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394B1 -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394B1
KR102190394B1 KR1020190056288A KR20190056288A KR102190394B1 KR 102190394 B1 KR102190394 B1 KR 102190394B1 KR 1020190056288 A KR1020190056288 A KR 1020190056288A KR 20190056288 A KR20190056288 A KR 20190056288A KR 102190394 B1 KR102190394 B1 KR 10219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weight
fertilization
part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534A (ko
Inventor
이종형
최병열
장정희
원태진
도현용
김영록
지정현
김창균
이경원
나홍식
이현복
정인호
유한나
김건도
이병학
Original Assignee
경기도
주식회사 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주식회사 누보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9005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3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4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 C05G3/44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for affecting solu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5Capsules, e.g. core-sh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7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a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8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wax or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비료 및 비료를 감싸며 위치하는 피복 조성물을 포함하고, 피복 조성물은, 올레핀(olefin)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RELEASE-CONTROLLED COATING FERTIL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최근 안전한 먹거리 소비, 지속가능한 발전 등에 대한 국내외 관심의 증가와 함께 환경친화적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농업에 대한 수요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밭작물의 경우, 정상적인 생육과 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종(이식) 전에 기비 및 1 내지 4회의 추비를 통해 재배된다. 또한, 대부분의 밭작물은 잡초방제와 같은 재배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흑색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추비 및 시비를 수행할 때 비료의 용탈이 많아 기준 시비량보다 많은 비료를 시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추비 시용으로 인해 많은 인적 노력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비 및 추비를 통한 비료의 과다 사용은, 과다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재배 시 많은 노동력을 요구할 수 있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10-1096312 한국등록특허 10-072573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1회 시비로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과 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화학비료의 이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추비 시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비점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농촌인구 고령화 및 농업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라 비료의 용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시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토양에서 빗물에 의한 유거수중 무기성분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비료 및 비료를 감싸며 위치하는 피복 조성물을 포함하고, 피복 조성물은, 올레핀(olefin)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한다.
피복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부식산이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우레아(Urea), SRFA, SRFB, SRFC, SRFD, SRFE 또는 SRF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방법은, 비료, 올레핀(olefin)계 수지, 무기물, 전분,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피복 조성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 피복 용액을 비료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팅하는 단계에서, 피복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피복 조성물을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코팅하는 단계에서, 비료 표면에 3 내지 20 %의 피복률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하는 단계에서, 피복 용액은 음압으로 이루어진 유동층 코팅기(fluid bed processor)를 이용하여 비료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은, 1회 시비로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과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화학비료의 이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추비 시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농촌인구 고령화 및 농업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라 비료의 용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시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토양에서 빗물에 의한 유거수중 무기성분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작물에 종래 화학비료를 처리한 모습 및 실시예에 따른 파구 처리 피복비료를 처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를 파구 처리 방식으로 시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항온 온도 15℃에서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항온 온도 20℃에서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항온 온도 25℃에서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찰옥수수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고추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배추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에에 따른 피복비료 처리, 무시비에 따른 대조군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종래 비료 처리에 따라 배출되는 아산화질소(N2O) 가스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T-N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T-P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K+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작물에 종래 화학비료를 처리한 모습 및 실시예에 따른 파구 처리 피복비료를 처리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올레핀계 수지, 무기물, 전분, 그리고 부식산을 포함한다.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용해성 비료 성분이 불용성 피막으로 피복되어 비료성분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용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비료를 말한다. 이때, 용해성 비료는, 요소, 황산칼륨(SOP, Potassium Sulfate), 인산암모늄(MAP, monoammonium phospha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복은, 유동층 코팅기(fluid bed processor)를 이용하여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피복비료의 용출은, 물이 고분자 피막을 투과하는 정도 및 속도에 의하여 조절된다. 예를 들어, 피복비료의 용출은, 얇은 폴리머막을 통해 외부 수증기가 투과되면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폴리머막의 두께에 의해 피복비료가 용출되는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피복비료가 용출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종래 3~4차례 기비 및 추비를 시비하던 비료에 비하여,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1회 시비 처리만으로도 작물의 전 생장기간 동안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작물의 필요 시기에 맞춰 양분을 공급해줄 수 있고, 비료의 용탈로 인해 손실되는 비료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양분의 유실을 최소화하여 양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화학비료에 비하여 용출제어형 피복비료의 이용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비량을 절감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작물은, 찰옥수수, 고추, 배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올레핀(olefin)계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피복물질의 주요 조성물로 이용되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는 약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가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경우, 피막의 붕괴 시기가 빨라질 수 있고, 올레핀계 수지가 7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피막의 붕괴 시기가 늦춰질 수 있으며, 피복비료의 용출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무기물은, 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무기물은, 충진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무기물은 약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물이 약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용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현상이 미비할 수 있고, 약 6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용출이 너무 빠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손실되는 양(loss)이 많을 수 있다.
전분은, 시한용출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머와 혼용시 수증기가 일정 시간 동안 얇은 폴리머막을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용출을 지연시켜 주며, 일정시간 이후 폴리머막을 팽창시켜 주거나 분해되어 용출이 개시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분은, 약 0.1 내지 약 20 중량부를 포함될 수 있다. 전분은, 예를 들어,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작물의 생장시기에 따른 용출이 제 때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용출이 너무 빠르게 나타나고, 피복비료의 용출 조절이 어려을 수 있다.
부식산(Humic Acid)은, 양이온 치환 능력이 우수하여, 피복비료의 급격한 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부식산은 중생대 지구 한랭한 늪지에서 자라던 이끼, 수초갈대, 양치류 등과 같은 식물이 퇴적되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양이온 치환용량(CEC, Cation Exchang Capacity)이 높아 토양 입단화와 통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부식산은, 피복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20 중량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식산이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불량환경에서 용출에 미치는 능력이 미약할 수 있고, 부식산 본연의 기능이 부족하여 용출이후 우레아제 활성억제로 요소의 분해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토양물리화학성의 개선(pH조절과 토양미생물 활성향상 등)하며, 토양수분 발란스 개선 기능, 작물뿌리발달 촉진 기능, 광합성 증가 기능, 그리고 병충해 저항성을 높여주는 기능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 이상이 포함될 경우, 비료의 용출 제어 능력이 과도해져 비료의 용출이 빨라질 수 있고, 작물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다. 종래 피복비료는 부식산을 포함하지 않아 고온이나 관수량이 많은 환경에서 비료가 급격히 용출될 수 있으며, 작물에 비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부식산의 양이온 치환 능력으로 인해 비료의 급격한 용출을 제어할 수 있고, 이상 기상에서도 작물을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당 시비량 약 1.0 g인 경우, 비해 정도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주당 시비량 약 1.5 g인 경우, 약 1.3 정도 비해인 정식 직후 잎이 시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당 시비량 약 2.0 g인 경우, 약 2.3 정도의 비해인 잎 1장에서 잎 가장자리가 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주당 시비량 약 2.5 g인 경우, 약 3.7 정도의 비해인 잎 3장에서 잎 가장자리가 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용출제어형 피복비료의 제형은, 작물의 성장 시기에 따라 다른 용출 속도를 가지는 우레아(Urea), SRFA(Slow Release Fertilizer A type), SRFB(Slow Release Fertilizer B type), SRFC(Slow Release Fertilizer C type), SRFD(Slow Release Fertilizer D type), SRFE(Slow Release Fertilizer E type), 그리고 SRFF(Slow Release Fertilizer F type)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형별 피복물질과 정도에 따라 용출시기가 달라지며, 이러한 제형은 작물의 필요시기에 용출될 수 있도록 조성된다. 이때, SRF 타입들의 비료는, 완효성 질소 비료로써, 각각의 제형별로 용출시기와 용출량이 달라 작물별 생육기간과 필요시기에 질소성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형을 혼합하여 전용비료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아 피복비료는, 분말 제형일 수 있으며, 우레아-포름알데히드를 중합하여 피막으로 제조된 피복비료일 수 있고, 작물의 초기 성장 기간에 질소 영양분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우레아 피복비료를 사용하는 경우,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20일 기간 내에 급격하게 토양에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시비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120일 기간까지 약 65 내지 80%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초기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수 있으며, 항온온도 약 25℃에서, 시비 후 20일 시점에 질소 무기화율은 약 90%를 나타낼 수 있다.
SRFA는,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120일까지 미비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비 후 120일에 약 25%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5℃에서, 시비 후 120일에 약 50%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SRFB는, 항온온도 약 15℃에서 SRFA와 유사한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고,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120일까지 미비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비 후 120일에 약 25%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0℃일 때 시비 시점에서 시비 후 120일까지의 전체 구간에서, SRFA보다 낮은 질소 무기화율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5℃에서 다시 SRFA와 유사한 질소 무기화율 그래프를 보일 수 있으며, 시비 후 120일에 약 50%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SRFC는,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80일까지 SRFA와 유사하게 미비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비 후 80일 이후부터 용출률이 증가하여 SRFA보다 높은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0℃에서, 시비 후 40일 후부터 급격하게 용출이 증가하여, 시비 후 100일 시점에 약 50% 이상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 약 25℃에서, 시비 후 40일 및 시비 후 60일에 급격한 용출이 나타나 시비 후 120일에 약 80% 이상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SRFD는, SRFA와 유사한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내며,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120일까지 미비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비 후 120일에 약 25%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5℃에서, 시비 후 120일에 약 50% 이하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SRFE는,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40일까지 미비한 용출을 보이다가 시비 후 40일 이후부터 급격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고, 항온온도 약 25℃에서 시비 후 120일 약 60% 이상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SRFF는, 항온온도 약 15℃에서 시비 시점에서부터 시비 후 80일까지 미비한 용출을 보이다가 시비 후 80일 이후부터 시비 후 120일까지 급격한 용출을 나타낼 수 있다. 항온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률도 증가할 수 있으며, 항온온도 약 20℃및 약 25℃에서는 시비 후 20일 이후부터 급격한 용출을 보일 수 있고,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는 파구 처리하여 피복비료를 시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파구 방식으로 시비될 수 있다.
파구 처리 방식을 이용한 시비 방법은, 정식할 부분에 흙을 파는(파구) 단계, 파구 부분에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를 시비하는 단계, 작물을 정식하는 단계, 복토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파구 단계가 수행된다. 파구는 정식할 부분에 흙을 파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파구 부분에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를 시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작물은, 찰옥수수, 고추, 배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찰옥수수는 적정 시비량이 약 3.5 내지 4.5g/주일 수 있고, 고추는 적정 시비량이 약 5 내지 6g/주일 수 있으며, 배추는 적정 시비량이 약 4.5 내지 5.5g/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작물을 정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는, 작물의 성장 시기에 따라 다른 용출 속도를 가지는 우레아(Urea), SRFA, SRFB, SRFC, SRFD, SRFE, 그리고 SRFF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복토를 투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복토는, 비료를 혼합하지 않은 흙일 수 있고, 작물 또는 파종 위에 약간의 흙을 덮어줌으로써 작물의 성장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토는 약 3 내지 5 ㎜ 두께로 투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단계 이후에, 작물에 물을 주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전면시비를 시행했던 방식에 비하여, 파구 처리 방식을 이용한 시비 방법은, 시비량을 절감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산화질소(N2O) 가스의 경우, 종래 시료에 비하여 약 10% 내지 30% 정도 감소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시비량의 경우, 종래 시료에 비하여 약 70 내지 90% 절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용출제어형 피복비료의 제조방법은, 비료, 올레핀(olefin)계 수지, 무기물,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준비한 피복 조성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 피복 용액을 상기 비료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비료, 올레핀(olefin)계 수지, 무기물,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올레핀계 수지는 약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 약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약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 약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는, LLDPE, LDPE, HDPE 또는 EV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물은 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식산은 수분을 건조시킨 약 11 내지 13㎛ 크기의 미분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한 피복 조성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 피복 용액을 상기 비료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피복 용액은, 피복 조성물을 약 1 내지 10%로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음압으로 이루어진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비료의 표면에 약 3 내지 20%의 피복률로 코팅하여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매는,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복률은, 비료 단면적 대비 코팅이 된 부분의 단면적 두께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피복률, 즉 피복 두께에 따라 비료의 용출률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복률이 약 3 % 미만인 경우, 비료의 용출 속도가 작물의 성장 속도보다 빨라 과한 영양 공급으로 인해 작물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으며, 피복율이 약 20% 초과인 경우, 비료의 용출 속도가 작물의 성장 속도보다 과하게 느려져 작물이 필요한 영양분을 제 때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서, 부식산은 중국에서 원료를 수입하였으며, 유기용매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수분을 건조시켜 약 11 내지 13㎛ 크기의 미분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
우선, 비료 원료를 준비한다.
이어서, 피복 조성물로, 올레핀계 수지 약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약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약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 약 0.1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유기용매로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이용하여, 피복 조성물 약 5 중량부 및 유기용매 약 95중량부를 포함하는 약 5%의 피막 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이 피막 용액을 음압으로 이루어진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비료의 표면에 약 3 내지 20%의 피복률로 코팅하여 용출제어형 피복비료를 제조한다.
실험예 1 - 부식산 함량에 따른 불량률 및 1일 용출도 차이 분석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에 부식산을 무처리, 약 0.1, 약 1.0, 약 5.0, 약 10, 약 20, 약 30% 처방한 비료를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비료의 불량률 및 1일 용출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1일차 용출률의 비율은 부식산 미첨가 대비 1일 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은 부식산 처리 함량에 따른 피복비료의 불량률 및 1일차 용출률을 나타낸 표이다. 불량률은 3회를 반복시험하였으며, 1일차 용출률에서 비율은, 부식산 미첨가 대비 1일 용출률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부식산의 첨가 함량이 약 20% 이상일 경우, 피복비료의 불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용출도가 높아져 사용이 어려울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부식산 함량이 약 0.1%일 경우, 부식산이 미첨가된 피복비료와 비교하여, 불량율은 유사하고, 1일차 용출도는 더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식산 함량이 약 5% 이하일 경우, 부식산이 미첨가된 피복비료에 비하여, 불량률은 유사하나, 1일차 용출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부식산 함량이 약 10% 및 20%일 경우, 부식산 함량이 높을수록 불량률이 상승하고 초기 용출도도 상승하나, 파구 처리 비료에서의 1일 용출도가 약 3% 이내로 나타나 파구처리 비료로 사용이 가능함을 유추할 수 있다. 부식산 함량이 약 30%일 경우, 부식산이 미첨가된 피복비료에 비하여, 불량률이 약 10배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코팅 제형이 좋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임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부식산 함량이 약 30%일 경우, 1일차 용출도가 약 7.33%로 나타나 파구처리 비료로 규격이 3% 이상을 벗어남을 알 수 있다.
처방
[부식산 함량(%)]
L-30-0
[0.0%]
L-30-0.1
[0.1%]
L-30-1.0
[1.0%]
L-30-5.0
[5.0%]
L-30-10
[10.0]
L-30-20
[20.0]
L-30-30
[30.0]
불량률
(%)
(3회 반복)
1회차 0.16 0.20 0.15 0.20 0.21 0.19 2.35
2회차 0.23 0.15 0.20 0.10 0.19 0.20 1.70
3회차 0.06 0.10 0.20 0.15 0.18 0.23 2.20
평균±표준편차 0.15
±0.08
0.15
±0.05
0.18
±0.03
0.15
±0.05
0.20
±0.02
0.21
±0.02
2.08
±0.34
1일차
용출율
용출도(%) 2.01 1.61 1.96 1.66 2.14 2.34 7.33
비율(%) 100% 80% 98% 83% 107% 116% 365%
실험예 2 - 부식산 함량에 따른 비료 피해 정도 분석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 및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피복비료를 준비하고, 부식산 무처리, 약 1g, 약 2g, 약 3g, 약 4g, 약 5g을 각각 처리한 비료의 주당 시비량에 따른 비료 피해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2에서, 비료 피해 정도를 0~5까지 나누어 달관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각 피해 정도는 하기와 같다.
0: 비료피해(비해)가 전혀 없음
1: 정식 직후 잎이 시듦 증상 심함.
2: 잎 1장에서 잎 가장자리가 타는 증상이 보임.
3: 잎 3장에서 잎 가장자리가 타는 증상 보임.
4: 대부분의 잎에서 가장자리가 타는 증상 보임.
5: 식물체가 죽음.
표 2는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 및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피복비료를 이용하여, 주당 시비량에 따른 비료 피해 정도를 분석한 표이다.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의 피복비료는 부식산을 포함하여 비료 용출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당 시비량 약 1.0g의 경우, 비교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약 1.3 정도의 비료피해를 나타내는 반면,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비료피해가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고, 부식산에 의한 용출 제어가 나타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주당 시비량 약 1.5g의 경우, 비교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약 2.7 정도의 비료피해가 나타나지만,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약 1.3 정도의 피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식산 함량이 높아 질수록 비해는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부식산 함량이 약 30% 이상으로 포함되면, 코팅 문제로 인해 불량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식산의 함량은 약 0.1 내지 20%로 포함하는 것이 좋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에 따른 피복비료에 비하여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는 비료피해를 절감할 수 있고, 비료의 급격한 용출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처방 부식산 함량(%) 주당 시비량 비고
0g 1g 2g 3g 4g 5g
L-30 비교예 0 0 1.3 3.3 5 5 5
L-30 실시예 0.1 0 1.1 3.1 5 5 5 적정범위
0.5 0 0.3 2.3 5 5 5
1 0 0 1.3 5 5 5
1.5 0 0 0 1.3 2.3 3
2 0 0 0 0 0 1.3
3 0 0 0 0 0 0
4 0 0 0 0 0 0
5 0 0 0 0 0 0
10 0 0 0 0 0 0
20 0 0 0 0 0 0
30 3.5 5 5 5 5 5 코팅 문제
실험예 3 - 피복비료의 항온 온도에 따른 용출 제형별 토양 무기화율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를 준비하고, 항온온도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도 3a 내지 3c에 나타내었다. 이때, 피복비료는 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라 피복비료의 용출 정도가 다른 7가지 제형으로 각각 준비되었다. 7가지 제형은, 우레아(Urea), SRFA, SRFB, SRFC, SRFD, SRFE, 그리고 SRFF를 포함한다.
도 3a는 항온 온도 15℃에서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의 가로축은 항온기간(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낸다.
도 3b는 항온 온도 20℃에서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의 가로축은 항온기간(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낸다.
도 3c는 항온 온도 25℃에서 피복피료의 제형에 따른 토양의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의 가로축은 항온기간(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SRFA 내지 SRFF 제형에 비해, 우레아(Urea) 폼을 이용한 피복비료가 토양에 질소 무기화율을 가장 많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온온도 15℃에서 항온기간이 20일일 때, 우레아 제형의 피복비료는 빠른 용출을 나타내어 약 76.4%의 질소 무기화물을 나타내고, 항온기간이 60일일 때, 약 80.0%의 높은 질소 무기화물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0일 이후에는 우레아 제형의 피복비료의 질소 무기화물이 약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다른 SRFA 내지 SRFF 제형에 비해 우수한 질소 무기화물 수치를 나타내며, SRFA 내지 SRFF 제형은 느린 용출 속도로 인해 토양에 질소 무기화율이 조금씩 증가하여 항온기간 60일에 약 25%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온온도 20℃에서 항온기간이 20일일 때, 우레아 제형의 피복비료는 약 79.8%의 질소 무기화물을 나타내고, 항온기간이 40일일 때, 약 81.8%의 질소 무기화물 수치를 나타내며, 그 이후로 질소 무기화율이 점차 감소하여 항온기간이 120일 때, 약 67.2%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SRFA 내지 SRFF 제형의 피복비료는 20일 이후부터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항온기간 20일 이후에 SRFE 및 SRFF 제형의 피복비료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약 25%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항온기간 60일 이후부터 SRFC가 급격히 증가하여 항온기간 120일에는 약 50% 이상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항온기간 120일에는 SRFC, SRFE 그리고 SRFF의 피복비료가 우레아 제형의 피복비료와 유사한 수치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온온도 25℃에서 항온기간이 20일일 때, 우레아 제형의 피복비료는 약 88.6%의 질소 무기화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항온기간이 증가할수록 질소 무기화율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SRFA 내지 SRFF 제형의 피복비료는 항온기간 20일 이후부터 모두 가파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항온기간 100일에는 SRFC 및 SRFF의 피복비료가 우레아 피복비료의 질소 무기화율을 넘어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작물별 피복비료의 시비 수준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를 준비하고, 작물별 적정 시비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도 4a 내지 4c에 나타내었다. 이때, 작물은 찰옥수수, 고추 그리고 배추를 포함한다.
도 4a는 피복비료 시비량에 따른 찰옥수수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의 가로축은 피복비료(파구비료) 시비량(g/주)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량(kg/10a)을 나타낸다.
도 4b는 피복비료 시비량에 따른 고추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의 가로축은 피복비료(파구비료) 시비량(g/주)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량(kg/10a)을 나타낸다.
도 4c는 피복비료 시비량에 따른 배추의 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의 가로축은 피복비료(파구비료) 시비량(g/주)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량(kg/10a)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찰옥수수의 적정시비량은 4.1g/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추의 적정시비량은 5.6g/주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배추의 적정시비량은 4.9g/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피복비료 처리에 따른 일평균 N 2 O 가스 배출량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를 준비하고, 피복비료 처리에 따른 일평균 아산화질소(N2O) 가스 배출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도 5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에에 따른 피복비료 처리, 무시비에 따른 대조군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종래 비료 처리에 따라 배출되는 아산화질소(N2O) 가스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가로축은 비료를 무처리(0g)한 대조군, 종래 비료를 처리한 비교예 1 그리고 피복비료 6g/주를 처리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아산화질소(N2O) 가스의 배출량 지수를 나타낸다.
표 3은 비교예 1, 대조군, 실시예에 따른 비료의 일평균 배출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 및 표 3을 참조하면, 대조군에서 발생한 아산화질소 가스의 배출량지수는 30이며, 비교예 1에 따른 배출량 지수는 100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지수는 86을 나타내어 종래 비료에 비해 아산화질소 가스의 배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처리 내용 일 평균 배출량
(g N2O ha-1d-1)
비교예 1 72.7
대조군 21.7
실시예 62.7
실험예 6 - 빗물에 의한 유거수중 무기성분 함량 변화
실시예에 따른 피복비료, 무처리에 의한 대조군 1, 빗물 처리에 의한 대조군 2 그리고 종래 비료에 따른 비교예 1을 준비하고, 이들의 유거수중 무기성분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도 6 내지 8, 표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피복비료 4g/주를 처리한 것이다. 표 4 내지 6에서, 실시예는 2g/주, 3g/주 그리고 4g/주를 처리한 것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T-N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가로축은 조사일(월.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T-N(mg/L)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T-P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가로축은 조사일(월.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T-P(mg/L)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대조군 1, 대조군 2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K+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가로축은 조사일(월.일)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K+(mg/L)를 나타낸다.
표 4는 비교예 1, 대조군 1, 실시예, 대조군 2를 준비하고, 조사일(월.일)에 따른 T-N 성분 함량을 나타낸다.
표 5는 비교예 1, 대조군 1, 실시예, 대조군 2를 준비하고, 조사일(월.일)에 따른 T-P 성분 함량을 나타낸다.
표 6은 비교예 1, 대조군 1, 실시예, 대조군 2를 준비하고, 조사일(월.일)에 따른 K+ 성분 함량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 표 4 내지 6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피복비료의 처리가 T-N는 5.172 내지 5.599의 절반 정도의 수치를 나타내고, T-P는 0.635 내지 0.648의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며, K+는 8.32 내지 8.72의 절반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어 낮은 무기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비료처리가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구분 조사일(월.일) 평균
7.22 7.28 8.14 8.28
비교예 1 10.521 6.625 5.959 3.182 6.572
대조군 1 5.172 2.406 2.219 2.535 3.083
실시예(2g/주) 5.599 2.499 2.685 2.457 3.310
실시예(3g/주) 5.563 2.538 2.953 2.492 3.386
실시예(4g/주) 5.595 2.547 3.127 2.505 3.443
대조군 2 4.572 1.260 1.388 1.988 2.302
구분 조사일(월.일) 평균
7.22 7.28 8.14 8.28
비교예 1 3.487 1.300 1.438 1.472 1.924
대조군 1 0.613 0.514 0.444 0.652 0.556
실시예(2g/주) 0.642 0.544 0.591 0.745 0.631
실시예(3g/주) 0.648 0.548 0.632 0.759 0.644
실시예(4g/주) 0.635 0.543 0.628 0.757 0.641
대조군 2 0.016 0.009 0.011 0.032 0.017
구분 조사일(월.일) 평균
7.22 7.28 8.14 8.28
비교예 1 15.70 9.85 6.95 6.78 9.82
대조군 1 7.71 5.20 2.75 3.15 4.70
실시예(2g/주) 8.72 6.93 3.17 4.32 5.78
실시예(3g/주) 8.34 6.47 3.35 4.30 5.62
실시예(4g/주) 8.62 6.37 3.36 4.30 5.66
대조군 2 3.38 0.52 0.05 0.25 1.05
실험예 7 - 작물별 시비량 및 절감률
실시예 및 비교예 1에 따른 피복비료를 준비하고, 작물에 대하여 시비량 및 시비 절감률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작물은, 찰옥수수, 고추 그리고 배추를 포함한다.
표 7은 비교예 1 및 실시예에 따른 작물의 시비량 및 절감률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7을 참조하면, 전면 시비 방법을 이용하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파구방식으로 시비하는 실시예를 이용하였을 때 시비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찰옥수수의 경우, 79 kg/10a를 시비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는 주당 4.1g을 사용하여 24 kg/10a의 낮은 시비량을 이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1에 비하여 약 70%정도 시비량을 절감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질소-인산-칼리(N-P2O5-K2O) 성분이 15.8-3.0-6.3을 나타내는 것과 비교하여, 실시예는 8.0-1.4-2.0을 나타내므로 약 55% 정도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대비 실시예의 시비 횟수는 1회 절감할 수 있다.
고추의 경우, 149 kg/10a를 시비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는 파구당 5.6g을 사용하여 16 kg/10a를 시비하였으며, 약 89% 시비량이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질소-인산-칼리(N-P2O5-K2O) 성분의 경우, 비교예 1은 19.0-11.2-14.9 함량을 나타냈으나, 실시예는 3.4-1.0-1.4를 나타내어 비교예 1에 비해 약 87%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대비 실시예의 시비 횟수는 3회 절감할 수 있다.
배추의 경우, 60 kg/10a를 시비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는 파구당 4.9g을 사용하여 12 kg/10a를 시비하였으며, 약 80% 시비량이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질소-인산-칼리(N-P2O5-K2O) 성분의 경우, 비교예 1은 32.0-7.8-19.8 함량을 나타냈으나, 실시예는 4.2-0.6-1.0를 나타내어 비교예 1에 비해 약 90%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대비 실시예의 시비 횟수는 2회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비료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비료를 이용한다면 1회 시비만으로도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비료의 시비량 및 성분량을 확연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물 비종 제형
(시비방법)
시비방법 시비량(kg/10a) 및 절감률(%) 시비횟수
시비량 절감률 성분량
N-P2O5-K2O 절감률
찰옥수수 비교예 1 단비 전면시비 79 - 15.8-3.0-6.3 25.4 - 2회
(기비1, 추비1)
실시예 복비 파구시용 24
(주당 4.1g)
70 8.0-1.4-2.0 11.4 55 1회
(기비1)
고추 비교예 1 단비 전면시비 149 - 19.0-11.2-14.9 45.1 - 4회
(기비1, 추비3)
실시예 복비 파구시용 16
(파구당 5.6g)
89 3.4-1.0-1.4 5.8 87 1회
(기비1)
배추 비교예 1 단비 전면시비 60 - 32.0-7.8-19.8 59.6 - 3회
(기비1, 추비2)
실시예 복비 파구시용 12
(파구당 4.9g)
80 4.2-0.6-1.0 5.8 90 1회
(기비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비료 및
    상기 비료를 감싸며 위치하는 피복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 조성물은,
    올레핀(olefin)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 0.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SRFA, SRFB, SRFC, SRFD, SRFE 또는 SRF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형을 포함하고, 항온온도 15℃에서 토양에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하여 항온기간 60일에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25% 이하이고, 그리고
    찰옥수수, 고추, 또는 배추에 사용되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우레아(Urea를 포함하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6. 비료, 올레핀(olefin)계 수지, 무기물, 전분,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을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복 조성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 피복 용액을 상기 비료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 조성물은,
    올레핀(olefin)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무기물 20 내지 60 중량부,
    전분 0.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부식산(Humic Acid) 0.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활석 화이트카본 또는 돌로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SRFA, SRFB, SRFC, SRFD, SRFE 또는 SRF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형을 포함하고, 항온온도 15℃에서 토양에 질소 무기화율이 증가하여 항온기간 60일에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이 25% 이하이고, 그리고
    찰옥수수, 고추, 또는 배추에 사용되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복 용액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피복 조성물이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복 용액이 상기 비료 표면에 3 내지 20 %의 피복률로 코팅되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복 용액은 음압으로 이루어진 유동층 코팅기(fluid bed processor)를 이용하여 상기 비료 표면에 코팅되는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제조방법.
KR1020190056288A 2019-05-14 2019-05-14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88A KR102190394B1 (ko) 2019-05-14 2019-05-14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88A KR102190394B1 (ko) 2019-05-14 2019-05-14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34A KR20200131534A (ko) 2020-11-24
KR102190394B1 true KR102190394B1 (ko) 2020-12-11

Family

ID=7367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288A KR102190394B1 (ko) 2019-05-14 2019-05-14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31B1 (ko) * 2022-04-14 2023-04-03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탄소 저감용 미생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30B1 (ko) * 2006-08-31 2007-06-08 윤민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096312B1 (ko) * 2009-04-06 2011-12-20 주식회사 동부한농 용출제어형 자연분해 파종상처리제 피복비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30B1 (ko) * 2006-08-31 2007-06-08 윤민호 서방성 캡슐화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096312B1 (ko) * 2009-04-06 2011-12-20 주식회사 동부한농 용출제어형 자연분해 파종상처리제 피복비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31B1 (ko) * 2022-04-14 2023-04-03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탄소 저감용 미생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34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7940B (zh) 一种石漠化地区牧草建植方法及其使用方法
Tian et al. Factors affecting ammonia volatilisation from a rice–wheat rotation system
AU2018101437A4 (en) Special film-coated controlled release calcium fertilizer for peanut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CN103044159B (zh) 农药残留降解剂
CN103299810A (zh) 一种马铃薯高产栽培方法
CN109005725A (zh) 利用秸秆还田改良土壤的方法及农作物种植方法
US20030205072A1 (en) Soil improving and fertilising composition
CN110946047A (zh) 一种旱地秸秆覆盖垄侧(宽幅)沟播作物栽培方法
CN107155595A (zh) 一种大棚辣椒的种植方法
CN108184359A (zh) 一种在重度污染盐碱地进行土壤改良的方法
KR102190394B1 (ko)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Saini et al. Growth, phenology and yield of summer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L.) as affected by varied application of water, nutrients and hydrogel
CN106171734A (zh) 一种重度盐碱地微生物改良和沙枣种植方法
CN108293544A (zh) 软枣猕猴桃土肥水技术
JP4010059B2 (ja) 土壌酸性化感応型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352679A (zh) 防止土壤板结的化肥施料方法
CN114868612A (zh) 一种盐碱地水稻秸秆还田方法
AU2020104407A4 (en) A method of cultivating rapeseed for feed in saline-alkali land
CN112753508B (zh) 一种三七根腐病的防治方法
CN110591725B (zh) 一种酸性土壤改良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42629A (zh) 黄土丘陵区新修梯田土壤快速培肥方法
CN106380246A (zh) 一种复合肥料及其制备方法
CN105247991A (zh) 一种农作物根域土壤的调控方法
KR100647255B1 (ko)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CN108834790A (zh) 一种抗旱保优的水稻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