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746B1 -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746B1
KR100722746B1 KR1020040102201A KR20040102201A KR100722746B1 KR 100722746 B1 KR100722746 B1 KR 100722746B1 KR 1020040102201 A KR1020040102201 A KR 1020040102201A KR 20040102201 A KR20040102201 A KR 20040102201A KR 100722746 B1 KR100722746 B1 KR 10072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rubber
doubl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450A (ko
Inventor
김철환
박성하
김준엽
박성찬
김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10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7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충격음 저감효과를 증대시키고 보행감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支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라운드 구조와 중공구조를 갖는 제진성 방진고무와 높낮이 조절볼트 그리고 상판을 지지하는 헤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로 사용할 경우 바닥충격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진성 방진고무의 쿠션에 의해 적절한 보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중바닥재, 지지대, 바닥충격음, 중량충격음, 경량충격음, 층간차음, 보행감

Description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The Noise Reduction Supporting System for Raised Access Floors}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지지대,
도 2는 종래의 이중바닥재용 지지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부품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볼트의 유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고무의 유형도,
도 7은 종래의 사무용 지지대와 종래의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각각 이중바닥 상부판넬에 적용시켰을 때의 중량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고무의 저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고무의 유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헤드
2, 2': 높낮이 조절볼트
2a: 높낮이 조절볼트 일반 타입
2b: 높낮이 조절볼트 접착제 타입
3, 3': 지지대고무
3a, 3c: 지지대고무 일반 타입
3b, 3d: 지지대고무 접착제 타입
3e: 볼록엠보
4: 받침대
5: 볼트풀림 잠금장치
6: 높낮이 조절볼트 수용부
7: 점착테이프
8: 너트
9: 중공3공구
본 발명은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고 보행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볼트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는 지지대고무가 장착되고 위로는 상부판넬을 지지하는 헤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대고무는 바닥충격음전달 저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공구조를 가지는 반원구 형상으로 설계하고 소재로는 제진성 방진고무를 적용하였으며, 또한 높 낮이 볼트 측면에 키홈을 적용하여 접착제가 흘러내리기 용이하게 함으로써 흘러내린 접착제가 경화됨에 의해 바닥과 지지대 제품간의 견고한 일체화를 이룰 수 있으며, 그리고 상판과 헤드의 단단한 고정을 위한 못박음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헤드 재질을 판재 형태의 나무를 적용한 주택용 이중바닥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산실과 같은 사무공간에서는 전선배관처리를 바닥의 하부로 처리하기 위하여 이중바닥재를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사무용 이중바닥 지지대는 스틸(Steel)로만 구성되어 있어 쿠션성이 없고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이 없어 주택용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딱딱한 지지대를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의 문제점, 즉 의자를 끄는 소리, 구두발자국 소리와 같이 "달그락"거리는 가벼운 소리인 "경량충격음"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뛰어다니는 "쿵쿵"거리는 무거운 소리인 "중량충격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아래층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딱딱한 이중바닥 위를 걸을 때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주택에 있어서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민원의 소지가 다분하다.
선행제품들의 경우, 주용도가 중량충격음 저감보다는 유틸리티(Utility) 활용, 경량충격음 저감, 실내공간 레이아웃(Layout) 변경 등이기 때문에 중량충격음 저감성능이 없거나 오히려 악화되는 수준이다. 또한 바닥충격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고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나친 쿠션성으로 인해 냉장고, 책장, 피아노 등 무거운 가구를 올릴 경우 기울어지거나 주저앉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딱딱한 온돌바닥 생활방식의 국내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에 게는 오히려 불안감을 조성한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이중바닥 지지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는 높낮이 조절볼트 수용부(6)를 포함하는 스틸재 판상 받침대(4), 높낮이 조절볼트와 볼트풀림 잠금장치(5)를 포함하는 헤드(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무용 이중바닥재의 경우 스틸로 구성된 지지대를 상부판넬 밑면에 적용하고 있으며, 바닥과 지지대와의 큰 접착면적과 스틸의 딱딱한 특성에 의해 충격음 전달이 용이하게 되고 따라서 충격음 저감에 불리하게 된다. 또한 장기간의 경우 사람들의 보행에 의한 높낮이 조절볼트의 점차적인 풀림에 의해 이중바닥재 수평 레벨이 변화하게 되고 결국 이중바닥이 울렁이는 하자발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속품을 추가로 적용하여야 하는데, 이처럼 이중바닥 지지대를 사용할 경우 바닥충격음에 대한 영향과 높낮이 조절볼트의 견고성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가 바닥충격음 저감에 불리하게 되는 주요원인은 비교적 무거운 하중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지지대의 안정감을 주기 위해 바닥과의 접착면적이 크게 설계되는데, 이것은 스틸의 딱딱한 특성과 더불어 충격음 전달이 용이하게 되어 바닥충격음 저감에 불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스틸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성이 없으며 따라서 보행감이 떨어져 보행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틸 재질은 충격음을 그대로 바닥으로 전달시키는 "Sound Bridge" 효과 때문에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효과가 없거나 저해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무용 이중바닥 지지대를 우리나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층간소음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도 1과 유사한 구조로서 일본 실개평7-38399에서는 판상의 지지각, 상기 지지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재치되는 바닥패널을 눌러 고정하는 패널압재를 구비하는 이중바닥의 바닥 패널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자부재와 웅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패널압재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주요 구성요소가 스틸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성이 없으며 따라서 보행감이 떨어져 보행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 1998-56504에서는 판상의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중심부에서 일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나사형태의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에는 고정시 사용되는 리치부를 가지는 상부지지체, 하부지지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턱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체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결합되고 상부에는 조절홈부가 형성된 4개의 높이조절볼트로 구성된 마루판재의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주요 구성요소가 스틸로만 구성되어 쿠션성이 없고 바닥판이 판상 형태라서 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미미하다.
도 2는 종래의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는 마루 상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헤드(1''), 상기 헤드(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볼트(2'), 상기 볼트(2')를 지지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고무(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공간 활용을 주목적으로 제작 및 적용되고 있 는 실정이며, 따라서 중량충격음 저감 성능효과가 없고, 고무의 경도가 지나치게 부드러워 보행감이 어색하고, 냉장고, 피아노, 책장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에 대해 처짐이 발생하여 국내의 딱딱한 바닥문화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도 2와 유사한 구조로서 일본 특개평7-127231에서는 판상의 블록, 상기 블록의 중앙의 구멍에 매설되는 너트, 상기 너트에 나합하는 지지볼트, 상기 지지볼트를 지지하는 고무로 구성된 지지각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특개평6-185190과 일본 특개평10-331399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조의 지지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각들의 고무구조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원통형이라서 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불충분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제품들 및 사무용 이중바닥 지지대를 공동주택에 사용할 경우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음 전달을 최소화하여 바닥충격음의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약자 및 아동들이 이중바닥에 쓰러졌을 때의 부상을 방지하고 보행감을 부여할 수 있는 적절한 쿠션성을 가지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시에 편리한 접착구조를 갖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부에 삽입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이중바닥의 상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헤드; 상단에 일자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트; 및 상부에 상기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반원구 형상의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대고무를 구비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충격음의 저감을 극대화하도록, 상기 지지대고무는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고무의 저면에 볼록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시에 편리한 접착구조를 가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볼트의 외주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무에는 상기 볼트 지지홈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홈의 폭과 깊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홈성형 작업성을 고려하면 각각 1 내지 10 ㎜가 적절하다.
상기 지지대고무는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하여, 그 재질로서는 제진성 방진고무(Non-Elastic Rubber) 또는 탄성고무(Elastic Rubber), 바람직하게는 제진성 방진고무를 사용한다. 지지대고무의 규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고무가 받는 하중과 바닥충격음 흡수성능을 동시에 고려하면, 최대직경은 5 내지 50 ㎜, 최대두께는 5 내지 50 ㎜가 적절하다.
상기 헤드는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 등의 목질계, 복합시멘트, 규산칼슘판 등의 무기질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유리강화플라스틱(FRP) 등의 합성수지계, 도금강판, 도장강판, 무기질 코어강판, 유기질 코어강판 등의 강판계,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하니컴 등의 알루미늄계 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이중바닥재의 상부판넬과의 일체화를 위해 못박음이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목질의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헤드의 규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견고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하면, 가로 50 내지 150 ㎜, 세로 50 내지 150 ㎜, 두께 2 내지 30 ㎜ 정도가 적절하다.
상기 볼트는 스틸(Steel) 재질로서 직경 5 내지 20 ㎜, 길이 20 내지 200 ㎜, KS B 1002 M10 규격의 볼트가 적절하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볼트의 하단부는 볼트로부터 고무로 전달되는 하중을 고루 분산시키도록, 즉 압력분산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연장되어 직경 5 내지 50 ㎜의 원판형을 이룬다. 상기 지지대고무의 볼트지지홈은 볼트가 이탈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의 원판형 하단부를 수용하는 공간과 볼트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좁아진 입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의 상부에 점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시공시 편리한 점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쿠션성과 충격음저감 성능효과를 가지는 이중바닥 지지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게 분류하여 헤드(1), 높낮이 조절볼트(2) 및 지지대고무(3)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1)의 상부면에 점착테이프(7)가 부착되어 이중바닥 상판의 하부면과 점착 또는 접착 일체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방진고무(3)는 반원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용 지지대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대의 구성부품들과 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상부에 점착테이프(7)가 부착되고, 중심부에 삽입되는 너트(8)를 포함하며, 이중바닥의 상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헤드(1); 상단에 일자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8)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트(2); 및 상부에 상기 볼트(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반원구 형상의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9)을 갖는 지지대고무(3)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1)는 이중바닥재의 상부판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상부판넬과의 강력한 접합력과 상부판넬과의 충분한 접촉면적이 필요하다.
상기 헤드(1)의 구조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너트(8)가 삽입되어 볼트(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바람직하게는 최상단부에 점착성 테이프(7)를 적용하여 이중바닥재의 상부판넬 하부면과 점착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헤드(1)의 크기는 상부판넬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상부판넬의 강도는 좋아지게 되나, 상부판넬이 받는 하중과 헤드(1)를 제작하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50 내지 150 ㎜의 정사각 구조로서 두께는 2 내지 30 ㎜로 설계한다. 헤드(1)의 크기와 두께가 클수록 견고하나, 경제성을 함께 고려하여 크기와 두께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1)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무기질, 나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목재를 사용하여 이중바닥재의 상부판넬과의 일체화를 위한 못박음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높낮이 조절볼트(2)의 두가지 유형, 즉 일반 타입의 볼트(2a)와 접착제 타입의 볼트(2b)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볼트(2)의 구조는 상단부에 십자 또는 일자홈을 부여하여 드라이버를 이용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며, 하단부는 제진성 방진고무(3)에 볼트(2)가 삽입되었을 때 볼트(2)가 받는 하중을 고무(3)로 골고루 분산시키기 용이하도록 동전모양의 납작한 원형으로 설계한다. 이와 같은 볼트(2)의 하단부 구조는 압력분산 효과 이외에 고무(3)에 삽입된 볼트(2)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는 또 다른 이점을 갖는다.
보다 견고한 제품시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측면에 키홈을 가지는 볼트(2b)와 함께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키홈을 가지는 볼트(2b)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을 마무리하면, 접착제를 볼트(2b) 상부에 부을 때 접착제가 키홈을 타고 바닥까지 흘러내리기 용이해지고, 흘러내린 접착제에 의해 지지대와 바닥이 견고히 굳어져 장기간 사용시 들뜸 또는 볼트 풀림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흘러내리기 용이하도록 유동성이 좋아야 하고 경화속도는 1시간 내지 24시간 이내가 되어야 사용하기 적합하며, 예를 들어 에폭시, 비닐, 수용성 계통의 적절한 접착제를 선택 사용하거나 별도로 개발된 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볼트(2)는 높낮이 조절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나사선의 조밀도와 재질이 중요하다. 나사선의 조밀도는 조밀할수록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나 시공속도가 느리고 나사선의 불량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KS B 1002 규격의 볼트(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2)의 직경은 5 내지 20 ㎜, 길이는 20 내지 200 ㎜ 정도가 적합하며, 제품을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상황에 따라 적절한 굵기와 높이의 볼트를 선택 사용하면 된다.
상기 볼트(2)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키홈의 개수와 깊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감안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키홈 개수를 너무 많이 부여하거나 과다하게 깊이 부여하면 나사선이 쉽게 마모되어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해져 제품불량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지지대고무(3)의 두가지 유형, 즉 일반 타입의 고무(3a)와 접착제 타입의 고무(3b)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충격음은 고무(3)의 재질, 배합, 형상에 따라 결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지지대고무(3)의 구조는 상단부가 볼트(2)의 원판형 하단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볼트(2)의 원판형 하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볼트지지홈을 가지도록 설계하며, 고무(3)의 하단부는 충격음 전달의 최소화를 위해 바닥과 고무(3)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고무(3) 형상을 반원구로 설계하며, 충격흡수력을 부 여하기 위해 중공구조(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방진고무(3)의 하부형상은 구(球) 형상으로 바닥과의 충격음 전달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 제품과 같이 고무(3')의 밑면을 평탄(flat)하게 하면 지지대의 안정감은 얻을 수 있으나 충격음 저감성능 면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상기 고무(3)의 크기는 최대직경 5 내지 50 ㎜, 최대두께 5 내지 50 ㎜ 정도가 바람직하며, 고무(3)가 받는 하중무게와 의도하는 바닥충격음 흡수성능을 함께 고려하여 최적 설계하여야 한다. 고무(3)의 두께가 작을수록 바닥충격음 흡수에 불리하며, 크기가 커질수록 바닥충격음 흡수에는 유리하나 소요되는 재료가 많아지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한다.
상기 지지대방진고무(3)는 탄성(Elastic), 제진성(Non Elastic)의 성질을 가지는 고무를 주원료로 하고, 진동전달 억제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카본, 탄석, 산화철 등과 같은 첨가제를 배합하며, 롤(Roll)에 의한 혼합 및 배합공정을 거친 후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진동전달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진성 방진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고무(3)에 형성되는 중공(9)의 개수와 크기는 증가할수록 쿠션성이 뛰어나 충격음 저감성능에 유리하나, 지나치게 부여하면 작은 하중에도 고무(3)가 함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중공(9)의 개수와 크기의 정도는 적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최적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 고무(3)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지지홈은 그 하부에 볼트(2)의 원판형 하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그 입구는 볼트(2)의 직경에 맞도록 좁아진다. 따라서, 볼트(2)가 고무(3)의 탄성에 의해 일단 볼트지지홈에 삽입되면, 좁아진 입구에 걸려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을 마무리할 경우, 상기 볼트지지홈과 연통하고 하부로 경사지면서 관통된 통공을 갖는 지지대고무(3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와 같은 구조의 지지대를 제조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고무(3)의 재질은 진동전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제진성 고무를 적용하여 카본, 탄석, 산화철 등과 같은 첨가제를 배합하였다. 고무(3)의 형상은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원구 형상으로 설계하고 중공구(9) 3개를 삽입하였으며, 이때 중공구(9)의 위치, 크기, 개수는 고무(3)가 받는 하중무게를 감안하여 의도하는 충격흡수력을 얻고자 설계된 값이다.
볼트(2)는 KS B 1002 규격에 준하여 제작하였으며, 재질은 스틸을 이용하여 아연도금으로 마감처리하였다. 보다 견고한 시공을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고자, 키홈을 가지는 볼트(2b)를 사용하였다. 키홈의 개수는 2개, 깊이는 5 ㎜, 폭은 5 ㎜로 적용하였다.
헤드(1)는 강력한 접합력을 얻기 위해서 상단부에 점착테이프를 처리하였고, 최종 못박음을 실시하여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판상형 나무재질을 사용하였다. 헤드(1)는 하중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로 100 ㎜, 세로 100 ㎜, 두께 20 ㎜로 제작하였으며, 중심부에는 너트(8)를 삽입하여 볼트(2)와 체결가능하도록 설계하였 다.
도 7 및 표 1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지지대(실시예)와 도 1(비교예 1)과 도 2(비교예 2)에 도시된 종래의 지지대를 이중바닥재에 적용하였을 때의 충격음 저감성능을 비교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충격음 저감성능이 종래의 지지대 성능보다 6 내지 11 ㏈(A)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시험은 KS F 2810-2에 의하여 실시하였고, 평가는 KS F 2863-2에 의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음원실에서 제품을 시공한 후 중량충격원을 가하여 바닥충격음을 발생시키고, 수음실에서 바닥충격음을 마이크로폰으로 수신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도 7에서 No.1은 비교예 1, No.2는 비교예 2, No.3은 실시예에 해당한다.
구분 구조 Hz ㏈(A)
63 125 250 500
비교예1 사무용 지지대 + 이중바닥 상부판넬 71.5 73.1 65.8 43.9 56
비교예2 종래의 지지대 + 이중바닥 상부판넬 79.6 63.1 58.0 44.9 51
실시예 본발명 지지대 + 이중바닥 상부판넬 72.5 60.1 49.4 39.2 4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라운드 구조와 중공구조를 갖는 지지대고무(3)의 저면에 볼록엠보(3e)가 형성된 지지대의 구조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고무(3) 저면의 상하좌우 4곳에 볼록엠보(3e)를 형성시키면, 지지대고무(3)에 안정감을 부여하여 지지대 전체의 안정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엠보(3e)를 갖는 지지대고무(3)에도 일반 타입(3c)과 접착제 타입(3d)의 두가지 유형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공구조없이 라운드구조와 볼록엠보만 구비한 지지대도 가능하며, 그외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조합이나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를 이중바닥재의 하부부품으로 사용함으로써, 중량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고 또한 충격흡수력을 가지도록 설계한 고무의 쿠션성에 의해 보행감 개선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지지대방진고무와 높낮이 조절가능한 볼트, 상부판넬을 지지하면서 볼트를 수용하는 헤드로 구성되어진 지지대를 이중바닥 상부판넬 밑에 부착하면, 지지대방진고무의 반원구 형상에 의해 바닥과의 접착면적이 최소화되어 충격전달음을 감소시키며, 충격흡수력을 위해 설계된 중공구조에 의해서도 충격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무의 제진성(Non-Elastic)은 진동전달을 억제하고 고무 자체의 탄성에 의한 쿠션성으로 인해 보다 개선된 보행감을 제공한다. 또한 볼트와 너트에 형성된 키홈과 고무의 통공에 의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을 마무리하는 경우 편리하고 용이한 접착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중심부에 삽입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이중바닥의 상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헤드;
    상단에 일자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트; 및
    상부에 상기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반원구 형상의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대고무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의 상부에 점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점착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무는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무의 저면에 볼록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무의 저면에 볼록엠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볼트의 외주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무에는 상기 볼트 지지홈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의 폭과 깊이는 각각 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무는 제진성 방진고무(Non-Elastic Rubber) 또는 탄성고무(Elastic Rubber)로 이루어지며, 최대직경 5 내지 50 ㎜, 최대두께 5 내지 50 ㎜의 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목질계,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강판계, 알루미늄계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가로 50 내지 150 ㎜, 세로 50 내지 150 ㎜, 두께 2 내지 30 ㎜의 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스틸(Steel) 재질이며, 직경 5 내지 20 ㎜, 길이 20 내지 200 ㎜, KS B 1002 M10의 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하단부는 반경방향으로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연장되어 직경 5 내지 50 ㎜의 원판형을 이루며, 상기 지지대고무의 볼트지지홈은 상기 볼트의 원판형 하단부를 수용하는 공간과 볼트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좁아진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11. 삭제
KR1020040102201A 2004-12-07 2004-12-07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KR10072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01A KR100722746B1 (ko) 2004-12-07 2004-12-07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01A KR100722746B1 (ko) 2004-12-07 2004-12-07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68U Division KR200354375Y1 (ko) 2004-04-02 2004-04-02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50A KR20050097450A (ko) 2005-10-07
KR100722746B1 true KR100722746B1 (ko) 2007-05-31

Family

ID=3727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01A KR100722746B1 (ko) 2004-12-07 2004-12-07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7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59B1 (ko) 2007-06-29 2007-11-23 (주)유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101088861B1 (ko) 2009-07-15 2011-12-06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자와 세이사쿠쇼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101390735B1 (ko) * 2011-10-26 2014-05-07 유판열 공압분무 방식의 미용기
KR101805802B1 (ko) * 2016-07-07 2017-12-07 지희선 마루틀 지지대
KR20200121429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82B1 (ko) * 2006-04-25 2007-07-11 김재열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644884A (zh) * 2018-05-15 2018-10-12 湖北沁科住宅科技有限公司 调节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004A (ja) * 1997-05-28 1998-12-15 Shizuyo Nogi 使い捨て靴下
JP2000202592A (ja) * 1999-01-18 2000-07-25 Hitachi Zosen Corp ダミ―ヘッドおよび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004A (ja) * 1997-05-28 1998-12-15 Shizuyo Nogi 使い捨て靴下
JP2000202592A (ja) * 1999-01-18 2000-07-25 Hitachi Zosen Corp ダミ―ヘッドおよび鋳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59B1 (ko) 2007-06-29 2007-11-23 (주)유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101088861B1 (ko) 2009-07-15 2011-12-06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자와 세이사쿠쇼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101390735B1 (ko) * 2011-10-26 2014-05-07 유판열 공압분무 방식의 미용기
KR101805802B1 (ko) * 2016-07-07 2017-12-07 지희선 마루틀 지지대
KR20200121429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KR102175189B1 (ko) * 2019-04-15 2020-11-05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50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742B1 (ko) 차음 바닥구조
JP3180065B2 (ja) 床材及びこの床材を用いた床張り施工方法
US20180073253A1 (en) Floor tile with vibration and shock control
US20180073254A1 (en) Floor tile with vibration and shock control
KR100722746B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KR200419673Y1 (ko) 층간소음 저감용 이중바닥 지지대
KR200354375Y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CN1185511A (zh) 组合式支承脚
KR102338176B1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JPH0449368A (ja) 二重床構造
JPH0333884Y2 (ko)
JP4271123B2 (ja) 防音床構造、防音床材と際根太の組合せ及び防音床構造の施工方法
KR200417291Y1 (ko) 마루 시공용 바닥 지지구
CN1820112A (zh) 用于高架地板系统的硬度增强地板镶板
CN212405900U (zh) 一种装配式地板的减震安装结构
CN210910436U (zh) 竹石塑复合地板
JP2007107209A (ja) 床受け部材および二重床
KR100654127B1 (ko) 고강성 샌드위치 상판을 적용한 주택용 이중바닥 시스템
KR100959183B1 (ko) 탄성마루바닥재
JPH0410655U (ko)
JP2575257Y2 (ja) 捨貼り施工用防音床板
KR100818582B1 (ko) 인체 무해, 무취의 공동주택 충격음 방지제 및 그를 이용한층간바닥구조
JPH0425481Y2 (ko)
JPH04120359A (ja) 据置用床材
JPH0644933U (ja) 木質系防音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