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080B1 -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080B1
KR100732080B1 KR1020000061615A KR20000061615A KR100732080B1 KR 100732080 B1 KR100732080 B1 KR 100732080B1 KR 1020000061615 A KR1020000061615 A KR 1020000061615A KR 20000061615 A KR20000061615 A KR 20000061615A KR 100732080 B1 KR100732080 B1 KR 10073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light
display device
displa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139A (ko
Inventor
야마구찌다까시
구마베다까시
우찌야마다까시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6Lottos or bingo games; Systems, apparatus or devices for checking such games
    • A63F3/0645Electric lottos or bingo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복수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놀이 기기에 있어서, 당첨 직전 상태인 리치가 발생된 사실을 다른 플레이어에게 은닉한 형태로 리치 상태의 플레이어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한 빙고 게임기를 제공한다.
게임 중에 리치 상태가 발생된 경우, 컨트롤러 CNT로부터 그것이 유효 부호가 되면 빙고가 되는 부호(리치 부호)에 대응하는 점등 표시부(3l)에 대하여 광을 사출하도록 지시를 한다. 점등 표시부(31)는, 리치 상태의 플레이어의 좌석으로 방향지어진 광 사출부를 갖고 있고, 지시에 따라 그 플레이어의 좌석을 향하여 광을 사출한다. 플레이어는, 이 광의 사출에 의해서 리치의 사실과 어떤 부호가 리치 부호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놀이 기기, 플레이어, 빙고 게임기, 추첨 장치, 통지 기구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DISPLAY DEVICE AND PLAYING MACHIN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놀이 기기의 일례가 되는 빙고 게임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빙고 게임기에 있어서의 추첨 장치와 통지 기구를 나타낸 외관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빙고 게임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점등 표시부의 구성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A-A선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5는 점등 표시부의 커버를 떼어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그 상면도, b는 B-B선으로 분할된 표시탑의 한쪽 측면도, c는 다른쪽의 측면도.
도 6은 표시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의 방향과, 이 광이 사출되는 플레이어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빙고 게임기에 있어서, 리치 부호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표시탑이 변위 기구에 따라 상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도 8은 변위 기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의 단면도.
도 10은 변위 기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하면도.
도 11은 표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그 사시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단면도.
도 12는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그 사시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추첨 장치
11 : 공급 구멍
12 : 회전체
13 : 회수부
14 : 포켓
20 : 통지 기구
30, 40, 50, 60 : 표시 장치
31 : 점등 표시부
311 : 케이싱
312 : 케이싱의 커버
32, 42 : 표시탑
33 : 광 사출부
331 : 광원이 되는 LED
332 : 원통 부재
44 : 변환부
45 : 레일
46 : 공급부
51, 61 : 공통 광원
52 : 창
53 : 셔터
63 : 반사판
CNT : 컨트롤러
PS : 좌석
DS :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빙고 게임기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어가 참가할 수 있는 놀이 기기(遊技機)로서, 당첨 확정 전에 리치와 같은 특정 사상이 발생되는 놀이 기기 등에 사용되는 표시탑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게임 센터 등의 놀이장에 있어서의 대형의 놀이 기기의 하나로서, 룰이 간단하고 초보자도 알기 쉽고, 시각적으로도 플레이어의 흥미를 끌어 당기는 빙고 게임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빙고 게임기에서는, 참가한 플레이어마다 고유의 배열로 매트릭스형으로 부호가 배열되는 배열 정보를 할당하고, 이 배열 정보를 각 플레이어의 좌석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부호 중으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한 부호를 유효로 하는 추첨을 행하고, 각 플레이어의 배열 정보 중 유효로 된 부호와 그것 이외가 무효한 부호의 표시 형태를 다르게 행해 간다. 이것을 소정 횟수반복하고, 배열 정보 중에서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직선 방향의 모든 부호가 유효가 된 플레이어가 있을 때에, 그 플레이어를 당선자 (당선을 통상「빙고」라고 부른다)로 하고, 그 플레이어에게 대하여 메달 등의 상여를 제공한다. 이러한 빙고 게임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8-84803호 공보나 특개평6-71010호 공보 등에 소개되어 있다.
빙고 게임기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어가 1개소에 모여 플레이하는 대형의 놀이 기기에서는, 플레이어가 당선되는지 여부의 기대감이나 놀이의 현장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플레이어나 놀이의 관전자를 위해 여러가지의 놀이 상의 시각적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6-71010호 공보에 기재된 빙고 게임기에서는, 부호 추첨 시에 사용하는 볼을 교반하는 모습을 플레이어나 관전자에게 보이는 연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빙고 게임기에서는, 통상, 참가한 플레이어마다 할당된 배열 정보가 다른 플레이어에게 모르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플레이어 전용의 좌석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현재의 배열 정보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서 항상 자기 좌석의 표시 장치에 눈을 맞출 필요가 있어, 시각적 고안이나 게임 과정을 충분히 즐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후 1개의 부호가 유효하게 됨으로써 당선되는 「리치」가 발생했을 때에, 그 사실이나, 다음의 부호가 유효하게 되었을 때에「빙고」가 되거나 또는 그 부호가 어디에 있는지를 플레이어가 즉시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그 플레이어에게 대하여, 좌석의 표시 장치에 항상 눈을 맞추지 않고, 리치와 같은 특정 사상이 발생하고, 그것이 어떤 부호인지를 다른 플레이어에게 은닉한 상태에서 통지하는 기구가 존재하면, 플레이어에 대하여 여러가지의 시각적 고안를 즐기는 여유나 리치가 발생했을 때의 긴장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 관전자나 다른 플레이어에게 대해서도 빙고 게임기에 참가하는 동기 부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기대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사람이 1개소에 모여 참가하는 대형의 놀이 기기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하여 고유하게 발생된 특정 사상을 다른 사람에게 은닉한 형태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구를 실현하는 부품이 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 표시 장치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광을 사출 가능한 복수의 광 사출부를 구비하고, 소정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광의 사출을 허용하는 제어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이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복수의 광 사출부가 각각 독자의 광원을 지니고, 상기 제어 기구가, 소정 방향으로의 광의 사출을 허용할 때에 해당하는 광원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혹은, 복수의 광 사출부가 공통의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구가, 복수의 광 사출부 중 광의 사출이 허용된 광 사출부 이외의 것에 대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광 사출부의 각각이, 사출 대상이 되는 광을 반사시켜 해당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반사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는 바람직하게는, 각 광 사출부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외부로 투과시키지만 외부로부터는 그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는 부재로 커버된 케이싱에 수용하여 구성한다.
소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표시탑과, 이 표시탑을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구비하여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광 사출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이 사출될 때에 상기 변위 기구가 상기 표시탑을 변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어느 하나의 구성이 되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플레이어에 대해 고유하게 발생된 특정 사상을 다른 플레이어에게 은닉한 상태에서 통지할 수 있는 기구를 실현한 놀이 기기를 제공한다.
제1 놀이 기기는, 표시 장치가 소정 부위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로서, 놀이에 따른 특정 사상의 발생의 유무를 플레이어마다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가 있는 경우에 그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 놀이 기기는, 표시 장치가, 각각 다른 부호가 할당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로서, 놀이에 관한 특정 사상의 발생의 유무를 플레이어마다 판정하는 수단과,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가 있는 경우에 그 플레이어와 해당 특정 사상으로부터 관련지어지는 부호, 및 이 부호가 할당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각각의 표시 장치가 변위 가능한 표시탑 및 특정된 표시탑을 소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 자체에 대해서는 모든 플레이어에게 알리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3 놀이 기기는, 표시 장치가 각각에 다른 부호가 할당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로서, 1개의 부호를 복수의 부호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하여 유효로 하는 추첨을 소정 횟수 반복하는 추첨 수단과, 복수의 부호가 플레이어마다 고유의 배열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하는 배열 정보를 각 플레이어의 좌석에 표시함과 함께 이 배열 정보 중 상기 유효가 된 부호와 그 이외의 무효한 부호의 표시 형태를 다르게 한 표시 수단과, 상기 추첨 시에 각 플레이어에 대한 배열 정보에 있어서 세로 방향·가로 방향·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선 방향 상에서 1개의 부호 이외에는 전부 유효가 되어 있는 특정 사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적어도 한사람의 플레이어에 대해 상기 특정 사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상기 직선 방향 상에서 유일 무효한 부호가 할당된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3 놀이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수가 상기 배열 정보에 사용되는 부호의 수와 동일하게 한다. 또한, 각 표시 장치가, 각각 자기에게 할당되어 있는 부호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각 표시 장치가 표시탑 및 표시탑을 각각 소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표시탑을 이 변위 기구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사실과 상기 유일 무효한 부호를 모든 플레이어에게 알리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놀이 기기의 일 실시예를, 빙고 게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빙고 게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빙고 게임기는, 7개의 추첨용 볼을 이용하여 25 종류의 부호 중 어느 하나를 추첨해 가는 빙고 게임의 환경을 복수의 플레이어(최대 10명)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각 플레이어가 시인 가능한 놀이 영역에 배치되는 추첨 장치(10), 특정 사상의 일례가 되는 「리치」의 발생을 플레이어에게 알리는 통지 기구, 및 1O인분의 플레이어석 PS를 구비 하고 있다. 또한, 당선자(빙고가 된 플레이어)에 대하여 놀이 가치(메달 등)를 부여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된다.
추첨 장치(10)는 게임기 본체의 중앙부에서 투명 돔으로 둘러싸여 있고, 각 플레이어가 추첨 내용을 보면서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플레이어석 PS에는, 각각 추첨 장치(10)에 의한 추첨의 결과와 게임 개시후의 추첨 이력을 해당 플레이어에게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S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DS의 표시 내용은, 참가한 플레이어에게 고유의 것이 된다. 또, 추첨에 이용하는 볼의 수, 부호의 종류는 임의여도 좋다. 빙고 게임기는, 또한, 게임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각 좌석 PS의 디스플레이 장치 DS는 이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추첨 장치(10)는, 도 2에 그 주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의 공급 구멍(11)과, 볼을 굴리는 면부를 갖는 하나의 회전체(12)와, 볼을 회수하는 복수의 포켓(14)이 형성된 회수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 구멍(11)에는, 도시하지 않은 볼 공급 기구에 의해서 추첨용의 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12)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서 고정 평면 상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공급 구멍(11)으로부터 공급된 볼을 그 면부에서 불규칙하게 굴러 튀어 나가게 한다. 포켓(14)은, 회전체(12)의 외주를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25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체(12) 상을 주연부 방향으로 구르는 볼은, 포켓(14) 중 어느 하나로 낙하하여 회수되도록 된다. 각 포켓(14)에는, 각각 고유의 부호 (예를 들면, 「1」∼「25」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통지 기구(20)는, 회수부(13)의 외주부를 따라서 이 회수부(13)와 동심원 상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표시 장치(30)는, 각각 특정 사상의 일례인 「리치」의 발생시에「리치 램프」로서 기능하는 점등 표시부(31)와, 부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탑(32)과,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점등 표시부(31)는, 좌석 PS의 각각에 플레이어가 착석한 경우에, 각 플레이어의 시야각 내에 광을 사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방향으로 광을 사출 가능한 복수의 광 사출부를 수용하는 환형의 케이싱을 커버로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광의 사출 방향은, 각 좌석 PS와 일대일로 대응지어져 있고, 제어 기구에 의해서, 이들의 광 사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광의 사출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탑(32)은, 저부 통 형상을 갖고, 통의 부분이 점등 표시부(31)의 중앙부에 완만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30)는 포켓(14)과 동일 수, 즉, 25개 배치되어 있고, 개개의 포켓(14)과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표시탑(32)의 상부 저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포켓(14) 내지 그 표시 장치(30)에 할당되어 있는 부호(「1」∼「25」)가 표시되어 있고, 플레이어나 관전자가 투명 돔을 통하여 용이하게 그 부호를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첨 장치(10) 및 통지 기구(20)의 각 표시 장치(30)는, 게임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CNT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빙고 게임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빙고 게임기에서는, 컨트롤러 CNT에 의한 도 3의 제어 순서로 게임이 진 행된다.
즉, 좌석 PS에 앉은 플레이어에 의해, 코인 투입 등의 소정의 참가 조건이 만족되면, 각 플레이어에게 고유의 배열 정보인 「빙고 카드」의 화상을 생성하고, 이를 각각 해당하는 플레이어의 좌석 PS의 디스플레이 장치 DS에 표시시킨다 (스텝 S1). 빙고 카드는, 5×5의 매트릭스형으로「1」∼「25」까지의 부호가 무작위로 배열된 것이다.
빙고 카드의 화상을 각 참가자의 좌석 PS의 표시 장치에 표시한 후에는, 부호 추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체(12)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고, 공급 구멍(11)에 의해 회전체(12)의 면부에 볼을 공급한다. 공급된 볼은, 회전체(12)의 면부를 불규칙하게 굴러가 회수부(13) 방향으로 튀어 나가고, 포켓(14)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다. 볼을 수용한 포켓(14)에 할당되어 있는 부호가 그 볼에 대한 유효 부호가 된다 (스텝 S2).
이 후, 빙고 카드 중, 「리치」가 된 빙고 카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어느 한쪽의 빙고 카드도「리치」가 아닌 경우, 추첨 횟수가 규정 횟수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아니오, 스텝 S5). 추첨 횟수는, 빙고 게임기측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통상은 7회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당선자(빙고가 된 플레이어)의 유무에 상관 없이, 소정 횟수의 추첨 후에 게임은 종료한다.
리치가 된 빙고 카드가 있는 경우에는, 통지 기구(20)[각 표시 장치(30)]를 이용하여 그 빙고 카드를 갖는 플레이어에게 대하여, 그 사실과, 그것이 갖추어지면「빙고」가 되는 부호(이하, 「리치 부호」)를 알리기 위한 처리 (이하, 「리치 램프 점등 처리」)를 행한다(스텝 S3: 예, 스텝 S4).
이 리치 램프 점등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통지 기구(20) 중에서 해당하는 표시 장치(30)의 점등 표시부(31)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플레이어의 1명(플레이어 A로 한다)이, 다음의 부호 추첨으로「25」가 유효 부호가 되면「빙고」가 되는 「리치」의 상태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 A의 좌석 PS와 부호「25」가 할당된 포켓(14)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30)를 특정하고, 특정한 플레이어 A의 좌석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한 표시 장치(30)에 대하여 플레이어 A의 좌석의 위치에 광을 사출하도록 지시를 한다. 이 지시를 수령한 표시 장치(30)의 제어 기구는, 광 사출부로부터 그 플레이어 A의 시야를 지향하여 광을 사출한다. 이에 따라, 리치의 상태에 있는 빙고 카드를 갖는 플레이어 A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 DS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빙고 카드가 지금「리치」의 상태에 있고, 더구나, 광을 사출하고 있는 표시 장치(30)의 표시탑(32)의 상면에 기록된 부호「25」를 봄으로써, 어떤 부호가 리치 부호인지를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추첨 장치(10)에 의한 추첨이나 그 밖의 시각적고안을 즐기는 여유가 생겨, 「빙고」의 기대감이나 놀이의 현장감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리치」가 복수의 플레이어에게 발생한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리치 부호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30)의 점등 표시부(31)로부터 각각의 플레이어의 좌석 PS의 방향으로 광이 사출된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가 동일 리치 부호로「 리치」가 발생된 경우에서도, 이 리치 부호에 대응한 표시 장치(30)의 점등 표시부(31)로부터 해당하는 각각의 플레이어의 좌석 PS의 방향으로 광이 사출되도록 된다.
다음에, 상술의 리치 램프 점등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 장치(30)의 구성, 특히 점등 표시부(3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점등 표시부(3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그 상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점등 표시부(31)의 커버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그 상면도, b는 a의 B-B선을 B1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c는 b의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점등 표시부(31)는, 환형의 케이싱(311)에 좌석 PS의 배치 간격에 따라서 설치된 10세트의 광 사출부(33)가, 중심부로부터 각각 각 좌석 PS의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311)은, 광 사출부(33)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외부로 투과시키거나 외부로부터는 그 내부 구조가 보이지 않도록 적자색 등으로 착색된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커버(312)에 의해 덮혀져 있다.
각 광 사출부(33)에는, 적색 LED(331)가 광원으로서 배치되고, 이 LED(331)의 주위에는 원통 부재(3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원통 부재(332)에 의해서, LED(331)의 지향성(직진성)이 향상된다.
또, 광 사출부(33)에는, 인간의 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레이저광을 그 광원에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등 표시부(31)의 광 사출부(33)로부터 플레이어에게 광이 사출되어 있는 모습을 도 6에 도시한다. 광 사출부(33)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이와 같이 방향지어져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광이 사출된 플레이어만이 이 점등 표시부(31)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플레이어로부터는 이 광의 사출을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1개의 광 사출부(33)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기본적으로는 빙고 게임기의 좌석 PS에 착석하고 있는 유일한 1명의 플레이어에게만 인식될 수 있고, 다른 플레이어로부터는 인식되는 경우가 없다.
<다른 실시예>
상술의 예에서는, 표시 장치(30)가, 「리치」의 상태에 있는 빙고 카드를 갖는 플레이어에게 대해서만 광을 사출하여 「리치」의 사실 등을 알리는 경우의 빙고 게임기의 동작을 나타내었지만, 「리치」가 발생한 사실 및 리치 부호에 대해서는, 모든 플레이어에게 알리게 하고, 플레이의 한층 더한 긴장감을 전 플레이어에게 대하여 제공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것은, 리치 부호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를 리치 부호가 아닌 부호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와 차별화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차별화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표시부(41)는 고정하여 광의 지향성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로 하면서, 리치 부호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40)의 표시탑(42)만을 상 방향으로 변위(또는 연장)시켜 다른 표시 장치와 구별함으로써 행한다. 점등 표시부(41)는 상기한 점등 표시부(31)와 동일한 것이다.
이 경우, 표시탑(42)을 상 방향으로 변위시키거나, 하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한 변위 기구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변위 기구를 갖는 표시 장치(40)의 구조 예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다. 도 8은, 이 표시 장치(40)의 정면도이며, 점등 표시부(41)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이 게임기 본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이 표시 장치(40)의 하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0)의 변위 기구는, 표시탑(42)을 보유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레일(45), 공급된 힘을 레일(45)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힘으로 변환하는 변환부(44), 및, 레일(45)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힘을 공급하는 공급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부(46)는, 컨트롤러 CNT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표시탑(42)을 상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힘을 변환부(44)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위 기구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표시 장치(40)를 상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전 플레이어에게 대하여, 어느 한 플레이어에게「리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 변위 기구는, 표시탑(42)을 상 방향으로 변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뿐만아니라, 표시탑(42)을 상하 방향으로 항상 변동시키거나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의 변형예 1>
상술의 표시 장치(30)[표시 장치(40)도 동일 양태]에서는, 점등 표시부(31)에 설치되는 복수의 광 사출부(33)의 각각이 독자의 광원을 갖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복수의 광 사출부를 공통의 광원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이 표시 장치(5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는 그 상면도, 도 11c는 그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50)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 중앙부에 공통의 광원(51)을 갖고 있고, 이 광원(51)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창(52)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창(52)은, 광원(51)으로부터의 광이 투과하였으면 그 광이 좌석 PS에 앉은 플레이어의 시야각 내에 사출되도록 방향지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창(52)의 각각에는, 셔터(53)가 내장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50)는, 컨트롤러 CNT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셔터(51)를 이용하여 창(53)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거나, 차단하지 않고서 광을 그대로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술한 표시 장치(30)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변형예 2>
도 12는, 다른 구성에 따른 표시 장치(6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이 표시 장치(60)의 사시도, 도 12b는 그 상면도, 도 12c는 그 단면도이다. 이 표시 장치(60)는, 상 방향으로 배치된 공통의 광원(61)에 의해 광이 사출되어 있다. 표시 장치(60)의 외벽은 하프 미러(62)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복수의 반사판(63)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63)은, 하프 미러(62)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각도 또는 그렇지 않은 각도로, 컨트롤러 CNT의 지시에 따라 각도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각 반사판(63)은, 각각 반사한 광이 플레이어의 시야각 내에 사출되도록 방향지어져 있다.
또, 상기한 하프 미러(62)를 대신하여, 편광판을 이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표시 장치(50, 60)에 있어서도, 광 사출부가 내부로부터의 광은 외부로 투과시키거나 외부로부터는 그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는 부재로 커버된 케이싱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빙고 게임기의 예이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어가 일개소에 모여 참가할 수 있는 놀이 기기로서, 당첨 확정 전에 리치와 같은 특정 사상이 발생하는 놀이 기기 전반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놀이 기기 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람이 집합하는 강의나 집회에 있어서, 특정한 사람만으로 기인하는 특정 사상이 발생된 것을 그 사람에게만 알리는 용도 등에 있어서, 상술의 놀이 기기와 마찬가지로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상술의 놀이 기기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CNT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는 제어 수단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특정한 방향으로만 광이 사출되기 때문에, 다른 방향에 있는 사람에게, 광이 사출된 사실을 은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놀이 기기를 구성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플레이어에 대해 고유하게 발생된 특정 사상의 사실을, 그 특정 사상의 발생 확인을 행하게 하지 않고, 또한, 다른 플레이어에게 모르는 형태로 알릴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각각 다른 방향으로 광을 사출할 수 있는 복수의 광 사출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소정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광의 사출을 허용하는 제어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가, 각 광 사출부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외부로 투과시키지만 외부로부터는 그 내부 구조를 볼 수 없는 부재로 커버된 케이싱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가 각각 독자의 광원을 갖고 있고,
    상기 제어 기구는, 소정 방향으로의 광의 사출을 허용할 때에, 해당하는 광원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는 공통의 광원을 갖고 있고,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 중 광의 사출이 허용된 광 사출부 이외의 것에 대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사출부의 각각이 사출 대상이 되는 광을 반사시켜 해당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표시탑과,
    이 표시탑을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 사출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이 사출될 때에 상기 변위 기구가 상기 표시탑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가 소정 부위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에 있어서,
    놀이에 관한 특정 사상의 발생의 유무를 플레이어마다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가 있는 경우에 그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놀이 기기.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가 각각 다른 부호가 할당된 형태로 복수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에 있어서,
    놀이에 관한 특정 사상의 발생의 유무를 플레이어마다 판정하는 수단,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가 있는 경우에 그 플레이어와 해당 특정 사상으로부터 관련지어지는 부호, 및 이 부호가 할당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놀이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탑 및 그 표시탑을 소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 자체에 대해서는 모든 플레이어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놀이 기기.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가 각각 다른 부호가 할당된 형태로 복수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플레이어용의 좌석이 소정의 간격으로 준비된 놀이 기기에 있어서,
    하나의 부호를 복수의 부호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하여 유효가 되는 추첨을 소정 횟수 반복하는 추첨 수단,
    복수의 부호가 플레이어마다 고유의 배열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하는 배열 정보를 각 플레이어의 좌석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배열 정보 중 상기 유효가 된 부호와 그 이외의 무효한 부호의 표시 형태를 다르게 하는 수단,
    상기 추첨 시에 각 플레이어에 대한 배열 정보에 있어서 세로 방향·가로 방향·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선 방향 상에서 1개의 부호 이외에는 전부 유효가 되어 있는 특정 사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적어도 한사람의 플레이어에 대해 상기 특정 사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상기 직선 방향 상에서 유일 무효한 부호가 할당된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의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제어 기구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플레이어의 좌석 방향으로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로부터 광이 사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놀이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수가 상기 배열 정보에 사용되는 부호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표시 장치가, 각각 자기에게 할당되어 있는 부호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표시 장치는 각각 소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표시탑 및 그 표시탑을 소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된 표시 장치의 표시탑을 상기 변위 기구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사실과 상기 유일 무효한 부호를 모든 플레이어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놀이 기기.
KR1020000061615A 1999-10-20 2000-10-19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 KR10073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98280 1999-10-20
JP29828099A JP3732368B2 (ja) 1999-10-20 1999-10-20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39A KR20010051139A (ko) 2001-06-25
KR100732080B1 true KR100732080B1 (ko) 2007-06-27

Family

ID=1785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615A KR100732080B1 (ko) 1999-10-20 2000-10-19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32368B2 (ko)
KR (1) KR100732080B1 (ko)
TW (1) TW5816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368B2 (ja) * 1999-10-20 2006-01-05 コナ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JP2003093585A (ja) * 2001-09-27 2003-04-02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6700212B2 (ja) * 2017-03-23 2020-05-27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140803A (zh) * 2018-07-31 2019-01-04 梧州市兴能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空气集热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0164A (ko) * 1988-01-27 1990-08-11 헤슬랜드 에길 데이타 결합 빙고게임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7328181A (ja) * 1994-06-08 1995-12-19 Kyoraku Sangyo Kk パチンコ機のランプ飾り
JPH0919540A (ja) * 1995-07-04 1997-01-21 Unie Kiki:Kk ボールゲーム機
JPH1125718A (ja) * 1997-07-03 1999-01-29 S T Energ Kk 回転点滅灯用ケース体
JPH11111006A (ja) * 1997-10-02 1999-04-23 Hamamatsu Photonics Kk スポット光源装置
JPH11137770A (ja) * 1997-11-10 1999-05-25 Konami Co Ltd ボールゲーム機
KR19990045102A (ko) * 1997-11-10 1999-06-25 고즈키 가게마사 볼 게임기
JP2001112907A (ja) * 1999-10-20 2001-04-24 Konami Co Ltd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0164A (ko) * 1988-01-27 1990-08-11 헤슬랜드 에길 데이타 결합 빙고게임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7328181A (ja) * 1994-06-08 1995-12-19 Kyoraku Sangyo Kk パチンコ機のランプ飾り
JPH0919540A (ja) * 1995-07-04 1997-01-21 Unie Kiki:Kk ボールゲーム機
JPH1125718A (ja) * 1997-07-03 1999-01-29 S T Energ Kk 回転点滅灯用ケース体
JPH11111006A (ja) * 1997-10-02 1999-04-23 Hamamatsu Photonics Kk スポット光源装置
JPH11137770A (ja) * 1997-11-10 1999-05-25 Konami Co Ltd ボールゲーム機
KR19990045102A (ko) * 1997-11-10 1999-06-25 고즈키 가게마사 볼 게임기
JP2001112907A (ja) * 1999-10-20 2001-04-24 Konami Co Ltd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32368B2 (ja) 2006-01-05
KR20010051139A (ko) 2001-06-25
TW581696B (en) 2004-04-01
JP2001112907A (ja) 200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173A (en) Slot machine
US6790140B1 (en) Game machine
CN101198384A (zh) 具有多个共享多结果显示器的游戏装置的游戏系统
KR100757158B1 (ko) 게임기 및 게임기의 제어 방법
JP2024028623A (ja) 遊技機
KR100732080B1 (ko) 표시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놀이 기기
KR100870266B1 (ko) 게임기, 그 게임기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JP7433880B2 (ja) 遊技機
JP3640853B2 (ja) ゲーム機及びゲーム機の制御方法、記録媒体
JP2024028622A (ja) 遊技機
KR100783975B1 (ko) 게임기 및 게임실행 방법, 기록 매체
JP2000061079A (ja) 遊技機
JP2015223477A (ja) 遊技場用システム
JP6573369B2 (ja) 遊技機
JP7475645B2 (ja) 遊技機
JP7477150B2 (ja) 遊技機
US20070060270A1 (en) Gaming display device
JP2008000269A (ja) 遊技機及び島並びに遊技機の遊技状態報知方法
WO2003028824A1 (en) Gaming display
JP7404091B2 (ja) 遊技機
JP7404092B2 (ja) 遊技機
JP7379197B2 (ja) 遊技機
JP7404093B2 (ja) 遊技機
JP7464974B2 (ja) 遊技機
JP7379198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