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66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666B1
KR100726666B1 KR1020050031672A KR20050031672A KR100726666B1 KR 100726666 B1 KR100726666 B1 KR 100726666B1 KR 1020050031672 A KR1020050031672 A KR 1020050031672A KR 20050031672 A KR20050031672 A KR 20050031672A KR 100726666 B1 KR100726666 B1 KR 10072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voltage
boar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553A (ko
Inventor
유지승
최정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구동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 보드; 상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드; 및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커패시터에 통과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와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보드에 공급하는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어터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 및 데이터 전송 시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 및 데이터 전송 시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52 : 컨트롤 보드 4, 54 : 데이터 보드
6, 58 : 라인 드라이버 8 : D 플립플롭
10 : COF 12, 60 : 데이터 IC
14 : 전송라인 18, 64 : 쉬프트 레지스터
20, 66 : 래치 22, 70 : 컨트롤러
56 : 데이터 전송 수단 62 : 메모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구동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은 He+Xe, Ne+Xe, 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방전할 때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여기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PDP는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기술 개발에 힘입어 화질이 향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PDP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DP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PDP에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보드(Control Board)(2)와 컨트롤러 보드(2)로부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공급받아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드(Data Board)(4)를 구비한다.
컨트롤러 보드(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각종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컨트롤 보드(2)는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6)를 통해 데이터신호와 클럭신호를 증폭한 후, 5V(TTL Level)로 데이터 보드(4)에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클럭신호의 2 배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 컨트롤 보드(2)와 데이터 보드(4) 간의 데이터 버스(Data Bus)는 96 비트(Bit)의 반인 48 비트가 소요된다.
데이터 보드(4)는 컨트롤 보드(2)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D 플립플롭(Flip-Flop)(8) 별로 데이터신호를 클럭킹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검출한다. 또한, 데이터 보드(4)는 검출된 데이터를 COF(Chip On Film)(10) 내의 데이터 IC(Intergrated Circuit)로 공급하여 데이터펄스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IC는 클럭신호에 따라 어드레스전극(X)에 데이터펄스를 공급함으로써 PDP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PDP에서 데이터는 병렬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WVGA(852×480)의 해상도를 갖는 PDP에서 데이터 보드(4) 내의 데이터 IC(12)는 일반적으로 96 핀 아웃(Pin Out)/6 비트 인(Bit In) 방식으로 신호처리를 한다. 이로 인해, 컨트롤 보드(2)와 데이터 IC(12) 사이의 전송 라인(14)은 160(852×3(R, G, B)/96 핀×6비트)개가 필요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IC(12)는 스캔전극(Y)에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가 컨트롤 보드(2)에서 데이터 IC(12)로 전송된다. 이때, 데이터 IC(12)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sistor)(18)를 이용해서 96 핀 아웃을 맞춘 후 래치(2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들이 스위칭함으로써 어드레스전극(X)들(X)(X)에 데이터펄 스가 공급된다.
도 5는 종래의 PDP 구동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 보드(2) 내에 설치된 컨트롤러(22)와 데이터 IC(12)는 동일한 기저전압(GND) 레벨을 가지기 때문에 컨트롤러(2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에 의해 데이터 IC(12)에서 생성되는 데이터펄스는 Va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데이터 IC(12)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SW1, SW2)의 내압은 Va 전압 이상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PDP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2)에서 데이터 보드(4)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병렬 방식에 의해 전송하기 때문에 컨트롤 보드(2)에서 데이터 보드(4)로의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지게 되면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라인 드라이버(6)가 많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라인(14)의 수도 증가하게 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PDP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2)에서 데이터 보드(4)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5V(TTL Level)로 고속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이하 "EMI"라 함)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고전압 방전이 발생하는 동안 소신호 전송을 하기 때문에 노이즈에 취약하고 고해상도일수록 스캔시간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컨트롤 보드(2)에 설치된 컨트롤러(22)와 데이터 보드(4)에 설치된 데이터 IC(12)가 동일한 기저전압 레벨(GND)을 가지기 때문에 데이터 IC(12) 내부에 내압이 높은 스위치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비용 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구동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 보드; 상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드; 및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커패시터에 통과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와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보드에 공급하는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보드는 상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임의의 시간동안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의 출력에 따라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의 기저전단에는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스위치들의 Vcc 단에는 데이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의 차전압인 제 2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압은 정극성 또는 부극성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기저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에 상기 제 1 전압을 더하기 위한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6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52), 데이터 보드(54) 및 데이터 전송 수단(56)을 포함한다.
컨트롤 보드(5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에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컨트롤 보드(52)는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58)를 통해 데이터신 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증폭한 후 데이터 전송 수단(56)을 통해 데이터 보드(54)에 전송한다.
데이터 보드(54)는 데이터 전송 수단(56)을 통해 컨트롤 보드(5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펄스를 생성한다.
데이터 전송 수단(56)은 컨트롤 보드(5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플로팅(Floating) 시켜 데이터 보드(54)에 전송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보드(54) 내에 설치된 데이터 IC(60)는 데이터펄스의 최소 레벨로써 기저전압(GND) 레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수단(56)은 광섬유(Optical Fiber),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및 커패시터(Capacito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여기서, 광섬유 또는 포토 커플러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빛의 신호로 바꾸어 기저전압(GND) 레벨의 개념이 필요치 않은 플로팅 상태로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데이터 보드(54)에 전송하고, 커패시터를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52)와 데이터 보드(54) 간의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직렬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직렬 전송이라 함은 컨트롤 보드(52)의 전송라인 당 2개 이상의 데이터 IC(60)의 라인을 배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송라인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플로팅 시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수단(56) 즉, 포토 커플러, 광섬유 및 커패시터의 구성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52)와 데이터 IC(60) 간의 직렬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적어 시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를 이용하여 어드레스기간 외의 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어터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데이터 전송 수단(56)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62)를 포함한다. 이때, 메모리(62)는 데이터 IC(60)의 내부나 외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메모리(62)는 컨트롤 보드(52)로부터의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가 데이터 전송 수단(56)을 통해 전송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전송된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저장한다. 메모리(62)가 데이터 IC(60) 내부에 설치될 경우 메모리(62)는 소정의 시간 뒤에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64)에 공급한다. 이때, 쉬프트 레지스터(64)는 데이터 IC(60)의 핀 아웃을 맞춘 후 래치(66)에 공급하고, 래치(66)는 입력된 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들(SW1, SW2)이 스위칭을 함으로써 어드레스전극(X)에는 데이터펄스가 공급된다. 메모리(62)가 데이터 IC(60) 외부에 설치된 경우 메모 리(62)는 소정의 시간 뒤에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데이터 IC(60)에 공급하고 데이터 IC(60)는 쉬프트 레지스터(64)를 통해 데이터 IC(60)의 핀 아웃을 맞춘 후 래치(66)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 및 데이터 전송 시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메모리(62)를 이용하여 어드레스기간 외의 기간 예를 들면, 리셋기간 또는 서스테인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한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52) 내에 설치된 컨트롤러(7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는 데이터 전송 수단(56)에 의해 플로팅 되어 데이터 IC(60)에 공급된다. 이때, 데이터 IC(60) 내에 설치된 메모리(62)는 플로팅 된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스위치들(SW1, SW2)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들(SW1, SW2)이 스위칭하면서 어드레스전극(X)들(X)에는 데이터펄스가 공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상술한 도 5와 같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와 달리 제 1 스위치(SW1)의 기저단에 정극성을 갖는 임의의 제 1 전압(Va-)을 인가하고, 제 2 스위치(SW2)의 Vcc단에 데이터전압(Va)과 제 1 전압(Va-)의 차전압인 제 2 전압(Va+)을 인가한다. 이 때, 제2 전압(Va+)의 기준 전압은 제1 전압(Va-)이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내압 조건을 제 2 전압(Va+)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IC(60)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드레스전극(X)에 부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메모리(62)는 데이터 IC(6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 및 데이터 전송 시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어드레스전극(X)과 더 강한 방전이 필요한 경우 리셋기간 동안 데이터 IC(60) 내에 설치된 제 1 스위치(SW1)에 기저단에 인가되는 제 1 전압으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Va)을 인가하면, 데이터 IC(60)는 리셋기간 동안 부극성의 데이터전압(-Va)을 어드레스전극(X)에 공급한다. 따라서, 구동 파형의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동마진을 증대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컨트롤 보드(52)로부터의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데이터 보드(54)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수단(56)으로 커패시터(C)가 사용된다. 여기서, 컨트롤러(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는 기저전압 레벨(GND)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커패시터(C)는 컨트롤러(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중 직류(DC) 성분을 블럭킹한 후 교류(AC) 성분 즉, 고주파 디지털 신호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데이터IC(60) 내에 설치된 제 1 스위치(SW1)의 기저단에 제 1 전압(Va-)을 공급하는 경우 커패시터(C)를 통과한 신호는 저항(R)을 통과하여 제 1 스위치(SW1)의 기저단에 공급됨으로써 ⓑ와 같이 제 1 전압(Va-)에 얹혀져서 전송된다. 즉, 컨트롤러(7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커패시터(C)를 통과한 신호는 기준전압이 다르게 된다. 다시 말해, 커패시터(C)는 컨트롤러(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 즉, 플로팅 시켜 메모리(62)에 공급한다. 메모리(62)는 커패시터(C)에 의해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 즉, 플로팅된 제어신호를 임의의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스위치들(SW1, SW2)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들(SW1, SW2)이 스위칭하면서 어드레스전극(X)들(X)에는 데이터펄스가 공급된다. 이때, 데이터신호 및 클럭신호 또한 커패시터(C)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기준전압이 다르게 플로팅 되어 메모리(6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컨트롤 보드(5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커패시터(C)에 통과시켜 커패시터(C)를 통과한 신호를 컨트롤 보드(5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시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와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 즉, 플로팅 시켜 데이터 IC(60)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IC(60)의 내압을 낮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IC(60)의 기저단에 부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동 파형의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동마진을 증대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는 데이터를 직렬 전송함으로써 컨트롤 보드(52)와 데이터 보드(54) 사이의 전송라인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62)를 이용하여 어드레스기간 외의 기간 예를 들면, 리셋기간 또는 서스테인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한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트롤 보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커패시터에 통과시켜 커패시터에 통과한 신호를 컨트롤 보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와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 즉, 플로팅 시켜 데이터 IC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IC의 내압을 낮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IC의 기저단에 부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동 파형의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동마진을 증대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데이터를 직렬 전송함으로써 컨트롤 보드와 데이터 보드 사이의 전송라인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를 이용하여 어드레스기간 외의 기간 예를 들면, 리셋기간 또는 서스테인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신호와 동기를 위한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 보드;
    상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드; 및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커패시터에 통과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 보드로부터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와 기준전압이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보드에 공급하는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드는
    상기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클럭신호를 임의의 시간동안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의 출력에 따라 데이터펄스를 생성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의 기저전단에는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스위치들의 Vcc단에는 데이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의 차전압인 제 2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정극성 또는 부극성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스위치의 기저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가 통과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20050031672A 2005-04-15 2005-04-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72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672A KR100726666B1 (ko) 2005-04-15 2005-04-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672A KR100726666B1 (ko) 2005-04-15 2005-04-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53A KR20060109553A (ko) 2006-10-23
KR100726666B1 true KR100726666B1 (ko) 2007-06-12

Family

ID=3761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672A KR100726666B1 (ko) 2005-04-15 2005-04-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45A (ko) * 2002-06-26 2004-01-0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구동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수신 장치
KR20060006669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45A (ko) * 2002-06-26 2004-01-0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구동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수신 장치
KR20060006669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2745
102006000666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53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7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636679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964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933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ime controller and source driver that can reuse intellectual property blocks
JP3943074B2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用リセット回路
KR101385206B1 (ko) 게이트 드라이버,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JP2009230139A (ja) ブランク期間にクロック信号を伝送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US7724225B2 (en) Display 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16278A (ja) 空き端子処理方法及び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6392619B1 (en) Data transfer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23135B1 (ko) 저전압 차동 신호전송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모듈 및 그 시스템
KR1007266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200530128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15589142A (zh) 显示装置和用于向显示装置供电的电力管理装置
CN115641812A (zh) 电力管理集成电路和栅极时钟调制电路
KR1006057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3489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357690B1 (ko) 차동 신호의 전압 값을 변조하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857677B1 (ko) Pdp 구동 회로, pdp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730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986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이터 전송 장치
US2009018988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the same
KR20020000448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KR20030058732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KR100604065B1 (ko) 쉬프트 레지스터부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