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787B1 -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787B1
KR100725787B1 KR1020050089643A KR20050089643A KR100725787B1 KR 100725787 B1 KR100725787 B1 KR 100725787B1 KR 1020050089643 A KR1020050089643 A KR 1020050089643A KR 20050089643 A KR20050089643 A KR 20050089643A KR 100725787 B1 KR100725787 B1 KR 10072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wer
additional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787B1/ko
Priority to US11/535,250 priority patent/US20070070387A1/en
Priority to CNA2006101689163A priority patent/CN197235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신호수신부와;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와;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에 필요한 부가장치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DDITIO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와 부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와 부가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와 부가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200 : 부가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전원공급부
130 :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 150 : 장착 감지부
170 : 화상형성장치 제어부 190 : 표시부
220 : 전원 스위칭부 230 :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
240 : 부가장치 시스템부 270 : 부가장치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처리장치에 마련된 전원공급부가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화 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기기, 즉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을 통칭한다. 여기서, 복합기는(MFP: Multi Function Peripheral)는 팩시밀리, 스캐너, 프린터, 복사기 등의 각각 단품으로 존재하던 단말기를 하나의 기기로 통합하여 구현된 다기능 단말기로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화상형성장치가 고속화, 고기능화됨과 함께 다양한 인쇄용지의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인쇄용지의 다양한 배지 기능만을 전문화하여 수행하는 별도의 배지장치, 예를 들어, 피니셔(finisher), 용지급지 기능을 확장하며 많은 양의 용지을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급지부, 양면 복사 기능을 수행하는 듀플렉스 장치(Auto Duplex Feeder) 등의 부가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부가장치가 장착되면, 장착된 부가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부가장치의 추가 장착에 따라 전원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에 필요한 부가장치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정상모드와 절전모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신호수신부와;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와;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는 복수의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장치에만 상기 정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감지부는 풀업 저항과 풀다운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풀업 저항과 상기 풀다운 저항에 의한 풀업신호와 풀다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에 감지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전신호는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정상신호는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장치의 전원상태를 피드백하는 피드백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회로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의 전원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드에 따른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절전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부가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부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절전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이 오프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부가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장치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절전모드가 해제되어 정상모드로 동작한다는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이 온 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정상모드와 절전모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 되는 단계와;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 기 부가장치에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 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장치에만 상기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정상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절전모드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부가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부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절전신호에 따라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갖는 정상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정상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인터널 트레이 방식의 본체부(10)와 독취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화상형성부(12), 급지카세트(11), 배지롤러(16) 및 배지저장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독취부(120)는 원고화상을 독취하여 원고화상정보를 화상형성부(12)에 전송할 수 있다.
인쇄용지가 급지카세트(11)로부터 수령되어 화상형성부(12)에 급지되면 화상형성부(12)가 소정의 화상형성프로세스를 진행하여 화상을 인쇄용지에 형성한다.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는 배지롤러(16)에 의해 배지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부가장치(200)인 피니셔(21)과 듀플렉스장치(25)가 장착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부가장치(200)인 피니셔(21)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통상적으로 용지반송장치(14)는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배지롤러(16)는 본체부(10)와 독취부(15) 사이에 마련된 배지저장부(18)에 인쇄용지를 배지하여 저장하게 된다. 피니셔(21)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경우, 용지반송장치(14)가 배지저장부(18)에 장착되어 본체부(10)의 배지롤러(16)로부터 인쇄용지를 수령하여 피니셔(21)의 용지수령부(22)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피니셔(21)는 수령된 인쇄용지에 대해 소정의 배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스장치(25)는 독취부(15) 상단에 마련되어 양면복사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부가장치(200)가 듀플렉스장치(25)와 피니셔(21)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부가장치(200)는 이 외에도 대용량 카세트, 팩스, 복사기,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면 그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부가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소정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부가장치(200)와 통신하는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부가장치(200)가 장착됐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150)와, 이들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가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통신하는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220)와, 부가장치 시스템부(240)와, 이들을 제어하는 부가장치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신호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 능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입력키, 버튼, 터치패드, 스크롤키, 마우스 등의 사용자선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신호가 입력 가능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20)는 후술할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부가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부가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부(120)는 부가장치(200)는 물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 즉 후술할 표시부(190),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 장착 감지부(150), 신호수신부(110),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등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부가장치(2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부가장치(200)가 장착되며, 후술할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전원공급부(120)는 부가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절신호를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부가장치(200)의 부가장치 제어부(27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와 UART(Universal Asy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착 감지부(150)는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부가장치(200)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장착 감지부(150)는 풀업저항과 풀다운 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부가장치(200)가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장착되는지 여부에 따라 풀업신호와 풀다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의 소정 핀에 부가장치(2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의 소정 핀은 그라운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장착 감지부(150)의 풀업저항(R)의 일 단과 소정 핀은 오프, 즉 단락되어 있어서 장착 감지부(150)는 하이신호를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의 소정 핀에 부가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풀업저항(R)의 일 단과 소정 핀은 온, 즉 연결된다. 따라서, 소정 핀은 그라운드 되어 있으므로 풀업저항(R)의 일 단은 그라운드 되어 장착 감지부(150)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에 로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정상모드와 절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특히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부가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모드를 의미한다. 다만, 절전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가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와 신호수신부(110)에만 전원공급부(120)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모드는 절전모드를 제외한 모드를 의미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장착된 부가장치(200)에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신호를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부가장치(20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절전모드가 해제되어 정상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부가장치(200)를 정상모드로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정상모드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가장치(200)에만,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가 복합기이고, 피니셔(21)와 듀플렉스장치(25)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절전모드에서 인쇄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신호가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입력신호를 통해 듀플렉스 장치(25)의 기능은 선택되지 않고 피니셔(21)의 기능만 선택된 경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피니셔(21)에만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피니셔(21)는 정상모드로 동작하고 듀플렉스장치(25)는 여전히 절전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후술할 부가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부가장치(200)의 전원상태를 피드백하는 피드백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피드백회로에 의해 부가장치(200)의 전원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를 표시부(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부가장치(200)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부가장치(20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부가장치(200)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부가장치(20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부가장치(200)가 절전모드로 동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피드백회로에 의해 부가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면 부가장치(200)가 오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부가장치(200)가 정상모드로 동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피드백회로에 의해 부가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부가장치(200)가 오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표시부(190)에 부가장치(200)가 오동작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90)는 액정디스플레이유닛, LED 디스플레이유닛 등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장치(200)의 전원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면 그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장치(200)는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장착되며,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되는 레벨조절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칭부(220)는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한다. 이 때, 전원 스위칭부(220)는 후술할 부가장치 제어부(2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을 스위칭한다.
부가장치 시스템부(2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부가장치(2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장치 시스템부(240)는 부가장치 인터페이스부(230), 전원 스위칭부(220) 및 부가장치 제어부(270)를 제외한 부가장치(200) 내의 각 부를 모두 포함한다.
부가장치 제어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로 동작하여 절전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절전신호가 수신되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 스위칭부(220)를 제어한다.
한편, 부가장치 제어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절전모드가 해제되어 정상모드로 동작한다는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가 수신되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온 되도록 전원 스위칭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부가장치(200)는 절전모드에서 정상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부가장치 제어부(270)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부가장치 제어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별도의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는 소정의 부 가장치(200)가 장착된다(S11). 소정의 부가장치(200)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S13) 부가장치(200)에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출력한다(S15). 부가장치(200)는 절전신호가 수신되면 부가장치(200)의 전원 스위칭부(220)를 오프한다(S17). 그러면, 부가장치(200)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S19) 정상모드로 동작한다(S21). 이 때, 입력신호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버튼, 입력키 등의 사용자선택부이 선택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며 소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가장치(200)에만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한다(S23). 그러면, 부가장치(200)의 부가장치 제어부(270)는 전원 스위칭부(220)를 온 시키고(S25), 이에 따라 부가장치(200)의 각 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가장치(200)에만 정상신호를 출력하면, 복수의 부가장치(200) 중 정상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만 정상모드로 동작하며, 나머지 부가장치(200)는 여전히 절전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도 부가장치(200)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면, 화상형성장치 제어부(17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 능을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부가장치(200)에만 다시 정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부가장치(200) 중 필요한 부가장치(200)만 정상모드로 구동시켜서 부가장치(2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가 부가장치(200) 내에 마련되어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에 필요한 부가장치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7)

  1. 정상모드와 절전모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신호수신부와;
    UART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소정의 부가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부가장치에 요구되는 동작전원을 항상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된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에는 복수의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장치에만 상기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감지부는 풀업 저항과 풀다운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풀업 저항과 상기 풀다운 저항에 의한 풀업신호와 풀다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에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신호는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정상신호는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의 전원상태를 피드백하는 피드백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회로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의 전원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부는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드에 따른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정상모드와 절전모드로 동작 가능하고, UART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소정의 부가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장착될 수 있는 상기 부가장치에 요구되는 동작전원을 항상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되는 단계와;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소정의 부가장치가 장착 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부가장치가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장치에만 상기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정상신호에 의해 상기 부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6.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절전모드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부가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부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절전모드정보를 갖는 절전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절전신호에 따라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오프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정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정상모드정보를 갖는 정상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정상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89643A 2005-09-27 2005-09-27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2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643A KR100725787B1 (ko) 2005-09-27 2005-09-27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535,250 US20070070387A1 (en) 2005-09-27 2006-09-26 Image forming apparatus, additional apparatus connec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6101689163A CN1972354A (zh) 2005-09-27 2006-09-27 成像装置、可连接到成像装置的附属装置和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643A KR100725787B1 (ko) 2005-09-27 2005-09-27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043A Division KR100773998B1 (ko) 2007-05-11 2007-05-11 화상형성장치의 부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787B1 true KR100725787B1 (ko) 2007-06-08

Family

ID=3789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643A KR100725787B1 (ko) 2005-09-27 2005-09-27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70387A1 (ko)
KR (1) KR100725787B1 (ko)
CN (1) CN1972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4196B1 (en) 2008-03-13 2015-06-23 Impinj, Inc. RFID tag dynamically adjusting clock frequency
JP5277197B2 (ja) * 2010-03-29 2013-08-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32824B2 (ja) 2010-03-31 2013-07-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的接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922283B2 (ja) * 2017-03-14 2021-08-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059A (ko) * 1995-07-06 1997-02-19 한승준 자동차용 도어구조
JP2000267518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電子写真装置
JP2001356652A (ja) * 2000-06-13 2001-12-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250326A (ja) * 2004-03-08 2005-09-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183B1 (ko) * 1993-10-23 1996-07-26 김광호 에너지절감 화상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610116B2 (ja) * 1994-04-14 2005-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KR100219659B1 (ko) * 1997-08-27 1999-09-01 윤종용 인쇄기용 전원공급제어장치
JP3524352B2 (ja) * 1997-11-14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節電制御装置
KR100338734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JP4409104B2 (ja) * 2000-06-08 2010-02-03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給電制御方法
KR100393062B1 (ko) * 2001-01-10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형 이중 제어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438695B1 (ko) * 2001-03-09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JP3382933B2 (ja) * 2001-07-27 2003-03-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6636710B2 (en) * 2001-10-17 2003-10-21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 function peripheral having improved power sav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76957B1 (ko) * 2002-07-23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US6908164B2 (en) * 2003-01-13 2005-06-21 Lexmark International, Inc. Power control circuit for printers and other devices
JP2004237658A (ja) * 2003-02-07 2004-08-26 Minolta Co Ltd 電気機器
JP2005132052A (ja) * 2003-10-31 2005-05-2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4577781B2 (ja) * 2006-03-03 2010-11-10 株式会社リコー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059A (ko) * 1995-07-06 1997-02-19 한승준 자동차용 도어구조
JP2000267518A (ja) * 1999-03-15 2000-09-29 Hitachi Ltd 電子写真装置
JP2001356652A (ja) * 2000-06-13 2001-12-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250326A (ja) * 2004-03-08 2005-09-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06059
12267518
13356652
172503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70387A1 (en) 2007-03-29
CN1972354A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268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855721B2 (e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89642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s that receive commands to transition from power saving modes
JP200704366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9823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interface selection for power saving
KR100725787B1 (ko) 화상처리장치, 부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22524B2 (ja) 電子機器
JP2006195253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73998B1 (ko) 화상형성장치의 부가장치
JP6233533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8122752A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2597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US93548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18274B2 (ja) 画像形成装置
JP4446790B2 (ja) 画像形成装置
US114227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operation unit
JP7278877B2 (ja) 画像形成装置
JP5546411B2 (ja) 省電力電源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07115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セット開閉検知方法
JP3902867B2 (ja) 複合複写機の操作部、これを用いた複合複写機
JP629569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オプションユニットおよび制御装置
JP634395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オプションユニットおよび制御装置
JP20240056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23177A (ja) 画像形成装置
JPWO2018079281A1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