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34B1 -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34B1
KR100782834B1 KR1020060006295A KR20060006295A KR100782834B1 KR 100782834 B1 KR100782834 B1 KR 100782834B1 KR 1020060006295 A KR1020060006295 A KR 1020060006295A KR 20060006295 A KR20060006295 A KR 20060006295A KR 100782834 B1 KR100782834 B1 KR 10078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terminal
unit
signal
power requ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870A (ko
Inventor
정진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상기 프로젝션부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터에 전원 공급수단을 내장하여,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별도의 전원아답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LCD 모니터와 같은 큰 부피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젝터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Projector for supporting the power of another devices}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에 연결되는 노트북 PC의 전원 연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배치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한 일예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등의 각종 영상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상에 나타내주는 장비로서 일종의 진보된 환등기이다.
빔프로젝터라고 불리던 3관식 프로젝터와는 달리 현재의 LCD 및 DLP 프로젝터는 설정이 필요없이 각종 영상기기를 연결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최적의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근래에 기업의 프리젠테이션 및 가정의 홈씨어터용으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와 함께 사용되는 노트북 PC의 전원 연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배치도다.
도 1에서와 같이, 노트북 PC(100)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베터리가 방전된 경우, 노트북 PC(100)와 전원아답터(110)를 연결하고, 전원아답터(110)에 연결된 플러그(111)를 콘센트에 연결해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프로젝터를 연결하여 프리젠테이션 등을 하고자 할 때, 휴대용 단말기와 프로젝터 각각에 별도의 전원이 연결되어야 하고, 프로젝터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LCD모니터)을 휴대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젝터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하지 않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로젝터에 전원 공급수단을 내장하여,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별도의 전원아답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LCD 모니터와 같은 큰 부피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의 설치 및 관리 가 용이한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상기 프로젝션부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로젝터의 종류는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로, PRT(CRT) 방식 프로젝터가 있다.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프로젝터는 PRT(CRT)방식이라 하여 작고 상당히 밝은 브라운관에서 원하는 화면을 만든 후에 이것을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PRT(CRT)가 하나인 1관식과 R(적색), G(녹색), B(청색) 3 개의 PRT(CRT)를 가지는 3관식이 있다.
1관식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입자가 분리되어 보이므로 화면이 크면 입자가 구분되어 보이므로 돋보기로 브라운관을 확대해서 보는 것처럼 과히 보기가 좋지가 않으나 스크린면까지의 거리에 따른 촛점의 조정이 용이한 잇점이 있고, 보통 밝기가 어둡고 해상도가 낮다.
3관식의 경우에는 R, G, B 빛을 각각 담당하는 PRT(CRT)관이 3 개가 존재하며, 이것들을 하나의 스크린상에 촛점이 일치하도록 투사해 주므로써 색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는 좋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고, 밝기와 해상도 또한 더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PRT(CRT)가 광축이 동일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3 개의 광축이 일치하는 선상에서 스크린면을 구성하고 거기에서 촛점을 맞추어야 되는 Convergence 조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부피가 상당히 크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 LCD (Liquid Crystal Display)방식 프로젝터가 있다. LCD Projector는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가장 빠른 발전을 보여준 프로젝터로서 강력한 빛을 발하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을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전면스크린에 상을 맺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LCD Projector에서 사용하는 소자가 LCD 패널인만큼 LCD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서 프로젝터의 해상도가 결정되며, 입력 주파수 변화에 따른 편향의 변화 등이 없어서 PC 입력에 대하여 강한 면을 지닌다.
LCD 프로젝터 역시 저가형의 단판식과 고가형의 3판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초저가형을 제외하고는 3판식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해상도도 800x600, 1024x768, 1280x1024, 1366x768, 1366x1024 까지 등장하였고 가격대 및 밝기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3판식 LCD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패널을 통과한 빛의 프리즘을 통하여 광축을 일치시켜 하나의 광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만들어 준 다음 렌즈를 통과하므로 스크린면과의 거리에 따른 촛점, Convergence 조정의 어려움이 없어서 설치도 용이하고 기기의 크기도 PRT(CRT) 방식의 프로젝터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잇점이 있으며, PRT(CRT) 형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당히 밝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존의 PRT(CRT) 방식에서처럼 자연스러운 색의 재현이나 높은 Contrast 비 등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Gamma 특성이 PRT(CRT)에 비해서 좋지 않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 PC 입력 호환성의 우수함, 작은 사이즈, 밝은 화면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체나 개인 사용자들이 LCD 프로젝터를 선호하고 있는 현실이다.
셋째로,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가 있다. DLP 방식 프로젝터는 미국 Texas Instrument 사가 개발한 DMD칩(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한 완전히 새로운 투영방식의 프로젝터이다.
DMD란 간단히 말해서 미세구동거울을 집적한 반도체 광스위치이다.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1셀마다의 위에 형성된 16 ㎛크기의 각 알루미늄합금 미세거울은 온/오프상태마다 ±10˚의 경사를 갖는다.
바로밑에 배치되어 있는 메모리의 정전계작용에 의해 지주에 설치된 미세거울이 작동한다. 이 미세거울에 의하여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나가거나 반사되지 않거나 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누적치 에 해당하는 밝기만큼을 사람이 보게 되므로써 화면의 각 Pixel 당 밝음/어두움을 표현할 수가 있다.
역시 단판식과 3 판식의 두 종류가 있으며, 단판식의 경우에는 광원과 미세거울 사이에 R, G, B 필터가 장착된 원판이 있어서 R, G, B 각각이 비치는 타이밍에 소자는 R, G, B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처리해 주므로써 3색 광원의 효과를 낸다. 단판식은 이렇게 시간축상에서 R, G, B 가 각각 시간을 나누어 사용해서 광 효율이 떨어진다.
3 판식은 역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R, G, B 각각의 빛을 분리하여 3 색을 담당하는 소자에 각각 빛을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광효율이 뛰어나다.
각 미러의 스위칭 속도는 매초 50만회 이상이고, 팁에 입사한 빛은 디지털로 제어된다.
따라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인 LCD 처럼 영상처리된 디지털신호를 D/A변환기를 거치고 Gamma 신호등을 변환하는 과정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액정(LCD)방식과 비교했을때 DLP방식은 다음의 장점들을 가진다. 첫째, 완전한 디지털 방식이므로 색 재현성이 좋다. 둘째, Contras ratio(조도비)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동일한 밝기의 LCD 프로젝터와 비교했을 때 훨씬 밝 고 선명하게 보인다. 셋째, D/A 변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출력측에서의 노이즈의 영향이 없어 화면상태가 매우 깨끗하고 디지털 제어를 하는 소자이기때문에 부가적인 신호의 보정이 필요없이 디지털신호를 원화면 그대로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 넷째, LCD 프로젝터에서는 결정의 각도에 따른 편광의 투과율을 조절하므로써 빛의 투과율을 변화시키 므로 필연적으로 편광필터등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손실이 있으나, DLP소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빛의 손실이 없기 때문에 보다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완전한 실리콘 디바이스(Device)이므로 내구성이 뛰어나다. 여섯째, LCD 및 PDP 에 비해서 소자의 동작 속도가 빨라서 동화상에서 보다 부드럽고 유연하게 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200)의 블럭도이다.
신호수신부(210)는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는 노트북 PC, PDA, PMP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젝션부(230)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한다.
전원제어부(220)는 프로젝션부(220)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신호수신부(210)에 연결된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도 3a는 도 2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신호수신부(310)는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수신부(310)는 단말기와 도킹(docking) 방식으로 결합되고, 결합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신호수신부(310)에 연결된 도킹수단(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330)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프로젝션부(3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원부(331), 광스위치(332) 및 랜즈부(333)를 포함한다. 광원부(331)는 소정의 빛을 발생시킨다. 광스위치(332)는 광원부(331)에 의한 빛이 반사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미세구동거울을 포함하고, 이러한 미세구동거울을 이용하여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 를 출력한다. 랜즈부(333)는 광스위치(332)에 의한 광학적 이미지가 외부의 반사면에 또렷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촛점을 조절한다.
전원제어부(320)는 프로젝션부(330)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신호수신부(310)에 연결된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제어부(320)는 교류 입력부(321), 정류기(322), 베터리(323), 내부출력수단(324) 및 외부출력수단(325)를 포함한다.
교류입력부(321)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류를 수신한다. 정류기(322)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류를 출력한다. 베터리(323)는 정류기(322)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로부터 소정의 전하량을 축적한다. 바람직하게는, 베터리(323)는 미리 충전된 착탈식 베터리일 수 있다.
내부출력수단(324)은 베터리(323)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프로젝션부(330)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출력수단(324)는 베터리(323)에 관계없이, 정류기(32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프로젝션부(330)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내부출력수단(324)은 광원부(331)의 동작을 위한 전력, 광스위치(332)의 제어를 위한 전력을 전송한다.
외부출력수단(325)은 베터리(323)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미도시)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출력수단(325)는 베터리(323)에 관계없이, 정류기(322)에 서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미도시)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신호수신부(310)는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수신부(310)는 단말기와 도킹(docking) 방식으로 결합되고, 결합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신호수신부(310)에 연결된 도킹수단(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335)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프로젝션부(3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램프(336), 액정패널(337) 및 랜즈부(338)를 포함한다. 램프(336)는 소정의 빛을 발생시킨다. 액정패널(337)은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고, 램프(336)에 의해 발생된 빛을 통과시킨다. 랜즈부(338)는 액정패널(337)을 통과한 빛이 외부의 반사면에 또렷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촛점을 조절한다.
전원제어부(320)는 프로젝션부(335)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신호수신부(310)에 연결된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제어부(320)는 교류 입력부(321), 정류기(322), 베터리(323), 내부출력수단(324) 및 외부출력수단(325)를 포함한다.
교류입력부(321)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류를 수신한다. 정류기(322)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류를 출력한다. 베터리(323)는 정류 기(322)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로부터 소정의 전하량을 축적한다. 바람직하게는, 베터리(323)는 미리 충전된 착탈식 베터리일 수 있다.
내부출력수단(324)은 베터리(323)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프로젝션부(335)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출력수단(324)는 베터리(323)에 관계없이, 정류기(32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프로젝션부(335)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내부출력수단(324)은 램프(336)의 동작을 위한 전력, 액정패널(337)의 제어를 위한 전력을 전송한다.
외부출력수단(325)은 베터리(323)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미도시)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출력수단(325)는 베터리(323)에 관계없이, 정류기(32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미도시)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410)를 휴대용 단말기(400)와 연결한 일예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휴대용 단말기(400)는 노트북 PC, PDA, PMP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전용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410)는 베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수단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400)를 위한 별도의 전원아답터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한, 위와 같은 베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에도, 프로젝터(410)에 연결된 전원아답터(410) 및 플러그(411)를 이용하여 프로젝터(410) 및 휴대용 단말기(400)에 각각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LCD 모니터와 같은 큰 부피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프로젝터(410)에 의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터에 전원 공급수단을 내장하여,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별도의 전원아답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LCD 모니터와 같은 큰 부피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프로젝터와 연결된 단말기를 위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젝터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상기 프로젝션부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단말기와 도킹(docking)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소정의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빛이 반사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미세구동거울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용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소정의 전하량을 축적하는 베터리;
    상기 베터리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션부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내부 출력수단; 및
    상기 베터리에 저장된 전하량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외부 출력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류를 수신하는 교류입력부;
    상기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류를 출력하는 정류기;
    상기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션부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내부 출력수단; 및
    상기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외부 출력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KR1020060006295A 2006-01-20 2006-01-20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KR10078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295A KR100782834B1 (ko) 2006-01-20 2006-01-20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295A KR100782834B1 (ko) 2006-01-20 2006-01-20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870A KR20070076870A (ko) 2007-07-25
KR100782834B1 true KR100782834B1 (ko) 2007-12-06

Family

ID=3850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295A KR100782834B1 (ko) 2006-01-20 2006-01-20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605B1 (ko) * 2014-08-11 2016-09-08 주식회사 에펠텍 휴대 단말기와 통신되는 빔 프로젝터가 내장된 무선 스피커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76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069997A (ja) * 2002-08-06 2004-03-04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並びにプロジェクタ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50031712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 전력선 통신 기능을 갖는 프로젝터
JP2006011346A (ja) * 2004-06-25 2006-01-12 Plus Vision Corp ドッキング型画像投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76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069997A (ja) * 2002-08-06 2004-03-04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並びにプロジェクタ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50031712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 전력선 통신 기능을 갖는 프로젝터
JP2006011346A (ja) * 2004-06-25 2006-01-12 Plus Vision Corp ドッキング型画像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870A (ko)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599B2 (en) Laptop with pivotal camera and micro-projector and screen as a replacement of display
US20050190140A1 (en) Gradation control device, optical display device, gradation control program, optical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method of controlling grad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display device
TW200424736A (en) Compact integrated front projection system
KR100782834B1 (ko) 전원을 공급하는 프로젝터
US20050219470A1 (en) Digital light projector (DLP)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H1141615A (ja) 液晶投写型ディスプレイ
JP3968853B2 (ja) 画像表示装置
McLAughlin Progress in projection and large-area displays
US11531255B2 (en) Projector, projectio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KR20060104156A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CN203275867U (zh) 一种投影机
KR100744520B1 (ko) 영상기기
KR100629529B1 (ko) 프로젝터의 화면 밝기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734367B1 (ko) 명암비를 향상시킨 영상기기
KR100734369B1 (ko) 영상기기
KR100763394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Brennesholtz The evolution of projection displays: From mechanical scanners to microdisplays
KR10066245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821736B1 (ko)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1450B1 (ko) 투사 광학계
KR20070028650A (ko) 램프 기동 장치 및 방법
Park Development of a network/multimedia projector system
KR101017150B1 (ko) 프로젝터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546605B1 (ko) 레이저 프로젝션 시스템
KR100482318B1 (ko) 후면 투사장치의 컬러 스크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