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730B1 -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730B1
KR100725730B1 KR1020060083471A KR20060083471A KR100725730B1 KR 100725730 B1 KR100725730 B1 KR 100725730B1 KR 1020060083471 A KR1020060083471 A KR 1020060083471A KR 20060083471 A KR20060083471 A KR 20060083471A KR 100725730 B1 KR100725730 B1 KR 10072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sustained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호
황경숙
최소영
Original Assignee
윤민호
황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호, 황경숙 filed Critical 윤민호
Priority to KR102006008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alginic acid) 또는 그의 염, 동물성 아미노산, 부식산(fumic acid), 제올라이트(zeolite)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는 알긴산과 함께 천연성분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함으로써, 알긴산 단독으로 제조된 미생물 캡슐화제에 비해 건조 후에도 단단한 구형의 겔 형태를 유지하고, 경도 및 비중이 높아 토양살포가 용이하며, 제조 1 년 후까지 80% 이상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생존율이 높고, 작물 시비 시 기존의 미생물 비료에 비해 30∼40% 증가된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 캡슐화 미생물 비료로 활용될 수 있다.
미생물 비료, 서방성, 캡슐화, 알긴산, 동물성 아미노산, 부식산, 제올라이트

Description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Encapsulated microbial fertilizer for sustained-release, and process and device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알긴산 수용액과 미생물 비료의 혼합물
11: 고점도 유량조절 펌프
12: 다채널 마이크로노즐
13: 염화칼슘 수용액
14: 스크린망
15: 미생물 비료 캡슐
본 발명은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동물성 아미노산, 부식산, 제올라이트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 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의 주된 목적은 인류가 필요로 하는 작물생산성 향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비료 및 농약이 개발되어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들 물질 사용에 따른 작물의 생산성은 크게 증가되었으나, 인류 및 자연환경에 대한 이들 물질의 부정적 측면이 부각되면서 화학물질에 의한 농업환경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오염된 환경을 회복할 수 있는 자원을 공급하고자 친환경 농업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생물제제, 특히 미생물제제(microbial materials)가 개발 이용되고 있다.
미생물을 농업에 이용하는 목적은 친환경적으로 작물생산성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비료에 대해서는 생물비료, 화학농약에 대해서는 생물농약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생물의 용도는 크게 생물 비료와 생물 농약으로 구분하여 접근할 수 있다.
미생물 비료는 큰 의미에서 병해충을 방제하는 목적이외의 용도, 즉 작물의 생장을 돕는 미생물로 구성된 제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양분을 공급하는 미생물,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양분을 가용화하는 미생물, 및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개량하는 미생물 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퇴비 및 지렁이를 포함하여 생물비료로 크게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생물비료에는 미량원소 공급 미생물, 식물생육조절 미생물(plant growth regulator) 또는 작물생육촉진 근권미 생물(plant growing-promoting rhizobacteria) 등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생물비료가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식물의 생육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생 물질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농업용 미생물제 수요의 증가에 따른 보다 안정한 미생물제 공급과 규격화된 품질 보증 및 미생물제 생산성 확대를 위하여, 농업용 미생물 캡슐소재 개발을 위해 열수추출법과 알칼리가용화추출법을 이용하여 다시마로부터 직접 알긴산을 추출하여 알긴산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비교하고 미생물 캡슐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비드(bead) 형성능과 생균력 안정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한 바 있다(문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Vol. 14, No. 1, 2005, pp. 102-11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알칼리가용화추출법으로 다시마로부터 직접 추출된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을 캡슐화 소재로 이용하여 농업용 미생물 캡슐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해내고, 이를 출원번호 제10-2005-80251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의 미생물 캡슐제는 알긴산 단독으로 제조되어 건조 후 구형의 겔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경도 및 비중이 낮아 토양살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하는 본 발명과 같이,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과 천연성분의 유기물 및 무기물을 이용하여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를 제조하는 것은 전혀 알려지거나 시도된 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을 이용하는 농업용 미 생물 캡슐제를 개발해낸데 이어서, 상기 캡슐화 소재를 이용하여 토양시비에 편리할 뿐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미생물의 생균수 유지율을 높여 미생물 비료의 시비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를 개발해내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해왔다. 그 결과,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동물성 아미노산, 부식산, 제올라이트 및 미생물을 함유하는 캡슐형 미생물 비료가 상기 목적에 부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동물성 아미노산, 부식산, 제올라이트 및 미생물을 함유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면은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1∼10 중량부, 동물성 아미노산 10∼50 중량부, 부식산 1∼10 중량부, 제올라이트 1∼10 중량부 및 미생물 5∼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는 수용성 망간 0.1∼0.5 중량부, 수용성 붕소 0.05∼0.5 중량부, 수용성 철 0.1∼0.5 중량부, 수용성 몰리브덴 0.0005∼0.01 중량부, 수용성 아연 0.05∼0.2 중량부 및 수용성 구리 0.05∼0.15 중량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 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미량요소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은 다시마로부터 알칼리가용화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며, 미생물은 바실러스속(Bacillus),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스트렙토마이세스속(Streptomyces),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또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에 속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면은
1)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알긴산 또는 그의 염 2∼4 중량부를 혼합하여 알긴산 수용액을 제조하고;
2) 단계 1)의 알긴산 수용액 200∼400 중량부, 미생물 5∼10 중량부, 동물성 아미노산 10∼30 중량부, 부식산 1∼5 중량부, 제올라이트 1∼10 중량부 및 각각의 미량요소 0.005 내지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3)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화칼슘 수용액을 제조하고;
4) 단계 2)의 혼합용액을 단계 3)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켜 캡슐화를 수행하고;
5) 단계 4)의 캡슐을 여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면은
1)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100∼300 rpm의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믹서;
2) 알긴산과 미생물 비료 혼합액을 일정 압력으로 밀어주는 고점도 유량조절 펌프(1∼3 HP);
3) 시간당 200∼400 ℓ를 분사할 수 있는 다채널 방식의 마이크로노즐(1 ㎜/dia); 및
4) 캡슐 성형과 성형화된 캡슐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망이 부착된 캡슐 성형믹서:
를 구비하고 있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는 캡슐화 소재(겔형성제)로서 겔형성이 용이하고, 미생물의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해조류 성분의 복합다당류인 알긴산(alginic acid) 또는 그의 염을 1∼10 중량부, 특히 2∼4 중량부, 보다 특히 2∼3 중량부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은, 캡슐화 소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특히 알칼리가용화추출법을 이용하여 다시마로부터 직접 추출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특히 알긴산 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긴산은 1.0×105 내지 1.3×105 Da의 분자량과 25 ℃에서 2,500 내지 30,000 cP의 점도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알긴산 2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은 1,4-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다당류로 해조류 성분의 20∼30%를 차지하고 있는 끈끈한 성질의 섬유질이며, 금속 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여 금속 이온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는 알긴산의 구성성분인 우론산(uronic acid)의 카르복시기 사이를 금속 이온이 결합하여 3차원적인 망상구조의 겔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키고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이고 토양의 염류분해 및 내병성을 증진시키는 미생물(microbes), 예를 들어, 바실러스속, 슈도모나스속, 스트렙토마이세스속, 아스퍼질러스속 또는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함유하며, 특히 염류 및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하고 탄저병과 잿빛곰팡이 길항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슈도모나스 말토필리아(Pseudomonas maltophilia),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및/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은 미생물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것일 수 있으며, 5∼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는 식물의 대사작용을 활성화하고, 생육증진 및 뿌리발달을 촉진하는, 식물이 흡수하기 쉬운 천연성분의 동물성 아미노산과, 유기물 함량과 토양의 양이온 치환능력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물리적 성질 개선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건조 후 캡슐의 형태를 유지하고 토양살포가 용이하도록 비중을 증가시키는, 부식산(fumic acid)과 제올라이트(zeolite)를 적정 비율로, 예를 들어, 동물성 아미노산 10∼30 중량부, 부식산 1∼5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1∼10 중량부로 함유한다. 상기 동물성 아미노산은 동물로부터 유래된 L- 알라닌, L-아르기닌, L-아스파라긴산, 글리신, L-시스테인, L-글루타민산, L-이소류신, L-류신, L-메티오닌, L-페닐알라닌, L-세린, L-프롤린, L-트레오닌, L-타이로신, L-발린, L-히스티딘 및 L-리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미량요소(trace element)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미량요소로는 수용성 망간 0.1∼0.5 중량부, 수용성 붕소 0.05∼0.5 중량부, 수용성 철 0.1∼0.5 중량부, 수용성 몰리브덴 0.0005∼0.01 중량부, 수용성 아연 0.05∼0.2 중량부 및/또는 수용성 구리 0.05∼0.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알긴산 2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알긴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알긴산 수용액 200 내지 400 중량부, 미생물 5 내지 10 중량부, 동물성 아미노산 10 내지 30 중량부, 부식산 1 내지 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및 각각의 미량요소 0.005 내지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3)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화칼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단계 2)의 혼합용액을, 예를 들어, 고점도 유량조절용 펌프로 다채널 마이크로노즐을 통해, 단계 3)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켜 캡슐화를 수행하는 단 계; 및
5) 단계 4)의 캡슐을 여과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화 장치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캡슐화 장치는
1)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100∼300 rpm의 교반기(agitator)가 부착된 혼합믹서;
2) 알긴산과 미생물 비료 혼합액을 일정 압력으로 밀어주는 고점도 유량조절 펌프(1∼3 HP);
3) 시간당 200∼400 ℓ를 분사할 수 있는 다채널 방식의 마이크로노즐(micro-nozzle, 1 ㎜/dia); 및
4) 캡슐 성형과 성형화된 캡슐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망이 부착된 캡슐 성형믹서: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캡슐은 1∼2 ㎜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알긴산 단독으로 제조되는 미생물 캡슐화제에 비해 건조 후에도 단단한 구형의 겔 형태를 유지하고, 경도 및 비중이 높아 토양살포가 용이하며, 제조 1 년 후까지 80% 이상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생존율이 높고, 작물 시비 시 기존의 미생물 비료에 비해 30∼40% 증가된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 캡슐화 미생물 비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캡슐형 미생물 비료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캡슐형 미생물 비료를 제조하였다.
원재(중량부)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Na-알기네이트 2.5 2.5 2.5 2.5 2.5
동물성 아미노산 10 15 20 25 30
부식산 1.0 2.0 3.0 4.0 5.0
제올라이트 1.0 2.0 3.0 4.0 5.0
미생물 10 10 10 10 10
실시예 2: 캡슐형 미생물 미량요소 복합비료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성분에 미량요소를 혼합하여 캡슐형 미생물 미량요소 복합비료를 제조하였다.
원재(중량부)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Na-알기네이트 2.5 2.5 2.5 2.5 2.5
동물성 아미노산 10 15 20 25 30
부식산 1.0 2.0 3.0 4.0 5.0
제올라이트 1.0 2.0 3.0 4.0 5.0
미생물 5.0 5.0 5.0 5.0 5.0
CuSO4 0.001 0.001 0.001 0.001 0.001
(NH4)6Mo7·O24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H3BO3 0.1 0.1 0.1 0.1 0.1
실험예 1: 캡슐형 미생물 비료의 토양살포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캡슐형 미생물 비료(이하, '실시예 1'이라 한다)와 대조구로서 시판되고 있는 토양 미생물제(A사 제품)의 토양살포 효과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대조구는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무기물(제올라이트)에 미생물만 흡착시킨 입상 미생물제였다.
상추를 공시 작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재배하였다.
(1) 재식거리: 20 ㎝×15 ㎝
(2) 시비방법: 상추 정식 7 일전 각 처리구에 설정된 공시 미생물 비료를 평당 100 g으로 살포 처리하였다.
(3) 수확: 생육기간 중 2 주일마다 3회 실시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3078813-pat0000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미생물 비료 살포 시 통상의 입상 미생물제 살포 시에 비해 엽장을 약 140%까지, 엽폭과 클로로필 함량을 약 120%까지 증진시킴으로써, 훨씬 우수한 식물생육 촉진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캡슐형 미생물 미량요소 복합비료의 토양살포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캡슐형 미생물 미량요소 복합비료(이하, '실시예 2'라 한다)와 대조구로서 시판되고 있는 입상 미량요소 복합제(A사 제품)의 토양살포 효과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대조구는 수용성 붕소, 수용성 몰리브덴, 수용성 구리, 수용성 망간 및 수용성 아연 등 총 미량요소 함량이 2% 이상인 것이었다.
배추를 공시 작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재배하였다.
(1) 재식거리: 40 ㎝×30 ㎝
(2) 시비방법: 배추 정식 7 일전 각 처리구에 설정된 공시 미생물 비료를 평당 100 g으로 살포 처리하였다.
(3) 수확: 생육기간 중 3 주일마다 3회 실시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3078813-pat0000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미생물 비료 살포 시 통상의 입상 미생물제 살포 시에 비해 엽장을 145%까지, 엽폭을 약 140%까지, 클로로필 함량을 약 115%까지 증진시킴으로써, 훨씬 우수한 식물생육 촉진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캡슐형 미생물 비료의 미생물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캡슐제 중 생육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실시예 1-3 및 실시예 2-3의 캡슐제에 대해 장기보관에 따른 미생물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대조구 1로서 시판되고 있는 입상 토양 미생물제(A사 제품), 대조구 2로서 알긴산과 미생물로만 제조된 캡슐제를 이용하여 25 ℃에서 1 년간 보관하면서 희석평판법에 의해 잔존하는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캡슐화 후 6 개월 저장 후* 12 개월 저장 후*
입상 미생물제 2.8×108 2.6×107 1.5×106
캡슐 미생물제 4.1×108 5.9×107 9.8×106
실시예 1-3 3.5×108 8.8×107 1.6×107
실시예 2-3 2.6×108 6.5×107 1.1×107
* 샘플을 건조한 암 조건 하 25 ℃에서 저장하였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과 실시예 2-3 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실시예 1-3 및 2-3은 대조구 1과 대조구 2에 비해 미생물의 생존율이 높아 생균수의 최저 한계점을 1×107 c.f.u./g으로 설정한 경우 25 ℃에서의 유통기간이 12 개월로 계산되었다.
실험예 4: 캡슐형 미생물 비료의 물리적 특성 시험
상기 실험예 3의 시료를 대상으로 입자크기, 경도, 비중 및 용해도 시험을 실시하여 각 시료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입자크기(㎜) 경도(g) 비중(d) 용해도(일)
입상 미생물제 2.7±0.42 113.8±43.5 1.43 0.1
캡슐 미생물제 0.6±0.68 151.5±24.2 1.14 28
실시예 1-3 1.7±0.35 162.6±23.4 1.27 33
실시예 2-3 1.6±0.31 159.2±15.8 1.29 34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화 제제는 경도가 높은 반면 물에 침지하여도 쉽게 분산되지 않고, 토양 시비 후 7 일 이상 경과하여야 분산되기 시작하여 28∼35 일까지 서서히 용해되므로, 서방성 미생물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미생물 비료는 알긴산 단독으로 제조된 미생물 캡슐화제에 비해 건조 후에도 단단한 구형의 겔 형태를 유지하고, 경도 및 비중이 높아 토양살포가 용이하며, 제조 1 년 후까지 80% 이상의 생균수가 유지되어 생존율이 높고, 작물 시비 시 기존의 미생물 비료에 30∼40% 증가된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 캡슐화 미생물 비료로 활용됨으로써, 농가소득 향상에 이바지하고, 환경친화적인 유기농산물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캡슐화 소재로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1∼10 중량부, 동물성 아미노산 10∼50 중량부, 부식산 1∼10 중량부, 제올라이트 1∼10 중량부 및 미생물 5∼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망간 0.1∼0.5 중량부, 수용성 붕소 0.05∼0.5 중량부, 수용성 철 0.1∼0.5 중량부, 수용성 몰리브덴 0.0005∼0.01 중량부, 수용성 아연 0.05∼0.2 중량부 및 수용성 구리 0.05∼0.15 중량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미량요소를 추가로 함유하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3. 제1항에 있어서,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이 다시마로부터 알칼리가용화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4.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바실러스속(Bacillus),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또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5. 1)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알긴산 또는 그의 염 2∼4 중량부를 혼합하여 알긴산 수용액을 제조하고;
    2) 단계 1)의 알긴산 수용액 200∼400 중량부, 미생물 5∼10 중량부, 동물성 아미노산 10∼30 중량부, 부식산 1∼5 중량부, 제올라이트 1∼10 중량부 및 각각의 미량요소 0.005 내지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3)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화칼슘 수용액을 제조하고;
    4) 단계 2)의 혼합용액을 단계 3)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켜 캡슐화를 수행하고;
    5) 단계 4)의 캡슐을 여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에 따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방법.
  6. 1)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100∼300 rpm의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믹서;
    2) 알긴산과 미생물 비료 혼합액을 일정 압력으로 밀어주는 고점도 유량조절 펌프(1∼3 HP);
    3) 시간당 200∼400 ℓ를 분사할 수 있는 다채널 방식의 마이크로노즐(1 ㎜/dia); 및
    4) 캡슐 성형과 성형화된 캡슐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망이 부착된 캡슐 성형믹서:
    를 구비하고 있는,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의 제조장치.
KR1020060083471A 2006-08-31 2006-08-31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72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71A KR100725730B1 (ko) 2006-08-31 2006-08-31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71A KR100725730B1 (ko) 2006-08-31 2006-08-31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730B1 true KR100725730B1 (ko) 2007-06-08

Family

ID=3835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471A KR100725730B1 (ko) 2006-08-31 2006-08-31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73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86B1 (ko) * 2008-03-12 2008-08-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함유하는 개선된 비료 이용 효율의친환경 비료 조성물
WO2009045052A1 (en) * 2007-10-05 2009-04-09 Lifecord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eptic capsules
CN102763684A (zh) * 2011-05-01 2012-11-07 华中农业大学 一种微胶囊制剂及制备方法与应用
KR101290873B1 (ko) 2011-05-06 2013-07-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양액 살균 바이오필터의 제조방법 및 폐양액 살균 바이오필터
CN103708864A (zh) * 2013-12-13 2014-04-09 永济市康地肥业有限公司 一种盐碱地作物用生物菌肥及其制作方法
CN107162646A (zh) * 2017-06-24 2017-09-15 山东普金肥料有限公司 微生物复合肥料生产装置
JP2019527177A (ja) * 2016-06-23 2019-09-26 アレボ・アクチボラゲットArevo Ab 肥料組成物
KR20200093844A (ko) * 2019-01-29 2020-08-06 박찬원 무환자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1534A (ko) 2019-05-14 2020-11-24 경기도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806594A (zh) * 2022-05-30 2022-07-29 北京北控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植物纤维粘合土壤改良复合物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82A (ko) * 1997-07-09 1999-02-05 유현식 알긴산을 이용한 서방성 의약 전달 시스템용 알긴산 비드(bead)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82A (ko) * 1997-07-09 1999-02-05 유현식 알긴산을 이용한 서방성 의약 전달 시스템용 알긴산 비드(bead)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2671B4 (de) 2007-10-05 2017-06-08 Sung Koo Kim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aseptischer Kapseln
KR100902781B1 (ko) * 2007-10-05 2009-06-12 (주)라이프코드 일체형 무균 캡슐 제조장치
GB2466170A (en) * 2007-10-05 2010-06-16 Lifecord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eptic capsules
DE112008002671T5 (de) 2007-10-05 2011-02-17 Sung Koo Kim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aseptischer Kapseln
WO2009045052A1 (en) * 2007-10-05 2009-04-09 Lifecord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eptic capsules
KR100850186B1 (ko) * 2008-03-12 2008-08-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함유하는 개선된 비료 이용 효율의친환경 비료 조성물
CN102763684A (zh) * 2011-05-01 2012-11-07 华中农业大学 一种微胶囊制剂及制备方法与应用
KR101290873B1 (ko) 2011-05-06 2013-07-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양액 살균 바이오필터의 제조방법 및 폐양액 살균 바이오필터
CN103708864A (zh) * 2013-12-13 2014-04-09 永济市康地肥业有限公司 一种盐碱地作物用生物菌肥及其制作方法
JP2019527177A (ja) * 2016-06-23 2019-09-26 アレボ・アクチボラゲットArevo Ab 肥料組成物
JP7292038B2 (ja) 2016-06-23 2023-06-16 アレボ・アクチボラゲット 肥料組成物
CN107162646A (zh) * 2017-06-24 2017-09-15 山东普金肥料有限公司 微生物复合肥料生产装置
KR20200093844A (ko) * 2019-01-29 2020-08-06 박찬원 무환자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0664B1 (ko) 2019-01-29 2020-10-27 박찬원 무환자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1534A (ko) 2019-05-14 2020-11-24 경기도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394B1 (ko) * 2019-05-14 2020-12-11 경기도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806594A (zh) * 2022-05-30 2022-07-29 北京北控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植物纤维粘合土壤改良复合物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730B1 (ko)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2173928B (zh) 林木无纺布容器育苗生物型基质
KR20120099873A (ko) 친환경 맞춤형 작물 근권분해 효소 복합체
CN105230661B (zh) 作物用功能性助剂及其制备方法
CN104705345B (zh) 一种用于促进小麦分蘖的壳寡糖复配制剂及其应用
WO2015024672A1 (de) Zubereitung zur förderung des pflanzenanbaus,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18536608A (ja) 浄菌型微生物群、発酵型微生物群および合成型微生物群と有機質原料で製造された有機肥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生成された有機肥料
CN107602262B (zh) 一种南方马铃薯滴灌控释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447071A (zh) 一种种子包衣剂及其包衣方法
CN104892259A (zh) 一种花卉专用有机肥料
CN102584429B (zh) 高浓度生态复合肥及其制备方法和在农林业生产中的应用
AU715303B2 (en) Fertilisers comprising nutrient and phosphate solubilising fungus
CN109089709A (zh) 一种盐碱地高效种植苹果的方法
CN106966834A (zh) 一种复合微生物颗粒肥及其制备方法
CN108424272A (zh) 一种长效多功能复合微生物肥及其生产工艺
WO2007059583A1 (en) Fertilizer and soil ameliorant
KR20130107406A (ko) 식물생장촉진 액비 및 그 제조방법
CN107321785A (zh) 一种采用微生物生长剂治理土壤污染的方法
WO2024032339A1 (zh) 一种果园基肥的制备方法及其施用方法
CN108863592B (zh) 盐碱地棉花出苗多效营养组合物、制备方法及施用方法
KR101165154B1 (ko) 석탄재를 이용한 토양 개량제의 제조방법
CN106116906B (zh) 有机液肥及其制备方法
CN115093297A (zh) 一种防止土壤板结的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2701875A (zh) 水稻送嫁返青基质及制备方法
CN106278553A (zh) 一种柑橘专用液态有机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