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520B1 -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520B1
KR100744520B1 KR1020050095446A KR20050095446A KR100744520B1 KR 100744520 B1 KR100744520 B1 KR 100744520B1 KR 1020050095446 A KR1020050095446 A KR 1020050095446A KR 20050095446 A KR20050095446 A KR 20050095446A KR 100744520 B1 KR100744520 B1 KR 10074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ivot plate
shutter
shutter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105A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5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셔터를 조절하여 명암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는 램프, 빛을 모으거나 확대시키며 영상으로 변환하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빛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하는 제 1 및 제 2 셔터(shutter),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 서로 다른 방향인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셔터가 차단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기기, 명암비

Description

영상기기{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광학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셔터 및 구동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셔터 및 구동부의 또 다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상기기 471: 제 1 셔터
472: 제 2 셔터 480: 구동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기 중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미러(mirror)와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시키는 프로젝터의 원리를 응용하여 대형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최근에 새로운 기술로 대두되고 있는 마이크로 소자(Micro Device)로는 투과형 LCD(HTPS) 패널, 반사형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패널이 있으며, 마이크로 소자를 몇 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단판식, 2판식, 3판식으로 분류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프로젝터는 PRT(CRT)방식이라 하여 작고 상당히 밝은 브라운관에서 원하는 화면을 만든 후에 이것을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PRT(CRT)가 하나인 1관식과 R(적색), G(녹색), B(청색) 3 개의 PRT(CRT)를 가지는 3관식이 있다.
1관식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입자가 분리되어 보이므로 화면이 크면 입자가 구분되어 보이므로 돋보기로 브라운관을 확대해서 보는 것처럼 과히 보기가 좋지가 않으나 스크린까지의 거리에 따른 초점의 조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보통 밝기가 어둡고 해상도가 낮다.
3관식의 경우에는 R, G, B 빛을 각각 담당하는 PRT(CRT)관이 3 개가 존재하며, 이것들을 하나의 스크린상에 초점이 일치하도록 투사하여 색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는 좋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고, 밝기와 해상도 또한 더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PRT(CRT)가 광축이 동일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3 개의 광축이 일치하는 선상에서 스크린을 구성하고 거기에서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초점Convergence) 조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부피가 상당히 크다는 단점이 있다.
요즘은 밝기가 떨어지고 PC 입력 시의 주파수에 따른 편향 조정의 어려움, 3관식의 경우 구조적인 단점에 의해서 발생하는 초점(Convergence) 조정의 어려움 등등의 이유로 점점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이다.
LCD 프로젝터는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가장 빠른 발전을 보여준 프로젝터로서 강력한 빛을 발하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을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전면 스크린에 상을 맺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LCD 프로젝터에서 사용하는 소자가 LCD 패널인 만큼 LCD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서 프로젝터의 해상도가 결정되며, 입력 주파수 변화에 따른 편향의 변화 등이 없어서 PC 입력에 대하여 강한 면을 지닌다.
LCD 프로젝터 역시 저가형의 단판식과 고가형의 3판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초저가형을 제외하고는 3판식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해상도도 800x600, 1024x768, 1280x1024, 1366x768, 1366x1024 까지 등장하였고 가격대 및 밝기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3판식 LCD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패널을 통과한 빛의 프리즘을 통하여 광축을 일치시켜 하나의 광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만들어 준 다음 렌즈를 통과하므로 스크린 면과의 거리에 따른 초점(Convergence) 조정의 어려움이 없어서 설치도 용이하고 기기의 크기도 PRT(CRT) 방식의 프로젝터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이점이 있으며, PRT(CRT) 형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당히 밝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존의 PRT(CRT) 방식에서처럼 자연스러운 색의 재현이나 높은 명암비(Contrast Ratio) 등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Gamma 특성이 PRT(CRT)에 비해서 좋지 않으므로 AV 매니아의 경우에는 여전히 PRT 방식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 PC 입력 호환성의 우수함, 작은 사이즈, 밝은 화면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체나 개인 사용자들이 LCD 프로젝터를 선호하고 있는 현실이다.
DLP 방식 프로젝터는 미국 Texas Instrument 사가 개발한 DMD칩(Digital Micro mirror Device)를 사용한 완전히 새로운 투영방식의 프로젝터이다.
DMD란 간단히 말해서 미세구동거울을 집적한 반도체 광스위치이다.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1셀 마다의 위에 형성된 16 ㎛크기의 각 알루미늄합금 미세거울은 온/오프상태마다 ±10˚의 경사를 갖는다.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는 메모리의 정전계작용에 의해 지주에 설치된 미세거울이 작동한다.
이 미세거울에 의하여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나가거나 반사되지 않거나 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누적치에 해당하는 밝기 만큼을 사람이 보게 됨으로써 화면의 각 Pixel 당 밝음/어두움을 표현할 수가 있다.
역시 단판식과 3 판식의 두 종류가 있으며, 단판식의 경우에는 광원과 미세거울 사이에 R, G, B 필터가 장착된 원판이 있어서 R, G, B 각각이 비치는 타이밍에 소자는 R, G, B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3색 광원의 효과를 낸다.
단판식은 이렇게 시간축상에서 R, G, B 가 각각 시간을 나누어 사용해서 광효율이 떨어진다.
3 판식은 역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R, G, B 각각의 빛을 분리하여 3 색을 담당하는 소자에 각각 빛을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광효율이 뛰어나다.
각 미러의 스위칭 속도는 매초 50만회 이상이고, 팁에 입사한 빛은 디지털로 제어된다.
따라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인 LCD처럼 영상처리된 디지털신호를 D/A변환기를 거치고 Gamma 신호등을 변환하는 과정이 불필요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영상기기는 램프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한다. 상기 램프는 아크 방전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휘도가 높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의 휘도가 너무 높으므로 밝은 영상을 잘 표현하지만, 어두운 영상에 대한 표현능력이 떨어져 결국, 영상기기의 명암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방향으로 셔터를 조절하여 명암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는 램프, 빛을 모으거나 확대시키며 영상으로 변환하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빛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하는 제 1 및 제 2 셔터(shutter),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 서로 다른 방향인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셔터가 차단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셔터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일측에 돌출되는 핀이 형성되는 제 1 피벗 플레이트,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 2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셔터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 2 피벗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 1 핀 그리고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핀과 간섭되는 제 2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영상기기 중 DLP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영상기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LCD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영상기기 등 램프를 사용하는 모든 영상기기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스크린(200), 상기 스크린(200)에 영상을 투사하는 광학 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영상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커버(110)와 백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케이스(10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 캐비닛과 하부 캐비닛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 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시청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200)과 상기 광학 유닛(400) 사이에는 미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러(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 내벽, 좀더 상세히 상기 백 커버(120)의 내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비디오 테이프 또는 디비디(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는 광학 유닛(4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 유닛(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광학 유닛(400)은 시청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 유닛(4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학 유닛(400)은 상기 램프(410)에서 출력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빛을 모으거나 확대시키며 영상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장치(400)는 램프(410), 라이트 터널(420), 컨덴싱 렌즈(440), 프리즘(450), DMD(460), 프로젝션 렌즈(490),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두개의 셔터(471, 472) 그리고 상기 셔터(471, 47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410)는 빛을 출력하며, 이를 위하여 초고압방전 램프로 주로 아크 램프(arc lamp)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 램프는 전극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전현상으로 빛을 내는 원리로 사용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빛은 전극과 전극 사이의 아크 갭(arc gap) 만큼의 길이를 갖는 광원이 된다. 물론, 상기 램프(410)는 LED로 이루어지는 등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410)는 빛을 집속하는 리플렉터(411)(reflector)로 감싸진다. 상기 리플렉터(411)에 의하여 집속된 빛은 상기 라이트 터널(420)로 이동된다.
상기 라이트 터널(420)은 내부가 반사체로 이루어진 터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막대 렌즈(rod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막대 렌즈에 대하여 설명하면, 막대 렌즈는 자그마하고 길쭉한 거울 4개를 서로 마주보게 접합한 일종의 거울 통로로서, 그것을 통과한 빛은 난반사되어 그 밝기 분포가 균일(Uniform)하게 된다. 빛의 밝기를 고르게 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스크린(200)에 비추어지는 밝기를 고르게 하는 것과 같으며 프로젝션 스타일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아주 중요한 광학 부품이 된다.
상기 라이트 터널(420)을 통과한 빛은 볼록렌즈에 해당하는 상기 컨덴싱 렌즈(440)(condensing lens)에 도달하기 전에 색 분할을 위한 상기 컬러 휠(430)을 거치게 된다. 상기 컬러 휠(410)은 상기 라이트 터널(420)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컬러 휠(430)은 DC 모터(431) 축에 장착되고, RGB 필터가 형성된다. 상기 컬러 휠(430)은 360°를 3등분 하여 RGB filter를 붙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특정색을 다른 색에 비해 더 넓게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휠(430)은 360 ° 한 바퀴에 RGB를 한 번씩 들어가게 할 수도 있고, 두 번씩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두 번씩 들어가게 되는 경우 각 세그먼트의 각도는 좁아지며, 대신 상기 DC 모터(431)의 회전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컬러 휠(430)을 통과한 빛은 상기 컨덴싱 렌즈(440)로 진행되며, 상기 컨덴싱 렌즈(440)는 볼록 렌즈로 이루어져 상기 라이트 터널(420)과 상기 컬러 휠(430)을 통과한 빛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빛을 집속한다.
상기 컨덴싱 렌즈(440)를 통과한 빛은 프리즘(450)에서 반사되어서 DMD(460) 향하게 된다. 프리즘(450)은 유리를 예리하게 커팅(cutting)한 것으로 빛의 입사각에 따라 들어오는 빛이 전반사할 수도 있고, 투과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전반사하는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MD(4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DMD(460)는 마이크로 미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DMD(460)는 각각의 미러를 ON/OFF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미러를 On/Off 하는 것은 영상 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영상 신호 각각의 픽셀(pixel)이 마이크로 미러에 일 대 일로 매핑(mapping) 되어 해당 미러를 On/OFF 제어하게 되며, 단순히 On또는 OFF 동작만 하는 미러를 이용하여 해당 픽셀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해 On을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MD(460)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은 대형 스크린(200)에 투사되도록 빛을 광각으로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490)(projection lens)를 통과하게 된다.
도 3과 도 4에는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와 구동부 어셈블리(48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는 상기 프로젝션 렌즈(490) 내부 또는 상기 프로젝션 렌즈(490) 전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는 상기 빛이 통과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어,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즉,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는 빛의 구경(aperture)을 조절한다.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480)는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48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 중 어느 하나의 셔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 1 샤프트(48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샤프트(481)와 상기 어느 하나의 셔터를 연결하는 제 1 피벗 플레이트(48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8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두개의 셔터(471, 472) 중 다른 하나의 셔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 2 샤프트(4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샤프트(482)와 상기 다른 하나의 셔터를 연결하는 제 2 피벗 플레이트(48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485)의 동력을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86)가 구비된다.
여기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셔터를 제 1 셔터(471),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와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셔터를 제 2 셔터(472)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상기 제 1 셔터(471),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와 상기 제 2 셔터(47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5)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제 1 샤프트(48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부(485)는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에 형성되는 전자기석(485a)과 상기 전자기석(485a)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자석(48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석(485a)에 전류가 흘러 자성을 띄게되어,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가 상기 제 1 샤프트(481)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는 상기 제 1 샤프트(48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는 상기 제 2 샤프트(48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셔터(472)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력전달부(486)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86)는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485)의 동력을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로 전달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86)는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섭하는 핀(486a, 486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설명을 쉽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1)에 형성되는 핀을 제 1 핀(486a),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에 형성되는 핀을 제 2 핀(486b)이라 칭한다.
상기 제 1 핀(486a)과 상기 제 2 핀(486b)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핀(486a)이 상기 제 2 핀(486b)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셔터(471), 제 2 셔터(472), 구동부 어셈블리(485) 그리고 동력전달부(486)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제 1 셔터(471)와 상기 제 2 셔터(472)가 빛을 차단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 핀(471)과 상기 제 2 핀(472)은 서로 간섭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85)가 작동하여,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셔터(471)는 빛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핀(486a)은 상기 제 2 핀(486b)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핀(486b)이 형성되는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도 같이 회전하므로, 상기 제 2 셔터(472)도 회전되어 빛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셔터(471)는 메인 셔터로서 빛을 제 2 셔터(472)보다 많이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핀(486a)과 상기 제 2 핀(486b)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제 1 셔터(471)와 상기 제 2 셔터(47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셔터(471)가 빛을 일정 정도 이상 차단했을 때, 상기 제 2 셔터(472)가 이동하여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471)이 상기 제 2 핀(472)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퍼(487)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487)는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2 셔터(472)가 빛을 소정 정도 이상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빛을 차단하지 않아야 할 상황이 되면, 상기 구동부(485)는 상기 제 1 셔터(471)가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와 상기 제 1 셔터(47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셔터(471)가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485)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 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483)를 상기 제 1 셔터(471)가 빛을 차단하지 않는 방향으로 항상 회전시키는 판 스프링(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2 셔터(472)는 빛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셔터(472)가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484)를 항상 상기 제 2 셔터(472)가 빛을 차단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셔터(471)와 상기 제 2 셔터(472)는 평소에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485)에 의하여 이동되어 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영상에 따라서 차단하는 빛의 양이 달라져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셔터들(471, 472)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샤프트(481), 제 2 샤프트(482), 자석(485b), 등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88)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적어도 두개의 셔터를 사용하여 빛의 통과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된 모든 특정 형태를 포함한다.

Claims (3)

  1. 빛을 출력하는 램프;
    빛을 모으거나 확대시키며 영상으로 변환하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빛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하는 제 1 및 제 2 셔터(shutter);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 서로 다른 방향인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셔터가 차단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셔터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일측에 돌출되는 핀이 형성되는 제 1 피벗 플레이트;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 2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셔터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 2 피벗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부의 동력을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 1 피벗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 1 핀; 그리고
    상기 제 2 피벗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핀과 간섭되는 제 2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50095446A 2005-10-11 2005-10-11 영상기기 KR100744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46A KR100744520B1 (ko) 2005-10-11 2005-10-11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46A KR100744520B1 (ko) 2005-10-11 2005-10-11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05A KR20070040105A (ko) 2007-04-16
KR100744520B1 true KR100744520B1 (ko) 2007-08-01

Family

ID=3817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446A KR100744520B1 (ko) 2005-10-11 2005-10-11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5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268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과 이를 가지는 프로젝션장치 및 프로젝션장치의광학엔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268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과 이를 가지는 프로젝션장치 및 프로젝션장치의광학엔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05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843B2 (ja) 画像表示装置
EP1501290B1 (en) Image projector
US7095547B2 (en) Multiple beam-directing micromirror device
US8264599B2 (en) Laptop with pivotal camera and micro-projector and screen as a replacement of display
WO2003032048A1 (fr) Dispositif d'affichage de projections et dispositif de projection par transparence utilisant ce dispositif d'affichage
JP2007206343A (ja) 光学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4679947B2 (ja) プロジェクタ
KR100441506B1 (ko) 영상투사장치
KR100744520B1 (ko) 영상기기
JP2007072031A (ja) プロジェクタ
KR20060104156A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KR100734367B1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KR100734369B1 (ko) 영상기기
KR100782834B1 (ko)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JP3972708B2 (ja) 照明装置ならびに投射型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0739559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66245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1873748B1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JP2006098936A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80034275A (ko) 영상기기의 프리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459176B1 (ko) 단판식 lcos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092917A (ko) 광학 시스템
KR100763394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20070001425A (ko) 스크린 어셈블리
KR20070081310A (ko) 프로젝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