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330B1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330B1
KR100725330B1 KR1020060054313A KR20060054313A KR100725330B1 KR 100725330 B1 KR100725330 B1 KR 100725330B1 KR 1020060054313 A KR1020060054313 A KR 1020060054313A KR 20060054313 A KR20060054313 A KR 20060054313A KR 100725330 B1 KR100725330 B1 KR 10072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related information
basic
lis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486A (ko
Inventor
시게루 에노모토
츠토무 오가사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06013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련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하고,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한 경우에,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취득해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하고,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한다.
정보처리장치,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 표시영역, 관련정보 테이블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컨트롤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기초 메뉴 표시화면에서 관련정보 화면으로의 천이(遷移)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기초 메뉴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사용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사용하는 영화작품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사용하는 관련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사용하는 인물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에서 제2의 관련정보 화면으로의 천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제2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 제어부 12 : 화상처리부
13 : 표시제어부 14 : 기억부
15 : 디스크 드라이브 16 : 조작부
17 : 통신부
본 발명은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 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가전 등의 장치에 있어서는, 시각적인 양호함과 간이한 조작성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청에 응하기 위해서, 장치에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과 그 기초 메뉴항목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화면상에 2차원적으로 배열한 아이콘에 의해 표현함으로써 메뉴화면을 실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2004-356774호 공보 참조).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기초 메뉴항목이 장치가 보유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당해 콘텐츠의 장르, 감독, 출연자 등의 관련정보를, 관련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에서 동적으로 취득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메뉴화면을 소거하고, 새로이 전용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기초 메뉴항목은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표시한 상태에서, 관련정보를 메뉴화면에 새로이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중, 전자와 같이 메뉴화면을 소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선택한 메뉴항목 및 선택지로서 표시되어 있었던 메뉴항목이 소거되어 버리기 때문에, 관련정보와 메뉴항목과의 관계가 사용자에게 있어서 알기 어려워진다.
한편, 후자와 같이 기초 메뉴항목은 그대로이고 관련정보를 새로이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지만, 관련정보를 표시했을 때에 사용자는 관련정보의 표시위치를 우선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한 눈에 관 련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또한, 기초 메뉴항목이 변화하지 않고 화면상에 남기 때문에, 선택이 끝난 메뉴항목과 새로이 표시된 관련정보와의 판별을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련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 선택이 끝난 메뉴항목과 새로이 표시된 관련정보를 사용자가 판별하기 쉬운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기초 메뉴 표시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기초 메뉴항목 선택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 생성수단과,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 표시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기초 메뉴 재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정보처리장치는,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의 리스트 표시수단과, 상기 제1의 리스트 중에서, 1의 항목을 선택항목으로서 선택하는 항목선택수단과, 상기 선택항목에 관련지어진 제2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의 리스트 표시수단과,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해서 표시하는 제1의 리스트 재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억매체는,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정보기억매체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제어부(11)와, 화상처리부(12)와, 표시제어부(13)와, 기억부(14)와, 디스크 드라이브(15)와, 조작부(16)와, 통신부(17)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억부(1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 의해 읽어내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화상처리부(12)는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묘화처리를 실행하는 그래픽 프로세서이다. 화상처리부(12)에 의한 묘화처리 결과는 표시제어부(13)에 출력된다. 표시제어부(13)는 화상처리부(12)에 의해 출력된 묘화처리 결과를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장치나 가정용 텔레비전 등의 표시장치에 대해서 출력한다. 그리고, 그 결과가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기억부(14)는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14)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보유해도 좋다. 또한, 이 기억부(14)는 제어부(11)의 워크 메모리(work memory)로서도 동작한다. 디스크 드라이브(15)는, 예를 들면 DVD나 CD 등의 휴대형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디스크 드라이브(15)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보유해도 좋다.
조작부(16)는 사용자의 지시조작을 받아들여, 당해 지시조작의 내용을 제어부(11)에 출력한다. 조작부(16)는 키보드나 마우스여도 좋고, 가정용 게임기의 컨트롤러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가정용 게임기의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조작부(16)로서의 컨트롤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把持部;20R, 20L)를 갖고 있다. 사용자는 이들 파지부(20)를 각각 좌우의 손으로 파지한다. 사용자가 파지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한 위치에는, 제1의 조작부(21), 제2의 조작부(22) 및 아날로그 조작부(23R, 23L)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의 조작부(21)에는, 상방향(上方向) 지시키(21a), 하방향(下方向) 지시키(21b), 우방향(右方向) 지시키(21c) 및 좌방향(左方向) 지시키(21d)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들 방향 지시키(21a, 21b, 21c 및 21d)를 이용해서, 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면상의 조작대상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제2의 조작부(22)에는, 삼각("△")형상의 각인이 형성된 삼각 버튼(22a)과, 가위("×")형상의 각인이 형성된 ×버튼(22b)과, 동그라미("○")형상의 각인이 형성된 ○버튼(22c)과, 직사각형("□")형상의 각인이 형성된 직사각형 버튼(22d)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버튼(22a, 22b, 22c 및 22d)은, 예를 들면, 방향 지시키(21a, 21b, 21c 및 21d)로 특정된 조작대상에 따라, 어떠한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할당된다.
아날로그 조작부(23R, 23L)는 점 a를 지점으로 한 경도(傾倒)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경도시킨 상태에서, 지점 a를 지나는 회전축 b를 중심으로 한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 조작부(23R, 23L)는 비경도 조작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한 경사가 없는 상태로 그 포지션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조작부(23R) 혹은 아날로그 조작부(23L)는 압압(押壓) 조작하면서 경도 조작하면, 상기 기준 포지션에 대한 경사량과 경사 방향에 따른 xy좌표상의 좌표값(x, y)이 검출되고, 이 좌표값이 조작출력으로서 제어부(11)에 출력된다.
또한, 이 컨트롤러는, 제어부(11)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24)이나, 각종 모드를 전환하는 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셀렉트 버 튼(25) 및 모드 선택 스위치(26)를 갖는다. 예를 들면, 이 모드 선택 스위치(26)에 의해, 특정의 모드(아날로그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발광 다이오드(LED)(27)가 발광 제어되어, 아날로그 조작부(23R, 23L)가 동작 상태가 된다. 또한, 다른 모드(디지털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27)가 소등 제어되어, 아날로그 조작부(23R, 23L)가 비동작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컨트롤러에는, 각 파지부(20R, 20L)를 좌우의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각 손의 집게손가락 등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우측 버튼(28) 및 좌측 버튼(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버튼(28, 29)은 각각 컨트롤러의 두께 방향으로 병설된, 제1의 우측 버튼(28R1), 제2의 우측 버튼(28R2), 제1의 좌측 버튼(29L1) 및 제2의 좌측 버튼(29L2)을 갖는다.
통신부(17)는 네트워크 카드나 모뎀 등이며,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7)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도래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에 출력한다. 한편, 이 통신부(17)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가, 영화, 음악, 사진 등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인 경우에, 당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지시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장치 이외의 정보처리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장치가 최초로 기동한 경우 등에, 기초 메뉴 표시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초 메뉴 표시화면에서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천이(遷移)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을 화면상에 표시한다(단계 S1). 이하,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초 메뉴 표시화면(30) 중에서, 카테고리 아이콘 표시영역(31)에는, 카테고리 아이콘이 가로 일렬로 늘어서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테고리는 기초 메뉴항목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그룹을 나타낸다. 기초 메뉴항목은 콘텐츠 재생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나, 사용자의 지시조작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기능 등을 나타내는 메뉴항목이다. 예를 들면, 영화, 음악, 사진 등의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카테고리나,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정항목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등이 있다. 또한, 아이콘은 예를 들면 도형이나 기호,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으로서, 카테고리나, 장치가 갖는 기능, 콘텐츠, 콘텐츠의 관련정보 등의 메뉴항목을 나타내기 위해서 화면상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카테고리 아이콘은 사진 카테고리 아이콘(I1a)과, 음악 카테고리 아이콘(I1b), 영화 카테고리 아이콘(I1c), 게임 카테고리 아이콘(I1d) 및 네트워크 카테고리 아이콘(I1e)이다.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카테고리 아이콘 중에서, 화면상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카테고리 아이콘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선택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이다.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영화 카테고리 아이콘(I1c)이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이고, 영화 카테고리가 선택 카테고리가 된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인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밝은 색으로 표시하는, 카테고리명을 부기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다른 카테고리 아이콘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주(主)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에는,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기초 메뉴 아이콘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기초 메뉴항목은,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시점에서, 콘텐츠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메뉴항목이다. 기초 메뉴항목은 장치의 기억부(1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 미리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나,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정항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1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영화의 콘텐츠는 영화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초 메뉴 아이콘은 메뉴항목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영화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 아이콘이면, 그 영화작품의 판매 패키지에 사용되고 있는 화상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기초 메뉴 아이콘의 화상은 반드시 기초 메뉴항목마다 다를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화상을 복수의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여기에서, 기초 메뉴항목은 카테고리를 선택한 시점에서 이미 기억되어 있는 메뉴항목이며,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의 내용은 카테고리를 선택한 시점에서 정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초 메뉴항목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재생장치의 기능의 추가나 삭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등에 의해 기초 메뉴항목은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장치에 새로이 영화의 콘텐츠를 등록한 경우, 당해 콘텐츠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이 콘텐츠 재생장치에 추가된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장치에 등록된 영화의 콘텐츠를 삭제한 경우, 당해 콘텐츠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은 콘텐츠 재생장치에서 삭제된다. 이들 처리에 따라, 영화 카테고리 아이콘(I1c)이 선택된 경우의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의 내용도 변화한다.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에 표시된 기초 메뉴 아이콘 중에서, 선택 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3)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선택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이다.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타이틀 AAA의 영화작품을 나타내는 아이콘(I2)이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이며, 영화 AAA가 선택 기초 메뉴항목이 된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을, 아이콘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등,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과는 다른 방법으로 다른 아이콘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메뉴항목명을,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 근방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부(16)에 대한 지시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카테고리 및 기초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단계 S2).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 사용자는, 우방향 지시키(21c) 및 좌방향 지시키(21d) 등을 사용해서, 선택 카테고리 아이콘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우방향 지시키(21c)를 누르면, 카테고리 아이 콘은 화면상을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영화 카테고리 아이콘(I1c)의 우측 옆에 있는 게임 카테고리 아이콘(I1d)이, 지금까지 영화 카테고리 아이콘(I1c)이 표시되어 있었던 위치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게임 카테고리가 선택 카테고리가 된다.
우방향 지시키(21c) 또는 좌방향 지시키(21d)에 의해 새로운 카테고리가 선택 카테고리가 된 경우, 콘텐츠 재생장치는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에 기초해서,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는, 기억부(1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 보유되어 있는 기초 메뉴항목 중,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된 기초 메뉴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리스트이다. 예를 들면 영화 카테고리의 경우, 영화 카테고리에 속하는 기초 메뉴항목인 영화의 콘텐츠의 정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이하,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우선 기억부(1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서 선택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 및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초 메뉴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계속해서, 화상처리부(12)에 대해서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및 화면상의 아이콘의 표시위치의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1)는 아이콘의 표시위치를,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의 순서에 기초해서 결정해도 좋고, 기초 메뉴항목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재배열한 순서에 따라 결정해도 좋다.
화상처리부(12)는 제어부(11)로부터 받아들인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및 표시 위치의 정보에 기초해서, 화면상에 표시해야 할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제어부(13)에 출력한다. 표시제어부(13)는 화상처리부(12)에서 받아들인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장치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카테고리로서 영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콘텐츠 재생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영화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화면상의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된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한 오브젝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3차원 그래픽스 처리를 사용해서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우선, 아이콘의 화상의 크기에 맞춘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의 오브젝트를 미리 준비해 둔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화상 데이터를 텍스처 화상으로서 전술한 평판형상 오브젝트에 부착한다. 그리고,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부착한 오브젝트의 정보를, 화상처리부(12)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아이콘의 위치를, 가상 3차원 공간상의 위치로서 결정하고, 이 위치정보를 화상처리부(12)에 출력한다.
화상처리부(12)는 제어부(11)에서 받아들인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점 위치 및 시선 방향에 기초해서, 가상 3차원 공간상의 오브젝트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위치, 크기 및 형상을 계산하고, 오브젝트를 2차원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표시제어부(13)는 화상처리부(12)가 생성한 2차원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한편, 이 상의 설명에서 제어부(11)가 실행한다고 한 처리 중,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평판형상 오브젝트에 부착하는 처리 등,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의 일부는, 화상처리부(12)가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3차원 그래픽스 처리를 사용함으로써, 메뉴화면을 3차원 공간인 것처럼 연출하고, 후에 설명하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재표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아이콘의 변형 및 이동을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쉬운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방향 지시키(21a) 및 하방향 지시키(21b) 등을 사용해서,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 있어서, 하방향 지시키(21b)를 누르면, 기초 메뉴 아이콘은 화면상을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이콘(I2)의 하나 아래에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콘이, 선택 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3)에 표시되어,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이 된다. 한편, 이 경우에, 아이콘(I2)은 카테고리 아이콘과 겹치지 않도록, 영역(32b)의 최하단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상방향 지시키(21a)를 누른 경우는, 영역(32b)의 최하단에 있었던 아이콘이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이 되고, 그 외의 기초 메뉴 아이콘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임의로 특정의 카테고리 및 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기초 메뉴항목 중의 하나를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16)에 대해서 행하는 지시조작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가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대하여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지시조작에 따라,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대해, 당해 기초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 당해 기 초 메뉴항목에 대해 더욱 세세한 지시를 받아들이는 옵션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또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버튼(22c)의 누름이 기능실행지시, 삼각 버튼(22a)의 누름이 옵션 메뉴화면 표시지시, 제1의 우측 버튼(28R1)의 누름이 하위 메뉴 표시지시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선택 기초 메뉴항목이 영화의 콘텐츠이면, 기능실행지시에 의해 제어부(11)는 당해 콘텐츠의 재생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메뉴 표시지시가 있었던 경우(단계 S3)에, 콘텐츠 재생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위 메뉴 표시지시가 있었던 경우, 우선 제어부(11)는 그 시점에서의 선택 기초 메뉴항목이 관련정보를 갖는 메뉴항목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 S4). 이것은,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 메뉴항목이 영화 카테고리에 대응된 영화의 콘텐츠이면,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선택 기초 메뉴항목이 관련정보를 갖는 메뉴항목이었던 경우,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지시조작을 일시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설정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행하는 처리는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처리,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 및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이다. 이들 처리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우선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를 기억부(14)에 보유한다(단계 S5).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영화작품 테이블이 콘텐츠 재생 장치 내에 보유되어 있다고 하면, 도 4의 예에 있어서의 선택 기초 메뉴항목은 영화 AAA이므로,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식별정보인 작품 ID는 작품 1이다. 따라서, 제어부(11)는 작품 1이라고 하는 정보를 선택 기초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로서 기억부(14)에 보유한다. 이 정보는 후에 관련정보 표시화면에서 기초 메뉴 표시화면으로 복귀할 때에, 최초로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표시하는 기초 메뉴항목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는 제1의 우측 버튼(28R1)이 눌려진 시점의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기초해서, 당해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테이블을 검색함으로써,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에 의해, 이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관련정보 테이블은 기초 메뉴항목과,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관련정보 테이블은 기억부(1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 보유되어 있어도 좋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서버상에 보유되어 있어도 좋다. 관련정보가 서버상에 보유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는 통신부(17)를 통해서 서버에서 관련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영화의 콘텐츠에 관한 관련정보 테이블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품 ID와, 관련정보의 ID와, 관련정보의 데이터 종별을 관련지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 기초 메뉴항목이 영화 AAA인 경우, 제어부(11)는 영화 AAA의 작품 ID인 작품 1을 검색 키로 해서 관련정보 테이블을 검색한다. 관련정보 테 이블이 도 8에 나타내는 내용을 갖는 경우, 제어부(11)는 검색의 결과, 데이터 종별 "감독"으로서 인물 1을, 데이터 종별 "출연자"로서 인물 2 및 인물 3을, 데이터 종별 "관련작품"으로서 작품 6을 얻는다. 그리고, 이 검색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 해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는, 관련정보 테이블의 검색에 의해 얻어진 항목 이외의 항목을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11)는 도 7에 나타내는 영화작품 테이블을 참조해서, 선택 기초 메뉴항목인 영화 AAA에 대응된 장르의 정보인 "액션"을, 데이터 종별 "장르"의 관련정보로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더해도 좋다. 또한, 관련정보 테이블로서, 복수의 테이블을 이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상에 공개되어 있는 복수의 영화정보 데이터 베이스 등을 이용해서 관련정보를 폭넓게 수집하고, 동적으로 메뉴항목을 생성해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어부(11) 및 화상처리부(12)는,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는, 하위 메뉴 표시지시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되어 있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과는 다른 전(前)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재표시하는 처리이다.
여기에서, 재표시하는 경우에는, 아이콘의 화상을 기하적으로 변형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변형은, 예를 들면 퍼스펙티브 처리(perspective processing)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재표시할 때에, 화상의 투명도를 올리는, 색의 명도를 낮추는, 또는 그레이스케일에 의한 화상으로 변환하는 등의 처 리를 함께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미 사용자가 선택을 실행한 메뉴항목의 아이콘인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1의 우측 버튼(28R1)이 눌린 시점의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은 변형시키지 않고, 표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관련정보를 표시한 경우에, 표시한 관련정보가 어느 기초 메뉴항목에 관한 관련정보인지가 명확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인 영화 AAA의 아이콘(I2)은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와 32b) 사이의 위치에 표시된다.
또한, 기초 메뉴 표시화면에 있어서, 기초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를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해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콘텐츠 재생장치는 3차원 그래픽스 처리에 의해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가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되어 있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를, 미리 정해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킨 경우의 오브젝트의 가상 3차원 공간상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12)가 전술한 계산결과를 받아들이고, 미리 설정된 시점 위치 및 시선 방향에 기초해서, 회전한 결과의 오브젝트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위치, 크기 및 형상을 계산하여, 오브젝트를 2차원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에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콘이 도 6의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에, 도 4의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b)에 표시되어 있었던 아 이콘이 도 6의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b)에, 각각 변형해서 표시된다.
한편, 가상 3차원 공간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이동은, 반드시 회전축을 따른 회전이 아니어도 좋다. 제어부(11)는 오브젝트의 기초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면과,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이 변화하도록 오브젝트를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화면상에 표시되는 기초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 화상을 본래의 형태에서 변형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이동을 대신해서, 또는 오브젝트의 이동과 함께, 시점 위치나 시선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상의 변형을 실행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1) 및 화상처리부(12)는 가상 3차원 공간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이동의 과정을 묘화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오브젝트의 최초의 위치에 있어서의 기준각도를 0도로 하고,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오브젝트를 회전시키는 전(全) 회전각도를 α도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0도에서 시작해서 단계적으로 회전각도를 증가시켜서, 각 단계에 있어서의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한다. 화상처리부(12)는 제어부(11)가 계산한 결과를 기초로, 각 단계에 있어서의 오브젝트를 순차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서서히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모습을 묘화한다.
예를 들면, n회째에 오브젝트를 표시할 때의 각도를 β(n), (n+1)회째에 오브젝트를 표시할 때의 각도를 β(n+1)이라고 하면, 오브젝트를 순차 표시할 때의 회전각도는, 계산식 β(n+1)=(α-β(n))*γ+β(n)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1회째의 회전각도 β(1)을 계산할 때에 필요해지는 β(0)의 값은 기준각도인 0으로 한다. 또한, γ는 회전각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는 비율을 결정하는 레이트 (rate)를 나타낸다. α=67도, γ=0.15인 경우, β(1)=10.05, β(2)=18.5925, …이라고 하는 것처럼 β(n)을 순차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계산결과에 기초해서, 우선 10.05도 오브젝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표시하고, 다음으로 18.5925도 회전시킨 상태를 표시한다고 하는 것처럼 순서대로 오브젝트를 표시하며, β(n)이 전 회전각도인 67도로 동일한 값이 될 때까지 이 묘화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이 계산식에 의해 오브젝트의 회전각도를 결정하는 경우, γ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의 과정을 묘화하는 경우, 오브젝트를 단계적으로 재표시할 때에, 서서히 아이콘 화상의 투명도(알파값)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아이콘 화상이 서서히 반투명하게 되어 가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오브젝트를 순차 표시할 때의 알파값은, 전술한 회전각도의 계산과 마찬가지로 레이트를 사용해서 계산할 수 있으며, 레이트의 값에 의해 투명도의 변화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와 동시에, 카테고리 아이콘을 재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초 메뉴 아이콘을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한 평판형상 오브젝트에 부착해서 표시하는 경우에, 카테고리 아이콘도 동일한 평판형상 오브젝트에 부착하고,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해서 기초 메뉴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기초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를 회전시키는 것과 동시에, 카테고리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테고리 아이콘도 변형하며,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는 선택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이 명확해진다.
또한, 제어부(11)는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8).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는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단계 S6)에 의해 생성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기초해서,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여기에서,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상의 위치는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이다.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은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 선택대상이 되는 기초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영역이다. 당해 영역에 새로이 선택대상이 되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대상이 되는 기초 메뉴 아이콘과,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대상이 되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은 화면상의 동일한 장소에 표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위화감이 없는 태양(態樣)으로 관련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선을 지금까지 주목하고 있었던 위치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고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인식할 수 있어, 즉시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는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에 의해 생성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기초해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에 대응된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화상 데이터는 기억부(1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에 보유되어 있어도 좋고, 관련정보 테이블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및 아이콘을 표시해야 할 화면상의 위치의 정보를 화상처리부(12)에 대해서 출력한다. 화상처리부(12)는 제어부(11)로부터 받아들인 정보에 기초해서,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13)를 통해서, 표시장치에 당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영화 AAA의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전술과 같이,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에 의해, 데이터 종별 "장르"의 액션, 데이터 종별 "감독"의 인물 1, 데이터 종별 "출연자"의 인물 2 및 인물 3, 및 데이터 종별 "관련작품"의 작품 6으로 이루어지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가 생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영화작품 테이블로부터 작품 6이 영화 AAA2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물 테이블에 의해, 인물 2가 인물 YYY에, 인물 3이 인물 ZZZ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부(1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르 "액션"을 나타내는 아이콘(I3), 인물 XXX를 나타내는 아이콘(I4), 인물 YYY를 나타내는 아이콘(I5a) 및 인물 ZZZ를 나타내는 아이콘(I5b)을 표시한다. 한편, 이때,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의 선두에 위치하는 장르 "액션"을 나타내는 아이콘(I3)을,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으로서 선택 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3)에 표시한다. 또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관련작품 AAA2를 나타내는 아이콘(I6)은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b)에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의 제한에 의해, 화면상에 전부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단계 S7)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 메뉴 아이콘이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서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콘텐츠 재생장치는, 새로이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하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에 대해서도, 동시에 이동하는 과정을 묘화한 후에, 최종적으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단계 S6) 후,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를 최종적으로 표시시키고 싶은 상태에서 -α도 회전시킨 상태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에 의해 기초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과정을 묘화하는 데 맞춰,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과정을 묘화한다. 이것에 의해,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은, 기초 메뉴 아이콘이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는 것과 동시에,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 및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는 도 6에 나타내는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을 표시한다. 도 10은 콘텐츠 재생장치가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 다른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천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의 플로우도에 따라,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을 표시한 상태에서, 콘텐츠 재생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된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 중에서, 선택 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3)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이다. 도 6의 예에 있 어서는, 영화 AAA의 장르 "액션"을 나타내는 아이콘(I3)이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이고, 장르 "액션"이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된다.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은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의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아이콘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다른 아이콘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메뉴항목명을 아이콘 근방에 표시하는 경우, 데이터 종별과 함께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장르:액션" 등으로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방향 지시키(21a) 및 하방향 지시키(21b) 등을 사용해서,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의 선택 기초 메뉴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단계 S11).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 있어서, 하방향 지시키(21b)를 2회 누르면,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은 화면상을 아이콘 2개분만큼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물 YYY를 나타내는 아이콘(I5a)이 선택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이 된다.
한편,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는, 카테고리 아이콘, 기초 메뉴 표시화면으로 선택된 AAA를 나타내는 아이콘(I2), 및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어 있는 기초 메뉴 아이콘은 고정해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지시조작의 대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 사용자는,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에 대해서 기능실행지시, 옵션 메뉴화면 표시지시, 하위 메뉴 표시지시를 행할 수 있다. 기능실행지시가 있었던 경우, 예를 들면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인 관련정보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지시조작은,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에 있어서의 조작부(16)에 대한 지시조작과 동일한 지시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기초 메뉴 표시화면(30)과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으로 동일한 조작에 의해 기능의 실행, 옵션 메뉴화면의 표시, 관련정보의 표시 등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위화감 없이 관련정보 표시화면에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 하위 메뉴 표시지시가 있었던 경우(단계 S12), 우선 제어부(11)는 그 시점에서의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관련정보를 갖는 메뉴항목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 S13). 이것은,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이 영화의 출연자이면, 그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화작품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이 영화의 장르이면, 그 장르에 해당하는 영화작품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이 관련작품이었던 경우에는, 그 영화작품의 장르, 감독, 출연자, 관련작품 등의 관련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관련정보를 갖는 메뉴항목이면, 콘텐츠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지시조작을 일시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설정하고, 당해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의 예와 같이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영화 AAA의 출연자인 인물 YYY인 경우를 예로 해서, 콘텐츠 재생장치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과는 다른 제2의 관 련정보 표시화면(36)을 표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1)는 현재의 관련정보를 표시할 때에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에 의해 생성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의 내용, 및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를 기억부(14)에 보유한다(단계 S14).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예의 경우, 영화 AAA의 관련정보로서 생성된 데이터 종별 "장르"의 정보인 액션, "감독" XXX의 식별정보인 인물 1, "출연자" YYY의 식별정보인 인물 2, 마찬가지로 "출연자" ZZZ의 식별정보인 인물 3, 및 "관련작품" AAA2의 식별정보인 작품 6을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로서 보유한다. 또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로서, 인물 2를 보유한다. 이들 정보는, 후에 하위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에서 상위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복귀할 때에, 이전에 선택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 및 선택의 대상이 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재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하위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5). 이것은,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이 표시된 상태에서 하위 메뉴 표시지시를 행했을 때의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와 마찬가지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는 처리이다. 그러나, 전술한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란, 검색의 대상이 되는 테이블상의 열이 다른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는 데이터 종별 "출연자"의 인물 YYY가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므로, 제어부(11)는 도 8에 나타내는 관련정보 테이블에 있어서, YYY의 식별정보인 인물 2를 검색 키로 해서, 작품 ID의 열이 아니라 관련정보 ID의 열을 검색한다. 그리고, 이 검색에 의해 얻어진 레코드의 작품 ID를 하위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 해서, 하위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위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작품 1, 작품 2 및 작품 6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이 "관련작품"이었던 경우, 제어부(11)는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와 동일한 검색에 의해, 영화작품의 관련정보를 얻는다. 한편,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데이터 종별이 "장르"였던 경우, 제어부(11)는 관련정보 테이블이 아니라 영화작품 테이블을 검색해서, 검색대상이 되는 장르의 영화작품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 및 화상처리부(12)는 기초 메뉴 소거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6). 이것은,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어 있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소거하는 처리이다. 여기에서 제어부(11) 및 화상처리부(12)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그대로 화면상에서 소거해도 좋으나, 화면 밖을 향해서 이동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화면 밖으로 이동함으로써 소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기초 메뉴 소거처리는, 후술하는 관련정보 메뉴 재표시처리와 동시에 실행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1) 및 화상처리부(12)는 관련정보 메뉴 재표시처리(단계 S17) 및 하위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단계 S18)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의 내용은 원칙으로서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을 표시할 때의 기초 메뉴 재표시처리 및 관련정보 메뉴 표시처리와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되어 있었던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은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된다. 또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 (32a)에는, 하위 관련정보 메뉴 생성처리(단계 S15)에 의해 얻어진 하위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에 기초해서,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인 인물 YYY가 출연하는 영화작품 AAA, AAA2 및 BBB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처리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2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6)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하위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더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관련정보의 관련정보, 또한 그 관련정보…라고 하는 것처럼 연속해서 새로운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기초 메뉴 표시화면에서 개시하여, 통일된 조작방법과 화면표시에 의해, 차례로 콘텐츠의 관련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연속해서 표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위 메뉴 표시지시를 행함으로써,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다시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위 메뉴 표시지시는 예를 들면 제1의 좌측 버튼(29L1)을 누름으로써 행한다.
상위 메뉴 표시지시가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1)는, 우선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되어 있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소거한다. 그리고, 현재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표시했을 때에 보유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 및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에 의해,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어 있었던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재표 시한다. 이 경우, 보유되어 있는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를 사용해서, 현재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천이할 때에 선택하고 있었던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선택 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3)에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표시했을 때에 보유한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 및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에 의해,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이전에 선택한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의, 본래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을 재현할 수 있다. 한편, 관련정보 메뉴 재표시처리에 있어서 서서히 아이콘을 부착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과정을 묘화한 경우,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되돌아갈 때에는,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이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으로 되돌아가도록 도중의 과정을 묘화해도 좋다. 또한, 이 과정의 묘화와 함께, 오브젝트의 투명도를 서서히 낮춰서 반투명했던 오브젝트를 본래의 불투명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직감적으로 하나 바로 앞의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되돌아간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최초로 표시한 제1의 관련정보 표시화면(34)에 있어서는, 전술한 상위 메뉴 표시지시에 의해, 기초 메뉴 표시화면(30)으로 천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도, 전술한 관련정보 표시화면에서 관련정보 표시화면으로 복귀하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표시되어 있는 관련정보 메뉴 아이콘을 소거하고, 전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5a, 35b)에 표시되어 있는 기초 메뉴 아이콘을 주메뉴 아이콘 표시영역(32a, 32b)에 재표시하는 처리이다. 이것에 의해, 관련정보를 차례로 표시시키고 있었던 경우라도, 통일된 조작과 화면표시에 의해, 선택한 메뉴항목을 더듬어 가서 본래의 기초 메뉴 표시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련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메뉴항목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 선택이 끝난 메뉴항목과 새로이 표시된 관련정보를 사용자가 판별하기 쉬운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기초 메뉴 표시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기초 메뉴항목 선택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 생성수단과,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 표시수단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기초 메뉴 재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선택수단과,
    상기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 기 기초 메뉴항목을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2의 관련정보 메뉴 생성수단과,
    상기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제2의 관련정보 메뉴 표시수단과,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 재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의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선택 메뉴항목 보유수단과,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의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보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 표시수단은 상기 제2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위 메뉴 표시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보유수단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제1의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선택 메뉴항목 보유수단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대응된 상기 선택 관련정보 메뉴항목이 선택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메뉴 재표시수단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해서 상기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메뉴 표시수단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나타내는 오브젝트(object)를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3차원 공간상에 설정된 주어진 시점 위치 및 시선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며,
    상기 기초 메뉴 재표시수단은 상기 가상 3차원 공간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면과 상기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된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의 후보가 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초 메뉴항목을 기억하는 메뉴항목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기초 메뉴항목에 대해서, 사용자가 임의로 메뉴항목을 추가 및/또는 삭제하는 메뉴항목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의 리스트 표시수단과,
    상기 제1의 리스트 중에서, 1의 항목을 선택항목으로서 선택하는 항목선택수단과,
    상기 선택항목에 관련지어진 제2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의 리스트 표시수단과,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해서 표시하는 제1의 리스트 재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리스트 표시수단은 상기 제1의 리스트 표시수단이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제1의 표시영역에 상기 제2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의 리스트 재표시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리스트 표시수단은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가상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3차원 공간상에 설정된 주어진 시점 위치 및 시선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의 리스트 재표시수단은 상기 가상 3차원 공간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면과 상기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된 상기 제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기초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기초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기초 메뉴항목 화상을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중에서, 1의 메뉴항목을 선택 기초 메뉴항목으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과, 상기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하는 관련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관련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선택 기초 메뉴항목에 관련지어진 상기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메뉴항목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련정보 메뉴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관련정보 메뉴항목 화상을 상기 제1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메뉴항목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의 표시영역과는 다른 제2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정보기억매체.
KR1020060054313A 2005-06-17 2006-06-16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KR100725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8407A JP4276640B2 (ja) 2005-06-17 2005-06-17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JP-P-2005-00178407 2005-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86A KR20060132486A (ko) 2006-12-21
KR100725330B1 true KR100725330B1 (ko) 2007-06-07

Family

ID=3751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313A KR100725330B1 (ko) 2005-06-17 2006-06-16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34740B2 (ko)
JP (1) JP4276640B2 (ko)
KR (1) KR100725330B1 (ko)
CN (1) CN1004196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6112B2 (en) * 2005-09-22 2014-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vigating table data with mouse actions
KR100791377B1 (ko) * 2005-12-28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JP4311432B2 (ja) * 2006-09-29 2009-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84969B1 (ko) * 2006-12-20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기록 기반 메뉴 표시 방법
US8083593B2 (en) 2007-01-05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Recording media on gaming consoles
US20080167127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ion of Media on Gaming Consoles
US20080167128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Television Viewing on Gaming Consoles
KR20080079007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명령이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US20090007014A1 (en) * 2007-06-27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Center locked lists
US8726194B2 (en) * 2007-07-27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Item selection using enhanced control
KR101515089B1 (ko) * 2007-08-16 2015-04-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4981723B2 (ja) * 2008-03-14 2012-07-25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327955A1 (en) * 2008-06-28 2009-12-31 Mouilleseaux Jean-Pierre M Selecting Menu Items
US8826181B2 (en) * 2008-06-28 2014-09-02 Apple Inc. Moving radial menus
US8245156B2 (en) 2008-06-28 2012-08-14 Apple Inc. Radial menu selection
US8881205B2 (en) * 2008-09-12 2014-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devices
US20110225523A1 (en) * 2008-11-24 2011-09-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xtending 2d graphics in a 3d gui
JP5147667B2 (ja) * 2008-12-11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1478665B (zh) * 2008-12-15 2011-06-1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视频监控方法及装置
US20100192100A1 (en) * 2009-01-23 2010-07-29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a space menu and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ng space menu
US20100241996A1 (en) * 2009-03-19 2010-09-23 Tracy Wai Ho XMB submenu preview
US8601389B2 (en) * 2009-04-30 2013-12-03 Apple Inc. Scrollable menus and toolbars
US8549432B2 (en) 2009-05-29 2013-10-01 Apple Inc. Radial menus
KR2011002426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93888A1 (en) * 2009-10-21 2011-04-21 John Araki User selection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JP2011097441A (ja) * 2009-10-30 2011-05-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807138A (zh) * 2010-04-13 2010-08-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菜单画面显示装置和方法
BR112012026354A8 (pt) * 2010-04-13 2018-05-08 Nokia Corp aparelho, método, programa de computador e interface de usuário
JP2011248768A (ja) * 2010-05-28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482121B2 (en) * 2011-04-28 2019-11-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games
US20130055141A1 (en) * 2011-04-28 2013-02-28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books
JP5790255B2 (ja) * 2011-07-29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19926B2 (en) * 2012-01-09 2017-04-11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3D re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in a vehicle
TWI511540B (zh) * 2012-11-30 2015-12-01 Wistron Corp 具有多軸向操作介面之電子裝置及資訊顯示方法
CN103914466B (zh) * 2012-12-31 2017-08-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标签按钮管理的方法及系统
CN104035653B (zh) * 2013-03-07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处理方法
USD736817S1 (en) 2013-03-14 2015-08-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154153S (en) * 2013-09-03 2016-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095398B2 (en) 2014-02-27 2018-10-09 Dropbox, Inc. Navigating galleries of digital content
US9836205B2 (en) * 2014-02-27 2017-12-05 Dropbox, Inc. Activating a camera function within a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JP5987017B2 (ja) * 2014-03-28 2016-09-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および表示入力制御プログラム
CN104811786A (zh) * 2015-04-24 2015-07-29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菜单栏选项的过滤方法及装置
USD774087S1 (en) * 2015-09-17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30116341A1 (en) * 2021-09-30 2023-04-13 Futian ZHANG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 gesture-based control of selection foc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360A (ja) * 1996-05-20 1997-11-28 Sony Corp 階層型メニューにおけるカスタマイズメニュー方式及びこの方式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KR20020096247A (ko) * 2001-06-19 2002-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태표시 아이콘을 이용한 기능선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358A (ja) 1993-10-08 1994-12-13 Casio Comput Co Ltd メニュー表示方法
US5689667A (en) * 1995-06-06 1997-11-18 Silicon Graphics, Inc. Methods and system of controlling menus with radial and linear portions
JP3744039B2 (ja) * 1995-11-29 200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透視図作成支援方法
JPH10133842A (ja) 1996-10-28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選択項目の表示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項目選択装置
US6211921B1 (en) * 1996-12-20 2001-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US6005578A (en) * 1997-09-25 1999-12-21 Mindsphe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navigation of information objects
US6678891B1 (en) * 1998-11-19 2004-01-13 Prasara Technologies, Inc. Navigatio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6690391B1 (en) *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US7127679B2 (en) * 2001-06-29 2006-10-24 Softrek, Inc. Method for generating and navigating a plurality of menus using a database and a menu template
JP4701564B2 (ja) 2001-08-3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及びメニューの表示方法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JP2004021893A (ja) * 2002-06-20 2004-01-22 Sony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40293B2 (ja) 2003-05-27 2009-03-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360A (ja) * 1996-05-20 1997-11-28 Sony Corp 階層型メニューにおけるカスタマイズメニュー方式及びこの方式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KR20020096247A (ko) * 2001-06-19 2002-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태표시 아이콘을 이용한 기능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50853A (ja) 2006-12-28
KR20060132486A (ko) 2006-12-21
CN1881163A (zh) 2006-12-20
JP4276640B2 (ja) 2009-06-10
CN100419659C (zh) 2008-09-17
US7634740B2 (en) 2009-12-15
US20060288308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330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US10915235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nd deleting pages
US79259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input connecting user interface
JP4896882B2 (ja) コンテンツ管理インタフェース
KR100811160B1 (ko) 사용자명령을 3차원적으로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JP4388982B2 (ja) 遠隔制御装置によるハイパーテキスト・オブジェクト間のナビゲーションが可能なウェブ・ブラウザ
KR10156812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태그 정보 표시 방법
KR20210144891A (ko) 지능적으로 선택된 대표 미디어 항목들을 갖는 미디어 브라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23765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86741B2 (en) User input device
US2012010242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age flipping method therefor
EP2363793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654448B1 (ko)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256097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JP2006033776A5 (ko)
JPH10214068A (ja) X−y表示域移動装置
CN110121693A (zh) 多层显示系统中的内容碰撞
US20100171706A1 (en) Information processor,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22553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컨텐트 재생목록 생성방법 및 장치
JP4893060B2 (ja) 検索システムの画面表示方法
JP2007122287A (ja) 情報処理装置、階層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172398A (ja) 表示装置上の表示領域の間で切り替えるためのインタ―フェ―ス・コントロ―ル
JP2022184980A (ja) 情報表示装置
WO2006022021A1 (ja) 操作画面生成方法,表示制御装置,操作画面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517702B2 (ja) 注目画像閲覧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