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225B1 - 정수용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225B1
KR101913225B1 KR1020170098065A KR20170098065A KR101913225B1 KR 101913225 B1 KR101913225 B1 KR 101913225B1 KR 1020170098065 A KR1020170098065 A KR 1020170098065A KR 20170098065 A KR20170098065 A KR 20170098065A KR 101913225 B1 KR101913225 B1 KR 10191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upport pipe
filter body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반 부직포 권취형 필터, 여과재가 용기에 담겨 물을 여과시키는 하우징형 필터 및 여과재로 채워진 긴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물이 여과되는 파이프형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제조 생산이 용이하며, 필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장시간 필터 사용에 따른 정수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는, 상부의 일측에 외부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11)와 연통되게 원수 유입공(13)이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정수 배출구(12)와 연통되게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하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 덮개부(10); 상측은 외부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부(2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빈 필터체 수용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필터체 지지돌부(22)가 구비되는 필터 본체부(20); 및,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원수 유입공(13)을 통해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상기 정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하측 단부를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상측 단부에 열융착시켜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용 필터{The Filter for Purifying Water}
본 발명은 정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반 부직포 권취형 필터, 여과재가 용기에 담겨 물을 여과시키는 하우징형 필터 및 여과재로 채워진 긴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물이 여과되는 파이프형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제조 생산이 용이하며, 필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장시간 필터 사용에 따른 정수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밀접하게 관계되는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수기 산업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 마시는 물은 크게 이미 정수 된 물이나 지하수 및 생수 등을 구입하여 마시는 경우와 정수기로 직접 정수하는 경우로 나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하고 업체에서 판매하는 생수도 오염되는 경우가 많아 직접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물에 대한 관심 많아지면서 예전에는 정수기를 음용수에만 사용하였으나 점점 그 사용범위를 확대되면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수에도 정수 된 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정수기용 필터가 유입된 물을 정화시켜 배출하게 되는데, 정수기용 필터에 쓰이는 재료로는 카본필터, 세디먼트필터 및, UF멤브레인필터 등이 있다. 여기서 카본필터는 통상 제1필터와 제2카본필터로 나뉘는데, 제1필터는 선카본필터라고도 하며 염소성분 및 잔류 농약성분이나 세제성분등을 거르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카본필터는 후카본필터라고도 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가지 냄새를 제거하고 물맛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디먼트필터는 고탁도의 필터로 입자가 큰 부유물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며, UF멤브레인필터는 물 속 중금속이나 각종 미생물 및 세균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 정수기 필터는 내부에, 부직포 기재의 여과막을 다수겹으로 권취시키거나 카본 등을 막대 블록으로 형성시킨 막대형 여과 필터체를 장착하거나, 보다 정수효율을 올리기 위해, 상기 막대형 여과 필터체와 같이 부직포 기재에 여과재를 코팅하지 않고, 하우징 내에 고순도의 여과재를 채워넣고 물을 유동시켜 여과하는 하우징형 필터체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막대형 여과 필터체나 하우징형 필터체를 필터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통상 상기 각 필터체 유형에 맞는 필터 내부 설치구조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각 필터체 유형에 맞는 필터 내부설치구조로 필터를 구별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형 필터체의 경우, 내부의 빈 수용공간에 고순도의 여과재로 채우고, 여과재에 직접 접촉 유동하는 물을 여과시킴으로써, 정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시간 지속적 사용에 따라 하우징형 필터체 내부에 가득 채워진 여과재를 유동하는 물이 특정 경로로만 다량 유동하게 되어 정수효율이 점차 저하되고, 하우징형 필터체 내부에 가득 채워진 여과재 중 일부 여과재만 유동하는 물과 직접 접촉 여과하게 되어 사용된 여과재에 비해 여과 효율이 낮고, 여과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하나의 동일한 필터 내부 설치구조를 통해, 부직포 기재의 여과막을 다수겹으로 권취시키거나 카본 등을 막대 블록으로 형성시켜 외주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 배출하는 막대형 여과 필터체나, 하우징 내에 고순도의 여과재를 채워넣고 물을 유동시켜 여과하는 하우징형 필터체를 구별 없이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필터 생산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 사용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한 필터 내부에 장착된 필터체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고순도의 여과재로 물을 직접 접촉 유동시켜 정수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터의 장시간 지속적 사용에 의한 물의 필터체 내부 특정 경로로만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여과재 대비 여과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부의 일측에 외부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11)와 연통되게 원수 유입공(13)이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정수 배출구(12)와 연통되게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하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 덮개부(10); 상측은 외부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부(2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빈 필터체 수용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필터체 지지돌부(22)가 구비되는 필터 본체부(20); 및,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원수 유입공(13)을 통해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상기 정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하측 단부를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상측 단부에 열융착시켜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필터(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는, 하우징(31)의 내부에 여과재(36)로 채워지는 여과재 수용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1)의 하측면 둘레에는 외부와 통공되게 다수의 원수 필터 유입망(32)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의 내부 상측 중앙에는 정수 필터 배출공(33)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1)의 상부 외측 중앙에는 상기 정수 필터 배출공(33)과 연통되게 정수 필터 배출구(34)가 소정길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의 둘레에는 탄성 압착부(35)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압착부(35)에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압착되어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31)의 하측 중앙부는 상기 필터체 지지돌부(22)와 밀착되어 지지를 받고,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상기 필터체가 압착 개재될 수 있고,
상기 필터체는, 중심부에 내부 중공의 지지체 파이프(4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외주면에는 중심부의 상기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이프 배출공(42)이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외주면에는 여과 부직포(43)가 다수겹으로 권취되어 여과막대(44)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막대(44)의 상, 하부에는 각각 상부 필터캡(45) 및 하부 필터캡(46)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필터캡(45)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여과막대 배출구(47)가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여과막대 배출구(47)의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끼워져 실링되게 고무오링(48)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상기 여과막대 배출구(47)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부 필터캡(46)의 하측면 중앙부는 상기 필터체 지지돌부(22)와 밀착되어 지지를 받고,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상기 필터체가 압착 개재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필터체는, 중심부에 내부 중공의 지지체 파이프(5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는 내부 중공과 연통하게 여과재 파이프(52)의 일단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 연통되게 결합된 상기 여과재 파이프(52)는, 지지체 파이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와 결합된 하부에서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 번 왕복하면서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둘레 주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 및 여과재 파이프(52)의 각 내부 중공에는 소정 여과재(55)로 채워져 상기 여과재 파이프(52)의 개방된 타단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여과재 파이프(52)를 따라 유동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 및 여과재 파이프(52)의 타단에는 각각 상기 여과재(55)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재 걸림망(5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끼워져 실링되게 고무오링(54)이 마련되며,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는, 하나의 동일한 필터 내부 설치구조를 통해, 부직포 기재의 여과막을 다수겹으로 권취시키거나 카본 등을 막대 블록으로 형성시켜 외주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 배출하는 막대형 여과 필터체나, 하우징 내에 고순도의 여과재를 채워넣고 물을 유동시켜 여과하는 하우징형 필터체를 구별 없이 설치가능하여 필터 생산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필터 사용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한 필터 내부에 장착된 필터체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고순도의 여과재로 물을 직접 접촉 유동시켜 정수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터의 장시간 지속적 사용에 의한 물의 필터체 내부 특정 경로로만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된 여과재 대비 여과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있어서, 하우징형 필터체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있어서, 여과막대형 필터체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가 장착된 갓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의 파이프형 필터체에 있어서, 미세 여과재들이 필터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 여과재 배출 차단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하우징형 필터체(3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여과막대형 필터체(4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5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파이프형 필터체(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의 파이프형 필터체(50)에 있어서, 미세 여과재(55)들이 필터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 여과재 배출 차단관(60)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원수가 유입 및 유출하는 필터 덮개부(10)와, 내부에 빈 필터체 수용 공간부가 구비되어 필터체가 장착되는 필터 본체부(20) 및, 상부가 상기 필터 덮개부(10)에 장착되어 필터 본체부(2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터 본체부(20)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하측 단부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상측 단부에 열융착으로 결합된다.
상기 필터 덮개부(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일측에 외부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11)와 연통되게 원수 유입공(13)이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정수 배출구(12)와 연통되게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하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어 필터체의 상부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 본체부(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외부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부(2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빈 필터체 수용 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필터체 지지돌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 및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필터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하측 단부를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상측 단부에 열융착시켜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원수 유입공(13)을 통해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상기 정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의 일 실시예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형 필터체(30)로, 내부에 여과재(36)로 채워지는 여과재 수용공간부가 구비되고, 하측면의 둘레에는 외부와 통공되게 다수의 원수 필터 유입망(32)이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며, 내부 상측의 중앙에는 정수 필터 배출공(33)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 중앙에는 상기 정수 필터 배출공(33)과 연통되게 정수 필터 배출구(34)가 소정길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의 둘레에는 소정 폭으로 형성된 고무링과 같은 탄성 압착부(35)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체의 탄성 압착부(35)재에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탄성적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와 연통 되게 하여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로부터 배출되는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상기 필터체의 하측 중앙부는 상기 필터체 지지돌부(22)와 밀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필터체가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압착 개재되게 하여 정수 과정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해 상기 정수 필터 배출구(34)와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막대형 필터체(40)로, 중심부에는 내부 중공의 지지체 파이프(4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외주면에는 중심부의 상기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이프 배출공(42)이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외주면에는 여과 부직포(43)가 다수겹으로 권취되어 여과막대(44)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막대(44)의 상, 하부에는 각각 상부 필터캡(45) 및 하부 필터캡(46)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필터캡(45)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여과막대 배출구(47)가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여과막대 배출구(47)의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끼워져 실링되게 고무오링(48)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상기 여과막대 배출구(47)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부 필터캡(46)의 하측면 중앙부는 상기 필터체 지지돌부(22)와 밀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필터체가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압착 개재되게 하여 정수 과정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막대 배출구(47)가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필터체(50)로, 중심부에 내부 중공의 지지체 파이프(5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단부에는 내부 중공과 연통하게 여과재 파이프(52)의 일단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 연통되게 결합된 상기 여과재 파이프(52)는, 지지체 파이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와 결합된 하부에서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 번 왕복하면서 상기 지지체 파이프(41)의 둘레 주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 및 여과재 파이프(52)의 각 내부 중공에는 소정 여과재(55)로 채워져 상기 여과재 파이프(52)의 개방된 타단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여과재 파이프(52)를 따라 유동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여과재(55)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재 걸림망(5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끼워져 실링되게 고무오링(54)이 마련되며,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의 정수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정수용 필터(1)의 필터체로 이용되는 여과 부직포(43)를 다수겹 권취해서 제조되는 상기 여과막대형 필터체(40)의 경우, 여과막대(44)의 외측면으로 원수가 정수압을 받아 유입되며, 여과막대(44)로 유입된 원수는 다수겹으로 권취된 여과 부직포(43)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파이프 배출공(42)을 통해 지지체 파이프(41)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41)로 유입된 정수는 상부 필터캡(45)의 여과막대 배출구(47) 및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직포 기재에 여과재를 코팅한 여과 부직포(43)를 다수겹 권취한 여과막대형 필터체(40) 대신, 하우징(31) 내에 고순도의 여과재(36)를 채워넣고 물을 유동시켜 여과하는 하우징형 필터체(3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31)의 하측면 둘레의 원수 필터 유입망(32)을 통해 하우징(31)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며, 하우징(31)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내부에 가득 채워진 고순도 여과재(36)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하우징(31)의 상기 정수 필터 배출공(33) 및, 탄성 압착부(35)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정수필터 필터 배출구와 연통되는 필터체 장착 돌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는,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구비되는 하나의 동일한 필터 내부 설치구조를 통해, 부직포 기재의 여과막을 다수겹으로 권취시키거나 카본 등을 막대 블록으로 형성시켜 외주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 배출하는 여과막대형 필터체(40)나, 하우징(31) 내에 고순도의 여과재(36)를 채워넣고 물을 유동시켜 여과하는 하우징형 필터체(30)를 구별 없이 설치가능하여 필터 생산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각 필터체가 필터체 장착 돌출구(14) 및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압착 개재되어 필터 사용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한 필터 내부에 장착된 필터체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의 하우징형 필터체(30)의 경우, 내부의 빈 수용공간에 고순도의 여과재(36)로 채우고, 여과재(36)에 직접 접촉 유동하는 물을 여과시킴으로써, 정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시간 지속적 사용에 따라 하우징형 필터체(30) 내부에 가득 채워진 여과재(36)를 유동하는 물이 특정 경로로만 다량 유동하게 되어 정수효율이 점차 저하되고, 하우징형 필터체(30) 내부에 가득 채워진 여과재(36) 중 일부 여과재(36)만 유동하는 물과 직접 접촉 여과하게 되어 사용된 여과재(36)에 비해 여과 효율이 낮고, 여과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에서는, 여과막대형 필터체(40) 및 하우징형 필터체(30)뿐만 아니라, 파이프형 필터체(50)도 장착 사용가능하며, 상기 파이프형 필터체(50)의 경우, 여과재(55)가 채워진 파이프 경로로만 원수가 유동하게 되어, 필터의 장시간 지속적 사용에 의해 물의 필터체 내부 특정 경로로만의 유동으로 나타나는 정수효율 저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이프 경로 내에 채워진 여과재(55) 대부분이 원수의 여과에 사용되어 채워진 여과재(55) 대비 여과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필터체(50)의 하단부에 하부캡(56)을 두어 상기 필터체 지지돌부(22)가 밀착 지지하게 하고, 상기 필터체가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와,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필터체 지지돌부(22) 사이에, 상기 파이프형 필터체(50)가 압착 개재되게 하여 정수 과정 중 발생되는 정수압에 의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이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필터체(50) 중심부의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 다수개의 여과재 파이프(52)가 각각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에 그 일단이 각각 연통 결합되는 각 파이프의 타단을 통해 원수가 각각 유입 여과되게 하여 파이프형 필터체(50)의 정수속도 및 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형 필터체(50)의 지지체 파이프(51) 상부 일측에, 그 반경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 보다 소정 반경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미세 여과재 배출 차단관(60)를 개재시키고, 상기 미세 여과재 배출 차단관(60)의 내부에는 소정 두께의 부직포층(61)을 두어 하부에서 유입되는 정수에 혼합된 미세 여과재(36)를 걸러내고, 미세 여과재(36)가 걸러진 정수만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 상단부 및 필터체 장착 돌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정수용 필터
10 : 필터 덮개부 11 : 원수 유입구
12 : 정수 배출구 13 : 원수 유입공
14 : 필터체 장착 돌출구
20 : 필터 본체부 21 : 상부 개구부
22 : 필터체 지지돌부
30 : 하우징형 필터체 31 : 하우징
32 : 원수 필터 유입망 33 : 정수 필터 배출공
34 : 정수 필터 배출구 35 : 탄성 압착부
36 : 여과재 37 : 걸림망
40 : 여과막대형 필터체 41 : 지지체 파이프
42 : 파이프 배출공 43 : 여과 부직포
44 : 여과막대 45 : 상부 필터캡
46 : 하부 필터캡 47 : 여과막대 배출구
48 : 고무오링
50 : 파이프형 필터체 51 : 지지체 파이프
52 : 여과재 파이프 53 : 여과재 걸림망
54 : 고무오링

Claims (4)

  1. 상부의 일측에 외부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11)와 연통되게 원수 유입공(13)이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정수 배출구(12)와 연통되게 필터체 장착 돌출구(14)가 하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 덮개부(10);
    상측은 외부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부(2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빈 필터체 수용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필터체 지지돌부(22)가 구비되는 필터 본체부(20); 및,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원수 유입공(13)을 통해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상기 정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하측 단부를 상기 필터 본체부(20)의 상측 단부에 열융착시켜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필터체는,
    중심부에 내부 중공의 지지체 파이프(5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는 내부 중공과 각각 연통하게 다수의 여과재 파이프(52)의 일단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하부단에 각각 연통되게 결합된 상기 다수의 여과재 파이프(52)는, 지지체 파이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와 결합된 하부에서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 번 왕복하면서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둘레 주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 및 다수의 여과재 파이프(52)의 각각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알갱이 형태의 여과재(36)로 채워져 상기 다수의 여과재 파이프(52)의 각각의 개방된 타단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각각의 상기 여과재 파이프(52)를 따라 유동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 및 다수의 여과재 파이프(52)의 각각의 타단에는 소정 알갱이 형태의 상기 여과재(36)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재 걸림망(5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 덮개부(10)의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끼워져 실링되게 고무오링(54)이 마련되며, 상기 필터체 장착 돌출구(14)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체 파이프(51)의 상부단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필터(1).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8065A 2017-08-02 2017-08-02 정수용 필터 KR10191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65A KR101913225B1 (ko) 2017-08-02 2017-08-02 정수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65A KR101913225B1 (ko) 2017-08-02 2017-08-02 정수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225B1 true KR101913225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65A KR101913225B1 (ko) 2017-08-02 2017-08-02 정수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527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31Y1 (ko) * 2010-12-10 2012-11-05 주식회사 피코그램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KR101757651B1 (ko) * 2017-03-27 2017-07-13 (주)한중커머스 연장수관을 구비한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31Y1 (ko) * 2010-12-10 2012-11-05 주식회사 피코그램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KR101757651B1 (ko) * 2017-03-27 2017-07-13 (주)한중커머스 연장수관을 구비한 정수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527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KR102517957B1 (ko) * 2021-01-18 2023-04-04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31002B2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6139739A (en) Composite filter element
US5126044A (en) Iodine resin/carbo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4713175A (en) Water purifier comprising stages mounted side-by-side to unitary header
US6405875B1 (en) Water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US5328609A (en) Multi-stage radial flow filtration system
US20040206682A1 (en) Filter assembly utilizing carbon block and pleated filter element
CN104703924A (zh) 净水盒和净水器
KR101913225B1 (ko) 정수용 필터
CN103052597B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KR101449508B1 (ko) 정수기용 필터
RU223628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CN108430930B (zh) 净水滤筒
JP429952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CN219630799U (zh) 一种过滤净水接头
JPH11253935A (ja) 浄水器
CN211946512U (zh) 净水机滤芯及净水机
JP2001212555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560154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ている水栓
JP4125461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101303992B1 (ko) 액체 필터
JP2001246370A (ja) 浄水器
JPH0576594U (ja) 液体浄化用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