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422B1 - 약제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422B1
KR100727422B1 KR1020000064234A KR20000064234A KR100727422B1 KR 100727422 B1 KR100727422 B1 KR 100727422B1 KR 1020000064234 A KR1020000064234 A KR 1020000064234A KR 20000064234 A KR20000064234 A KR 20000064234A KR 100727422 B1 KR100727422 B1 KR 10072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ag
medicine
guide
bag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912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나카지 타케다
타카미츠 이나하라
노리유키 이이보시
토시후미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106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82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106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824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7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의 약포대를 적절하게 분배(振分)하여 이송한다.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공급하고, 1포분씩 분할하여 포장한다. 판별수단(4)에 의하여,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약포대의 종류를 판별한다. 분배(振分)수단(42)에 의하여, 판별수단(4)으로의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약포대를 배분한다. 파지수단에 의하여 약포대를 파지하고 이송수단에 의하여 결속위치로 이송한다.

Description

약제분포장치{MEDICATION PACKING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의 개략정면도.
도 2는 도 1의 약제 피이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손으로 분배하는 약제공급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약제송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약제포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약포대결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결속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6의 권취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도 6의 권취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9a는 도 6의 파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9b는 도 6의 파지부재의 제1개방상태를 도시한 부분정면도.
도 9c는 도 6의 파지부재의 제2개방상태를 도시한 부분정면도.
도 10은 도 9a의 평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긴 길이의 약포대의 결속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긴 길이의 약포대의 결속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a 및 도 13b는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결속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c는 빈 약포대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제공급부 2 : 약제포장부
3 : 약포대결속부 4 : 제어부
5 : 약제자동공급부
6 : 손으로 분배하는 약제공급부(이하 '약제수동공급부'라 함)
8 : 약제 피이더 16 : 낙하안내통로
25 : 제 1호퍼 26 : 제 2호퍼
30 : 약제송출장치 32 : 송출용기
38 : 공용 호퍼 42 : 분배(振分)부재
43 : 권취부재 44 : 파지부재
45 : 결속부재
본 발명은 약제분포장치, 특히 약포대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분배하는 것과 이송이 가능한 약제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공급하고 1포분씩 분할하여 포장함으로써 약포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형성된 약포대를 권취하는 권취장치나 권취한 약포대를 결속하는 결속기도 공지되 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의 약포대가 필요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래환자에게 투약하는 경우에는 복용 순서대로 포장한 일련의 긴 길이의 약포대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원환자에게 투약하는 경우에는 1일 단위(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식사 후의 3포)로 절단한 상태의 짧은 길이의 약포대로 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약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빈 약포대가 있다. 긴 길이의 약포대와 짧은 길이의 약포대는 각각 별개로 설치한 결속장치에 의하여 결속하고, 빈 약포대는 파기한다.
그러나, 종래의 약제분포장치에서는 약포대의 종류에 따라 분배하기 위한 구성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 권취장치나 결속기는 약제분포장치와는 별개로 설치하여, 외래환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만 긴 길이의 약포대를 권취하고 결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입원환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등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약제사 등이 분리하여 고무줄 등으로 묶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외래환자로부터 1일분씩 분리한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요구받은 경우에도 이 분리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약제분포장치에서는 약포대의 형태에 따른 반송기구가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화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의 약포대를 적절하게 배분하여 이송할 수 있는 약제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공급하고, 1포분씩 분할하여 포장함으로써 약포대를 형성하는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약포대의 공급형태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약포대가 반송(搬送)되는 제1방향에 설치되고, 긴 길이의 약포대를 권취하는 권취(券取)부재와,
상기 약포대가 반송되는 제2방향에 설치되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가이드하여 적층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긴 길이의 약포대가 판별되면 해당 긴 길이의 약포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권취부재를 향하여 분배(振分)하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가 판별되면 해당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하여 분배하는 분배(振分)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포대의 종류를 자동 판별하여 분배하고, 분배한 각 장소에서 약포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삭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형성된 약포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아랫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벽과,
상기 가이드 벽에 직각한 부분과 상기 가이드 벽에 평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으로, 분배되는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길이 차이에 따라 상기 경사판의 경사방향을 따라 가이드 위치를 변경 가능한 가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하여 빈 약포대가 판별되면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빈 약포대를 배출위치로 향하여 배분되도록 하는 것은 자동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약포대의 공급형태에 따라, 제1개방상태와 이 제1개방상태보다 개방각도가 큰 제2개방상태로 개방 각도(開度)를 변경 가능한 제1암 및 제2암으로 이루어지는 파지(把持)수단과, 상기 파지수단에 의하여 파지된 상기 약포대를 결속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포대의 공급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판별수단에 의하여 긴 길이의 약포대가 권취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파지수단은 암 사이를 상기 제1개방상태로 하여 권취상태의 긴 길이의 약포대에 접근하고 이것을 파지하는 한편,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긴 길이의 약포대가 적층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파지수단은 암 사이를 상기 제2개방상태로 하여 공급위치에서 대기하고, 순차적으로 암을 개폐함으로써 각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적층 상태로 한 다음 파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파지수단을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결속위치에서 결속한 약포대를 상기 한쪽의 암으로 압출하여 배출하도록 하면, 다른 추가 부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결속한 약포대의 배출을 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분포장치는 약제공급부(1), 약제포장부(2), 약포대결속부(3) 및 이들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가 본 발명에 관한 판별수단으로서의 역 할을 한다.
약제공급부(1)는 약제자동공급부(5)와 손으로 분배하는 약제공급부(이하 "약제수동공급부" 라 한다)(6)로 이루어진다.
약제자동공급부(5)는 상방 패널(7)에 상하 3단, 좌우 5열로 합계 15개의 약제 피이더(8)를 나란히 설치하고, 약제 피이더(8)의 각 열마다 약제통로(16)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최상부에 위치하는 약제 피이더(8)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작업자가 발판이 없어도 닿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약제 피이더(8)는 도 2에 도시하듯이 모터베이스(9)와 이 모터베이스(9)에 분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피이더 용기(10)로 이루어진다. 피이더 용기(10)는 상방 개구부가 커버(11)에 의해 밀폐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각 피이더 용기(10)에는 다른 종류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서 우측 2열의 피이더 용기(10)에는 피린계의 약제가, 좌측 3열의 피이더 용기(10)에는 비피린계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피이더 용기(10)의 바닥측에는 로우터(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우터(12)는 기어(13)를 매개로 하여 상기 모터베이스(9) 내의 모터(14)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피이더 용기(10)에 수용한 정제를 순차적으로 낙하안내통로(15)를 통하여 약제통로(16)로 배출한다.
약제수동공급부(6)는 상기 약제자동공급부(5)의 약제 피이더(8)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정제(투약 기회가 적은 정제 또는 반정 등의 어중간한 양의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일본 특공평6-37202호 공보 참조). 약제수동공급부(6)는 도 3에 도시하듯이, 지지틀(21)에 설치한 정제 버킷(22)내에는 격자 형상의 칸막이로 구분되어진 복수개의 분배칸(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분배칸(23)에는 미리 각종 정제가 수용된 정제 버킷(22)과 동일한 구성의 분배칸(24a)을 가지는 정제 트레이(24)로부터 동시에 정제가 공급된다. 그리고, 정제 버킷(22)의 영역(A)과 정제 버킷(22)의 영역(B)으로 분배칸(23)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달라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의 분배칸(23)에는 피린계의 약제가, 영역(B)의 분배칸(23)에는 비피린계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 분배칸(23)의 바닥판은 일단측에 위치하는 것부터 순서대로 개방한다. 또한, 각 분배칸(23)에는 작업자가 개방순서를 고려하여 필요한 정제를 필요한 수만큼 수작업으로 수용(손으로 분배함)할 필요가 있다. 약제수동공급부(6)의 설치 위치는 약제를 각 분배칸(23)에 손으로 분배하는 작업을 하기에 용이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약제공급부(1)의 하방에는 도 1에 도시하듯이 제1호퍼(25) 및 제2호퍼(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호퍼(25,26)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진 투명한 대략 사각추 형상이다. 이에 의해, 각 호퍼(25,26) 내를 통과하는 약제는 높이 방향으로 한정된 좁은 공간이라 하더라도 하방을 향해서 원활하게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약제자동공급부(5) 및 약제수동공급부(6)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있으므로, 높이 방향으로 한정된 좁은 공간에 단일의 호퍼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내면의 경사각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어 약제를 원활하게 낙하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호퍼(25,26)에 의하면, 각각 한정되어진 영역에서 낙하하는 약제를 회수하는 것만으로 완료되고, 내면의 경사각도를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호퍼(25)는 도 1에 도시하듯이 약제자동공급부(5)의 우측 2열의 피이더 용기(10)와 약제수동공급부(6)의 우측의 분배칸(2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호퍼(26)는 약제자동공급부(5)의 좌측 3열의 피이더 용기(10)와 약제수동공급부(6)의 좌측의 분배칸(2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호퍼(26)의 내면 등에 피린계의 약제가 잔류하여도 비피린계의 약제는 제1호퍼(25) 내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린계 약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도 안심하고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호퍼(26)의 하방에는 도 4에 도시하듯이 셔터 가이드(27)에 의해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가이드 되어진 셔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가이드(27)는 판 형상으로서, 하면 중앙부에는 셔터(28)의 양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27)의 일단측에는 상기 제2호퍼(26)의 하단개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관통공(27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28)는 상기 홈부(27a)의 깊이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이다. 셔터(28)에는 직사각형 구멍(28a)이 형성되고 그 내측면(內緣)에 형성되어진 랙(28b)에 셔터기어(29a)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셔터모터(29)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셔터 기어(29a)를 통해 셔터(28)는 도 4의 화살표(X,X')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28)의 하방에는 송출안내부(31)와 이 송출안내부(31)에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가이드된 송출용기(32)로 이루어진 약제송출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송출안내부(31)는 단면이 대략 U자형이고, 한쪽의 측벽 외면에는 장공(33)이 설치되어 있다. 송출용기(32)에는 일단측에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삽통공(揷通孔)(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통공(34)과 송출안내부(31)의 저면으로 송출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출용기(32)의 측면에는 상기 송출안내부(31)의 장공(33)을 통하고 측방으로 돌출하는 랙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랙부(36)에는 기대(基臺)에 설치된 송출기어(37a)가 맞물리고 송출 모터(37)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이 송출기어(37a)에 의해 송출용기(32)를 도 4중의 화살표(Y,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1호퍼(25)의 하방에는 공용호퍼(38)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용 호퍼(38)는 내부가 칸막이로 구분되고 비피린계 약제와 피린계 약제로 독립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용 호퍼(38)는 내부가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것을 미리 2개 준비하고, 상기 약제송출장치(30)를 통해 비피린계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와 상기 제2호퍼(26)를 통해 피린계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에 교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공용 호퍼(38)의 하방 개구부는 약제포장부(2)로 형성되는 약포(藥包)의 개구에 위치하여 있다.
약제포장부(2)는 도 5에 도시하듯이 포장 시트(39)의 반송로에 설치된 시트 폭방향 가열용의 한 쌍의 횡가열용 히트롤러(100)와 시트측 가장자리 가열용의 한 쌍의 종가열용 히트롤러(101)로 이루어진다. 횡가열용 히트롤러(100)는 부채 형상으로 형성된 횡가열면(102)과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이송면(103)을 가지고 있다. 또 한 각 롤러(100, 101)는 치차에 의한 전달기구를 개재하여 각각의 구동모터(104)에 접속되어 있다. 약제포장부(2)에서는 횡가열용 히트롤러(100)의 각 이송면(103)을 대향시키고 종가열용 히트롤러(101)를 회전시킨 후 횡가열용 히트롤러(100)의 각 횡가열면(102)을 대향시켜서 실링함으로써, 실링하기까지의 포장시트(39)의 이동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약제분포(藥劑分包)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횡가열용 히트롤러(100)의 횡가열면에 설치한 미싱날(105)에 의해 실링된 약제분포에 대해서 미싱눈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필요하다면, 일본 특개평8-230832호 공보, 일본 특개평9-202301호 공보 참조).
약포대결속부(3)는 도 6에 도시하듯이 경사판(41)에 분배(振分)부재(42), 권취부재(43), 파지부재(44) 및 결속부재(45)를 설치한 것이다.
경사판(41)은 형성된 약포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진 하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41)의 측가장자리부에는 직각방향으로 가이드벽(46)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경사판(41)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왕복이동하는 가이드편(47)이 설치되어져 있다. 가이드편(47)은 대략 L자형으로 돌출하고 가이드벽(46)으로 일정포 개수마다 절단된 단책(短冊;폭이 좁고 길이가 긴 종이)형상의 약포대를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편(47)과 가이드벽(46)은 약포대가 상방으로 밀려나와 파지부재(44)로 파지 가능한 높이로 되어 있다.
분배부재(42)는 판상체를 단면이 대략 'コ'자형으로 절곡시킨 것으로, 경사판(41)의 상단 가장자리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분배부재(42)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축(4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상기 약제포장부(2)에서 의 포장형태의 차이에 따라 각 약포대를 3방향으로 나누어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3포분 단위로 절단한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상기 가이드벽(46) 및 가이드편(47)에, 긴 길이의 약포대를 권취부재(43)에, 빈 약포대를 결속부재(45)측에 각각 다른 3방향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권취부재(43)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듯이 양단부에 가이드축(49)을 가지는 지지부(50)를 모터(50a)에 의해서 승강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지지부(50)에는 지지원반(51)이 놓여져 있고 그 관통공(51a)을 상기 가이드축(49)이 섭동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있다. 또한, 지지부(50)가 승강하는 경사판(41)의 개구부(52)에는 하방 내측 가장자리부에 지판(止板)(53)이 형성되어 지지부(50)의 하방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지지원반(51)의 하방 이동을 저지한다. 권취부재(43)는 지지부(50)를 상방 이동 위치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약포대를 가이드축(49)에 권취하고, 지지부(50)를 강하시킴으로써 약포대를 지지원반(51)에 지지하여 가이드축(49)을 약포대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에 의해, 권취부재(43)에 권취한 약포대를 파지부재(44)에 의해 파지하여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원활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지부재(44)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하듯이 이동대(110)와 제1암(111) 및 제2암(112)을 구비한다.
이동대(110)는 평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제1이동대(113)와 제2이동대(114)로 이루어진다. 제1이동대(113)는 나란히 설치된 가이드축(115)과 스크루축(116)에 지지되고, 모터(117)를 구동하여 스크루 축(116)을 회전시키면, 경사판(41)에 대하여 평행으로 왕복이동한다. 제2이동대(114)도 동일하게 제1이동대(113)에 나란히 설치된 가이드축(118)과 스크루축(119)에 지지되고, 모터(120)를 구동하여 스크루 축(119)을 회전시키면 제1이동대(113)와는 직교하는 방향이고 경사판(41)에 대하여 평행으로 왕복이동한다. 이로써, 양쪽 암(111, 112)은 가이드편(47)에 의한 가이드 위치, 권취부재(43)에 의한 권취위치, 후술하는 결속부재(45)에 의한 결속위치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양쪽 암(111, 112)은 상기 제2이동대(114)에 설치한 회전축(121)의 선단에 각각 지축(111a, 1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양쪽 암(111, 112)은 모터(122)의 구동에 의하여 기어(123a, 123b)를 통해 선회한다. 제1암(111)은 판상체이고, 회전운동 중심인 지축(111a)의 근방에 가압수부(押壓受部)(124)를 가진다. 제2암(112)은 선단에 탄성돌출부(125), 후단에 가압부(押壓部)(126)를 각각 가지고, 모터(127)를 구동하여 로드(128)를 신축시키고, 그 선단부에 상기 가압부(126)의 가장자리측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운동한다.
상기 양쪽 암(111, 112)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서로의 선단부분이 접근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탄성돌출부(125)와 제1암(111)과의 사이에 약포대를 파지한다. 또한, 양쪽 암(111, 112)은, 상기 모터(127)의 구동에 의하여 로드(128)를 신장시키고, 제2암(112)의 가압부(126)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2암(112)만이 회전운동하여 제1암(111)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개방상태(도 9b 참조)와, 제2암(112)이 회전운동하여 제1암(111)도 회전운동시켜서 개방각도를 크게 하는 제2개방상태(도 9c 참조)로 개방한다.
결속부재(45)는 도 1,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듯이 결속테이프(63)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부(64)와 공급되는 결속테이프(63)를 주회(周回)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6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65)는 판두께 방향으로 접리(接離) 가능한 제1가이드부(66)와 제2가이드부(67)로 이루어진다. 각 가이드부(66, 67)의 중앙에는 파지부재(44)에 의해 파지된 포장대가 삽입되는 직사각형 구멍(66a, 6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66)의 직사각형 구멍(66a)의 주위에는 제2가이드부(67)를 향하여 환상돌기(66b)가 설치되고, 제2가이드부(67)의 직사각형 구멍(67a)의 주위에는 제1가이드부(66)를 향하여 환상돌기(67b)가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66)의 환상돌기(66b)는 제2가이드부(67)의 환상돌기(67b)의 내측에 위치하여 있고, 제1가이드부(66)의 환상돌기(66b)의 돌출치수는 제2가이드부(67)의 환상돌기(67b)의 거의 1/2이고, 양자의 사이는 결속테이프(6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로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65)에는 공급되는 결속 테이프(63)를 열용착하는 용착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약제분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약제공급부(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공급한다. 자동공급하는 약제라면 약제자동공급부(5)의 각 약제 피이더(8)로부터, 수동공급(손으로 분배)하는 약제라면 약제수동공급부(6)로부터, 각각 해당하는 약제가 배출된다. 배출된 약제가 비피린계 약제라면 제1호퍼(25)로부터 직접 공용호퍼(38)의 한쪽 통로를 통해 포장장치에 공급된다. 피린계 약제라면, 제2호퍼(26)를 통해 일단 약제송출장치(30)에 공급된다. 약제송출장치(30)에서는 송출모터(37)를 구동하여 송출용기(32)를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송출오목부(35)에 수용한 정제를 공용호퍼(38)의 다른쪽 통로를 통해 분포장치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통로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고, 비피린계 약제에 피린계 약제의 잔류분말 등이 부착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공용호퍼(38)로서 칸막이가 없는 것을 사용할 때는 피린계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와 비피린계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에 공용호퍼(38)를 교환한다.
약제포장부(2)에서는 약제공급부(1)로부터 공급되어진 약제를 1포분씩 포장한다. 즉, 권회(卷回)한 긴 길이의 포장시트(39)를 되감고, 2개로 구부리면서, 횡가열용 히트롤러(100)에 의해 순차적으로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실링한다. 그리고, 상기 공용호퍼(38)를 통해 측방 개구부로부터 약제가 수용되면, 이 측방 개구부를 종가열용 히트롤러(101)에 의해 실링한다. 이렇게 하여 약제를 수용하여 얻어진 약포대는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 외래환자용 등에서는 예를 들면 1주일분(21포 등)의 단위로 절단하고, 긴 길이의 약포대를 얻는다. 또한, 입원환자용 등에서는 예를 들면 1일분(3포나 4포)의 단위로 절단하여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얻는다.
약포대결속부(3)에서는 우선, 분배부재(42)에 의해 약포대의 형태에 따라 분배를 행한다. 또한, 약포대의 형태는 제어부(4)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판단되어진다. 예를 들면, 외래환자에게 투약하는 경우에는 긴 길이의 약포대가 형성되고, 입원환자에 투약하는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약포대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래인지 또는 입원인지로 분배부재(42)의 분배방향을 판단하면 좋다.
긴 길이의 약포대인 경우, 도 11a에 도시하듯이 분배부재(42)를 중간위치로 하고 약포대를 경사판(41)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똑바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하듯이 권취부재(43)를 구동하고 약포대를 양가이드축(49)에 권취한다. 권취부재(43)는 도 11c에 도시하듯이 경사판(41)의 경사방향을 따라 약포대의 종단이 하방측의 가이드축(49)에 대하여 권취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한 곳에서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권취부재(43)에 권취되어진 약포대의 종단측이 경사진 하방을 향하여 풀리기 어렵게 된다.
또한, 파지부재(44)를 미리 분배부재(42)의 경사진 하방에 제2개방상태로 위치시켜 두고, 권취가 완료하면 도12a에 도시하듯이 경사판(41)을 따라서 상방 이동시킨다. 그리고, 각 암(111, 112)이 하방측의 가이드축(49)을 넘고, 권취한 약포대의 양측에 위치한 시점에서 양쪽 암(111, 112)으로 약포대를 파지시킨다. 도 12b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권취부재(43)를 강하시켜 파지부재(44)를 선회시킴과 동시에 결속부재(45)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12c에 도시하듯이 결속부재(45)의 가이드부재(65)의 직사각형 구멍(66a, 67a)에 상기 파지부재(44)에 의해 파지한 약포대의 중앙부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약포대가 직사각형 구멍(66a, 67a)의 경사진 하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에 당접(??接)하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테이프 공급부(64)로부터 가이드 부재(65)에 결속 테이프(63)를 공급한다. 공급되어진 테이프(63)는 가이드 부재(65)의 가이드 통로를 통과하여 주회한다. 여기에서, 제1가이드부(66)를 제2가이드부(67)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결속 테이프(63)를 되감는 것에 의해 약포대를 결속하고 겹친 부분을 용착부(68)에서 열용착한다.
그 다음, 파지부재(44)를 제2암(112)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제1개방상태로 하고, 결속부재(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2c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듯이 선회시킴으로써 제1암(111)의 평탄부분에서 약포대를 밀어내고, 도시하지 않은 취출구로부터 배출한다.
한편, 짧은 길이의 약포대인 경우, 도 13a에 도시하듯이, 분배부재(42)를 가이드 측벽에 선회시킨다. 또한,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절단길이에 맞추어 가이드편(47)을 이동시킨다. 또한, 파지부재(44)를 제1개방상태에서 가이드편(47)의 근방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가 이송되어 올 때마다 제2암(112)을 회전운동시키고, 가이드벽(46)을 따라서 정렬시킨다. 이에 의해,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하는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이송이 완료되면, 도 13b에 도시하듯이 파지부재(44)에서 이것들을 파지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결속부재(45)에 반송하고 중앙부를 결속한 후 배출한다.
빈 약포대인 경우, 도 13c에 도시하듯이 분배부재(42)를 결속부재(45)측에 선회시킨다. 빈 약포대는 환자가 달라지는 경우 등 연속하여 나누어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처방 데이터가 달라지면, 빈 약포대가 형성된다고 판단하고 분배부재(42)를 결속부재(45)측에 선회시킨다. 또한, 분배부재(42)로부터 결속부재(45)의 직사각형 구멍(66a, 67a)에 이르는 경로에는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호퍼(25, 26)에 의해 2개의 약제공급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3개의 경로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호퍼(25, 26)는 그 경로 수에 맞추어 설치하면 좋다. 이 경우 약제송출장치(30)에는 가령 벨트 컨베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에 의하면, 약포대의 종류를 자동 판별하여 분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적절한 종류의 약포대를 간단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약포대의 길이를 판별하여, 긴 길이의 약포대를 권취장치로 분배하여 권취하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가이드부재로 적층 상태에서 회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약포대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회수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분배된 짧은 길이의 약대포 길이의 차이에 따라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약포대의 적절한 회수가 더욱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빈 약포대를 판별하여 배출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약포대의 제공을 한층 더 자동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약포대의 공급형태에 따라서 파지수단을 구성하는 암의 개방각도(開度)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약포대를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원하는 장소로 간단하게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약포대의 반송기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복수개의 짧은 길이의 약포대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암을 개폐함으로써 각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적층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약포대를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송수단에 의하여 파지수단을 선회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기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한쪽의 암에 의하여 결속한 약포대를 압출하여 적절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공급하고, 1포분씩 분할하여 포장함으로써 약포대를 형성하는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방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약포대의 공급형태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약포대가 반송(搬送)되는 제1방향에 설치되고, 긴 길이의 약포대를 권취하는 권취(券取)부재와,
    상기 약포대가 반송되는 제2방향에 설치되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가이드하여 적층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긴 길이의 약포대가 판별되면 해당 긴 길이의 약포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권취부재를 향하여 분배(振分)하고, 짧은 길이의 약포대가 판별되면 해당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하여 분배하는 분배(振分)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형성된 약포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아랫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벽과,
    상기 가이드 벽에 직각한 부분과 상기 가이드 벽에 평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으로, 분배되는 짧은 길이의 약포대의 길이 차이에 따라 상기 경사판의 경사방향을 따라 가이드 위치를 변경 가능한 가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하여 빈 약포대가 판별되면, 상기 분배수단은 해당 빈 약포대를 배출위치로 향하여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약포대의 공급형태에 따라, 제1개방상태와 이 제1개방상태보다 개방각도가 큰 제2개방상태로 개방 각도(開度)를 변경 가능한 제1암 및 제2암으로 이루어지는 파지(把持)수단과,
    상기 파지수단에 의하여 파지된 상기 약포대를 결속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하여 긴 길이의 약포대가 권취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파지수단은 암 사이를 상기 제1개방상태로 하여 권취상태의 긴 길이의 약포대에 접근하고 이것을 파지하는 한편,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긴 길이의 약포대가 적층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파지수단은 암 사이를 상기 제2개방상태로 하여 공급위치에서 대기하고, 순차적으로 암을 개폐함으로써 각 짧은 길이의 약포대를 적층 상태로 한 다음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파지수단을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결속위치에서 결속한 약포대를 상기 한쪽의 암으로 압출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7. 삭제
KR1020000064234A 1999-11-01 2000-10-31 약제분포장치 KR100727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06299A JP4278247B2 (ja) 1999-11-01 1999-11-01 薬剤分包装置
JP1999-311063 1999-11-01
JP1999-311062 1999-11-01
JP31106399A JP4278248B2 (ja) 1999-11-01 1999-11-01 薬剤分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12A KR20010077912A (ko) 2001-08-20
KR100727422B1 true KR100727422B1 (ko) 2007-06-13

Family

ID=3303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34A KR100727422B1 (ko) 1999-11-01 2000-10-31 약제분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99685B1 (ko)
KR (1) KR100727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92B1 (ko) * 2006-06-21 2008-02-28 (주)제이브이엠 보조트레이 정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A2629916A1 (en) * 2008-01-23 2009-07-23 Jvm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acking prescription packages and prescription package box
CN104760713A (zh) * 2015-04-15 2015-07-08 苏州神林堂中医药研究所 一种中草药配制手推车
KR20200140811A (ko) * 2018-04-04 2020-12-16 알엑스세이프 엘엘씨 약제용 자동 포장기 및 그 작동 방법
US11299346B1 (en) * 2018-08-13 2022-04-12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Pharmacy order fill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754A (en) * 1977-11-25 1979-06-16 Komatsu Seisakusho:Kk System for conveying packaging bags
JPH0240603Y2 (ko) * 1983-09-30 1990-10-30
JPH05132006A (ja) * 1991-11-07 1993-05-28 Sanyo Electric Co Ltd 自動錠剤包装機の錠剤投入装置
JPH06135401A (ja) * 1992-12-07 1994-05-17 Tokyo Shokai:Kk 散薬分包機
JPH0764345A (ja) * 1993-08-25 1995-03-10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摩擦帯電付与部材
JPH09202301A (ja) * 1996-01-25 1997-08-05 Yuyama Seisakusho:Kk 薬剤分包方法と検薬方法
JP2001130502A (ja) * 1999-11-01 2001-05-1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分包装置
KR100405292B1 (ko) * 1995-08-23 2004-03-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고형제제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029A (en) * 1975-10-07 1977-04-19 Hayssen Manufacturing Co. Packaging apparatus
CH648253A5 (de) * 1979-08-31 1985-03-15 Haensel Otto Gmbh Verfahren zum registrieren und aussortieren der unvollstaendig gefuellten packungen in verpackungsmaschinen.
WO1993012972A1 (de) * 1986-01-29 1993-07-08 Herbert Rittin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ängenausgleich eines folienbandes aus einem bei abkühlung schrumpfenden werkstoff bei maschinen zum herstellen und vereinzeln von packungen
FR2596299B1 (fr) * 1986-03-27 1989-08-11 Cga Hbs Procede de confection de lots de petits elements et installation de mise en oeuvre
USRE37829E1 (en) * 1990-12-06 2002-09-03 Automed Technologies, Inc.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JP3477009B2 (ja) 1996-09-26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包帯巻取装置を備えた結束機
US6324253B1 (en) * 1998-08-26 2001-11-27 Yuyama Mfg. Co., Ltd. Tablet inspection apparatus
NL1021145C1 (nl) * 2001-12-19 2003-06-20 Buhrs Zaandam Bv Verpakkingslijn en werkwijze voor het continu verpakken van discrete producte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754A (en) * 1977-11-25 1979-06-16 Komatsu Seisakusho:Kk System for conveying packaging bags
JPH0240603Y2 (ko) * 1983-09-30 1990-10-30
JPH05132006A (ja) * 1991-11-07 1993-05-28 Sanyo Electric Co Ltd 自動錠剤包装機の錠剤投入装置
JPH06135401A (ja) * 1992-12-07 1994-05-17 Tokyo Shokai:Kk 散薬分包機
JPH0764345A (ja) * 1993-08-25 1995-03-10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摩擦帯電付与部材
KR100405292B1 (ko) * 1995-08-23 2004-03-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고형제제포장장치
JPH09202301A (ja) * 1996-01-25 1997-08-05 Yuyama Seisakusho:Kk 薬剤分包方法と検薬方法
JP2001130502A (ja) * 1999-11-01 2001-05-1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分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12A (ko) 2001-08-20
US6799685B1 (en) 200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562B1 (ko) 약제분포장치
US11542054B2 (en) Plural-mode automatic medicament packaging system
EP2082720B1 (en)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JP4121190B2 (ja) 調剤システム
KR100727422B1 (ko) 약제분포장치
TWI285616B (en) Packing device for medicine
JP4278248B2 (ja) 薬剤分包装置
JP2001212207A (ja) 薬剤分包機
JP4420449B2 (ja) 薬剤分包装置
JP4278247B2 (ja) 薬剤分包装置
JP4121606B2 (ja) 注射剤袋詰め装置
WO2004080809A1 (ja) 注射剤袋詰め装置
WO2002012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luding inserts with goods during automated packaging
JP2001212210A (ja) 調剤システム
JP2538350B2 (ja) 薬剤包装機の薬包取出装置
JP4518545B2 (ja) 薬剤分包装置
JP4476136B2 (ja) 注射薬払出システム
JP2657853B2 (ja) ヒート錠取り出し装置
JP4093434B2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6009772B2 (ja) 箱詰め方法及び箱詰め装置
JP2004182296A (ja) 包装システムおよび段ボール箱
JP2001212208A (ja) 薬剤袋詰機および薬袋発行機
JP2001212209A (ja) 調剤システム
JP2020018683A (ja) 分包薬剤折畳み装置、薬剤分包装置、及び折畳まれた分包薬剤の製造方法
JPH0398821A (ja) 薬剤供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