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266B1 -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266B1
KR100726266B1 KR1020050113040A KR20050113040A KR100726266B1 KR 100726266 B1 KR100726266 B1 KR 100726266B1 KR 1020050113040 A KR1020050113040 A KR 1020050113040A KR 20050113040 A KR20050113040 A KR 20050113040A KR 100726266 B1 KR100726266 B1 KR 10072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 amyloid
flavonoid
acid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915A (ko
Inventor
김희
하희진
김영호
이성은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주) 디지탈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지탈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 디지탈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5011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266B1/ko
Priority to JP2006313782A priority patent/JP2007145839A/ja
Publication of KR2007005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효과, 베타아밀로이드 독성 저해능 및 인지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연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베타아밀로이드 독성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 플라보노이드, 기억 회복 효과, 인지기능 장애

Description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flavone type flavonoi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도 1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휘세틴(fisetin)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플라본(flavone)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타나낸 도이고,
도 4은 캄페롤(kaempferol)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타나낸 도이며,
도 5은 모린(morin)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타나낸 도이고,
도 6은 쿼세틴(quercetin)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타나낸 도이며,
도 7은 람네틴(rhamnetin)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타나낸 도이고,
도 8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독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에 의한 자체 세포 독성을 측정한 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의 식물체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brain)와 척수 (spinal cord)로 구성된 중추신경계는 생명현상을 운영하는 중심센터로서 감각과 (불)수의적인 운동에서부터 사고, 기억, 감정, 언어 등에 이르기까지 인체의 모든 기능을 총괄하는 아주 필수적인 기관이다. 따라서 뇌졸중, 외상 등으로 야기된 급행적인 신경세포의 사멸이나,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 파킨슨질환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서행적인 신경세포의 사멸등과 같은 모든 경우에서는 곧 바로 신경회로망의 비가역적인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며 결국에는 해당 인체 기능의 영구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는 인간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복지시설의 현대화와 맞물려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통계조사에 다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가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래 2003년 397만 명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8.3%에 이르렀고 2019년 에는 14.4%에 이르러 완전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견된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한 가지 이상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에 이르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율도 8.2%로 추정된다. 서구사회에서는 65세 이상인구의 약 10%, 80세 이상인구의 약 40 ~ 50%에서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미 미국에서는 이 질환 환자가 500만 명 이상으로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연간 1000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약 20만 명 이상이 치매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2030년까지 현재의 2배 규모로 증가하고, 2050년까지는 350% 이상 늘어난 1,6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어지고 있다.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 www.alz.org)
인지 기능 장애로 시작되어지는 알츠하이머병은 인간 본성이 파괴되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를 수용하는 수동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사회 경제적 부담을 감당할 수가 없으므로 예방제 및 원인 치료제를 개발하는 적극적인 시도를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인 화이자사의 아리셉트(Aricept), 노바티스사의 엑셀론(Exelon), 그리고 얀센사의 레미닐(Reminyl) 과 최근에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받은 NMDA수용체의 길항제 기전의 룬드벡사의 에빅사(Ebixa; Memantine)가 있다. 그러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의 경우는 감퇴된 인지 능력을 개선해 줄 뿐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 또한, 단지 일부 환자의 경우 (약 40-50%)에서 일시적인 증세 완화 효과를 보이며, 그 약효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 근본적인 치료제라 하기 어렵다. 또한 질환의 특성상 장기 복용을 요하게 되는데, 상기 의약품들의 경우 간 독성, 구토, 식욕감퇴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질환의 진행 과정을 막아 줄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4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베타 또는 감마 시크리테아제 저해제의 개발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알츠하이머 질환에 대한 기초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매 치료제 개발 그 자체의 경우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감마 시크리테아제 저해제의 경우 동물 실험 모델에서 뿐만 아니라 최근의 임상 실험 결과에서도 상당한 독성을 수반함으로써 그 전망이 불투명하다. 비교적 연구 개발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으나 베타 시크리테아제의 경우 유전자 결핍 형질 전환 동물모델의 결과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좀 더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겟으로써 유망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에 관여하는 인자를 타겟으로 하는 것도 비교적 안전하게 효과를 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겟으로 하는 신약 개발에서 미국의 앤소닉스사에서 펜세린(Phenserine)이라는 약물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약물은 이중 기능을 가지고 있어 콜린에스테라제(cholineesterase) 저해 효과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Greig et al., J. Med . Chem . 44, pp.4062-4071, 2001; Medical News Today 2004년 9월 4일 기사, www.medicalnewstoday.com;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 홈페이지, www.alzforum.org/drg/drc).
가능성이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베타아밀로이드를 이용한 백신 (Vaccine) 의 개발이다. 엘란(Elan)회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일련의 연구 및 임상의 결과로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를 백신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임상 2상에서 소수의 환자에서 뇌염증 반응이 일어나 중단된 상태이다. 현재 다양한 베타아밀로이드 구조를 이용한 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동물실험의 결과로 베타아밀로이드 백신은 뇌 속에 형성된 노인반의 수를 줄이고 모델동물의 인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뇌세포의 활성을 증진하고 손상을 입은 뇌신경세포의 활성을 증진시켜 인지 기능을 향상시킴으로 알츠하이머를 완화할 수도 있다.(Gelinas et al ., Proc . Natl . Acad . Sci . USA , 101 , pp14657 -14662)
플라보노이드란 그리스어로 황색을 의미하는 flavus에서 유래되었고 과일껍질, 채소의 잎, 줄기, 뿌리, 씨앗, 꽃 등 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천연물질이다. 이는 C6-C3-C6을 기본골격으로 하는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로써 현재까지 4,000여종이 식물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고 감귤류에는 60여종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최초 임상에서의 사용은 1936년 헝가리 Albert Szent-Gyorgyi에 의한 것으로 이들 물질이 혈관투과성 조절 및 비타민 C 보조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비타민 P라고 불리기도 하였고 인체의 평균섭취량은 약 25-1000mg/일로 알려져 있다. 예전부터 동양의학에서 플라보노이드들은 혼합추출물의 형태로 항염증 및 면역조절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 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항균작용, 항진균/항 바이러스작용, 혈관계조절작용, 간장작용, 항염증/항알러지 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져 각종 질병의 치료에 식이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Russell L. et al., American chemical society. pp 83-107, 1980; Citrus science and technology, ed . Steven Nagy , Westport Conn ., Avi Co . ISBN 087055221X, 1977).
플라보노이드의 이러한 효능들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기전 저해를 통한 인지기능 장애, 특히 노인성 치매 치료 및 예방제로서의 활성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기 확립된 스크리닝 방법으로 인지 기능 장애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하여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 하였다. 그 중 놀랍게도 플라본 류의 플라보노이드로부터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 저해 활성을 관찰하였고 이어 농도별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독성을 저해하는 천연물을 확인하였다. 각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과 세포독성 저해능을 값으로 표시하였다. 지금까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인지 기능 장애에 대한 생리활성은 규명된 바 없다.
따라서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효과 및 기억 학습 회복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이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 및 응집을 저해하고,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사를 저해하며 신경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 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효과 및 기억 학습 회복 효과를 갖는 하기의 일반식(I)로 표기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OH 또는 OCH3 이다.
상기 일반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R1, R2, R4, R5 및 R6는 H 또는 OH이고, R3는 H, OH 또는 OCH3이며 R7은 H인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1) 내지 (6)으로 표기되는 휘세틴(fisetin), 플라본(flavone), 캄페롤(kaempferol), 모린(morin), 쿼세틴(quercetin), 람네틴(rhamnetin)을 포함한다.( 도 1 참조)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2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3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4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5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6
Figure 112005067992855-pat00007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pick)명,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은 상용으로 구입가능하고(예: 시그마사) 또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들로부터 휘세틴(fisetin), 플라본(flavone), 캄페롤(kaempferol), 모린(morin), 쿼세틴(quercetin), 람네틴(rhamnetin)을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화합물 정제 방법으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Ⅰ)으로 표기되는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 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일반식 (Ⅰ)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일반식 (Ⅰ)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0.01 ~ 99.9%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90%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일반식(I)로 표기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휘세틴(fisetin), 플라본(flavone), 캄페롤(kaempferol), 모린(morin), 쿼세틴(quercetin), 람네틴(rhamnet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지기능장애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및 개선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인지기능 장애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 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들의 준비
휘세틴(fisetin, F4043), 플라본(flavone, F2003), 캄페롤(kaempferol, K0133), 모린(morin, M4008), 쿼세틴(quercetin, Q0125)은 시그마(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람네틴(rhamnetin)은 실험실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실험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을 시료로 사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1-1. 실험의 준비
합성한 베타아밀로이드 1-42 (BACHEM)를 DMSO에 250μM로 완전히 녹인 후 형광 블랙 플레이트에 PBS로 1/10 희석하여 응집을 유도한다. 여기에 각 플라보노이드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저해능을 비교하여 10㎍/㎖ 에서 50% 저해효과 이상 나타내는 것을 골라 시료로 사용하여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50 mM 글리신 완충액에 ThT(Thioflavin T)를 희석하여 웰 당 150 ㎕씩 넣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SAFIRE, TECAN)에서 여기 파장 450nm/ 방출 파장 48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2. 휘세틴 ( fisetin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휘세틴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72.7%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휘세틴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12.5㎍/㎖ 으로 확인되었다.
1-3. 플라본( flavone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플라본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43.1%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플라본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20.0㎍/㎖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1-4. 캄페롤 ( kaempferol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캄페롤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65.9%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캄페롤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7.0㎍/㎖ 으로 확인되었다.
1-5. 모린 ( morin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모린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79.9%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모린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7.4㎍/㎖ 으로 확인되었다.
1-6. 쿼세틴 ( quercetin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쿼세틴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92.6%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쿼세틴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2.4㎍/㎖ 으로 확인되었다.
1-7. 람네틴 ( rhamnetin )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람네틴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92.7%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람네틴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2.3㎍/㎖ 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플라본 류 플라보노이드의 베타아밀로이드 독성 억제 실험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을 시료로 사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2-1. 실험 준비
생쥐의 신경세포주인 HT22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BRL) 배지에 10% FBS (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Sigma사)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Forma)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HT2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 103 세포/웰의 밀도로 평판 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기 전에 혈청이 제거된 DMEM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 농도별로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고, 응집이 된 베타아밀로이드 25-35(US 펩티드) 를 25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 여 세포 괴사를 유도한 후, 5㎎/㎖ MTT (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용액을 웰 당 15㎕씩 넣고, 4시간 배양 후 용해화 완충액(10% SDS, 50% 디메틸포름아미드, pH 4.7)을 100㎕ 씩 첨가하여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18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unrise, TECAN)를 이용하여 570nm/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Gillardon, F. et al., Brain Research, 706(1), pp.169-172, 1996).
2-2. 실험결과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를 이용하여 HT22 세포를 자극(challenge)하여 세포의 괴사를 유도하면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세포를 얼마나 살릴 수 있는지 측정하였다. 실험 농도는 각각 10㎍/㎖ 로 하여 세포에 1시간 전처리 후 베타아밀로이드를 첨가하여 18시간 세포 독성을 유도한다. 세포의 생사는 MTT 를 이용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을 수행한 플라보노이드 중 플라본을 제외한 플라보노이드 들이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플라본 류 플라보노이드의 자체 세포 독성 확인 실험
3-1. 실험준비
시료 자체의 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험예 1-1-2 와 같은 방법으로 HT22 세포를 배양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첨가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 용액과 용 해화 완충액을 차례로 넣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3-2. 실험결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자체 세포 독성을 측정하여 향후 생길 수 있는 시료의 자체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검색하였다.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는 절차와 유사하게 실험을 진행하되 베타아밀로이드를 제외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0㎍/㎖ 농도로 각 시료를 처리하여 자체 독성을 측정하여 도 9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대부분이 자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들은 세포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세포의 증식을 도와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중 휘세틴, 플라본, 캄페롤, 모린, 쿼세틴, 람네틴 등은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과 베타아밀로이드 원인에 의한 뇌신경 세포의 괴사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을 제거하고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휘세틴(fisetin)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플라본(flavone)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캄페롤(kaempferol)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모린(morin)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쿼세틴(quercetin) 2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람네틴(rhamnetin) 10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모린(morin) 100㎎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효과, 베타아밀로이드 독성 저해능 및 인지기능 회복 효과를 가짐으로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람네틴(rhamn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113040A 2005-11-24 2005-11-24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0A KR100726266B1 (ko) 2005-11-24 2005-11-24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313782A JP2007145839A (ja) 2005-11-24 2006-11-21 フラボノイド系化合物を含有する認知機能障害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0A KR100726266B1 (ko) 2005-11-24 2005-11-24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15A KR20070054915A (ko) 2007-05-30
KR100726266B1 true KR100726266B1 (ko) 2007-06-08

Family

ID=3820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040A KR100726266B1 (ko) 2005-11-24 2005-11-24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45839A (ko)
KR (1) KR100726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387B2 (ja) * 2010-06-28 2015-08-26 国立研究開発法人医薬基盤・健康・栄養研究所 メラニン産生促進剤
WO2012159092A2 (en) * 2011-05-19 2012-11-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dical food for cognitive decline
WO2016072522A1 (ja) * 2014-11-06 2016-05-12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新規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薬
KR101716571B1 (ko) * 2015-06-19 2017-03-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7096049A1 (en) 2015-12-03 2017-06-08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Pembroke Materials for cathepsin b enhancement and methods of use
KR102418100B1 (ko) * 2016-10-18 2022-07-08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207790A1 (ja) 2017-05-12 2018-11-15 花王株式会社 アミロイドβ分解排出促進剤
KR102328668B1 (ko) * 2017-11-29 2021-11-22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176184B1 (ko) * 2017-11-29 2020-11-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CN109718199B (zh) * 2019-02-25 2021-02-26 李琳 一种用于缺血缺氧性脑损伤的经胃肠道给药药物及其用途
CN111773232B (zh) * 2020-06-29 2023-07-25 烟台大学 新黄酮类化合物Hip A的用途
CN113527361B (zh) * 2021-07-19 2022-09-16 河南大学 一种线粒体靶向的神经保护药物tpp-qt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25081A (zh) * 2022-01-27 2022-09-09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三医院(广州重症孕产妇救治中心、广州柔济医院) 漆黄素在制备铁死亡抑制剂中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7572A2 (en) 2000-02-25 2001-08-29 Basf Aktiengesellschaft Use of flavones for treating cycloxygenase-2 mediated diseases
JP2005104850A (ja) 2003-09-26 2005-04-21 Kanazawa Univ Tlo Inc アルツハイマー病の治療薬および予防薬
KR100523562B1 (ko) 2001-10-29 2005-10-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7572A2 (en) 2000-02-25 2001-08-29 Basf Aktiengesellschaft Use of flavones for treating cycloxygenase-2 mediated diseases
KR100523562B1 (ko) 2001-10-29 2005-10-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JP2005104850A (ja) 2003-09-26 2005-04-21 Kanazawa Univ Tlo Inc アルツハイマー病の治療薬および予防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15A (ko) 2007-05-30
JP2007145839A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66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5839B1 (ko) 단삼으로부터 분리된 탄시논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9505A (ko)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정신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77523B1 (ko)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70040209A (ko) 단삼 분획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4676B1 (ko) Gypenoside LXXV를 포함하는 자궁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7008B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542587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99945B1 (ko)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7522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50047208A (ko) 생강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질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4628B1 (ko) 암 세포의 사멸작용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ㆍ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643191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12089B1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4650B1 (ko) 강황, 상황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기억손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92177B1 (ko) 다이인돌리메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2206831B1 (ko) 메로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100846522B1 (ko) 대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47B1 (ko) 라티폴린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0773133B1 (ko) 암 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을 갖는2′,4′,5,7-테트라하이드록시-5′,6-디프레닐 플라바논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