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693B1 -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693B1
KR100241693B1 KR1019960060261A KR19960060261A KR100241693B1 KR 100241693 B1 KR100241693 B1 KR 100241693B1 KR 1019960060261 A KR1019960060261 A KR 1019960060261A KR 19960060261 A KR19960060261 A KR 19960060261A KR 100241693 B1 KR100241693 B1 KR 10024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rd
multiplexer
failure
pattern
transmi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004A (ko
Inventor
이청룡
박희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6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6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에서 중심국의 채널 카드에 중대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채널과 연결된 모든 단말국들에게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생성한 T-패턴을 다중화부로 전송한 후 상기 T-패턴의 알람 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T-패턴 알람이 검출되면 장애 링크를 검출하기 위해 단말국 채널카드 노드와 중심국 채널카드 노드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다중화부 채널카드에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중인 노드로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T-패턴 알람이 발생한 채널과 연결된 단말국의 수신지를 절체될 노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후 링크를 결합하고 T-패턴 알람을 클리어시키고 망관리부로 절체상황을 보고한 후 리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에서 다중화부 채널카드를 이중화하고 다중화부 채널카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기상태인 다중화부 채널카드로 절체를 행하는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일반적으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은 디지털로 변환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위성을 통해 전송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제1도와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호출 교환기(1)와, 상기 무선호출 교환기(1)와 채널카드가 접속되는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2)와, 네트워크 매니저 시스템(3)과, 상기 네트워크 매니저 시스템(3)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면서 무선호출 송신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심국 콘트롤부(4)와, 상기 중심국 콘트롤부(4)와 인터페이스하면서 상기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2)로부터 전송되는 무선호출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5)와, 상기 다중화부(5)에서 다중화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6)와, 상기 변조부(6)에서 변조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위성으로 송신하는 송신부(7)와, 상기 송신부(7)에서 송신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수신한 후 그 수신한 무선호출 데이터를 단말국으로 전송해주는 위성(8)과, 상기 위성(8)으로부터 전송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9)와, 상기 수신부(9)에서 수신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복조부(10)와, 단말국 전체 동작을 콘트롤하는 단말국 콘트롤부(11)와, 상기 단말국 콘트롤부(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조부(10)에서 복조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12)와, 상기 역다중화부(12)에서 역다중화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송신기(14)로 전송해주는 송신기 채널카드 접속부(13)로 구성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호출 교환기(1)로부터 출력되는 무선호출 데이터는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2)를 통해 쿼드 동기 프로세서(5a)로 전달되며, 쿼드 동기 프로세서(5a)는 그 전달되는 저속의 데이터(600bps, 1200bps, 2400bps)를 다중화 데이터(64Kbps, 128Kbps)의 해당 타임슬롯에 실어 다중화를 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 콘트롤부(5c)는 다중화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게 되며, 이렇게 다중화된 무선호출 데이터는 인터 링크 카드(5b)를 통해 변조부(6)로 전달된다. 그러면 변조부는 입력되는 디지털 무선호출 다중화 데이터를 고주파에 변조하고 전력 증폭하게 되며, 그 변조된 무선호출 데이터는 송신부(7)를 통해 위성(8)으로 송신된다.
위성(8)은 상기와 같이 송신부(7)로부터 송신되는 무선호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말국측으로 재전송을 하게되고, 단말국측의 수신부(9)는 이를 수신하여 복조부(10)에 전달해준다. 복조부(10)는 그 수신되는 다중화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를 하게되고, 이렇게 복조된 다중화된 무선호출 데이터는 역다중화부(12)에서 역다중화되어 저속의 무선호출 데이터로 송신기 채널카드 접속부(13)를 통해 송신기(14)로 송신되어 가입자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화부(5)내의 채널 카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대일로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2)와 대응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교환기 채널카드와 하나의 쿼드동기 프로세서가 일대일로 매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은 중심국의 채널 카드에 중대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채널과 연결된 모든 단말국들에게 서비스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채널 카드를 진단하는 기능이 없어 중심국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채널 카드의 장애인지 기타 다른 기기의 장애인지 판별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화부 채널카드(QSP)를 이중화하고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시 이중화한 다중화부 채널카드로 절체를 하여 해당 채널 서비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와 접속되는 다중화부 채널카드를 이중화로 구성하고,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생성한 T-패턴을 다중화부로 전송한 후 상기 T-패턴의 알람 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T-패턴 알람이 검출되면 장애 링크를 검출하기 위해 단말국 채널카드 노드와 중심국 채널카드 노드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다중화부 채널카드에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중인 노드로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T-패턴 알람이 발생한 채널과 연결된 단말국의 수신지를 절체될 노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후 링크를 결합하고 T-패턴 알람을 클리어시킨후 망관리부로 절체 상황을 보고한 후 리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반적인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접속 구도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부 채널카드 접속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 5 : 다중화부
6 : 변조부 10 : 복조부
12 : 역다중화부 13 : 송신기 채널카드 접속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은 전술한 제1도와 같으며, 다만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구성은 제3도와 같이,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100)와 다중화부 채널카드(200)의 구조가 이중화로 되어 있고, 장애시 채널카드 절체를 위해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100)와 다중화부 채널카드(200)사이에 절체 유니트인 절체 스위치(300)가 구비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중화부 채널카드 이중화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절체방법을 첨부한 도면 제4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초기화, 알람 감시, 이중화 제어 및 이에 대한 명령, 절체정보 및 상태를 망 관리부에 보고하는 중심국의 용장 운영 핸들러(QSP Redundancy Management Handler)의 제어에 따라 중심국의 채널카드 접속부에서 장애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T-패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T-패턴 신호를 중심국의 채널카드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없을 경우 5초 단위로 T-패턴을 다중화부로 보낸다.
상기에서 QSP 용장 운영 핸들러의 수행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은 MNS를 통해 운용자가 정의하며, 정의된 파라미터 값들은 PCCB 마스터의 요구에 의해 NMS에 다운 로딩한다. 또한, 이 값들은 시스템 초기화시 PCCB 마스터의 요구 없이도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운용자가 시스템 운용 중에도 파라미터 값들을 변경 및 다운로딩 가능하다. 그리고 NMS에서 필요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용장 스위칭 모드 :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인에이블 모드: PCCB 마스터가 절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에이블 모드: NMS에 의해서만 절체 명령이 가능하다. 이 모드에서 PCCB 마스터는 절체 요구 및 알람 상태의 수집/보고만 할 수 있다.
알람 사이트 드레스홀드: 중심국 QSP를 절체할 조건을 결정한다. 즉 동일한 가입자 채널에 대해 이 값 이상의 단말국으로부터 절체 요구가 있을 때 중심국 QSP를 절체한다.
한편, 중심국의 채널카드에서 보내지는 T-패턴은 중심국의 다중화부, 변조부, 고주파 송신부와 위성을 순차 통한후 단말국의 고주파 수신부, 복조부, 역다중화부를 거쳐 송신기와의 채널카드 접속부(단말국의 채널카드;PRIB)에서 검색된다. 단말국의 채널 카드에서는 일정 시간이상 동안 T-패턴을 검색하지 못하면 T-패턴 알람을 발생한다.
그러면 그 알람 상태를 수집하여 QSP의 절체 및 단말국에 절체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집되는 알람 상태는 다음과 같다.
1)가입자부가 채널에 대한 단말국으로부터의 절체요구 정보(가입자 채널 절체 요구 상태를 저장하며 동일 단말국으로부터 동일 채널에 대한 절체 요구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각 단말국별 및 각 채널별 절체요구 상태를 수집 및 저장).
2)중심국 QSP각 채널의 연결 상태(절체 요구시 중심국 해당 QSP채널 연결 상태를 감시하여 액티브 및 스탠바이 QSP채널이 동시에 단절상태시 절체 불가에 대한 정보를 운용자에게 NMS를 통해 보고하며 그렇치 않은 경우 채널이 연결된 QSP로부터 연결되지 않은 QSP로 절체를 수행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T-패턴 알람이 발생하면 시스템의 어느 구간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시스템의 망관리부(제1도의 네트워크 매니저 시스템(3)과 중심국 콘트롤부(4))는 단말국의 채널카드 제어부에서 보내는 T-패턴 알람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링크를 진단한다. 이때 T-패턴의 알람은 중심국 및 단말국의 다른 장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하는 T-패턴 알람을 가지고 장애가 발생된 장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1)이중화된 보드에서 동시에 실패가 일어나는 경우는 보드에서 상시 운전을 보증하는 것과 같으므로 채널카드 이중화 절체를 위한 감시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2)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변조부와 고주파 송신부의 고장은 단말국 복조부에서 검출될 수 있으므로 단말국 복조부의 알람만 감시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중심국의 변조부나 고주파부의 장애 발생시 모든 단말국에서 T- 패턴이 발생하나 이는 중심국 QSP의 고장이 아니므로 단말국 복조부의 알람 발생시는 QSP절체의 조건에서 제외된다.
3)채널카드 접속부에서 클럭 로스 알람이 발생한 경우는 채널카드 장애 뿐만 아니라 채널카드 접속부와 채널카드 사이의 케이블 접속불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절체되는 상대 채널카드와는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채널카드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절체하여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감시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상기한 전제 조건에 의해 미리 정해둔 일정 수 이상의 단말국에서 동시에 T-패턴 알람이 발생할 시 이는 중심국의 채널카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이렇게 중심국의 채널카드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절체 명령을 전달하고, 대기 로드로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 절체 스위치(300)를 콘트롤하여 T-패턴 알람이 발생한 채널과 연결된 모든 단말국의 수신지를 절체될 노드로 변경을 한다.
상기에서 절체시 절체명령을 단말국에 전달한다. 이 명령은 광범위하며 TBD초 이내 TBD회 반복한다. 이 명령에는 단말국 해당 QSP의 채널 ID와 연결될 중심국 QSP의 채널 ID가 포함되어야하며, 절체 명령후 TBD초 후 중심국 QSP를 절체한다.
이렇게 절체가 이루어지면 망 관리부에 보고하게 되며, 망관리부는 이 정보를 운용자에게 가청/가시 알람으로 보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에서 송신기 채널카드 접속부까지 주기적으로 T-패턴을 보내어 채널카드의 고장을 진단하고 채널 카드의 장애시 이중화된 중심국 다중화부의 채널카드를 절체 함으로서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시에도 서비스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서비스 가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PaqerSat)의 다중화 채널카드 전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화부 채널카드(QSP)를 이중화하고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시 이중화한 다중화부 채널카드로 절체를 하여 해당 채널 서비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교환기 채널카드 접속부와 접속되는 다중화부 채널카드를 이중화로 구성하고,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장애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생성한 T-패턴을 다중화부로 전송한 후 상기 T-패턴의 알람 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T-패턴 알람이 검출되면 장애 링크를 검출하기 위해 단말국 채널카드 노드와 중심국 채널카드 노드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다중화부 채널카드에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중인 노드로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T-패턴 알람이 발생한 채널과 연결된 단말국의 수신지를 절체될 노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후 링크를 결합하고 T-패턴 알람을 클리어시킨후 망관리부로 절체 상황을 보고한 후 리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KR1019960060261A 1996-11-30 1996-11-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KR10024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261A KR100241693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261A KR100241693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04A KR19980041004A (ko) 1998-08-17
KR100241693B1 true KR100241693B1 (ko) 2000-02-01

Family

ID=1948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261A KR100241693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359B1 (ko) * 2002-12-12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카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04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2973B1 (en) SDH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KR940020754A (ko) 최종 사용자 사이에서의 데이타 및 감독 신호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Emorgency local switching)
CA2126616C (en) Multi-master supervisory system
KR100241693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JP377092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JPH0767169A (ja) 無線通信装置
JP3923853B2 (ja) 基地局及び中継方法
JPH11205346A (ja) 遠隔保守管理システム
US622998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H0389636A (ja) 妨害波検出制御方式
JP3465663B2 (ja) デジタル無線通信監視方式
JPH10327150A (ja) 網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データの二重化方式
KR100258020B1 (ko) 무선호출 위성전송시스템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위성링크를 통한 이중화절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748874B2 (ja) 衛星通信装置
JP3395697B2 (ja) 支線系ディジタル無線通信監視システム
KR100290431B1 (ko)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KR19990058823A (ko) 페이징 시스템의 링크 송신기 다중화 장치
JP3057187B2 (ja) 異種衛星システム間接続方式
JP3165085B2 (ja) デジタル無線送受信装置
JP2800018B2 (ja) ベースバン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003286B2 (ja) 制御チャネル切替え機能を備えた移動無線システム
JP2671550B2 (ja) ページング方式
KR19980082980A (ko) 무선 호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데이타 전송 이중화 방법
JPS6292535A (ja) デ−タハイウエイ監視方式
JPH05327635A (ja) リンク・モニ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