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992B1 - 액체 필터 - Google Patents

액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992B1
KR101303992B1 KR1020110034314A KR20110034314A KR101303992B1 KR 101303992 B1 KR101303992 B1 KR 101303992B1 KR 1020110034314 A KR1020110034314 A KR 1020110034314A KR 20110034314 A KR20110034314 A KR 20110034314A KR 101303992 B1 KR101303992 B1 KR 10130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quid
present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703A (ko
Inventor
최재희
Original Assignee
최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희 filed Critical 최재희
Priority to KR102011003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9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01D29/03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ring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입, 출구가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제1,2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로 관통된 상기 출구 측 상측에 배관되며 상단부가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관체;
상기 관체에 장착되며 다수의 패킹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규조토 필터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액체가 유입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은 그 내주면은 상기 관체의 외주 면과 밀착되고 그 외주 면은 상기 필터의 내주 면과 밀착되되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필터{liquid filter}
본 발명은 액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고 그에 따라 액체에 함유된 이물질과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는 액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필터라 함은 술이나 음료 또는 물 등의 액상의 물질을 여과할 때 사용되는 다공질 매체로서 여과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의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그 종류 또한 다르다.
한편, 액체 필터의 종류 중 최근에는 규조토의 성질을 이용한 여과기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규조토 필터는 여재의 표면에 규조토를 층 모양으로 부착시켜 여과하는 프리코트 여과법과 여과 액에 규조토를 섞어 여과하는 보디피드 여과법 등이 있다.
즉, 규조토는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수㎛부터 수십㎛의 미세한 조류의 화석으로 규산이 주성분이다. 분말입자는 다수의 조그만 구멍이 있어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여과재, 흡착제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도 1 내지 도 2에는 종래 규조토 필터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종래 규조토 필터를 이용한 액체 필터는 분리 가능한 케이싱(100)의 내부에 관체로 형성된 필터(20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액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입, 출구(110)(120)가 형성된다.
또 관체로 형성되며 케이싱(100)의 내부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필터(200)는 밀폐되어 필터(200)를 통하지 않고 액체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13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액체 필터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별도의 정수기 또는 음료나 주류 등의 액체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걸러주는 여과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액체 필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필터(200)의 외측으로 통과되며 그 과정에 물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을 여과하게 되고 이와 같이 여과된 물은 필터(200)의 외측으로 분출된 후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그리고 상기 출구(120)를 통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유출된다.
물론 상기 입, 출구(110)(120)의 배관이 바뀌어도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 중 물에 함유된 이물질과 불순물을 여과하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으며 이는 액체 필터의 설계 변경상의 문제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액체 필터에서 유입된 액체를 여과시킬 때에는 필터(200)의 내측(또는 외측)으로 유입된 액체가 필터(200)의 외측(또는 내측)으로 유출 후 출구(120)를 통하여 유출되므로 액체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200)의 단위 면적이 작아진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유입된 액체는 필터(200)를 통과할 때 걸러지게 되므로 실제 액체에 함유된 이물질과 불순물을 걸러주는 체류시간은 필터(20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필터(20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액체의 체류시간은 더 길어지며 여과성능이 향상되지만 필터(200)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제품이 무거워지며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액체 필터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고 그에 따라 액체에 함유된 이물질과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는 액체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가 접하는 필터의 체류 면적을 넓힘으로써 액체의 여과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액체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액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입, 출구가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제1,2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로 관통된 상기 출구 측 상측에 배관되며 상단부가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관체; 상기 관체에 장착되며 다수의 패킹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규조토 필터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상기 관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액체가 유입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은 그 내주면은 상기 관체의 외주 면과 밀착되고 그 외주 면은 상기 필터의 내주 면과 밀착되되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액체 필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여과하고자 하는 물 또는 주류나 음료 등의 피여과물의 체류시간이 지연되도록 필터의 단위면적을 크게 구조를 개선하여 피여과물에 함유된 이물질과 불순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걸러준다.
둘째, 액체가 접하는 필터의 체류 면적을 넓힘으로써 액체의 여과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액체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액체 필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패킹의 결합상태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A) 및 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와 패킹의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의 결합상태 사시도와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삭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체 필터는 액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입, 출구(11)(12)가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제1,2 케이싱(10A)(10B)에 의해 본체, 즉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싱(10A)의 내부에는 관통된 상기 출구(12) 측 상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홀(21)이 형성된 관체(20)가 구비된다.
상기 관체(20)에는 상기 홀(21)을 밀폐하는 다수의 필터(30)가 배열된다.
또 상기 관체(20) 또는 상기 필터(30)에는 상기 필터(30)의 위치를 상기 관체(20)의 설정된 위치, 즉 상기 관체(20)에 배열된 상기 홀(21)과 맞닿는 제2 홀(41)이 형성된 패킹(40)이 구비된다.
상기 홀(21)과 상기 제2 홀(4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장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패킹(40)은 상기 관체(20)를 밀폐하는 연질의 고무재를 포함하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관체(20)의 개방된 상단부는 별도의 뚜껑(50)에 의해 밀폐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패킹(40)은 도 4의 B)와 같이 일반적인 너트 형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지만, 도 4의 A)와 같이 상기 관체(20)와 접하는 상기 필터(30)의 내주 면과 그 상, 하측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는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물을 정수시키거나 술이나 음료를 정수시키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부속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설정된 라인을 통하여 물 등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상기 제1 케이싱(10A)에 형성된 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물은 상기 제1,2 케이싱(10A)(10B)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즉 한 쌍의 밀폐된 제1,2 케이싱(10A)(10B)의 내부 공간에 배열된 상기 필터(30)로 흡수되며 피 정수액에 함유된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주게 되고, 이와 같이 이물질과 세균 등이 걸러진 피 정수액은 정수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상기 패킹(40)에 형성된 제2 홀(41)을 통과한 후 상기 관체(20)에 형성된 상기 홀(2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출구(12) 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11) 측으로 유입된 피 정수액은 규조토로 구비된 상기 필터(30)에 흡습된 후 상기 패킹(40)에 형성된 상기 제2 홀(41)과 상기 관체(20)에 형성된 상기 홀(21)을 경유하여 관체(20)의 내부로 유입될 때 피 정수액에 함유된 이물질과 세균 등은 걸러지게 되고 이와 같이 이물질과 세균 등이 걸러진 피 정수액은 출구(12)측으로 저수된 후 또 다른 설정된 경로를 따라 배수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A, 10B : 제1,2 케이싱 11 : 입구
12 : 출구 20 : 관체
21 : 홀 30 : 필터
40 : 패킹 41 : 제2 홀
50 : 뚜껑

Claims (3)

  1. 액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입, 출구가 형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제1,2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로 관통된 상기 출구 측 상측에 배관되며 상단부가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관체;
    상기 관체에 장착되며 다수의 패킹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규조토 필터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액체가 유입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은 그 내주면은 상기 관체의 외주 면과 밀착되고 그 외주 면은 상기 필터의 내주 면과 밀착되되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액체 필터.

  2. 삭제
  3. 삭제
KR1020110034314A 2011-04-13 2011-04-13 액체 필터 KR10130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14A KR101303992B1 (ko) 2011-04-13 2011-04-13 액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14A KR101303992B1 (ko) 2011-04-13 2011-04-13 액체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03A KR20120116703A (ko) 2012-10-23
KR101303992B1 true KR101303992B1 (ko) 2013-09-04

Family

ID=4728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14A KR101303992B1 (ko) 2011-04-13 2011-04-13 액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9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07Y1 (ko) 1997-04-08 1999-06-15 이상득 정수 및 미네랄수 제조장치
JP2001232378A (ja) 2000-02-25 2001-08-28 Rado Kikaku:Kk 活性浄水製造装置
KR100805086B1 (ko) * 2006-05-24 2008-02-20 대승산업(주) 산업용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07Y1 (ko) 1997-04-08 1999-06-15 이상득 정수 및 미네랄수 제조장치
JP2001232378A (ja) 2000-02-25 2001-08-28 Rado Kikaku:Kk 活性浄水製造装置
KR100805086B1 (ko) * 2006-05-24 2008-02-20 대승산업(주) 산업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03A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0B1 (ko) 복합 필터 소자, 정수기용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와 정수기
JP4709893B2 (ja) 燃料フィルター
CN106927540B (zh) 延长流体移动通道的侧流式反渗透膜过滤器
JP6607454B2 (ja) 浄水器
KR20180089381A (ko) 유로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류유동형 ro필터
JP2017127858A (ja) 合体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1912869B1 (ko) 정수기용 일체형 uf-세디먼트 필터
KR101088862B1 (ko) 정수기용 복합 필터
WO2013039194A1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6447239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40033470A (ko) 삼투 여과 시스템
WO2007052037A3 (en) Strainer assembly
KR101303992B1 (ko) 액체 필터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JP429952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US20140319050A1 (en) Water filter assembly
CN203628115U (zh) 一种滤水分水器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RU14649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 картриджем шаровой или эллиптической формы
KR101711570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개방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모듈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JP5081750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5081749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H11253935A (ja) 浄水器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