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369B1 -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369B1
KR100734369B1 KR1020050051437A KR20050051437A KR100734369B1 KR 100734369 B1 KR100734369 B1 KR 100734369B1 KR 1020050051437 A KR1020050051437 A KR 1020050051437A KR 20050051437 A KR20050051437 A KR 20050051437A KR 100734369 B1 KR100734369 B1 KR 10073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creen
housing
pad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193A (ko
Inventor
서대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현상을 개선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며, 곡률을 가지는 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영상기기, 미러, 벤딩, 패드

Description

영상기기{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프로젝터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와 프레임의 결합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와 프레임과 패드의 분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와 프레임과 패드의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미러;
120: 스크린 131: 제 1 패드
132: 제 2 패드 140: 프레임
150: 프로젝터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현상을 개선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기는 미러(mirror)와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시키 는 프로젝터의 원리를 응용하여 대형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영상기기는 사용하는 프로젝터에 따라 분류가 되는데, 크게 PRT(CRT) 방식 프로젝터, LCD (Liquid Crystal Display)방식 프로젝터 그리고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등을 사용한다.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프로젝터는 PRT(CRT)방식이라 하여 작고 상당히 밝은 브라운관에서 원하는 화면을 만든 후에 이것을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PRT(CRT)가 하나인 1관식과 R(적색), G(녹색), B(청색) 3 개의 PRT(CRT)를 가지는 3관식이 있다.
요즘은 PRT(CRT)방식은 밝기가 떨어지고 PC 입력 시의 주파수에 따른 편향 조정의 어려움, 3관식의 경우 구조적인 단점에 의해서 발생하는 촛점(Convergence) 조정의 어려움 등등의 이유로 점점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이다.
LCD 방식은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가장 빠른 발전을 보여준 프로젝터로서 강력한 빛을 발하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을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전면 스크린에 상을 맺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LCD Projector에서 사용하는 소자가 LCD 패널인 만큼 LCD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서 프로젝터의 해상도가 결정되며, 입력 주파수 변화에 따른 편향의 변화 등이 없어서 PC 입력에 대하여 강한 면을 지닌다.
LCD 프로젝터 역시 저가형의 단판식과 고가형의 3판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초저가형을 제외하고는 3판식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해상도도 800x600, 1024x768, 1280x1024, 1366x768, 1366x1024 까지 등장하였고 가격대 및 밝기도 다양하게 존재 한다.
특히 3판식 LCD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패널을 통과한 빛의 프리즘을 통하여 광축을 일치시켜 하나의 광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만들어 준 다음 렌즈를 통과하므로 스크린 면과의 거리에 따른 촛점(Convergence) 조정의 어려움이 없어서 설치도 용이하고 기기의 크기도 PRT(CRT) 방식의 프로젝터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이점이 있으며, PRT(CRT) 형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당히 밝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존의 PRT(CRT) 방식에서처럼 자연스러운 색의 재현이나 높은 명암(Contrast)비 등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Gamma 특성이 PRT(CRT)에 비해서 좋지 않으므로 AV 매니아의 경우에는 여전히 PRT 방식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 PC 입력 호환성의 우수함, 작은 사이즈, 밝은 화면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체나 개인 사용자들이 LCD 프로젝터를 선호하고 있는 현실이다.
DLP 방식 프로젝터는 미국 Texas Instrument 사가 개발한 DMD칩(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한 완전히 새로운 투영방식의 프로젝터이다.
DMD란 간단히 말해서 미세구동거울을 집적한 반도체 광스위치이다.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1셀 마다의 위에 형성된 16 ㎛크기의 각 알루미늄합금 미세거울은 온/오프상태마다 ±10˚의 경사를 갖는다.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는 메모리의 정전계작용에 의해 지주에 설치된 미세거 울이 작동한다.
이 미세거울에 의하여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나가거나 반사되지 않거나 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누적치에 해당하는 밝기 만큼을 사람이 보게 되므로써 화면의 각 Pixel 당 밝음/어두움을 표현할 수가 있다.
역시 단판식과 3 판식의 두 종류가 있으며, 단판식의 경우에는 광원과 미세거울 사이에 R, G, B 필터가 장착된 원판이 있어서 R, G, B 각각이 비치는 타이밍에 소자는 R, G, B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3색 광원의 효과를 낸다.
단판식은 이렇게 시간축상에서 R, G, B 가 각각 시간을 나누어 사용해서 광효율이 떨어진다.
3 판식은 역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R, G, B 각각의 빛을 분리하여 3 색을 담당하는 소자에 각각 빛을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광효율이 뛰어나다.
각 미러의 스위칭 속도는 매초 50만회 이상이고, 팁에 입사한 빛은 디지털로 제어된다.
따라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인 LCD처럼 영상처리된 디지털신호를 D/A변환기를 거치고 Gamma 신호등을 변환하는 과정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여러 방식의 프로젝터에서 출력된 영상은 상기 미러에 의하여 스크린으로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영상기기가 대형화면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큰 크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은 상기 영상기기에 결합되었을 때, 중력에 의하여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휘어진 스크린에 영상이 투사되면, 상기 프로젝터에서 발산한 직선화면이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었을 때, 화면이 휘어지게되고 짤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현상이 개선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며, 곡률을 가지는 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 방향에 곡률의 중심이 놓이도록 벤딩(ben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미러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를 벤딩(bending)시키는 복수개의 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의 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의 상하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 1 패드 그리고 상기 제 1 패드가 위치하지 않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드는 상기 미러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미러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 2 패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기기는 하우징(100), 프로젝터(150), 스크린(120), 미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캐비닛과 하부 캐비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캐비닛과 하부 캐비닛은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하우징(100)은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로 구성되거나, 하부 캐비닛과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로 이루어지는 상부 캐비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영상신호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150)가 구비된다. 상기 프로젝터(15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 캐비닛에 구비된다.
상기 프로젝터(150)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로젝터(150)는 램프(151), 컬러 휠(154)(color wheel), 라이트 터널(153)(light wheel), 컨덴싱 렌즈(156))(condensing lens), DMD(158)(digital micro-mirror device), 프리즘(157) 그리고 프로젝션 렌즈(159)(projection lens)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상기 램프(151)는 빛을 출력하며, 이를 위하여 초고압방전 램프(151)로 주로 아크 램프(151)(arc lamp)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 램프(151)는 전극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전현상으로 빛을 내는 원리로 사용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빛은 전극과 전극 사이의 아크 갭(arc gap) 만큼의 길이를 갖는 광원이 된다.
상기 램프(151)에서 출력된 빛은 상기 라이트 터널(153)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램프(151)를 감싸는 리플렉터(152)(reflector)가 상기 램프(151)에서 출력된 빛을 상기 라이트 터널(153)로 집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이트 터널(153)은 내부가 반사체로 이루어진 터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막대 렌즈(rod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막대 렌즈에 대하여 설명하면, 막대 렌즈는 자그마하고 길쭉한 거울 4개를 서로 마주보게 접합한 일종의 거울 통로로서, 그것을 통과한 빛은 난반사 되어 그 밝기 분포가 균일(Uniform)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빛의 밝기를 고르게 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스크린(120)에 비추어지는 밝기를 고르게 하는 것과 같으며 프로젝션 스타일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아주 중요한 광학 부품이 된다.
상기 라이트 터널(153)을 통과한 빛은 볼록렌즈에 해당하는 상기 컨덴싱 렌즈(156)(condensing lens)에 도달하기 전에 색 분할을 위한 상기 컬러 휠(154)을 거치게 된다. 상기 컬러 휠(154)은 상기 라이트 터널(153)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컬러 휠(154)은 DC 모터(155) 축에 장착되고, RGB 필터가 형성된다. 상기 컬러 휠(154)은 360°를 3등분 하여 RGB filter를 붙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특정 색을 다른 색에 비해 더 넓게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휠(154)은 360 ° 한 바퀴에 RGB를 한 번씩 들어가게 할 수도 있고, 두 번씩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두 번씩 들어가게 되는 경우 각 세그먼트의 각도는 좁아지며, 대신 모터(155)의 회전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컬러 휠(154)을 통과한 빛은 상기 컨덴싱 렌즈(156)로 진행되며, 상기 컨덴싱 렌즈(156)는 볼록 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라이트 터널(153)과 상기 컬러 휠(154)을 통과한 빛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빛을 집속한다.
상기 컨덴싱 렌즈(156)를 통과한 빛은 프리즘(157)에서 반사되어서 DMD(158) 향하게 된다. 프리즘(157)은 유리를 예리하게 커팅(cutting)한 것으로 빛의 입사각에 따라 들어오는 빛이 전반사할 수도 있고, 투과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전반사하는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MD(158)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DMD(158)는 마이크로 미러(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DMD(158)는 각각의 미러(110)를 On해서 스크린(120) 쪽으로 비추게 할 것인 지, 아니면 OFF해서 스크린(120) 밖으로 빛을 버린다. 여기서, 각각의 미러(110)를 On/Off 하는 것은 영상 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영상 신호 각각의 픽셀(pixel)이 마이크로 미러(110)에 일 대 일로 매핑(mapping) 되어 해당 미러(110)를 On/OFF 제어하게 되며, 단순히 On또는 OFF 동작만 하는 미러(110)를 이용하여 해당 픽셀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해 On을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MD(158)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은 대형 스크린(120)에 투사되도록 빛을 광각으로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159)(projection lens)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DMD(158)를 사용하는 프로젝터(15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DMD(158)를 사용하는 프로젝터(150) 뿐만 아니라 LCos, LCD, CRT 등 어떤 프로젝터(150)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프로젝터(150)에서 출력된 영상이 맺히는 부분으로써,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2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사용자의 욕구에 의하여 다른 모양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즉, 상기 상부 캐비닛의 전면부 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20)은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두 장의 렌즈 시트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크린(120)은 프리넬 렌즈 시트(Fresnel Lens Sheet)와 렌티큘러 렌즈 시트(Lenticular Lens Sheet)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넬 렌즈 시트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젝션 렌즈(159)에서 출사된 빛을 시청자의 시청 방향으로 집광시켜 시청범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는 상기 프리넬 렌즈 시트에서 출사된 빛의 시야각을 넓게 키워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러(110)는 상기 프로젝터(150)와 상기 스크린(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120)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다.
한편,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중력에 의하여 가운데 부분이 상하 부분과 위상차이가 난다. 즉, 상기 스크린(120)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 또는 외부 방향으로 휘어진(bending)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자에게 왜곡 없이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110)는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120)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휘어져 있을 경우,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20)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휘어져 있을 경우,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곡률을 가진다.
한편, 도 3a에는 상기 미러(110)와 상기 미러(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40)의 결합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상기 미러(110)와 상기 프레임(140)과 상기 미러(110)를 벤딩시키는 복수개의 패드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c에는 상기 미러(110), 상기 프레임(14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3b 그리고 3c를 참조하여 상기 미러(110), 상기 프레임(14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미러(110)는 사각형의 형상, 보다 상세히 상변이 하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러(110)는 상기 스크린(120)의 후방에 위치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 내벽,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 캐비닛의 후측 내벽 또는 상기 백 커버의 내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미러(1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14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40)은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 내벽,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 캐비닛의 후측 내벽 또는 상기 백 커버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미러(110)를 지지한다. 물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브라켓 등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프레임(140)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러(110)가 곡율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110)와 상기 프레임(140) 사이에는 상기 미러(110)를 벤딩시키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110)의 전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미러(110)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 방향 또는 외부 방향으로 벤딩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110)와 상기 프레임(140)의 측부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110)의 측부 즉, 상기 미러(110)의 경사진 부분의 전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110)를 벤딩 시키기 위하여 제 1 패드(131)와 제 2 패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패드(131)는 상기 미러(110)와 상기 프레임(140) 사이 공간의 상하 부분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드(132)는 상기 제 1 패드(131)가 위치하지 않는 상기 미러(110)와 상기 프 레임(140)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패드(131)와 상기 제 2 패드(132)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비되어 상기 미러(110)를 벤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패드(131)가 상기 미러(110)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드(132)가 상기 미러(110)의 후방에 위치할 경우,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벤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패드(131)가 상기 미러(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드(132)가 상기 미러(110)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벤딩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120)은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패드(131)는 상기 미러(110)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패드(132)는 상기 미러(110)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패드(131)가 상기 미러(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드(132)가 상기 미러(1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미러(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영상기기마다 휘어짐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패드(131)와 상기 제 2 패드(132)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상기 미러(110)의 곡률을 조정하여, 상기 스크린(120)에 투사되는 영상이 왜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드(131)와 상기 제 2 패드(132)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 어져, 상기 미러(110)의 곡률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패드(131)의 두께가 상기 제 2 패드(132)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러(110)가 상기 프레임(140)에 결합될 때,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11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곡률을 가지는 미러를 제공하여, 화면 왜곡현상을 개선하며 과 핀 쿠션이 맞춰 사용자에게 높은 신뢰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된 모든 특정 형태를 포함한다.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상기 미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미러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를 벤딩(bending)시키는 복수개의 패드;를 포함하는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 방향에 곡률의 중심이 놓이도록 벤딩(ben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의 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의 상하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 1 패드; 그리고,
    상기 제 1 패드가 위치하지 않는 상기 미러와 상기 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미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는 상기 미러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미러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의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 2 패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상기 미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50051437A 2005-06-15 2005-06-15 영상기기 KR10073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7A KR100734369B1 (ko) 2005-06-15 2005-06-15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7A KR100734369B1 (ko) 2005-06-15 2005-06-15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93A KR20060131193A (ko) 2006-12-20
KR100734369B1 true KR100734369B1 (ko) 2007-07-03

Family

ID=3781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37A KR100734369B1 (ko) 2005-06-15 2005-06-15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9092A (ja) * 1989-02-08 1990-08-20 Sharp Corp 投写形ディスプレイ
KR920011250A (ko) * 1990-11-28 1992-06-27 강진구 슬림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JPH0787428A (ja) * 1993-09-14 1995-03-31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ー
KR20000001098U (ko) * 1998-06-19 2000-01-15 윤종용 곡면 거울형 프로젝션 티브이
KR20000055639A (ko) * 1999-02-09 2000-09-15 구자홍 후면투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9092A (ja) * 1989-02-08 1990-08-20 Sharp Corp 投写形ディスプレイ
KR920011250A (ko) * 1990-11-28 1992-06-27 강진구 슬림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JPH0787428A (ja) * 1993-09-14 1995-03-31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ー
KR20000001098U (ko) * 1998-06-19 2000-01-15 윤종용 곡면 거울형 프로젝션 티브이
KR20000055639A (ko) * 1999-02-09 2000-09-15 구자홍 후면투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93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3841B2 (ja) 液晶表示装置、並びに、かかる液晶表示装置を利用した電子黒板装置
US7611249B2 (en) Projector
JP2000112035A (ja) 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スクリーン
JP2007072031A (ja) プロジェクタ
KR100734369B1 (ko) 영상기기
US6208470B1 (en) Telecentric projection lens
KR100744520B1 (ko) 영상기기
KR100734367B1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JP2006098936A (ja) 投写型表示装置
JP4148571B2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KR100739559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782834B1 (ko)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JP200630864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70001425A (ko) 스크린 어셈블리
KR20060104156A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JP569577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黒板装置
JP2004354437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KR10066245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763394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JP4407345B2 (ja) 空間光変調装置
KR20060131192A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JP2003177352A (ja) 投写型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背面投写型表示装置
KR20070028898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20070081310A (ko) 프로젝션 시스템
KR20070083033A (ko) 영상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