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702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702B1
KR100733702B1 KR1020060082426A KR20060082426A KR100733702B1 KR 100733702 B1 KR100733702 B1 KR 100733702B1 KR 1020060082426 A KR1020060082426 A KR 1020060082426A KR 20060082426 A KR20060082426 A KR 20060082426A KR 100733702 B1 KR100733702 B1 KR 10073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polysilicon layer
region
trench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표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 H01L27/07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72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H01L27/073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in combination with capaci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1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using etching to form a recess at the gate 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게이트 전극과 PIP 커패시터의 단차가 없으며, 그 결과 컨택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식각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 단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PIP 커패시터, 폴리 실리콘, 게이트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에 의한 PIP 커패시터 및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 트렌치 250....... 제 1 폴리 실리콘층
260...... 유전막 층 270....... 제 2 폴리 실리콘층
본 발명은 PIP(Polysilicon/Insulator/Polysilicon) 커패시터 및 모스(MOS : Metal Oxide Silicon)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IP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 영역간의 단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소자의 아날로그 회로(예컨대 CMOS 로직)에서 사용되는 커패시터는 주로 PIP와 MIM(Metal/Insulator/Metal)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는 MOS형 커패시터나 정션 커패시터(junction capacitor)와는 달리 바이어스에 독립적이므로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도 PIP 커패시터는 노이즈 방지, 주파수 변조 등 널리 이용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PIP 커패시터는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 유전체막(insulator), 그리고 상부 전극(top electrode)으로 구성되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상부에는 콘택을 통해 금속 배선이 연결되어 다른 소자들과 접속된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기술에 의해 PIP 커패시터가 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집적화된 반도체 소자가 등장하였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에 의한 PIP 커패시터 및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절연막(120)을 상부에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0)상에 제1 폴리실리콘막(130)이 적층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막(130)은 노광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커패시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하부막(130a)과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게이트 폴리(130b)로 패터닝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상에 유전체막(140)이 기판상에 적층된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터의 유전체막(140)은 ONO막이 사용된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상에 제 2 폴리 실리콘막이 적층된 후 패터닝된 다. 그 결과 상기 유전체막(140)상에 제 2 폴리 실리콘막(1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폴리실리콘(130a), 유전체막(140), 제 2 폴리실리콘(150)으로 구성된 PIP 커패시터가 완성된다.
도 1e를 참조하면, 이후 기판상에 절연막(170)이 적층된 후 상기 절연막(170)에 PIP 커패시터의 컨택트(180a, 180b)들과 게이트의 컨택트(180c, 180d)들이 형성된다.
도 1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IP 커패시터(160)와 게이트 (130b)간에 서로 대응되는 컨택트(180a와 180c 및 180b 및 180d)는 상기 PIP 커패시터(160)가 가지는 높이의 차이때문에 일정한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는 상기 도 1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식각을 하는 경우 플라즈마에 의한 소자의 손상이 발생하고 층간 절연막이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IP 커패시터와 게이트의 단차가 줄어든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 영역으로 구분된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활성 영역 상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과 이격되며, 상기 활성 영역이 식각된 반도 체 기판 일부 영역에 대하여 폴리 실리콘층이 매립되어 형성된 제 1 폴리 실리콘막과, 상기 기판상에 적층된 제 1 폴리 실리콘 막상에 적층된 유전체 막, 및 상기 유전체 막 상에 폴리 실리콘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제 2 폴리 실리콘 층을 포함한다.
상술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라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자 분리 영역과 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 기판에 대하여, 상기 활성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일부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를 제 1 폴리 실리콘 층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 층 및 기판상에 유전체 막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막 상에 제 2 폴리 실리콘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영역 및 상기 트렌치 영역과 이격된 반도체 기판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제 2 폴리실리콘을 남기고 나머지 제 2 폴리 실리콘을 제거하여 트렌치 영역 상에 PIP 커패시터와 상기 트렌치 영역과 이격된 상기 일부 영역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 형태로 매립되는 제 1 폴리 실리콘막은 PIP 커패시터의 전체 높이를 낮추게 된다. 그 결과 게이트 전극과 PIP 커패시터가 가지는 단차가 없어지므로 추후 컨택트를 형성하는 공정의 신뢰성 및 소자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 영역(STI, 220)과 활성 영역(active area, 210)으로 분리된 반도체 기판이 개시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활성 영역(210)의 일부 영역을 일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230)를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포토 레지스트(도시하지 않음)가 적층된 후 패터닝된다. 상기 패터닝 결과로 식각의 대상이 되는 기판의 일부 영역(230)은 노출된다.
이후 상기 영역(230)에 대하여 건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트렌치(230)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의 깊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렌치의 깊이는 3800 내지 4200Å가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폴리 실리콘 막의 두께와 대응하여 커패시터의 성능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제 1 폴리 실리콘 막의 두께이고, 또한 상기 깊이의 조절을 통하여 게이트 전극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도 2c를 살펴보면, 상기 트렌치(230)에 제 1 폴리 실리콘 층(250)이 매립된다.
상기 공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 1 폴리 실리콘 층이 트렌치(230) 뿐만 아니라 기판상에도 적층된다.
이후 기판상의 폴리 실리콘층은 에치백(etch-back)공정으로 제거되고 그 결과 트렌치(230)에만 적층된 제 1 폴리 실리콘 층(250)이 남게 된다.
도 2d를 살펴보면, 상기 공정 이후, 기판 및 제 1 폴리 실리콘 층(250)상에 유전막 층(260)이 형성된 후 상기 유전막 층(260)상에 제 2 폴리 실리콘 층(270)이 적층된다.
상기 유전막 층(260)은 PIP 커패시터의 내부 유전막(insulator)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폴리 실리콘 층(250)은 PIP 커패시터의 상부 폴리 실리콘 뿐만 아니라 게이트 전극의 게이트 폴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전막 층(26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막 층(260)은 ONO를 포함한다.
도 2e를 살펴보면, 상기 제 2 폴리 실리콘 층(270)은 선택 식각되어 트렌치 영역상의 제 2 폴리 실리콘(270b)이 남게 된다. 트렌치 영역의 상기 제 2 폴리 실리콘(270b)는 하부의 제 1 폴리 실리콘(250), 유전체 막(260)으로 구성된 PIP 커패시터(28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트렌치 영역과 이격된 기판상의 일부 영역에도 제 2 폴리 실리콘 층(270a)는 남게 되고, 이는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과 PIP 커패시터는 높이의 차이가 없으므로, 식각되는 컨택트 홀 역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높이의 컨택트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즈마로 식각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과도한 플라즈마의 사용에 의한 소자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문제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의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IP 커패시터와 게이트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상기 PIP 커패시터 및 게이트의 컨택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자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막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Claims (8)

  1.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 영역으로 구분된 반도체 기판;
    상기 활성 영역 상의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이격되며, 상기 활성 영역이 식각된 반도체 기판 일부 영역에 대하여 폴리 실리콘층이 매립되어 형성된 제 1 폴리 실리콘막;
    상기 기판상에 적층된 제 1 폴리 실리콘 막상에 적층된 유전체 막; 및
    상기 유전체 막 상에 폴리 실리콘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제 2 폴리 실리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 실리콘 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막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3800 내지 4200Å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ONO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소자 분리 영역과 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 기판에 대하여,
    상기 활성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일부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제 1 폴리 실리콘 층으로 매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 층 및 기판상에 유전체 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막 상에 제 2 폴리 실리콘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영역 및 상기 트렌치 영역과 이격된 반도체 기판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제 2 폴리실리콘을 남기고 나머지 제 2 폴리 실리콘을 제거하여 트렌치 영역 상에 PIP 커패시터와 상기 트렌치 영역과 이격된 상기 일부 영역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ONO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기판으로부터 3800 내지 4200Å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PIP 커패시터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20060082426A 2006-08-29 2006-08-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26A KR100733702B1 (ko) 2006-08-29 2006-08-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26A KR100733702B1 (ko) 2006-08-29 2006-08-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702B1 true KR100733702B1 (ko) 2007-06-28

Family

ID=3837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426A KR100733702B1 (ko) 2006-08-29 2006-08-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224B1 (en) 2001-07-16 2002-12-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Buried PIP capacitor for mixed-mode pro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224B1 (en) 2001-07-16 2002-12-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Buried PIP capacitor for mixed-mode process
US20030036228A1 (en) 2001-07-16 2003-02-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Buried PIP capacitor for mixed-mode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658B1 (ko)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US9263452B2 (en) Reservoir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TW201921534A (zh) 半導體裝置的製作方法
KR100833180B1 (ko) St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61291A1 (en) Capacitor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3370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787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13840A (ko)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582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15378B1 (ko)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41983B1 (ko) 이중 다마신 구조를 갖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및그 제조 방법
TWI770756B (zh) 埋入式字元線結構及其製造方法
KR10079827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9205A (ko) Mim 커패시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 및 방법
KR19990076226A (ko) 디램 셀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0000387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8173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016649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835463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940112B1 (ko) 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587660B1 (ko) 반도체 소자의 컨택 홀형성방법
KR20120057462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641984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9990012265A (ko)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KR20030011706A (ko) 고주파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