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651B1 -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651B1
KR100723651B1 KR1020040103304A KR20040103304A KR100723651B1 KR 100723651 B1 KR100723651 B1 KR 100723651B1 KR 1020040103304 A KR1020040103304 A KR 1020040103304A KR 20040103304 A KR20040103304 A KR 20040103304A KR 100723651 B1 KR100723651 B1 KR 10072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key
imaging control
imag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76A (ko
Inventor
모리히데키
미나우치신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모드에 있어서, 텐키에 있어서의 수치키[1]∼[9]의 어느 쪽인가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102), 검출된 경우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대응하는 줌제어내용을 텐키대응테이블로부터 판독하며(S103), 이 판독한 제어내용으로 DSP를 제어해서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줌처리시킨다(S104). 이에 따라 표시부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된 피사체화상이 순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되고, 또한 결정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S105), 결정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촬영을 실행한다(S106). 따라서 사용자는 셔터찬스를 잃는 일 없이 해당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된 피사체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휴대전화, 데이터, 프로그램, 표시부, 제어부, 텐키대응테이블

Description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RECORDING COMPUTER PROGRAM}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태에 공통되는 휴대전화(1)의 정면도.
도 1b는 휴대전화(1)의 배면도.
도 2는 휴대전화(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는 프로그램ROM(125)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b는 텐키대응테이블(1253)의 개념도.
도 4는 RAM(124)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동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키대응테이블(1253)의 개념도.
도 8은 동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동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 101: 스피커
102: 메인표시부 103: 안테나
104: 카메라키 105: 메일키
106: 十자키 107: 결정키
108: 주소키 109: 네트워크접속키
110: 클리어키 111: 온훅키
112: 오프훅키 113: 텐키
114: 마이크 115: 녹음용 마이크
116: 서브표시부 117: 통지용 LED
118: 촬상렌즈 119: 플래시용 LED
120: 통지용 스피커 121: 무선부
122: 제어부 123: 주소데이터버스처리부
124: RAM 125: 프로그램ROM
126: 음원IC 127: 앰프
128: 표시모듈계 드라이버 129: DSP
130: 촬상디바이스 131: AF드라이버
132: 조리개 1021:줌측 마크
1022: 와이드측 마크 1023: 줌위치인디케이터
1024: [1]∼[9]의 숫자 1025: 「0」의 숫자
1026: 노출보정값 인디케이터 1221: 통신데이터처리부
1222: 시스템ROM 1223: 오디오인터페이스
1224: 시각계시부 1241: 주소록기억영역
1242: 메일데이터기억영역 1243: 화상메모리
1244: 그 밖의 작업영역
1251: 소프트웨어프로그램격납영역 1252: 그 밖의 격납영역
1253: 텐키대응테이블 P: 피사체상
본 발명은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에 있어서, 디지털카메라 등에서 비교적 조작이 간이한 것이라도 줌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줌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에는 줌키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줌키의 한쪽 측을 눌러 내리면, 피사체상이 서서히 확대하며, 다른쪽 측을 눌러 내리면 피사체상이 서서히 축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줌키를 조작하고, 피사체상이 소망한 확대율이 된 시점에서 줌키의 조작을 중지하며, 그리고 나서 셔터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소망한 확대율로 이루어지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촬상기기는 상기와 같이 줌키가 연속적으로 조작됨으로써 피사체상을 서서히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으로부터 피사체상이 소망한 확대율로 되기까지에 시간을 요한다. 이로 인해 피사체상이 소망한 확대율로 되기까지의 사이에 피사체에 변화가 발생하여 버려 셔터찬스를 잃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기존의 키를 유효 이용하여 직접 촬상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소망의 피사체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한 휴대정보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즉, 피사체 상의 촬상을 실행하는 촬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카메라 촬영을 실행하는 카메라 모드와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모드를 임의로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다이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 제어할 때의 촬상 제어값을 복수의 촬상 제어값으로 나누고, 그 각 촬상 제어값의 각각을 상기 각 조작키와 1대1로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기억수단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키 중에서 임의의 조작키가 선택 조작되었을 때, 그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촬상 제어값을 읽어내고, 그 읽어진 촬상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를 촬상 제어하는 촬상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을 달리 구현한 기록매체는,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기능과, 피사체 상의 촬상을 실행하는 촬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촬상기능과, 상기 촬상기능에 의해 카메라 촬영을 실행하는 카메라 모드와 상기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모드를 임의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기능과, 상기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다이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기능과, 상기 촬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 제어할 때의 촬상 제어값을 복수의 촬상 제어값으로 나누고, 그 각 촬상 제어값의 각각을 상기 각 조작키와 1대1로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기억기능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키 중에서 임의의 조작키가 선택 조작되었을 때, 그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촬상 제어값을 읽어내고, 그 읽어진 촬상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를 촬상 제어하는 촬상 제어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기록한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에 기재내용에서 상술(詳述)되고, 그 중에 있어서, 일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효과는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또는 이하의 기재내용의 일부에서 서술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기술(記述)내용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휴대전화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1b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휴대전화(1)의 외관도(도 1a는 열린상태:정면도, 도 1b는 배면도)이고, 휴대전화(1)는 덮개부와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둘접음구조이다. 안테나(103)는 본체부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신축 자유롭게 되어 있다. 스피커(101)는 덮개부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음성출력을 실행한다. 메인표시부(102)는 QVGA컬러액정이고, 덮개부의 전면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의 전면에는 카메라키(104), 메일키(105), 十자키(106), 결정키(107), 주소키(108), 네트워크접속키(109), 클리어키(110), 온훅키(111)와 오프훅키(112), 텐키(1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키에 있어서, 十자키(106), 결정키(107), 주소키(108), 네트워크접속키(109)는 이 휴대전화(1)를 오른손으로 꽉 쥔 경우, 해당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카메라키(104)는 착신대기상태로부터 카메라모드로의 이행시 및 촬상부를 기동시킬 때에 조작되는 동시에, 카메라-무비 전환에 사용된다. 메일키(105)는 메일모드이행시 및 메일프로그램로드시에 조작되는 키이다. 十자키(106)는 커서이동시에 조작되고, 결정키(107)는 각종 모드의 결정시에 조작되며, 카메라모드시에는 셔터키로서 기능한다.
주소키(108)는 주소록데이터를 표시할 때에 조작되는 키이고, 네트워크접속키(109)는 외부의 네트워크접속용의 조작키이다. 클리어키(110)는 취소지시용의 키이고, 텐키(113)는 문자입력 및 다이얼입력용으로서 사용되며, 숫자[0]∼[9]가 붙여진 키 및 기호[*][#]가 붙여진 키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114)는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통화시에 있어서 음성입력을 실행한다.
또 덮개부의 배면에는 녹음용 마이크(115), 컬러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서브표시부(116), 착신때 발광하는 통지용 LED(117), 광학계로서의 촬상렌즈(118) 및 플래시용 LED(119)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의 이면에는 통지용 스피커(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통지용 스피커(120)는 착신 등을 통지하는 것이고, 덮개부를 본체부에 닫은 상태에서도 통지음이 들리도록 본체부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휴대전화(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부(121)는 안테나( 103)에 접속되어 있고, QPSK방식에 의거하는 변복조와, CDMA방식에 의거하는 송수신처리 및 단말인증처리를 포함하는 통신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22)는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WWW접속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통신데이터처리부(1221), 시스템ROM(1222) 및 오디오인터페이스(1223), 및 내장클록(미도시)에 의거하여 현재시각을 계시하기 위한 시각계시부(1224)를 갖고 있다. 통신데이터처리부(1221)는 CLEP계 음성복호부호화처리회로, 패킷데이터생성회로 및 패킷데이터복원회로를 포함하고, 통신프로토콜을 따른 데이터처리를 실행한다. 시스템ROM(1222)에는 OS 와 같은 기본시스템이 격납된다.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는 통신데이터처리부(1221)에서 처리되는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피커(101), 마이크(114) 및 녹음용 마이크(1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키(104)∼텐키(113)로 구성된다.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는 제어부(122)와 주변회로(파선테두리내의 회로)의 데이터의 입출력타이밍 등을 제어ㆍ관리하는 것이다. RAM(124)은 주소록데이터나 메일데이터 등, 기기내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프로그램ROM(NOR Flash, 125)은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등을 격납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SP(129)에서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에 대해 압축부호화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카메라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한다. 음원IC(126)는 통지음의 파형을 기억하는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고, 앰프(127)는 음원IC(126)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하며, 상기 통지용 스피커(120)는 이것을 재생한다.
표시모듈계 드라이버(128)는 상기 메인표시부(102), 서브표시부(116), 통지용 LED(117) 및 플래시용 LED(119)를 구동하는 것이다. 촬상디바이스(130)는 상기 촬상렌즈(118)에 의해 조리개(132)를 통하여 피사체상이 결상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진다. DSP(129)는 이 촬상디바이스(130)로부터의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화처리하는 동시에, 디지털줌처리하여 확대 및 축소 처리하는 것이다. 이 확대 및 축소 처리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모듈계 드라이버가 메인표시부(102)를 구동함으로써 촬상디바이스(130)상에 결상된 피사체상이 메인표시부(102)에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되는 동시에, 셔터조작에 동반하여 해당 피사체상의 화상데이터가 후술하는 화 상메모리(1243)에 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촬상렌즈(118)는 오토포커스제어용의 스테핑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홀딩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로부터의 콘트라스트검출방식의 패시브AF에 의거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AF드라이버(131)가 출력하는 구동신호가 구동기구에 공급됨으로써 촬상렌즈(118)를 광축상의 전후로 이동하여 초점맞춤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개(132)는 팬포커스가 가능한 조리개값이 설정된 고정식이다.
도 3a는 프로그램ROM(125)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프로그램ROM(125)은 소프트웨어프로그램격납영역(1251), 텐키대응테이블(1253) 및 그 밖의 격납영역(1252)을 갖고 있다. 소프트웨어프로그램격납영역(1251)에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카메라애플리케이션이 격납되어 있고, 그 밖의 격납영역(1252)에는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이 격납되어 있다. 텐키대응테이블(1253)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에 대응하여 다단계로 「최대 줌」(최대 확대)부터 「최대 와이드」(최소 축소)까지의 확대 및 축소제어내용이 기억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RAM(124)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RAM(124)은 주소록기억영역(1241), 메일데이터기억영역(1242), 화상메모리(1243) 및 그 밖의 작업영역(1244)으로 이루어진다. 주소록기억영역(1241)은 이름, 전화번호, 메일주소 등을 1레코드로서 복수 기억한다. 메일데이터기억영역(1242)에는 메일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메일데이터나 수신한 메일데이터를 격납한다. 화상메모리(1243)는 촬영된 화상의 화상파일을 격납한다. 그 밖의 작업영역(1244)은 작업메모리로서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전화(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착신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이 휴대전화(1)는 일반적인 휴대전화와 똑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와 같이 메일키(105)는 메일모드이행시 및 메일프로그램로드시에 조작되는 키로서 기능하고, 주소키(108)는 주소록데이터를 표시할 때에 조작되는 키로서 기능하며, 네트워크접속키(109)는 외부의 네트워크접속용의 조작키로서 기능하고, 텐키(113)는 문자입력 및 다이얼입력용 키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전화(1)를 카메라로서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키(104)를 원터치 조작하면, 제어부(122)는 이 카메라키(104)의 조작에 응답하여 카메라모드로 이행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격납영역(1251)에 기억되는 카메라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한다. 또 이 카메라모드로의 이행에 동반하여 제어부(122)는 오토포커스(AF)로 촬상렌즈(118)에 의해 촬상디바이스(130)상에 결상된 피사체상을 메인표시부(102)에 「줌 1」로 모니터 표시시킨다. 그리고 메인표시부(102)에 피사체상을 표시시키면서 프로그램ROM(125)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인디케이터화면표시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01). 이 스텝S101에서의 처리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상(P)이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메인표시부(102)에 줌측 마크(1021), 와이드측 마크(1022), 양마크(1021, 1022)간의 줌위치인디케이터(1023), 이 인디케이터(1023)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열된[1]∼[9] 의 숫자(1024) 및 좌측하부의 「0」의 숫자(1025) 등을 표시시킨다.
또 이 때 줌위치인디케이터(1023)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줌제어의 값에 대응하는 텐키의 숫자에 합치시켜 표시시킨다. 즉 초기표시상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상을 「줌 1」로 모니터 표시시키는데, 이 「줌 1」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키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자 「4」에 대응하는 위치에 줌위치인디케이터(1023)를 표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도 6에 나타낸 화면을 봄으로써[4]보다 값이 작은[3]∼[1]을 선택하면 그 수치에 따라 피사체상(P)을 확대 표시하도록 조정되고, [4]보다 값이 큰[5]∼[9]를 선택하면 그 수치에 따라 피사체상(P)을 축소 표시하도록 조정되어 와이드 표시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의 어느 쪽인가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2). 검출된 경우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대응하는 줌제어내용을 텐키대응테이블(1253)로부터 판독한다(스텝S103). 즉 예를 들면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텐키대응테이블(1253)로부터 「최대 줌」을 판독하고, 수치키[7]이 조작된 경우에는 「와이드 2」를 판독한다.
계속해서 이 판독한 제어내용으로 DSP(129)를 제어해서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줌처리시킨다(스텝S104). 이에 따라 메인표시부(102)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된 피사체화상이 순시에 표시되는 것이 된다. 또한 결정키(107)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5). 그리고 카메라모드에 있어 서, 결정키(107)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106).
즉 결정키(107)가 눌러 내려지면, 이 시점에서 DSP(129)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화상데이터를 카메라애플리케이션에서 압축부호화처리하여 화상파일을 생성하고, 촬영일시를 파일명으로 하여 이 화상파일을 화상메모리(1243)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텐키(113)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치키[1]∼[9]를 조작함으로써 메인표시부(102)에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된 피사체상(P)을 눈으로 확인한 후, 결정키(107)를 조작함으로써 셔터찬스를 잃는 일 없이 해당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된 피사체상(P)의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1243)에 기억시키는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스텝S105에서의 판단의 결과, 결정키(107)의 눌러 내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7).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촬영처리(스텝S106)를 실행한 경우에는 모드전환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108). 그리고 모드전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 흐름에 따른 카메라처리를 종료하고, 모드전환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턴하여 스텝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른 한편 스텝S107에서의 판단의 결과,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화면의 소거를 실행한 후(스텝S109), 스텝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스텝S109의 처리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메인표시부(102)에 있어서, 줌측 마크(1021), 와이드측 마크(1022), 줌위치인디케이터 (1023),[1]∼[9]의 숫자(1024), 「0」의 숫자(1025)를 모두 소거한다. 이에 따라 메인표시부(102)에는 피사체상(P)만이 표시되는 상태가 되어 메인표시부(102)에 보기 쉬운 상태로 피사체상(P)을 표시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이 경우라도 스텝S102로부터의 처리는 실행되는 것으로부터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의 조작에 따라 피사체상(P)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시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키대응테이블(125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텐키대응테이블(1253)에는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에 대응하여 다단계로 「-2. 0 노출보정」(최대 노출보정)부터 「+2. 0 노출보정」(최소 노출보정)까지의 노출보정값이 기억되어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전화(1)를 카메라로서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키(104)를 원터치 조작하면, 제어부(122)는 이 카메라키(104)의 조작에 응답하여 카메라모드로 이행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격납영역(1251)에 기억되는 카메라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한다. 또 이 카메라모드로의 이행에 동반하여 제어부(122)는 오토포커스(AF)로 촬상렌즈(118)에 의해 촬상디바이스(130)상에 결상된 피사체상을 메인표시부(102)에 「+0. 5 노출보정」으로 모니터 표시시킨다. 그리고 메인표시부(102)에 피사체상을 표시시키면서 프로그램ROM(125)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5의 흐름도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인디케이터화면표시처리를 실행한다(스텝S201). 이 스텝S201에서의 처리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상(P)이 모니터 표시되어 있는 메인표시부(102)에 「어두움」부터 「밝음」까지의 사이의 노출보정값 인디케이터(1026), 이 인디케이터(1026)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열된[1]∼[9]의 숫자(1024) 및 좌측하부의 「0」의 숫자(1025) 등을 표시시킨다.
또 이 때 노출보정값 인디케이터(1026)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노출제어의 값에 대응하는 텐키의 숫자에 합치시켜 표시시킨다. 즉 초기표시상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상을 「+0. 5 노출보정」으로 모니터 표시시키는데, 이 「+0. 5 노출보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6]키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자 「6」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보정값 인디케이터(1026)를 표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도 9에 나타낸 화면을 봄으로써「6」보다 값이 작은[5]∼[1]을 선택하면 그 수치에 따라 피사체상(P)을 어둡게 표시하도록 조정되고, 「6」보다 값이 큰[7]∼[9]를 선택하면 그 수치에 따라 피사체상(P)을 밝게 표시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의 어느 쪽인가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02). 검출된 경우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대응하는 노출제어내용을 텐키대응테이블(1253)로부터 판독한다(스텝S203). 즉 예를 들면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텐키대응테이블(1253)로부터 「-2. 0 노출보정」을 판독하고, 수치키[7]이 조작된 경우에는 「 +0. 5 노출보정」을 판독한다.
계속해서 이 판독한 제어내용으로 DSP(129)를 제어해서 화상데이터를 디지털노출 처리시킨다(스텝S204). 이에 따라 메인표시부(102)에는 조작된 수치키에 따라 명암처리된 피사체화상이 순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결정키(107)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05). 그리고 카메라모드에 있어서 결정키(107)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촬영을 실행한다(스텝S206).
즉 결정키(107)가 눌러 내려지면 이 시점에서 DSP(129)에 의해 명암처리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화상데이터를 카메라애플리케이션에서 압축부호화처리하여 화상파일을 생성하고, 촬영일시를 파일명으로 하여 이 화상파일을 화상메모리(1243)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텐키(113)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치키[1]∼[9]를 조작함으로써 메인표시부(102)에 명암처리 표시된 피사체상(P)을 눈으로 확인한 후, 결정키(107)를 조작함으로써 셔터찬스를 잃는 일 없이 해당 명암처리 표시된 피사체상(P)의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1243)에 기억시키는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스텝S205에서의 판단의 결과, 결정키(107)의 눌러 내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07).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촬영처리(스텝S206)를 실행한 경우에는 모드전환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08). 그리고 모드전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 흐름에 따른 카메라처리를 종료하고, 모드전환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턴하여 스텝S2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른 한편 스텝 S207에서의 판단의 결과,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0]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화면의 소거를 실행한 후(스텝S209), 스텝S2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스텝S209의 처리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메인표시부(102)에 있어서, 노출보정값 인디케이터(1026),[1]∼[9]의 숫자(1024), 「0」의 숫자(1025)를 모두 소거한다. 이에 따라 메인표시부(102)에는 피사체상(P)만이 표시되는 상태가 되어 메인표시부(102)에 보기 쉬운 상태로 피사체상(P)을 표시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이 경우라도 스텝S202로부터의 처리는 실행되는 것으로부터 텐키(113)에 있어서의 수치키[1]∼[9]의 조작에 따라 피사체상(P)을 명암처리하여 표시시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는데,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PDA, 디지털카메라, 휴대형 게임기 등 통신기능과 촬영기능을 병유하는 것의 비교적 소형의 다른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수단을 갖는 휴대정보장치로서,
    피사체 상의 촬상을 실행하는 촬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카메라 촬영을 실행하는 카메라 모드와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모드를 임의로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다이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 제어할 때의 촬상 제어값을 복수의 촬상 제어값으로 나누고, 그 각 촬상 제어값의 각각을 상기 각 조작키와 1대1로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기억수단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키 중에서 임의의 조작키가 선택 조작되었을 때, 그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촬상 제어값을 읽어내고, 그 읽어진 촬상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를 촬상 제어하는 촬상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값은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할 때의 상의 확대 또는 축소의 제어값이며, 상기 촬상 제어수단은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된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서의 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촬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값은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할 때의 노출 보정의 제어값이며, 상기 촬상 제어수단은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서의 노출 보정을 촬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촬상 제어값과 상기 각 조작키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기능과,
    피사체 상의 촬상을 실행하는 촬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촬상기능과,
    상기 촬상기능에 의해 카메라 촬영을 실행하는 카메라 모드와 상기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모드를 임의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기능과,
    상기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다이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기능과,
    상기 촬영 디바이스에 의해 피사체 상을 촬상 제어할 때의 촬상 제어값을 복수의 촬상 제어값으로 나누고, 그 각 촬상 제어값의 각각을 상기 각 조작키와 1대1로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기억기능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키 중에서 임의의 조작키가 선택 조작되었을 때, 그 선택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되어 기억되는 촬상 제어값을 읽어내고, 그 읽어진 촬상 제어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를 촬상 제어하는 촬상 제어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삭제
KR1020040103304A 2003-12-10 2004-12-09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23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1613 2003-12-10
JP2003411613A JP4311186B2 (ja) 2003-12-10 2003-12-10 携帯情報機器、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76A KR20050056876A (ko) 2005-06-16
KR100723651B1 true KR100723651B1 (ko) 2007-05-30

Family

ID=3465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304A KR100723651B1 (ko) 2003-12-10 2004-12-09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28315A1 (ko)
JP (1) JP4311186B2 (ko)
KR (1) KR100723651B1 (ko)
CN (2) CN1005182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188A (ja) * 2004-12-17 2006-06-29 Casio Comput Co Ltd 動画記録装置、及び動画撮影方法
US7417673B2 (en) * 2005-05-31 2008-08-26 Nokia Corporation Optical and digital zooming for an imaging device
CN100349458C (zh) * 2005-07-12 2007-11-14 圆刚科技股份有限公司 简报用数字摄影机
KR20070013492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DE102006032416A1 (de) * 2005-09-29 2007-04-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US20080090607A1 (en) * 2006-10-11 2008-04-17 Christian Kraf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4402710B2 (ja) * 2007-09-18 2010-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TWI382743B (zh) * 2008-07-31 2013-01-11 Htc Corp 手持裝置及其省電方法
JP5791448B2 (ja) * 2011-09-28 2015-10-07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端末
CN103841330B (zh) * 2014-03-10 2017-12-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6637767B2 (ja) * 2016-01-05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遠隔撮影システム
CA3036285C (en) 2016-09-23 2023-06-27 Mgx Renewabl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efficiency metal particle regeneration
CN106803881A (zh) * 2017-02-24 2017-06-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826A (ja) 1999-12-28 2001-07-1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3308898B2 (ja) 1998-05-06 200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2003067120A (ja) 2001-08-24 2003-03-07 Pioneer Electronic Corp テンキー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555B2 (ja) * 1995-04-07 200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
US6775361B1 (en) * 1998-05-01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0354233A (ja) * 1999-06-10 2000-12-19 Denso Corp 携帯電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898B2 (ja) 1998-05-06 200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2001189826A (ja) 1999-12-28 2001-07-1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67120A (ja) 2001-08-24 2003-03-07 Pioneer Electronic Corp テンキー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8315A1 (en) 2005-06-16
JP4311186B2 (ja) 2009-08-12
CN100349459C (zh) 2007-11-14
CN1627797A (zh) 2005-06-15
KR20050056876A (ko) 2005-06-16
JP2005175769A (ja) 2005-06-30
CN100518251C (zh) 2009-07-22
CN101127833A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51B1 (ko) 휴대정보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96080B1 (ko) 영상 포착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장치, 작동 제어 방법 그리고 작동 제어 프로그램 저장용 기록 매체
JP4513317B2 (ja) 複合機器、合焦制御方法及び合焦制御プログラム
JP4432559B2 (ja) 撮像装置、画像信号記録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JP4973915B2 (ja) 通信装置、情報記憶方法、及び、情報記憶プログラム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JP2005318347A (ja) 撮像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JP450718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5184696A (ja) 携帯端末およびフラッシュ制御方法
JP2006038991A (ja) 携帯機器、撮影制御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4324733B2 (ja) 画像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および、送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6041645A (ja) 撮像装置、文字列撮像方法及び文字列撮像プログラム
JP2006014074A (ja) 携帯電話機
JP2005086613A (ja) 携帯情報機器及び操作機能制御プログラム
JP2005057370A (ja) 電子機器
JP2012015827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79441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94065A (ja) 携帯情報機器及び操作機能制御プログラム
JP200402316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60743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9293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807253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5347933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277614A (ja) 撮像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JP200713302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