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31Y1 -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31Y1
KR200463431Y1 KR2020100012788U KR20100012788U KR200463431Y1 KR 200463431 Y1 KR200463431 Y1 KR 200463431Y1 KR 2020100012788 U KR2020100012788 U KR 2020100012788U KR 20100012788 U KR20100012788 U KR 20100012788U KR 200463431 Y1 KR200463431 Y1 KR 200463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housing cap
water
upp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387U (ko
Inventor
허주송
윤정일
정성대
공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2020100012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3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입상카본, 카본블록, 멤브레인, 세디먼트 필터 등을 말함)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켜 융착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과, 정수필터를 하우징캡에 밀착고정시키는 상부 홀더를 구비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정수필터에 있어서,
상부 홀더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과, 안착홈에 대응되게 하우징캡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밀착면과, 제1밀착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캡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밀착면을 구비하여,
상부 홀더의 안착홈에 하우징캡의 돌출부를 안착시킨 후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의 외측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의 내측면과, 필터하우징의 제1밀착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의 제2밀착면이 마찰열에 의한 열융착되어 기밀상태로 각각 고정된다.

Description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purification filter with combination friction welding}
본 고안은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입상카본 필터, 카본블록 필터, 멤브레인 필터, 세디먼트 필터, 복합 필터 등을 말함)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켜 융착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는,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와,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2)가 형성되는 하우징캡(3)과,
유입구(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일 예로서 입상카본, 세디먼트 필터 등을 말함)(4)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5)과,
정수필터(4)를 필터하우징(5)에 고정시키고,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배출구(2)로 공급하는 상부 홀더(6)와,
하우징캡(3)과 상부 홀더(6)의 상호 밀착부위에 장착되며, 원수와 정수수의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7)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는, 전술한 상부 홀더(6)의 요홈에 누수 방지용 오링(7)을 장착시킨 후 하우징캡(3)에 상부 홀더(6)를 결합하고, 필터하우징(5)의 안착홈(5a)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하우징캡(3)의 돌출부(3a)를 결합시킨 후, 필터하우징(5)에 대해 하우징캡(3)을 회전에 의한 마찰력으로 회전융착 고정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정수필터는, 전술한 하우징캡(3)과 상부 홀더(6)의 상호 밀착부위에 오링(7)을 장착시킬 경우, 부품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상승되며, 상부 홀더(6)에 오링(7)을 장착하기 위한 요홈을 형성하고 오링(7)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되며, 상부 홀더(6)에 오링(7)을 장착시 오링(7)의 꼬임 및 이탈으로 인해 조립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홀더(6)에 오링(7)이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오링(7)에 오일을 도포시킬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어 누수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상부 홀더(6)에 오링(7)을 장착시킬 경우, 오링(7)의 누락되는 것을 우려하여 이를 조립하는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오링(7)이 장착된 정수필터 카트리지(일 예로서 세디먼트 카트리지를 말함)를 하우징캡(3)에 조립하지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보관해야될 경우에 별도의 보관장소가 필요하고, 이때 오링(7)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을 경우 누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정수필터 카트리지를 보관 또는 이동시에 상부 홀더(6)로부터 오링(7)이 이탈되거나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수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으로 융착고정함에 따라, 상부 홀더와 하우징캡의 상호 밀착부위, 하우징캡과 필터하우징의 상호 밀착부위를 동시에 융착고정하므로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수필터 카트리지를 이루는 상부 홀더와 하우징캡의 상호 밀착부위에 누수 방지용 오링 장착이 불필요하므로, 오링 장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우징캡과 필터하우징을 결합시 부품 누락으로 인한 조립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과, 정수필터를 하우징캡에 밀착고정시키는 상부 홀더를 구비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정수필터에 있어서,
상부 홀더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과, 안착홈에 대응되게 하우징캡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밀착면과, 제1밀착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캡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밀착면을 구비하여,
상부 홀더의 안착홈에 하우징캡의 돌출부를 안착시킨 후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의 외측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의 내측면과, 필터하우징의 제1밀착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의 제2밀착면이 마찰열에 의한 열융착되어 기밀상태로 각각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하우징캡에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필터하우징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정수필터는 세디먼트 필터로써 이뤄진다.
전술한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정수필터는 카본블록 필터로써 이뤄진다.
전술한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정수필터는 입상카본 필터로써 이뤄진다.
전술한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정수필터는 멤브레인 필터로써 이뤄진다.
전술한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정수필터는 세디먼트 필터와 카본블록 필터가 구비되는 복합 필터로써 이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와 하우징캡의 상호 밀착부위, 하우징캡과 필터하우징의 상호 밀착부위를 동시에 융착고정되므로,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이 단축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홀더와 하우징캡의 상호 밀착부위에 누수 방지용 오링 장착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오링을 장착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오링에 달라붙는 이물질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캡과 필터하우징을 결합시 오링과 같은 부품 누락으로 인한 조립불량 발생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의 요부발췌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의 요부발췌도,
도 3(a-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a-e)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는,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정수처리된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3)과,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14)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15)과, 정수필터(14)를 하우징캡(13)에 밀착고정시키는 상부 홀더(16)를 구비하여,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정수필터에 있어서,
전술한 상부 홀더(16)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17)과, 안착홈(17)에 대응되게 하우징캡(13)에 형성되는 돌출부(18)와, 필터하우징(15)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밀착면(19)과, 제1밀착면(19)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캡(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밀착면(20)을 구비하여,
상부 홀더(16)의 안착홈(17)에 하우징캡(13)의 돌출부(18)를 안착시킨 후 필터하우징(15)에 대해 하우징캡(13)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16)의 외측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13)의 내측면과, 필터하우징(15)의 제1밀착면(19)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13)의 제2밀착면(20)이 마찰열에 의한 열융착되어 기밀상태로 각각 고정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대해 하우징캡(13)을 가압 선회시킬 경우, 상부 홀더(16) 및 필터하우징(15)에 열융착으로 기밀상태로 동시에 고정되는 하우징캡(13)에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필터하우징(15)에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수용되는 정수필터(14)는 세디먼트 필터로써 이뤄진다.
도 3(b)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수용되는 정수필터(14)는 카본블록 필터로써 이뤄진다.
도 3(c)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수용되는 정수필터(14)는 입상카본 필터로써 이뤄진다.
도 3(d)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수용되는 정수필터(14)는 멤브레인 필터로써 이뤄진다.
도 3(e)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에 수용되는 정수필터(14)는 세디먼트 필터와 카본블록 필터가 구비되는 복합 필터로써 이뤄진다.
한편, 도 3(a-e)에 도시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에서, 전술한 하우징캡(13)의 유입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 내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각각의 정수필터(세디먼트 필터, 카본블록 필터, 입상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복합 필터를 말함)에 의해 정수처리하고,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부 홀더(16) 및 하우징캡(13)의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a-e)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하우징(15)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리브(21) 또는 필터하우징(15)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홀더(22)에 정수필터(14)의 하단부를 고정시킨다.
전술한 정수필터(14)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홀더(16)에 하우징캡(13)을 조립할 경우, 상부 홀더(16)에 형성된 환형의 안착홈(17)에 하우징캡(13)의 돌출부(18)가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필터하우징(15)의 개구부에 형성된 제1밀착면(19)에 하우징캡(13)의 제2밀착면(20)이 밀착된다.
이때, 미도시된 회전융착장치에 의해 필터하우징(15)에 대해 하우징캡(13)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16)와 하우징캡(13)의 상호 밀착면과, 필터하우징(15)의 제1밀착면(19)과 하우징캡(13)의 제2밀착면(20)이 동시에 마찰열에 의한 회전융착으로 기밀상태로서 고정된다. 이때 필터하우징(15)에 대해 하우징캡(13)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마찰에 의한 발열으로 회전융착 고정시키는 기술내용을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부 홀더(16)와 하우징캡(13)의 상호 밀착면(a)과, 필터하우징(15)과 하우징캡(13)의 상호 밀착면(b)을 단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회전융착시킴에 따라 정수필터를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캡(13)과 상부 홀더(16)사이의 상호 밀착면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 장착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오링을 장착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생략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오링에 달라붙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신뢰성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에 의하면, 정수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캡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하우징캡에 대한 상부 홀더 및 필터하우징의 상호 밀착부위가 융착고정되므로,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공정을 단축시킨다. 또한 상부 홀더와 하우징캡의 상호 밀착부위에 누수 방지용 오링 장착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오링에 달라붙는 이물질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캡과 필터하우징을 결합시 오링과 같은 부품 누락으로 인한 조립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하우징캡
14; 정수필터
15; 필터하우징
16; 상부 홀더
17; 안착홈
18; 돌출부
19; 제1밀착면
20; 제2밀착면

Claims (7)

  1.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3)과,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세디먼트필터, 카본블록필터, 입상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세디먼트필터와 카본블록필터로 이뤄지는 복합필터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정수필터(14)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15)과, 정수필터(14)를 하우징캡(13)에 밀착고정시키는 상부 홀더(16)와, 필터하우징(15)의 개구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밀착면(19)과, 제1밀착면(19)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캡(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밀착면(20)을 구비하여,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는 정수필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16)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17)과, 안착홈(17)에 대응되게 하우징캡(13)에 형성되는 돌출부(18)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홀더(16)의 안착홈(17)에 하우징캡(13)의 돌출부(18)를 안착시킨 후 필터하우징(15)에 대해 하우징캡(13)을 가압 회전시킬 경우, 상부 홀더(16)의 외측면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13)의 내측면과, 필터하우징(15)의 제1밀착면(19)과 이와 밀착되는 하우징캡(13)의 제2밀착면(20)이 마찰열에 의한 열융착되어 기밀상태로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00012788U 2010-12-10 2010-12-10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KR200463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88U KR200463431Y1 (ko) 2010-12-10 2010-12-10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88U KR200463431Y1 (ko) 2010-12-10 2010-12-10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87U KR20120004387U (ko) 2012-06-20
KR200463431Y1 true KR200463431Y1 (ko) 2012-11-05

Family

ID=4685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788U KR200463431Y1 (ko) 2010-12-10 2010-12-10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25B1 (ko) * 2017-08-02 2018-11-01 아이에스텍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75Y1 (ko) * 2012-07-30 2014-04-30 이평호 한 방향 정수기필터의 물 고임 방지 리테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357Y1 (ko) 2004-02-17 2004-05-12 주식회사 새 한 캡슐타입의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357Y1 (ko) 2004-02-17 2004-05-12 주식회사 새 한 캡슐타입의 필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25B1 (ko) * 2017-08-02 2018-11-01 아이에스텍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87U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570B2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on and/or switching off such filter device
JP4445987B2 (ja) 流体機器と継手との接続構造
JP6262134B2 (ja) 半径方向を向く封止材を支持するベースプレートを有する油圧スピンオン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KR200463431Y1 (ko) 회전융착 결합되는 정수필터
CN102631809B (zh) 热拆卸可更换的水过滤器组件
JP2004160348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WO2005014148A1 (ja) 簡易型フィルタ装置
KR101197236B1 (ko) 정수필터용 호스 이음연결 핏팅장치
JP2011153613A (ja) エアクリーナ
KR101248523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교체 구조
JP2007085547A (ja) フィルタ付き迅速連結管継手
JP2014195807A (ja) フィルターモジュール脱着装置および濾過ユニット
KR101409894B1 (ko) 정수기
TWI388370B (zh) Water purification devic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flow of Taiwan
JP5153595B2 (ja) 湯水混合水栓
JP2006000747A (ja) フィルタユニット用の継手並びにこの継手を使用した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フィルタ装置
JP6914332B2 (ja) 空気乾燥カートリッジ
KR20170119647A (ko)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용 정수필터
JP5630743B2 (ja) 浄化アセンブリ及び浄化アセンブリの組立方法
JP4960928B2 (ja) 燃料濾過装置
JP2007125534A (ja) 浄水器用フィルタケース並びに該フィルタケースを利用したフィルタを備える浄水器
US20120260616A1 (en) Exchangeable filter module for a housing
JP2004195437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CN210088216U (zh) 一种带有密封组件的法兰
CN204051147U (zh) 一种用于净水系统的快拆滤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