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941B1 - 블록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블록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5941B1 KR100725941B1 KR1020050093474A KR20050093474A KR100725941B1 KR 100725941 B1 KR100725941 B1 KR 100725941B1 KR 1020050093474 A KR1020050093474 A KR 1020050093474A KR 20050093474 A KR20050093474 A KR 20050093474A KR 100725941 B1 KR100725941 B1 KR 100725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oil
- retaining wall
- receiving portion
- wall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을 갖는 블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 블록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어, 토사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와;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며, 토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며, 각 블록의 토사수용부에는 블록의 적층방향을 따라 식생매트가 착탈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옹벽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며,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옹벽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블록과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블록 옹벽 구조물 10 : 블록
21 : 핀수용부 25 : 개방부
31 : 토사수용부 33 : 슬롯
35 : 안착홈 40 : 결합핀
41 : 핀부 43 : 핀헤드부
50 : 식생매트 51 : 식생시이트
53 : 지지부 S : 토사
P : 식물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을 갖는 블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하는 블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블록 옹벽 구조물은 제방 등에서 흙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다수의 블록들이 상호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옹벽 구조물에는 옹벽 구조물을 견고하게 결합하며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녹화를 실시한다.
즉, 옹벽 구조물을 이루는 각 블록의 토사영역에 식물의 종자를 분무식으로 살포하여, 블록에 식물을 식생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블록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는, 각 블록의 토사영역에 살포된 식물의 종자가 발아 후 활착하여 토사층에 뿌리를 내릴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식물이 발아하여 성장하는 기간 동안, 강우에 의한 토양 침식으로 토양이 유실되거나 식물의 종자가 유실되어, 각 블록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각 블록은 그 구조상 각 블록의 전면에 토사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를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의 종자를 살포하여 식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옹벽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며,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블록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을 갖는 블록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어, 토사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와;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며, 상기 토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매트는, 식물의 종자가 수용된 식생시이트와; 상기 식생시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토사수용부에 착탈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블록의 토사수용부에는 상기 블록의 적층방향을 따라 상기 식생매트가 착탈되는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생매트를 상기 각 블록에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옹벽 구조물(1)을 형성하는 블록(10)은 대체로 사다리꼴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10)은 전방을 향하는 전면(11), 전면(11)에 대향하는 후면(13), 상부면(15), 하부면(17) 및 양측부의 측면(19)을 가진다. 여기서, 블록(10)의 평면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블록(10)의 전면(11)은 옹벽 구조물(1)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인 파형상을 가진다.
각 블록(10)에는 블록(10)의 적층방향을 따라 상부면(15)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부(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핀수용부(21)에는 후술할 결합핀(40)의 핀부(41)가 삽입된다. 각 핀수용부(21)는 좌우방향으로 토사수용부(31)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핀수용부(21)는 결합핀(40)의 핀부(4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핀수용부(21)는 결합핀(40)의 핀부(41)의 단면형상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핀수용부(21)와 후면(13) 사이에는 상부면(15)으로부터 하부면(17)으로 수직으로 관통된 개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방부(25)는 블록(10)의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상태에서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S)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블록(10)에는 블록(10)의 전면(11)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토사(S)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토사수용부(31)는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며, 토사수용부(31)의 내벽면은 결합핀(40)의 핀헤드부(43)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에는 블록(10)의 적층방향을 따라 후술할 식생매트(50)가 착탈되는 한 쌍의 슬롯(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식생매트(50)를 각 블록(10)에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각 슬롯(33)의 상부측, 즉 블록(10)의 상부면(15)에는 후술할 식생매트(50)의 지지바아(57)가 수용 안착되는 안착홈(35)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식생매트(50)는 블록(10)의 상부면(15)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적층되는 한 쌍의 블록(10)은 결합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결합핀(40)은,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삽입되는 막대상의 핀부(41)와, 핀부(4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의 내벽면과 접촉하도록 토사수용부(31)에 수용되며 핀부(41)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핀헤드부(43)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핀부(41)는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대응하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핀부(41)는 블록(10)의 핀수용부(21)의 단면형상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헤드부(43)는 핀부(41)의 단면적 보다 크게 연장 형성되어,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옹벽 구조물(1)은 식물(P)의 종자를 수용하며, 각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식생매트(50)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50)는 식물(P)의 종자가 수용된 판형상의 식생시이트(51)와, 식생시이트(51)를 지지하며 토사수용부(31)에 착탈되는 지지부(53)를 가진다.
식생시이트(51)는 천연 재질의 섬유사가 무작위로 적층되어 내부에 다공성을 갖도록 서로 얽혀 있으며, 식생시이트(51)의 내부에는 식물(P)의 종자가 수용되어 있다. 특히, 식생시이트(51)의 식물(P) 종자는 토사수용부(31)에 수용된 토사(S)로부터 성장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받아, 원활하게 발아되어 활착하여 각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따라서, 식생시이트(51)는 식물(P)의 종자가 발아 후 성장할 때까지 빗물 등에 의해 블록(10)으로부터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식물(P)의 성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지부(53)는 양측 가장자리가 블록(10)의 슬롯(33)에 삽입되며 각 식생시이트(51)를 지지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지지프레임(55)과, 지지프레임(55)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프레임(55)을 지지하는 지지바아(57)를 가진다.
지지바아(57)는 블록(10)의 안착홈(35)에 수용 안착되며, 지지바아(57)는 적층되는 블록(10)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블록(10)의 상부면(15)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옹벽 구조물(1)의 시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물(P)의 종자가 수용된 식생매트(50)를 각 블록(10)에 조립한다. 이 때, 식생매트(5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 블록(10)의 슬롯(33)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식생매트(50)의 지지바아(57)가 블록(10)의 상부면(15)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블록(10)의 안착홈(35)에 수용 안착시킨다.
다음, 적층된 각 블록(10)들이 거의 수직상태인 수직벽을 이루도록, 블록(10)의 핀수용부(21)에 결합핀(40)을 결합한 후, 결합핀(40)이 결합된 블록(10)상 의 핀헤드부(43)의 접촉부가 인접한 다른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의 내벽면과 접촉하도록 블록(10)을 적층한다.
또한, 각 블록(10)의 핀수용부(2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적층되는 각 블록(10)들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엇갈리게 적층한다.
따라서, 적층된 각 블록(10)들은 거의 수직상태인 수직벽의 옹벽 구조물(1)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각 블록(10)의 개방부(25)에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S)를 충진하고, 또한 적층된 각 블록(10)의 토사수용부(31)에 토사(S)를 충진한다.
한편, 토사수용부(31)에 수용된 토사(S)는 식생매트(50)의 식물(P)의 종자에 성장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제공하여, 각 블록(10)에 설치된 식생매트(50)의 식물(P) 종자는 안정적으로 발아하며 활착하여 토사수용부(31)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따라서, 식생매트(50)의 식물(P)의 종자가 발아 후 성장할 때까지 빗물 등에 의해 식생매트(50)가 블록(10)으로부터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옹벽 구조물(1) 자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토사(S)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블록(10)의 전면(11)에 식물(P)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토사(S)의 유실로 인한 옹벽 구조물(1)의 붕괴를 방지하며,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각 블록의 전면에 토사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를 함몰 형성하고,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는 식생매트를 토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옹벽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며,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각 블록들이 거의 수직상태인 수직벽의 옹벽 구조물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각 블록의 토사수용부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결합핀의 핀헤드와 인접한 블록의 결합방향을 적절히 선택하여 다양한 경사각도를 갖는 옹벽을 선택적으로 축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블록의 전면에 식물이 안정적으로 식생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옹벽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며, 환경친화적인 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블록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Claims (3)
- 상호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을 갖는 블록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상기 각 블록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어, 토사를 수용하는 토사수용부와;식물의 종자를 수용하며, 상기 토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며,상기 각 블록의 토사수용부에는 상기 블록의 적층방향을 따라 상기 식생매트가 착탈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식생매트는,식물의 종자가 수용된 식생시이트와;상기 식생시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토사수용부에 착탈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옹벽 구조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3474A KR100725941B1 (ko) | 2005-10-05 | 2005-10-05 | 블록 옹벽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3474A KR100725941B1 (ko) | 2005-10-05 | 2005-10-05 | 블록 옹벽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8298A KR20070038298A (ko) | 2007-04-10 |
KR100725941B1 true KR100725941B1 (ko) | 2007-06-11 |
Family
ID=3815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3474A KR100725941B1 (ko) | 2005-10-05 | 2005-10-05 | 블록 옹벽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594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507B1 (ko) * | 2008-04-22 | 2011-07-04 | 임금철 | 옹벽블록용 압축토 수용판 |
KR101167559B1 (ko) | 2010-06-15 | 2012-07-27 | 주식회사 환경그룹 |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8151A (ja) * | 2000-12-18 | 2002-07-05 | Masao Sugiyama | 植生方法及び植生ポケットパネル |
JP2004132011A (ja) * | 2002-10-09 | 2004-04-30 | Seinan Kogyo Kk | 植栽ブロック及び植栽ブロックの製造方法並びに該植栽ブロックを使用した緑化工法 |
KR20050042110A (ko) * | 2004-10-18 | 2005-05-04 | 솔라원 환경기술(주) |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
-
2005
- 2005-10-05 KR KR1020050093474A patent/KR1007259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8151A (ja) * | 2000-12-18 | 2002-07-05 | Masao Sugiyama | 植生方法及び植生ポケットパネル |
JP2004132011A (ja) * | 2002-10-09 | 2004-04-30 | Seinan Kogyo Kk | 植栽ブロック及び植栽ブロックの製造方法並びに該植栽ブロックを使用した緑化工法 |
KR20050042110A (ko) * | 2004-10-18 | 2005-05-04 | 솔라원 환경기술(주) |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507B1 (ko) * | 2008-04-22 | 2011-07-04 | 임금철 | 옹벽블록용 압축토 수용판 |
KR101167559B1 (ko) | 2010-06-15 | 2012-07-27 | 주식회사 환경그룹 |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8298A (ko) | 2007-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7979B1 (ko) | 호안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725941B1 (ko) | 블록 옹벽 구조물 | |
KR101029317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KR101193330B1 (ko) |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JP3565222B2 (ja) | 緑化ブロック及び緑化ブロック塀 | |
JP3279538B2 (ja) |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 |
KR100841978B1 (ko) |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 |
JP2001303574A (ja) | 法面・壁面の簡易緑化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植栽基盤と植栽補助部材 | |
KR100628034B1 (ko) | 식생매트 | |
KR101197247B1 (ko) | 전면식생을 고려한 식생블록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 |
KR200395340Y1 (ko) | 호안구조물용 다공판 | |
KR200442424Y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JPH08120693A (ja) | 擁 壁 | |
EP1185159B1 (en) |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 |
KR100432855B1 (ko) |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 |
KR100938140B1 (ko) |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210054881A (ko) | 조립식 화분체 | |
KR200271993Y1 (ko) |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 |
KR20110040594A (ko) | 지면 안정화용 식생매트 및 이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 |
KR101335543B1 (ko)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09915B1 (ko)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 |
KR200449343Y1 (ko) | 식생매트 | |
KR100993142B1 (ko)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 |
JP2000144750A (ja) | 緑化パネル | |
JP2002161538A (ja) | 植生型積み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