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828B1 -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828B1
KR100724828B1 KR1020010039770A KR20010039770A KR100724828B1 KR 100724828 B1 KR100724828 B1 KR 100724828B1 KR 1020010039770 A KR1020010039770 A KR 1020010039770A KR 20010039770 A KR20010039770 A KR 20010039770A KR 100724828 B1 KR100724828 B1 KR 10072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mold
molded article
divide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828A (ko
Inventor
도조마사아키
모리오카가즈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03B11/082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having profiled, patterned or microstructur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6Replaceable lining plates for press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75Light guides, optical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40Product characteristics
    • C03B2215/41Profiled surfaces
    • C03B2215/413Profiled surfaces optical fibre alignment, fixing or connecting members having V-gro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50Structural details of the press-mould assembl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72Barrel presses or equivalent, e.g. of the ring moul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 금형은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胴型)과, 상기 동형의 하측 개구에 설치되는 하측 금형과, 상기 동형의 상측 개구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을 구비한다. 상기 동형은 외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 동형을 갖는다.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과 상기 상측 금형이 공동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성형품이 동형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품을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A MOLDED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성형 금형의 사용에 의해 성형된 광섬유 정렬 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광섬유 정렬 어레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광섬유 정렬 어레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을 구성하는 동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성형품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성형 금형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형 2 : 하측 금형
3 : 상측 금형 4 : 성형 금형
7a : 제 1 분할 동형(내측 동형) 7b : 제 2 분할 동형(내측 동형)
8 : 가이드 형(외측 동형) 9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성형 금형과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압 성형하는 성형 금형과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초재(硝材)를 가열 및 가압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 금형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성형 금형은 통형상의 동형(胴型)(21)과 하측 금형(22)과 상측 금형(23)을 구비한다. 하측 금형(22)은 동형(21)의 하단측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측 금형(23)은 동형(21)의 상단측에서 삽입되며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유리 초재(25)가 이러한 성형 금형(24)내에 배치되며, 가열하면서 가압함으로써 성형된다.
종래, 이러한 성형 금형(24)에 있어서, 통형상의 동형(21)으로는 관통 구멍을 갖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형상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었다. 즉, 종래의 동형(1)은 일체로 형성된 일체 구조체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성형 금형(24)을 이용하여 유리 초재(25)를 가열 및 가압 성형한 경우, 성형단계에서 유리 초재(25)가 성형 금형(24)내의 성형 공간으로 확대되거나, 또는 유리 초재(25)가 동형(21)의 내측면에 밀착해 버린다. 이러한 이유로, 동형(21)으로부터 유리 성형품을 취출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성형된 성형품의 취출이 용이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 금형은, (a) 하측 개구와 상측 개구를 갖는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하측 개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측 금형과, (c) 상기 동형의 상기 상측 개구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을 구비하며, 상기 동형은 외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의 내부에 설치된 내측 동형을 갖고,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과 상기 상측 금형이 공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a)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외측 동형내에 내측 동형을 조합시켜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을 얻는 공정으로서,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상기 동형을 얻는 공정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하측 개구를 하측 금형에 설치하는 공정과, (c)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 둘러싸인 공동내에 성형 재료를 설치하는 공정과, (d)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측 개구로부터 상측 금형을 상기 공동내에 삽입하고, 상기 성형 재료를 가열하면서 상기 성형 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e) 가압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성형품이 고화된 후, 상기 상측 금형과 상기 외측 동형을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f) 상기 (e) 공정 후에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를 분할하여, 상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성형품이 동형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품을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성형 금형은, (a) 하측 개구와 상측 개구를 갖는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하측 개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측 금형과, (c) 상기 동형의 상기 상측 개구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을 구비하며, 상기 동형은 외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의 내부에 설치된 내측 동형을 갖고,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과 상기 상측 금형이 공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a)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외측 동형내에 내측 동형을 조합시켜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을 얻는 공정으로서,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상기 동형을 얻는 공정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하측 개구를 하측 금형에 설치하는 공정과, (c)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 둘러싸인 공동내에 성형 재료를 설치하는 공정과, (d)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측 개구로부터 상측 금형을 상기 공동내에 삽입하고, 상기 성형 재료를 가열하면서 상기 성형 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e) 가압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성형품이 고화된 후, 상기 상측 금형과 상기 외측 동형을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f) 상기 (e) 공정 후에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를 분할하여, 상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동형은 제 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제 2 관통 구멍내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동형은 제 1 분할 동형과 제 2 분할 동형의 2개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의 상기 제 2 관통 구멍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동형은 접합부를 갖지 않는 하나의 금형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형은 또한 상기 외측 동형과 상기 내측 동형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spacer)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측 동형과 상기 내측 동형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과 대략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동에 유리, 세라믹 및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동은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를 얻기 위한 형상을 갖고,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는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 성형체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V자 홈을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성형품이 동형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품을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분할 동형의 외측면과 외측 동형의 내측면 사이에 스페이서가 개재됨으로써, 분할 동형과 외측 동형을 조합시켜 형성한 동형이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특히, 내측 동형의 열팽창 계수가 외측 동형의 열팽창 계수와 대략 동일하고, 스페이서의 열팽창 계수가 내측 동형과 외측 동형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므로, 가열 성형시 열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내측 동형과 외측 동형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또한, 금형이 냉각된 후의 동형의 일체성을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성형품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전형적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의 성형 금형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성형품의 일례로서,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성형품의 일례로서의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는 광도파로(光導波路)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유리 재료로 제조된다.
이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는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 성형체(6)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6a)와, 복수의 V자홈(6b)을 갖는다.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로서, V자홈을 갖는 V홈 어레이를 성형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가 성형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 금형(4)이 이용된다. 도 2에 있어서, 성형 금형(4)은 동형(1)과 하측 금형(2)과 상측 금형(3)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형(1)은 외측 동형으로서의 가이드 형(8)과, 내측 동형으로서의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을 갖는다. 가이드 형(8)은 접합부를 가지지 않는 하나의 금형 재료로 제조된다. 가이드 형(8)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다. 제 2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는 성형 재료가 부착하지 않도록 보호막이 형성된다.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은 L자형의 단면을 갖는 제 1 분할 동형(7a)과 제 2 분할 동형(7b)을 갖는다. 제 1 분할 동형(7a)과 제 2 분할 동형(7b)이 서로 수평 방향으로 조합된다. 이 조합된 분할 동형(7a, 7b)이 가이드 형(8)의 제 2 관통 구멍내로 삽입된다. 조합된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은 성형 재료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고, V홈 어레이의 외주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주를 갖는다.
하측 금형(2)은 동형(1)의 하단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하측 금형(2)은 V홈 어레이의 상면측을 형성하기 위한 내면을 갖는다. 상측 금형(3)은 동형(1)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동형(1)내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측 금형(3)은 V홈 어레이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면을 갖는다. 즉, 하측 금형(2) 또는 상측 금형(3)의 내면은 성형품의 V자홈(6b)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갖는다. 하측 금형(2)과 상측 금형(3)과 내측 동형(7a, 7b)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성형 재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한다. 공동을 형성하는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의 성형면에는 성형 재료가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 금형(4)이 사용된다. 성형 금형(4)의 공동내에 유리 재료로서 유리 초재(5)가 배치된다. 그 후, 유리 초재(5)가 가열되면서, 상측 금형(3)이 하강하여 유리 초재(5)가 가압되어 성형된다. 그 후, 성형된 유리 또는 금형이 냉각된다. 그 후, 성형물이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 이렇게 하여 유리 성형품이 얻어진다.
이 성형 과정에서, 유리 초재(5)가 가열되면서 가압되었을 때 유리 초재(5)는 연화 또는 용융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력은 유리 재료를 거쳐서 내측 동형(7a, 7b)과 외측 동형(8)으로 전해진다. 즉, 외측 동형(8)은 가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강한 구조를 갖는다. 외측 동형(8)이 접합부를 가지지 않는 하나의 금형 재료로 제조된 경우, 이 가압력에 견디는 강한 금형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형으로부터 성형체를 취출할 때, 우선 상측 금형(3)을 금형(4)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외측 동형(8)을 금형(4)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에, 제 1 분할 동형(7a)을 제 2 분할 동형(7b)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성형품을 분할 동형(7a, 7b)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유리 초재(5)를 가열 및 가압 성형함으로써, 성형품이 동형(1)의 내측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1)을 제 1 분할 동형(7a)과 제 2 분할 동형(7b)과 가이드 형(8)으로 개별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성형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성형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되는 V홈 어레이와 같이, 성형품이 단차(6a)와 V자홈(6b)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성형체인 경우, 성형체가 동형(1)에 밀착하기 쉽다. 그 이유는, 성형 금형(4)의 성형 공간(즉, 공동)의 능선 부분과 각진 부분의 세부까지 유리 초재(5)가 고르게 퍼지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성형후의 V홈 어레이의 용적보다도 약간 많은 용적에 상당하는 유리 초재(5)가 금형내에 충전된다. 따라서, 상측 금형(3)이 하강하여 유리 초재(5)가 가압되었을 때, 여분의 유리 초재(5)가 동형(1)과 상측 금형(3) 사이, 또는 동형(1)과 하측 금형(2)의 접촉 부분에 유입하고, 이러한 이유로 버(burr)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을 때, 금형 속의 성형품은 동형(1)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러한 버가 발생했을 때에도 본 전형적 실시예의 금형(4)을 사용함으로써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형시에 생긴 성형품의 버는 얇고 취약하다. 이 때문에, 성형품을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에서 취출할 때, 그러한 버가 모두 절단되어 제거된다. 또한, 그러한 버가 절단됨으로써, 버가 절단된 부분에 테이퍼 형상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별도로 성형품에서 버를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성형품에 테이퍼 형상부를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은 성형품보다 딱딱한 성질을 갖는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예컨대, 경질 재료로서는 탄화 텅스텐 등의 초경합금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가압 성형에 의해서 큰 압력이 발생한 경우, 금형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금형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탄화 텅스텐은 철보다 높은 내열(耐熱) 온도를 갖기 때문에,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재료를 성형할 수 있다.
(전형적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 실시예의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동형(1)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동형(1)은 내측 동형으로서의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과 외측 동형으로서의 가이드 형(8)과 스페이서(9)를 갖는다.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 사이에 스페이서(9)가 설치된다. 본 전형적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금형의 그 밖의 구조는 전술한 전형적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은 성형품보다 딱딱한 성질을 갖는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9)는 분할 동형(7a, 7b)보다 연한 경도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9)는 한 쌍의 분할 동형(7a, 7b)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립된 동형(1)은 서로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을 구성하는 소재가 탄화 텅스텐 등의 초경합금인 경우, 가이드 형(8)의 내부에 분할 동형(7a, 7b)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형(8)과 분할 동형(7a, 7b) 사이에 약간의 틈새(clearance)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틈새가 존재함으로써, 분할 동형(7a, 7b)이 가이드 형(8)내에서 요동하게 된다. 이 요동을 없애기 위해 분할 동형(7a, 7b) 및 가이드 형(8) 사이에 이들 소재보다 연질인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9)를 개재시킴으로써 동형(1)을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의 소재로서, 탄화 텅스텐 등의 초경질 합금이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9)의 소재로서 스테인레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9)를 형성하는 스테인레스의 열팽창 계수는 150×10-7이며,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을 형성하는 초경합금의 열팽창 계수는 56×10-7이다. 즉, 스페이서(9)는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보다 약 3배가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스페이서(9)의 열팽창 계수가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의 열팽창 계수보다 큰 구성에 있어서, 우선 상온에서, 분할 동형(7a, 7b)과 스페이서(9)를 가이드 형(8)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9)의 두께가 소망 두께보다 약간 얇다. 이에 의해, 분할 동형(7a, 7b)과 스페이서(9)가 가이드 형(8)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갖는다. 이에 의해, 분할 동형(7a, 7b)과 스페이서(9)를 가이드 형(8)에 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조합된 금형, 또는 금형 내의 성형 재료가 가열되었을 때, 스페이서(9)가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 사이에서 팽창한다. 스페이서(9)의 열팽창이 분할 동형(7a, 7b)과 가이드 형(8)의 열팽창보다 크기 때문에, 틈새가 작게 되거나 또는 틈새가 해소된다. 이러한 이유로, 성형시 조립된 동형(1)이 서로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그 결과, 성형품의 형상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금형내의 온도가 하강한 상태에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한다. 이 때, 스페이서(9)는 열수축하고 있다. 따라서, 동형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예컨대, 분할 동형(7a, 7b)과 성형품을 가이드 형(8)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제 1 분할 동형(7a)이 제 2 분할 동형(7b)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성형품이 용이하게 취출된다. 그 결과, 금형으로부터의 성형품의 취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형적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 동형으로서 제 1 분할 동형(7a)과 제 2 분할 동형(7b)을 갖는 한 쌍의 분할 동형이 사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형을 갖는 분할 동형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분할 동형이 3개의 형으로 분할되는 3개의 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분할 동형이 4개의 형으로 분할되는 4개의 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의 성형품의 제조공정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의 (a)에 있어서,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외측 동형내에 내측 동형을 조합시켜,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있어서,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하측 개구에 하측 금형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하측 금형에 의해 둘러싸인 공동 속에 성형 재료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5의 (d)에 있어서,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측 개구로부터 상측 금형이 상기 공동내에 삽입되고, 상기 성형 재료가 가열되면서 상기 성형 재료가 가압되어 성형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의 (e)에 있어서, 가압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성형품이 고화된 후, 상기 상측 금형과 상기 외측 동형이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5의 (f)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가 분할되어, 상기 내측 동형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성형품이 취출된다.
이렇게 하여 성형품이 제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하측 금형은 성형 장치의 기대(基臺)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의 (e) 공정이 실행되었을 때, 하측 금형과 내측 동형에 둘러싸인 성형품이 남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 5의 (f) 공정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가 분할되고, 그 후, 성형품이 상기 하측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
본 전형적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제조 공정의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전형적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된 방법을 갖는다.
상기의 전형적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하측 금형(2)이 동형(1)의 하단부내에 삽입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금형(2)이 동형(1)의 주위에 조합되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의 전형적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품으로서 유리 재료가 사용되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라믹 재료, 무기 재료, 플라스틱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등의 성형도 가능하다. 특히, 성형품으로서 유리 재료가 사용될 때, 특히 우수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전형적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동형(8)으로서 접합부를 갖지 않는 하나의 금형 재료로 제조된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을 갖는 금형이 사용되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할형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외측 동형이 또한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 그 복수의 분할형은 서로 견고하게 접합 지그(jig)에 의해 접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히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관통 구멍을 가지는 외측 동형이 바람직하며, 특히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성형품이 동형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품을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성형품이 동형의 내주면에 밀착한 경우에도, 동형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품을 성형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으며,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고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성형 금형에 있어서,
    (a) 하측 개구와 상측 개구를 갖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동형(胴型)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하측 개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측 금형과,
    (c) 상기 동형의 상기 상측 개구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동형은 외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 동형을 갖고,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과 상기 상측 금형이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성형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동형은 제 2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제 2 관통 구멍 속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 동형은 제 1 분할 동형과 제 2 분할 동형의 2개의 분할 동형으로 구성되는
    성형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의 상기 제 2 관통 구멍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성형 금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동형이 접합부를 갖지 않는 하나의 금형 재료로 구성되는
    성형 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형이 상기 외측 동형과 상기 내측 동형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갖는
    성형 금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외측 동형과 상기 내측 동형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 는
    성형 금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동형은 상기 외측 동형과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성형 금형.
  8.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세라믹 및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상기 공동에 배치되어 성형되는
    성형 금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를 얻기 위한 형상을 갖고, 상기 광섬유 정렬용 어레이는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 성형체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V자홈을 갖는
    성형 금형.
  10.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외측 동형내에 내측 동형을 조합시켜, 관통 구멍을 갖는 동형을 얻는 공정으로서, 상기 내측 동형은 복수의 분할 동형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으로 둘러싸이는, 상기 동형을 얻는 공정과,
    (b)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하측 개구를 하측 금형에 설치하는 공정과,
    (c)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하측 금형에 의해 둘러싸인 공동내에 성형 재료를 설치하는 공정과,
    (d) 상기 동형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측 개구로부터 상측 금형을 상기 공동내에 삽입하고, 상기 성형 재료를 가열하면서 상기 성형 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e) 가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성형품이 고화된 후, 상기 상측 금형과 상기 외측 동형을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하측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f) 상기 (e) 공정 후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를 분할하여, 상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동형은 제 1 분할 동형과 제 2 분할 동형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분할 동형이며, 상기 제 1 분할 동형과 상기 제 2 분할 동형은 상기 관통 구멍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분리 가능한
    성형품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동형이 접합부를 갖지 않는 하나의 금형재료로 구성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재료가 가열되면서 가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성형 재료는 연화되고, 상기 가압력은 연화된 성형 재료를 거쳐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에 전해지며, 이에 의해 상기 내측 동형이 상기 외측 동형에 고정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형이 스페이서를 더 갖고, 상기 (a) 공정이 상기 외측 동형과 상기 내측 동형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시키면서 동형을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내측 동형과 상기 외측 동형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0010039770A 2000-07-05 2001-07-04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0724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3385A JP4441997B2 (ja) 2000-07-05 2000-07-05 成形金型
JP2000-203385 2000-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828A KR20020003828A (ko) 2002-01-15
KR100724828B1 true KR100724828B1 (ko) 2007-06-04

Family

ID=1870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70A KR100724828B1 (ko) 2000-07-05 2001-07-04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6660B2 (ko)
JP (1) JP4441997B2 (ko)
KR (1) KR100724828B1 (ko)
CN (1) CN1208264C (ko)
TW (1) TW524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3280C (zh) * 2004-11-25 2008-01-23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可简化芯取作业的固定式玻璃模造成形装置
CN100344560C (zh) * 2004-12-15 2007-10-24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连续式玻璃模造成形系统
CN101156076B (zh) * 2005-02-11 2011-04-27 Nxp股份有限公司 具有多个时钟域的测试准备集成电路及测试该集成电路的方法
KR100763950B1 (ko) * 2006-12-15 2007-10-05 에이테크솔루션(주) 틈새부가 상면코어 측면에 형성된 고온금형사출기
US8062014B2 (en) * 2007-11-27 2011-11-22 Kennametal Inc.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split case die to press a part and the part produced therefrom
US8033805B2 (en) 2007-11-27 2011-10-11 Kennamet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passageway pressing to produce cutting inserts
CN102336512A (zh) * 2010-07-21 2012-02-01 任金淼 快速生产高品质玻璃ⅴ型槽基板的方法、其专用金属模具及该高品质玻璃ⅴ型槽基板
CN102060431B (zh) * 2010-11-25 2012-08-15 厦门富力或姆光电技术有限公司 玻璃模压成型机
TW201306968A (zh) * 2011-08-04 2013-02-16 Chung Shan Inst Of Science 基板之模造裝置
CN103072189A (zh) * 2011-11-18 2013-05-01 常熟市创新陶瓷有限公司 一种陶瓷干压模具
CN102632537B (zh) * 2012-04-01 2015-06-17 林浩霖 陶瓷件胚体的制作方法与其模具套件
CN103101140A (zh) * 2012-12-13 2013-05-15 江苏金晟元特种阀门有限公司 阀门塑料填料压塑模
DE102014203761A1 (de) * 2014-02-28 2015-09-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auteils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im Kraftfluss einer Klemmverbindung
CN106338433A (zh) * 2015-09-01 2017-01-18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力学试验用浇注型材双向拉伸试样模具工装
CN106338417A (zh) * 2015-09-01 2017-01-18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固体推进剂加压固化检测试样模具工装
CN106272915B (zh) * 2016-09-28 2020-06-23 江苏天海建材有限公司 便拆卸式工字桩模
US10969560B2 (en) 2017-05-04 2021-04-06 Lightpath Technologies, Inc.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73716A (zh) * 2018-03-30 2018-10-19 刘路清 一种易取出的可拆卸砖模板
CN109382956A (zh) * 2018-11-09 2019-02-26 北京航天新风机械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异形复杂防隔热构件净尺寸成型模具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532A (ja) * 1998-09-24 2000-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ス成形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と光学素子プレス成形用型および光学素子プレス成形装置
JP2000264653A (ja) * 1999-03-12 2000-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の成形金型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1048553A (ja) * 1999-08-02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成形金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532A (ja) * 1998-09-24 2000-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ス成形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と光学素子プレス成形用型および光学素子プレス成形装置
JP2000264653A (ja) * 1999-03-12 2000-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の成形金型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1048553A (ja) * 1999-08-02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成形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8264C (zh) 2005-06-29
CN1331056A (zh) 2002-01-16
KR20020003828A (ko) 2002-01-15
JP4441997B2 (ja) 2010-03-31
US20020011690A1 (en) 2002-01-31
TW524781B (en) 2003-03-21
JP2002018862A (ja) 2002-01-22
US6766660B2 (en)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28B1 (ko) 성형 금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H10202372A (ja) 複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複合部材
JPH09267404A (ja) 加圧成形による光学素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並びにプレス型
EP1153893A3 (en) Method for forming a tool for molding microlens arrays
US6334973B1 (en)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KR100245207B1 (ko) 광학소자 성형용 소재의 제조방법과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광 학소자의 성형방법
CN108689589B (zh) 透镜成型用模具和柱面透镜的制造方法
JP3961474B2 (ja) ガラスレンズ成形用金型
JP5269477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の製造装置、及び光学素子
JP4694446B2 (ja) 成形型
JPH07215721A (ja) レンズ成形装置
JP2002234742A (ja) 光学素子の成形金型
US6767196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fiber optical ferrule
JPH09188529A (ja) 光学素子の成形装置
JP2007125780A (ja) 成形用型及びその製造方法、熱可塑性素材の成形方法
JP4951394B2 (ja) 光学素子の成形方法
JPH0834627A (ja) ガラスモールド成形用型
JP6949739B2 (ja) シリンドリカル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8284704A (ja) 成形型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H06115950A (ja) 鏡筒付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1818B2 (ja) 成形用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2940B2 (ja) 複合シ−ルリング製造用金型
JPH11151759A (ja) 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成形型、成形用素材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用素材の成形型
JPH05124824A (ja) 光学素子素材及び光学素子の成形方法
JPH0570155A (ja) ガラスレンズ成形用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