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04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04B1
KR100732104B1 KR1020057000923A KR20057000923A KR100732104B1 KR 100732104 B1 KR100732104 B1 KR 100732104B1 KR 1020057000923 A KR1020057000923 A KR 1020057000923A KR 20057000923 A KR20057000923 A KR 20057000923A KR 100732104 B1 KR100732104 B1 KR 100732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oltage
pixel
driver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618A (ko
Inventor
세이지 가와구찌
겐지 나까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02F1/1395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OCB]- cells or PI-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8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related to liquid crystal pixels
    • G09G2300/0482Use of memory effects in nematic liquid crystals
    • G09G2300/0486Cholesteric liquid crystals, including chiral-nematic liquid crystals, with transitions between focal conic, planar, and homeotropic st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8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related to liquid crystal pixels
    • G09G2300/0491Use of a bi-refringent liquid crystal, opt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OCB] with bend and splay states, or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ECB] for controlling the col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의 표시 화면의 얼룩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그 프로그램, 매체를 제공한다.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1)과, 액정층(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2)와, 드라이버(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정 구동 전원부(3)와, 드라이버(2)에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4)를 구비하며, 스위치(4)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드라이버(2)는, 액정층(1)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액정 구동 전원(3)으로부터 드라이버(2)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OCB 모드 액정, 드라이버, 스위치, 벤드 배향, 대향 전극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그 정지 방법,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이며, 종래의 브라운관에 대체되는 것으로서, 최근 한층 용도가 확대되어 왔다. 현재 널리 사용되어 있는 TN(Twisted Nematic) 배향 액정 패널은 시야각이 좁으며, 또한 응답 속도가 느리고, 액정 소자가 유지형인 경우도 있어서, 동화상 표시에는 꼬리를 끄는 것처럼 보이는 등, 브라운관보다 화질이 뒤떨어진다.
일반적으로 TN 배향 액정 패널에서는, 전원 OFF 후에도 표시 패턴이 남는 현상이 보이고 있었다. 전원 OFF 후에는, 액정의 백 라이트는 소등되지만, 외광이 강한 곳에서는,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가 얇게 남아 보이는 현상 「OFF 잔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것은, 화소 전극에 축적된 전위가 방전되지 않고, TFT가 오픈 상태에서 동작이 종료되기 때문에, 전원 OFF 후에도 전하가 빠지지 않아 액정에 전압이 계속 인가되는 것이 원인이었다.
따라서, TN 배향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전원 OFF 시에 TFT의 게이트를 일단 전부 ON시키고, 전하를 뽑아낸 후에 동작을 종료하는 시퀀스를 취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벤드 배향을 갖는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액정(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61-116329호 공보 참조)을 이용하면, 고속 응답 또한 광시야각이어서 동화상 표시나 대화면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브라운관보다도 박형이어서 저소비 전력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OCB 모드 액정의 배향에는, 스플레이 배향과 벤드 배향이 있다. 스플레이 배향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OCB 모드 액정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비표시 상태)의 액정 배향인 것이며, 벤드 배향은 스플레이 배향의 OCB 모드 액정에 전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표시 상태로 되어 있는 액정 배향인 것이다. 그리고,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천이는, 인가되어 있는 전압을 제로 또는 길항 전압 Vc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이하, 역전이라 함). 여기서 길항 전압 Vc란, 스플레이 배향과 벤드 배향 에너지가 길항되는 전압이며, 이 전압 이하에서는 스플레이 배향이 안정되게 된다.
그러나, OCB 모드 액정에서도, 상기 잔류 전하에 의한 OFF 잔상이 발생되지만, 그 이외의 모드에서도 OFF 잔상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TFT의 게이트를 ON시키는 것만으로는, 이 문제는 충분히 해결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OCB 모드 액정의 표시에 이용하는 벤드 배향이 스플레이 배향으로 천이되는 과정이 균일하지 않으면 표시면에 얼룩짐이 인식되어 있었다. 특히, 표시 패턴에 의존하면서, 표시면으로부터 불균일하게 영상이 소실되는 형상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었다.
상세하게는, OCB 모드 액정이,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천이되는 경우, 이하의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OCB 모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이 0V가 됨으로써, 벤드 배향은 불안정해져서, 모든 영역에서 180° 트위스트가 발생한다. 여기서 180° 트위스트란,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이 상측 기판과 하측 기판 사이에서 비틀어져 있으며, 그 트위스트 각이 180°인 액정 배향이다. 이 배향 상태는, 예를 들면 투과색에 의해 밝은 노란 색으로 인식된다. 이 트위스트 배향 상태를 제2 스플레이 배향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OCB 모드 액정에 전압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플레이 배향은 트위스트 배향 상태보다도 안정되기 때문에, 표시면에 잔류하는 스플레이 배향 영역이나, 이물질이나 표시면의 돌기 부분을 핵으로 하여 우발적으로 발생된 스플레이 배향 영역이 성장하여, 최종적으로는 표시면의 전면이 스플레이 배향으로 되어 안정화된다. 이 스플레이 배향은, 예를 들면 투과색에 의해 청색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전원 OFF 후의 트위스트 배향(노란 색)과 스플레이 배향(청색)이 혼재되는 상태가, 불균일하거나, 또는 표시 시의 패턴에 의존하여, 표시면에 얼룩짐 형상으로서 보이는 경우이다.
OCB 모드 액정의 경우,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천이가 불균일하면, 전원을 OFF하고 나서, 액정층 전면이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하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도 19는, 종래의 OCB 모드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의 동작(이하 전원 OFF 시퀀스라 함)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전원 OFF 시퀀스에 의하면, 액정 구동 전원을 OFF하는 타이밍에서, 백 라이 트를 소등하고, 동시에 액정층으로의 인가 전압을 OFF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원 OFF 시퀀스에 의하면, 영상 표시에 따라서는, 액정층의 각 부의 인가 전압이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전원 OFF 후, 표시 화면 중,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때에 빠르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하는 부분과, 느리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하는 부분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원 OFF 후 스플레이 배향으로 완전히 이행하기까지의 소정의 시간에서, 액정층이 있는 부분에서는, 이미 스플레이 배향의 상태로 이행하고 있지만, 다른 어떤 부분에서는 아직 벤드 배향과 스플레이 배향 사이의 배향 상태대로의 상태(이하, 제2 스플레이 배향이라 함)가 발생된다. 이 때, 외광이 강하면, 백 라이트를 소등하고 있더라도, 액정층의 각 부의 배향 상태의 차이가 얼룩으로서 화면 상에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실온에서는, 모든 액정층의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에는 5초 정도 소요된다.
또한, 전원 OFF 후, 스플레이 배향으로 완전히 이행하기까지의 시간에서, 재차 전원을 투입하면, 전원 투입 시의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키는 전이 구동 기간이 길게 필요하게 되어, 전원 투입으로부터 영상 표시하기까지 쓸데없이 시간이 걸렸었다.
도 20에, OCB 모드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ON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시각 t0의 시점에서 전원을 ON으로 하였다고 하면, 시각 t0의 직후에는 회로의 여러가지 경로로부터의 회입에 의해 스플레이 배향이 흐트러지는 요인이 액정층에 가해진다. 이러한 스플레이 배향의 불균일을 시정하기 위해, 시각 t0으로부터 t1의 기간에서 액정층에는 0V가 인가된다. 그리고, 액 정층이 균일한 스플레이 배향으로 된 후, 시각 t1로부터 t2에서, 액정층의 전이 구동을 위한 전이 전압이 인가된다. 시각 t2에서 전이 구동이 완료된 후, 액정층에는 표시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OFF 후, 스플레이 배향으로 완전히 이행되기까지의 시간에서, 재차 전원이 투입되면, 전원 ON 시의 스플레이 배향의 불균일 외에, 제2 스플레이 배향에서의 혼란이 가해지기 때문에, t0으로부터 t1에 이르는 시간으로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아닌 상태로부터 전원 ON되었을 때의 t0∼t1의 시간은, 0.2초 정도인 데 비해,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존재할 때에 전원 ON되었을 때의 t0∼t1의 시간은 0.4초 정도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존재하면, 전원 투입하고 나서, 영상이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하여,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의 표시 화면의 얼룩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에, 표시면이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본 발명은,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 과,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정 구동 전원과,
상기 드라이버에 온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 본 발명은, 상기 액정층에는, 각 화소마다 개별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전압은, OCB 모드 액정의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이고,
상기 각 화소로의 전압의 인가는,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제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3 본 발명은, 상기 소정의 전압은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인,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4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한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5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6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7 본 발명은,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는 제6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8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 각 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인가되는 전압보다도 높으며, 상기 액정층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된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된 후, 상기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9 본 발명은,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제4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0 본 발명은,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제6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1 본 발명은,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제7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2 본 발명은,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제8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3 본 발명은,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제2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4 본 발명은,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제3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5 본 발명은,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제4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6 본 발명은,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제5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7 본 발명은,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은 교번 전압인 제2~제16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8 본 발명은, 상기 소정의 전압은 상기 각 화소에 대하여 균일한 전압인 제2~제16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19 본 발명은, 상기 소정의 전압은 상기 각 화소에 대하여 균일한 전압인 제17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0 본 발명은, 상기 액정층에는, 상기 드라이버에 접속되며, 화소 전압이 공급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드라이버에 접속되며, 상기 화소 전압과는 상이한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하여 유전체를 개재하여 배치되는 특정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윤곽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특정 전극 사이에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고,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1 본 발명은, 상기 화소 전극의 윤곽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은 아니며, 화소 내에서,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일부를 한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1 부분과,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다른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0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2 본 발명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2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3 본 발명은, 상기 액정층에는, 각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0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4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OCB 모드 액정의 임계 전압 이상이며, 상기 액정층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20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5 본 발명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의 전계는, 상기 표시면에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혹은 그 이후에 인가되는 제24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6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전극에는, 상기 OCB 액정 모드의 배향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전극이 유전체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화소 전극의 윤곽은, 각각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화소 내에서,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 의 일부를 한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1 부분과,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다른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제20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7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2개의 화소 전극에 서로 반대 위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26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8 본 발명은,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을 구비하며,
상기 액정층에는, 각 화소마다 개별 화소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화소마다, 그 화소 영역으로서,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면 내의 영역에, 상기 대향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갖지 않는 무전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전압 영역의 크기는, 상기 액정층이 벤드 배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적어도 일부가 스플레이 배향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29 본 발명은, 상기 무전압 영역의 크기는 400㎛2 이상인 제28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제30 본 발명은,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에 오프 신호를 입력하는 공정과,
상기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는 공정과,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드라이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정 구 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지 방법이다.
제31 본 발명은, 제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드라이버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32 본 발명은, 제31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담지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의 표시 화면의 얼룩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에, 표시면이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실시한 경우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는,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서의, 스플레이 배향 및 벤드 배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의 (b)는,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서의, 스플레이 배향 및 벤드 배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서의, 스플레이 배향 및 벤드 배향 에너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극 구조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액정층
2 드라이버
3 액정 구동 전원부
4, 6 스위치
5 백 라이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OCB 모드 액정을 이용한, 본 발명의 액정층의 일례인 액정층(1)에는, 액정층(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라이버의 일례인 드라이버(2)가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버(2)에는, 액정층(1)으로 구성되는 표시면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5), 및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4)가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버(2)에는 드라이버(2) 및 백 라이트(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구동 전원의 일례인 액정 구동 전원부(3)가 스위치(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6은, 액정층(1)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액정층(1)에는, 소스 라인(406), 게이트 라인(407), 화소 트랜지스터(401), 화소 전극(402), 대향 전극(408), 및 공통 전극 용량 Cst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라인(407)은, 화소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측에 접속되고, 소스 라인(406)은 화소 트랜지스터(401)의 소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화소 트랜지스터(401)의 드레인측에는, 화소 전극(402) 및 공통 전극 용량 Cst의 한쪽 측이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 용량 Cst의 다른쪽측에는, 공통 전극(40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소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측과 소스측에는 기생 용량 Cgs가 존재하며, 화소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측과 드레인측 사이에 기생 용량 Cgd가 존재한다. 그리고, 화소 전극(402)과 대향 전극(408) 사이에는 액정 용량 Clc가 존재한다.
도 5는, 액정층(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 전극(402)은, 각각 게이트 라인(407), 공통 전극(409), 및 소스 라인(406)으로 둘러싸여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의 전원 ON 시의 동작은, 도 20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는,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의 전원을 OFF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영상 표시 기간(101)에서는, 표시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압이 드라이버(2)로부터 액정층(1)에 인가되어 있다. 즉, 표시되는 영상 표시에 의해,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액정층(1)의 영역 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액정의 배열은 불균일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4)가 OFF되면(즉, 스위치(4)로부터 OFF 신호가 출력되면), 드라이버(2)는 영상 표시 기간(101)을 종료시키고, 동시에 백 라이트(5)를 OFF시키며, 그리고 OFF 시퀀스 기간(102)을 개시시킨다. OFF 시퀀스 기간(102)에서, 표시 화면이 노멀-화이트인 경우, 드라이버(2)는, 표시면에 전면 흑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일정한 전압을 액정층(1)에 인가한다. OFF 시퀀스 기간(102)에서의 전압이 일정하면, 액정층(1) 내의 각 부의 액정의 배열이 균일해진다. 이 OFF 시퀀스 기간(102)은, 2초 이상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F 시퀀스 기간(102)이 종료되면, 드라이버(2)는, 전원 OFF 기간(103)을 개시시킨다. 전원 OFF 기간(103)이 개시되면, 드라이버(2)는, 스위치(6)를 개방시켜, 액정 구동 전원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액정층(1)의 액정의 배열이 균일한 상태이며,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0V가 되기 때문에, OCB 모드 액정은 벤드 배향으로부터 균일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구동 전원(4)을 OFF한 후, 스플레이 배향 부분과 벤드 배향 부분에서 얼룩짐이 발생하지 않아, 외광이 강한 경우에서도, 표시 화면에 얼룩짐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실온에서, 전원 OFF 후에 2초 경과 후 5초 이내에서 재차 전원을 ON하여도,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차 전원 ON되고 나서, 영상이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일례로서는,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존재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실온에서 전원 OFF 후 3초 정도에서 재차 전원을 ON시키면,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 약 0.4초 정도 걸렸지만,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재차 전원 ON되고 나서 약 0.2초 정도에서 영상이 표시된다.
덧붙여서, 이상의 설명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102)에는, 드라이버(2)는, 표시면에 전면 흑 계조를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 계조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중간 계조 또는 백 계조를 표시시켜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액정층(1)의 각 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하면, 액정층(1)의 액정의 배열이 균일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정도의 차는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OFF 시퀀스 기간(102)에서, 표시면을 백 표시한 경우, 화소에 따라서는 벤드 배향으로 이행하지 않고 스플레이 배향이 불균일하게 잔류되는 부분이 발생하며, 표시면이 또한, 정도 문제이기는 하지만 얼룩짐 형상으로 보이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OFF 시퀀스 기간(102)에서는, 중간 계조가 표시되는 전압 이상의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 계조가 표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OCB 모드 액정은, 전이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됨으로써 스플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이되고, 인가 전압이 없어지면,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역전이가 발생한다. 도 8의 (b)는, 벤드 배향 및 스플레이 배향 각각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시뮬레이션에 의한 에너지 계산의 결과이며, 탄성 에너지와 전자적 에너지의 총합을 나타낸 것이다. 벤드 배향 에너지와 스플레이 배향 에너지는, 어떤 전압(이하, 임계 전압 Vc라 함)에서 일치한다.
그리고, 도 8의 (b)는, 임계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되면, 벤드 배향쪽이 에너지적으로 안정되며, 임계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되면, 스플레이 배향쪽이 에너지적으로 안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임계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을 액정층(1)에 인가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는 스플레이 배향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OFF 시퀀스 기간(102)에 액정층(1)에 인가되는 것은, 표시면에 불균일하게 잔류되는 스플레이 배향을 가능한 한 배제하기 위해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임계 이상의 전압이 인 가되면, 스플레이 핵의 밀도를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OCB 모드 액정의 각 전압에서의, 스플레이 배향과 벤드 배향 간의 에너지차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에너지차가 제로로 되는 임계 전압은, 약 1.4V인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퀀스의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영상 표시 기간(201)에서는, 표시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압이 드라이버(2)로부터 액정층(1)에 인가되어 있다. 즉, 표시되는 영상 표시에 의해,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액정층 영역 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액정의 배열은 불균일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4)가 OFF되면, 드라이버(2)는, 영상 표시 기간(201)을 종료시키고, 동시에 백 라이트(5)를 OFF시키며, 그리고 OFF 시퀀스 기간(202)을 개시시킨다. OFF 시퀀스 기간(202)에서, 드라이버(2)는, 액정층(1) 전체에, 영상 표시 영역의 전압을 초과하며, 액정층(1)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OFF 시퀀스 기간(202)에 액정층(1)에 인가되는 전압은, 흑 표시되는 전압의 1.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OFF 시퀀스 기간(202)에서의 전압이 일정하고, 흑 표시 전압보다 높으면, 액 정층(1) 내의 액정의 배열이 보다 신속하게 균일해진다. 또한, 액정층(1)에 인가되는 전압이 흑 표시 전압보다도 높으면, 벤드 배향 시에 스플레이 배향이 잔류되어 있는 영역(예를 들면, 전극 간의 간극 영역 등)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어서, OFF 시퀀스 기간(202)의 종료 후, 보다 균일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천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OFF 시퀀스 기간(202)은, 예를 들면 인가되는 전압이 흑 표시 전압의 1.5배 정도인 경우에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다.
OFF 시퀀스 기간(202)이 종료되면, 드라이버(2)는, 전원 OFF 기간(203)을 개시시킨다. 전원 OFF 기간(203)이 개시되면, 드라이버(2)는, 스위치(6)를 개방시켜, 액정 구동 전원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액정층(1)의 액정의 배열이 균일한 상태이며,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0V가 되기 때문에, OCB 모드 액정은 벤드 배향으로부터 균일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203)이 100㎳ 있으면, 액정층(1)을 벤드 배향으로부터 균일한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보다도, 전원을 OFF하고 나서 빨리 균일한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 전원 OFF 후 100㎳ 경과 후 5초 이내에서 재차 전원을 ON하여도, 제2 스플레이 배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 OFF 후, 재차 전원 ON되기까지의 시간이 짧더라도,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상이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의 이상의 설명에서는, 액정층(1)에 인가되는 전압은, 흑 표시 전압의 1.5배 이상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지만, 흑 표시 전압을 초과하고 있으면 1.5배 미만의 전압이더라도, 정도의 차는 있으나,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OFF 시퀀스의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액정 구동 전원 및 백 라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패널 표시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4의 (c)는 액정층으로의 전압 인가 동작을 나타내며, 도 4의 (d)는 각 전극의 전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영상 표시 기간(301)에서는, 표시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압이 드라이버(2)로부터 액정층(1)에 인가되어 있다. 즉, 표시되는 영상 표시에 의해,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액정층 영역 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액정의 배열은 불균일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4)가 OFF되면, 드라이버(2)는, 영상 표시 기간(301)을 종료시키고, 동시에 백 라이트(5)를 OFF시키며, 그리고 OFF 시퀀스 기간(302, 303, 304)을 개시시킨다. 먼저, OFF 시퀀스 기간(302)에서, 드라이버(2)는, 액정층(1) 전체에, 영상 표시 영역의 전압을 초과하며, 액정층(1)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OFF 시퀀스 기간(302)에 액정층(1)에 인가되는 전압은, 흑 표시되는 전압의 1.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드라이버(2)는, 액정층(1)에 교번 전압을 인가한다. 즉,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 시퀀스 기간(302)의 전반과 후반에서, 화소 전극(402)과 대향 전극(408)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은 크기가 동등하며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는 전압이 교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액정층(1)에 교번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 이온의 편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층(1)에서의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백 표시의 어긋남이 적어져서, 스플레이가 되기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OFF 시퀀스 기간(302)에서의 전압이, 흑 표시 전압보다 높으면, 액정층(1) 내의 액정의 배열이 보다 신속하게 균일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 OFF 시퀀스 기간(302)은, 예를 들면 인가되는 전압이 흑 표시 전압의 1.5배 정도인 경우에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다.
OFF 시퀀스 기간(302)이 종료되면, 드라이버(2)는, OFF 시퀀스 기간(303)을 개시시킨다. 표시 화면이 노멀 화이트인 경우, 드라이버(2)는, OFF 시퀀스 기간(303)에서, 표시면에 전면 흑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교번 전압을 액정층(1)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OFF 시퀀스 기간(303)에서 흑 표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OFF 시퀀스 기간(302)에서 고전압을 인가한 후에 OFF 시퀀스 기간(303)에 흑 표시의 교번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OFF 시퀀스 기간(302)만인 경우와 비교할 때, 플리커를 안정시킬 수 있어서,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 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OFF 시퀀스 기간(303)이 종료된 후, 드라이버(2)는, OFF 시퀀스 기간(304)을 개시시킨다. 표시 화면이 노멀 화이트인 경우에는, 드라이버(2)는, OFF 시퀀스 기간(304)에서, 표시면에 전면 백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전압을 액정층(1)에 인가한다. 즉, 드라이버(2)는, 대향 전극(408)과 화소 전극(402) 사이의 전위차를 제로로 한다. 그리고, 드라이버(2)는,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407)과 화소 전극(402) 사이의 전위차, 또는 공통 전극(409)(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과 화소 전극(402) 사이의 전위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로로 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액정층(1)의 액정의 배열이 균일한 상태이며,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이 0V가 되기 때문에, OCB 모드 액정은 벤드 배향으로부터 균일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OFF 시퀀스 기간(304)이 종료된 후, 드라이버(2)는, 전원 OFF 기간(305)을 개시시킨다. 전원 OFF 기간(305)이 개시되면, 드라이버(2)는, 스위치(6)를 개방시켜, 액정 구동 전원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OFF 기간(305)이 개시된 시점에서는, 대향 전극, 화소 전극, 게이트 라인, 및 공통 전극에서 각각의 전위는 동일하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이 개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참조 부호 503, 504는, 이러한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역전이) 경과를 나타낸다. 즉, 전원 OFF 기간(305)의 개시 시 점에서, 화소 전극(402)과 공통 전극(409) 사이에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화소 전 극(402) 상에서 공통 전극(409)측으로부터 화소 전극(402)의 중심부를 향해 역전이(504)가 발생한다. 또한, 화소 전극(402)과 게이트 라인(407) 사이에도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화소 전극(402) 상에서 게이트 라인(407)측에서 화소 전극(402)의 중심부를 향해 역전이(503)가 발생한다. 이러한 역전이(503, 504)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둥 스페이서(505)가 기점으로 되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역전이(503, 504)가 각각 화소 전극(402)의 중심부를 향해 진행됨으로써,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이 보다 빨리 완료된다.
또한, 전원 OFF 기간(305)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각 전위가 그라운드 레벨에 도달할 까지의 기간 동안(즉, 도 4의 (d)에 나타내는 A의 영역)에, 각 전위간에 차가 발생하더라도 전이 전위에 도달하는 전위차가 되지는 않는다. 즉, 만일, OFF 시퀀스 기간(304)이 없으면, 각 전위간의 차가 전이 전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지만, OFF 시퀀스 기간(304)을 추가함으로써, 그와 같은 가능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OFF 시퀀스 기간(302)만, OFF 시퀀스 기간(303)만, OFF 시퀀스 기간(302) 및 OFF 시퀀스 기간(303)만인 경우에 비해, OFF 시퀀스 기간(304)을 추가함으로써, OCB 모드 액정은 보다 빨리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OFF 시퀀스 기간(304)은, 2초 이상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OFF 시퀀스 기간(302, 303)에서는, 교번 전압이 인가된다고 하였지만,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이 빨라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304)에서는, 실질적으로 백 계조가 표시면에 표시되는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영상 표시 기간(3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2), OFF 시퀀스 기간(303), OFF 시퀀스 기간(304)의 순으로 종료된 후 전원 OFF 기간(305)이 개시된다고 하였지만, 영상 표시 기간(3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3)이 개시되고, OFF 시퀀스 기간(303)이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4)을 거쳐 전원 OFF 기간(305)에 이르더라도 무방하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간(3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2)이 개시되고, OFF 시퀀스 기간(302)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4)을 거쳐 전원 OFF 기간(305)에 이르더라도 무방하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서는, 영상 표시 기간(101, 2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102 또는 202)을 거쳐 전원 OFF 기간(103 또는 203)에 이른다고 하였지만, 영상 표시 기간(101 또는 2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2)이 개시되고, OFF 시퀀스 기간(302)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303)을 거쳐 전원 OFF 기간(103 또는 203)에 이르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OFF 시퀀스 기간(302)에서 액정층(1) 내의 액정의 배열이 신속하게 일정해지며, 또한 OFF 시퀀스 기간(303)에서 플리커를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OFF 시퀀스 기간(302 또는 303)만인 경우에 비해 보다 빨리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102, 202)에서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고 하였지만, 제3 실시 형태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번 전압이 인가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액정 이온의 편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층(1)에서의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백 표시의 어긋남이 적어져서, 스플레이가 되기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에서, OFF 시퀀스 기간(302, 303)에서는, 교번 전압이 인가된다고 하였지만, 이들 기간에서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도 된다. 그 경우, 플리커 특성이 좋아지는 장점은 얻을 수 없지만,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이 빨라진다는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OFF 시퀀스 기간(303)과 같이 흑 표시 기간을 둠으로써, 후술하는 횡전계에 의한 트위스트 형성 효과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역전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액정층(1)에 인가되는 전압은 균일하다고 하고 설명하였지만, 흑 표시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불균일이어도 되며, 그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액정층(1)이 노멀 화이트인 경우로 하였지만, 노멀 블랙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도 포함시키면, OFF 시퀀스 기간(102 및 303)에서는,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되면 된다. 또한, OFF 시퀀스 기간(202 및 302)에서는, 표시면에 백이 표시되는 전압보다도 높으며, 액정층 (1)에 인가 가능한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면 된다. 또한, OFF 시퀀스 기간(304)에서는,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되면 된다. 이와 같이, 액정층(1)이 노멀 블랙이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액정층(1)에 전압이 인가된다는 것은, 화소 전극(402)과 대향 전극(408)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백 라이트(5)의 조사는, 영상 표시 기간(101, 201, 301)의 종료와 동시에 OFF된다고 하였지만, 백 라이트(5)의 조사는, OFF 시퀀스 기간(102, 202, 304)의 종료 기간 후에 OFF되어도 된다. 또한, 영상 표시 기간(101, 201, 301)의 종료 후, OFF 시퀀스 기간(102, 202, 304) 동안 백 라이트(5)의 조사가 OFF되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액정층(1)은 균일한 상태에서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표시 화면에 얼룩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백 라이트(5)의 조사는, 영상 표시 기간(101, 201)의 종료 전에 OFF되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위치(4)는, 드라이버(2)에 접속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스위치(4)는, 그 온 오프 신호를 드라이버(2)에 전달할 수 있으면, 반드시 드라이버(2)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백 라이트(5)는, 드라이버(2)에 접속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백 라이트(5)는, 전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시퀀스 후에 소등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면 드라이버(2)에 반드시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공통 전극(409)을 갖는다고 하고 설명하였지만, 공통 전극(409)이 없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역전이(203)는, 인접하기 전단의 게이트 라인(407)으로부터 발생한다. ,
(제4 실시 형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전원 OFF 시에, 먼저, 표시에서 이용하는 전압, 또는 표시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액정층(1)에 인가하여 화소 내에 잔류한 스플레이 배향을 일단 벤드 배향으로 균일화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는, 각 화소 전체에 스플레이 배향의 핵, 즉 역전이의 핵을 형성한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이하에 상세한 내용을 기재한다.
액정층(1)으로의 인가 전압을 대략 0V로 하면, 벤드 배향은 트위스트 배향으로 천이된다. 이것은, 벤드 배향과 트위스트 배향이 에너지적으로 장벽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단, 이 트위스트는 우회전인가 좌회전인가는 원리적으로 등가이다. 이 우회전 트위스트 영역과, 좌회전 트위스트 영역을 의도적으로 형성해주면, 영역 간에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이 발생하고, 이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을 기점으로 스플레이 배향이 발생하는 것을 우리들은 발견하였다.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은 선 상에 보이는 배향 천이 영역이며, 이 중에서 액정 분자는 면 내에서의 배향 방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에서 스플레이 배향에 유사한, 트위스트 변형이 적은 영역이 국소적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스플레이 배향 유사 영역을 의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플레이 배향의 핵, 즉 역전이의 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이러한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각 전극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참조 부호 602는, 특정한 화소에서의 화소 전극이며, 참조 부호 622는, 화소 전극(602)에 액정의 배향 방향(소스 라인(406)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이고, 참조 부호 609는, 본 발명의 특정 전극의 일례로서 대응하는 공통 전극이다. 공통 전극(609)은, 도 10에서는 길이 형상으로서 나타나 있다. 화소 전극(602, 622)은, 그 일부가 공통 전극(609)의 일부에 대향하여 유전체(632, 642)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602)의 윤곽에는, 공통 전극(609)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1 부분(611) 및 제2 부분(6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부분(611) 및 제2 부분(612)이 화소 전극(602, 622)과 동일한 면 내에서의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622)의 윤곽에는 공통 전극(609)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1 부분(613) 및 제2 부분(6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전극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각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예이다. 공통 전극(609)을 통해 인접하는 화소 전극(602)과 화소 전극(632)에는, 서로 반전되는 전압이 인가된다(도트 반전 구동).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5V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액정층(1)이 노멀 화이트인 경우, 흑 표시의 전압이 액정층(1)에 인가된다.
예를 들면, 이 도트 반전 구동의 동작에서, 화소 전극(602)에 10V가 인가되 고, 화소 전극(622)에 0V가 인가되어 있는 상태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구성의 각 전극을 대향 전극(608)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617)에 대하여, 화소 전극(602)의 제1 부분(611)을 경계로 하여 도면의 좌향에 전계가 발생되며,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622)의 제1 부분(613)에서도 동일한 방향의 전계가 발생된다. 그 결과, 제1 부분(611, 613) 부근에 배향되어 있는 OCB 모드 액정은, 동일면 내에서,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도는)의 트위스트를 발생한다(도 10의 좌회전 트위스트 영역(615)). 한편, 화소 전극(602)의 제2 부분(612)을 경계로 하여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전계가 발생되며,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622)의 제2 부분(614)에서도 동일한 방향의 전계가 발생한다. 그 결과, 제2 부분(612, 614) 부근에 배향되어 있는 OCB 모드 액정은, 동일면 내에서, 우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도는)의 트위스트를 발생한다(도 10의 우회전 트위스트 영역(616)).
이와 같이 발생한 좌회전 트위스트 영역(615)과 우회전 트위스트 영역(616)은, 양자의 경계에서, 전술의 디스클리네이션 라인(610)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디스클리네이션 라인(610)이 핵으로 되어, 각 화소에서, 역전이가 매우 안정적으로 발생하며, 벤드 배향은 표시면 전면에 걸쳐, 스플레이 배향으로 신속하게 천이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회전 트위스트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우측 방향의 횡전계를, 좌회전 트위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좌측 방향의 횡전계를 인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우측 방향의 횡전계와 좌측 방향 의 횡전계를 발생하는 전극을 이하, 지그재그 전극이라 한다. 그리고, 1개의 화소 내에 많은 디스클리네이션 라인(610)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을 연속하여 형성하여 지그재그 전극(624)으로 하여도 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그재그 전극(624)을 ITO 패턴으로 형성하고, 그 하부에 형성한 공통 전극(609) 사이에서 횡전계를 인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지그재그 전극(624)을 화소 전극의 ITO 패턴으로 형성하는 경우, 횡전계로서 흑 표시하는 전압을 지그재그 전극(624)에 인가하는 것이 스플레이 배향의 핵의 형성에는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 횡전계를 인가한 상태로부터, 전하를 빼서 0V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우측 트위스트와 좌측 트위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원 OFF 시에 각 화소마다 적극적으로 스플레이 배향의 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면을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신속하게 천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하부에 형성한 공통 전극(609)과 상층에 형성한 화소 전극(622, 602) 간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흑 표시를 행할 때와 같이, 화소 전극(622)에 +10V, 화소 전극(602)에 0V, 공통 전극(609)에 5V를 인가하여 횡전계를 발생시켜, 트위스트를 형성한 상태에서, 대향 전극(608)을 포함한 모든 전위를 0V로 함으로써, 당초 형성한 트위스트 배향의 영향을 이용하면서 디스클리네이션을 형성시키고, 나아가서는 스플레이 배향의 핵을 형성시켜도 된다.
또한, 화소 전극(622, 602) 및 대향 전극(608) 사이에 백 표시, 즉 0V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횡전계를 인가하는 방법도 있다. 이 때, 공통 전극(609)에는 0V를, 화소 전극(622, 602)과 대향 전극(608)에 동등하게 5V를 인가함으로써, 화소 전극(622, 602) 상의 액정에는 0V를 인가하여 역전이를 발생시키면서, 공통 전극(609)의 부분에서는 횡전계에 의해 트위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을 도트 반전 구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1개의 화소 전극 상에 지그재그 전극(624)이 형성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1개의 화소 전극의 윤곽의 일부가 상기 제1 부분(611), 제2 부분(612)만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7의 (a) 및 (b)는, 그와 같은 경우의 화소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경우, 공통 전극(729)과 화소 전극(722)만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 지그재그 전극(7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하는 지그재그 전극(724')은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702) 상에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극 간의 기생 용량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의 (a) 및 (b)는, 1개의 화소 전극 상에 지그재그 전극이 형성되는 다른 예이다.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경우, 지그재그 전극(824)은, 본 발명의 특정 전극의 다른 일례인 게이트 전극(825)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그재그 전극(824)은, TFT(803) 구조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원 OFF 시에 스플레이 배향의 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지그재그 전극은, 그 제1 부분(611, 613) 및 제2 부분(612, 614)이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 평행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반드시 평행하지 않아도 되며, 실질적으로 평행인 관계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은 평행이 아니어도 되며, 수직 이외의 관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그와 같은 경우의 전극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호 반대 방향의 트위스트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부분을 경계로 하여 발생되는 횡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트위스트의 방향과, 제2 부분을 경계로 하여 발생되는 횡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트위스트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면, 제1 부분과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 간의 관계, 및 제2 부분과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 간의 관계는, 어떠한 관계이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부분(611, 613)이 좌회전 트위스트 영역을 형성하고, 제2 부분(612, 614)이 우회전 트위스트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그 역도 당연히 있을 수 있으며, 제1 부분(611, 613)이 한쪽으로 트위스트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킨 경우, 제2 부분(612, 614)은 다른쪽으로 트위스트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까지는, 각 지그재그 전극은, 제1 부분(611)과 제2 부분(612) 양쪽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부분(611) 및 제2 부분(612) 중 어느 한 부분만이 존재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좌회전 트위스트 영역(615)과 우회전 트위스트 영역(616) 양쪽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트위스트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면, 스플레이 배향의 핵으로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도의 차는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602, 622)의 윤곽의 일부가, 공통 전극(609)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가로질러 있을 뿐인 구성도 생각된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의 윤곽은, 화소 전극의 외부 주위의 형상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화소 전극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 절결 등의 형상도 포함한다(예를 들면, 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각 공통 전극은, 전단(前段)의 게이트 라인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a) 및 (b)와 같이, 게이트 전극(825) 상에 U자형 구조를 갖는 TFT(803)를 형성해도 된다. 이 구조에서는, 화소 전극의 윤곽에서 트위스트 형성에 효과가 있는 부분은, 도 18의 (b)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된다. 이와 같이, 돌기 구조가, 게이트선과 같이 하부 전극 구조에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화소 전극과 유전체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은, 공통 전극이나 게이트 전극 이외의 전극인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특정 전극은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이면, 화소 전극과의 경계에서 전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경우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표시면이 노멀 화이트인 경우, 횡전계는, 예를 들 면 흑 표시하는 전압을 각 지그재그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각 지그재그 전극에 인가하는 것은 흑 표시 전압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소 내에 횡전계가 형성될 수 있는 전압이면 어느 전압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횡전계의 인가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인 경우는, 오프 시퀀스 기간(102, 202)과 전원 OFF 기간(103, 203) 사이에 횡전계 인가 기간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OFF 시퀀스 기간(304)과 동시에 횡전계를 인가할 수 있다. 혹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OFF 시퀀스 기간(102, 202, 303)과 동시에 횡전계를 인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이들 시퀀스 기간이 종료된 후에 횡전계를 남기면서, 각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하를 뽑아내는(백 표시 전압을 인가함) 것이 필요하다. 이 이유는, 표시 계조 이상의 전압이 각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횡전계가 인가되어 스플레이 배향의 핵이 형성되더라도, 곧 소실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횡전계의 인가를,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조합함으로써, 전원 OFF 시에 표시면을 보다 신속하게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표시면에 균일 계조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횡전계를 인가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전원 OFF 시에, 각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균일한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또한 각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불균일한 전압을 인가하며, 표시 상태의 종료 후 즉시, 각 화소에 횡전계만을 인가하는 동작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표시면은 벤드 배향으로부터 반드시 균일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천이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플레이 배향의 핵이 각 화소에서 적극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신속한 천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의, 본 발명의 소정 시간은, 제1 실시 형태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102)이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202)이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OFF 시퀀스 기간(304) 또는 OFF 시퀀스 기간(302, 303, 304)의 조합에 상당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경우는, 횡전계를 인가하고 있는 시간에 상당한다. 또한,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경우에는, OFF 시퀀스 기간(102 및 202), 또는 OFF 시퀀스 기간(302 및 303)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백 라이트(5)가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반사형 액정 등, 백 라이트(5)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외광만에 의해 액정층(1)이 조사되는 구성이더라도, 전원 OFF 시에 액정층(1)이 균일한 상태에서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으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 내에 무전압 영역(6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전압 영역(630)은, 화소 내에서, 화소 전극(622), TFT(703), 소스 신호선(704) 등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 대향 전극(608)에 대하여 전압을 갖고 있지 않은 영역이다. 그리고, 무전압 영역(630)은, 화소에 표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그 적어도 일부는 주위의 벤드 배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플레이 배향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 계조를 표시하는 전압이 장시간(예를 들면, 8시간) 표시면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적어도 그 일부는 주위의 벤드 배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플레이 배향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무전압 영역(630)의 크기는 400㎛2 이상의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표시 상태에서도, 무전압 영역(630)에는, 스플레이 배향 부분이 남아있기 때문에, 전원 OFF 시에, 스플레이 배향이 표시면의 전면에 걸쳐 신속하게 넓어져 간다. 이 때, 무전압 영역(630)의 주위가 벤드 배향이고, 특히 OCB 모드 액정이 세워져 있는 상태이더라도 무전압 영역(630)의 스플레이 배향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전원 OFF 전의 표시면의 표시 상태에 상관없이, 전원 OFF 시에 표시면이 신속하게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즉, 전원 OFF 시에 주위의 스플레이 배향의 침입이나, 우발적인 스플레이 배향의 핵의 형성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트위스트 배향이 길게 남지 않아 표시면은 벤드 배향으로부터 스플레이 배향으로 빠르게 이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조합되어 사용되면, 전원 OFF 시에, 표시면이 균일하고 또한 신속하게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전원이 OFF되기 전의 상태와 상관없이, 스플레이 배향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지 않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도 7은,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OFF 시퀀스 기간의 조합에 의한, 스플레이 배향으로의 이행 시간의 차이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예를 들면, 흑 표시(5s, 6V)는, 6V의 흑 표시 전압을 5초간에 걸쳐 인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원 OFF 조작을 행한 후, 패널 전면이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되기까지의 시간은 36초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이 시간은 25초로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이 시간은 12초로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이 시간은 5초로 되었다. 덧붙여서, 이들 데이터는 영상 표시를 고정 패턴으로 1시간 표시시켜, 실온에서 계측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치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여러 가지 수치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패널 전면이 스플레이 배향으로 이행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정지 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따르면,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원 OFF 후의 표시 화면의 얼룩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32)

  1.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정 구동 전원과,
    상기 드라이버에 온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에는, 각 화소마다 개별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전압은, OCB 모드 액정의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이고,
    상기 각 화소로의 전압의 인가는,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은,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한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 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인가되는 전압보다도 높으며, 상기 액정층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흑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된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이 인가된 후, 상기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액정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액정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이 표시되는 전압은,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및 게이트 라인과 화소 전극간의 전압 또는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이외의 전극간의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구동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액정층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백 라이트로부터의 조사가 정지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은 교번 전압인 액정 표시 장치.
  18.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은 상기 각 화소에 대하여 균일한 전압인 액정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은 상기 각 화소에 대하여 균일한 전압인 액정 표시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에는, 상기 드라이버에 접속되며, 화소 전압이 공급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드라이버에 접속되며, 상기 화소 전압과는 상이한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하여 유전체를 개재하여 배치되는 특정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윤곽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특정 전극 사이에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고,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윤곽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은 아니며, 화소 내에서,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일부를 한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1 부분과,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다른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에는, 각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더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OCB 모드 액정의 임계 전압 이상이며, 상기 액정층에 인가 가능한 최대 전압 이하의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후, 표시면에 실질적으로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며, 그 후, 상기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의 전계는, 상기 표시면에 백을 표시시키는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혹은 그 이후에 인가되는 액정 표시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극에는, 상기 OCB 액정 모드의 배향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전극이 유전체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화소 전극의 윤곽은, 각각 상기 OCB 모드 액정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화소 내에서,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일부를 한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1 부분과, 상기 배향 방향의 액정의 다른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트위스트하는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2개의 화소 전극에 서로 반대 위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액정 표시 장치.
  28.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을 구비하며,
    상기 액정층에는, 각 화소마다 개별 화소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화소마다, 그 화소의 영역으로서,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면 내의 영역에, 상기 대향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갖지 않는 무전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전압 영역의 크기는, 상기 액정층이 벤드 배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스플레이 배향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인 액정 표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압 영역의 크기는 400㎛2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30. OCB 모드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에 오프 신호를 입력하는 공정과,
    상기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액정층의 각 화소에 인가 가능한 소정의 전압을 소정 시간 동안 인가하는 공정과,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드라이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정 구동 전원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버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지 방법.
  31. 삭제
  32. 삭제
KR1020057000923A 2003-01-08 2004-01-07 액정 표시 장치 KR100732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2510 2003-01-08
JP2003002510 2003-01-08
JPJP-P-2003-00109474 2003-04-14
JP2003109474 2003-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618A KR20050025618A (ko) 2005-03-14
KR100732104B1 true KR100732104B1 (ko) 2007-06-25

Family

ID=3271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23A KR100732104B1 (ko) 2003-01-08 2004-01-0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4819B2 (ko)
EP (2) EP1582911A4 (ko)
JP (1) JP4421559B2 (ko)
KR (1) KR100732104B1 (ko)
TW (1) TWI252458B (ko)
WO (1) WO2004063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209A1 (en) * 2004-04-15 2006-01-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Drive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70035502A1 (en) * 2005-08-10 2007-02-1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ata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a
US7737934B2 (en) * 2005-09-23 2010-06-15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Pixel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132709A1 (en) * 2005-12-12 2007-06-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TWI345197B (en) * 2006-09-11 2011-07-11 Himax Tech Ltd Flat display and timing controller thereof
JP4306778B2 (ja) * 2007-01-15 2009-08-0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装置
US8674949B2 (en) * 2007-02-20 2014-03-18 Japan Displays Inc.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FR2934917B1 (fr) * 2008-08-08 2010-12-10 Thales Sa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 ecran matriciel securise.
JP2011215400A (ja) * 2010-03-31 2011-10-27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シャッタ、液晶シャッタの駆動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5510246B2 (ja) * 2010-09-28 2014-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画像制御装置
JP5678834B2 (ja) * 2011-07-31 2015-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US20130234919A1 (en) * 2012-03-06 2013-09-1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ischarging pixels having oxide thin-film transistors
US9927891B2 (en) * 2012-03-29 2018-03-27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ransmitter power consumption
KR20140013931A (ko) * 2012-07-26 2014-02-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
JP2014142491A (ja) * 2013-01-24 2014-08-07 Pixtronix Inc 表示装置
US9953594B2 (en) * 2013-11-15 2018-04-2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05700237A (zh) * 2016-04-13 2016-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快速响应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6328059B (zh) * 2016-09-07 2017-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学补偿的存储器中数据更新的方法和装置
KR102458156B1 (ko) * 2017-08-31 2022-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643869A1 (en) 2018-10-22 2020-04-29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an insulating glazing unit preventing thermal stres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6329A (ja) 1984-11-09 1986-06-03 Seiko Epson Corp 液晶画像表示パネル
JP3827823B2 (ja) 1996-11-26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画像の消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988465B2 (ja) 1998-04-15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347678B2 (ja) * 1998-06-18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素子とその駆動方法
GB2343011A (en) * 1998-10-20 2000-04-26 Sharp Kk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723380B2 (ja) 1999-05-14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927825B1 (en) 1999-05-14 2005-08-09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liquid crystal with bend align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338025B2 (ja) 1999-10-05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US7023416B1 (en) * 1999-10-19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ing technique for activating liquid crystal device
KR100457189B1 (ko) * 1999-12-27 2004-11-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6714276B2 (en) 2000-02-08 2004-03-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835967B2 (ja) * 2000-03-03 2006-10-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Lcd表示装置
JP4746735B2 (ja) * 2000-07-14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20064358A (ko) * 2000-10-23 2002-08-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895450B2 (ja) * 2000-11-10 2012-03-14 三星電子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装置と方法
US6603525B2 (en) * 2001-01-25 2003-08-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4883514B2 (ja) * 2001-09-11 2012-02-2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030053017A1 (en) * 2001-09-20 2003-03-20 Hongqin Shi Thin cell gap microdisplays with optimum optical properties
US7098934B2 (en) * 2001-10-23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KR100843685B1 (ko) * 2001-12-27 2008-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TW561295B (en) * 2002-02-01 2003-11-11 Prime View Int Corp Ltd Reflective optical self-compensated LCD structure
JP2003287738A (ja) 2002-03-28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971222B2 (ja) 2002-03-29 2007-09-05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895303B1 (ko) * 2002-07-05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925452B1 (ko) * 2002-08-14 200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Ocb 모드 액정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US20060007209A1 (en) * 2004-04-15 2006-01-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Drive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I311301B (en) * 2004-12-13 2009-06-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oratio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9041A (en) 2005-03-01
EP1582911A4 (en) 2007-08-08
US7714819B2 (en) 2010-05-11
JP4421559B2 (ja) 2010-02-24
JPWO2004063801A1 (ja) 2006-05-18
EP1818716A3 (en) 2007-11-07
KR20050025618A (ko) 2005-03-14
US20060007096A1 (en) 2006-01-12
WO2004063801A1 (ja) 2004-07-29
EP1818716A2 (en) 2007-08-15
EP1582911A1 (en) 2005-10-05
TWI252458B (en) 200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0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7058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552364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443372B2 (en) Method for driving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91402B2 (en) Method for driving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9897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1154379A (ja) 液晶表示装置
EP1600935A2 (en) Active-matrix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71197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14360465B (zh) 一种液晶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的驱动方法
US20050140617A1 (en) Driving method of in-plane-switching mode LCD
JP2006011405A (ja) 表示装置
KR10085320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장치
KR20080037756A (ko)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및 이의 구동방법
KR10066682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구동방법
KR100531478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JP2002098939A (ja) 液晶表示装置
JP3568506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812256B2 (ja) 液晶表示装置
JP4761828B2 (ja) 表示装置
US8436954B2 (en)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753618B2 (ja) 表示装置
KR20040059067A (ko) 액정 패널의 구조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5652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79214B1 (ko)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