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431B1 -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431B1
KR100290431B1 KR1019970068373A KR19970068373A KR100290431B1 KR 100290431 B1 KR100290431 B1 KR 100290431B1 KR 1019970068373 A KR1019970068373 A KR 1019970068373A KR 19970068373 A KR19970068373 A KR 19970068373A KR 100290431 B1 KR100290431 B1 KR 10029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ation
communication satellite
central station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433A (ko
Inventor
김성국
남일원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7006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4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26P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PAGERSAT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위성을 통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동작상태검출단계(100)와; 상기 동작상태검출단계(100)를 수행한 결과,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전용선상태검출단계(200)와; 상기 전용선상태검출단계(200)를 수행한 결과, 전용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한 후,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될 경우마다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전용선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본 발명은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PAGERSAT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전용선에 오류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무선호출 시스템(PAGING SYSTEM)은, 행정단위의 경제권을 서비스 영역으로하여 161.42MHz의 전송주파수를 사용, 전국을 수개의 지역권으로 분할하여 무선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무선호출을 하기 위한 호출자 전화기와, 중앙지구국에 설치된 무선호출 교환기(TXD-PS : TDX-PASING SYSTEM)와, 단말지구국에 설치된 송신기 및 가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무선호출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기와 무선호출 교환기 사이는 시내교환기를 통한 전화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호출 교환기와 송신기 사이에는 전용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구국의 무선호출 교환기와 단말지구국의 송신기 사이에 설치된 전용회선은 호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용회선과, 무선호출 시스템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경기 지역에는 무선호출 교환기에 약 110개의 지구국(SITE : 송신기가 위치한 곳)이 연결되어 있다. 이 무선호출 교환기에서는 약 80 채널(CHANNEL)(1 채널은 약 7만명의 가입자를 처리한다)의 무선호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이 80 채널은 전용회선과 데이터선으로 각 지구국에 연결된다. 따라서, 서울 경기 지역의 경우 무선호출 교환기에 접속된 전용회선과 데이터선의 총 수는 8800(80 채널 × 110개 지구국)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호출 시스템은, 중앙지구국의 무선호출 교환기와 단말지구국의 송신기 사이를 지상에 설치된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접속함으로 인해 설치 비용 및 설치기간이 많이 소용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신뢰성이 저하된다(예: 평균적으로 지상에 설치된 전용회선의 약 15% 정도에서 에러 발생)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중앙지구국과 단말지구국을 통신위성(예: 무궁화위성)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은, 중앙지구국과 단말지구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통신위성을 사용하여 행함으로 인해, 전용회선의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그 유지, 보수가 필요없다는 장점 등이 있는 것으로, 중심지구국(PAGING CENTRAL STATION), 단말지구국(PAGING REMOTE STATION) 및, 망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이하 NMS라 한다.)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말지구국은, 통신위성에서 전송되는 수십 GHz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RF(RADIO FREQUENCY)변조하는 안테나/RF부와; 상기 안테나/RF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호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서 인가되는 복조된 신호를 최대 100채널까지 역다중화 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역다중화된 신호의 각 채널 데이터를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하여 송신기에 전달하는 가입자접속부와; 상기 복조부와, 역다중화부와, 가입자접속부 및 망관리시스템에 공통접속되어, 망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상기 복조부와, 역다중화부와, 가입자접속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처리결과를 망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말지국국 제어부와; 송신기로 구성된다.
도1은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TDX-PS(PASING DATA EXCHANGE)는, 무선호출 데이터 교환기를 나타내며, 또한 PCIB(PAGING CENTRAL INTERFACE BLOCK)는, TDX-PS의 FSK 아날로그 페이징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QSP(QUAD SYNCRONOUS PROCESSOR)는, 4개의 동기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이중화 구조를 가지며, 채널 입출력 데이터의 클럭을 동기시키고, 1:18 슬롯을 통해 NMS 상태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LC(INTERMACHINE LINK MODULE)는, 채널 모듈과 인터머신 링크 사이에 데이터와 음성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데이터와 음성의 멀티플렉싱하는 기능과, 어셈블링 프레임 기능 및, 17번 슬롯을 통해 다중화 데이터와 NMS 상태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NCL(NETWORK CONTRAL LOGIC)는, MUX 시스템의 모든 제어르 담당하는 모듈이며, PCCB(PAGING CENTRAL CONTROL BLOCK)는, 중심국과 기지국의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로, 중심국을 상태 감시하여 매스터 PCCB의 폴링에 응답하는 로컬 PCCB와, 중심국과 기지국의 장치의 상태를 NMS로 보고하며 NMS의 명령을 해당 모듈로 전송시키는 매스터 PCCB로 구성된다.
또한, MOD(MODULATOR)는, 다중화부에서 입력된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하여 PF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Asyc/Sync Converter는, NMS 데이터를 다중화부(MUX)의 QSP에 접속하기 위한 컨버터로 비동기 포맷 데이터를 동기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생한다.
또한, HSM(HIGH SPEED MODEM)는, 매스터 중심국 다중화부의 다중화 선로 절체시 전화국 망에서 제공되는 64/128KHz의 클럭을 매스터 중심국 다중화부 ILC에 인가하여 그 클럭에 동기된 다중화 데이터를 변조하여 슬레이브 중심국의 HSM으로 넘겨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BPM(BYPASS MODULE)는, 매스터 중심국이 다중화부의 채널이 슬레이브 중심국 다중화부의 채널로 라우트(ROUTE)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단말지구국은, 위성안테나를 통해 통신위성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중심지구국의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가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무선호출기)로 송신하거나, 또는 새로운 가입자의 호출신호를 중앙지구국으로 전송하였다.
한편,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폭우, 폭설 등으로 인해 업링크 파워 손실이 13dB 이상일 경우
2) 이중화된 중심국 모듈레이터(MODULATOR) 2개가 모두 고장났을 경우
3) 이중화된 HPA(HIGH POWER AMPLITUDE) 2개가 모두 고장났을 경우
즉, 주 중심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강우, 폭설 등의 악천후로 인하여 위성으로의 업링크(UPLINK) 파워(POWER)이 손실이 일정 이상이 되면, 전용선을 통해 다중화 데이터를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예비중심국에서 위성으로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은,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에 통신상의 장애가 없다는 가정하에 구현하였으나, 실제 사이트(SITE)에서는 다중화 데이터 전용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용선에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제대로 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 중심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다중화된 데이터 전용선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무선호출서비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나, 예비 중심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중일 경우 전용선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첫째, 전용선을 통해 오는 다중화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이때, 예비 중심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해당 전 기지국의 무선 호출 서비스가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운용자는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NMS 사이에 통신이 되지 않으므로,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게 되어, NMS를 보고 있지 않을 경우 단말국의 알람 발생을 인식한 후에야 예비 중심국으로 전화를 걸어 변조기를 MUTE 시키고 주 중심국의 변조기를 UNMUTE 시켜야 한다는 문제점 및, 넷째, 이 동안에는 위성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절체시 주 중심국에서 변조기를 무트(MUTE) 시키고 예비 중심국의 변조기를 언무트(UNMUTE) 시키는 도중에 전용선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변조기 두 개가 모두 무트 상태에 있게 되므로, 위성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 및, 운용자는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NMS 사이에 통신이 되지 않으므로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즉,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에 설치된 다중화 전용선 및 NMS 전용선이 비 정상적인 경우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전용선에 오류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은, 통신위성을 통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방법은,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동작상태검출단계와; 상기 동작상태검출단계를 수행한 결과,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전용선상태검출단계와; 상기 전용선상태검출단계를 수행한 결과, 전용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한 후,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은,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될 경우마다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전용선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중, 주 중심국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중, 예비 중심국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작상태검출단계 200 : 전용선상태검출단계
300 : 데이터전송단계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구성,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시스템이 동작하게 되면,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검출단계(100)를 수행하여,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상태검출단계(100)를 수행한 결과,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전용선상태검출단계(2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사이의 전용선은, NMS 상태정보 데이터와 절체시 다중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 NMS의 상태 정보 데이터의 수신을 체크함으로써 전용선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 NMS는 전용선을 통하여 실시간적으로 서로의 상태 정보(중심국의 업링크 손실 값에 대한 정보, 중심국의 알람 상태에 대한 정보, 중심국의 위성으로 데이터 송신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를 송수신하고 있는데 이를 검출함으로써 전용성의 장애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용선상태검출단계(200)를 수행한 결과, 전용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한 후,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300)를 수행하게 된다.
도3과 도4는 주 중심국과 예비 중심국에서 수행되는 제어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예비 중심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 절체시 전용선이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다시 주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전용선 불량으로 인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은, 특히,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될 경우마다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전용선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하여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신위성을 통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방법은,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동작상태검출단계와; 상기 동작상태검출단계를 수행한 결과, 예비 중심국에서 통신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주 중심국에서 예비 중심국으로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용선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전용선상태검출단계와; 상기 전용선상태검출단계를 수행한 결과, 전용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예비 중심국에서 주 중심국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한 후, 통신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KR1019970068373A 1997-12-12 1997-12-12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KR10029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73A KR100290431B1 (ko) 1997-12-12 1997-12-12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73A KR100290431B1 (ko) 1997-12-12 1997-12-12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433A KR19990049433A (ko) 1999-07-05
KR100290431B1 true KR100290431B1 (ko) 2001-07-12

Family

ID=3752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373A KR100290431B1 (ko) 1997-12-12 1997-12-12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4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433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8962A (en) Base station in a cellular radio system and a cellular radio system
JP4462043B2 (ja) マイクロ波無線通信システム
KR890001476B1 (ko) 디지탈 무선 중계장치
JPS6243623B2 (ko)
KR100290431B1 (ko) 통신위성을 이용한 무선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US20020025025A1 (en) Sta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in subscriber line test
KR100258020B1 (ko) 무선호출 위성전송시스템 다중화부 채널카드의 위성링크를 통한 이중화절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7143529A (ja) 1:n通信の伝送方式
JPH11215013A (ja) ディジタルマイクロ波無線通信装置
EP1240792B1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to make redundancy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31784B1 (ko) 광역망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8:4 사이트 다이버시티를 위한 중심국 멀티플렉서 장치
KR100241693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 시스템의 다중화부 채널카드 절체방법
KR19990058823A (ko) 페이징 시스템의 링크 송신기 다중화 장치
JPH06209496A (ja) 呼接続通信方式
KR0138886B1 (ko) 무선호출신호 전송 및 송출용 접속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전송방법
KR960015845B1 (ko) 저속 데이타 전용 단말지구국의 접속장치
JP2669345B2 (ja) 衛星同報システム
KR19990055552A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전송시스템에서 역다중화기의 채널카드 점검방법
KR20010016763A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38404B1 (ko) 무선호출 위성전송시스템의 사이트 다이버시티 고속절체를위한 스위칭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13818A (ja) 双方向無線ケーブル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電話回線切替システム
JP3165085B2 (ja) デジタル無線送受信装置
KR20060013521A (ko)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
JP2001044893A (ja) 無線方法および無線装置
KR20000002302A (ko) 무선호출 위성전송 시스템의 사이트 다이버시티를 위한 슬레이브 중심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