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690B1 - 에어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690B1
KR100735690B1 KR1020050093629A KR20050093629A KR100735690B1 KR 100735690 B1 KR100735690 B1 KR 100735690B1 KR 1020050093629 A KR1020050093629 A KR 1020050093629A KR 20050093629 A KR20050093629 A KR 20050093629A KR 100735690 B1 KR100735690 B1 KR 10073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filter
air
ca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132A (ko
Inventor
조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뉴매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뉴매틱(주) filed Critical 한국뉴매틱(주)
Priority to KR102005009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6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01D46/2414End caps including additional functions or special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회로의 관로 도중에 설치되어 먼지 따위의 유해한 이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일측 유입구(22)와 타측 배출구(24), 내측벽(20a)에 근접된 위치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24)와 직접 연결되는 통공(28)이 형성된 가이드 링(26)을 포함하는 용기형 본체(20)와; 내부에 횡으로 장착되는 필터 재료(34)를 포함하며, 상단이 가이드 링(2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본체(20)의 바닥면(20b)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가이드 링(26)의 내측 공간(S3)에 수용되는 원통형 필터 카트리지(30)와;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30)의 상단을 가압하는 스페이서(44)를 포함하며, 본체(20)의 개방측에 체결되는 캡(40)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조에서: 유입구(22)와, 내측벽(20a)과 가이드 링(26) 간의 공간(S1)과, 스페이서(44)에 의한 캡(40)의 내측 공간(S2)과, 가이드 링(26)의 내측 공간(S3)과, 통공(28) 및 배출구(24)는 차례로 연통되는 관계에 있다.
에어, 필터, 본체, 카트리지, 캡, 스페이서

Description

에어 필터 장치{Air filter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a, 2b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의 측면도와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의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필터 장치 20. 본체
22. 유입구 24. 배출구
26. 가이드 링 28. 통공
30. 필터 카트리지 34. 필터 재료
40. 캡 42. 투명창
44. 스페이서 S1,S2,S3. 공간
50: 블록형 필터 재료
본 발명은 에어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 회로의 관로 도중에 설치되어 먼지 따위의 유해한 이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에어 필터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종래의 에어 필터 장치(100)는 공기 유입구(102)와 공기 배출구(103)를 가지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용기형의 필터 카트리지(1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104)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필터 재료(105)가 세로로 장착된다. 상기 유입구(10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필터 카트리지(104) 내부로 하향되고, 필터 재료(105)를 통과하여 필터 재료(105)의 내측 중공부(106)로 유입된 후, 다시 상향하여 배출구(103)로 배출되며(화살표 참조), 공기가 원통형의 필터 재료(105)를 통과하여 내측 중공부(106)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필터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에어 필터 장치(100)는 공기의 필터링을 위하여 유익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필터 카트리지(104)와 필터 재료(105)의 형상 및 취부 구조에 의하면, 에어 필터 장치(100)의 전체 부피가 커져서 제작 및 설치가 불편하며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양측에 공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3)를 형성하고, 내부에 필터 재료(114)를 충전하여, 플레이트(115)로 덮는 방법으로 가장 단순하게 구성된 에어 필터 장치(110)가 있다. 그러나 필터 재료(114)는, 유입구(112)에 근접한 부분에서 과도한 필터링이 수행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에어 필터 장치(100)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 카트리지를 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되 최소한의 요소와 간결한 방법으로 공기 유통경로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터 재료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에어 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는: 일측 유입구와 타측 배출구, 내측벽에 근접된 위치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와 직접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용기형 본체와; 내부에 횡으로 장착되는 필터 재료를 포함하며, 상단이 가이드 링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가이드 링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원통형 필터 카트리지와;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의 상단을 가압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본체의 개방측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필터 장치에서, 유입구를 통하여 장치로 공급된 공기는 가이드 링에 의하여 굴절되어, 스페이서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유인되고, 필터 재료를 통과하여 흐른 다음, 통공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작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이하의 기재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는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에어 필터 장치(10)는 본체(20)와, 본체(20)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카트리지(30)와, 본체(20)의 개방측에 체결되는 캡(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용기형의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공기 유입구(22)와 배출구(24)를 갖으며, 내측벽(20a)에 근접된 위치에서 바닥면(20b)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가이드 링(26)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링(26)에 의하여, 내측벽(20a)과 가이드 링(26) 사이에 공기 유로로서의 공간(S1)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링(26)은 공기 유입구(22)의 상단과 같거나 조금 더 높게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 배출구(24)와 직접 소통되도록 형성된 통공(28)을 갖는다. 부호 29는 본체(20)와 캡(40) 간의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이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30)는 원통형으로, 그 내부에 횡으로 장착되는 필터 재료(3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링(26)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S3)에 적절한 방법으로 수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재료(34)는 주름형 필터인 것으로 하였으나, 블록형 또는 그 이외에 알려진 형태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블록형 필터 재료는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된다.
필터 카트리지(30)는 상측 플랜지(32)가 상기 가이드 링(26)의 상단에 걸려 거치되는 방법으로 내측 공간(S3)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필터 카트리지(30)의 하단은 본체(20)의 바닥면(20b)에 접촉하지 않으며, 필터 카트리지(30)의 측면은 통공(28)을 밀폐하지 않는다.
상기 캡(4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30)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공간(S3) 내에 수용된 필터 카트리지(30)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스페이서(44)를 내부에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서(44)에 의하여, 캡(40)의 내부에는 공간(S2)이 형성된다. 이 때 공간 S1과 S2 및 S3은 차례대로 연통되는 관계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44)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캡(4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44)의 상단에는, 캡(4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형 돌기(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40)은 전체로서 투명 소재로 성형되거나 적어도 전방에 투명창(42)이 형성되어, 본체(20) 내부의 상태 특히 필터 재료(34)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호 48은 스페이서(44)의 끝단과 필터 카트리지(30) 상단부 사이에 개입되는 접촉 링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10)에서, 공간 S1과 S2 및 S3은 차례대로 연통되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연통 구조는,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체(20) 내에 필터 카트리지(30)가 수용되는 형태의 에어 필터 장치에서 최적의 공기 유로 구조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 필터 장치(10)를 이용한 공기 필터링 과정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화살표 참조). 먼저, 유입구(22)를 통하여 가이드 링(26)의 외측 공간(S1)으로 공급된 공기는 가이드 링(26)에 의하여 상향 굴절되어, 스페이서(44)에 의하여 형성된 상측 공간(S2)으로 유인된다. 이 공기는 다시 하향하여 필터 재료(34)를 통과하고, 가이드 링(26)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 공간(S3)의 하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필터링된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공기는 가이드 링(26)에 형성된 통공(28)과, 배출구(24)를 연속 통과하여 배출된다.
<다른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실시예의 에어 필터 장치(10)는 필터 재료를 블록형 필터 재료(50)로 적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블록형 필터 재료(50)는 원실시예의 주름형 필터 재료(34)와 더불어 여과대상, 여과면적, 여과시간 등을 통상의 기준에 의해 적절히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 장치(10)는 필터 카트리지(30)가 본체(20) 내에 수용되고, 최소·최적의 유로 공간(S1, S2, S3)을 형성하는 요소들(26, 44)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따라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콤팩트한 구조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 유입구(22)와 타측 배출구(24), 내측벽(20a)에 근접된 위치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24)와 직접 연결되는 통공(28)이 형성된 가이드 링(26)을 포함하는 용기형 본체(20)와; 내부에 횡으로 장착되는 필터 재료(34)를 포함하며, 상단이 가이드 링(2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본체(20)의 바닥면(20b)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가이드 링(26)의 내측 공간(S3)에 수용되는 원통형 필터 카트리지(30)와;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30)의 상단을 가압하는 스페이서(44)를 포함하며, 본체(20)의 개방측에 체결되는 캡(40)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구(22)와, 내측벽(20a)과 가이드 링(26) 간의 공간(S1)과, 스페이서(44)에 의한 캡(40)의 내측 공간(S2)과, 가이드 링(26)의 내측 공간(S3)과, 통공(28) 및 배출구(24)는 차례로 연통되는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40)은 전체로서 투명하거나 적어도 전방에 투명창(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재료(34)는 주름형 필터 또는 블록형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장치.
KR1020050093629A 2005-10-05 2005-10-05 에어 필터 장치 KR10073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29A KR100735690B1 (ko) 2005-10-05 2005-10-05 에어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29A KR100735690B1 (ko) 2005-10-05 2005-10-05 에어 필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701U Division KR200371804Y1 (ko) 2004-10-11 2004-10-11 에어 필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32A KR20060032132A (ko) 2006-04-14
KR100735690B1 true KR100735690B1 (ko) 2007-07-06

Family

ID=3714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629A KR100735690B1 (ko) 2005-10-05 2005-10-05 에어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E20120007A1 (it) * 2012-02-08 2013-08-09 Ufi Filters Spa Cartuccia filtrante
CN104368194A (zh) * 2013-08-15 2015-02-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剂过滤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694A (ja) * 1994-11-02 1996-05-21 Power Shifuto:Kk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5843A (en) 1994-05-10 1998-05-26 Ab Volvo Air filter with reusable gable plate
US5938804A (en) 1994-11-23 1999-08-17 Donaldson Company, Inc. Reverse flow air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
US6287355B1 (en) 1999-01-19 2001-09-11 Hyundai Motor Company Air filter for cars having separate inlet guide tubes and a commo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el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843A (en) 1994-05-10 1998-05-26 Ab Volvo Air filter with reusable gable plate
JPH08126694A (ja) * 1994-11-02 1996-05-21 Power Shifuto:Kk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938804A (en) 1994-11-23 1999-08-17 Donaldson Company, Inc. Reverse flow air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
US6287355B1 (en) 1999-01-19 2001-09-11 Hyundai Motor Company Air filter for cars having separate inlet guide tubes and a commo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32A (ko) 200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903B2 (en) Air filter device
CN107530612B (zh) 气压过滤器及过滤器元件
KR100480372B1 (ko) 중력식 수처리 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US4572725A (en) Air dryer device
WO2011126136A1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フィルタ装置
JP2014531557A (ja) シュノーケルベントを有する燃料フィルタ
KR100735690B1 (ko) 에어 필터 장치
JP5174438B2 (ja) 浄水器
US10343936B2 (en) Membrane casing and membrane component
JPH05507997A (ja) バルブ装置
US6245130B1 (en) Filter system
KR101054268B1 (ko) 역세척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KR101928990B1 (ko) 다기능 에어브리더
US20130334126A1 (en) In Line Top Opening Filter Housing Unit
KR20170021041A (ko) 진공펌프용 화학물질 포집장치
KR101567883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101913225B1 (ko) 정수용 필터
JP2018149485A (ja) バネ式異物除去装置
RU2617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20160031977A (ko) 필터 인서트
JPH0227855Y2 (ko)
JPH0243457Y2 (ko)
US3744641A (en) Air vented filter leaf
KR100588259B1 (ko) 가습기용 필터장치
KR102075015B1 (ko) 에어 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