상태가 이미 진행되어 있다면, 이미 처리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해당 액세스 채널의 추가 및 삭제가 해당 채널 카드의 추가 및 삭제에 관련되었으면 해당 채널 카드를 실장 또는 비실장하는 단계; 및
    입력값이 시스템의 셀 유형에 일치하지 않으면 입력값을 오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6.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에 있어서,
    액세스 채널 구성을 갱신하고, 트래픽 채널의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찾는 제 1 단계와;
    페이징 구성을 갱신하는 제 2 단계; 및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기준으로 채널 구성을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액세스 채널 구성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를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원래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 및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찾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삭제이고 액세스 채널 구성의 실장 상태가 비 실장으로 절체된 경우,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와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를 원래의 값으로 복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된 채널 정합 프로세서 식별 번호와 채널 소자의 식별 번호는 트래픽 구성을 찾는데 사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추가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에서 액세스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액세스 채널의 삭제인 경우, 페이징 채널 구성에서 액세스 채널의 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구한 액세스 채널의 원래 채널 정합 카드 식별 번호와 원래 채널 소자 식별 번호를 가지고 채널 구성의 데이터를 찾아 갱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 채널 관리 방법.
KR1019970076527A 1997-12-29 1997-12-29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KR19990056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527A KR19990056529A (ko) 1997-12-29 1997-12-29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527A KR19990056529A (ko) 1997-12-29 1997-12-29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529A true KR19990056529A (ko) 1999-07-15

Family

ID=6617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527A KR19990056529A (ko) 1997-12-29 1997-12-29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446A (ko) * 2000-12-27 2002-07-05 박종섭 멀티 오버헤드 채널의 관리 및 이중화 방법
KR100395508B1 (ko) * 2001-04-03 2003-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지국 채널 카드의 형상 정보 구성 및 운용 방법
KR100587254B1 (ko) * 1998-07-28 200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잼(jam)및다중경로페이딩에의한오류채널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254B1 (ko) * 1998-07-28 200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잼(jam)및다중경로페이딩에의한오류채널제거방법
KR20020053446A (ko) * 2000-12-27 2002-07-05 박종섭 멀티 오버헤드 채널의 관리 및 이중화 방법
KR100395508B1 (ko) * 2001-04-03 2003-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지국 채널 카드의 형상 정보 구성 및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02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주파수할당의증설방법및시스템
RU2292667C2 (ru) Предоставление и синхронизация списк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го роуминга и индикатора роуминга
EP1635602A1 (en) Communication network, radio base station,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resource management method therefor
KR950701784A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CN100441029C (zh) 无线网络控制器选择用户终端切换方式的方法
KR1999005652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KR1002975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이나믹 기능을 이용한 기지국의 채널자원 관리방법
JPS58187033A (ja) 移動通信制御方式
KR200200516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
KR10023529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엘리먼트 동적제어방법
KR100329655B1 (ko) 오버헤드채널의다이나믹제어방법
KR1005563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채널 해싱 방법
KR19980077383A (ko)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시스템의 cdma채널 자동 변경방법
KR1002598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264379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오버헤드 채널의 절체 및 복구 방법
KR1003274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기지국의채널운용방법
KR20000002797A (ko) 멀티 액세스 채널 운용시 액세스 채널 자동 변경방법
KR20000018874A (ko) 교환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검색 방법
KR100421875B1 (ko) 오버헤드 채널의 동적 할당 방법
JPH1098756A (ja) 簡易型携帯電話端末
JP3896848B2 (ja) Cdma方式セルラシステム
KR10036354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방법
JP2000049678A (ja) 回線制御方式
JP4018901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チャネルカードのアサイン方法並びにアサインプログラム
KR200000263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