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13B1 -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213B1
KR100722213B1 KR1020050086869A KR20050086869A KR100722213B1 KR 100722213 B1 KR100722213 B1 KR 100722213B1 KR 1020050086869 A KR1020050086869 A KR 1020050086869A KR 20050086869 A KR20050086869 A KR 20050086869A KR 100722213 B1 KR100722213 B1 KR 10072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ing
area
data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389A (ko
Inventor
히데오 안도
히데키 다카하시
유타카 가시하라
아키히토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5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라이트에 대한 내구성이 비교적 낮은 매체라도, 신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가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221)를 제공한다. 이 정보 기억 매체는 교체 처리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DMA)과, 이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과, 이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DMA 관리자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및 장치{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145)를 포함하는 주변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이용한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슬라이서(310) 내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PRML 검출법을 이용한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 또는 도 5에 도시한 비터비 복호기(156) 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PR(1, 2, 2, 2, 1) 클래스에서의 상태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중복 기록 처리에 의한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의 작성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 기억 매체의 구조 및 치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또는 1층 구조를 갖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의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2층 구조를 갖는 재생 전용 정보 기억 매체의 물리 섹터 번호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일반 파라미터의 값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일반 파라미터의 값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재기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일반 파라미터의 값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비교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있는 RMD 복제 존(RDZ)과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영역(DTA)과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데이터 구조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 시험 기록을 행하는 기록 펄스의 파형(기록 전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기록 펄스 형상의 정의를 도시한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보더 영역의 구조에 관한 설명도.
도 22a 및 도 22b는 제어 데이터 존(CDZ)과 R 물리 정보 존(RIZ)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물리 포맷 정보(PFI)와 R 물리 포맷 정보(R-PFI) 내의 구체적인 정보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장소 정보 내에 기록되는 상세한 정보의 내용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물리 섹터 구조를 구성하기까지의 변환 순서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데이터 프레임 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을 작성할 때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부여하는 초기값과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ECC 블록 구조의 설명도.
도 35는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 배열의 설명도.
도 36은 PO의 인터리브 방법의 설명도.
도 37은 물리 섹터 내의 구조의 설명도.
도 38은 동기 코드 패턴 내용의 설명도.
도 39는 변조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코드 워드를 위한 연결 규칙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코드 워드와 동기 코드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코드 워드의 재생을 위한 분리 규칙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5는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변조 방식에서의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0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1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2는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3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4는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5는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6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7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8은 복조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9는 참조 코드 패턴의 설명도.
도 60은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1은 각종 정보 기억 매체마다의 데이터 기록 형식(포맷)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62은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구조의 종래예의 비교 설명도.
도 63은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구조의 종래예의 비교 설명도.
도 64는 워블 변조에서의 180도 위상 변조와 NRZ법의 설명도.
도 65는 어드레스 비트 영역 내에서의 워블 형상과 어드레스 비트의 관계 설명도.
도 66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배치와 기록 장소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67은 추기형과 재기록형에서의 워블 배치와 기록 장소의 비교 설명도.
도 68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어드레스 정의 방법의 설명도.
도 69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워블 변조를 이용한 어드레스 정보의 기록 형식에 관한 설명도.
도 70은 그레이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71은 그레이 코드 변환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72는 그루브 영역에 부정 비트 영역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3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도시한 도면.
도 74는 변조 영역의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에 관한 워블 데이터 유닛 내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75는 워블 동기 패턴과 워블 데이터 유닛의 위치 관계의 비교 설명도.
도 76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물리 세그멘트 내의 변조 영역 배치 장소를 도시한 도면.
도 77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 정보 내의 데이터 구조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78은 워블 동기 패턴과 물리 세그멘트의 타입 식별 정보의 조합 방법과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9는 레코딩 클러스터 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80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재기록 가능 데이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1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재기록 가능 데이터의 데이터 랜덤 시프트 설명도.
도 82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추기형 데이터의 추기 방법의 설명도.
도 83은 "H→L" 기록막과 "L→H" 기록막의 광반사율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84는 도 36에 도시한 PO 인터리브 후의 ECC 블록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5a 및 도 85b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6a 및 도 86b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보더 영역의 구조에 관한 도 21a 및 도 21b와는 상이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7은 본 실시예와 현행의 DVD-R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88은 물리 포맷 정보의 설명도.
도 89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본 개념의 설명도.
도 90은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정보 기억 매체 장착 직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1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정보의 추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2는 확장 가능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설정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93은 도 92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
도 94는 보더 존에 관한 설명도.
도 95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2번째 이후의 보더 내 영역의 클로즈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96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보더 내 영역을 일단 클로즈한 후에 종료 처리(파이널라이즈)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7은 보더인 내에 기록하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98은 R 존에 관한 설명도.
도 99는 R 존을 이용한 복수 개소 동시 추기 가능 방식에 관한 개념 설명도.
도 100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R 존의 설정 방법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1은 최초의 보더 내 영역을 클로즈했을 때의 R 존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련을 도시한 도면.
도 102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종료 처리 순서의 설명도.
도 103은 R 존을 이용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설정에 관한 원리 설명도.
도 104는 R 존을 이용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신규 설정과 기 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5는 동일 보더 내 영역에서 기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모두 채워졌을 때의 처리 방법의 개념 설명도.
도 106은 테스트 존의 확장에 관한 개념 설명도.
도 107은 테스트 존의 확장에 관한 개념 설명도.
도 108은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RMD 복제 존(RDZ)을 이용한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위치 검색 방법의 설명도.
도 109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0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111은 위상 고정 루프 회로(356)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112은 위상 검출기(358)에 포함되는 비트 제거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13은 마크 길이/선행 스페이스 길이의 함수로서 표시되는 기록 조건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
도 114는 각종 기록막에서의 비기록 위치와 기존 기록 위치에서의 반사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5는 각종 기록막에서의 영역마다의 반사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6은 보더 존(BRDZ)의 사이즈를 도시한 도면.
도 117은 터미네이터의 사이즈를 도시한 도면.
도 118은 데이터 ID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9는 종료 처리 처리 후의 각종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0은 종료 처리 처리 후의 각종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1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2a 및 도 122b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3a 및 도 123b는 RMD 필드 1 내의 다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4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 정보 내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26a 및 도 126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2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28a 및 도 128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29a 및 도 129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0a 및 도 130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1a 및 도 131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2a 및 도 132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3a 및 도 133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요점과 효과의 일람을 도시한 도면.
도 1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영역 내의 그룹 구조 설명도.
도 137은 도 136의 계속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8은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의 변조 영역의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에 관한 변조 영역 배치로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39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추기형 데이터의 추기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40은 제어 데이터 존 내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41a 및 도 141b는 물리 포맷 정보와 R 물리 포맷 정보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억 매체(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
도 143은 교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4는 정보 기억 매체 중에 배치되는 DMA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
도 145는 DMA에 포함되는 DDS/PDL 블록의 선두 섹터 내에 기술되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6은 DMA에 포함되는 SDL 블록에 기술되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7은 SDLD에 포함되는 복수의 SDL 엔트리 중 하나의 SDL 엔트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8은 DMA 계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149는 DMA에 배치된 각 카운터의 상태와 DMA의 추이의 관계 그 1을 도시한 도면.
도 150은 DMA에 배치된 각 카운터의 상태와 DMA의 추이의 관계 그 2를 도시한 도면.
도 151은 현재 사용 중인 DMA를 검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2는 DMA의 등록 및 갱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3은 복수의 DMA 계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154는 복수의 DMA 계열이 배치되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5는 복수의 DMA 계열이 배치된 매체의 재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7은 DMA 관리자에 의한 DMA 관리의 이미지도.
도 158은 매체 상에서의 DMA 및 관리자 저장 영역의 배치 및 관리자 저장 영 역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9는 관리자 저장 영역 내의 하나의 관리자 예약 영역에 저장되는 DMA 관리자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0은 DMA1∼4에 포함되는 DMA 예약 영역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161은 DMA와 ECC 블록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62는 DMA 관리자와 DMA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63은 DMA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164는 DMA 관리자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165는 DMA의 조건을 도시한 도면.
도 166은 DMA 예약 영역의 조건을 도시한 도면.
도 167은 이상(異常) 상태의 DMA 예약 영역의 오판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8은 매체 상에서의 DMA 및 관리자 저장 영역의 배치 및 DMA에 포함되는 DMA 예약 영역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169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상의 관리자 저장 영역 및 DMA의 물리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0은 교체 처리에 수반하여 재기록할 필요가 있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71은 PDL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172는 SDL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173은 DMA의 갱신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4는 DMA 관리자의 갱신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5는 DMA에 기초하는 재생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6은 DDS에서의 바이트 할당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5 : 워블 신호 검출부
141 : 정보 기록 재생부
143 : 제어부
151 : 변조 회로
152 : 복조 회로
156 : 비터비 복호기
159 : 디스크램블 회로
161 : ECC 인코딩 회로
162 : ECC 디코딩 회로
171 : 데이터 ID부와 IED부 추출부
172 : 데이터 ID부의 에러 체크부
174 : PLL 회로
본 발명은 정보 기억 매체(또는 정보 기록 매체)와, 상기 매체를 이용한 정 보 기록 방법 및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는 DVD(digital versatile disk)로 불리는 광 디스크가 있다. 현행의 DVD의 규격으로는, 판독 전용의 DVD-ROM 규격, 추기형의 DVD-R 규격, 재기록(1000회 정도)형 DVD-RW, 재기록(10000회 이상)형 DVD-RAM 규격이 있다.
현행의 DVD의 ECC 블록은 1개의 적부호 구조로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최근, 이러한 광 디스크에 고밀도화의 여러 가지 제안이 있지만, 고밀도화에 수반하여 선밀도도 가득 차기 때문에, 현행의 DVD 규격의 ECC 블록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면, 허용되는 에러의 버스트 길이가 현행의 DVD보다도 줄어들어 먼지와 흠집에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기록 가능한 DVD 규격으로는, 리드인 영역의 내측에 기록 중단 시의 중간 정보(기록 위치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 중단이 발생할 때마다 대응하여 반드시 한 번씩 중간 정보를 추기해야 한다. 고밀도가 되어 기록하는 데이터가 대용량화함에 수반하여, 기록 중단의 횟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중간 정보의 데이터량도 증가한다. 기록 데이터의 편집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기록 데이터와 중간 정보는 각각 전용의 별도의 영역에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공간이 있어도, 기록 중단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 리드인 영역보다도 내측에 지정된 중간 정보의 기록 장소가 포화하고, 중간 정보의 기록 장소가 소멸하여 기록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현행의 규격으로는, 1장의 광 디스크(정보 기억 매체) 당 허용되는 기록 중단의 상한 횟수가 한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손상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광 디스크 등의 정보 기억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이 사용자 영역 중에 발생하는 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교체 처리라 부르고 있다. 이 교체 처리에 관한 정보, 즉 결함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영역은, DMA(Defect Management Area)라 부르고 있다. 정보 기록 매체 중 DVD-RAM은 10만회 이상의 오버라이트가 가능하다. 이러한 오버라이트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높은 매체가 갖는 DMA에 대하여 수만회 오버라이트가 실행되어도, DMA의 신뢰성은 흔들리지 않는다. 예컨대, 광 디스크 상에 DMA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DMA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광 디스크에 관한 참조 문헌은 일본 특허 번호 제3071828호, 일본 특허 번호 제2621459호,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9-213011호, 미국 특허 번호 제6,496,455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보 기억 매체의 ECC 블록은 1개의 적부호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밀도화하면 허용되는 에러의 버스트 길이가 줄어들어 먼지와 흠집에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록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는, 기록 중단 횟수의 상한이 한정되어 편리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보 기록 매체 중 오버라이트 허용 횟수가 비교적 적은(수십 내지 수 천) 매체의 경우, 이와 같은 매체가 갖는 DMA에 대한 오버라이트가 문제가 된다. 즉, 오버라이트에 수반하여 이러한 매체가 갖는 DMA는 손상을 받기 쉽다.
이 문제는 DMA가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각각의 DMA는 일괄해서 오버라이트를 받기 때문에, 하나의 DMA가 오버라이트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경우, 다른 DMA도 마찬가지로 손상을 받게 된다.
DM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함 관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DMA가 손상을 받으면 DMA로부터 결함 관리 정보가 판독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매체 자체를 못쓰게 된다. 이 때문에, DMA의 오버라이트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는 고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 먼지와 흠집에 강한 정보 기억 매체 및 이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b) 기록 중단 횟수가 실질적으로 무제한인 정보 기억 매체 및 이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c)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기술로는, 오버라이트에 대한 내구성이 비교적 낮은 매체라도, 신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가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 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d) 안정되고 확실하게 결함 관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장치 및 기억 매체의 양면에서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기억 매체 및 기록 방법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에 도시하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A)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대체 영역(1)과, 상기 대체 영역(1)을 이용한 교체 처리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DMA)과,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과,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DMA 관리자를 기록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B) 정보 기록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대체 영역(1)과, 상기 대체 영역(1)을 이용한 교체 처리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DMA)과,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과,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DMA 관리자를 기록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의 사용 횟수에 따라서 다음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을 이용한다.
(C) 정보 기억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대체 영역(1)과, 상기 대체 영역(1)을 이용한 교체 처리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DMA)과,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과,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DMA 관리자를 기록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억 매체의 기록 정보를 재생할 때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의 대체 영역(2)의 최신의 영역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결함에 대한 대체 영역(1)의 어드레스를 인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점을 갖는다.
(D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정보 기억 매체는, 데이터 ID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코딩 프레임으로 ECC 블록이 구성되고, 1개의 ECC 블록은 복수의 소 ECC 블록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레코딩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고, 짝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와 홀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는 각각 상이한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D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재생 장치는, 데이터 ID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코딩 프레임으로 ECC 블록이 구성되고, 1개의 ECC 블록은 복수의 소 ECC 블록로 구성되며, 동일한 레코딩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고, 짝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와 홀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는 각각 상이한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ECC 블록을 재생하고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 한다.
(D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기록 방법은 데이터 ID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코딩 프레임으로 ECC 블록이 구성되고, 1개의 ECC 블록은 복수의 소 ECC 블록으로 구성되는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동일한 레코딩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하고, 짝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와 홀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를 각각 다른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한다.
(D4)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재생 방법은 데이터 ID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코딩 프레임으로 ECC 블록이 구성되고, 1개의 ECC 블록은 복수의 소 ECC 블록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레코딩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고, 짝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와 홀수 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 ID는 각각 상이한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ECC 블록을 재생하고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기억 매체는, 데이터 영역과 리드인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 내에 확장 가능한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D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데이터 영역과 리드인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 내에 확장 가능한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이 설정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의 빈 용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데이터 영역 내에 신규의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7)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재생 장치는, 데이터 영역과 리드인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 내에 확장 가능한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이 설정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을 순서대로 검색하여 최신 기록 관리 정보를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8)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기록 방법은 데이터 영역과 리드인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 내에 확장 가능한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이 설정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의 빈 용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데이터 영역 내에 신규의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9)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정보 재생 방법은 데이터 영역과 리드인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 내에 확장 가능한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이 설정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록 관리 정보 영역을 순서대로 검색하여 최신 기록 관리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10) 재기록 가능 영역을 구비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와,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결함 관리 영역은 제1 및 제2 결함 관리 예약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함 관리 예약 영역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 이고, 상기 제2 결함 관리 예약 영역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천이되는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다.
재기록 가능 영역을 구비한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로서,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결함 관리 예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최신의 결함 관리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최신의 결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사용자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재기록 가능 영역을 구비한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결함 관리 예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최신의 결함 관리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최신의 결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사용자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한다.
(D13) 재기록 가능 영역을 구비한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은 상기 재기록 가능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결함 관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결함 관리 영역은 제1 및 제2 결함 관리 예약 영역을 구비하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함 관리 예약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제2 결함 관리 예약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천이한 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보 기억 매체,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구조 설명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제어부(143)보다 상측의 부분이 주로 정보 기억 매체로의 정보 기록 제어계를 나타낸다. 정보 재생 장치의 실시예는 도 1에서의 상기 정보 기록 제어계를 제외한 부분이 해당한다. 도 1에 있어서 굵은 실선 화살표가 재생 신호, 또는 기록 신호를 의미하는 메인 정보의 흐름을 도시하고, 가는 실선 화살표가 정보의 흐름, 일점 쇄선 화살표가 기준 클록 라인, 가는 파선 화살표가 커맨드 지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부(141) 중에 광학 헤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재생에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법을 이용하여,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를 꾀하고 있다(도 125의 요점 (A]). 여러 가지 실험의 결과, 사용하는 PR 클래스로서는 PR(1, 2, 2, 2, 1)을 채용하면 선밀도를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생 신호의 신뢰성(예컨대 초점 흐림이나 트랙 어긋남 등 서보 보정 오차가 발생했을 때의 복조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음을 알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PR(1, 2, 2, 2, 1)을 채용하고 있다[도 125의 요점 (A1)]. 본 실시예에서는(d, k ; m, n) 변조 규칙[전술한 기재 방법에서는 m/n 변조의 RLL(d, k)을 의미하고 있음]에 따라서 변조 후의 채널 비트열을 정 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방식으로서는, 8비트 데이터를 12 채널 비트로 변환(m=8, n=12)하는 ETM(Eight to Twelve Modulation)을 채용하고, 변조 후의 채널 비트열의 중에서 "0"이 계속되는 길이에 제한을 가하는 런랭스 리미티드(RLL) 제약으로서 "0"이 연속하는 최소값을 d=1로 하고, 최대값을 k=10으로 한 RLL(1, 10)의 조건을 과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를 목표로 하여 극한 가까이까지 채널 비트 간격을 짧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예컨대 d=1의 패턴의 반복인 "101010101010101010101010"의 패턴을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고, 그 데이터를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재생한 경우에는, 재생 광학계의 MTF 특성의 차단 주파수에 접근하여 있기 때문에, 재생 생신호의 신호 진폭은 거의 노이즈에 매립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와 같이 MTF 특성의 한계(차단 주파수) 가까이까지 밀도를 채운 기록 마크, 또는 피트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PRML법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재생된 신호는 PR 등화 회로(130)에 의해 재생 파형 보정을 받는다. AD 변환기(169)에서 기준 클록 발생 회로(160)로부터 보내져오는 기준 클록(198)의 타이밍에 맞추어 PR 등화 회로(130) 통과 후의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량으로 변환하고, 비터비 복호기(156) 내에서 비터비 복호 처리를 받는다. 비터비 복로 처리 후의 데이터는 종래의 슬라이스 레벨로 바이너리화된 데이터와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로서 처리된다. PRML법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AD 변환기(169)에서의 샘플링 타이밍이 어긋나면, 비터비 복호 후의 데이터의 에러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샘플링 타이밍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정보 재 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특히 샘플링 타이밍 추출용 회로[슈미트 트리거 바이너리 회로(155)와 PLL 회로(174)의 조합]을 별도로 가지고 있다.
슈미트 트리거 바이너리화 회로(155)는 바이너리화하기 위한 슬라이스 기준 레벨에 특정한 폭(실제로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값)을 갖게 하고, 그 특정 폭을 넘었을 때에만 바이너리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101010101010101010101010"의 패턴이 입력된 경우에는, 신호 진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바이너리화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고, 그보다도 성긴 패턴인, 예컨대 "1001001001001001001001" 등이 입력된 경우에, 재생 생신호의 진폭이 커지기 때문에, 슈미트 트리거 바이너리화 회로(155)에서 "1"의 타이밍에 맞추어 바이너리화 신호의 극성 전환이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법을 채용하고 있고, 상기 패턴의 "1"의 위치와 기록 마크 또는 피트의 에지부(경계부)가 일치하고 있다.
PLL 회로(174)에서는 슈미트 트리거 바이너리화 회로(155)의 출력인 바이너리화 신호와 기준 클록 발생 회로(160)에서 보내지는 기준 클록(198) 신호 사이의 주파수와 위상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PLL 회로(174)의 출력 클록의 주파수와 위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기준 클록 발생 회로(160)에서는 PLL 회로(174)의 출력 신호와 비터비 복호기(156)의 복호 특성 정보(구체적으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비터비 복호기(156) 내의 패스 매트릭 메모리 내의 수속 길이(수속까지의 거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비터비 복호 후의 에러 레이트가 낮아지도록 기준 클록(198)(의 주파수와 위상)에 피드백을 가한다. 기준 클록 발생 회로(160)에서 발생되는 기준 클 록(198)은 재생 신호 처리 시의 기준 타이밍으로서 이용된다.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145)는 비터비 복호기(156)의 출력 데이터열 중에 혼재하고 있는 동기 코드의 존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의 개시 위치의 추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170)에 일시 보존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 회로(152)에서 복조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 채널 비트마다 복조용 변환 테이블 기록부(154) 내에 기록된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원래의 비트열로 복귀한다. 그 후에는 ECC 디코딩 회로(162)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크램블 회로(159)에 의해 디스크램블된다. 본 실시예의 기록형(재기록형 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워블 변조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어 있다. 워블 신호 검출부(135)에서, 이 어드레스 정보를 재생하여(즉, 워블 신호의 내용을 판별하여), 원하는 장소로의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어부(143)에 대하여 공급한다.
제어부(143)보다 상측에 있는 정보 기록 제어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보 기억 매체 상의 기록 위치에 맞추어 데이터 ID 발생부(165)로부터 데이터 ID 정보가 생성되고, CPR_MAI 데이터 발생부(167)에서 복사 제어 정보가 발생되면 데이터 ID, IED, CPR_MAI, EDC 부가부(168)에 의해 기록해야 할 정보에 데이터 ID, IED, CPR_MAI, EDC의 각종 정보가 부가된다. 그 후, 디스크램블 회로(157)에서 디스크램블된 후, ECC 인코딩 회로(161)에서 ECC 블록이 구성되고, 변조 회로(151)에서 채널 비트열로 변환된 후, 동기 코드 생성·부가부(146)에서 동기 코드를 부가하여,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정보 기억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변조 시에 는 DSV(Digital Sum Value)값 계산부(148)에서 변조 후의 DSV값이 차례로 계산되고, 변조시의 코드 변환에 피드백된다.
도 109 및 도 110은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도 1) 내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워블 신호가 밴드 패스 필터(352)에 입력되고, 밴드 패스 필터(352)의 출력이 A/D 변환기(354)에 입력되며, A/D 변환기(354)로부터 디지털 워블 신호[도 110의 (a)]가 위상 고정 루프 회로(356), 위상 검출기(358)에 입력된다. 위상 고정 루프 회로(356)는 입력 신호를 위상 고정하고, 재생 반송파 신호[도 110의 (b)]를 추출하여 위상 검출기(358)에 공급한다. 위상 검출기(358)는 재생 반송파 신호에 기초하여 워블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고, 위상 검파 신호[도 110의 (c)]를 로우 패스 필터(362)에 공급한다. 위상 고정 루프 회로(356)는 입력 신호를 위상 고정하고, 워블 신호[도 110의 (e)]를 추출하여 심볼 클록 발생기(360)에 공급한다. 심볼 클록 발생기(360)에는 로우 패스 필터(362)로부터의 변조 극성 신호[도 110의 (d)]도 공급되고, 심볼 클록[도 110의 (f)]을 발생하여 어드레스 검출기(364)로 공급한다. 어드레스 검출기(364)는 로우 패스 필터(362)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극성 신호[도 110의 (d)]와 심볼 클록 발생기(360)에서 발생된 심볼 클록[도 110의 (f)]에 기초하여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도 111은 도 109에 도시한 위상 고정 루프 회로(356)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워블 신호(NPW)의 위상 동기 처리를 실시하는 워블 PLL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다만, 입력 워블 신호는 도 1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위상 워블(NPW)과 반전 위상 워블(IPW)을 포함하여 위상 변조되어 있기 때문에, 변조 성분의 제거가 필요하다. 변조 성분의 제거는 다음 3가지가 있다.
1) 워블 2체배 방식: 도 1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을 제곱함으로써 변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2체배 워블에 PLL은 동기한다.
2) 재변조 방식: 도 1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의 변조 영역을 역위상으로 재변조함으로써 변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3) 마스킹 방식: 도 1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의 변조 영역에서는 위상 제어를 정지(위상 오차를 영에 고정)함으로써 변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2는 도 109에 도시한 위상 검출기(358)에 포함되는 비트 제거기(도시하지 않음)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상 검출기(358)에서 검출된 위상 검파 신호가 정상 위상 워블(NPW) 검출기(370)와 반전 위상 워블(IPW) 검출기(372)에 공급되고, 정상 위상 워블(NPW), 반전 위상 워블(IPW)의 검파 진폭을 검출한다. 정상 위상 워블(NPW) 검출기(370), 반전 위상 워블(IPW) 검출기(372)의 출력이 로우 패스 필터(374, 376)를 통해 가산기(378)에 공급되고 오프셋 성분이 검출된다. 위상 검파 신호와, 가산기(378)의 출력이 감산기(380)에 공급되고, 위상 검파 신호로부터 워블 비트 성분이 제거되며, 감산기(380)의 출력이 위상 검파 신호로서 도 109의 로우 패스 필터(362)에 공급된다.
도 1에 도시한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145)를 포함하는 주변부의 상세 구조를 도 2에 도시한다. 동기 코드는 고정 패턴을 갖는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와 가변 코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비터비 복호기(156)로부터 출력된 채널 비트열 중에서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 검출부(182)에 의해 상기 고정 패턴을 갖는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전후로 존재하는 가변 코드의 데이터를 가변 코드 전송부(183, 184)가 추출하여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 내용의 식별부(185)에 의해 검출된 동기 코드가 후술하는 섹터 내의 어느 동기 프레임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된 사용자 정보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170), 복조 회로(152) 내의 복조 처리부(188), ECC 디코딩 회로(162)의 순서로 순서대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5의 요점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데이터 리드인 영역,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서는 재생에 PRML법을 사용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특히 선밀도가 향상됨)를 달성하는 동시에, 도 125의 요점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리드인 영역,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에서는 재생에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현행 DVD와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재생의 안정화를 확보하고 있다.
도 3에 시스템 리드인 영역,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에서의 재생 시에 사용되는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이용한 신호 처리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의 4분할 광검출기(302)는 도 1에서의 정보 기록 재생부(141) 내에 존재하는 광학 헤드 내에 고정되어 있다. 4분할 광검출기(302)의 각 광검출 셀에서 얻어지는 검출 신호의 총합을 취한 신호를 여기에서는 리드 채널(1) 신호라고 한다. 도 3의 전치 증폭기(304)로부터 슬라이서(310)까지가 도 1의 슬라이스 레벨 검출 회로(132) 내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고,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얻어진 재생 신호는 재생 신호 주파수대보다도 낮은 주파수 성분을 차단하는 하이 패스 필터(306)를 통과 후에 프리 이퀄라이저(308)에 의해 파형 등화 처리가 행해진다. 실험에 의하면 프리 이퀄라이저(308)는 7탭의 이퀄라이저를 이용하면 가장 회로 규모가 적고, 또한 정밀도 좋게 재생 신호의 검출을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7탭의 이퀄라이저를 사용하고 있다. 도 3의 VFO 회로 PLL 부분(312)이 도 1의 PLL 회로(174)에 대응하고, 도 3의 복조 회로 ECC 디코딩 회로(314)가 도 1의 복조 회로(152)와 ECC 디코딩 회로(162)에 대응한다.
도 3의 슬라이서(310) 내의 상세 구조를 도 4에 도시한다. 슬라이서(310)는 비교기(316)를 이용하여 리드 채널 1 신호를 슬라이스하여 바이너리화 신호(바이너리 데이터)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듀티 피드백법을 이용하여, 바이너리화 후의 바이너리 데이터의 반전 신호에 대하여 로우 패스 필터(318, 320)의 출력 신호를 바이너리화 시의 슬라이스 레벨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 패스 필터(318, 320)의 차단 주파수를 5kHz로 설정하고 있다. 이 차단 주파수가 높으면 슬라이스 레벨 변동이 빠르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고, 반대로 차단 주파수가 낮으면 슬라이스 레벨의 응답이 느리기 때문에 정보 기억 매체 상의 먼지나 흠집의 영향을 받기 쉽다. 전술한 RLL(1, 10)과 채널 비트의 기준 주파수의 관계도 고려하여 5kHz로 설정하고 있다.
데이터 영역, 데이터 리드인 영역,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서 신호 재생에 PRML 검출법을 이용한 신호 처리 회로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서의 4분할 광검출기(302)는 도 1에서의 정보 기록 재생부(141) 내에 존재하는 광학 헤드 내에 고 정되어 있다. 4분할 광검출기(302)의 각 광검출 셀에서 얻어지는 검출 신호의 총합을 취한 신호를 여기에서는 리드 채널 1 신호라고 부른다. 도 1에서의 PR 등화 회로(130) 내의 상세한 구조가 도 5의 전치 증폭기 회로(304)로부터 탭 제어기(332), 이퀄라이저(330), 오프셋 제거기(336)까지의 각 회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내의 PLL 회로(334)는 도 1의 PR 등화 회로(130) 내의 일부이며, 도 1의 슈미트 트리거 바이너리화 회로(155)와는 별도인 물건을 의미한다. 도 5에서의 하이 패스 필터 회로(306)의 1차 차단 주파수는 1kHz로 설정고 있다. 프리 이퀄라이저 회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7탭의 이퀄라이저를 이용하고 있다(7탭을 사용하면 가장 회로 규모가 적고, 또한 정밀도 좋게 재생 신호의 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임). A/D 컨버터 회로(324)의 샘플 클록 주파수는 72MHz, 디지털은 8비트 출력으로 되어 있다. PRML 검출법으로는 재생 신호 전체의 레벨 변동(DC 오프셋)의 영향을 받으면 비터비 복조 시에 오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퀄라이저(330)의 출력으로부터 얻은 신호를 이용하여 오프셋 제거기(336)에 의해 오프셋을 보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1의 PR 등화 회로(130) 내에서 적응 등화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비터비 복호기(156)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이퀄라이저 내의 각 탭 계수를 자동 수정하기 위한 탭 제어기(332)가 이용되고 있다.
도 1 또는 도 5에 도시한 비터비 복호기(156) 내의 구조를 도 6에 도시한다. 입력 신호에 대하여 예상할 수 있는 모든 브랜치에 브랜치 매트릭을 브랜치 매트릭 계산부(340)로 계산하고, 그 값을 ACS(342)로 보낸다. ACS(342)는 Add Compare Select의 약칭으로, ACS(342) 중에서 예상할 수 있는 각 패스에 대응하여 브랜치 매트릭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패스 매트릭을 계산하는 동시에 그 계산 결과를 패스 매트릭 메모리(350)로 전송한다. 이때, ACS(342) 내에서는 패스 매트릭 메모리(350) 내의 정보도 참조하여 계산 처리를 행한다. 패스 메모리(346) 내에서는 예상할 수 있는 각 패스(천이) 상황과 그 각 패스에 대응하여 ACS(342)로 계산한 패스 매트릭의 값을 일시 보존한다. 출력 전환부(348)에서 각 패스에 대응한 패스 매트릭을 비교하여, 패스 매트릭값이 최소가 되는 패스를 선택한다.
도 7에 본 실시예에서의 PR(1, 2, 2, 2, 1) 클래스에서의 상태 천이를 나타낸다. PR(1, 2, 2, 2, 1) 클래스에서의 취할 수 있는 상태(상태)의 천이는 도 7에 나타내는 천이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7의 천이도를 바탕으로 비터비 복호기(156) 내에서는 복호 시의 존재할 수 있는(예상할 수 있는) 패스를 산출하고 있다.
도 9에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 기억 매체의 구조 및 치수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는
·재생 전용으로 기록이 불가능한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
·1회만의 추기 기록이 가능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수회라도 재기록이 가능한 "재기록형 정보 기록 매체"의 3종류의 정보 기억 매체의 실시예를 명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3종류의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대부분의 구조와 치수가 공통화되어 있다. 3종류의 정보 기억 매체 모두 내주측에서 버스트 컷팅 영역(BCA),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커넥션 영역(CNA),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데이터 영역(DTA)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OPT형 재생 전용 매체 이외에는 모두 외주부에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이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OPT형 재생 전용 매체에서는 외주부에 중간 영역(MDA)이 배치된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에서는 엠보스(프리피트)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추기형 및 재기록형 모두 이 영역 내에서는 재생 전용(추기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도 엠보스(프리피트)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에 대하여, 추기형 및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는 기록 마크 형성에 의한 신규정보의 추기(재기록형에서는 재기록)가 가능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기형 및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는 신규 정보의 추기(재기록형에서는 재기록)가 가능한 영역과 엠보스(프리피트)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 영역의 혼재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하는 데이터 영역(DTA),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중간 영역(MDA)에서는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재생에 PRML법을 사용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특히 선밀도가 향상됨)를 달성함(도 125의 요점 [A])과 함께,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SYLDO)에서는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재생에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현행 DVD와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재생의 안정화를 확보하고 있다(도 125의 요점 [B]).
현행 DVD 규격과는 달리, 도 9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버스트 컷팅 영역 (BCA)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이 중복되지 않고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도 125의 요점 (B2)]. 양자를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정보 재생 시의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에 기록된 정보와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기록된 정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정밀도가 높은 정보 재생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5의 요점 (B2)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5의 요점 (B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H"형의 기록막을 사용한 경우에 버스트 컷팅 영역(BCA)의 배치 장소에 미리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후에 도 23a 및 도 23b에서의 192 바이트째에 존재하는 기록 마크의 극성("H→L" 또는 "L→H"의 식별) 정보에 관한 설명을 하는 부분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H→L" 형만이 아니라 "L→H"형의 기록막도 규격 내에 장착하여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히고, 고속 기록 가능이나 저가격 매체를 공급 가능하게 한다[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G2)]는 설명을 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L→H"형의 기록막을 사용하는 경우도 고려한다.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기록하는 데이터(바코드 데이터)는 기록막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레이저 노광함으로써 형성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은 엠보스 피트 영역(211)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경면(210)으로부터의 광반사 레벨과 비교하여 광반사량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만약에 버스트 컷팅 영역(BCA)을 경면(210) 상태로 하여, "L→H"형 기록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미기록 상태인) 거울면(210)으로부터의 광반사 레벨보다도 광반사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위치(진폭 레벨)와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으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의 위치(진폭 레벨)의 사이에 크게 단차가 생긴다. 도 16의 [및 도 125의 요점 (B4)]의 설명의 부분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1)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의 정보의 재생
→ (2)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제어 데이터 존(CDZ) 내의 정보의 재생
→ (3)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정보의 재생(추기형 또는 재기록형 의 경우)
→ (4) 참조 코드 기록 존(RCZ) 내에서의 재생 회로 정수의 재조정(최적화)
→ (5) 데이터 영역(DTA) 내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 또는 새로운 정보의 기록의 순서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 진폭 레벨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으로부터의 재생 신호 진폭 레벨에 큰 단차가 있으면 정보 재생의 신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막에 "L→H"형의 기록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스트 컷팅 영역(BCA)에 미리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해 두는 것에 특징이 있다[도 125의 요점 (B3)]. 미리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해 두면 국소적인 레이저 노광에 의해 데이터(바코드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의 단계에서, 광의 간섭 효과에 의해 광반사 레벨이 경면(210)으로부터의 광반사 레벨보다도 낮아지고, 버 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 진폭 레벨(검출 레벨)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으로부터의 재생 신호 진폭 레벨(검출 레벨)의 단차가 크게 감소하고, 정보 재생의 신뢰성이 향상하며, 상기한 (1)에서 (2)로 이행할 때의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생긴다.
"L→H"형의 기록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스트 컷팅 영역(BCA)에 미리 형성하는 미세한 요철 형상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와 마찬가지로 엠보스 피트 영역(211)으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이나 데이터 영역(DTA)과 같이 그루브 영역(214) 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버스트 컷팅 영역(BCA)을 분리 배치시키는 실시예[도 125의 요점 (B2)]의 설명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와 엠보스 피트 영역(211)이 중복되면, 불필요한 간섭에 의한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로의 노이즈 성분이 증가되는 것을 이미 설명했다.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가 미세한 요철 형상의 실시예로서 엠보스 피트 영역(211)으로 하지 않고서 그루브 영역(214) 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으로 하면, 불필요한 간섭에 의한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재생 신호로의 노이즈 성분이 감소하여 재생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하는 그루브 영역(214) 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의 트랙 피치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트랙 피치에 맞추면,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정보 기억 매체의 원반 제조 시에 원반 기록 장치의 노광부의 이송 모터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시스템 리드인 영역 내의 엠보스 피트를 작성하고 있다. 이때,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에 형성하는 그루브 영역(214) 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의 트랙 피치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엠보스 피트의 트랙 피치에 맞춤으로써, 버스트 컷팅 영역(BCA)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에서 계속해서 이송 모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중에서 이송 모터의 속도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피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성이 향상된다.
상기 3종류의 정보 기억 매체는 모두 정보 기억 매체로 기록하는 정보의 최소 관리 단위를 2048 바이트의 섹터 단위로 하고 있다. 상기 2048 바이트의 섹터 단위가 물리적인 어드레스를 물리 섹터 번호로 정의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1층 구조를 갖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의 설정 방법을 도 10에 도시한다. 버스트 컷팅 영역(BCA)과 커넥션 영역(CNA) 내에는 물리 섹터 번호는 부여하지 않고,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데이터 영역(DTA),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내주로부터 오름 차순으로 물리 섹터 번호를 설정하고 있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최후의 물리 섹터 번호는 "026AFFh"가 되도록, 데이터 영역(DTA)의 개시 위치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가 "030000h"가 되도록 설정된다.
2층 구조를 갖는 재생 전용 정보 기억 매체의 물리 섹터 번호 설정 방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존재한다. 하나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병렬 배치(PTP)로서, 도 10에 도시한 물리 번호 설정 방법을 2층 모두 적응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방식은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반대 배치(OPT)로, 바로 앞의 층(레 이어 0)에서는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오름 차순으로 물리 섹터 번호가 설정되고, 안쪽 측의 층(레이어 1)에서는 반대로 외주에서 내주를 향해서 오름 차순으로 물리 섹터 번호가 설정된다. OPT의 배치의 경우에는 중간 영역(MDA),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SYLDO)이 배치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 설정 방법을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 각각에 물리 섹터 번호가 설정되고 데이터 영역(DTA)이 19존으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에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본 실시예의 각 파라미터 값을, 도 14에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본 실시예의 각 파라미터 값, 도 15에 재기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본 실시예의 각 파라미터 값을 도시한다. 도 13, 또는 도 14와 도 15를 비교[특히 (B)의 부분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재생 전용형 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하여 재기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쪽이 트랙 피치 및 선밀도(데이터 비트 길이)를 채움으로써 기록 용량을 높게 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기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랜드/그루브 기록을 채용함으로써, 인접 트랙의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저감시켜 트랙 피치를 채우고 있다.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의 데이터 비트 길이와 트랙 피치(기록 밀도에 대응)를 데이터 리드 인/아웃 영역(DTLDI/DTLDO)보다도 크게(기록 밀도를 낮게) 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도 125의 요점 (B1)].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의 데이터 비트 길이와 트랙 피치를 현행 DVD의 리드인 영역의 값에 가까이 함으로써 현행 DVD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현행 DVD-R과 마찬가지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에서의 엠보스의 단차를 얕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프리 그루브의 깊이를 얕게 하여, 프리 그루브 상에 추기에 의해 형성하는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변조도를 높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그 반작용으로서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으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변조도가 작아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의 데이터 비트 길이(및 트랙 피치)를 성글게 함으로써, 가장 가득찬 위치에서의 피트와 스페이스의 반복 주파수를 재생용 대물 렌즈의 MTF(변조 전달 함수)의 광학적 차단 주파수로부터 분리(대폭 작게 함)함으로써,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SYLDI/SYLDO)으로부터의 재생 신호 진폭을 끌어올려 재생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 비교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의 (a)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 도 16의 (b)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도 16의 (c)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내측에는 버스트 컷팅 영역(BCA) 영역이 있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은 엠보스로 기록되어 있다. 커넥션 영역은 미러부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션 존(CNZ)만 경면(210)으로 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데이터 영역(DTA) 내는 모두 엠보스 피트가 형성된 엠보스 피트 영역(211)으로 되어 있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에는 엠보스 피트 영역(211)이 되어 있고, 커넥션 존(CNZ)이 경면(210)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공통하고 있지만,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과 데이터 영역(DTA) 내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이 형성되어 있고,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과 데이터 영역(DTA) 내에는 그루브 영역(214)이 형성되어 있다.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역(213) 또는 그루브 영역(214) 내에 기록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한다.
개시 존(INZ)은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개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개시 존(INZ) 내에 기록되어 있는 의미를 갖는 정보로서는 전술한 물리 섹터 번호 또는 논리 섹터 번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ID(식별 데이터) 정보가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개의 물리 섹터 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ID, IED(ID Error Detection code),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메인 데이터, EDC(에러 검출 코드)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정보가 기록되지만, 개시 존(INZ) 내에도 상기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정보가 기록된다. 그러나, 개시 존(INZ) 내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메인 데이터의 정보를 모두 "00h"로 설정하기 때문에, 개시 존(INZ) 내에서의 의미가 있는 정보는 전술한 데이터 ID 정보만이 된다. 이 중에 기록되어 있는 물리 섹터 번호, 또는 논리 섹터 번호의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즉, 도 1의 정보 기록 재생부(141)와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을 시작할 때에 개시 존(INZ) 내의 정보로부터 재생 시작한 경우에는, 우선 데이터 ID 정보 중에 기록되어 있는 물리 섹터 번호 또는 논리 섹터 번호의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기억 매체 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면서 제어 데이터 존(CDZ)으로 이동한다.
제1, 제2 버퍼 존(BFZ1, BFZ2)은 각각 32 ECC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ECC 블록은 각각 32 물리 섹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2 ECC 블록은 1024 물리 섹터분에 해당한다. 제1, 제2 버퍼 존(BFZ1, BFZ2) 내에도 개시 존(INZ)과 마찬가지로 메인 데이터의 정보를 모두 "00h"로 설정하고 있다.
커넥션 영역(CNA) 내에 존재하는 커넥션 존(CNZ)은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 영역은 어떠한 엠보스 피트 또는 프리 그루브도 존재하지 않는 미러면으로 되어 있다.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참조 코드 기록 존(RCZ)은 재생 장치의 재생 회로 조정용[예컨대 도 5의 탭 제어기(332) 내에서 행해지는 적응 등화 시의 각 탭 계수값의 자동 조정용]으로 이용되는 영역에서, 전술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참조 코드의 길이는 1 ECC 블록(=32 섹터)으로 되어 있다.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참 조 코드 기록 존(RCZ)을 데이터 영역(DTA)의 옆에 배치하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25의 요점 (A2)]. 현행 DVD-ROM 디스크 및 현행 DVD-R 디스크 중 모든 구조에서, 참조 코드 기록 존과 데이터 영역 사이에 제어 데이터 존이 배치되어 있고, 참조 코드 기록 존과 데이터 영역의 사이가 떨어져 있다. 참조 코드 기록 존과 데이터 영역의 사이가 떨어져 있으면, 정보 기억 매체의 기울기량이나 광반사율 또는(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기록막의 기록 감도가 약간 변화되고, 참조 코드 기록 존의 부분에서 재생 장치의 회로 정수를 조정해도 데이터 영역에서의 최적의 회로 정수가 어긋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참조 코드 기록 존(RCZ)을 데이터 영역(DTA)에 인접 배치하면, 참조 코드 기록 존(RCZ) 내에서 정보 재생 장치의 회로 정수를 최적화한 경우에, 인접하는 데이터 영역(DTA) 내에서도 동일한 회로 정수로 최적화 상태가 유지된다. 데이터 영역(DTA) 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정밀도 좋게 신호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 참조 코드 기록 존(RCZ) 내에서 정보 재생 장치의 회로 정수를 최적화한다
→ (2) 데이터 영역(DTA) 내의 참조 코드 기록 존(RCZ)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재생하면서 정보 재생 장치의 회로 정수를 다시 최적화한다
→ (3) 데이터 영역(DTA) 내의 목적 위치와, (2)에서 최적화한 위치의 중간 위치에서 정보 재생하면서 회로 정수를 다시 최적화한다
→ (4) 목적 위치에 이동하여 신호 재생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매우 정밀하게 목적 위치에서의 신호 재생이 가능해진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존재하는 제1, 제2 가드 트랙 존(GTZ1, GTZ2)은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의 개시 경계 위치와 디스크 테스트 존(DKTZ),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의 경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 영역에는 기록 마크 형성에 의한 기록을 하면 안되는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제1, 제2 가드 트랙 존(GTZ1, GTZ2)은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영역 내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프리 그루브 영역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그루브 영역과 랜드 영역은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프리 그루브 영역, 또는 그루브 영역, 랜드 영역 내에는 도 13∼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워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정보 기억 매체 내의 현재 위치를 판정한다.
디스크 테스트 존(DKTZ)은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업체가 품질 테스트(평가)를 행하기 위해서 설치된 영역이다.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정보 기억 매체로의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시험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확보되고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미리 이 영역 내에서 시험 기록을 행하고, 최적의 기록 조건(기록 전략)을 산출한 후, 그 최적 기록 조건으로 데이터 영역(DTA) 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있는 디스크 식별 존(DIZ) 내의 정보는 옵셔널 정보 기록 영역으로, 기록 재생 장치의 제조업체명 정보와 그것에 관한 부가 정보, 및 그 제조업체가 독자적으로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 구성되는 드라이브 기술자를 1쌍으로 하여 1쌍 마다 추기 가능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있는 제1, 제2 결함 관리 영역(DMA1, DMA2)은 데이터 영역(DTA) 내의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장소에서, 예컨대 결함 개소가 발생했을 때의 대체 개소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RMD 복제 존(RDZ)과 기록 위치 관리 존(RMZ), R 물리 정보 존(R-PFIZ)이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는 데이터의 추기 처리에 의해 갱신되는 데이터의 기록 위치에 관한 관리 정보인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후에 도 85의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보더 내 영역(BRDA) 마다 각각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설정하고,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영역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추기 빈도가 증가하여 필요로 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영역이 증가해도, 점차로,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확장함으로써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추기 횟수를 대폭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각 보더 내 영역(BRDA)에 대응한[각 보더 내 영역(BRDA)의 직전에 배치됨] 보더인(BRDI) 내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에 대응한 보더인(BRDI)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을 겸용화하여, 데이터 영역(DTA) 내에서의 최초의 보더인(BRDI)의 형성을 생략하고, 데이터 영역(DTA)의 유효 활용을 행하고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2)]. 즉, 도 16의 (c)에 도시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은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에 대응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장소로서 이용되고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2)].
RMD 복제 존(RDZ)은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정보를 기록하는 장소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중복하여 가짐으로써,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3)]. 즉,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표면에 붙은 먼지나 흠집의 영향으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판독 불가능하게 된 경우, RMD 복제 존(RDZ) 내에 기록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재생하고, 또한 나머지의 필요한 정보를 트레이싱에 의해 수집함으로써,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3β)].
RMD 복제 존(RDZ) 내에는 보더(복수의 보더도 포함함)를 클로즈하는 시점에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된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3α)].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의 경계를 클로즈하고, 다음 새로운 보더 내 영역을 설정할 때마다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정의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작성할 때마다, 그 전의 보더 내 영역에 관계한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RMD 복제 존(RDZ) 내에 기록한다고 해도 좋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추기할 때마다 동일한 정보를 RMD 복제 존 (RDZ)에 기록하면, 비교적 적은 추기 횟수로 RMD 복제 존(RDZ)이 모두 채워지기 때문에 추기 횟수의 상한값이 작아진다. 그것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보더를 클로즈했을 때나 보더인(BR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가 모두 채워져 R 존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형성할 때 등의 새롭게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만드는 경우에, 지금까지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만을 RMD 복제 존(RDZ) 내에 기록함으로써, RMD 복제 존(RDZ) 내를 유효 활용하여 추기가능 횟수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3), (C3β)].
예컨대, 추기 도중의(보더 클로즈하기 전의) 보더 내 영역(BRDA)에 대응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표면에 붙은 먼지나 흠집의 영향으로 재생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RMD 복제 존(RDZ) 내의 마지막에 기록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판독함으로써, 이미 클로즈된 보더 내 영역(BRDA)의 장소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DTA) 내의 그 이외의 장소를 트레이스함으로써, 추기 도중의(보더 클로즈하기 전의) 보더 내 영역(BRDA)의 장소와 거기에 기록된 정보 내용을 수집할 수 있고,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6의 (a)∼(c)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 존(CDZ) 내의 물리 포맷 정보(PFI)(도 22a 및 도 22b를 이용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함)에 유사한 정보가 R 물리 정보 존(R-PFIZ) 내에 기록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도 16의 (c)] 내에 있는 RMD 복제 존(RDZ)과 기록 위 치 관리 존(RMZ)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a의 (a)는 도 16의 (c)와 동일한 것을 도시하고, 도 16의 (c) 내의 RMD 복제 존(RDZ)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확대도가 도 17a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는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내에 대응한 기록 위치 관리에 관한 데이터가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중에 각각 통합하여 기록되고,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추기 처리가 행해졌을 때에 발생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로서 순서대로 뒤측에 추기된다. 즉,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는 1 물리 세그먼트 블록(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관해서는 후술함)의 사이즈 단위로 기록되고, 데이터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로서 순서대로 뒤에 추기되어 간다. 도 17a의 (b)의 예에서는 사전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1, RMD #2)가 기록되어 있던 바, 관리 데이터에 변경이 생겼기 때문에 변경 후(갱신 후)의 데이터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3)로 하여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2)의 직후에 기록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는 더욱 추기 가능하도록 예약 영역(273)이 존재하고 있다.
도 17a의 (b)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중에 존재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보더인(BRDI) 내 또는 보더 내 영역(BRDA) 내에 있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또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 확장 RMZ라고 함) 내의 구조도 도 17a의 (b)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을 클로즈하거나, 데이터 영역(DTA)의 종료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서 도 17a의 (b)에 도시한 예약 영역(273)을 모두 매립하는 처리를 행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2)]. 이에 따라
(1) "미기록 상태"의 예약 영역(273)이 없어지고, DPD(Differencial Phase Detection) 검출법에 의한 트랙킹 보정의 안정화를 보증한다,
(2) 그전의 예약 영역(273)에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다중 기록하게 되고,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 관한 재생시의 신뢰성이 대폭 향상된다,
(3) 잘못하여 미기록 상태의 예약 영역(273)에 상이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하는 사건을 방지할 수 있다,
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처리 방법은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한정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보더인(BRDI) 내 또는 보더 내 영역(BRDA) 내에 있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또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 확장 RMZ라고 부함)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보더 내 영역(BRDA)을 클로즈하거나 데이터 영역(DTA)의 종료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서 예약 영역(273)을 모두 매립하는 처리를 행한다.
RMD 복제 존(RDZ) 내에는 RDZ 리드인(RDZLI)과 대응 RMZ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영역(271)으로 나뉘어져 있다. RDZ 리드인(RDZLI) 중은 도 17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사이즈가 48KB인 시스템 예약 영역(SRSF)과 데이터 사이즈가 16KB인 고유 ID 영역(UIDF)으로 구성된다. 시스템 예약 영역(SRSF) 내에는 모두 "00h"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기 가능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 RDZ 리드인(RDZLI)을 기록하는[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4)] 부분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제조 직후는 RDZ 리드인(RDZLI)은 미기록의 상태로 출하된다. 사용자 사이드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내에서 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처음으로 RDZ 리드인(RDZLI)의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 직후에 RDZ 리드인(RDZLI)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대상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가 제조·출하 직후의 상태인지, 적어도 1회라도 사용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도 17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MD 복제 존(RDZ)이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에 대응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보다 내주측에 배치되고, RMD 복제 존(RDZ) 내에 RDZ 리드인(RDZLI)이 배치되는[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4α)] 부분에 본 실시예의 다음 특징이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가 제조·출하 직후의 상태인지, 적어도 1회라도 사용했는지의 정보[RDZ 리드인(RDZLI)]를 공통의 이용 목적[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신뢰성 향상]에 사용되는 RMD 복제 존(RDZ) 내에 배치함으로써, 정보 수집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RDZ 리드인(RDZLI)을 기록 위치 관리 존(RMZ)보다 내주 측에 배치함으로써, 필요 정보 수집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정보 기억 매체를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하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내주측에 배치된 버스트 컷팅 영역(BCA)에서 재생을 시작하고, 순서대로 외측에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SI),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으로 재생 장소를 바꾸어 간다. RMD 복제 존(RDZ) 내의 RDZ 리드인(RDZLI)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출하 직후에 한 번도 기록되지 않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는 일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DZ 리드인(RDZLI)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출하 직후에 미사용"이라고 판정하고,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재생을 생략할 수 있어 정보 수집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고유 ID 영역(UIDF) 내에는 도 17b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하 직후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처음으로 사용한(기록을 개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즉,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드라이브 제조업체 ID(281)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일련 번호(283), 모델 번호(284)가 기록된다. 고유 ID 영역(UIDF) 내에는 도 17b의 (c)에 도시한 2KB(엄밀하게는 2048 바이트)의 동일한 정보가 8회 반복 기록되어 있다. 고유 디스크 ID(287) 내에는 도 17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으로 사용(기록을 개시)했을 때의 연도 정보(293), 월 정보(294), 일 정보(295), 시간 정보(296), 분 정보(297), 초 정보(298)가 기록된다. 각각의 정보의 데이터 타입은 도 17b의 (d)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HEX, BIN, ASCII 로 기재되고, 사용 바이트 수도 2 바이트, 또는 4 바이트 사용된다.
RDZ 리드인(RDZLI)의 영역의 사이즈와 상기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사이즈가 64KB 즉, 1개의 ECC 블록 내의 사용자 데이터 사이즈의 정수 배로 되어 있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5)]이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 1개의 ECC 블록 내의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 후에 정보 기억 매체로 변경 후의 ECC 블록의 데이터를 재기록 한다는 처리를 할 수 없다. 따라서, 특히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ECC 블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정수배로 구성되는 레코딩 클러스터(b) 단위로 기록된다. 따라서, RDZ 리드인(RDZLI)의 영역의 사이즈와 상기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사이즈가 ECC 블록 내의 사용자 데이터 사이즈와 상이하면, 레코딩 클러스터 단위에 맞추기 위한 패딩 영역 또는 스터핑 영역이 필요해지고, 실질적인 기록 효율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RDZ 리드인(RDZLI)의 영역의 사이즈와 상기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사이즈가 64KB인 정수배로 설정함으로써 기록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a의 (b)에서의 대응 RMZ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기록 영역(271)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등록 제262145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의 내측에 기록 중단 시의 중간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을 중단할 때마다 또는 추기 처리를 행할 때마다, 이 영역에 중간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차례로 추기해야 한다. 그 때문에, 빈번히 기록 중단 또는 추기 처리가 반복되면, 이 영역이 즉시 모두 채워져 추가 처리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에만 갱신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RMD 복제 존(RDZ)을 설정하고, 특정 조건 하에서 추출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RMD 복제 존(RDZ) 내에 추기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빈도를 저하시킴으로써, RMD 복제 존(RDZ) 내가 모두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한 추기 가능한 횟수를 대폭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병행하여, 추기 처리마다 갱신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는 도 86에 도시하는 보더인(BRDI) 내[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에 관해서는 도 17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또는 도 99에 도시하는 R 존을 이용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차례로 추기된다. 그리고, 다음 보더 내 영역(BRDA)을 작성[새로운 보더인(BRDI)을 설정]하거나, R 존 내에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설정하는 등,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만들 때에, 최후의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만들기 직전의 상태에서의 최신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RMD 복제 존(RDZ)[의 중의 대응 RMZ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기록 영역(271)] 내에 기록한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4)]. 이에 따라,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추기 가능 횟수가 대폭 증대할 뿐만 아니라, 이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최신의 RMD 위치 검색이 용이한 효과가 생긴다. 이 영역을 이용하여 최신의 RMD 위치 검색을 행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 10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 85a 및 도 85b에 도시한다. 도 85a의 (a) 및 (b)는 도 17a의 (a) 및 (b)와 동일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에 대한 보더인(BRDI)을 데이터 리드인(DTLDI)과 일부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는 최초의 보더 내 영역에 대응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1∼RMD #3)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DTA) 내에 전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는 모두 데이터가 미기록 상태인 예약 영역(273)이 된다. 데이터 영역(DTA) 내에 데이터가 추기될 때마다, 갱신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예약 영역(273) 내의 최초의 장소에 기록되고,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최초의 보더 내 영역에 대응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순서대로 추기되어 간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1회마다 추기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사이즈는 64K 바이트로 하고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5)]. 도 36, 또는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64KB의 데이터로 1 ECC 블록을 구성하기 때문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데이터 사이즈를 1 ECC 블록 사이즈에 맞춤으로써 추기 처리의 간소화를 꾀하고 있다.
도 63이나 도 69,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 ECC 블록 데이터(412)의 전후로 가드 영역(442, 443)의 일부를 부가하여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490)를 구성하고, 1개 이상(n개)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확장 가드 필드(258, 259)를 부가하여 추기 또는 재기록 단위의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를 구성한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1개의 ECC 블록)만을 포함하는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로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순서대로 추기한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531)를 기록하는 장소의 길이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550∼556)으로 구성되는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길이에 일치하고 있다.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1)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 85b의 (c)에 도시한다. 도 85b의 (c)에서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1)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RMD 복제 존(RDZ) 내에 기록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A, RMD#B)[도 17a의 (b)]나 후술하는 보더인(BRDI) 내에 기록되는 (확장)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도 86b의 (d)]나 R 존 내에 기록되는 (확장)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도 103) 내의 데이터 구조 및 보더아웃(BRDO) 내에 기록하는 RMD의 복사(CRMD[도 86b의 (d)]도 동일한 구조를 취한다. 도 85b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는 예약 영역과 "0"부터 "21"까지의 RMD 필드로 구성되고 있다. 후에,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64KB의 사용자 데이터로 구성되는 1개의 ECC 블록 내에 32개의 물리 섹터가 포함되고 있고, 1개의 물리 섹터 내에는 2KB(엄밀하게는 2048 바이트)의 사용자 데이터가 각각 기록되고 있다. 1개의 물리 섹터 내에 기록되는 사용자 데이터 사이즈에 맞춰 각 RMD 필드는 각각 2048 바이트마다 할당되고,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이 상대적인 물 리 섹터 번호순으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RMD 필드가 기록된다. 각 RMD 필드 내에 기록되는 데이터 내용의 개요는
·RMD 필드 0 : 디스크 상태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 영역 할당(데이터 영역 내의 각종 데이터의 배치 장소에 관한 정보)
·RMD 필드 1 : 사용한 테스트 존에 관한 정보와 장려의 기록 파형에 관한 정보
·RMD 필드 2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
·RMD 필드 3 : 보더 영역의 개시 위치 정보와 확장 RMZ 위치에 관한 정보
·RMD 필드 4∼21 : R 존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 되어 있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구체적인 정보 내용에 관해서 도 25∼도 30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16의 (c)에 도시한 R 물리 정보 존(RIZ)의 정보 내용에 관해서도 도 22∼도 24의 설명의 부분에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전용형, 추기형, 재기록형 중 어느 하나의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을 사이에 두고 데이터 영역의 반대측에 배치되고[도 125의 요점 (B4)],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을 사이에 두고 버스트 컷팅 영역(BCA)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이 상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정보 기억 매체를 도 1에 도시한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삽입하면,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1) 버스트 컷팅 영역(BCA) 내의 정보의 재생
→ (2)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제어 데이터 존(CDZ) 내의 정보의 재생
→ (3)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정보의 재생(추기형 또는 재기록형 의 장소
→ (4) 참조 코드 기록 존(RCZ) 내에서의 재생 회로 정수의 재조정(최적화)
→ (5) 데이터 영역(DTA) 내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 또는 새로운 정보의 기록의 순으로 처리를 행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의 순서에 따라서 정보가 내주측에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내주로의 액세스 처리가 불필요해지고, 액세스 횟수를 적게 하여 데이터 영역(DTA)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영역(DTA) 내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 또는 새로운 정보의 기록의 개시 시간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에서의 신호 재생에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이용하고(도 125의 요점 [B]),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과 데이터 영역(DTA)에서는 신호 재생에 PRML법을 이용하기(도 125의 요점 (A]) 때문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과 데이터 영역(DTA)을 인접시키면, 내주측에서 순서대로 재생한 경우,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사이에서 1회만 슬라이스 레벨 검출 회로부터 PRML 검출 회로 전환할 뿐으로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신호 재생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재생 순서를 따른 재생 회로 전환 횟수가 적기 때문에, 처리 제어가 간단해져 데이터 영역 내 재생 개시 시간이 빨라진다.
각종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영역(DTA)과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 (DTLDO) 내의 데이터 구조의 비교를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다. 도 18a의 (a)가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도 18a의 (b)와 (c)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 도 18a 및 도 18b의 (d)∼(f)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8a 및 도 18b의 (b)와 (d)가 초기 시간(기록 전)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8a 및 도 18b의 (c), (e), (f)는 기록(추기 또는 재기록)이 어느 정도 진행한 상태에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전용형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과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SYLDO) 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도 16의 제1, 제2 버퍼 존(BFZ1, BFZ2)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프레임 구조(데이터 프레임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을 갖고, 그 중 메인 데이터의 값을 모두 "00h"로 설정해 놓는다.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영역(DTA) 내의 전체 영역에 걸쳐 사용자 데이터의 사전 기록 영역(201)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도 사용자 데이터의 재기록/추기 가능 범위(202∼205)가 데이터 영역(DTA)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또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영역(DTA)의 최내주부에 대체 영역(대체 영역 : SPA)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DTA) 내에 결함 장소가 발생한 경우에, 대체 영역(SPA)을 사용하여 대체 처리를 행하고,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그 대체 이력 정보(결함 관리 정보) 를 도 16의 (b)의 제1, 제2 결함 관리 영역(DMA1, DMA2) 및 도 18a 및 도 18b의 (b), (c)의 제3, 제4 결함 관리 영역(DMA3, DMA4)에 기록한다. 도 18a 및 도 18b의 (b), (c)의 제3, 제4 결함 관리 영역(DMA3, DMA4)에 기록되는 결함 관리 정보는 도 16의 (b)의 제1, 제2 결함 관리 영역(DMA1, DMA2)에 기록되는 정보와 동일한 내용이 기록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대체 처리를 행한 경우의 대체 이력 정보(결함 관리 정보)는 도 16의 (c)에 도시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 및 후술하는 보더 존 내에 존재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으로의 기록 내용의 복사 정보(C_RMZ) 내에 기록된다. 현행의 DVD-R 디스크에서는 결함 관리를 행하지 않았지만, DVD-R 디스크의 제조 매수의 증가에 따라서 일부에 결함 장소를 갖는 DVD-R 디스크가 나돌게 되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신뢰성 향상을 요구하는 소리가 커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a 및 도 18b의 (d)∼(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해서도 대체 영역(SPA)을 설정하고, 대체 처리에 의한 결함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에 결함 장소를 갖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해서도, 결함 관리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록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결함이 많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 사이드에서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판단하여 도 18a의 (b), (d)에 도시하는 사용자에 대한 판매 직후의 상태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의 (c), (e),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확장 대체 영역(ESPA, ESPA1, ESPA2)을 설정하고, 대체 장소를 넓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 대체 영역(ESPA, ESPA1, ESPA2)을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상의 형편에서 결함이 많은 매체도 판매 가능해지고, 그 결과, 매체의 제조 수율이 향상되어 매체의 저가격화가 가능해진다.
도 18a 및 도 18b의 (c), (e),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DTA) 내에 확장 대체 영역(ESPA, ESPA1, ESPA2)을 증설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재기록 또는 추기 가능 범위(203, 205)가 감소하기 때문에, 그 위치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그 정보는 제1∼제4 결함 관리 영역(DMA1∼DMA4)에 기록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데이터 존(CDZ) 내에도 기록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 및 보더아웃(BRDO) 내에 존재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기록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 기록된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는 관리 데이터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 갱신적으로 추기되기 때문에, 확장 대체 영역을 몇 번이나 설정하여 고쳐도[도 18b의 (e)의 실시예에서는 최초로 확장 대체 영역(1EAPA1)을 설정하고, 그 확장 대체 영역(1EAPA1)을 모두 써버린 후에도 결함이 많아 더욱 대체 영역 설정이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후일 다시 확장 대체 영역(2ESPA2)을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 적시에 갱신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8a의 (b), (c)에 도시하는 제3 가드 트랙 존(GTZ3)은 제4 결함 관리 영역(DMA4)과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사이의 분리를 위해 배치되고, 가드 트랙 존(GTZ4)은 디스크 테스트 존(DKTZ)과 서보 조정 영역(SCZ)의 사이의 분리를 위해 배 치되어 있다. 제3, 제4 가드 트랙 존(GTZ3, GTZ4)은 도 16에 도시한 제1, 제2 가드 트랙 존(GTZ1, GTZ2)과 마찬가지로 이 영역에는 기록 마크 형성에 의한 기록을 하면 안되는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제3, 제4 가드 트랙 존(GTZ3, GTZ4)은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영역 내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프리 그루브 영역, 또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그루브 영역과 랜드 영역은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프리 그루브 영역, 또는 그루브 영역과 랜드 영역 내에는 도 13∼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워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정보 기억 매체 내의 현재 위치를 판정한다.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은 도 16과 같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정보 기억 매체로의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시험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확보되어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미리 이 영역 내에서 시험 기록을 행하고, 최적의 기록 조건(기록 전략)을 산출한 후, 그 최적 기록 조건으로 데이터 영역(DTA) 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디스크 테스트 존(DKTZ)은 도 16과 마찬가지로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업체가 품질 테스트(평가)를 행하기 위해서 설치된 영역이다.
서보 조정 영역(SCZ) 이외의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전체 영역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프리 그루브 영역, 또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그루브 영역과 랜드 영역은 사전에 형성되고, 기록 마크의 기록(추기 또는 재기록)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도 18a의 (c)와 도 18b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보 조정 영역(SCZ) 내에는 프리 그루브 영역(214), 또는 랜드 영역 및 그루브 영 역(213)을 대신하여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과 동일하게 엠보스 비트 영역(211)으로 되어 있다. 이 영역은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다른 영역에 계속해서 엠보스 피트에 의한 연속한 트랙을 형성하고, 이 트랙은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연결되어 정보 기억 매체의 원주를 따라서 360도에 걸쳐 엠보스 피트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영역은 DPD법을 이용하여 정보 기억 매체의 기울기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하고 있다. 정보 기억 매체가 기울면 DPD법을 이용한 트랙 어긋남 검출 신호 진폭에 오프셋이 생기고, 오프셋량으로 기울기량을, 오프셋 방향으로 기울기 방향을 정밀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 기억 매체의 최외주부[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외주부]에 DPD 검출을 할 수 있는 엠보스 피트를 사전에 형성해 둠으로써, 도 1의 정보 기록 재생부(141) 내에 존재하는 광학 헤드에 (기울기 검출용의) 특별한 부품을 부가하는 일 없이 저렴하고 정밀도가 좋은 기울기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외주부의 기울기량을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영역(DTA) 내에서도 (기울기량 보정에 의한) 서보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트랙 피치를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다른 영역에 맞추어,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수율 향상에 의한 매체의 저가격화를 가능하게 한다. 즉,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다른 영역에는 프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지만,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원반 제조시에 원반 기록 장치의 노광부의 이송 모터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프리 그루브를 작성하고 있다. 이때,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트랙 피치를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의 다른 영역에 맞춤으로써, 서 보 조정 영역(SCZ) 내에도 계속해서 이송 모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트랙 피치 또는 데이터 비트 길이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트랙 피치 또는 데이터 비트 길이에 맞추는 방법도 있다. DPD법을 이용하여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기울기량과 그 기울기 방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영역(DTA) 내에서도 이용하여 데이터 영역(DTA) 내에서의 서보 안정화를 꾀하는 것을 전술했지만, 데이터 영역(DTA) 내의 기울기량을 예상하는 방법으로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기울기량과 그 방향을 동일하게 DPD법에 의해 미리 측정하고,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측정 결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DPD법을 이용한 경우, 정보 기억 매체의 기울기에 대한 검출 신호 진폭의 오프셋량과 오프셋이 나오는 방향이 엠보스 피트의 트랙 피치와 데이터 비트 길이에 의존하여 변화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서보 조정 영역(SCZ) 내의 트랙 피치 또는 데이터 비트 길이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의 트랙 피치 또는 데이터 비트 길이에 맞춤으로써, 검출 신호 진폭의 오프셋량과 오프셋이 나오는 방향에 관한 검출 특성을 서보 조정 영역(SCZ) 내와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에서 일치시켜, 양자의 상관을 취하기 쉽게 하여 데이터 영역(DTA) 내의 기울기량과 방향의 예측을 쉽게 한다는 효과가 생긴다.
도 16의 (c)와 도 18a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내주측과 외주측의 2개소에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을 설치하고 있다. 드라 이브 테스트 존(DRTZ)에 행하는 시험 기록의 횟수가 많을수록, 미세하게 파라미터를 흔들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상세하게 찾을 수 있고, 데이터 영역(DTA)으로의 기록 정밀도가 향상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중복 기록에 의한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의 재이용이 가능해지지만,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시험 기록의 횟수를 많이 하여 기록 정밀도를 상승하고자 하면,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를 곧 모두 사용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부에서 내주 방향을 따라서 차례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에 특징이 있다[도 127의 요점 (E2)].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설정 방법과 그 설정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내에서의 시험 기록법에 관한 특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1)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설정(프레임 취함)은 외주 방향[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통합하여 설정한다.
도 18b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내의 가장 외주에 가까운 장소[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가장 가까운 장소]로부터 통합된 영역으로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1EDRTZ1)을 설정하고, 그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1EDRTZ1)을 모두 기록한 후에, 그보다 내주측에 존재하는 하나로 통합된 영역에서의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2EDRTZ2)을 다음에 설정 가능하게 한다.
(2)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중에서는 내주측에서 순서대로 시험 기 록을 행한다[도 127의 요점 (E3)].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중에서 시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배치된 그루브 영역(214)을 따라서 행하고, 전회 시험 기록을 한(이미 기록된) 장소의 바로 뒤의 미기록 장소에 이번의 시험 기록을 행한다.
데이터 영역 내에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배치된 그루브 영역(214)을 따라서 추기되는 구조가 되고 있고,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내에서의 시험 기록이 직전에 행해진 시험 기록 장소의 뒤에 순서대로 추기하는 방법으로 행함으로써, "직전에 행해진 시험 기록 장소의 확인"→"이번의 시험 기록의 실시"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기록 처리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에서의 이미 시험 기록된 장소의 관리가 간단해진다.
(3)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도 포함시킨 형태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재설정 가능[도 127의 요점 (E4)].
도 18b의 (e)에 데이터 영역(DTA) 내에 2개소의 확장 대체 영역(ESPA1, ESPA2)을 설정하고, 2개소의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1, EDRTZ2)을 설정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b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2)까지를 포함시킨 영역에 대하여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O)으로서 재설정할 수 있는 부분에 특징이 있다[도 127의 요점 (E4)]. 이것에 연동하여, 범위를 좁힌 형태에서 데이터 영역(DTA)의 범위의 재설정을 행하는 것이 되고, 데이터 영역(DTA)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8b의 (f)와 같이 재설정한 경우에는 도 18b의 (e)에 도시한 확장 대체 영역(ESPA1)의 설정 장소를 "이미 모두 사용한 확장 대체 영역"으로 보고,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의 확장 대체 영역(ESPA2) 내에만 미기록 영역(추기의 시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이 존재한다고 관리한다. 이 경우, 확장 대체 영역(ESPA1) 내에 기록되고, 대체로 사용된 비결함의 정보는 모조리 그대로 확장 대체 영역(ESPA2) 내의 미대체 영역의 장소에 옮겨지고, 결함 관리 정보가 재기록된다. 이 때 재설정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개시 위치 정보는 도 25∼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RMD 필드 0의 최신의 (갱신된)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내에 기록된다.
도 106 및 도 107을 참조하여, 테스트 존의 확장에 관해서 설명한다.
테스트 존은 기록 파형을 최적화하기 위한 영역이다. 내주 테스트 존과 외주 테스트 존이 존재한다. 도 10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데이터 영역의 외측에 가드 트랙 존, 외주 테스트 존, 가드 트랙 존이 있다. 데이터 영역과 가드 트랙 존의 경계가 데이터 기록 영역의 외주측의 한계이다. 공백 검색은 내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행해지고, 테스트는 외주에서 내주측을 향하여 행해진다. 최적화를 위한 기록은 테스트 존의 외측에서 순서대로 사용하고, 사용한 최후의 어드레스를 RMD에 보존한다. 도 10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테스트 존은 1번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확장 테스트 존은 이전의 가드 트랙 존으로 설정되고, 그 분 만큼 가드 트랙 존이 내주측에 시프트하여 데이터 영역이 적어진다.
도 10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이 가득차게 되기 전에 테스트 존이 가득차게 되었다고 하면, 도 10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외주부에 가드 트랙을 신규로 설정하고, 이전의 가드 트랙을 확장 테스트 존으로 하는 동시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갱신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추기 기록한다.
상기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 시험 기록을 행하는 기록 펄스의 파형(기록 전략)을 도 19에 도시하고, 기록 펄스 형상의 정의를 도 20에 도시한다.
마크와 스페이스는 피크 파워, 제1 바이어스 파워, 제2 바이어스 파워, 제3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를 조사함으로써 디스크에 덮어쓰기된다. 마크는 피크 파워와 제3 바이어스 파워 사이에서 변조되는 펄스를 조사함으로써 디스크에 덮어쓰기된다. 스페이스는 제1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를 조사함으로써 디스크에 덮어쓰기된다.
SbER은 랜덤 에러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이며, 랜덤 에러에 의해 야기되는 비트 에러 레이트에 해당한다.
PRSNR과 SbER의 측정 전에 이퀄라이저의 계수는 최소 제곱 오차(MSE)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다.
기록 펄스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펄스의 열로 이루어진다.
2T 마크의 기록 펄스는 모노 펄스와, 후속하는 제2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로 이루어진다. 3T 마크의 기록 펄스는 최초 펄스와, 최후 펄스와, 후속하는 제2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로 이루어진다. 3T 마크 이상의 마크의 기록 펄스는 최초 펄스와, 멀티 펄스열과, 최후 펄스와, 후속하는 제2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로 이루어진다. T 는 채널 클록 기간이다.
2T 마크를 위한 기록 펄스 구조
NRZI 신호의 상승 에지로부터 TSFP 후에 모노 펄스의 발생이 개시하고, NRZI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1T-TELP 전에 발생이 종료한다. 모노 펄스의 기간은 1T-TELP+TSFP 이다. TELP, TSFP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모노 펄스에 후속하는 제2 바이어스 파워의 기간은 TLC이다. TLC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2T 마크 이상의 마크를 위한 기록 펄스 구조
NRZI 신호의 상승 에지로부터 TSFP 후에 최초 펄스의 발생이 개시하고, NRZI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TEFP 후에 발생이 종료한다. TEFP, TSFP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4T에서 13T에 해당하는 기록 펄스는 멀티 펄스열이다. 멀티 펄스열은 펄스폭(TMP)의 기간(T)의 펄스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NRZI 신호의 상승 에지로부터 2T 후에 멀티 펄스의 발생이 개시하고, NRZI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2T 전에 멀티 펄스열의 최후의 펄스의 발생이 종료한다. TMP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NRZI 신호의 상승 에지로부터 1T-TSLP 전에 최후 펄스의 발생이 개시하고, NRZI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1T-TELP 전에 최후 펄스의 발생이 종료한다.
TELP, TSLP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최후 펄스에 후속하는 제2 바이어스 파워의 펄스폭은 TLC이다. TLC는 제어 데 이터 존에 기록된다.
TEFP-TSFP, TMP, TELP-TSLP, TLC는 전체 폭, 절반의 최대 기간이다. 각 광펄스의 전체 폭, 절반의 최대 기간은 도 20에 정의된다. 상승 기간(Tr)과 하강 기간(Tf)은 1.5ns 이하이다. 상승 기간(Tr)와 하강 기간(Tf)의 차는 0.5ns 이하이다.
TSFP, TEFP, TSLP, TELP, TMP, TLC는 (1/32)T의 단위로 제어 데이터 존 내에 기록되고 다음 값을 취한다.
TSFP는 0.25T 이상, 1.50T 이하이다.
TELP는 0.00T이상, 1.00T 이하이다.
TEFP는 1.00T이상, 1.75T 이하이다.
TSLP는 -0.10T 이상, 1.00T 이하이다.
TLC는 0.00T 이상, 1.00T 이하이다.
TMP는 0.15T 이상, 0.75T 이하이다.
어뎁터 제어 파라미터 TSFP, TELP, TLC는 이하의 제약이 있다.
TSFP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는 0.50T 이하이다.
TELP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는 0.50T 이하이다.
TLC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는 1.00T 이하이다.
모노 펄스의 폭(1T-TSFP+TELP)은 0.25T이상, 1.50T 이하이다.
이들의 파라미터는 ±0.2ns의 정밀도로 제어된다.
만약에 최초 펄스와 멀티 펄스열의 피크 파워 기간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합 피크 파워 기간은 이들의 피크 파워 기간의 연속된 합계합이 된다. 만약에 최초 펄스와 최후 펄스의 피크 파워 기간이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피크 파워 기간은 이들의 피크 파워 기간의 연속된 합계합이 된다. 만약에 멀티 펄스열의 최후의 펄스와 최후 펄스의 피크 파워 기간이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 피크 파워 기간은 이들의 피크 파워 기간의 연속된 합계합이 된다.
기록 파워는 피크 파워, 제1 바이어스 파워, 제2 바이어스 파워, 제3 바이어스 파워의 4레벨을 갖는다. 이들은, 디스크의 판독면에 입사되어 마크, 스페이스를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광파워이다.
피크 파워, 제1 바이어스 파워, 제2 바이어스 파워, 제3 바이어스 파워는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피크 파워의 최대값은 예컨대 10.0mW를 넘지 않는다. 제1 바이어스 파워, 제2 바이어스 파워, 제3 바이어스 파워의 최대값은 예컨대 4.0mW를 넘지 않는다.
모노 펄스, 최초 펄스, 최후 펄스의 평균 피크 파워는 다음 요건을 만족한다.
|(평균 피크 파워)-(피크 파워)|≤피크 파워의 5%
평균 제1 바이어스 파워, 평균 제2 바이어스 파워는 다음 요건을 만족한다.
|(평균 제1 바이어스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의 5%
|(평균 제2 바이어스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의 5%
멀티 펄스열의 평균 파워는 측정 기간 내의 파워의 순간값의 평균 파워이다.
측정 기간은 멀티 펄스열의 모두를 포함하고, T의 배수이다. 멀티 펄스열의 평균 파워는 이하의 요건을 만족한다.
|(멀티 펄스열의 평균 파워)-(피크 파워+제3 바이어스 파워)/2|≤(피크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2의 5%
파워의 순간값은 실제의 파워의 순간값이다.
평균 파워는 소정의 파워 레인지 내의 파워의 순간값의 평균값이다.
파워의 평균값의 파워 범위는 이하의 요건을 만족한다.
피크 파워의 평균값 : |(실제의 파워)-(피크 파워)|≤피크 파워의 10%
제1 바이어스 파워의 평균값 : |(실제의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의 10%
제2 바이어스 파워의 평균값 : |(실제의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의 10%
제3 바이어스 파워의 평균값 : |(실제의 파워)-(제3 바이어스 파워)|≤제3 바이어스 파워의 10%
평균 파워를 측정하는 기간은 각 펄스의 펄스폭 기간을 넘지 않는다.
순간값 파워는 다음 요건을 만족한다.
|(순간값 피크 파워)-(피크 파워)|≤피크 파워의 10%
|(순간값 제1 바이어스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제1 바이어스 파워의 10%
|(순간값 제2 바이어스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제2 바이어스 파워의 10%
|(순간값 제3 바이어스 파워)-(제3 바이어스 파워)|≤제3 바이어스 파워의 10%
마크 에지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최초 펄스, 최후 펄스, 모노 펄스의 타이밍은 변조된다.
NRZI의 마크 길이는 M2, M3, M4로 분류된다. 마크 길이 M2, M3, M4는 2T, 3T, 3T 이상을 나타낸다.
마크 직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는 LS2, LS3, LS4로 분류된다. 스페이스 길이 LS2, LS3, LS4는 2T, 3T, 3T 이상을 나타낸다.
마크 직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는 TS2, TS3, TS4로 분류된다. 스페이스 길이 TS2, TS3, TS4는 2T, 3T, 3T 이상을 나타낸다.
TLC는 NRZI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의 함수로서 변조된다. 따라서, TLC는 다음 3가지의 값을 갖는다.
TLC(M2), TLC(M3), TLC(M4)
TLC(M)는 NRZI 신호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가 M일 때의 TLC의 값을 나타낸다.
이들의 3가지의 TLC의 값은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TSFP는 NRZI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와 마크 직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의 카테고리의 함수로서 변조된다. 따라서, TSFP는 다음 9개의 값을 갖는다.
TSFP(M2, LS2), TSFP(M3, LS2), TSFP(M4, LS2)
TSFP(M2, LS3), TSFP(M3, LS3), TSFP(M4, LS3)
TSFP(M2, LS4), TSFP(M3, LS4), TSFP(M4, LS4)
TSFP(M, LS)는 NRZI 신호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가 M이고, 마크 직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의 카테고리가 LS일 때의 값을 나타낸다. 이들 9개의 TSFP의값은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TELP는 NRZI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와 마크 직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의 카테고리의 함수로서 변조된다. 따라서, TELP는 다음 9개의 값을 갖는다.
TELP(M2, TS2), TELP(M3, TS2), TELP(M4, TS2)
TELP(M2, TS3), TELP(M3, TS3), TELP(M4, TS3)
TELP(M2, TS4), TELP(M3, TS4), TELP(M4, TS4)
TELP(M, TS)는 NRZI 신호의 마크 길이의 카테고리가 M이고, 마크 직전의 NRZI의 스페이스 길이의 카테고리가 TS일 때의 값을 나타낸다. 이들 9개의 TELP의 값은 제어 데이터 존에 기록된다.
TSFP의 값은 마크 길이와 선행 스페이스 길이의 함수로서 a 내지 i로 나타내고(도 113의 (a)], TELP의 값은 마크 길이와 후속 스페이스 길이의 함수로서 j 내지 r로 나타내며[도 113의 (b)], TLC의 값은 마크 길이의 함수로서 s 내지 u로 나타낸다[도 113의 (C)].
도 21a 및 도 21b에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보더 영역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처음으로 1개의 보더 영역을 설정했을 때에는, 도 21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측[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가장 가까운 측]에 보더 내 영역(Bordered Area : BRDA #1)을 설정 후, 그 후에 보더아웃(Border-out : BRDO)을 형성한다.
그 다음 보더 내 영역(BRDA #2)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1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의(#1의) 보더아웃(BRDO)의 뒤에 다음(#1의) 보더인(Border-in : BRDI)을 형성한 후에, 다음 보더 내 영역(BRDA #2)을 설정한다. 다음 보더 내 영역(BRDA #2)을 클로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직후에 (#2)의 보더아웃(BRDO)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의(#1의) 보더아웃(BRDO)의 뒤에 다음(#1의) 보더인(BRDI)을 형성하여 쌍으로 한 상태를 보더 존(BRDZ)이라고 하고 있다. 보더 존(BRDZ)은 정보 재생 장치(DPD 검출법을 전제)로 재생했을 때의 각 보더 내 영역(BRDA) 사이에서 광학 헤드가 오버 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가 기록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재생 전용 장치로 재생하는 경우에는 보더아웃(BRDO)과 보더인(BRDI)이 이미 기록되는 동시에 최후의 보더 내 영역(BRDA)의 후에 보더아웃(BRDO)이 기록되는 보더 클로즈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전제로 된다.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은 4080개 이상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 구성되고,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반경 방향으로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이 1.0㎜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도 21a의 (b)에서는 데이터 영역(DTA) 내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종료 처리한 후의 상태를 도 21a의 (c)에 도시한다. 도 21a의 (c)의 예에서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을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에 장착하고, 또한 확장 대체 영역(ESPA)도 설정 완료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가 가능 범위(205)를 잔류물 없이 최후의 보더아웃(BRDO)에서 매립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보더 존(BRDZ)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 21b의 (d)에 도시한다. 각 정보는 후술하는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사이즈 단위로 기록된다. 보더아웃(BRDO) 내의 최초에는 기록 위치 관리 존에 기록된 내용의 복사 정보(C_RMZ)가 기록되고, 보더아웃(BRDO) 인 것을 도시하는 보더 종료용 표식(Stop Block : STB)이 기록된다. 또한 다음 보더인(BRDI)이 있는 경우에는, 보더 종료용 표식(Stop Block : STB)이 기록된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부터 세어 "N1번째"의 물 리 세그먼트 블록에 계속해서 보더 영역이 있는 것을 도시하는 최초의 표식(Next Border Marker : NBM)이, 그리고 "N2번째"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계속해서 보더 영역이 오는 것을 도시하는 2번째의 표식(NBM), "N3번째"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계속해서 보더 영역이 오는 것을 도시하는 3번째의 표식(NBM)이, 각각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사이즈마다 이산적으로 합계 3개소에 기록된다. 다음 보더인(BRDI) 내에는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가 기록된다.
현행의 DVD-R 또는 DVD-RW 디스크에서는 다음 보더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최후의 보더아웃(BRDO) 내에서는], 도 21b의 (d)에 도시한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을 기록할 장소(1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의 장소)는 "전혀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은 장소"인 채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보더 클로즈되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현행의 DVD-R 또는 DVD-RW 디스크)는 종래의 DVD-ROM 드라이브 또는 종래의 DVD 플레이어에서의 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종래의 DVD-ROM 드라이브 또는 종래의 DVD 플레이어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현행의 DVD-R 또는 DVD-RW 디스크) 상에 기록된 기록 마크를 이용하여 DPD법을 이용한 트랙 어긋남 검출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전혀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에도 걸쳐 기록 마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DPD법을 이용한 트랙 어긋남 검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되게 트랙 서보가 걸리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현행의 DVD-R 또는 DVD-RW 디스크의 문제점의 대책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1) 다음 보더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을 기록할 장소"에는 미리 특정 패턴의 데이터를 기록해 둔다,
(2) 다음 보더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리 특정 패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의 장소에는 부분적이고 또한 이산적으로 특정한 기록 패턴으로『중복 기록 처리』를 행함으로써, "다음 보더 영역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이용한다,
라는 방법을 신규로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복 기록에 의하여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을 설정함으로써,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보더 영역이 오지 않는 경우에도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을 기록할 장소"에는 미리 특정 패턴의 기록 마크를 형성할 수 있고, 보더 클로즈 후에 재생 전용의 정보 재생 장치로 DPD법에 의해 트랙 어긋남 검출을 행해도 안정되게 트랙 서보가 걸린다는 효과가 생긴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이미 기록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도 그 위에 새로운 기록 마크를 중복 기록하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PLL 회로의 안정화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우려 대책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3)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의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의 위치에 중복 기록할 때와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장소에 의해 중복 기록 상황을 변화시키는 방법과,
(4) 동기 데이터(432) 내에 부분적으로 중복 기록을 행하고, 동기 코드(431) 상에서의 중복 기록을 금지한다,
(5) 데이터 ID와 IED를 제외한 장소에 중복 기록한다.
라는 방법을 더욱 신규로 채용하고 있다. 도 62, 도 63을 이용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필드(411∼418)와 가드 영역(441∼448)이 교대로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된다. 데이터 필드(411∼418)와 가드 영역(441∼448)을 조합시킨 쌍을 데이터 세그먼트(490)라고 부르고,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길이는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길이에 일치한다. 도 1에 도시한 PLL 회로는 도 63에 도시한 VFO 영역(471, 472) 내에서 특히 PLL의 인입을 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VFO 영역(471, 472)의 직전이면 PLL이 어긋나도 VFO 영역(471, 472)을 이용하여 PLL의 재인입이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 내에서의 시스템 전체로서의 영향은 경감된다. 이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장소에 의해 중복 기록 상황을 변화시키고,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VFO 영역(471, 472)에 가까운 뒤의 부분에서 특정 패턴의 중복 기록량을 늘림으로써,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재생시의 신호(PLL)의 정밀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3과 도 37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물리 섹터 내는 동기 코드(433)(SY0∼SY3)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와, 그 동기 코드(433)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데이터(434)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는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채널 비트열의 중에서 동기 코드(433)(SY0∼SY3)를 추출하고, 채널 비트열의 이음매를 검출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2 내의 데이터 ID의 정보로부터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위치 정보(물리 섹터 번호 또는 논리 섹터 번호)를 추출하고 있다. 데이터 ID의 직후에 배치된 IED를 이용하여 데이터 ID의 에러를 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5) 데이터 ID와 IED 상에서의 중복 기록을 금지하는 동시에, (4) 동기 코드(431)를 제외한 동기 데이터(432) 내에 부분적으로 중복 기록을 행함으로써,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 중에서도 동기 코드(431)를 이용한 데이터 ID 위치의 검출과 데이터 ID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내용 판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의 장소에 중복 기록을 행할 때의 흐름도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부(143)가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새로운 경계의 설정 지시를 받으면(ST1), 제어부(143)는 정보 기록 재생부(141)를 제어하여 기존의 마지막으로 배치된 보더 내 영역(BRDA) 내의 재생을 개시(ST2)한다. 정보 기록 재생부(141)는 보더아웃(BRDO) 내의 보더 종료용 표식(STB)을 검출할 때까지(ST3) 트랙킹하면서, 보더 내 영역(BRDA) 내를 프리 그루브에 따라서 트레이스를 계속한다. 도 21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 종료용 표식(STB)의 후, N1번째와 N2번째와 N3번째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이미 특정한 패턴으로 기록된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이 배치되어 있다. 정보 기록 재생부(141)는 보더아웃(BRDO) 내의 재생을 계속하면서(ST4)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수를 세면서,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의 위치를 찾는다(ST5). 전술한 바와 같이 "(3)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장소에 의해 중복 기록 상황을 변화시키는" 방법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적어도 최후의 물리 섹터 내에서는 중복 기록 영역을 널리 취한다.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최후의 물리 섹터를 검출(ST6)하면, 데이터 ID와 IED를 남겨(데이터 ID와 IED의 부분은 중복 기록하지 않고) 데이터 ID와 IED 직후에서 최후의 물리 섹터의 끝까지 중복 기록을 행한다(ST9).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적어도 최후의 물리 섹터 이외에서는, 후술하는 도 37 또는 도 60에 도시하는 동기 코드(431)(SY0∼SY3)의 영역은 피하여 동기 데이터(432) 내에 부분적으로 특정 패턴으로 중복 기록한다(ST7). 상기한 프로세스를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마다 행하고, 3번째의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으로의 중복 기록 처리가 끝나면(ST9), 새로운 보더인(BRDI)을 기록 후, 보더 내 영역(BRDA) 내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ST10).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보더 영역의 구조에 관한 도 21과는 상이한 다른 실시예를 도 86a 및 도 86b에 도시한다. 도 86a의 (a) 및 (b)는 도 21a의 (a) 및 (b)와 동일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86a 및 도 86b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종료 처리한 후의 상태가 도 21a의 (c)와는 상이하다. 예컨대 도 86a 및 도 86b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 내 영역(BRDA #3) 내의 정보 기록을 종료시킨 후에 종료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더 클로즈 처리로서 보더 내 영역(BRDA #3)의 직후에 보더아웃(BRDO)을 형성한다. 그 후, 보더 내 영역(BRDA #3) 직후의 보더아웃(BRDO)의 뒤에 터미네이터(Terminator) 영역(TRM)을 형성하고[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1)], 종료 처리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을 꾀하고 있다.
도 21a의 (c)의 실시예에서는, 최후의 보더 내 영역(BRDA #3)으로부터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직전까지 보더아웃(BRDO)에서 매립할 필요가 있고, 보더아웃(BRDO) 형성을 위해 장시간 필요하여 종료 처리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도 86a 및 도 86b의 (c)에서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터미네이터 영역(TRM)을 설정하고, 터미네이터(TRM)보다 외측 모두를 새로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으로 재정의하여, 터미네이터(TRM)보다 외측에 있는 미기록 부분을 사용 금지 영역(911)으로 설정한다. 사용 금지 영역(911)에는 데이터를 매립할 필요는 없고, 미기록인 채로도 좋기 때문에, 종료 처리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데이터 영역(DTA)이 종료 처리될 때에는 기록 데이터의 최후[보더아웃(BRDO)의 직후 : 도 21a의 (c)와는 상이하고, 데이터 영역의 최후까지 보더아웃(BRDO)을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비교적 짧은 폭으로 좋음]에 비교적 짧은 터미네이터 영역(TRM)을 형성한다.
이 영역내의 메인 데이터(도 32에서 후술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프레임 내의 메인 데이터)의 정보를 모두 "00h"로 설정한다. 이 영역의 속성(터미네이터 정보)을 데이터 리드 아웃(NDTLDO)의 타입 정보와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도 86a 및 도 86b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네이터 영역(TRM)을 새로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으로서 재정의된다. 이 영역의 타입 정보는 도 11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에 기록된다. 즉, 터미네이터 영역(TRM) 내에서의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를 도 11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로 설정함으로써, 터미네이터 영역(TRM)은 데이터 리드 아웃 (DTLDO) 내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에 의해 데이터 리드아웃 위치의 영역 타입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도 135의 요점 [N]) 부분에 특징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정보 기록 재생부(141)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특정 목표 위치에 대강 액세스한 경우를 생각한다. 대강 액세스 직후는 정보 기록 재생부(141)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어디에 도달했는지 알기 위해서 반드시 데이터 ID를 재생하고, 도 118의 (c)에 도시하는 데이터 프레임 번호(922)를 해독해야 한다. 데이터 ID 내에는 데이터 프레임 번호(922)의 근처에 영역 타입 정보(935)가 있기 때문에, 동시에 이 영역 타입 정보(935)를 해독하는 것 만으로 정보 기록 재생부(141)가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내에 있는지 여부를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액세스 제어의 간소화와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데이터 ID 내의 설정에 의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식별 정보를 갖게[도 135의 요점 (N1)] 함으로써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검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특례로서, 최후의 보더아웃(BRDO)이 데이터 리드 아웃(NDTLDO)의 속성으로서 설정된 경우[즉, 보더아웃(BRDO) 영역 내의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를 "10b" :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 설정한 경우]에는,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설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보더아웃(BRDO)보다 외측이 사용 금지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 리드 아웃(NDTLDO)의 속성을 갖는 터미네이터 영역(TRM)이 기록되면, 터미네이터 영역(TRM)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 의 일부로 보이기 때문에, 데이터 영역(DTA)으로의 기록이 불가능해지고, 도 86a 및 도 86b의 (c)와 같이 사용 금지 영역(911)으로서 남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사이즈를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위치에 의해 바꿈으로써, 종료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처리를 효율화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1α)]. 터미네이터 영역(TRM)은 기록 데이터의 최후 위치를 도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DPD 방식으로 트랙 어긋남 검출을 행하는 재생 전용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트랙 어긋남에 의한 오버런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반경방향의 폭[터미네이터 영역(TRM)에서 매립된 부분의 폭]으로서는, 재생 전용 장치의 검출 특성의 관계로부터 최저라도 0.05㎜ 이상의 길이가 필요해진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의 1 둘레의 길이는 반경 위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1 둘레 내에 포함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가 반경 위치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도 1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위치 즉, 터미네이터 영역(TRM) 내에서 최초에 위치하는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에 의해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사이즈가 상이하고, 외주측으로 감에 따라서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사이즈가 커지고 있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1β)]. 도 117의 값은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를 단위로서 표시하고 있다. 허용되는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물리 섹터 번호의 최소값은 "04FE00h"보다 클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는 4080개 이상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 구성되고,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반경 방향으로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이 1.0㎜ 이상의 폭을 가지 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인 제약 조건으로부터 온다. 터미네이터 영역(TRM)은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경계 위치로부터 개시해야 한다.
도 86b의 (d)에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부터 각 정보가 기록되는 장소가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마다 설정되고, 각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에 32개의 물리 섹터 내에 분산 기록된 합계 64KB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다. 각각의 정보에 대하여 도 86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인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가 설정되어 있고, 상대적인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가 작은 순서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각 정보가 순서대로 기록되고 있다. 도 86a 및 도 86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21b의 (d)의 기록 위치 관리 존으로의 기록 내용의 복사 정보 기록 영역(C_RMZ) 내에 동일 내용인 RMD의 복사 정보(CRMD#0∼CRMD #4)가 5회 다중 기록되어 있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6)]. 이와 같이 다중 기록함으로써, 재생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먼지나 흠집이 생겨도 안정되게 기록 위치 관리 존으로의 기록 내용의 복사 정보(CRMD)를 재생할 수 있다. 도 86b의 (d)에서의 보더 종료용 표식(STB)은, 도 21b의 (d)의 보더 종료용 표식(STB)과 대응하고 있지만, 도 86b의 (d)의 실시예에서는 도 21b의 (d)의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음 보더를 나타내는 표식"(NBM)을 갖지 않는다. 예약 영역(901, 902) 내에서의 메인 데이터(도 32 참조)의 정보는 모두 "00h"로 설정한다.
도 86b의 (d)에서는, 보더인(BRDI)의 최초에는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로서, 완전히 동일한 정보가 상대적인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로서 N+1부터 N+6까지 6회 다중 기록되고[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7)], 도 21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를 다중 기록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86b의 (d)에서는 보더 존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보더인(BRDI) 내에 갖게 한 것[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1)]에 특징이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고, 새로운 보더 내 영역(BRDA)의 설정을 빈번히 반복하면,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기록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포화하여, 도중에서 새로운 보더 내 영역(BRDA)의 설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86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인(BRDI) 내에 그 후에 계속되는 보더 내 영역(BRDA #3) 내에 관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보더 내 영역(BRDA)의 설정을 다수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보더 내 영역(BRDA) 내에서의 추기 횟수를 대폭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보더 존(BRD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포함되는 보더인(BRDI)에 계속되는 보더 내 영역(BRDA #3)이 클로즈되거나, 데이터 영역(DTA)이 종료 처리되는 경우에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미기록 상태에 있는 예약 영역(273)[도 85a의 (b)] 안전부에 대하여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반복 기록하고, 예약 영역을 모두 매립할[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2)]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미기록 상태의 예약 영역(273)을 없애고, 재생 전용 장치에서의 재생시의 (DPD 법에 의한) 트랙 어긋남을 방지하는 동시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다중 기록에 의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재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약 영역(903)의 모든 데이터(특히 도 32에 도시하는 메인 데이터의 값)를 "00h"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보더 존(BRDZ)의 사이즈를 도 116에 도시한다. 도 116의 값은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를 단위로서 표시하고 있다. 보더아웃(BRDO) 사이즈는 외주로 감에 따라서 커지고[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3)], 그 값은 도 1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사이즈에 일치하고 있다. 보더 존(BRDZ)의 사이즈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반경 방향에서의 위치에 의해 변화된다. 보더아웃(BRDO) 사이즈의 근거는 전술한 터미네이터 영역(TRM) 사이즈의 근거와 일치하고, 보더 존(BRDZ)의 반경 방향의 폭은 0.05㎜ 이상 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더아웃(BRDO)은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경계 위치로부터 개시해야 한다. 또한 보더아웃(BRDO)의 최소 물리 섹터 번호는 "04FE00h"를 넘을 필요가 있다.
보더아웃(BRDO)은 DPD를 전제로 한 재생 전용 장치에서의 트랙 어긋남에 의한 오버런 방지의 역할이 있지만, 보더인(BRDI) 내에는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와 보더 존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정보를 갖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큰 사이즈를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새로운 보더 내 영역(BRDA) 설정시의 [보더 존(BRDZ) 기록에 필요한] 시간 단축의 의미로 이루어지도록 사이즈를 작게 하고자 한다. 도 86a의 (a)에 대하여 보더 클로즈에 의한 보더아웃(BRDO) 형성 전일 때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는 충분히 넓고, 추기 횟수도 많이 행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더 존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는 다수회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도 86b의 (d)의 "M"의 값을 크게 간직해 둘 필요가 있다. 그것에 비교해서, 도 86b의 (b)에 대하여 보더 내 영역(BRDA #2)을 보더 클로즈하기 전에서 보더아웃(BRDO)을 기록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가 좁아지고 있기 때문에, 보더 존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 추기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의 추기 횟수도 그정도로 많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보더 내 영역(BRDA #2)의 직전에 있는 보더인(BRDI) 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설정 사이즈 "M"은 상대적으로 작게 취해진다. 즉, 보더인(BRDI)이 배치되는 장소가 내주측 쪽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의 추기 예상 횟수가 많고, 외주로 감에 따라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의 추기 예상 횟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보더인(BRDI) 사이즈가 외주측에서 작게 한다는[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4)] 특징을 갖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신 보더 내 영역(BRDA) 설정 시간의 단축화와 처리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종료 처리 처리 후의 각종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 설정 방법을 도 119 및 도 120에 도시한다. 이미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원래의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범위를 도 119의 (a)에 도시한다. 각 존 내에서의 선두 위치에서의 물리 섹터 번호와 물리 세그먼트 번호는 제3 가드 트랙 존(GTZ3)에서는 16진법 표시로 735440h, 39AA2h,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에서는 739040h, 39C82h, 디스크 테스트 존(DKTZ)에서는 73CA40h, 39E52h, 제4 가드 트랙(GTZ4)에서는 73CC40h, 39E62h에 미리 설정한다. 도 18b의 (f)의 설명 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은 종료 처리 처리 후에는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 (DTLDO)에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9의 (b)에 도시하는 방법으로는, 제3 가드 트랙 존의 사이즈 분만큼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설정을 하고[도 135의 요점 (N2)], 제3 가드 트랙 존(GTZ3)을 평행 이동시키고 있다. 즉, 원래의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제3 가드 트랙 존(GTZ3)의 개시 위치(물리 섹터 번호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와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개시 위치를 일치시킨다. 이에 따라,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설정 처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6a 및 도 86b의 (c)에 도시한 터미네이터 영역(TRM) 내에서의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도 118의 (d)]를 "10b"에 설정함으로써, 터미네이터 영역(TRM) 이후를 새로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에 설정하는 방법[도 135의 요점 (N1)]을 도 120의 (d)에 도시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한 구체적인 종료 처리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 9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터미네이터 영역(TRM) 직전에 있는 보더아웃(BRDO) 내에서의 영역 타입 정보(935)[도 118의 (d)]는 "00b"로 설정되고, 보더아웃(BRDO)은 데이터 영역(DTA)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방법으로서, 도 1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아웃(BRDO) 내에 있어서 데이터 ID 내의 영역 타입 정보(935)[도 118의 (d)]를 "10b"로 설정하여 새로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 내에 설정하는[도 135의 요점 (N3)] 것도 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의 검색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터미네이터 영역(TRM)의 설정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종료 처리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구체적인 종료 처리 처리법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 102를 이용하여 설 명한다.
도 21a의 (c)에 도시하는 보더 내 영역(BRDA) 내에 기록하는 정보의 논리적인 기록 단위를 R 존(R Zone)이라 한다. 따라서, 1개의 보더 내 영역(BRDA) 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R 존으로 구성되고 있다. 현행의 DVD-ROM에서는 파일 시스템에 UDF(Universal Disc Format)에 준거한 파일 관리 정보와, ISO9660에 준거한 파일 관리 정보의 양방이 동시에 1장의 정보 기억 매체 내에 기록되는 "UDF 브릿지"라는 파일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ISO9660에 준거한 파일 관리 방법에서는, 1개의 파일이 정보 기억 매체 내에 반드시 연속하여 기록되어야 한다는 법칙이 있다. 즉, 1개의 파일 내의 정보가 정보 기억 매체 상에 이산적인 위치에 분할 배치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UDF 브릿지에 준거하여 정보가 기록된 경우, 1개의 파일을 구성하는 전체 정보가 연속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1개의 파일이 연속하여 기록되는 영역이 1개의 R 존을 구성하도록 적응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해 왔지만, 이하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확장 가능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나 R 존, 보더 존, 각종 물리 포맷 정보 등에 관한 기본적 개념이나 기본적 사고 방식에 관한 설명과, 이들을 이용한 보더 클로즈, 종료 처리 등의 구체적인 각종 처리 방법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도 87에 본 실시예와 현상의 DVD-R의 비교를 도시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 본 실시예는 보더 클로즈의 시간을 짧게 하고자 하기 때문에, 최소 기록 용량(보더 클로즈 시간)의 기록 폭을 현상의 DVD-R에 비교해서 짧게(1.65㎜에서 1.0㎜)하고 있다. 이에 따라, 쓸데없는 기록 정보를 적게 하여, 종료 처리 시간을 단축하였다. 본 실시예는 기록 용량이 현상의 DVD-R에 비교해서 대폭 증가하고 있기(4.7GB에서 15GB) 때문에, R 존의 최대수를 거의 2배(2302 내지 4606)로 하고 있다. 기록 단위는 현상의 DVD-R에서는 1 ECC 블록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 물리 세그먼트(도 69 참조)이다. 도 69의 (b)는 디스크 상의 물리적인 길이이며, 동 도면의 (a)는 기록하는 데이터의 길이이다.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은 1 ECC 블록의 전후로 VFO 영역, 전(前) 동기 영역, 포스트앰블 영역, 엑스트라(여분) 영역, 버퍼 영역의 여분의 영역을 붙여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531)로 한다. 이 데이터 세그먼트의 장착이나 데이터 기록의 단위인 물리 세그먼트가 만들어진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ECC 블록의 전후로 여분의 영역(가드 영역)을 붙이고 있기 때문에, 추기 시에 ECC 블록의 최후에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없다. 이것은 ECC 블록의 최후에서 추기하고자 해도 디스크의 회전 불균일 등으로 기록 위치가 다소 어긋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기록 위치가 앞으로 어긋나는 만큼에는, 덮어쓰기에 의해 기존 기록 데이터의 최후 부분이 지워지지만, 지워진 데이터는 에러 정정에 의해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는 그다지 없지만, 후에 어긋나면 디스크 상에 미기록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플레이어로는 재생할 수 없게 되어, 큰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현상에서는 추기할 때에는 기록 위치를 다소 앞에서 어긋나 기존 기록 데이터의 최후 부분에 덮어쓰기하고, 최후의 데이터를 손상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ECC 블록의 전후로 가드 영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드 영역 내에서 중복 기록하여 사용자 데이터는 안정되고 손상하는 일없이 추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원의 데이터 구조는 기록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8은 본 실시예에서의 물리 포맷 정보의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다. 물리 포맷 정보에는 디스크의 관리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이 정보는 ROM 플레이어에서도 판독 가능하다. 기록 위치에 의해 3종류의 물리 포맷 정보가 존재한다.
(1) 물리 포맷 정보(PFI) (시스템 리드인 영역의 제어 데이터 존 내) : HD DVD 패밀리의 공통 정보/데이터 영역의 최종 어드레스/전략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2) R 물리 포맷 정보(R-PFI)(데이터 리드인 영역 내) : HD DVD 패밀리의 공통 정보의 복사/제1 보더의 최외주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최초의 보더 내 영역은 보더인을 데이터 리드인과 겸용(원래 보더인에 기록되어야 하는 정보가 데이터 리드인에 기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최초의 보터에 관한 보더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3) 갱신 물리 포맷 정보(U_PFI)(보더인 영역 내) : HD DVD 패밀리의 공통 정보의 복사/자기 보더의 최외주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도 89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는, 추기형 디스크의 기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다. 하나의 RMD는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22개의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필드 0은 디스크의 상태, 갱신된 데이터 영역 할당을, 필드 1은 사용한 테스트 존, 기록 파형 정보를, 필드 3은 보더 영역의 개시 위치, 확장 RMZ의 위치를, 필드 4는 사용 중인 R 존 번호, R 존의 개시 위치와 LRA(최후의 기 록 위치: last recorded address)를, 필드 5∼필드 21은 R 존의 개시 위치와 LRA를 저장한다.
RMD의 갱신 타이밍은 하기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7)].
디스크가 초기화되었을 때
R 존의 예약, 클로즈 등의 동작이 행해졌을 때
보더가 클로즈되고, RMZ가 확장되었을 때
일정량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고 기록이 중단되었을 때
도 90은 본 실시예의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정보 기억 매체 장착 직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
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면, 단계 ST22에서 버스트 컷팅 영역(BCA)이 재생된다. 본 실시예는 HDDVD-R 디스크를 지원하고 디스크의 매체 극성은 "L-H"과 "H-L"의 양방을 지원한다. 단계 ST24에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을 재생한다. 단계 ST26에서 RMD 복제 존(RDZ)을 재생한다. 공백이 아닌 디스크는 RMD 복제 존(RDZ)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의 유무에 따라서, 단계 ST28에서 공백 디스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공백 디스크인 경우에는 본 처리는 종료한다. 공백 디스크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T30에서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검색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추기 가능한 R 존의 번호, R 존의 개시 물리 세그먼트 번호, 최후의 기록 위치(LRA)를 구한다. 또한, 추 기 가능한 R 존 3가지까지 설정 가능하다. 공백이 아닌 디스크를 배출할 때에는 보더 클로즈 또는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도 91은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정보의 추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호스트로부터 기록 지시[write(10)]가 주어지면, 단계 ST32에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잔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잔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T34에서 호스트로 "RMZ의 잔량 소"를 보고한다. 이 경우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확장이 상정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8)].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단계 ST36에서 OPC(어디까지 시험 기록했는지를 기록하는 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필요한 경우는, 단계 ST38에서 OPC를 실행하고, 단계 ST40에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갱신이 필요한 경우란, R 존 예약 직후의 기록 지시의 경우와, 최신 RMD 중 최종 기록 위치(NWA)와 실제의 최종 기록 위치(NWA)의 차가 16MB 이상인 경우이다. 단계 ST42에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갱신이 행해지고, 단계 ST44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며, 단계 ST46에서 호스트에 기록 종료가 보고되어 동작을 종료한다.
도 92는 본 실시예에서의 확장 가능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설정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당초는 데이터 리드인 영역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설정되어 있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모두 기록하면, 데이터 영역이 비어 있어도 디스크로의 데이터의 기록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잔량이 적어지면,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을 설정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C]).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보더 내 영역에 설정해도 좋고, 보더 존(인접하는 보더아웃과 보더인으로 이루어짐)에 설정해도 좋다. 즉, 보더 내 영역 내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과 보더인 내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은 디스크 내에서 혼재 가능하다.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이 설정되면,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서 RMD 복제 존(RDZ)에 복사된다. RMD 복제 존(RDZ)은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위치를 관리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6α)]. RMD 복제 존(RDZ)은 128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은 디스크 내에서 127회 확장 가능하고, 디스크 내의 보더 존의 수는 최대 128개이다[도 133a 및 도 133b의 요점 (L9), (L9α)]. 보더 내 영역의 127개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을 사용하여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는 16348회까지 확장 가능하다.
도 93은 도 92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보더 내 영역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은 인접하는 R 존의 사이에 설정된다. 보더 존에 확장되는 경우는, 통상은 보더인의 말미로 설정된다.
도 94는 본 실시예에서의 보더 존에 관한 설명도이다. DPD 방식으로 트랙을 검출하는 ROM 플레이어에서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보더 존이 기록된다. 보더 존은 보더인과 보더아웃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그루브로의 트랙킹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크에 미기록 영역이 있으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기록 데이터의 끝에 액세스를 행할 수 없다. ROM 플레이어의 트랙 검출 방법은 DPD 방식이기 때문에, 전제 조건으로서 프리피트가 있는 것이 필요하다. DVD-R 디스크의 기록막은 기록 마크 개소에서 위상 어긋남이 생기도록 막 설계가 되어 있고, 마치, 위상 어긋남이 프리피트로 보인다. 따라서, ROM 플레이어가 읽을 수 있는 관리 정보와 기록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오버런 영역의 기록이 필요하게 된다. 전자는 보더인, 후자는 보더아웃으로서 기록된다. 보더 존은 보더 클로즈 동작에 의해서 기록된다. 보더 클로즈 시에는, (1) 현재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과 사용자 데이터의 불연속 영역이 패딩되고[도 133a 및 도 133b의 요점 (L10)], (2) R 물리 포맷 정보(R-PFI)가 기록되며, (3) 보더아웃이 기록된다. 또한, 보더인에는 갱신 물리 포맷 정보(U_PFI)와 확장 RMZ가 기록된다.
도 95는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2번째 이후의 보더 내 영역의 클로즈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결형 R 존에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기록 위치 관리 존(RMZ3)이 보더 인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더 클로즈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추기 가능한 R 존의 최종 기록 위치(NMW)가 보더 인으로 설정되는 갱신 물리 포맷 정보(U_PFI)에 기록되는 동시에, 보더인의 나머지의 부분[현재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미기록 부분]에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4)가 반복 기록된다.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4)는 RMD 복제 존(RDZ)에 복사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l0α)]. 사용자 데이터의 외측에 보더아웃이 기록된다. 보더아웃의 영역 타입 정보는 00b: 데이터 영역이다.
도 96은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보더 내 영역을 일단 클로즈한 후에 종료 처리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 클로즈되면 R 존이 완결된다. 도 9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말미의 보더아웃의 외측에 터미네이터를 기록한다[도 135의 요점 (N1α)]. 터미네이터의 영역 타입 정보는 10b: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이다.
도 97은 본 실시예에서의 보더인 내에 기록하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의 R 존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더 클로즈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R 존이란, 추기형 기록 매체로 물리적으로 연속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파일 시스템과는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드라이브가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데이터 기록 가능 영역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부분이 R 존이라고 불린다. R 존은 기록 상태에 따라서 2개의 타입으로 분류된다. 오픈(개방형) R 존은 부가적인 데이터가 추가 가능하다. 완결형 R 존은 이 이상 부가적인 데이터가 추가 불가능하다. 오픈 R 존은 2개까지 설정 가능하다. 데이터 기록 가능 영역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부분은 보이지 않는(인비저블)(미지정 상태) R 존이라고 불린다. 후속하는 R 존은 인비저블 R 존 내에서 예약된다. 이 이상 데이터가 추가되지 않는 경우는, 인비저블 R 존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한번에 3가지까지의 R 존이 설정 가능하고, 오픈 R 존은 존의 개시 어드레스, 최종 어드레스가 함께 설정되어 있지만, 인비저블 R 존은 개시 어드레스는 설정되 어 있지만, 최종 어드레스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보더 클로즈할 때에는, 도 9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R 존(오픈 R 존)(내주측에서 제1, 제2, 제3 존이라고 불림)의 미기록 부분이 "00h"로 매립되고, 제3 R 존(미결형 R 존)의 기록 데이터의 외측에 보더아웃이 기록된다(도 133a 및 도 133b의 요점 (L10β)]. 보더아웃의 외측에 보더인이 기록되고, 그 중에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 RMZ)이 기록된다. 도 8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관리 위치 데이터 (RMD)는 보더인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 RMZ)을 사용하여 392회 이상(16384회) 갱신 가능하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4β)]. 그러나, 보더인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 RMZ)을 사용하기 전에, 보더는 클로즈해야 되어 시간이 걸린다.
도 98은 본 실시예에서의 R 존에 대한 설명도이다. 추기형 매체의 재생을 위해서는 물리 연속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파일 시스템과는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드라이브가 관리하고 있다. 드라이브는 기록의 위치를 R 존 단위로 관리하고 있고, 디스크에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로서 차례로 하기의 정보가 보존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추기 가능한 R 존의 번호
·R 존의 개시 물리 세그먼트 번호
·최후의 기록 위치 LRA
추기 가능한 R 존은 항상 3가지이다. 도 98의 예에서는, R 존(#3), R 존(#4), R 존(#5)의 3가지가 추기 가능한 R 존이다. 추기는 추기 가능한 R 존의 최종 기록 위치(NWA)부터 행한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5α)]. 추기가 완료되면, 최후의 기록 위치(LRA)=최종 기록 위치(NWA)가 된다. R 존(#1), R 존(#2)은 미기록 영역이 없기 때문에, 이 이상의 부가적인 데이터의 추가가 불가능하며 완결형 R 존이다.
도 99는 R 존을 이용한 복수 개소 동시 추기 가능 방식에 관한 본 실시예에서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99의 (a)는 기본적인 기록 방법이며, R 존은 예약되어 있지 않고, 데이터는 인비저블 R 존, 또는 미결형 R 존의 하나의 어드레스 NWA에서 순서대로 기록된다. 미결형 R 존은 최종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점에서 인비저블 R 존이지만, 인비저블 R 존은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최종 기록 위치(NWA)가 개시 어드레스인 데에 대하여, 미결형 R 존은 도중까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최종 기록 위치(NWA)가 개시 어드레스로부터 어긋나있다.
도 99의 (b)는 종래의 DVD-R과 같이, 복수의 어드레스부터의 기록을 지원하고 있는 예이다. 드라이브는 하나의 인비저블 R 존과 2개의 오픈 R 존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R 존의 최종 기록 위치(NWA)는 3가지 있다. 예컨대, 오픈 R 존에 파일 관리 정보, 인비저블 R 존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면, 인비저블 R 존의 최종 기록 위치(NWA)는 개시 어드레스로부터 어긋나 미결형 R 존이 된다.
도 100은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R 존의 설정 방법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에는 오픈 R 존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미결형 R 존만이 존재하 는 것으로 한다. 미결형 R 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1)가 기록 위치 관리 존(RMD)에 기록되어 있다. 미결형 R 존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다음에, 별도의 존에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도 10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존을 클로즈하기 위해서, 미결형 R 존을 완결형 R 존으로 한다. 즉, 사용자 데이터의 최종 어드레스를 R 존의 최종 어드레스로 한다. 완결형 R 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2)(RMD의 필드 4∼21을 갱신)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추가로 기록한다. 도 10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결형 R 존의 외측에 소정의 사이즈의 오픈 R 존을 설정(예약)하고, 오픈 R 존의 외측을 인비저블 R 존으로 한다. 오픈 R 존과 인비저블 R 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3)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추가로 기록한다.
한편, 후술하지만, 오픈 R 존의 예약은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확장의 경우에도 행해진다.
도 101은 최초의 보더 내 영역을 클로즈했을 때의 R 존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에 오픈 R 존과 미결형 R 존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1)가 기록되어 있다. 보더 클로즈할 때에는, 도 10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R 존의 미기록 영역에 "00h"를 매립하여 완결형 R 존으로 하고, 미결형 R 존을 완결형 R 존으로 하며, 완결형 R 존의 외측에 보더아웃을 설정한다. 완결형 R 존, 보더아웃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2)[RMD의 필드 3, 4∼21을 갱신)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추가로 기록하는 동시에, RMD 복제 존(RDZ)에 최신의 RMD2를 복사한다. 보더아웃의 영역 타입은 00b: 데이터 영역이다. 보더아웃의 개시 어드레스를 갱신 물리 포맷 정보(R-PFI)에 기록한다. 보더 클로즈는 추기형 기억 매체를 플레이어로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미기록 부분을 기록 데이터로 매립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미기록 영역을 최신의 RMD2로 매립한다.
도 102는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종료 처리 순서의 설명도이다. 보더 클로즈와 종료 처리의 상이는 보더 클로즈해도 다시 보더 내 영역을 설정 가능(추기 가능)함에 대하여, 종료 처리 후에는 결코 추기 가능하지 않은 것이다. 본 실시예의 종료 처리 처리는 보더 클로즈 처리의 일부 변경으로 실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종료 처리 시간이 단축 가능하다. 도 102의 종료 처리가 도 101의 보더 클로즈와 상이한 것은, 보더아웃의 영역 타입을 10b: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으로 하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2)의 필드 0의 디스크 스테이터스를 02h: 「디스크가 종료 처리되는 것을 나타냄」이라고 하는 점이다[도 133a 및 도 133b의 요점 (L11)]. 즉, 보더 클로즈의 경우는 다시 보더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보더아웃을 데이터 영역 내로서 두는 데에 대하여, 종료 처리의 경우는 데이터 영역을 클로즈하기 위해서 보더아웃을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디스크의 종료 처리를 도시하기 위해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2)의 필드 0의 디스크 스테이터스를 02h로 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미기록 영역을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 변경함으로써, 종료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 영역의 미기록 영역에 데이터를 매립할 필요는 없고 종료 처리의 시간이 단축된다.
도 103은 본 실시예에서의 R 존을 이용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설정에 관한 원리 설명도이다. 도 103의 (a)는 도 97의 (a)와 동일하다. 보더를 클로즈하지 않고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확장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 경우, 도 10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결형 R 존을 완결형 R 존으로 변경하고, 완결형 R 존의 외측에 보더 내 영역(128 물리 세그먼트 블록)을 설정하며, 그 안에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을 설정한다[도 126a 및 도 126b의 요점 (C8), 도 134의 요점 (L12), (L12α)]. 보더 내 영역의 외측은 인비저블 R 존이다. 이 경우, 오픈 R 존의 미기록 영역에 데이터 "00h"를 매립하면, 완결형 R 존에 인접하여 보더아웃을 설정할 필요는 없다.
도 104는 본 실시예에서의 R 존을 이용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의 신규 설정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관계 설명도이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나머지 용량이 일정 값 이하가 되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확장이 실행 가능하다. 도 10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에 미결형 R 존이 설정되고,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1)가 기록되어 있다. R 존 클로즈 시에는 도 10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결형 R 존을 완결형 R 존으로 한다. 즉, 사용자 데이터의 최종 어드레스를 R 존의 최종 어드레스로 한다. 완결형 R 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2)(RMD의 필드 4∼21을 갱신)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추가로 기록한다. 도 10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결형 R 존의 외측에 소정의 사이즈(128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오픈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예약(설정)하고, 오픈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외측을 인비저블 R 존으로 한다. 오픈 기록 위치 관리 존(RMZ)과 인비저블 R 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3)(RMD의 필드 3, 4∼21을 갱신)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미기록 영역에 추가로 기록하는 동시에, RMD 복제 존(RDZ)에 RMD3을 복사한다(도 134의 요점 (L12β)].
도 105는 동일 보더 내 영역에서 기존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모두 채워졌을 때의 처리 방법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10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거의 모두 채워지면, 도 10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3의 (b)와 마찬가지로, 미결형 R 존을 완결형 R 존으로 변경하여 완결형 R 존의 외측에 보더 내 영역(128 물리 세그먼트 블록)을 설정하고, 그 안에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EX.RMZ)을 설정한다. 보더 내 영역의 외측은 인비저블 R 존이다. 이 후, 도 10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미기록 영역을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서 매립하고, RMD 복제 존(RDZ)에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복사한다[도 134의 요점 (L12γ)].
도 108은 본 실시예의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RMD 복제 존(RDZ)을 이용한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위치 검색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08의 (a)는 레코더가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7)를 검색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시스템 리드인 영역 내의 제어 데이터 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리드인 영역의 기록 위치 관리 존(RDZ)을 찾아내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트레이스한다. 이 중에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개시 물리 섹터 번호가 기 록되어 있기 때문에, 제3 보더 내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7)를 찾아낼 수 있다[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6)].
도 10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 드라이브는 미기록 영역으로의 액세스는 불가하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해석이 불가능하다.
도 22a 및 도 22b에 제어 데이터 존(CDZ)과 R 물리 정보 존(RIZ)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22a 및 도 22b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데이터 존(CDZ) 내에는 물리 포맷 정보(PFI)와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가 존재하고, R 물리 정보 존(RIZ) 내에는 마찬가지로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와 R 물리 포맷 정보(R-PFI)이 존재한다.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 내에는 매체 제조국가명에 관한 정보(251)와 매체 제조업체 소속국 정보(252)가 기록되어 있다[도 127의 요점 [F]). 판매된 정보 기억 매체가 특허 침해하고 있을 때에 제조 장소가 있는 국내, 또는 정보 기억 매체를 소비하고 있는(사용하고 있는) 국내에 대하여 침해 경고를 거는 경우가 많다.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상기한 정보의 기록을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제조 장소(국가명)가 판명되고, 특허 침해 경고를 걸기 쉽게 함으로써, 지적 재산이 보증되어 기술의 진보가 촉진된다. 또한,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 내에는 기타 매체 제조 관련 정보(253)도 기록되어 있다.
물리 포맷 정보(PFI)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R-PFI) 내에는 기록 장소(선두부터의 상대적인 바이트 위치)에 의해 기록되는 정보의 종류가 규정되어 있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G]). 즉, 물리 포맷 정보 (PFI),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R-PFI) 내의 기록 장소로서 0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의 32 바이트의 영역에는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1)가 기록되고, 32 바이트째로부터 127 바이트째까지의 96 바이트가 본 실시예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HD-DVD 패밀리 내의 공통인 정보(262)가 기록되며, 128 바이트째로부터 511 바이트째까지의 384 바이트가 각 규격서 타입이나 파트 버전에 관한 각각 독자적인 정보(고유 정보)(263)가 기록되고, 512 바이트째로부터 2047 바이트째까지의 1536 바이트가 각 리비전에 대응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정보 내용에 의해 물리 포맷 정보 내의 정보 배치 위치를 공통화함으로써, 매체의 종류에 따르지 않고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장소가 공통화되기 때문에,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를 공통화 및 간소화할 수 있다. 0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 기록되어 있는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1)는, 도 22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0 바이트째로부터 16 바이트째까지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모두에 공통으로 기록하고 있는 정보(267)와, 17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는 공통에 기록되어 재생 전용형으로서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정보(268)에 분리된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한 물리 포맷 정보(PFI),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R-PFI) 내의 구체적인 정보 내용과 물리 포맷 정보(PFI) 내 정보의 매체 종류(재생 전용형인지 재기록형인지 추기형인지)에 의한 비교를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다.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1) 내의 재생 전용형, 재기록형, 추기형의 모두 에 공통으로 기록하고 있는 정보(267)로서는, 바이트 위치 0 내지 16까지 순서대로 규격서의 타입(재생 전용/재기록/추기) 정보와 버전 번호 정보, 매체 사이즈(직경)와 최대 가능 데이터 전송 레이트 정보, 매체 구조(단층인지 2층인지, 엠보스 피트/추기 영역/재기록 영역의 유무), 기록 밀도(선밀도와 트랙 밀도) 정보,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장소 정보, 버스트 컷팅 영역(BCA)의 유무 정보(본 실시예는 모두 있음)가 기록되어 있다.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1)로서, 재기록형과 추기형에 공통으로 기록하고 있는 정보(268)로서, 28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 순차, 최대 기록 스피드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 최대 기록 스피드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 리비전 번호 테이블(응용 리비전 번호), 클래스 상태 정보, 확장된 (파트) 버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28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의 정보를 갖게 한 것은, 물리 포맷 정보(PFI),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R-PFI)의 기록 영역 내에 기록 속도에 따른 리비전 정보를 갖게 한다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G1)]. 종래 2배속이나 4배속 등 매체로의 기록 속도가 상승되는 매체가 개발되면, 그것에 따라서 그 때마다 새롭게 규격서를 만들어낸다는 매우 번거로운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크게 내용이 변경이 되었을 때에 버전을 변경시킨 규격서(버전 북)와 기록 속도 등 소변경에 대응하여 리비전을 변경하여 발행하는 리비전 북으로 나뉘고, 기록 속도가 향상될 때마다 리비전만을 갱신한 리비전 북만을 발행한다. 이에 따라, 장래의 고속 기록 대응의 매체로의 확장 기능을 보증하여, 리비전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규격을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고속 기록 대응 매체가 개발된 경우에 고속으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17 바이트째의 최고 기록 속도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의 란과 18 바이트째의 최저 기록 속도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의 란을 따로따로 설치함으로써, 기록 속도의 최고값과 최저값으로 리비전 번호를 따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G1α)]. 예를 들면, 매우 고속으로 기록 가능한 기록막을 개발한 경우, 그 기록막은 매우 고속으로의 기록이 가능하지만, 기록 속도를 떨어뜨리면 갑자기 기록할 수 없어지고, 또는 기록 가능한 최저 속도를 낮게 할 수 있는 기록막은 매우 고가가 되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록 속도의 최고값과 최저값으로 리버전 번호를 따로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발 가능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히고, 그 결과 보다 고속 기록이 가능한 매체나 보다 저가격인 매체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생긴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각 리비전마다의 가능 최고 기록 속도와 가능한 최저 기록 속도의 정보를 사전에 가지고 있다. 정보 기록 매체를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가하면, 최초에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물리 포맷 정보(PFI), 또는 R물리 포맷 정보(R PFI)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얻어진 리비전 번호 정보를 원래 제어부(143) 내에서 메모리부(175) 내에 사전에 기록되어 있는 각 리비전마다의 가능 최고 기록 속도과 가능한 최저 기록 속도의 정보를 참조하여 장착된 정보 기록 매체의 가능 최고 기록 속도와 가능한 최저 기록 속도를 나누어 그 결과에 의거하여 최적의 기록 속도로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도 22b의 (c)에 도시한 128 바이트째로부터 511 바이트째까지의 각 규격서의 타입과 버전의 고유 정보(263)의 의미와 512 바이트째로부터 2047 바이트째까지의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의 의미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128 바이트째로부터 511 바이트째까지의 각 규격서의 타입과 버전의 고유 정보(263) 내에서는, 각 바이트 위치에서의 기록 정보 내용의 의미가 타입이 상이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따르지 않고 일치하고, 512 바이트째로부터 2047 바이트째까지의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에서는 타입이 상이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차이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매체에서도 리비전이 상이하면 각 바이트 위치에서의 기록 정보 내용의 의미가 상이한 것을 허용한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입이 상이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 각 바이트 위치에서의 기록 정보 내용의 의미가 일치하는 각 규격서의 타입과 버전의 고유 정보(263) 중의 정보로서는 순차, 매체 제조업체명 정보, 매체 제조업체로부터의 부가 정보, 기록 마크의 극성("H→L"인지 "L→H"인지 식별) 정보, 기록 시 또는 재생 시의 선속도 정보, 원주 방향을 따른 광학계의 림강도값, 반경 방향을 따른 광학계의 림강도값, 재생 시의 장려 레이저 파워(기록면 상의 광량값)가 기록된다.
특히, 192 바이트째에 기록 마크의 극성("H→L"인지 "L→H"인지 식별) 정보 MPD(Mark Polarity Descriptor)를 갖게 한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종래의 재기록형 또는 추기형 DVD 디스크에서는 미기록 상태(반사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음 : High)에 대하여 기록 마크 내의 광반사량이 저하하는 "H→L" 형의 기록막 밖에 인정하고 있지 않았다. 이것에 대하여 "고속 기록 대응" 또는 "저가격화" 또는 물리적인 성능으로서 "크로스 소거의 감소" 또는 "재기록 횟수 상한값의 증가" 등의 요구가 매체에 대하여 나오면, 종래의 "H→L"형의 기록막 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H→L"형의 기록막 만이 아니라 기록 마크 내에서 광반사량이 증가하는 "L→H"형의 기록막의 사용까지 허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H→L"형만이 아니라 "L→H"형 기록막도 규격 내에 장착하여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힘으로써 고속 기록 가능이나 저가격 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구체적인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규격서(버전북) 또는 리비전 북에서 "H→L"형의 기록막으로부터의 재생 신호 특성과 "L→H"형의 기록막으로부터의 재생 신호 특성의 양방을 병기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도 1의 PR 등화 회로(130)와 비터비 복호기(156) 내에 2가지씩의 대응 회로를 준비해 둔다. 정보 재생부(141) 내에 정보 기억 매체를 장착하면, 우선 처음에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정보를 읽기 위한 슬라이스 레벨 검출 회로(132)를 기동시킨다. 슬라이스 레벨 검출 회로(132)로, 192 바이트째에 기록된 기록 마크의 극성("H→L"인지 "L→H"인지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H→L"형인지 "L→H"형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것에 맞추어 PR 등화 회로(130)와 비터비 복호기(156) 내의 회로를 전환한 후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또는 데이터 영역(DTA) 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비교적 빠르고 더구나 정밀도 좋게 데이터 리 드인 영역(DTLDI) 또는 데이터 영역(DTA) 내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17 바이트째에 최고 기록 속도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와 18 바이트째에 최저 기록 속도를 규정한 리비전 번호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한 정보는 최고 또는 최저를 규정한 범위 정보일 뿐이다. 가장 안정되게 기록하기 위해서는 기록 시에 최적의 선속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정보가 193 바이트째에 기록되어 있다.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 내에 포함되는 각종의 기록 조건(기록 전략) 정보에 앞서는 위치에 광학계 조건 정보로서 194 바이트째의 원주 방향을 따른 광학계의 림강도값과, 195 바이트째의 반경 방향을 따른 광학계의 림강도값의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다음 특징이 있다. 이들 정보는 뒤측에 배치되는 기록 조건을 산출할 때에 사용한 광학 헤드의 광학계의 조건 정보를 의미하고 있다. 림강도란 정보 기억 매체의 기록면 상에 집광하기 전에 대물 렌즈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분포 상황을 의미하고, 『입사광 강도 분포의 중심 강도를 "1" 로 했을 때의 대물 렌즈 주변 위치(동면 외주 위치)에서의 강도값』으로 정의된다. 대물 렌즈로의 입사광 강도 분포는 점대칭이 아니라, 타원 분포를 하고, 정보 기억 매체의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에서 림강도값이 상이하기 때문에 2가지의 값이 기록된다. 림강도값이 클수록 정보 기억 매체의 기록면 상에서의 집광 스폿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림강도값에 의해 최적의 기록 파워 조건이 크게 변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광학 헤드의 림강도값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기 때문에, 우선, 정보 기억 매체 내에 기록되어 있는 원주 방향과 반 경 방향을 따른 광학계의 림강도값을 판독하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광학 헤드의 값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에 큰 차이가 없으면 뒤측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조건을 적용할 수 있지만, 비교한 결과에서 큰 어긋남이 있으면 뒤측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조건을 무시하고, 도 16, 또는 도 18a 및 도 18b에 기재되어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을 이용하여 기록 재생 장치 스스로 시험 기록을 하면서 최적의 기록 조건의 산출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뒤측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조건을 이용하거나, 그 정보를 무시하여 스스로 시험 기록을 하면서 최적의 기록 조건의 산출을 시작할지의 판단을 조급히 행할 필요가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려되는 기록 조건이 기록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선행 위치에 그 조건을 산출한 광학계의 조건 정보를 배치함으로써, 우선 처음에 그 림강도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후에 배치되는 기록 조건의 적합 가부를 고속으로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크게 내용이 변경이 되었을 때에 버전을 변경시키는 규격서(버전북)와 기록 속도 등 소변경에 대응하여 리비전을 변경하여 발행하는 리비전 북으로 나누고, 기록 매체가 향상할 때마다 리비전만을 갱신한 리비전 북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리비전 번호가 상이하면 리비전 북 내의 기록 조건이 변화되기 때문에, 기록 조건(기록 전략)에 관한 정보가 주로 512 바이트째로부터 2047 바이트째까지의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 중에 기록된다. 도 23a 및 도 23b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512 바이트째로부터 2047 바이트째까지의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 (264)으로서는, 타입이 상이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차이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매체에서도 리비전이 상이하면 각 바이트 위치에서의 기록 정보 내용의 의미가 상이한 것을 허용한다.
도 23a 및 도 23b에서의 피크 파워, 제1 바이어스 파워, 제2 바이어스 파워, 제3 바이어스 파워의 정의는 도 19에서 정의되어 있는 파워값에 일치하고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서의 최초 펄스의 종료 시간이란 도 19에서 정의한 TEFP를 의미하고, 멀티 펄스 간격이란 도 19에서 정의한 TMP를 의미하며, 최후 펄스의 개시 시간이란 도 19에서 정의한 TSLP을 의미하고, 2T 마크의 제2 바이어스 파워의 기간이란 도 19에서 정의한 TSL을 의미한다.
도 23a 및 도 23b에서 4 바이트째부터 15 바이트째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장소 정보 내에 기록되는 상세한 정보의 내용 비교를 도 24에 도시한다. 매체의 종별과 물리 포맷 정보(PFI)와 R 물리 포맷 정보(R-PFI)의 구별 없이 데이터 영역(DTA)의 개시 위치 정보가 공통으로 기록되어 있다.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 중에서는 데이터 영역(DTA)의 종료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물리 섹터 번호의 값이 큰 장소는 그루브 영역 내에 있지만, 랜드 영역 내에서의 데이터 영역(DTA)의 종료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물리 포맷 정보(PFI) 내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 기 가능 범위의 최후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만, 이 위치 정보는 예컨대 도 18b의 (e)에 도시한 예에서는 ζ점의 직전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R 물리 포맷 정보(R-PFI)에는 해당하는 보더 내 영역(BRDA)의 중에서의 기존 기록 데이터의 최후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서는 재생측 광학계로부터 본 바로 앞의 층인 "0층" 내에서의 최후의 어드레스 정보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서는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 사이의 각 개시 위치 정보의 차분값의 정보도 기록되어 있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중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21b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복사 정보가 기록 위치 관리 존(RMZ)으로의 기록 내용의 복사 정보(C_RMZ)로서 보더아웃(BRDO) 내에도 존재하고 있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 중에는 도 17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와 동일한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되고, 그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로서 순서대로 뒤에 추기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도 25∼도 30에 도시한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는 다시 1개가 2048 바이트 사이즈인 미세한 RMD 필드 정보(RMDF)로 분할되어 있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최초의 2048 바이트는 예약 영역으로 되어 있다.
다음의 2048 바이트 사이즈의 RMD 필드 0에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 포맷 코드 정보, 대상의 매체가 (1) 미기록 상태이거나, (2) 종료 처리 전의 기록 도중이거나, (3) 종료 처리 후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매체 상태 정보, 고유 디스크 ID(디스크 식별 정보),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와 최신의 (갱신된)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배치 위치 정보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중에는 초기 상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도 18a의 (d)]를 도시하는 정보로서 데이터 영역(DTA)의 개시 위치 정보와 초기 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가능 범위(204)의 최종 위치 정보[도 18a의 (d)의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β점의 직전 위치를 도시하는 것이 됨]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b의 (e)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 내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과 확장 교체 영역(ESPA)의 추가 설정이 가능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지만[도 127의 요점 (E2)], 이렇게 확장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가 좁아진다. 잘못해서 확장 영역(EDTRTZ)과 ESPA에 사용자 데이터를 추기하지 않도록 "최신의 (갱신된)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내에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에 본 실시예의 다음의 특징이 있다. 즉,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유무 식별 정보에 의해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이 증설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확장 교체 영역(ESPA)의 유무 식별 정보에 의해 확장 교체 영역(ESPA)이 증설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서 관리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에 관한 기록 가능 범위 정보(도 127의 요점 (E])로서, 도 25∼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MD 필드 0 내의 최신의 (갱신된)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내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가능 범위(205)의 최종 위치가 있음으로써 도 18b의 (f)에 도시한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를 바로 알 수 있고, 금후 기록 가능한 미기록 영역의 사이즈(미기록의 잔량)의 고속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녹화 예약 시간에 맞추어 최적의 기록 시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함으로써, 실현 가능한 가장 고화질로, 더구나 사용자가 지정한 녹화 예약 시간을 빠짐없이 매체 내에 녹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도 18a의 (d)의 실시예를 예로 들면, 상기한 "최신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가능 범위(205)의 최종 위치"는 ζ점의 직전 위치를 의미한다. 이들의 위치 정보는 물리 섹터 번호로 기술하는 대신에, 다른 실시예로서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기술하는[도 127의 요점 (E1)] 것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2섹터로 1 ECC 블록을 구성한다. 따라서, 특정한 ECC 블록 내의 선두에 배치된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는 인접하는 ECC 블록 내의 선두 위치에 배치된 섹터의 섹터 번호와 일치한다.
ECC 블록 내의 선두에 배치된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가 "00000"이 되도록 물리 섹터 번호를 설정한 경우에는, 동일 ECC 블록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6비트째 이상의 값이 일치한다. 따라서, 상 기 동일 ECC 블록 내에 존재하는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하위 6비트째 이상의 데이터만을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를 ECC 블록 어드레스 정보(또는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정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워블 변조에 의해 미리 기록된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 정보(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 정보)는 상기 ECC 블록 어드레스와 일치하기 때문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위치 정보를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기술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특히 미기록 영역으로의 액세스가 고속화된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위치 정보 단위와 워블 변조에 의해 미리 기록된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의 정보 단위가 일치하기 때문에 차분의 계산 처리가 용이해지기 때문.
(2)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관리 데이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어드레스 정보 기술에 필요한 비트수를 1어드레스 당 5비트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길이는 1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에 일치하고, 1 데이터 세그먼트 내에 1 ECC 블록 분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다. 따라서, 어드레스의 표현으로서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 또는 "ECC 블록 어드레스" 또는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 "데이터 세그먼트 번호",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 등의 표현을 하지만, 이들은 모두 동의어의 의미를 갖는다.
도 25∼도 30이 도시한 바와 같이, RMD 필드 0 내에 있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배치 위치 정보에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내부에 순서대로 추기할 수 있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설정된 사이즈 정보가 ECC 블록 단위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단위로 기록되어 있다. 도 17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마다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보에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중에 몇 회 갱신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추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 이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의 현재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 번호가 기록된다. 이것은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 이미 기록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수 정보를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7a의 (b)에 도시하는 예로서, 이 정보가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2) 내의 정보라고 가정하면, 이 정보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 2번째로 기록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이기 때문에, "2"의 값이 이 란 중에 기록된다. 그 다음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 2번째로 기록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이기 때문에, "2"의 값이 이 란에 기록된다. 그 다음에,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의 잔량 정보가 기록된다. 이 정보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에서의 더욱 추가 가능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수의 정보를 의미하고, 물리 세그먼트 블록 단위(=ECC 블록 단위=데이터 세그먼트 단위)로 기술된다. 상기 3 정보 사이에는
[RMZ의 설정된 사이즈 정보]
=[현재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 번호]+[RMZ 내에서의 잔량]
의 관계가 성립한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존 사용량, 또는 잔량 정보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영역 내에 기록하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도 127의 요점 (E7)]이 있다.
예컨대,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한 번으로 모든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는 한 번만 기록하면 좋지만,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매우 미세하게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도 18b의 (f)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의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를 반복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기마다 갱신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도 추기해야 한다. 이 경우, 빈번하게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추기하면, 도 17a의 (b)에 도시하는 미기록 영역(206)이 없어지고,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그것에 대한 선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존 사용량, 또는 잔량 정보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영역 내에 기록함으로써, 기록 위치 관리 존(RMZ) 영역 내의 추기 불가능한 상태를 사전에 알 수 있어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조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b의 (e)에서 (f)로의 이행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을 내부에 포함시킨 형태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를 설정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도 127의 요점 (E4)]. 이때에는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개시 위치가 도 18b의 (e)의 β점에서 ε점으로 변화된다. 이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서, 도 25∼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RMD 필드 0의 최신의 (갱신된)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위치 정보 내에 데이터 리드아웃 영 역(DTLDO)의 개시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란이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테스트(시험 기록)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세그먼트(ECC 블록) 단위로 확장 가능한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된다. 따라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의 개시 위치 정보는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기술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 최초의 ECC 블록 내의 최초에 배치되는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 ECC 블록 어드레스로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RMD 필드 1에는 대응 매체의 기록을 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이력 정보가 기록되고, 각각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마다 제조업체 식별 정보, ASCII 코드로써 기술된 일련 번호와 모델 번호, 드라이브 테스트 존을 이용한 기록 파워 조정을 행한 일시 정보 및 추기 시에 행한 기록 조건 정보가 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264)(도 23a 및 도 23b) 내의 전체 기록 조건 정보의 포맷에 따라서 기술되도록 되어 있다.
RMD 필드 2는 사용자 사용 영역에서 예컨대 기록한(기록하고자 하는) 내용의 정보 등을 사용자가 여기에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RMD 필드 3 내에는 각 보더 존(BRDZ)의 개시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즉, 도 25∼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부터 50번째까지의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로 기재된다.
예컨대, 도 21a의 (c)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최초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는 η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2번째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는 θ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RMD 필드 4 내에서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최초에 도 16의 (c)에 기재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와, 도 18a의 (d)∼도 18b의 (f)에 기재된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는 내주측(물리 섹터 번호가 작은 분)으로부터 외주 방향(물리 섹터 번호가 작은 방향)을 향하여 순서대로 시험 기록에 사용된다. 시험 기록에 사용되는 장소 단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기 단위인 클러스터 단위로 행해지기 때문에, ECC 블록 단위가 된다. 따라서,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로서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기재되거나 물리 섹터 번호로 기재되는 경우에는, 시험 기록에 이용된 ECC 블록의 마지막에 배치된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기재하는 것이 된다. 한번 시험 기록에 사용된 장소는 이미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에 시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된 최후의 위치의 다음으로부터 시험 기록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의 기존 사용량]를 이용하고[도 127의 요점 (E5)],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다음에 어디부터 시험 기록을 개시하면 좋을지를 순식간에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정보로부터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 다음에 시험 기록이 가능한 공간 스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더욱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 정보 또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을 모두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더욱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 정보, 또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을 모두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기록된다.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의 사이즈와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의 사이즈는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 또는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있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에서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만으로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더욱 추가의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의 사이즈(잔량)를 산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 정보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 가짐으로써[도 127의 요점 (E5)], 즉석에서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의 잔량을 알 수 있고,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신규 설정 유무 판단까지의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란에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 더욱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잔량) 정보 대신에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을 모두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미 모두 사용한 것을 순식간에 알 수 있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잘못하여 이 영역에 시험 기록을 시행하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RMD 필드 4 내에는 다음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추가 설정 횟 수 정보가 기록된다. 도 18b의 (e)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1(EDRTZ1)과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2(EDRTZ2)의 2개소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추가 설정 횟수=2"가 된다. 또한, 필드 4 내에서는 각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마다의 범위 정보와,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된 범위 정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위치 정보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127의 요점 (E6)], 복수회의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확장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갱신 추기라는 형태로 차례로 확장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도 18a의 (d)]에서 잘못 판단하여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상에 사용자 데이터를 중복 기록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 기록의 단위도 클러스터 단위(ECC 블록 단위)로 기록되기 때문에, 각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마다의 범위는 ECC 블록 어드레스 단위로 지정된다. 도 18b의 (e)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설정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개시 위치 정보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1(EDRTZ1)을 최초로 설정했기 때문에 γ점을 나타내고, 최초에 설정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종료 위치 정보는 β점의 직전 위치가 대응한다. 위치 정보의 단위는 모두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 또는 물리 섹터 번호로 기술된다.
도 25∼도 30의 실시예에서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종료 위치 정보를 도시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대신에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사이즈 정보를 기재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최초에 설정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1(EDRTZ1)의 사이즈는 "β-γ"가 된다. 또한, 최초에 설정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에서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도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 또는 물리 섹터 번호로 기술된다. 그 다음에, 최초에 설정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에 더욱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잔량) 정보가 기록된다. 이미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 1(EDRTZ1)의 사이즈와 그 속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의 사이즈를 상기한 정보로부터 알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다시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잔량)를 구하지만, 이 란을 설치(도 127의 요점 (E5)]함으로써, 새로운 드라이브 테스트(시험 기록)를 할 때에 현재의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즉시 알 수 있고, 또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추가 설정을 결단하기까지의 판단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이 란은 또한 추가 시험 기록을 할 수 있는 영역 사이즈(잔량)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을 모두 사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이 란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 모두 사용한 것을 순식간에 알 수 있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잘못하여 이 영역에 시험 기록을 시행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 새롭게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을 설정하고, 거기에 시험 기록을 행하는 처리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를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한다.
(2) 정보 기록 재생부(141)와 버스트 컷팅 영역(BCA)에 형성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제어부(143)로 보낸다. 제어부(143) 내에서 전송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시킬지 판정한다.
(3)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 내의 제어 데이터 존(CDZ)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여 제어부(143)로 전송한다.
(4) 제어부(143) 내에서 장려 기록 조건을 산출했을 때의 림강도값(도 23a 및 도 23b의 194, 195 바이트째)과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학 헤드의 림강도값을 비교하여, 시험 기록에 필요한 영역 사이즈를 산출한다.
(5)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 내의 정보를 재생하여 제어부(143)로 보낸다. 제어부에서는 RMD 필드 4 내의 정보를 해독하여, (4)에서 산출한 시험 기록에 필요한 영역 사이즈의 여유의 유무를 판정하고,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6)으로 진행하고,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9)로 진행한다.
(6) RMD 필드 4 내에서 시험 기록에 사용하는 드라이브 데스트 존(DRTZ) 또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의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번 시험 기록을 개시하는 장소를 산출한다.
(7) (6)에서 산출한 장소에서 (4)에서 산출한 사이즈 만큼 시험 기록을 실행한다.
(8) (7)의 처리에 의해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가 증가했기 때문에, 이미 시험 기록에 사용한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를 재기록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 (RMD)를 메모리부(175)에 일시 보존하여 (12)로 진행한다.
(9) RMD 필드 0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가능 범위(205)의 최종 위치"의 정보 또는 도 24에 도시한 물리 포맷(PFI) 내의 데이터 영역(DTA)의 배치 장소 정보 내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의 최후의 위치 정보"를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서 판독하고, 제어부(143) 내에서 더욱 새롭게 설정하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범위를 설정한다.
(10) (9)의 결과에 기초하여 RMD 필드 0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가능 범위(205)의 최종 위치"의 정보를 갱신하는 동시에 RMD 필드 4 내의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추가 설정 횟수 정보를 1만 증분(횟수를 1만 가산)하고, 또한 새롭게 설정하는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의 개시/종료 위치 정보를 덧붙인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메모리부(175)에 일시 보존한다.
(11) (7)→ (12)로 이동한다.
(12) (7)에서 행한 시험 기록의 결과 얻어진 최적의 기록 조건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추기한다.
(13) (12)에 대응하여 새롭게 발생한 R 존 내의 개시/종료 위치 정보(도 27)를 추기하여 갱신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메모리부(175)에 일시 보존한다.
(14) 제어부(143)가 제어하여 정보 기록 재생부(141)가 메모리부(175)에 일시 보존되어 있는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 의 미기록 영역(206)[예컨대 도 17a의 (b)] 내에 추가 기록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RMD 필드 5 내에는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대체 영역이 확장 가능해지고 있고, 그 대체 영역의 위치 정보가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서 관리된다. 도 18b의 (e)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확장 대체 영역 1(ESPA1)과 확장 대체 영역 2(ESPA2)의 2개소에 확장 대체 영역(ESPA)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RMD 필드 5 내의 최초에 기재되어 있는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추가 설정 횟수"는 "2"가 된다.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개시 위치 정보는 δ점 위치,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개시 위치 정보는 γ점의 위치,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개시 위치 정보는 ζ점의 위치,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종료 위치 정보는 ε점의 직전 위치에 대응한다.
도 27의 RMD 필드 5 내에는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도 27의 RMD 필드 5 내의 최초의 란에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인접한 대체 영역 내에서 이미 대체 사용한 ECC 블록의 수 정보,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정보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 내에서 발견된 결함 영역에 대해서는 ECC 블록 단위로 대체 처리가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ECC 블록을 구성하는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가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영역에 기록되기 때문에, 이미 행해진 대체 횟수는 이미 대체로 사용한 ECC 블록의 수(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데이터 세그먼트 수)와 같아진다. 따라서, 이 란에서의 기재 정보의 단위는 ECC 블록 단위,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단위, 데이터 세그먼 트 단위가 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대체 영역(SPA), 또는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에서는, 교체 처리로서 사용되는 장소는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가 작은 내주측에서 순서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란의 정보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체로의 사용 종료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로서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를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 1(ESPA1)과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 2(ESPA2)에 대해서도 동일한 정보["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의 이미 대체로 사용한 ECC 블록의 수 정보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정보 또는 대체로의 사용 종료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와,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의 이미 대체로 사용한 ECC 블록의 수 정보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정보 또는 대체로의 사용 종료 장소의 최후의 위치 정보(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를 기록하는 란이 존재한다. 이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다음에 대체 처리할 때에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 발견한 결함 영역에 대한 새롭게 설정해야 할 대체 장소를 즉시 알 수 있다.
대체로의 사용 종료 장소의 최후의 위치의 직후에 새로운 대체를 행한다.
(2) 계산에 의해 대체 영역(SPA) 또는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의 잔량을 구하고, (잔량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새로운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설정의 필요성 유무를 알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인접한 대체 영역(SPA)의 사이즈는 사전 에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체 영역(SPA) 내에서 이미 대체로 사용한 ECC 블록의 수에 관한 정보가 있으면 대체 영역(SPA) 내에서의 잔량을 계산할 수 있지만, 대체 영역(SPA) 내에서의 잔량 정보인 금후 대체에 사용 가능한 미사용 장소의 ECC 블록의 수 정보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정보의 기록 프레임을 마련함으로써, 바로 잔량을 알 수 있고, 또한 확장 대체 영역(ESPA)에 관한 설정 필요성의 유무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에서의 잔량 정보"와,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에서의 잔량 정보"도 기록할 수 있는 프레임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대체 영역(SPA)을 확장 가능하게 하고, 그 위치 정보를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서 관리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 내에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개시 위치, 임의의 사이즈로 제1, 제2 확장 대체 영역(ESPA1, ESPA2) 등을 확장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RMD 필드 5 내에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추가 설정 횟수 정보가 기록되고,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개시 위치 정보나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개시 위치 정보가 설정 가능해지고 있다. 이들의 개시 위치 정보는 물리 섹터 번호 또는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로 기술된다. 도 25∼도 30의 실시예에서는, 확장 대체 영역(ESPA)의 범위를 규정하는 정보로서 "최초에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종료 위치 정보" 또는 "2번째로 설정한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종료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이들 종료 위치 정보 대신에, 확장 대체 영역(ESPA)의 사이즈 정보가 ECC 블록 수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수, 데이터 세그먼트 수, ECC 블록 수 또는 물리 섹터 수로 기록되는 것도 가능하다.
RMD 필드 6에는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함 처리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1) 결함 장소에 기록을 예정하고 있던 정보를 대체 장소에 기록하는 종래의 "교체 모드"와,
(2) 동일한 내용의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상이한 장소에 2회 기록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다중화 모드"의 2종류의 방법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어떤 모드에서 처리하는지의 정보를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의 내용은,
"(1) 교체 모드"인 경우에는
·결함 관리 처리의 종별 정보를 "01"로 설정(종래의 DVD-RAM과 마찬가지)하고,
·"교체원 ECC 블록의 위치 정보"란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중에서 결함 장소로서 발견된 ECC 블록의 위치 정보를 의미하고, 원래 여기에 기록 예정인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대체 영역 내 등에 기록된다.
·"교체처 ECC 블록의 위치 정보"란 도 18b의 (e)의 대체 영역(SPA) 또는 제1 확장 대체 영역(ESPA1), 제2 확장 대체 영역(ESPA2) 중에 설정되는 교체처의 장소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고,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 발견된 결함 장소에 기록 예정의 정보가 여기에 기록된다.
가 대응하고,
"(2) 다중화 모드인 경우"에는
·결함 관리 처리의 종별 정보를 "10"으로 설정하고,
·"교체원 ECC 블록의 위치 정보"란 비결함의 장소로서, 기록 예정의 정보가 기록되는 동시에 여기에 기록된 정보는 정확히 재생할 수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교체처 ECC 블록의 위치 정보"란 도 18b의 (e)의 대체 영역(SPA) 또는 제1 확장 대체 영역(ESPA1), 제2 확장 대체 영역(ESPA2) 중에 설정되는 다중화 때문에 상기 "교체원 ECC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록된 정보와 완전히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가 대응한다.
상기 "(1) 교체 모드"로 기록한 경우에는, 기록 직후의 단계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로 기록된 정보를 정확히 판독할 수 있는 것은 확인된다. 그러나, 그 후에 사용자의 솜씨가 나쁨 등으로 정보 기억 매체에 흠집 또는 먼지가 묻어 상기 기록을 재생할 수 없게 될 위험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2) 다중화 모드"로 기록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솜씨가 나쁨 등으로 정보 기억 매체에 흠집 또는 먼지가 묻어 부분적으로 정보를 읽을 수 없어졌다 해도, 다른 부분에 동일한 정보력이 백업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재생의 신뢰성이 각별히 향상한다. 이 때에 읽을 수 없던 정보에 대하여 상기 백업된 정보를 이용하여 "(1) 교체 모드"의 교체 처리를 행하 면 더욱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2) 다중화 모드"의 처리, 또는"(1) 교체 모드"의 처리와 "(2) 다중화 모드"의 처리를 조합시킴으로써 흠집 또는 먼지의 대책도 고려한 기록 후의 높은 정보 재생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ECC 블록의 위치 정보를 기술하는 방법으로서, ECC 블록을 구성하는 선두 위치에 있는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기술하는 방법 이외에, ECC 블록 어드레스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 또는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를 기재하는 방법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 ECC 블록 사이즈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데이터 상의 영역을 데이터 세그먼트라고 부른다. 또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소의 정보 기억 매체 상이 물리적인 단위로서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정의되어 있고,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사이즈와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기록하는 영역의 사이즈가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체 처리 전에 사전에 검출된 결함 위치 정보도 기록할 수 있는 구조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 기억 매체의 제조업체가 출하 직전에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 내의 결함 상태를 검사하고, 발견된 결함 장소를 (교체 처리 전에)사전에 기록하거나, 사용자의 부분에서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초기화 처리를 했을 때에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4) 내의 결함 상태를 검사하고, 발견된 결함 장소를 (교체 처리 전에)사전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체 처리 전에 사전에 검출된 결함 위치를 도시하는 정보가 도 29에 도시하는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 내의 "결함 블록의 대체 블록으로의 교체 처리 유무 정보"(SLR : Status of Linear Replacement)이며,
◎ 결함 블록의 대체 블록으로의 교체 처리 유무 정보(SLR)가 "0"일 때에는
"교체원 ECC 블록의 위치 정보"에서 지정된 결함 ECC 블록에 대하여 교체 처리가 이루어지고,
"교체처 ECC 블록의 위치 정보"에서 지정된 장소에 재생 가능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 결함 블록의 대체 블록으로의 교체 처리 유무 정보(SLR)가 "1"일 때에는
…"교체원 ECC 블록의 위치 정보"에서 지정된 결함 ECC 블록은 교체 처리 전의 단계에서 사전에 검출된 결함 블록을 의미하고,
"교체처 ECC 블록의 위치 정보"의 란은 블랭크(아무 정보도 기록되어 있지 않음)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함 장소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사용자 데이터를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추기하는 단계에서 고속으로(또한 실시간으로) 최적의 교체 처리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영상 정보 등을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시의 연속성을 보증할 필요가 있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는 고속인 교체 처리가 중요해진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 결함이 있으면 대체 영역(SPA) 또는 확장 대체 영역(ESPA) 내의 소정 장소에서 교체 처리가 행해지만, 그 한 번의 교체 처리마다 1개의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가 부가되고, 결함 ECC 블록의 위치 정보와 대체에 이용된 ECC 블록의 위치 정보의 세트 정보가 RMD 필드 6 내에 기록된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 새롭게 사용자 데이터의 추 기를 반복할 때에 새로운 결함 장소가 발견되면 교체 처리를 행하여,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의 수가 증가한다. 이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의 수가 증가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도 17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미기록 영역(206)에 추기함으로써, 결함 관리의 관리 정보 영역(RMD 필드 6)이 확장될 수 있다. 이 방법을 행함으로써 하기의 이유에서 결함 관리 정보 자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기록 위치 관리 존(RMZ) 내의 결함 장소를 회피하여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기록할 수 있다.
도 17a의 (b)에 도시하는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서도 결함 장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새롭게 추기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내용을 추기 직후에 확인함으로써, 결함에 의한 기록 불가능한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그 옆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재기록함으로써,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높은 신뢰성을 보증한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2) 정보 기억 매체 표면에 생긴 흠집 등에 의해 과거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어도 어느 정도의 백업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17a의 (b)의 예를 취한 경우,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2)를 기록한 후에 사용자의 미스 등으로 정보 기억 매체 표면에 흠집이 생기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2)의 재생이 불가능해진 상태를 예로서 상정한다. 이 경우, 대신에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1)의 정보를 재생함으로써, 어느 정도 과거의 결함 관리 정보(RMD 필드 6 내의 정보)를 회복할 수 있다.
RMD 필드 6의 최초에는 RMD 필드 6의 사이즈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이 필드 사이즈를 가변 결함 관리의 관리 정보 영역(RMD 필드 6]을 확장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 RMD 필드는 2048 사이즈(1 물리 섹터 사이즈분)로 설정하고 있다고 이미 설명했지만, 정보 기억 매체의 결함이 많고, 교체 처리 횟수가 많아지면 2차 결함 리스트 정보의 사이즈가 증대하고, 2048 바이트 사이즈(1 물리 섹터 사이즈 분)로는 수습되지 않게 된다. 그 상황을 고려하여 RMD 필드 6은 2048사이즈의 복수 배(복수의 섹터에 걸쳐 기록 가능)로 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RMD 필드 6의 사이즈"가 2048 바이트를 넘는 경우에는, 복수 물리 섹터분의 영역을 RMD 필드 6에 할당하게 된다.
2차 결함 리스트 정보(SDL) 내에는 상기 설명한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 정보의 외에, 2차 결함 리스트 정보(SDL)의 개시 위치를 도시하는 "2차 결함 리스트 식별 정보", 2차 결함 리스트 정보(SDL)를 몇 번 재기록했는지의 횟수 정보를 나타내는 "2차 결함 리스트의 갱신 카운터(갱신 횟수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2차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수 정보"에 의해 2차 결함 리스트 정보(SDL) 전체의 데이터 사이즈를 알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는 논리적으로 R 존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것을 이미 설명했다. 즉,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예약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의 일부를 R 존이라고 한다. 기록 조건에 따라 이 R 존은 두 가지의 R 존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 추가 사용자 데이터가 다시 기록할 수 있는 타입을 오픈(개방)형 R 존이라 하고, 그 중에 다시 사용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없는 타입을 완결형 R 존이라 한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는 3개 이상의 오픈 R형 존을 가질 수 없다. 즉,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는 오픈 R형 존은 2개소까지밖에 설정할 수 없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 상기 두 가지 중 어느 하나에 R 존을 설정하지 않는 장소, 즉,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상기 두 가지의 R 존 중 어느 하나로서) 예약되어 있지 않은 장소를 인비저블(미지정 상태의) R 존이라고 한다.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 모두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고, 추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인비저블 R 존은 존재하지 않는다.
RMD 필드(7) 내에는 254번째까지의 R 존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RMD 필드(7) 내의 최초에 기록되는 "전체의 R 존의 수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 논리적으로 설정되는 인비저블 R 존의 수와 오픈 R형 존의 수와 완결형 R 존의 수의 합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최초의 오픈 R형 존의 수 정보와 2번째의 오픈 R형 존의 수 정보가 기록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 가능 범위(205) 내에서는 3개 이상의 오픈 R형 존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여기에는 "1" 또는 "0"(최초 또는 2번째의 오픈 R형 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 기록된다. 다음에는, 최초 완결형 R 존의 개시 위치 정보와 종료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로 기재된다. 그 다음에는, 2번째부터 254번째까지의 완결형 R 존의 개시 위치 정보와 종료 위치 정보가 순서대로 물리 섹터 번호로 기재된다.
RMD 필드 8 이후에는 255번째 이후의 완결형 R 존의 개시 위치 정보와 종료 위치 정보가 순서대로 물리 섹터 번호로 기재되고, 완결형 R 존의 수에 따라서 최 대 RMD 필드 15까지(최대 2047개의 완결형 R 존까지) 기재 가능하게 되고 있다.
도 29, 도 30에 도시한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에 도시한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128개까지의 보더 내 영역(BRDA)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부터 128개까지의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가 RMD 필드 3 내에 기록되어 있다. 만일 도중까지 (128개 이하) 밖에 보더 내 영역(BRDA)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이후의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로서 "00h"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RMD 필드 3 내에서 어디까지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몇 개 보더 내 영역(BRDA)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128개까지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으로서
(1) 보더인(BRDI) 내에서 설정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과
(2) R 존을 이용하여 설정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두 가지가 존재하지만,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그 두 가지를 구별하지 않고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개시 위치 정보(물리 섹터 번호로 표시)와 사이즈 정보(점유하는 물리 섹터의 수 정보)의 세트를 RMD 필드 3 내에 기록함으로써 관리하고 있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개시 위치 정보(물리 섹터 번호로 표시)와 사이즈 정보(점유하는 물리 섹터의 수 정보)의 세트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만,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개시 위치 정보(물리 섹터 번호로 표시)와 종료 위치 정보(물리 섹터 번호로 표시)의 세트에 기록되어도 좋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설정된 순서대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번호가 붙여져 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개시 위치로서 물리 섹터 번호가 작은 순서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번호를 붙이는 것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되고, 현재 사용 중인 (오픈이 되어 RMD의 추기가 가능한) 기록 위치 관리 존의 지정을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번호로 지정하고 있다[도 134의 요점 (L13)]. 따라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는 이들의 정보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오픈이 되어 있는)기록 위치 관리 존의 개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고, 거기에서 어느 것이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인지의 식별을 행한다[도 134의 요점 (L13α)].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을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분산 배치해도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취함으로써,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는 어느 것이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인지의 식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들의 정보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오픈이 되어 있는)기록 위치 관리 존의 개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고, 그 장소에 액세스하여 어디까지 이미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아는[도 134의 요점 (L13β)] 것에 의 해,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는 어디에 갱신된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를 기록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2) R 존을 이용하여 설정된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
의 설정을 한 경우에는, 1개의 R 존 전체가 그대로 1개의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대응하기 때문에, RMD 필드 3 내에 기재한 대응하는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 섹터 번호가 RMD 필드 4∼21 내에 기재되는 대응한 R 존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 섹터 번호에 일치한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는 4606개(4351+255)까지 R 존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된 R 존의 위치 정보가 RMD 필드 4∼21 내에 기록된다. 각 R 존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의 정보로 표시되는 동시에, 각 R 존 내에서의 최후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 섹터 번호(LRA)가 쌍을 이루어 기록된다.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 내에 기재되는 R 존의 순서는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R 존의 설정 순으로 되어 있지만,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개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물리 섹터 번호가 작은 순서로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대응 번호의 R 존 설정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란에는 "00h"를 기록한다. 1장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설정된 R 존의 총 수가 RMD 필드 4 내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 총 수 정보는 미결형 R 존[데이터 영역(DTA) 내에서 데이터 기록을 위한 영역 예약을 하고 있지 않은 영역] 수와 오픈 R형 존(뒤에서 추기할 수 있는 미기록 영역을 가지고 있는 R 존) 수와 완결형 R 존(이미 완결되어 있어 뒤에서 추기할 수 있는 미기록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은 R 존) 수의 합계로 표시된다. 한편, 이 총 수 정보는 미결형의 R 존의 서수와 같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추기가 가능한 오픈 R형 존의 설정은 2개까지 설정[도 132a 및 도 132b의 요점 (L5)]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까지 오픈 R형 존의 설정을 할 수 있음으로써 1개의 오픈 R형 존 내에 연속 기록 또는 연속 재생이 보증될 필요가 있는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를 기록하고, 나머지의 1개의 오픈 R형 존 내에 그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대한 관리 정보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사용되는 일반 정보 또는 파일 시스템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기록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오픈 R형 존 내에 각각 나누어 기록할 수 있고, AV 정보(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 등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는, 어떤 R 존이 오픈 R형 존인지를 RMD 필드 4∼21 내에 배열된 R 존의 배치 번호로 지정한다. 즉, 최초와 2번째의 오픈 R형 존에 대응하는 R 존의 번호로 지정한다[도 134의 요점 (L14)]. 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취함으로써, 오픈 R형 존의 검색이 용이해진다. 오픈 R형 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란에 "00h"이 기록된다.
도 98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완결형 R 존 내에서는 R 존의 종료 위치가 최후의 기록 위치(LRA)와 일치하고 있지만, 오픈 R형 존 내에서는 R 존의 종료 위치와 R 존 내의 최후의 기록 위치(LRA)가 상이하다. 오픈 R형 존 내에 사용자 정보를 추기하고 있는 도중[그 결과, 갱신되어야 하는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추기 처리가 완료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도 98의 R 존 #3 내와 같이 최후의 기록 위치(LRA)와 다시 추기 가능한 최종 기록 위치(NWA)(Next writable address)가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 정보의 추기 처리가 완료되어, 갱신되어야 하는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추기 처리가 완료한 후에는, 도 98의 R 존 #4 또는 #5와 같이, 최후 기록 위치(LRA)와 다시 추기 가능한 최종 기록 위치(NWA)가 일치한다. 따라서, 갱신되어야 하는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추기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새로운 사용자 정보의 추기를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내의 제어부(143) 내에서는,
(1) RMD 필드 4 내에 기재되어 있는 오픈 R형 존에 대응하는 R 존의 번호를 조사하고,
(2) RMD 필드 4∼21 내에 기재되어 있는 오픈 R형 존의 최후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 섹터 번호(LRA)를 조사하여 추기 가능한 최종 기록 위치(NWA)를 산출하며,
(3) 상기 산출한 추기 가능한 최종 기록 위치(NWA)에서 추기를 개시한다,
는 순서로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RMD 필드 4 내의 오픈 R형 존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기 개시 위치를 산출[도 134의 요점 (L14α)]함으로써, 간단하고 고속으로 새로운 추기 개시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21, 도 122a 및 도 122b의 실시예에서의 RMD 필드 1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 123a 및 도 123b에 도시한다. 도 25∼도 30에 도시한 실시예에 비교해서 내측의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에 속함]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의 기록 조건 조정을 한 장소의 어드레스 정보와, 외측의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에 속 하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DRTZ) 내에서의 기록 조건 조정을 행한 장소의 어드레스 정보가 추가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는 모두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기재한다. 또한, 도 123a 및 도 123b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조건 자동 조정 방법(런닝 OPC)에 관한 정보와 기록 종료시의 최후 DSV값이 부가되어 있다.
2048 바이트 단위의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로부터 ECC 블록을 구성하여 동기 코드를 부가한 후,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물리 섹터 구조를 형성하기까지의 변환 순서의 개략에 관해서 도 31에 도시한다. 이 변환 순서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중 어느 것에나 공통으로 채용된다. 각 변환 단계에 따라서, 데이터 프레임,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 레코딩 프레임 또는 기록 데이터 필드라 부른다. 데이터 프레임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소이며, 2048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데이터, 4 바이트의 데이터 ID, 2 바이트의 ID 에러 검출 코드(IED), 6 바이트의 예약 바이트(RSV), 4 바이트의 에러 검출 코드(EDC)로 구성된다. 처음에 후술하는 데이터 ID에 IED(ID 에러 검출 코드)가 부가된 후, 6 바이트의 예약 바이트와 데이터 프레임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소이며, 2048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데이터를 부가하고, 다시 에러 검출 코드(EDC)를 부가한 후 메인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이 실행된다. 여기서, 스크램블된 32개의 데이터 프레임(스크램블드 프레임)에 대하여, 크로스 리드 솔로몬 에러 정정 코드가 적용되어 ECC 인코드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따라 레코딩 프레임이 구성된다. 이 레코딩 프레임은, 아우터 패리티 코드(PO), 이너 패리티 코드(PI)를 포함한다. 패리티 코드(PO, PI)는, 각각 32개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 ECC 블록에 대하여 작성된 에러 정정 코드이다. 기록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8데이터 비트를 12 채널 비트로 변환하는 ETM 변조된다. 그리고, 91 바이트마다 선두에 동기 코드(SYNC)가 부가되고 32개의 물리 섹터가 형성된다. 도 31의 우측 아래의 테두리 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32섹터로 하나의 에러 정정 단위(ECC 블록)를 구성하는 부분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2)].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5 또는 도 36에서의 각 테두리 안의 "0"에서 "31"까지의 번호는 각 물리 섹터의 번호를 나타내고, "0"에서 "31"까지의 합계 32개의 물리 섹터로 1개의 큰 ECC 블록을 구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세대 DVD에서는, 현재 세대 DVD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의 흠집이 정보 기억 매체 표면에 붙은 경우라도, 에러 정정 처리로 정확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용량화를 목표로 하여 기록 밀도를 높였다. 그 결과, 종래의 1 ECC 블록=16섹터의 경우에는 에러 정정으로 보정 가능한 물리적 흠집의 길이가 종래의 DVD에 비교해서 줄어든다.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 ECC 블록을 32섹터로 구성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에러 정정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 표면 상의 허용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현행 DVD의 ECC 블록 구조의 호환성·포맷 계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2에 데이터 프레임 내의 구조를 도시한다. 1개의 데이터 프레임은 172 바이트×2×6행으로 이루어지는 2064 바이트이며, 그 안에 2048 바이트의 메인 데이터를 포함한다. IED란 ID Error Detection Code의 약칭으로 데이터 ID 정보에 대 한 재생시의 에러 검출용 부가 코드를 의미하고 있다. REV는 Reserve의 약칭으로 장래 정보를 설정할 수 있기 위한 예약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EDC란 Error Detection Code의약칭으로 데이터 프레임 전체의 에러 검출용 부가 코드를 의미하고 있다.
도 118에 도 32에 표시된 데이터 ID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데이터 ID는 데이터 프레임 정보(921)와 데이터 프레임 번호(922)의 정보로 구성되고, 데이터 프레임 번호는 대응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섹터 번호(922)를 표시하고 있다.
데이터 프레임 정보(921) 내는 하기의 정보로 구성되고 있다.
·포맷 타입(931) : 0b : CLV를 나타내고,
1b : 존 구성을 나타낸다
·트랙킹 방법(932) : 0b : 피트 대응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DPD(Differential Phase Detect)법을 사용한다
1b : 프리 그루브 대응으로, Push-Pull법 또는 DPP(Differential Push-Pull)법을 사용한다
·기록막의 반사율(933) : 0b : 40% 이상
1b : 40% 이하
·레코딩 타입 정보(934) : 0b : 일반 데이터
1b : 실시간 데이터(Audio Video 데이터)
·영역 타입 정보(935) : 00b : 데이터 영역(DTA)
01b : 시스템 리드인 영역(SYLDI)이나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10b :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이나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SYLDO)
·데이터 타입 정보(936) : 0b : 재생 전용 데이터
1b : 재기록 가능 데이터
·레이어 번호(937) : 0b : 레이어 0
1b : 레이어 1
도 33의 (a)는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을 작성할 때에,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에 부여하는 초기값의 예를 도시하고, 도 33의 (b)는, 스크램블 바이트를 작성하기 위한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r7(MSB) 내지 r0(LSB)이 8비트씩 시프트하여 스크램블 바이트로서 이용된다. 도 3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6종류의 프리셋값이 준비되어 있다. 도 33의 (a)의 초기 프리셋 번호는 데이터 ID의 4비트[b7(MSB)∼b4(LSB)]와 같다. 데이터 프레임의 스크램블의 개시 시에는, r14∼r0의 초기값은 도 33의 (a)의 테이블의 초기 프리셋값에 세트해야 한다. 16개의 연속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하여, 동일한 초기 프리셋값이 이용된다. 다음에는, 초기 프리셋값이 전환되고 16개의 연속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한정 교체된 동일한 프리셋값이 이용된다.
r7∼r0의 초기값의 하위 8비트는 스크램블 바이트(S0)로서 추출된다. 그 후, 8비트의 시프트가 행해지고 다음에 스크램블 바이트가 추출되며, 2047회 이러한 동작이 반복된다.
도 34에 본 실시예에서의 ECC 블록 구조를 도시한다. ECC 블록은 연속하는 32개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방향으로 192행+16행, 가로 방향으로 (172+10)×2열이 배치되어 있다. B0, 0, B1, 0, …은 각각 1 바이트이다. PO, PI는 에러 정정 코드이며, 아우터 패리티, 이너 패리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부호를 이용한 ECC 블록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2차원형으로 배치하고, 에러 정정용 부가 비트로서 "행" 방향에 대해서는 PI, "열" 방향에 대해서는 PO를 부가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부호를 이용한 ECC 블록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이레이저 정정 및 세로와 가로의 반복 정정 처리에 의한 높은 에러 정정 능력을 보증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ECC 블록 구조는 종래의 DVD의 ECC 블록 구조와는 달리, 동일 "행" 중에서 2개소 PI를 설정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도 34에 있어서 중앙에 기재된 10 바이트 사이즈의 PI는 그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172 바이트에 대하여 부가된다. 즉, 예컨대 B0, 0에서 B0, 171의 172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PI로서 B0, 172에서 B0, 181의 10 바이트의 PI를 부가하고, B1, 0에서 B1, 171의 172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PI로서 B1, 172로부터 B1, 181의 10 바이트의 PI를 부가한다.
도 34의 우단에 기재된 10 바이트 사이즈의 PI는 그 좌측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172 바이트에 대하여 부가된다. 즉, 예컨대 B0, 182로부터 B0, 353의 172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PI로서 B0, 354로부터 B0, 363의 10 바이트의 PI를 부가한다.
도 35에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 배열 설명도를 도시한다. (6행×172 바이트) 단위가 1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으로서 취급된다. 즉, 1 ECC 블록은 연속하는 32개의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블록 182 바이트×207 바이트)를 쌍으로서 취급한다. 좌측의 ECC 블록의 각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의 번호에 L을 붙이고, 우측의 ECC 블록의 각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의 번호에 R을 붙이면,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의 블록에 좌측과 우측의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이 교대로 존재하고, 우측의 블록에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이 교대로 존재한다.
즉, ECC 블록은 32개의 연속 스크램블 후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홀수 섹터의 좌측 절반의 각 행은 우측 절반의 행과 교환되고 있다. 172×2 바이트×192행은 172 바이트×12행×32 스크램블드 프레임과 동일하게 데이터 영역이 된다. 16 바이트의 PO가, 각 172×2열에 RS(208, 192, 17)의 아우터 코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가된다. 또한 10 바이트의 PI(RS(182, 172, 11)]가 좌우의 블록의 각 208×2행에 부가된다. PI는 PO의 행에도 부가된다. 프레임 내의 숫자는 스크램블드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서픽스의 R, L은 스크램블드 프레임의 우측 절반과 좌측 절반을 의미한다.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소 ECC 블록에 분산 배치하는 것[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소 ECC 블록에서 큰 1 ECC 블록을 구성하고,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이 2개의 소 ECC 블록 이내에 교대로 분산 배치[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1)]한다. 도 34의 설명의 부분에서 중앙에 기재된 10 바이트 사이즈의 PI는 그 좌측에 배치 되어 있는 172 바이트에 대하여 부가되고, 우단에 기재된 10 바이트 사이즈의 PI는 그 좌측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172 바이트에 대하여 부가되는 것을 이미 설명하였다. 즉 도 34의 좌단으로부터 172 바이트와 연속하는 10 바이트의 PI에서 좌측의 소 ECC 블록을 구성하고, 중앙의 172 바이트로부터 우단의 10 바이트의 PI에서 우측의 소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그것에 대응하여 도 35의 각 테두리 안의 기호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35에서 "2-R" 등의 의미는 데이터 프레임 번호와 좌우의 소 ECC 블록 중 어디에 속하는지(예컨대 2번째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서 우측의 소 ECC 블록에 속함)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구성되는 각 물리 섹터마다에 동일 물리 섹터 내의 데이터도 교대로 좌우의 소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된다[도 18a 및 도 18b에서의 좌측 절반의 열은 좌측의 소 ECC 블록(도 84에 도시한 좌측의 소 ECC 블록 A)에 포함되고, 우측 절반의 열은 우측의 소 ECC 블록(도 84에 도시한 우측의 소 ECC 블록 B)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 내를 복수의 소 ECC 블록에 분산 배치하면 (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 물리 섹터(도 18a 및 도 18b) 내 데이터의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한 기록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기록 시에 트랙이 떨어져 기존 기록 데이터 상을 오버라이트하여, 1 물리 섹터 분의 데이터가 파괴된 경우를 생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섹터 내의 파괴 데이터를 2개의 소 ECC 블록을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행하기 때문에, 1개의 ECC 블록 내에서의 에러 정정의 부담이 경감되어, 보다 성능이 좋은 에러 정정이 보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CC 블록 형성 후에도 각 섹터의 선두 위치에 데이터 ID가 배 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세스 시의 데이터 위치 확인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도 36에 PO의 인터리브 방법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의 패리티 행은 1행씩 분산된다. 즉, 16의 패리티 행은 2개의 레코딩 프레임 간격에 대해서 1행씩 배치된다. 따라서, 12행으로 이루어지는 레코딩 프레임은 12행+1행이 된다. 이 행 인터리브가 행해진 후, 13행×182 바이트는 레코딩 프레임으로서 참조된다. 따라서, 행 인터리브가 행해진 후의 ECC 블록은 32개의 레코딩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레코딩 내에는 도 3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측과 좌측의 블록의 행이 6행씩 존재한다. 또한, PO는 좌측의 블록(182×208 바이트)과 우측의 블록(182×208 바이트) 사이에서 다른 행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서는 하나의 완결 형태의 ECC 블록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데이터 재생 시에는 이러한 ECC 블록이 연속하여 에러 정정 처리부에 도래한다. 이러한 에러 정정 처리의 정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터리브 방식이 채용되었다.
도 32에 도시한 1개의 데이터 프레임 내의 구조로부터 도 36에 도시한 PO의 인터리브 방법까지의 관계에 관해서 도 8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4에서는 도 36에 도시한 PO 인터리브 후의 ECC 블록 구성도의 상측 부분을 확대하고, 그 중에 도 32에 도시한 데이터 ID, IED, RSV, EDC의 배치 장소를 명시함으로써, 도 32 내지 도 36까지의 변환의 연결이 한눈에 발견되도록 하였다. 도 84의 "0-L", "0-R", "1-R", "1-L"은 도 35의 각 "0-L", "0-R", "1-R", "1-L에 대응한다. "0-L" 또는 "1-L"은 도 32의 좌측 절반 즉, 중앙선으로부터 좌측의 172 바이트와 6행으로 구성되는 통합에 대하여 메인 데이터에만 스크램블을 가한 후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0-R" 또는 "1-R"은 도 32의 우측 절반 즉, 중앙선으로부터 우측의 172 바이트와 6행으로 구성되는 통합에 대하여 메인 데이터에만 스크램블을 가한 후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3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0-L" 또는 "1-L"의 최초 행(0행 번째)의 처음부터 12 바이트째까지 데이터 ID, IED, RSV가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도 84에서 중심선의 좌측은 좌측의 소 ECC 블록 A를 구성하고, 중심선의 우측은 우측의 소 ECC 블록 B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84에서 알 수 있듯이 "0-L" 또는 "2-L"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ID #1, 데이터 ID #2, RED #0, IED #2, RSV #2는 좌측의 소 ECC 블록 A에 포함된다. 도 35에서, 좌측에는 "0-L" 또는 "2-L"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0-R" 또는 "2-R"가 배치되어 있는 데에 대하여, "1-R"과 "1-L"의 배치는 좌우 역회전하여 우측에 "1-L"가 배치되고, 좌측에 "1-R"가 각각 배치된다. "1-L"의 최초 행의 처음부터 12 바이트째까지 데이터 ID #1, IED #1, RSV #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배치가 역회전한 결과, 도 84로부터 알 수 있듯이 "1-L" 안에 포함되는 데이터 ID #1, IED #1, RSV #1이 우측의 소 ECC 블록 B 중에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4에서의 "0-L"와 "0-R"의 조합을 "0번째의 레코딩 프레임", "1-L"과 "1-R"의 조합을 "1번째의 레코딩 프레임"이라고 한다. 각 레코딩 프레임 사이의 경계는 도 84의 굵은 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4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레코딩 프레임의 선두에는 데이터 ID, 각 레코딩 프레임의 마지막에는 PO와 PI-L이 배치된다.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딩 프레임의 홀수와 짝수 번째로 데이터 ID가 포함되는 소 ECC 블록이 상이하고, 레코딩 프레임의 연속에 따라서 데이터 ID, IED, RSV가 좌측과 우측의 소 ECC 블록 A와 B에 교대로 배치되는[도 127의 요점 (H5)] 것에 특징이 있다. 1개의 소 ECC 블록 내에서의 에러 정정 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특정수를 넘은 랜덤 에러 또는 특정 길이를 넘은 버스트 에러에 대해서는 에러 정정이 불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ID, IED, RSV를 좌측과 우측의 소 ECC 블록 A와 B에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데이터 ID의 재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정보 기억 매체 상의 결함이 다수 발생하여 어느 쪽의 소 ECC 블록의 에러 정정이 불가능해지고, 그곳에 속하는 데이터 ID의 해독이 불가능해져도, 데이터 ID, IED, RSV가 좌측과 우측의 소 ECC 블록 A와 B에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쪽의 소 ECC 블록으로는 에러 정정이 가능하여, 나머지의 데이터 ID의 해독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ID 내의 어드레스 정보에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해독 가능한 데이터 ID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독이 불가능하던 데이터 ID의 정보에 대하여 보간이 가능하다. 그 결과, 도 84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액세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4의 좌측의 괄호로 둘러싼 번호는 PO 인터리브 후의 ECC 블록 내의 행 번호를 도시하고 있다.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는, 행 번호 순서로 좌측부터 우측을 따라서 순서대로 기록된다. 도 84에서 각 레코딩 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ID 간격은 항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6)] 때문에, 데이터 ID 위치 검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물리 섹터 구조를 도 37에 도시한다. 도 37의 (a)가 짝수 번째의 물리 섹터 구조를 도시하고, 도 37의 (b)가 홀수 번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37에 있어서 짝수 기록 데이터 영역 및 홀수 기록 데이터 영역의 모두가 최후의 2 동기 프레임(즉, 최후의 동기 코드가 SY3인 부분과 그 직후의 동기 데이터 및 동기 코드가 SY1인 부분과 그 직후의 동기 데이터가 나열한 부분) 중의 동기 데이터 영역에 도 36에서 도시한 아우터 패리티(PO)의 정보가 삽입된다.
짝수 기록 데이터 영역 내의 최후의 2동기 프레임 개소에는 도 35에 도시한 좌측의 PO의 일부가 삽입되고, 홀수 기록 데이터 영역 내의 최후의 2동기 프레임 개소에는 도 35에 도시한 우측의 PO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ECC 블록은 각각 좌우의 소 ECC 블록으로 구성되고, 섹터마다 교대로 다른 PO 그룹(좌측의 소 ECC 블록에 속하는 PO 또는, 우측의 좌측의 소 ECC 블록에 속하는 PO)의 데이터가 삽입된다. 도 37의 (a)에 도시한 짝수 번째의 물리 섹터 구조와 도 37의 (b)에 도시한 홀수 번째의 데이터 구조 모두가 중심선으로 2분할되고, 좌측의 "24+1092+24+1092 채널 비트"가 도 34, 또는 도 35에 도시한 좌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되며, 우측의 "24+1092+24+1092 채널 비트"가 도 34 또는 도 35에 도시한 우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된다.
도 37에 도시한 물리 섹터 구조가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는 각 1열마다 순서대로 기록된다. 따라서, 예컨대 도 37의 (a)에 도시한 짝수 번째의 물리 섹터 구조의 채널 비트 데이터를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최초에 기록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가 좌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되고, 다음에 기록 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가 우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된다. 또한, 다음에 기록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는 좌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37의 (b)에 도시한 홀수 번째의 데이터 구조의 채널 비트 데이터를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최초에 기록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가 우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되고, 다음에 기록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가 좌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된다. 또한 다음에 기록하는 2232 채널 비트의 데이터는 우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물리 섹터를 2개의 소 ECC 블록 내에 2232 채널 비트마다 교대로 소속시키는[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1)] 것에 특징이 있다. 이것을 별도의 형태로 표현하면, 우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되어 데이터와 좌측의 소 ECC 블록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2232 채널 비트마다 교대로 분산 배치한 형태로 물리 섹터를 형성하여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버스트 에러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예컨대, 정보 기억 매체의 원주 방향으로 긴 흠집이 생겨, 172 바이트를 넘는 데이터의 판독이 불가능하게 된 버스트 에러의 상태를 생각한다. 이 경우의 172 바이트를 넘는 버스트 에러는 2개의 작은 ECC 블록 내에 분산 배치되기 때문에, 1개의 ECC 블록 내에서의 에러 정정의 부담이 경감되어 보다 성능이 좋은 에러 정정이 보증된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ECC 블록을 구성하는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짝수 번호인지 홀수 번호인지로 물리 섹터 내의 데이터 구조가 상이한[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3)] 것에 특징이 있다. 즉
(1) 물리 섹터의 최초의 2232 채널 비트 데이터가 속하는 소 ECC 블록(우측 또는 좌측)이 상이하다.
(2) 섹터마다에 교대로 상이한 PO 그룹의 데이터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결과, ECC 블록을 구성한 후에도 모든 물리 섹터의 선두 위치에 데이터 ID가 배치되는 구조를 보증하기 때문에, 액세스 시의 데이터 위치 확인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물리 섹터 내에 상이한 소 ECC 블록에 속하는 PO를 혼재 삽입함으로써, 도 36과 같은 PO 삽입 방법을 채용하는 방법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정보 재생 장치 내에서의 에러 정정 처리 후의 각 섹터마다의 정보 추출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내에서의 ECC 블록 데이터의 조립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PO의 인터리브 삽입 위치가 좌우로 상이한 구조[도 128a 및 도 128b의 요점 (H4)]로 하고 있다. 도 36이 좁은 2중선으로 표시된 부분, 또는 좁은 2중선과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PO의 인터리브 삽입 위치를 도시하고, 짝수 번째의 물리 섹터 번호로서는 좌측의 마지막으로, 홀수 번째의 물리 섹터 번호로서는 우측의 마지막으로 각각 PO가 삽입된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ECC 블록을 구성한 후에도 물리 섹터의 선두 위치에 데이터 ID가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세스 시의 데이터 위치 확인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한 동기 코드"SY0"에서 "SY3"까지의 구체적인 패턴 내용의 실시 예를 도 38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변조 규칙(상세 설명은 후술)에 대응하여 상태 0 내지 상태 2까지의 3 상태를 갖는다. SY0 내지 SY3까지의 각각 4종류의 동기 코드가 설정되고, 각 상태에 따라서 도 38의 좌우의 그룹에서 선택된다. 현행 DVD 규격으로서는 변조 방식으로서 8/16 변조(8비트를 16채널 비트로 변환)의 RLL(2, 10)(Run Length Limited id=2, k-10 : "0"이 연속하여 계속되는 범위의 최소값이 2, 최대값이 10)을 채용하고 있고, 변조에 상태 1 내지 상태 4까지의 4 상태, SY0 내지 SY7까지의 8 종류의 동기 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그것에 비교하면, 본 실시예는 동기 코드의 종류가 감소하고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 시에 패턴 매칭법에 의해 동기 코드의 종별을 식별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동기 코드의 종류를 대폭 줄임으로써 매칭에 필요한 대상 패턴을 삭감하고, 패턴 매칭에 필요한 처리를 간소화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식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8에 있어서 "#"으로 도시한 비트(채널 비트)는 DSV 제어 비트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DSV 제어 비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DSV 제어기에 의해 DC 성분을 억압(DSV의 값이 "0"에 접근함) 하도록 결정된다. 동기 코드 내에 극성 반전 채널 비트 "#"를 포함하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I]) 것도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동기 코드를 사이에 둔 양측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도 37의 1092 채널 비트의 영역)을 포함시키고, 거시적으로 보아 DSV값이 "0"에 접근하도록 "#"의 값을 "1" 또는 "0"으로 선택할 수 있어, 거시적인 시야에선 DSV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동기 코드는 하기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
모든 동기 코드에서 공통인 패턴을 갖고 고정 코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 코드를 검출함으로써 동기 코드의 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의 각 동기 코드에서의 최후의 18채널 비트 "010000000000001001"의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
(2)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부
가변 코드 영역의 일부를 형성하여, 변조시의 상태 번호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코드이다. 도 38의 최초의 1채널 비트의 부분이 해당한다. 즉, 상태 1, 상태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SY0 내지 SY3까지의 어느 하나의 코드라도 최초의 1채널 비트가 "0"이 되고, 상태 0 선택 시에는 동기 코드의 최초의 1채널 비트가 "1"로 되어 있다. 단지, 예외로서 상태 0에서의 SY3의 최초의 1채널 비트는 "0"이 된다.
(3)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부
동기 코드 내에서의 SY0 내지 SY3까지의 각 종류를 식별하는 코드로, 가변 코드 영역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8의 각 동기 코드에서의 처음부터 1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채널 비트부가 이것에 해당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하여 검출되는 3개씩의 동기 코드의 관계 패턴으로부터 동일 섹터 내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4) DC 억압용 극성 반전 코드부
도 38에서의 "#" 위치에서의 채널 비트가 해당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의 비트가 반전 또는 비반전함으로써 전후의 프레임 데이터를 포함한 채널 비트열의 DSV값이 "0"에 접근하도록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 방법에 8/12 변조(ETM), RLL(1, 10)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변조시에 8비트를 12 채널 비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0"이 연속하여 계속되는 범위는 최소값(d값)이 1, 최대값(k값)이 10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1로 함으로써 종래부터 고밀도화를 달성할 수 있지만, 밀집된 마크의 부분에서는 충분히 큰 재생 신호 진폭을 얻기 어렵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PR 등화 회로(130)와 비터비 복호기(156)를 갖고, PRML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안정된 신호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k=10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변조된 일반의 채널 비트 데이터 중에는 "0"이 연속하여 11개 이상 계속되는 일이 없다. 이 변조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한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에서는 변조된 일반의 채널 비트 데이터 내에는 나타나지 않는 패턴을 갖게 하고 있다. 즉,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에서는 "0"을 연속적으로 12(=k+2)개 계속하고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에서는 이 부분을 찾아내어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나머지에 길게 "0"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면 비트 시프트 에러가 일어나 쉽기 때문에, 그 폐해를 완화하기 위해서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 내에서는 그 직후에 "0"의 연속 갯수가 적은 패턴을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1이기 때문에, 대응 패턴으로서는 "101"의 설정은 가능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101"의 부분(밀집한 패턴의 부분)에서는 충분히 큰 재생 신호 진폭이 얻기 어렵기 때문에, 그 대신에 "1001"을 배치하여,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의 패턴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코드 내의 뒤측의 18채널 비트를 독립적으로 (1)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로 하여, 전측의 6채널 비트에서 (2) 변조시의 변환 테이블 선택 코드부, (3) 동기 프레임 위치 식별용 코드부, (4) DC 억압용 극성 반전 코드부를 겸용하고 있는 바에 특징이 있다. 동기 코드 내에서(1) 동기 위치 검출용 코드부를 독립시킴으로써 단독 검출을 쉽게 하여 동기 위치 검출 정밀도를 높이고, 6채널 비트 내에 (2)∼(4)의 코드부를 겸용화함으로써 동기 코드 전체의 데이터 사이즈(채널 비트 사이즈)를 작게 하며, 동기 데이터의 점유율을 높임으로써 실질적인 데이터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8에 도시하는 4종류의 동기 코드 중, SY0만을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내의 최초의 동기 프레임 위치에 배치한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그 효과로서, SY0을 검출하는 것 만으로 즉시 섹터 내의 선두 위치가 산출되고, 섹터 내의 선두 위치 추출 처리가 매우 간소화된다.
또한, 연속하는 3개의 동기 코드의 조합 패턴은 동일 섹터 내에서 모두 상이하다는 특징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 전용형/추기형/재기록형 중 어느 하나의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해서도 하기에 설명하는 공통의 변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데이터 필드의 8비트의 데이터 워드는 8/12 변조(ETM)법에 의해 디스크 상의 채널 비트로 변환된다. ETM법에 의해 변환된 채널 비트열은 채널 비트 1b가 적어도 1, 최대로는 10채널 비트 떨어져 있다는 RLL(1, 10)이라는 런랭스의 제약을 만족한다.
변조는 도 43∼도 48에 도시하는 코드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변환 테이블은 각 데이터 워드 "00h"∼"FFh"와 각 상태 0∼2마다 대응하는 코드 워드의 12 채널 비트와 다음 데이터 워드의 상태를 도시한다.
변조 블록의 구성을 도 39에 도시한다.
코드 테이블(352)은 데이터 워드 B(t)와 상태 S(t)로부터 코드 워드 X(t)와 다음 상태 S(t+1)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X(t)=H{B(t), S(t)}
S(t+1)= G{B(t), S(t)}
H는 코드 워드 출력 기능, G는 다음 상태 출력 기능이다.
상태 레지스터(358)는 코드 테이블(352)로부터 다음 상태 S(t+1)를 입력하여 코드 테이블(352)로 (현재)상태 S(t)를 출력한다.
코드 변환 테이블 내의 몇 개의 12 채널 비트는 "0b", "1b"와 함께 애스터리스크 비트 "*"와 샤프 비트 "#"를 포함한다.
코드 변환 테이블 내의 애스터리스크 비트 "*"는 비트가 합병 비트인 것을 도시한다. 변환 테이블 내의 몇 개의 코드 워드는 LSB에 합병 비트를 갖는다. 합병 비트는 자신에 후속하는 채널 비트에 따라서 코드 커넥터(354)에 의해 "0b", "1b"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된다. 후속 채널 비트가 "0b"이면, 합병 비트는 "1b"로 설정된다. 후속 채널 비트가 "1b"이면 합병 비트는 "0b"로 설정된다.
변환 테이블 내의 샤프 비트 "#"는 비트가 DSV 제어 비트인 것을 도시한다. DSV 제어 비트는 DSV 제어기(536)에 의해 DC 성분 억압 제어를 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40에 도시하는 코드 워드를 위한 연결 규칙은 코드 테이블에서 얻어진 코드 워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인접하는 2개의 코드 워드가 테이블 내의 전 코드 워드와 현재 코드 워드로서 표시되는 패턴과 일치하면, 이들의 코드 워드는 테이블에 표시되는 연결 코드 워드로 대체된다. "?" 비트는 "0b", "1b", "#" 중 어느 하나이다. 연결 코드 워드 내의 "?" 비트는 치환하지 않고 전 코드 워드와 현재 코드 워드로서 할당된다.
코드 워드의 연결은 전 연결 점에 우선 적용된다. 테이블 내의 연결 규칙은 각 연결 점에 인덱스의 순서대로 적용된다. 몇 개의 코드 워드는 전 코드 워드와 후 코드 워드와 접속하기 때문에 2회 치환된다. 전 코드 워드의 합병 비트는 연결을 위한 패턴 매칭의 전에 결정된다. 전 코드 워드, 또는 현재 코드 워드의 DSV 제어 비트 "#"는 코드 접속의 전후의 특별 비트로서 취급된다. DSV 제어 비트는 "0b" 도 "1b"도 아니고, "?"이다. 코드 워드의 연결 규칙은 코드 워드를 동기 코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코드 워드와 동기 코드의 접속을 위해서는 도 41에 도시하는 연결 규칙이 사용된다.
레코딩 프레임의 변조 시에는 동기 코드는 91 바이트의 데이터 워드의 각 변조 코드 워드의 선두에 삽입된다. 변조는 동기 코드의 후의 상태 2로부터 시작되 고, 변조 코드 워드가 각 변환 코드 워드의 선두에 MSB로서 순서대로 출력되어 디스크에 기록되기 전에 NRZI 변환된다.
동기 코드는 DC 성분 억압 제어를 행함으로써 결정된다.
DC 성분 억압 제어(DCC)는 NRZI 변환 변조 채널 비트 스트림에서의 누적 DSV("1b"를 +1로 하고, "0b"를 -1로서 가산함)의 절대값을 최소화한다. DCC 알고리즘은 DSV의 절대값이 최소화되도록 이하의 (a)와 (b)의 사례마다 코드 워드와 동기 코드의 선택을 제어한다.
(a) 동기 코드의 선택(도 38 참조)
(b) 연결 코드 워드의 DSV 제어 비트 "#"의 선택
선택은 연결 코드 워드와 동기 코드의 각 DSV 비트의 위치에서의 누적 DSV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계산의 기초가 되는 DSV는, 변조의 개시 시에는 0의 초기값과 가산되어, 변조가 종료할 때까지 이하 순서대로 가산이 계속되고, 0에는 리셋되지 않는다. DSV 제어 비트의 선택은 개시점은 DVS 제어 비트이며, 다음 DSV 제어 비트의 직전에서 DSV의 절대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채널 비트 시트림의 선택을 의미한다. 2개의 채널 비트 스트림 중 DSV의 절대값이 작은 쪽이 선택된다. 만일, 2개의 채널 비트 스트림의 DSV의 절대값이 동일한 경우는, DSV 제어 비트 "#"는 "0b"가 된다.
논리적으로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의 계산에서의 최대의 DSV를 고려하면, DVS 계산의 범위는 적어도 ±2047 필요하다.
이하에 복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복조기는 12 채널 비트의 코드 워드를 8비트의 데이터 워드로 변환한다. 코드 워드는 판독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도 42에 도시하는 분리 규칙을 이용하여 재생된다. 인접하는 2개의 코드 워드가 분리 규칙의 패턴과 일치하면, 이들의 코드 워드는 테이블에 표시되는 현재 코드 워드와 다음 코드 워드로 대체된다. "?" 비트는 "0b", "1b", "#" 중 어느 하나이다. 현재 코드 워드와 다음 코드 워드의 "?" 비트는 판독 코드 워드에 있어서는 치환되지 않고 그대로 할당된다.
동기 코드와 코드 워드의 경계는 치환하지 않고 분리된다.
코드 워드로부터 데이터 워드로의 변환은 도 49∼도 58에 도시하는 복조용 테이블에 따라서 실행된다. 가능성이 있는 모든 코드 워드가 복조용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 "z"는 "00h"∼"FFh"까지의 어느 쪽의 데이터 워드라도 좋다. 분리된 현재 코드 워드는 다음 코드 워드의 4채널 비트, 또는 다음 동기 코드의 패턴을 관찰함으로써 디코드된다.
사례 1 : 다음 코드 워드는 "1b"에서 시작되거나, 다음 동기 코드는 상태 0의 SY0∼SY2이다.
사례 2 : 다음 코드 워드는 "0000b"에서 시작되거나, 다음 동기 코드는 상태 0의 SY3이다.
사례 3 : 다음 코드 워드는 "01b", "001b", "0001b"에서 시작되거나, 다음 동기 코드는 상태 l, 2의 SY0∼SY3이다.
도 16에 도시한 참조 코드 기록 존(RCZ)에 기록되는 참조 코드의 패턴 내용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현행 DVD에서는 변조 방식으로서 8비트 데이터를 16채 널 비트로 변환하는 "8/16 변조" 방식을 채용하고, 변조 후의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채널 비트열로서의 참조 코드의 패턴은 "00100000100000010010000010000001"의 반복 패턴이 이용되고 있다. 그것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8비트 데이터를 12 채널 비트로 변조하는 ETM 변조를 이용하여, RLL(1 ,0)의 런랭스 제약을 하는 동시에,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데이터 영역(DTA),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DTLDO) 및 중간 영역(MDA)으로부터의 신호 재생에 PRML법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변조 규칙과 PRML 검출에 최적의 참조 코드의 패턴을 설정해야 한다. RLL(1, 10)의 런랭스 제약에 따르면, "0"이 연속하는 최소값은 "d=1"과 "10101010"의 반복 패턴이 된다. "1" 또는 "0"의 코드로부터 다음 인접 코드까지의 거리를 "T"라고 하면, 상기 패턴에서의 인접하는 "1" 사이의 거리는 "2T"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한 "2T"의 반복 패턴("10101010")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광학 헤드 내의 대물 렌즈[도 1의 정보 기록 재생부(141)에 존재함]의 MTF(Modulation Transfer Fuction) 특성의 차단 주파수 근방에 있기 때문에, 거의 변조도(신호 진폭)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회로 조정[예컨대 도 5의 탭 제어기(332) 내에서 행하는 각 탭 계수의 초기 최적화]에 사용하는 재생 신호로서 "2T"의 반복 패턴("10101010")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는, 노이즈의 영향이 크고 안정화가 부족하다. 따라서, RLL(1, 10)의 런랭스 제약에 따라서 행하는 변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는 다음에 밀도가 높은 "3T"의 패턴을 사용하여 회로 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 신호의 DSV값을 생각한 경우에는, "1"의 직후에 오는 다음 "1"까지의 사이의 "0"이 연속하는 횟수에 비례하여 DC(직류)값의 절대값이 증가하고 직전의 DSV값에 가산된다. 이 가산되는 DC값의 극성은 "1"이 올 때마다 반전된다. 따라서, 참조 코드가 연속하는 채널 비트열이 계속된 곳에서 DSV값을 "0"으로 하는 방법으로서, ETM 변조 후의 12개의 채널 비트열 내에서 DSV값이 "0"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보다, ETM 변조 후의 12개의 채널 비트열에 출현하는 "1"의 발생수를 홀수개 12 채널 비트로 이루어지는 1조의 참조 코드 셀로 발생하는 DC 성분을 다음 세트로 이루어지는 12 채널 비트의 참조 코드셀로 발생하는 DC 성분으로 상쇄시키는 쪽이 참조 코드 패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ETM 변조 후의 12개의 채널 비트열로 이루어지는 참조 코드셀 내에서 출현하는 "1"의 수를 홀수개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화를 위해 "1"의 부분이 기록 마크 또는 엠보스 피트의 경계 위치에 일치하는 마크 에지 기록법을 채용하고 있다. 예컨대 "3T"의 반복 패턴("100100100100100100100")이 계속된 경우에, 기록 조건 또는 원반 작성 조건에 의해 기록 마크 또는 엠보스 피트의 길이와 그 사이에 있는 스페이스의 길이가 약간 다른 경우가 생긴다. PRML 검출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재생 신호의 레벨값이 매우 중요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마크 또는 엠보스 피트의 길이와 그 사이에 있는 스페이스의 길이가 약간 다른 경우라도, 안정되고 정밀도 좋게 신호 검출할 수 있도록 그 약간의 상이분을 회로적으로 보정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회로 정수를 조정하기 위한 참조 코드로서는 "3T"의 길이의 기록 마크 또는 엠보스 피트와 같이 "3T"의 길이의 스페이스가 있던 쪽이 회로 정수의 조정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참조 코드 패턴으로서 "1001001"의 패턴이 내부에 포함되면, 반드시 "3T"의 길이의 기록 마크 또는 엠보스 피트와 스페이스가 배치되게 된다.
회로 조정에는 밀도가 가득 찬 패턴("1001001")만이 아니라 밀도가 성긴 상태의 패턴도 필요하다. 따라서, ETM 변조 후의 12개의 채널 비트열의 중에서 "1001001"의 패턴을 제외한 부분에서 밀도가 성긴 상태("0"이 연속하여 많이 발생하는 패턴)를 발생시키고, 또한 "1"의 출현 수를 홀수개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하면 참조 코드 패턴은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0100100000"의 반복이 최적 조건이 된다. 변조 후의 채널 비트 패턴이 상기 패턴이 되기 위해서는, 전술한 변조 테이블을 이용하면, 변조 전의 데이터 워드는 도 46으로부터 "A4h"로 설정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A4h"(16진법 표현)의 데이터는 데이터 심볼 "164"(10진법 표현)에 대응한다.
상기한 데이터 변환 규칙에 따른 구체적인 데이터의 작성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전술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 내에서 메인 데이터 "D0∼D2047"에 데이터 심볼 "164"(="0A4h")을 우선 설정한다. 다음에, 데이터 프레임 1부터 데이터 프레임 15에 대하여 초기 프리셋 번호 "0Eh"로 미리 프리스크램블을 걸어 두고, 데이터 프레임 16부터 데이터 프레임 31에 대해서는 초기 프리셋 번호 "0Fh"로 미리 프리스크램블을 걸어 둔다. 미리 프리스크램블을 걸어 놓으면, 상기한 데이터 변환 규칙에 따라서 스크램블을 걸었을 때에 2중으로 스크램블을 거는 것이 되고, (2중으로 스크램블을 걸면 원래의 패턴으로 되돌아감)데이터 심볼 "164"(="0A4h")가 그대로 나타난다. 32 물리 섹터로 이루어지는 참조 코드 모두에 프리스크램블을 걸면 DSV 제어를 할 수 없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 0만은 사전의 프리스크램블은 걸지 않는다. 상기한 스크램블을 건 후, 변조하면 도 59에 도시한 패턴이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된다.
도 37에 도시한 1개의 물리 섹터 내의 구조를 갖는 채널 비트 데이터를 연속하여 정보 기억 매체(221)에 기록하는 태양을 도 60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221)의 종류(재생 전용형/추기형/재기록형)에 따르지 않고, 정보 기억 매체(221) 상에 기록되는 채널 비트 데이터는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 데이터의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데이터의 에러 검출 또는 에러 정정이 가능해지는 가장 큰 데이터 단위인 한 개의 ECC 블록(401) 내에는 32개의 물리 섹터(230∼241)로 구성되고 있다. 도 37에서 이미 설명하고, 다시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SY0" 내지 "SY3"까지의 어느 하나에 동기 코드((431)를 형성하는 24 채널 비트 데이터와 각 동기 코드 사이에 배치된 1092 채널 비트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동기 데이터(432)로부터 동기 프레임(#0420∼#25429)이 구성된다. 각 물리 섹터 (#0230∼#31241) 내에는 각각 26개씩의 동기 프레임(#0420∼#25429)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동기 프레임 내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16채널 비트(24+1092)의 데이터가 포함되고, 이 1개의 동기 프레임이 기록되는 정보 기억 매체(221) 상의 물리적 거리인 동기 프레임 길이(433)는 도달하는 곳은 거의 일정(존 내 동기를 위한 물리적 거리의 변화분을 제외한 경우)하게 되어 있다.
도 6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각종 정보 기억 매체마다의 데이터 기록 형식(포맷)의 비교를 설명한다. 도 61의 (a)는 종래의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DVD-ROM)와 종래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DVD-R) 및 종래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DVD-RW)에서의 데이터 기록 형식을 도시하고, 도 61의 (b)는 본 실시예에서의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기록 형식, 도 61의 (c)는 본 실시예에서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기록 형식, 도 61의 (d)는 본 실시예에서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기록 형식을 도시하고 있다. 비교를 위해 각 ECC 블록(411∼418)의 크기를 동일하게 맞추고 있지만, 도 61의 (a)에 도시한 종래의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DVD-ROM)와 종래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DVD-R) 및 종래의 재기록 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DVD-RW에서는 16물리 섹터로 1개의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음에 대하여, 도 61의 (b)∼(d)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는 32물리 섹터로 1개의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1의 (b)∼(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ECC 블록(#1411∼ #8418) 사이에 동기 프레임 길이(433)와 동일한 길이의 가드 영역(442∼448)을 설치하고 있는 부분에 특징(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이 있다.
종래의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DVD-ROM)에서는 도 6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ECC 블록(#1411∼ #8418)이 연속으로 기록되어 있다. 종래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DVD-R)나 종래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DVD-RW)에서 종래의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DVD-ROM)와 데이터 기록 형식(포맷)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한부 오버라이트라 불리는 추기 또는 재기록 처리를 행하면, 중복 기 록에 의하여 ECC 블록 내의 일부를 파괴하고, 재생 시의 데이터 신뢰성을 크게 손상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필드(ECC 블록) 사이에 가드 영역(442∼448)을 배치하면, 중복 기록 장소를 가드 영역(442∼448) 내에 제한하여 데이터 필드(ECC 블록)의 데이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드 영역(442∼448)의 길이를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동기 프레임 사이즈인 동기 프레임 길이(433)에 맞춘 부분에 본 실시예의 다음 특징[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1)]이 있다. 도 37 내지는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16채널 비트라는 일정한 동기 프레임 길이(433) 간격으로 동기 코드가 배치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동기 코드 위치 추출부(145) 내에서는 이 일정 주기 간격을 이용하여 동기 코드 위치의 추출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드 영역(442∼448)의 길이 동기 프레임 길이(433)에 맞춤으로써 재생시에 가드 영역(442∼448)을 걸쳐도, 이 동기 프레임 간격이 불변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재생시의 동기 코드 위치 검출을 쉽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1) 가드 영역(442∼448)을 걸친 장소에서도 동기 코드의 출현 빈도를 일치시켜 동기 코드 위치 검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2 )가드 영역(442∼448)도 포함시킨 물리 섹터 내의 위치의 판별을 용이하게 한다.
를 목적으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가드 영역 내에 동기 코드(동기 데이터)를 배치 [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2)]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드 영역(442∼468)의 개시 위치에는 포스트앰블 영역(481)이 형성되고, 그 포스트앰블 영역(481)에는 도 38에 도시한 동기 코드 번호"1"의 동기 코드"SY1"이 배치되어 있다. 도 37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 섹터 내의 3개의 연속하는 동기 코드의 동기 코드 번호의 조합은 모든 장소에서 다르다. 또한, 가드 영역(442∼448) 내의 동기 코드 번호 "1"까지 가미한 3개의 연속하는 동기 코드의 동기 코드 번호의 조합도 모든 장소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임의의 영역 내에서의 연속하는 3개의 동기 코드의 동기 코드 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물리 섹터 내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가드 영역의 장소도 포함시킨 물리 섹터 내의 위치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도 61에 도시한 가드 영역(441∼448) 내의 상세한 구조를 도 63에 도시한다. 물리 섹터 내의 구조는 동기 코드(431)와 동기 데이터(432)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 60에 도시했지만, 가드 영역(441∼448) 내도 마찬가지로 동기 코드(433)와 동기 데이터(434)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가드 영역(#3443) 내의 동기 데이터(434) 영역 내도 섹터 내의 동기 데이터(432)와 동일한 변조 규칙에 따라서 변조된 데이터가 배치되는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32개의 물리 섹터로 구성되는 1개분의 ECC 블록(#2412) 내의 영역을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필드(470)라고 한다.
도 63에서의 VFO(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영역(471, 472)은 데이터 영역(470)을 재생할 때의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기준 클록의 동기 맞춤에 이용한다. VFO 영역(471, 472) 내에 기록되는 데이터 내용으로서, 후 술하는 공통의 변조 규칙에서의 변조 전의 데이터는 "7Eh"의 연속 반복이 되고, 변조 후의 실제로 기록되는 채널 비트 패턴은 "010001000100"의 반복 패턴("0"이 연속 3개씩 반복하는 패턴)이 된다. 한편, 이 패턴이 얻어지기 위해서는, VFO 영역(471, 472)의 선두 바이트는 변조에서의 상태 2의 상태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전 동기 영역(477, 478)은 VFO 영역(471, 472)과 데이터 영역(470) 사이의 경계선 위치를 나타내고, 변조후의 기록 채널 비트 패턴은 "100000100000"("0"이 연속 5개씩 반복하는 패턴)의 반복으로 되어 있다. 정보 재생 장치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VFO 영역(471, 472) 내의 "010001000100"의 반복 패턴으로부터 전 동기 영역(477, 478) 내의 "1000000100000"의 반복 패턴의 패턴 변화 위치를 검출하여, 데이터 영역(470)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한다.
포스트앰블 영역(481)은 데이터 영역(470)의 종료 위치를 도시하는 동시에 가드 영역(443)의 개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포스트앰블 영역(481) 내의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8에 도시하는 동기 코드의 내에 "SY1"의 패턴과 일치하고 있다.
여분 영역(482)은 복사 제어나 부정 복사 방지용에 사용되는 영역이다. 특히 복사 제어나 부정 복사 방지용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 비트로 모두 "0"에 설정한다.
버퍼 영역은 VFO 영역(471, 472)과 동일한 변조 전의 데이터는 "7Eh"의 연속 반복이 되고, 변조 후의 실제로 기록되는 채널 비트 패턴은 "010001000100"의 반복 패턴("0"이 연속 3개씩 반복하는 패턴)으로 된다. 또한, 이 패턴을 얻을 수 있기 위해서는 VFO 영역(471, 472)의 선두 바이트는 변조에서의 상태 2의 상태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Y1"의 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포스트앰블 영역(481)이 동기 코드 영역(433)에 해당하고, 그 직후의 여분 영역(482)으로부터 전 동기 영역(478)까지의 영역이 동기 데이터 영역(434)에 대응한다. VFO 영역(471)으로부터 버퍼 영역(475)에 이르는 영역[즉 데이터 영역(470)과 그 전후의 가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데이터 세그먼트(490)라고 하고, 후술하는 "물리 세그먼트"와는 상이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63에 도시한 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는 변조 전의 데이터의 바이트수로 표현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63에 도시한 구조에 한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하기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VOF 영역(471)과 데이터 영역(470)의 경계부에 전 동기 영역(477)을 배치하는 대신에, VOF 영역(471, 472)의 도중에 전 동기 영역(477)을 배치한다. 이 밖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470)의 선두 위치에 배치되는 "SY0"의 동기 코드와 전 동기 영역(477) 사이의 거리를 분리함으로써 거리 상관을 크게 취하고, 전 동기 영역(477)을 임시 동기로서 설정하며, 진짜 동기 위치의 거리 상관 정보(다른 동기 사이 거리와는 상이하지만)로서 이용한다. 만약 진짜 동기를 검출할 수 없으면, 임시 동기에서 생성한 진짜가 검출될 위치에서 동기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 동기 영역(477)을 진짜 싱크("SY0")와 다소의 거리를 취하는 것에 다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전 동기 영역(477)을 VFO 영역(471, 472)의 처음에 배치하면, 판독 클록의 PLL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전 동기의 역할이 약해진다. 따라서, 전 동기 영역(477)을 VFO 영역(471, 472)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형(재기록형 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어드레스 정보는 워블 변조를 이용하여 미리 기록되어 있다. 워블 변조 방식으로서 ±90도(180도)의 위상 변조를 이용하는 동시에 NRZ(Non Returen to Zero) 방법을 채용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에 기록하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도 64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정보에 관해서는 1어드레스 비트(어드레스 심볼이라고도 함) 영역(511) 내를 4워블 주기로 표현하고, 1어드레스 비트 영역(511) 내는 모든 주파수 및 진폭과 위상은 일치하고 있다. 어드레스 비트의 값으로서 동일한 값이 연속하는 경우에는 각 1어드레스 비트 영역(511)의 경계부(도 64의 검은 삼각 표식을 붙인 부분)와 동일 위상이 계속되고, 어드레스 비트가 반전하는 경우에는 워블 패턴의 반전(위상의 180도 시프트)이 일어난다. 도 1에 도시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는 어드레스 비트 영역(511)의 경계 위치(도 64의 검은 삼각 표식을 붙인 장소)와 1워블 주기의 경계 위치인 슬롯 위치(412)를 동시에 검출하고 있다.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PLL 회로가 내장되고, 어드레스 비트 영역(511)의 경계 위치와 슬롯 위치(412)의 양방에 동기하여 PLL이 걸린다. 어드레스 비트 영역(511)의 경계 위치 또는 슬롯 위치(412)가 어긋나면, 워블 신호 검출부(135)로서는 동기가 떨어져 정확한 워블 신호의 재생(판독)이 불가능해진다. 인접하는 슬롯 위치(412) 사이의 간격 을 슬롯 간격(513)이라 하고, 슬롯 간격(513)이 물리적으로 짧을수록 PLL 회로의 동기를 취하기 쉬워 안정되게 워블 신호의 재생(정보 내용의 해독)이 가능해진다.
도 6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80도 또는 0도에 시프트하는 180도의 위상 변조 방식을 채용하면, 슬롯 간격(513)은 1워블 주기와 일치한다. 워블의 변조 방법으로서 워블 진폭을 변화시키는 AM(진폭 변조) 방식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 표면에 부착된 먼지 또는 흠집의 영향을 받기 쉽지만, 위상 변조에서는 신호 진폭이 아니라 위상의 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보 기억 매체 표면의 먼지 또는 흠집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다른 변조 방식으로서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FSK(주파수 천이 키잉) 방식으로는 워블 주기에 대하여 슬롯 간격(513)이 길고, PLL 회로의 동기가 상대적으로 취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워블의 위상 변조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면 슬롯 간격이 좁고, 워블 신호의 동기를 취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어드레스 비트 영역(511)에는 각각 "1" 또는 "0"의 바이너리 데이터가 할당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비트의 할당 방법을 도 65에 도시한다. 도 65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워블의 개시 위치로부터 최초에 외주측에 사행하는 워블 패턴을 정상 위상 워블(NPW)이라 하고, "0"의 데이터를 할당한다. 또한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워블의 개시 위치로부터 최초에 내주측에 사행하는 워블 패턴을 반전 위상 워블(IPW)이라 하고 "1"의 데이터를 할당한다.
본 실시예의 추기형 정보 기록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배치와 기록 장소의 비교를 도 66과 도 67을 이용하여 개략 설명한다. 도 67의 (a) 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배치와 기록 마크(107)의 형성 장소를 도시하고, 도 67의 (b)와 (c)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배치와 기록 마크(107)의 형성 장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67에서는 실제의 확대도에 비교해서 가로 방향을 축소시키고 세로 방향을 늘여 표시하고 있다. 도 66과 도 6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CLV(Constant Linear Velocity)법을 채용하고 있고,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슬롯 위치나 어드레스 비트 영역의 경계 위치(도 67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부분)가 어긋난다(장소가 있음). 기록 마크(107)는 그루브 영역(501, 502)의 위에 형성한다. 이 경우,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워블 위치가 비동기이기 때문에,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워블 신호의 간섭이 생긴다. 그 결과, 도 1 내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와 워블 신호로부터 검출된 슬롯 위치의 위치 어긋남이나 어드레스 비트 영역의 경계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그 기술적 난이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조 영역의 점유율을 낮추어[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2)],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변조 영역을 변이하고[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도 66과 도 6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드 영역(503)과 그루브 영역(501, 502)의 양방에 기록 마크(107)를 형성하는 "랜드/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하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내를 "0"에서 "18"까지의 19존으로 분할하여 동일 존 내에서의 인접 트랙 사이의 워블을 동기시키는 존 기록 방법인 존드 CAV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랜드/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하는 동시 에, 워블 변조로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 기록하는 것에 특징[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이 있다. 도 6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 영역(501, 502)에만 기록 마크(107)를 기록하는 "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한 경우, 인접 간인 그루브 영역(501, 502) 간의 거리인 트랙 피치를 채워 기록하면, 한 쪽의 그루브 영역(501) 상에 기록한 기록 마크(107)로부터의 재생 신호에 이웃의 그루브 영역(502) 상에 기록된 기록 마크(107)로부터의 영향(인접 트랙 사이의 크로스토크)이 나타난다. 그 때문에 트랙 피치를 그다지 채우지 않고 기록 밀도에 한계가 있었다. 그것에 비교하여 도 6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 영역(501, 502)과 랜드 영역(503)의 양방에 기록 마크(107)를 기록한 경우에는, 그루브 영역(501, 502)과 랜드 영역(503)의 단차를 λ/(5n)∼λ/(6n)(λ : 재생에 이용하는 광학 헤드 광원의 파장, n : 상기 파장에서의 정보 기억 매체의 투명 기판의 굴절율)로 설정하면, 트랙 피치를 채우더라도 인접간(랜드와 그루브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상쇄되는 현상이 있다. 이 현상을 이용하면, "랜드/그루브 기록법"에서는 "그루브 기록법"보다도 트랙 피치를 채울 수 있고, 정보 기억 매체로서의 기록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미기록 상태[기록 마크(107)가 기록되기 전의 상태]에서 정보 기억 매체 상의 소정 위치에 정밀도 좋게 액세스하고자 하면, 정보 기억 매체 상에 미리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 기록해 둘 필요가 있다. 이 어드레스 정보를 엠보스 피트의 형태로 사전 기록해 두면, 이 엠보스 피트 영역을 피하여 기록 마크를 형성해야 하고, 엠보스 피트 영역의 분만큼 기록 용량이 감소한다. 이것에 비교해서 본 실시예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같이 워블 변조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해 두면(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 워블 변조된 영역의 위에도 기록 마크(107)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효율이 높고 기록 용량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랜드/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하는 동시에, 워블 변조로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 기록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기록 마크(107)를 기록할 수 있고, 정보 기억 매체로서의 기록 용량이 높여진다. 한편,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기록 용량을 일치시켜 두면 좋겠다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도 13과 도 14의 "사용자 사용 가능한 기록 용량"의 란을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기록 용량을 일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정도의 대용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는 도 6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하고 있다.
도 67의 (b)에 도시하는 방법에서는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슬롯 위치나 어드레스 비트 영역의 경계 위치(도 67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부분)가 모두 일치하기 때문에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워블 신호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대신 부정 비트 영역(504)이 발생한다. 도 67의 (c)에 있어서, 상측의 그루브 영역(501)에서 워블 변조에 의해 "0110"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 경우를 생각한다. 다음에, 하측의 그루브 영역(502)에서 워블 변조에 의해 "0010"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면, 도 67의 (c)에 도시한 랜드 내 부정 비트 영역(504)이 발생한다. 랜드 내 부정 비트 영역(504) 중에서는 랜드 내의 폭이 변화되고, 여기에서는 워블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기술적 난이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레이 코드[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β)]를 채용하여 그루브 영역의 폭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그루브 영역 내에도 부정 비트 영역을 형성(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γ)]하여,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의 양방에 부정 비트를 분산 배치시키고 [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δ)] 있다.
상기한 부정 비트 영역(504)의 발생을 고려하여, "랜드/그루브 기록법"을 이용하는 동시에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는 워블 변조에 180도(±90도)의 워블 위상 변조를 조합시킨 것에 본 실시예의 요점[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α)]가 있다. "L/G 기록+그루브의 워블 변조"에 있어서 그루브의 트랙 번호가 변하는 것에 의한 랜드 상에서 부정 비트가 발생하면, 그 위에 기록된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전체 레벨이 변화되고, 거기에서의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에러율이 국소적으로 악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그루브에 대한 워블 변조를 180도(±90도)의 위상 변조로 함으로써, 랜드 상에서의 부정 비트 위치에서는 랜드 폭이 좌우 대칭으로 또한 정현파의 형태로 변화되기 때문에,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전체 레벨 변화가 정현파 형상에 가까운 매우 수직인 형태가 된다. 더욱 안정되게 트랙킹이 걸리고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랜드 상에서의 부정 비트 위치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에 대하여 회로적으로 보정 처리를 걸어 재생 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쉬운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6과 도 68을 이용하여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록 매체에서의 워블 변조를 이용하여 사전에 기록된 어드레스 정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8의 (a)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어드레스 정보 내용과 그 어드레스의 설정 방법을 도시하고, 도 68의 (b)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어드레스 정보 내용과 그 어드레스의 설정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정보 기억 매체상의 물리적인 기록 장소 단위를 "물리 세그먼트 블록"라고 하고, 거기에 기록되는 (채널 비트열로서의)데이터의 단위를 "데이터 세그먼트"라고 하고 있다. 1 물리 세그먼트 블록 길이의 영역에 1 데이터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물리적 길이와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었을 때의 1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는 일치함). 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은 7개의 물리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1 데이터 세그먼트 중에서는 도 34에 도시한 1 ECC 블록 분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CLV에서 "그루브 기록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기억 매체 상의 어드레스 정보로서 도 6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 번호(Da)를 이용하고 있다. 이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를 ECC 블록 어드레스(번호),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번호)라 불러도 좋다. 또한 동일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Da) 중에서의 미세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 물리 세그먼트 순서(Ph)도 어드레스 정보로서 가지고 있다. 즉,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의 각 물리 세그먼트 위치는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Da)와 물리 세그먼트 순서(Ph)로 규정된다.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Da)는 내주측에서 그루브 영역(501, 502, 507, 505)을 따라서 올림 차순으로 번호 가 흔들리고, 물리 세그먼트 순서(Ph)는 내주측에서 외주를 향하여 "0"에서 "6"까지의 번호가 반복 설정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데이터 영역 내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의 존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루브는 나선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1 둘레의 길이는 인접 트랙 사이에서 어긋나지만,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어긋남의 길이는 채널 비트 간격(T)의 길이를 도달하는 곳과 동일하게 한 경우의 ±4채널 비트 이하가 되도록 각 존마다 설정되어 있다. 동일 존 내에서의 인접 트랙 사이에서는 물리 세그먼트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경계 위치가 일치(동기)하고 있다. 따라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위치 정보는 도 66과 도 6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존 어드레스(번호)(Zo)와 트랙 어드레스(번호)(Tr),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번호)(Ph)에서 주어진다. 트랙 어드레스(Tr)는 동일 존 내에서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한 트랙 번호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의 세트[예컨대 랜드 영역(503)과 그루브 영역(502)의 세트, 랜드 영역(507)과 그루브 영역(505)의 세트]에서 동일한 트랙 어드레스 번호(Tr)가 설정된다. 도 68의 (b)의 랜드 영역(507)의 "Ph=0"과 "Ph=1"의 부분은 부정 비트 영역(504)이 빈번히 나타나기 때문에 트랙 어드레스(Tr)의 해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이 영역으로의 기록 마크(107)의 기록은 금지되어 있다.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번호)(Ph)는 동일 트랙의 1 둘레 내의 상대적인 물리 세그먼트 번호를 나타내고, 원주 방향에서의 존의 전환 위치를 기준으로서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Ph)의 번호가 흔들린다. 즉, 도 6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 (Ph)의 개시 번호를 "0"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69를 이용하여 본 발명 기록 가능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변조를 이용한 어드레스 정보의 기록 형식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워블 변조를 이용한 어드레스 정보 설정 방법에서는 도 61에 도시한 "동기 프레임 길이(433)를 단위로서 배당을 행하고 있는 곳에 특징이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섹터는 26동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도 31에서 알 수 있듯이, 1 ECC 블록은 32물리 섹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1 ECC 블록은 26×32=832개의 동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ECC 블록(411∼418) 사이에 존재하는 가드 영역(442∼468)의 길이는 1동기 프레임 길이(433)에 일치하기 때문에, 1개의 가드 영역(462)과 1개의 ECC 블록(411)을 더한 길이는 832+1=833개의 동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833은
833=7×17×7 (1)
로 소수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특징을 살린 구조 배치로 하고 있다. 즉, 도 6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가드 영역과 1개의 ECC 블록을 더한 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영역을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서 데이터 세그먼트(531)로 정의(도 63에 도시한 데이터 세그먼트(490) 내의 구조는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별로 따르지 않고 모두 일치하고 있음)하여,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531)가 물리적인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영역을 "7개"의 물리 세그먼트(#0550∼ #6556)로 분할(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ε)]하고, 각 물리 세그먼트(#0550∼ #6556)마다 워블 변조의 형태로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에 기록해 둔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세그먼트(531)의 경계 위치와 물리 세그먼트(550)의 경계 위치는 일치하지 않고 후술하는 양만큼 어긋나 있다. 또한,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물리 세그먼트(#0550∼ #6556)마다 각각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WDU : Wobble Data Unit)(#0560∼ #16576)으로 분할한다(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1)]. (1) 식으로부터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0560∼ #16576)의 길이에는 각각 7개의 동기 프레임분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17워블 데이터 유닛으로 물리 세그먼트를 구성하고[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1)], 7물리 세그먼트 길이를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에 맞추는[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ε)] 것에 의해, 가드 영역(442∼468)을 걸친 범위에서 동기 프레임 경계를 확보하여 동기 코드(431)(도 60)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특히,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부정 비트 영역(504)(도 67)의 장소에서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에러가 발생하기 쉽지만, ECC 블록 내를 구성하는 물리 섹터 수(32)와 물리 세그먼트 수(7)가 상호 나눌 수 없는 관계(비배수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도 34에 도시한 ECC 블록에 있어서 부정 비트 영역(504)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직선 상에 나열하는 것을 방지하고, ECC 블록 내에서의 에러 정정 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각 워블 데이터 유닛(#0560∼ #16576) 중에는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워블분의 변조 영역과 68워블분의 무변조 영역(590, 591)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역에 대한 무변조 영역(590, 591)의 점유비를 대폭 크게 하고 있는 것에 특징[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2)]이 있다. 무변조 영역(590, 591)은 항상 일정 주파수로 그루브 영역 또는 랜드 영역이 워블하고 있기 때문에, 무변조 영역(590, 591)을 이용하여 PLL(Phase Locked Loop)를 걸고,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된 기록 마크를 재생할 때의 기준 클록 또는 새롭게 기록할 때에 사용하는 기록용 기준 클록을 안정되게 추출(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영역에 대한 무변조 영역(590, 591)의 점유비를 대폭 크게 함으로써, 재생용 기준 클록의 추출(생성) 또는 기록용 기준 클록의 추출(생성)의 정밀도와 추출(생성)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워블에서의 위상 변조를 행한 경우, 파형 정형을 위해 재생 신호를 밴드 패스 필터에 통과시키면 위상 변화 위치 전후로 정형 후의 검출 신호 파형 진폭이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위상 변조에 의한 위상 변화점의 빈도가 많아지면 파형 진폭 변동이 많아져 상기한 클록 추출 정밀도가 떨어지고, 반대로 변조 영역 내에서 위상 변화점의 빈도가 낮으면 워블 어드레스 정보 검출시의 비트 시프트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변조에 의한 변조 영역과 무변조 영역을 구성하여 무변조 영역의 점유율을 높게 함으로써, 상기한 클록추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역과 무변조 영역의 전환 위치를 미리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클록 추출에 대해서는 무변조 영역에 게이트를 걸어 무변조 영역만의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로부터 상기 클록 추출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변조 영역(590, 591)으로부터 변조 영역에 옮길 때에는 4워블분을 사용하 여 변조 개시 마크(581, 582)를 설정하고, 변조 개시 마크(581, 582)를 검출 직후에 워블 변조된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제로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물리 세그먼트(#0550∼ #6556) 내에서의 무변조 영역(590, 591)과 변조 개시 마크(581, 582)를 제외한 워블 동기 영역(580)과 각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을 모아 도 6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배치한다.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에서는 12워블로 3어드레스 비트를 설정[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2α)]하고 있다. 즉, 연속하는 4워블로 1어드레스 비트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정보를 3어드레스 비트마다 분산 배치시킨 구조[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2α)]를 취하고 있다.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를 정보 기억 매체 내의 1부분에 집중 기록하면, 표면의 먼지 또는 흠집이 생겼을 때에 모든 정보가 검출 곤란하게 된다.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를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에 포함되는 3어드레스 피트(12워블)마다 분산 배치하고, 3어드레스 비트의 정수배 어드레스 비트마다 종합된 정보를 기록하여, 먼지 또는 흠집의 영향으로 1개소의 정보 검출이 곤란한 경우라도 다른 정보의 정보 검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를 분산 배치시키는 동시에 1 물리 세그먼트(550∼557)마다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를 완결적으로 배치시키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1α)] 것에 의해, 물리 세그먼트(550∼557)마다 어드레 스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액세스했을 때에 물리 세그먼트 단위에서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Z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 내에서는 연속하는 4워블 내에서 위상이 변화되는 일은 없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워블 동기 영역(580)을 설정하고 있다. 즉,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워블 패턴을 워블 동기 영역(580)에 대하여 설정하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 것에 의해, 워블 동기 영역(580)의 배치 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하는 4워블로 1어드레스 비트를 구성하는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에 대하여 워블 동기 영역(580) 위치에서는 1어드레스 비트 길이를 4워블 이외의 길이로 설정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워블 동기 영역(580)에서는 워블 비트가 "1"이 되는 영역을 4워블과는 상이한 "6워블+4워블+6워블"이라는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 내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워블 패턴 변화를 설정하고 있다.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 내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워블 패턴을 워블 동기 영역(580)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워블 주기를 바꾸는 방법[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α)]을 이용하면,
(1) 도 1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 행하고 있는 워블의 슬롯 위치(512)(도 64)에 관한 PLL이 무너지는 일 없이 안정되게 워블 검출(워블 신호의 판정)을 계속할 수 있다,
(2) 도 1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 행하고 있는 어드레스 비트 경계 위치의 어긋남에 의하여 용이하게 워블 동기 영역(580)과 변조 개시 마크(561, 582)의 검출을 할 수 있다
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동기 영역(580)을 12워블 주기로 형성하여 워블 동기 영역(580)의 길이를 3어드레스 비트 길이에 일치시키고 있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β)] 것에도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0560) 내에서의 변조 영역(16워블분) 모두를 워블 동기 영역(580)에 할당함으로써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의 개시 위치(워블 동기 영역(580)의 배치 위치)의 검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6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동기 영역(580)은 물리 세그먼트(#0550) 내의 최초의 워블 데이터 유닛(#0560)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워블 동기 영역(580)을 물리 세그먼트(#0550) 내의 선두 위치에 배치하는[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β)] 것에 의해, 워블 동기 영역(580)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물리 세그먼트의 경계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워블 데이터 유닛(#1561, #2562) 내에서는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에 선행하여, 선두 위치에 변조 개시 마크(581, 582)가 배치되고, 도 65에서 도시한 반전 위상 워블(IPW)의 파형이 설정되어 있다. 그것에 선행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무변조 영역(590, 591)에서는 연속적으로 정상 위상 워블(NPW)의 파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워블 신호 검출부(135)에서는 NPW에서 IPW로의 전환을 검출하여 변조 개시 마크(581, 582)의 위치를 추출한다.
도 6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의 내용은
(1) 트랙 어드레스(606, 607)
… 존 내의 트랙 번호를 의미하여, 그루브 영역 상에서 어드레스가 확정하는 (부정 비트를 포함하지 않음→랜드 상에서 부정 비트가 발생함)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와 랜드 상에서 어드레스가 확정하는(부정 비트를 포함하지 않음→그루브 상에서 부정 비트가 발생함)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가 교대로 기록되어 있다. 트랙 어드레스(606, 607)에 관해서만 트랙 번호 정보가 도 70에서 도시하는 그레이 코드로 기록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
(2)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601)
… 트랙 내(정보 기억 매체(221) 내에서의 1주 내)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번호를 도시하는 정보. 동일 트랙 내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수는 도 12의 "트랙 당 물리 세그먼트 수"로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각 존 내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601)의 최대값은 도 12a 및 도 12b에서 표시된 수로 규정된다.
(3) 존 어드레스(602)
… 정보 기억 매체(221) 내의 존 번호를 도시하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존(n)"의 "n"의 값이 기록된다.
(4) 패리티 정보(605)
…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로부터의 재생시의 에러 검출용으로 설정된 것으로, 예약 정보(604)로부터 존 어드레스(602)까지의 14 어드레스 비트를 각 어드레스 비트 단위로 개개에 가산하고, 가산 결과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의 표시를 하는 정보로, 어드레스 패리티 정보(605)의 1어드레스 비트도 포함시킨 합계 15 어드레 스 비트에 대하여 각 어드레스 비트 단위로 배타적 OR(Exclusive OR)을 취한 결과가 "1"이 되도록 패리티 정보(605)의 값을 설정한다.
(5) 유니티 영역(608)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워블 데이터 유닛(#0560∼ #16576) 중에는 16워블분의 변조 영역과 68워블분의 무변조 영역(590, 591)으로 구성되도록 설정하여, 변조 영역에 대한 무변조 영역(590, 591)의 점유비를 대폭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무변조 영역(590, 591)의 점유비를 넓혀 재생용 기준 클록 또는 기록용 기준 클록의 추출(생성)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있다. 도 69의 (e)에 도시한 유니티 영역(608)이 포함되는 장소는 도 69의 (c)의 워블 데이터 유닛(#16576)과 도시하지 않지만 그 직전의 워블 데이터 유닛(#15) 내가 모두 그대로 해당한다. 모노톤 정보(608)는 6 어드레스 비트 모두가 "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모두가 NPW가 되는 모노톤 정보가 포함되는 워블 데이터 유닛(#16576)과, 도시하지 않는 직전의 워블 데이터 유닛(#15) 내에는 변조 개시 마크(581, 582)를 설정하지 않고 모두 균일 위상의 무변조 영역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정보에 할당한 어드레스 비트수를 도 69의 (e)에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에는 각각 3어드레스 비트마다 분리되어 각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 내에 분산 배치된다. 정보 기억 매체 표면의 먼지나 흠집에 의해 버스트 에러가 발생해도 상이한 각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을 걸쳐 에러가 넓어지고 있을 확률은 매우 낮다. 따라서, 동일 정보가 기록되는 장소로서 다른 워블 데이터 유닛 사이를 걸치는 횟수를 최대한 삭감하고, 각 정보의 이 음매와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의 경계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고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만일 정보 기억 매체 표면의 먼지나 흠집에 의해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여 특정한 정보를 읽을 수 없어도 상이한 각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 내에 기록된 다른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워블 어드레스 정보의 재생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티 영역(608)에 9 어드레스 비트를 할당하여 유니티 영역(608)과 그 직전의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 사이의 경계 위치와 워블 데이터 유닛의 경계 위치를 일치시키고[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δ)] 있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부터 5어드레스 비트로 표현되는 존 어드레스(605)와 1어드레스 비트로 표현되는 패리티 정보(605)를 인접시켜[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ε)], 양방의 어드레스 비트의 합계값을 6어드레스 비트(2워블 데이터 유닛분)로 하고 있다.
도 6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에서 유니티 영역(608)을 마지막으로 배치[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ε)]한 것도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니티 영역(608)에서는 워블 파형은 NPW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3개쯤의 연속한 워블 데이터 유닛(576) 내에서 연속하여 NPW가 계속된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도 1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에서는 3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576)분의 길이로 연속하여 NPW가 계속되는 장소를 찾음으로써 용이하게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의 마지막에 배치된 유니티 영역(608)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고,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의 개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도 69 또는 도 68의 (b), 도 66에 도시한 각종 어드레스 정보의 중,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601)와 존 어드레스(602)는 인접 트랙 사이에서 동일한 값을 나타내고 있음에 대하여,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와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는 인접 트랙 사이에서 값이 변한다. 따라서,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와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가 기록되는 영역에는, 도 67의 (c)에 도시하는 부정 비트 영역(504)이 나타난다. 이 부정 비트 빈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와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에 관해서는 도 70에 예를 도시하는 그레이 코드를 이용하여 어드레스(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그레이 코드란 도 70과 같이 원래의 값이 "1" 변화되었을 때의 변환 후의 코드가 어디에서도 "1비트" 밖에 변화하지 않는 코드를 의미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정 비트 빈도를 저감시켜 워블 검출 신호뿐만 아니라 기록 마크로부터의 재생 신호도 신호 검출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70에 도시한 그레이 코드 변환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 71에 도시한다. 원래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하여 최상위의 11비트째는 그대로 그레이 코드의 11비트째에 일치시키고, 그 이하의 하위 코드에 관해서는 "m비트째"의 바이너리 코드와 그것보다 1비트 상위에 있는 `"m+1비트째"의 바이너리 코드의 가산한(Exclusive OR를 취한) 결과를 "m비트째"의 그레이 코드로서 변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루브 영역에도 부정 비트 영역을 분산 배치시키는[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γ)] 고안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2에 의해 그루브 영역(501, 501) 내의 폭을 일부 변화시킴으로써 사이에 끼워진 랜드 영역 (503)의 폭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정보 기억 매체의 원반 기록 장치에서 그루브 영역(501, 502)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노광시키는 레이저광의 광량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그루브 영역(501, 501) 내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랜드 영역에서도 부정 비트가 들어 가지 않고서 트랙 어드레스가 확정하는 영역을 갖게 함으로써, 랜드 영역에서도 정밀도가 좋은 어드레스 검출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69의 (e)의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의 정보가 기록되는 랜드 영역 내의 장소는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랜드 폭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랜드 영역 내의 랜드 트랙 어드레스(607)에 관해서는 부정 비트가 혼입하지 않고 안정되게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의 양방에 부정 비트를 분산 배치[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4d)]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2의 가장 우측은 그루브 영역(501, 501) 내의 폭을 변화시켜 랜드 영역(503)의 폭을 일정하게 하고, 도 72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좌측에서는 그루브 영역(501, 501)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대신에 랜드 영역(503)의 폭이 국소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도 69의 (e)의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의 정보가 기록되는 그루브 영역 내의 장소는 그루브 폭을 일정하게 하여, 그루브 영역 내의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606)에 관해서는 부정 비트가 혼입하지 않고 안정되게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랜드 영역 또는 그루브 영역의 어느 한 쪽에 부정 비트를 집중 배치하면, 부정 비트가 집중 배치된 부분에서의 어드레스 정보 재생 시에 오검지가 발생하는 빈도가 매우 높아진다. 부정 비트를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 역에 분배 배치함으로써 오검지의 리스크를 분산하고, 토탈로서 안정되게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하기 쉬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의 양방에 부정 비트를 분산 배치시킴으로써, 랜드 영역, 그루브 영역 각각 부정 비트가 들어가지 않고서 트랙 어드레스가 확정되는 영역을 사전에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 어드레스 검출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66을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그루브 영역의 상에 기록 마크를 형성하고 CLV 기록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워블 슬롯 위치가 어긋나기 때문에, 워블 재생 신호에 인접 워블 사이의 간섭이 타기 쉬운 것을 설명했다. 이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역이 인접 트랙 사이에서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변조 영역을 어긋나게 하는[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 고안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에 1차 배치 장소(701)와 2차 배치 장소 (702)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는, 배치 장소로서 만약 1차 배치 장소에서 배치를 행하고, 인접 트랙 사이에서 변조 영역이 일부 중복되는 장소가 생긴다면, 부분적으로 2차 배치 장소에 어긋나게 하는 방법을 취한다. 예를 들면, 도 73에 있어서 그루브 영역(505)의 변조 영역을 1차 배치 장소에 설정하면, 인접하는 그루브 영역(502)의 변조 영역과 그루브 영역(505)의 변조 영역이 일부 중복되기 때문에, 그루브 영역(505)의 변조 영역을 2차 배치 장소에 어긋나게 한다. 이에 따라, 워블 어드레스로부터의 재생 신호에서의 인접 트랙의 변조 영역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워블 어드레스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 가 생긴다.
변조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는 동일한 워블 데이터 유닛 내 배치 장소의 전환에 의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역보다 무변조 영역의 점유율을 높게 설정[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2)]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의 배치 변경만으로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의 전환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도 도 69의 (b), (c)에 도시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같은 물리 세그먼트(550∼557) 배치와 워블 데이터 유닛(560∼576)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매체 종별 사이의 호환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배치 장소(701)에서는 도 74의 (a),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560∼571) 내의 선두 위치에 변조 영역(598)을 배치하고, 2차 배치 장소(702)에서는 도 74의 (b),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560∼571) 내의 후반 위치에 변조 영역(598)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의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도 도 69의 (e)에 도시하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마찬가지로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의 최초의 3어드레스 비트를 워블 동기 영역(580)에 이용하고 있고, 각 물리 세그먼트(550∼556)에서의 최초에 배치된 워블 데이터 유닛(#0560) 내에 기록되어 있다. 도 74의 (a)와 (b)에 도시한 변조 영역(598)이 워블 동기 영역(580)을 도시하고 있다. 도 74의 (c)와 (d)의 변조 영역(598) 내의 최초의 IPW 영역이 도 69의 (d)에 도시한 변조 개시 마크(581, 582)에 대응하고, 도 74의 (c)와 (d)의 변조 영역(598) 내의 어드레스 비트(#2∼ #0)가 도 69의 (d)에 도시한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587)에 대응한다.
1차 배치 장소(Primary Position : 701)와 2차 배치 장소(702 : Secondary Position)에서 워블 동기 영역 내의 워블 동기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5β)]이 있다. 도 74의 (a)에서는 변조 영역(598)인 워블 동기 영역(580)의 워블 동기 패턴으로서 IPW에 각각 6워블(주기)을 할당하고 NPW에 대해서는 4워블(주기)을 할당하고 있음에 대하여, 도 74의 (b)의 변조 영역(598) 내에서는 각각의 IPW에 할당하고 있는 워블수(워블 주기)를 4로 하는 대신에 NPW에 6워블(주기)을 할당하고 있다. 도 1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에서는 대강 액세스 직후에 이 워블 동기 패턴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 만으로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1차 배치 장소(701)나 2차 배치 장소(702)의 차이)를 알 수 있고, 다음에 검출되는 변조 영역의 장소를 사전에 예상하기 쉽다. 그 때문에, 다음에 오는 변조 영역 검출의 사전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변조 영역에서의 신호 검출(판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와 워블 동기 패턴의 관계에 관해서 도 74의 (a) 및 (b)에 도시한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를 도 75의 (b), (d)에 도시한다. 비교를 위해, 도 74의 (a)의 실시예를 도 75의 (a)에, 도 74의 (b)에 도시한 실시예를 도 75의 (c)에 도시했다. 도 75의 (b), (d)에서는 변조 영역(598) 내의 IPW와 NPW에 할당하는 워블수를 도 75의 (a), (c)에서는 역(IPW에 4워블 할당하여, NPW에 6워블 할당함)으로 하고 있다.
도 74와 도 75에서 도시한 1차 배치 장소(701)와 2차 배치 장소(792)의 적응 범위, 즉, 1차 배치 장소 또는 2차 배치 장소가 연속적으로 계속되는 범위를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 세그먼트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다. 즉,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물리 세그먼트 내에서의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을 (b)에서 (d)까지의 3종류(복수 종류) 갖게 하고[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α)], 전술한 바와 같이 워블 동기 패턴 또는 후술하는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의 정보로부터 물리 세그먼트 내에서의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을 도 1의 워블 신호 검출부(135)가 식별하면, 동일 물리 세그먼트 내의 다른 변조 영역(598)의 배치 장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에 오는 변조 영역 검출의 사전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변조 영역에서의 신호 검출(판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6의 (a)의 2단째는 물리 세그먼트 내의 워블 데이터 유닛의 배치를 도시하고, 2단째의 각 테두리 내에 기술된 번호 "0"∼"16"은 동일 물리 세그먼트 내의 워블 데이터 유닛 번호를 도시한다. 0번째의 워블 데이터 유닛은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필드(711)라고 하고, 이 동기 필드 내의 변조 영역에 워블 동기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1번째부터 11번째의 워블 데이터 유닛을 어드레스 필드(712)라고 하고, 어드레스 필드(712) 내의 변조 영역에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다. 12번째로부터 16번째의 워블 데이터 유닛 내는 워블 패턴이 모두 NPW의 유니티 필드(713)로 되어 있다.
도 76의 (b)∼(d)에 기재된 `T"의 마크는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 변조 영역이 1차 배치 장소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S"의 마크는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 변조 영역이 2차 배치 장소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U"의 마크는 워블 데이터 유닛이 유니티 필드(713)에 포함되고, 변조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6의 (b)에 도시한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은 물리 세그먼트 내 모두가 1차 배치 장소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76의 (c)에 도시한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은 물리 세그먼트 내 모두가 2차 배치 장소(Secondary Position)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76의 (d)는 동일 물리 세그먼트 내에서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가 혼합되어 있고, 0번째로부터 5번째의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 변조 영역이 1차 배치 장소가 되며, 6번째로부터 11번째의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 변조 영역이 2차 배치 장소가 된다. 도 76의 (c)와 같이 동기 필드(711)와 어드레스 필드(712)를 맞춘 영역에 대하여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를 반반으로 함으로써 미세하게 인접 트랙 사이에서의 변조 영역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 정보 내의 데이터 구조의 비교를 도 77에 도시한다. 도 77의 (a)는 도 69의 (e)에 도시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의 데이터 구조를 상기한 물건으로 하여,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의 데이터 구조를 도 77의 (b)에 도시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도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같이 워블 동기 영역(680)을 물리 세그먼트 선두 위치에 배치[도 129a 및 도 129b의 요점 (J3γ)]하고, 물리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 또는 인접하는 물리 세그먼트 사이의 경계 위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77의 (b)에 도시한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는 전술한 워블 동기 영역(580) 내의 워블 동기 패턴과 동일하게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위치를 도시하는[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γ)] 것에 의해, 동일 물리 세그먼트 내의 다른 변조 영역(598)의 배치 장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다음에 오는 변조 영역 검출의 사전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변조 영역에서의 신호 검출(판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가 "0"일 때에는 도 76의 (b)에 도시하는 물리 세그먼트 내 모두가 1차 배열 장소(Primary Position)로 되어 있거나, 또는 도 76의 (d)에 도시하는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의 혼합 상태를 나타내고,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가 "1"일 때에는, 도 7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리 세그먼트 내 모두가 2차 배치 장소(Secondary Position)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워블 동기 패턴과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의 조합에 의하여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도시하는[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δ)] 것도 가능하다. 상기 두 가지의 정보를 조합시킴으로써 도 76의 (b) 내지 (d)에 도시한 3종류 이상의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을 표현할 수 있고,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을 복수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8에 다른 실시예에서의 워블 동기 패턴과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의 조합 방법과 변조 영역의 배치 패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78에 있어서는, 전술한 조합을 도시하고, 워블 동기 패턴으로 1차 배치 장소나 2차 배치 장소를 도 시하며,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로 물리 세그먼트 내의 모두가 2차 배치 장소인지 여부(모두 2차 배열인 경우에는 "1", 그 이외에는 "0")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A》의 경우, 혼합의 경우에는 1차 배치 장소의 부분에서는 도 75의 (b), 2차 배치 장소의 부분에서는 도 75의 (d)의 각각 워블 동기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B》의 실시예에서는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로 물리 세그먼트 내 모든 배치 장소가 일치하고 있는지 혼합인지(모든 배열이 일치한 경우에는 "1", 혼합인 경우에는 "0")을 도시한다.
또한, 《C》의 실시예에서는 워블 동기 패턴에 의해 물리 세그먼트 내 모든 배치 장소가 일치하고 있는지 혼합인지를 도시하고,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로 물리 세그먼트 내에 2차 배치 장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부분적이더라도 2차 배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 그 이외에는 "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워블 동기 영역(580)과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가 포함되어 있는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워블 동기 영역(580)과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는 다음에 오는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도시해도 좋다. 그러면 그루브 영역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트랙킹하고 있는 경우에 다음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사전에 알 수 있고, 변조 영역 검출의 준비 시간이 길게 취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77의 (b)에 도시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층번호 정보(722)란 한 면 1기록층이나 한 면 2기록층인 경우의 어느 쪽의 기록층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0"일 때에는 한 면 1기록층 매체가 한 면 2기록층인 경우의 "L0층"(레이저광 입사측의 바로 앞층)
·"1"일 때에는 한 면 2기록층의 "L1층"(레이저광 입사측의 깊이측의 층)을 의미한다.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는 도 66과 도 6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의 상대적인 물리 세그먼트의 배치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7의 (a)와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 내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의 선두 위치는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601)의 선두 위치에 일치하고 있다.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 위치를 재기록형에 맞추는[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ε)] 것에 의해, 매체 종별 사이의 호환성을 높여,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의 양방이 쓸 수 있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워블 신호를 이용한 어드레스 검출용 제어 프로그램의 공유화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도 66과 도 6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725)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번호로 기술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2섹터로 1 ECC 블록을 구성한다. 따라서, 특정한 ECC 블록 내의 선두에 배치된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는 인접하는 ECC 블록 내의 선두 위치에 배치된 섹터의 섹터 번호와 일치한다. ECC 블록 내의 선두에 배치된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가 "00000"이 되도록 물리 섹터 번호를 설정한 경우에는, 동일 ECC 블록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6비트째 이상의 값이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동일 ECC 블록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의 하위 5비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하위 6비트째 이상의 데이터만을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를 ECC 블록 어드레스(또는 ECC 블록 어드레스 번호)로 한다. 워블 변조에 의해 미리 기록된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725)(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번호 정보)는 상기 ECC 블록 어드레스와 일치하기 때문에, 워블 변조에 의한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로 표시하면, 물리 섹터 번호로 표시하는 것과 비교해서 5비트씩 데이터량이 감소하고, 액세스시의 현재 위치 검출이 간단해진다는 효과가 생긴다.
CRC 코드(726)는 물리 세그먼트의 타입 식별 정보(721)로부터 데이터 세그먼트 어드레스(725)까지의 24어드레스 비트에 대한 CRC 코드(에러 정정 코드)로 부분적으로 워블 변조 신호를 잘못 판독해도 CRC 코드(726)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정보 내용을 기재하는 데 도 77의 (b)의 최하단에 도시한 각 어드레스 비트를 사용한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서는 나머지의 15어드레스 비트분에 해당하는 영역은 유니티 영역(609)에 할당되고, 12번째로부터 16번째까지의 5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 내는 모두 NPW로 되어 있다(변조 영역(598)이 존재하지 않음).
도 77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응용예로서 도 124의 (c), (d)에 추기형 정보 기록 매체에서의 워블 어드레스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4의 (a) 및 (b)는 도 77의 (a) 및 (b)와 동일하다. 도 124의 (c)에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728)란 7개의 물리 세그먼트로부터 1개의 유닛을 구성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마다 설정되는 어드레스이며, 데이터 리드인(DTRDI) 내의 최초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대한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1358h"로 설정한다. 데이터 영역(DTA)을 포함하고, 데이터 리드인(DTLDI) 내의 최초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으로부터 데이터 리드 아웃(DTLDO) 내의 최후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까지 순서대로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의 값이 1씩 가산되어 간다.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는 도 77과 마찬가지로 1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에서의 각 물리 세그먼트의 순서를 나타내고, 최초의 물리 세그먼트에 대하여 "0", 최후의 물리 세그먼트에 대하여 "6"을 설정한다.
도 77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보다 선행한 위치에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배치[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6)]한 것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도 123a 및 도 123b에 도시한 RMD 필드 1와 같이, 어드레스 정보를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관리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는 우선 처음에 도 124의 (c)에 도시한 워블 동기 영역(580)의 장소를 검출하고, 그 후 워블 동기 영역(580)의 직후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해독해 나간다.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보다 선행한 위치에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해독하고,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를 해독하지 않고서 소정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워블 어드레스를 이용한 액세스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세그먼트 정보(727)는 타입 식별 정보(721)와 예약 영역(723)으로 구성되고 있다. 타입 식별 정보(721)는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를 나타내고, 타입 식별 정보(721)의 값이
"0"인 경우는 도 76의 (a)의 상태를 나타내고,
"1b"인 경우에는 도 76의 (b) 또는(c)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4 또는 도 77의 (b)에 있어서 워블 동기 영역(580)의 직후에 타입 식별 정보(721)를 배치[도 130a 및 도 130b의 요점 (J5ζ)]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워블 신호 검출부(135) 내에서는, 우선 처음에 도 124의 (c)에 도시한 워블 동기 영역(580)의 장소를 검출하고, 그 후 워블 동기 영역(580)의 직후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해독해 나간다. 따라서, 워블 동기 영역(580)의 직후에 타입 식별 정보(721)를 배치함으로써, 바로 물리 세그먼트 내의 변조 영역의 배치 장소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워블 어드레스를 이용한 액세스 처리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워블 변조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어 있는 물리 세그먼트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대하여 전술한 데이터 세그먼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및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어느 것이나 연속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위로서 레코딩 클러스터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79에 이 레코딩 클러스터 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 내에는 도 69의 (a)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데이터 세그먼트(531)가 1개 이상(정수개) 연속하여 연결되고, 그 시작이나 끝에 확장 가드 필드(528, 529)가 설정되어 있다.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 단위로 새롭게 데이터를 추기, 또는 재기록했을 때에 인접한 레코딩 클러스터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인접한 레코딩 클러스터와의 사이에 물리적으로 오버랩시켜 일부 중복 기록 시키기 위해서 확장 가드 필드(528, 529)가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 내로 설정된다.
레코딩 클러스터(540, 542) 내로 설정되는 확장 가드 필드(528, 529)의 위치로서 도 79의 (a)의 실시예에서는 레코딩 클러스터(540)의 마지막으로 확장 가드 필드(528)를 배치(도 4(K3γ)]하고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69의 (a)에 도시하는 포스트앰블 영역(526)의 뒤에 확장 가드 필드(528)가 오기 때문에, 특히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로서는 재기록 시에 잘못 포스트앰블 영역(526)을 파괴하는 일이 없고, 재기록 시의 포스트앰블 영역(526)의 보호가 행해져, 데이터 재생 시의 포스트앰블 영역(526)을 이용한 위치 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79의 (b)와 같이 레코딩 클러스터(542)의 최초에 확장 가드 필드(529)를 배치[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δ)]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79의 (b)와 도 69의 (a)를 조합시켜 알 수 있듯이, VFO 영역(522)의 직전에 확장 가드 필드(529)가 오기 때문에, 재기록 또는 추기했을 때에 VFO 영역(522)을 충분히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필드(525) 재생시의 기준 클록에 관한 PLL 인입 시간을 길게 취하고, 데이터 필드(525) 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신 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기록 단위를 나타내는 레코딩 클러스터가 1개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는[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α)] 구조로 함으로써, 적은 데이터량을 몇 번이나 재기록하는 일이 많은 PC 데이터(PC 파일)와 다량의 데이터를 한번에 연속하여 기록하는 AV 데이터(AV 파일)의 동일 정보 기억 매체에의 혼재 기록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즉, 퍼스널 컴퓨터(PC)용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비교적 소량의 데이터를 몇 번이나 재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재기록 또는 추기의 데이터 단위를 최대한 적게 설정하면 PC 데이터에 적합한 기록 방법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2물리 섹터로 ECC 블록이 구성되기 때문에, ECC 블록을 1개만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단위로 재기록 또는 추기를 행하는 것이 효율 좋게 재기록 또는 추기를 행하는 최소의 단위가 된다. 따라서, 지개록 단위 또는 추기 단위를 표시하는 기록용 클러스터 내에 1개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가 포함되는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가 PC 데이터(PC 파일)에 적합한 기록 구조가 된다.
오디오 비디오(AV : Audio Video) 데이터에서는 매우 다량의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가,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기록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데이터는 1개의 레코딩 클러스터로서 통합하여 기록된다. AV 데이터 기록 시에 1개의 레코딩 클러스터를 데이터 세그먼트마다 랜덤 시프트량이나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구조, 데이터 세그먼트의 속성 등을 전환하면, 전환 처리의 시간이 걸려 연속 기록 처리가 어렵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형식(속성이나 랜덤 시프트량을 바꾸지 않고, 데이터 세그먼트 사이에 특정 정보를 삽입하는 일 없이)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연속하여 모두 레코딩 클러스터를 구성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기록하는 AV 데이터 기록에 알맞은 기록 포맷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레코딩 클러스터 내의 구조의 간소화를 이루어 기록 제어 회로와 재생 검출 회로의 간소화를 달성하여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의 저가격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79에 표시된 레코딩 클러스터(540) 내의 [확장 가드 필드(528)를 제외함] 데이터 세그먼트가 연속하여 나열된 데이터 구조는 도 61의 (b)에 도시한 재생 전용 정보 기억 매체 및 도 61의 (c)에 도시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재생 전용형/추기형/재기록형에 따르지 않고 모든 정보 기억 매체로 공통의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의 호환성이 확보되고, 호환성이 확보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의 검출 회로의 겸용화를 꾀할 수 있어 높은 재생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저가격화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도 79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동일 레코딩 클러스터 내에서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의 랜덤 시프트량이 일치[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β)]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랜덤 시프트시켜 레코딩 클러스터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레코딩 클러스터(540) 내에서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의 랜덤 시프트량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 레코딩 클러스터(540) 내에서 다른 데이터 세그먼트를 걸쳐 재생한 경우에 VFO 영역(도 69의 522)에서의 동기 맞춤(위상의 설정 고침)이 불필요해져 연속 재생시의 재생 검출 회로 의 간소화와 재생 검출이 높은 신뢰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기록 방법을 도 80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재기록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레코딩 클러스터 내의 레이아웃은 도 79의 (a)의 레이아웃을 취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하여 도 79의 (b)에 도시한 레이아웃을 채용해도 좋다. 도 80의 (a)는 전술한 도 61의 (d)와 동일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에 관한 재기록은 도 80의 (b) 및 (e)에 도시하는 레코딩 클러스터(540, 541) 단위로 행해진다. 1개의 기록용클러스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529∼531)와, 마지막으로 배치되는 확장 가드 필드(528)로 구성된다. 즉, 1개의 기록용 클러스터(531)의 개시는 데이터 세그먼트(531)의 개시 위치에 일치하고, VFO 영역(522)으로부터 시작된다.
복수의 데이터 세그먼트(529, 530)를 연속하여 기록하는 경우에는, 도 80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레코딩 클러스터(531) 내에 복수의 데이터 세그먼트(529, 530)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데이터 세그먼트(529)의 마지막에 존재하는 버퍼 영역(547)과 다음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최조에 존재하는 VFO 영역(532)이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간의 (기록 시의 기록용 기준 클록의)위상이 일치하고 있다. 연속 기록이 종료했을 때에는 레코딩 클러스터(540)의 최후 위치에 확장 가드 영역(528)을 배치한다. 확장 가드 영역(528)의 데이터 사이즈는 변조 전의 데이터로서 24 데이터 바이트분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도 80의 (a)와 도 80의 (c)의 대응에서 알 수 있듯이 지개록형 가드 영역9461, 4620 중에 포스트앰블 영역(546, 536), 여분 영역(544, 534), 버퍼 영역(547, 537), VFO 영역(532, 522), 프리 싱트 영역(533, 523)이 포함되고, 연속 기록 종료 장소에 한하여 확장 가드 필드(528)가 배치된다.
재기록 단위의 물리적 범위의 비교를 하기 위해서, 도 80의 (c)에 정보의 재기록 단위인 레코딩 클러스터(540)의 일부와, 도 80의 (d)에 다음에 재기록하는 단위인 레코딩 클러스터(541)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재기록 시의 중복 개소(541)에서 확장 가드 영역(528)과 후측의 VFO 영역(522)이 일부 중복하도록 재기록을 행하는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 그와 같이 일부 중복시켜 재기록함으로써 레코딩 클러스터(540, 541) 사이에 간극(기록 마크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고, 한 면 2기록층의 기록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층간 크로스토크를 제거함으로써 안정된 재생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9의 (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의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는
67+4+77376+2+4+16=77469 데이터 바이트 (2)
가 된다. 또한 도 69의 (c), (d)에서 알 수 있듯이 1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560)은
6+4+6+68=84 워블 (3)
로 구성되어 있고,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으로 1개의 물리 세그먼트(550) 를 구성하며, 7개의 물리 세그먼트(550∼556)의 길이가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531)의 길이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데이터 세그먼트(531)의 길이 내에는
84×17×7=9996 워블 (4)
이 배치된다. 따라서, (2)식과 (4)식으로부터 1개의 워블에 대하여
77496÷9996=7.75 데이터 바이트/워블 (5)
이 대응한다.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로부터 24워블 이후에 다음 VFO 영역(522)과 확장 가드 필드(528)의 중복 부분이 오지만, 도 69의 (d)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 세그먼트(550)의 선두로부터 16워블까지는 워블 동기 영역(580)이 되지만, 그 이후 68워블분은 무변조 영역(590) 내가 된다. 따라서, 24워블 이후의 다음 VFO 영역(522)과 확장 가드 필드(528)가 중복되는 부분은 무변조 영역(590) 내가 된다. 이와 같이 물리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 24워블 이후에 데이터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가 오는[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5)] 것에 의해, 중복 개소가 무변조 영역(590) 내가 될 뿐만 아니라 워블 동기 영역(580)의 검출 시간과 기록 처리의 준비 시간이 상응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안정되고 또한 정밀도가 좋은 기록 처리를 보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기록막은 상변화형 기록막을 이용하고 있다. 상변화형 기록막에서는 재기록 개시/종료 위치 근방에서 기록막의 열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에서의 기록 개시/기록 종료를 반복하면 기록막의 열화에 의한 재기록 횟수의 제한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제를 경 감하기 위해서 재기록 시에는 도 8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Jm+1/12) 데이터 바이트분 어긋나, 랜덤으로 기록 개시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도 80의 (C), (d)에서는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확장 가드 필드(528)의 선두 위치와 VFO 영역(522)의 선두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엄밀하게 말하면 도 81과 같이 VFO 영역(522)의 선두 위치가 랜덤으로 어긋나고 있다.
현행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인 DVD-RAM 디바이스에서도 기록막으로서 상변화형 기록막을 사용하고, 재기록 횟수 향상을 위해 램덤으로 기록 개시/종료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현행의 DVD-RAM 디스크에서의 랜덤한 어긋남을 행했을 때의 최대 어긋남량 범위는 8데이터 바이트로 설정하고 있다. 현행의 DVD-RAM 디스크에서의 (디스크에 기록되는 변조 후의 데이터로서)채널 비트 길이는 평균 0.143㎛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 실시예에서는 채널 비트의 평균 길이는 도 15에서
(0.087+0.093)÷2=0.090㎛ (6)
이 된다. 물리적인 어긋남 범위의 길이를 현행의 DVD-RAM 디스크에 맞춘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랜덤인 어긋남 범위로서 최저한 필요한 길이는 상기의 값을 이용하여
8 바이트×(0.143㎛÷0.090㎛)=12.7 바이트 (7)
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신호 검출 처리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랜덤인 어긋남량의 단위를 변조 후의 "채널 비트"에 맞추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8 비트를 12비트로 변환하는 ETM 변조(Eight to Twelve modulation)를 이용함으로써 랜덤인 어긋남량을 표시하는 수식 표현으로서 데이터 바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Jm/12 데이터 바이트 (8)
로 표시한다. Jm의 취할 수 있는 값으로서는 (7)식의 값을 이용하여
12.7×12=152.4 (9)
이기 때문에, Jm은 0 내지 152가 된다. 이상의 이유에서 (9)식을 만족하는 범위라면 랜덤인 어긋남의 범위 길이는 현행 DVD-RAM 디스크와 일치하고, 현행 DVD-RAM 디스크와 동일한 재기록 횟수를 보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행 이상의 재기록 횟수를 확보하기 위한 (7) 식의 값에 대해서 약간의 마진을 가지게 하여,
랜덤인 어긋남 범위의 길이를 14데이터 바이트 (10)
로 설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랜덤 시프트량을 Jm/12(0≤Jm≤154)보다 큰 범위로 함[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14)]으로써, (9)식을 만족하고, 랜덤 시프트량에 대한 물리적인 범위의 길이가 현행 DVD-RAM과 일치하기 때문에, 현행 DVD-RAM과 동일한 반복 기록 횟수를 보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0에 있어서 기록용 클러스터(540) 내에서의 버퍼 영역(547)과 VFO 영역(532)의 길이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 79의 (a)에서도 분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록용 클러스터(540) 내에서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529, 530)의 랜덤 어긋남량(Jm)은 모두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 다량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1개의 기록용 클러스터(540)를 연속하여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 위치를 워블로부 터 모니터하고 있다. 즉, 도 69에 도시하는 워블 동기 영역(580)의 위치 검출을 하거나, 무변조 영역(590, 591) 내에서는 워블의 수를 세면서 정보 기억 매체 상의 기록 위치의 확인을 기록과 동시에 행한다. 이때에 워블의 카운트 미스나 정보 기억 매체를 회전시키고 있는 회전 모터(예컨대 도 1의 모터)의 회전 불균일에 의해 워블 슬립(1워블 주기분 어긋난 위치에 기록하는 일)이 생기고, 정보 기억 매체 상의 기록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가끔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억 매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긴 기록 위치 어긋남이 검출된 경우에는, 도 80의 재기록형의 가드 영역(461) 내, 또는 도 61에 도시한 추기형 가드 영역(452)으로 조정을 하고, 기록 타이밍의 수정을 행하는[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 것에 특징이 있다. 도 80에 있어서 포스트앰블 영역(546), 여분 영역(544), 전 동기 영역(533)에서는 비트 누락이나 비트 중복을 허용할 수 없는 중요한 정보가 기록되지만, 버퍼 영역(547), VFO 영역(532)에서는 특정 패턴의 반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반복 경계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한으로는 1패턴만의 누락이나 중복이 허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드 영역(461) 중에서 특히 버퍼 영역(547) 또는 VFO 영역(532)으로 조정을 행하고, 기록 타이밍의 수정을 행한다.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설정의 기준이 되는 실제 개시점 위치는 워블 진폭 "0"의 (워블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워블의 위치 검출 정밀도는 낮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81 내의 "±1 max"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제 개시점 위치는 최대 ±1 데이터 바이트"까지의 편차량(12)을 허용하고 있다.
도 80 및 도 81에 있어서 데이터 세그먼트(530)에서의 랜덤 시프트량을 Jm 으로 하고[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용 클러스터(540) 내에는 모든 데이터 세그먼트(529)의 랜덤 시프트량은 일치함], 그 후에 추기하는 데이터 세그먼트(531)의 랜덤 시프트량을 Jm+1로 한다. (11)식에 도시하는 Jm과 Jm+1을 취할 수 있는 값으로서 예컨대 중간값을 취하고, Jm= Jm+1=84이며, 실제 개시점의 위치 정밀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가드 필드(528)의 개시 위치와 VFO 영역(522)의 개시 위치가 일치한다.
이것에 대하여 데이터 세그먼트(530)가 최대한 후위치에 기록되고, 후에 추기 또는 재기록하는 데이터 세그먼트(531)가 최대한 전위치에 기록된 경우에는 (10)식에 명시한 값과 (12)식의 값으로부터 VFO 영역(522)의 선두 위치가 버퍼 영역(537) 내에 최대 15 데이터 바이트까지 들어가는 일이 있다. 버퍼 영역(537)의 직전의 여분 영역(534)에는 특정한 중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퍼 영역(537)의 길이는 15 데이터 바이트 이상 (13)
필요해진다. 도 8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1 데이터 바이트의 여유를 가미하여, 버퍼 영역(537)의 데이터 사이즈를 16 데이터 바이트로 설정하고 있다.
랜덤 시프트의 결과, 확장 가드 영역(528)과 VFO 영역(522)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한 면 2기록층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그 간극에 의한 재생시의 층간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랜덤 시프트를 행해도 반드시 확장 가드 필드(528)와 VFO 영역(522)의 일부가 중복되어,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고안[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이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13)식이 동일한 이유로부터 확장 가드 필드(528)의 길이는 15 데이터 바이트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후속하는 VFO 영역(522)은 71 데이터 바이트로 충분히 길게 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장 가드 필드(528)와 VFO 영역(522)의 중복 영역이 다소 넓게 되어도 신호 재생 시에는 지장이 없다(중복되지 않는 VFO 영역(522)에서 재생용 기준 클록의 동기를 취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 따라서, 확장 가드 필드(528)는 15 데이터 바이트보다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속 기록 시에 드물게 워블 슬립이 발생하여, 1워블 주기분 기록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이미 설명했다. (5) 식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워블 주기는 7.75(약8) 데이터 바이트에 해당하기 때문에 (13) 식에 이 값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가드 필드(528)의 길이를
(15+8=)23 데이터 바이트 이상 (14)
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8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버퍼 영역(537)과 마찬가지로 1 데이터 바이트의 여유를 가미하여, 확장 가드 필드(528)의 길이를 24 데이터 바이트로 설정하고 있다.
도 80의 (e)에 있어서 기록용 클러스터(541)의 기록 개시 위치를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재기록형 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미리 기록된 워블 신호를 이용하여 그 기록 개시 위치를 검출한다. 도 69의 (d)에서 알 수 있듯이 워블 동기 영역(580) 이외에는 모두 4워블 단위로 패턴이 NPW에서 IPW로 변화하고 있다. 그것에 비교하여 워블 동기 영역(580)에서는 워 블의 전환 단위가 부분적으로 4워블로부터 어긋나 있기 때문에, 워블 동기 영역(580)이 가장 위치 검출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워블 동기 영역(580) 위치를 검출 후, 기록 처리의 준비를 하여 기록을 시작한다. 그 때문에 레코딩 클러스터(541)의 개시 위치는 워블 동기 영역(580)의 직후의 무변조 영역(590) 중에 올 필요가 있다. 도 81에서는 그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물리 세그먼트의 전환 직후에 워블 동기 영역(580)이 배치되어 있다. 도 6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블 동기 영역(580)의 길이는 16워블 주기분으로 되어 있다. 그 워블 동기 영역(580)을 검출 후, 기록 처리의 준비에 마진을 예측하여 8워블 주기분 필요해진다. 따라서,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딩 클러스터(541)의 선두 위치에 존재하는 VFO 영역(522)의 선두 위치가 랜덤 시프트를 고려하여고 있어도, 물리 세그먼트의 전환번째위치로부터 24워블 이상 뒤쪽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 시의 중복 개소(541)에서는 몇 번이나 기록 처리가 행해진다. 재기록을 반복하면 워블 그루브 또는 워블 랜드가 물리적인 형상이 변화(열화)되고, 거기부터의 워블 재생 신호 품질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0의 (f) 또는 도 69의 (a),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 시 또는 추기 시의 중복 개소(541)가 워블 동기 영역(580)이나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내에 오는 것을 피하여, 무변조 영역(590) 내에 기록되도록 고안[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3ζ)]하고 있다. 무변조 영역(590)은 일정한 워블 패턴(NPW)이 반복될 뿐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워블 재생 신호 품질이 열화되어도 전후의 워블 재생 신호를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기록 시 또는 추기 시의 중복 개소(541) 위치를 무변조 영역(590) 내에 오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워블 동기 영역(580) 또는 워블 어드레스 영역(586) 내에서의 형상 열화에 의한 워블 재생 신호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고, 워블 어드레스 정보(610)로부터의 안정된 워블 검출 신호를 보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긴다.
다음에,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추기형 데이터의 추기 방법의 실시예를 도 82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대해서는 레코딩 클러스터 내의 레이아웃을 도 79의 (b)방식을 채용하지만,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79의 (a)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는 한 번뿐인 기록이 되기 때문에, 상기에 설명한 랜덤 시프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도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 24워블 이후에 데이터 세그먼트의 선두 위치가 오도록[도 131a 및 도 131b의 요점 (K5)] 설정하여 중복 기록의 장소가 워블의 무변조 영역에 오게 되어 있다.
도 23a 및 도 23b의 192 바이트째 "기록 마크의 극성("H→L"인지 "L→H"인지 식별) 정보"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H→L" 기록막과 "L→H" 기록막의 양방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규정하고 있는 "H→L" 기록막과 "L→H" 기록막의 광반사율 범위를 도 83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H→L" 기록막의 비기록부에서의 반사율 하한값이 "L→H" 기록막의 비기록부에서의 상한값보다 높아지도록 규정[도 135의 요점 (M])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정보 재생 장치에 상기 정보 기억 매체를 장착했을 때, 도 1의 슬라이스 레벨 검출부(132), 또는 PR 등화 회로(130)에서 비기록부의 광반사율을 측 정하고, 순간에 "H→L" 기록막인지 "L→H" 기록막인지 판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막의 종별 판별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많은 제조 조건을 바꾸어 작성한 "H→L" 기록막과 "L→H" 기록막을 작성하여 측정한 결과, "H→L" 기록막의 비기록부에서의 반사율 하한값과 "L→H" 기록막의 비기록부에서의 상한값의 사이의 광반사율 α을 36%로 함[도 135의 요점 (M1)]으로써 기록막의 제조성이 높고, 매체의 저가격화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었다. "L→H" 기록막의 비기록부("L"부)의 광반사율 범위(801)를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한 면 2기록층의 광반사율 범위(803)에 일치시켜[도 135의 요점 (M3)], "H→L" 기록막의 비기록부("H"부)의 광반사율 범위(802)를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한 면 단층의 광반사율 범위(804)에 일치시키는[도 135의 요점 (M2)] 것으로, 재생 전용형 정보 기억 매체와의 호환성이 좋고,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회로를 겸용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재생 장치를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많은 제조 조건을 바꾸어 작성한 "H→L" 기록막과 "L→H" 기록막을 측정한 결과, 기록막의 제조성을 높여 매체의 저가격화를 쉽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L→H" 기록막의 비기록부("L"부)의 광반사율의 하한값 β를 18%, 상한값 γ를 32%로 하고, "H→L" 기록막의 비기록부("H"부)의 광반사율 하한값 δ을 40%, 상한값 ε를 70%로 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종 기록막에서의 비기록 위치와 기존 기록 위치에서의 반사율을 도 114, 도 115에 도시한다. 도 83과 같이 비기록부에서의 광반사율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그루브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L→H" 기록막으로는 엠보스 영역(시스템 리드인(SYLDI) 등)과 기록 마크 영역(데이터 리드 인/아웃(DTLDI, DTLDO)나 데이터 영역(DTA)]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신호가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H→L" 기록막으로는 그루브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엠보스 영역(시스템 리드인(SYLDI) 등)과 기록 마크 영역(데이터 리드 인/아웃(DTLDI, DTLDO)이나 데이터 영역(DTA)]에서 반대 방향으로 신호가 나타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L→H" 기록막과 "H→L" 기록막 사이에서의 기록막 식별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H" 기록막과 "H→L" 기록막에 대응한 검출 회로 설계가 용이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 표시된 작용 효과를 통합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5∼도 135에 실시예에 관한 요점을 통합하여 기재한다. 각각의 포인트를 조합시켰을 때의 효과를 도 125∼도 135의 열로 도시하고, 각 효과의 기여율의 가장 높은 부분에 ☆ 인을 표시하며, 기여율이 높은 순서로 이중원(◎), 원(○), 삼각(△)의 인을 부가하였다. 각각의 요점을 조합시켰을 때의 효과를 개략 설명하면,
효과 1. 최적 기록 조건 산출 : 안정되게 버스트 머팅 영역(BCA)을 검출 후, 슬라이스 레벨 검출로 안정되게 판독한 림강도값으로 장려 기록 조건 정보를 쓸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쓸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서 기록 조건의 조심스러운 산출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테스트 존의 확장과 그 위치 관리가 필요해진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E2), (G3); (A1), [B], (B1), (E3), (E4), (E6), [G], (G2); [A], (B4), (G1), (G1α); (B2), (B3), [E], (E1)의 순서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E2)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확장을 가능하게 함(도 18)으로써, 시험 기록 횟수를 늘려 기록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고, (G3) 기록 조건의 선행 위치에 광학계 조건 정보를 배치(도 23a 및 도 23b)함으로써, 직후 배치의 기록 조건의 적합 가부를 고속으로 판정 가능한 것이다.
효과 2. 재생 회로 설정 방법 : 안정되게 버스트 컷팅 영역(BCA) 검출 후, 슬라이스 레벨 검출로 안정되게 판독한 "H→L", 또는 "L→H"의 식별 정보를 고속으로 판독하고, 참조 코드를 이용하여 PR(1, 2, 2, 2, 1)에 맞춘 최적의 회로 조정을 행한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A3), (G2); (A1), (A2), [B], (B1), [G]; [A], (B4); (B2), (B3)의 순서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A3) 참조 코드 패턴은 "3T3T6T" 반복(도 16)함으로써 ETM&RLL(1, 10)과 PRML에 최적화하는 것과, (G2) 기록 마크의 극성 정보를 물리 포맷 정보,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 내에 갖는(도 23a 및 도 23b) 것에 의해, H→L형과 L→H형 기록막의 양방을 허용하여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혀 고속 기록이나 저가격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효과 3. 사용자 기록 정보 재생 시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 : 안정되게 버스트 컷팅 영역(BCA) 검출 후, 슬라이스 레벨 검출로 시스템 리드인 정보를 재생 후, PRML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록 정보를 재생한다. 결함 장소의 대체 처리에 의해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재생시의 서보의 안정화이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A], (A1), [H], (H1), (H2), (H3), (H4), (H5); (C3α), (C3β), (C6), (C7), (G2), [I], (J1), [K], (L10), (L10β), (L11); (A2), [B], (G1), (K1), (K2), (K3), (K3), (L3), (L6α), (L7), (L10α); (B1), (B2), (B4), (C3), (C4α), (C8α), [F], (K3α), (K3β), (K3γ), (K3δ), (K3ε), (K3ε), (K4), (K5), (L1), (L1α), (L1β), (L2), (L11α), [M], (M1), (M2), (M3), [N], (N1), (N1α ), (N2), (N3), (N4)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A]데이터 영역, 데이터 리드인 영역,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서는 재생에 PRML을 사용(도 5, 도 9)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 특히 선밀도가 향상되고, A1) PR(1, 2, 2, 2, 1)을 이용(도 7)함으로써 고밀도화+재생 신호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H]동일한 데이터 프레임 내를 복수의 소 ECC 블록에 분산 배치(도 35)함으로써,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기록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 (H1) 동일한 물리 섹터 내를 2개의 소 ECC 블록 내에 교대로 소속시키는(도 35, 도 37) 것에 의해, 버스트 에러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H2) 32 물리 섹터로 하나의 ECC 블록을 구성(도 31)함으로써 에러 정정 가능한 매체 표면 상의 허용 길이를 확대하고, (H3) 짝수 섹터와 홀수 섹터로 물리 섹터 내의 데이터 구조가 상이함(도 37)으로써, PO 삽입 방법이 간단하고, 에러 정정 후의 정보 추출이 용이하며 ECC 블록 구축 처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으며, (H4) 레코딩 프레임의 짝수와 홀수로 PO의 삽입 장소가 상이(도 37)함으로써, 물리 섹터의 선두에 데이터 ID를 배치할 수 있고, (H5) 레코딩 프레임의 홀수와 짝수로 데이터 ID가 포함되는 소 ECC 블록이 상이(교대로 배치됨)(도 84)함으로써 데이터 ID의 재생 신뢰성을 향상시켜 액세스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효과 4. 기록(재기록 또는 추기) 장소로의 액세스 시간의 단축화 : 결함 관리 정보에 의해 기록(재기록 또는 추기) 장소를 사전에 확인. 어드레스 정보 재생 시의 신뢰성 향상이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J], (K3), [L], (L6); (H5), (H6), (J2), (J3), (J4), (J5), (L5α); (C3α), (C3β), [E], (E1), (E2), (E3), (E4), (E5), (E6), (E7), [H], (H1), (H2), (J1), (J1α), (J2α), (J2β), (J3α), (J3β), (J3γ), (J3δ), (J3ε), (J4α), (J4β), (J4γ), (J4δ), (J4ε), (J5α), (J5β), (J5γ), (J5δ), (J5ε), (J5ζ), (J6); (H3), [N], (N1), (N1α), (N2), (N3), (N4)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J] 워블의 위상 변조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사전 기록(도 64)함으로써, 슬롯 간격이 좁고, 워블 신호의 동기가 용이하며, (K3) 기록 위치 어긋남 발생시에 가드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정을 행함(도 80)으로써, 기록시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기록 타이밍을 수정할 수 있고, [L] 재생 시에 최신의 RMD를 재생하여, 추기 후에 갱신된 RMD를 RMZ 내에 추기함(도 87, 도 90, 도 91)으로써, 최후의 상태에서의 기록 위치 관리 정보(RMD)의 추기/재생으로 추기 횟수의 증가와 재생시의 고속 액세스가, (L6) RMD 복제 존(RDZ)을 재생한 후에 최신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기록 위치를 검색(도 108)함으로써, RMD 복제 존(RDZ)을 이용한 대강 검색과 최종 보더 내밀 검색에 의한 검색의 용이성이다.
효과 5. 안정되고 또한 정밀도가 좋은 기록 마크의 기록 : 안정된 트랙킹과 기록 장소의 확인과, 기록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속도로 기록하는 것이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G1), (G1α), (G3), (K3); [E], (E1), (E2), (E3), (E4), (E5), (E6), (E7), [J], (J2), (J3), (J4), (J5), [K], (K3α), (K3β), (K3γ), (K3δ), (K3ε), (K3ε), (K4), (K5); [A], (A1), (A2), (A3), (J2α), (J2β), (J3α), (J3β), (J3γ), (J3δ), (J3ε), (J4α), (J4β), (J4γ), (J4δ), (J4ε), (J5α), (J5β), (J5γ), (J5δ), (J5ε), (J5ζ), (J6), (K1), (K2), (K3)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G1) 기록 속도에 따른 리비전 정보를 갖게 함(도 23a 및 도 23b)으로써, 장래의 고속 기록 대응의 매체로의 확장 기능을 보증, 리비전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규격을 대응할 수 있고, (G1α) 기록 속도의 최고가와 최저값으로 리비전 번호를 다르게 설정 가능하게 함(도 23a 및 도 23b)으로써 개발 가능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고속 기록이 가능한 매체나, 보다 저가격인 매체를 공급 가능, (G3) 기록 조건의 선행 위치에 광학계 조건 정보를 배치(도 23a 및 도 23b)함으로써, 직후 배치의 기록 조건의 적합 가부를 고속으로 판정 가능하고, (K3) 기록 위치 어긋남 발생시에 가드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정을 행(도 80)함으로써, 기록시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기록 타이밍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효과 6. "L→H" 기록막과 "H→L" 기록막의 양방에 대응하여, 회로의 공통화를 꾀하여 제어의 간소화를 실현한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B3), (G2), [M], (M1); [A], (A1); (M2), (M3); (A2), (A3), [B], (B1), (B2)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B3) L→H막으로 버스트 컷팅 영역에 미세 요철을 형성함(도 9)으로써, BCA와 SYLDI에서 검출 레벨이 일치(처리가 쉬움)하고, (G2) 기록 마크의 극성 정보를 물리 포맷 정보, 또는 R 물리 포맷 정보 내에 가짐(도 23a 및 도 23b)으로써 "H→L"형과 "L→H"형 기록막의 양방을 허용하여, 기록막의 선택 범위를 넓히고 고속 기록이나 저가격화에 대응하여, M]"H→L"기록막 반사율 하한값이 "L→H" 기록막의 상한값보다 높은(도 83) 것에 의해, 반사율 측정만으로 기록막의 종별 판별이 매우 용이하고, (M1) "H→L"의 하한값과 "L→H" 상한값 사이의 반사율 36%(도 83)에 의해 기록막의 제조성이 높고 저가격화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효과 7. 데이터 구조에 확장성을 갖게 하여 관리 방법의 유연성을 확대한다: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이나 테스트 존(DRTZ)의 영역에 확장성을 갖게 함으로써 추기 가능 횟수의 상한값이나 시험 기록 횟수의 상한값이 향상된다. 확장 영역 설정에 의해 액세스 빈도가 상승하지만, 어드레스 정보나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함으로써 액세스 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액세스시의 장치 제어 부담(액세스시의 에러 처리에 의한 부담)을 경감한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C], (C1), (C3), (C4), (C8), (G1), (L6α), (L7), (L8), (L11α); (C3α), (J5), (J5ζ), (L4), (L6), (L13), (L14); (C3β), (C6), (C7), (C8α), [E], (E1), (E2), (E3), (E4), (E5), (E6), (E7), [H], (H1), (H2), (H3), (H4), (H5), (H6), (J2), (J2β), (J3), (J5α), [K](K3), [L](L1), (L1α), (L1β), (L2), (L3), (L4β), (L4β), (L5), (L5α), (L9), (L9α), (L10), (L10α), (L10β), (L11), (L12), (L12α), (L12β), (L12γ), (L13α), (L13β), (L14α), [M], [N], (N1), (N1α), (N2), (N3), (N4); (C2), (C4α), (C5), (J2α), (J5β), (J5γ), (J5δ), (M1), (M2), (M3)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C]기록 위치 관리 존을 확장 가능하게 함(도 92, 도 93)으로써 RMD 기록 영역 확장할 수 있고, 추기 가능 상한 횟수 증대와, (C1) 보더인(BRDI) 마다 기록 위치 관리 존이 설정 가능(도 86a 및 도 86b)함으로써, 보더 내 영역의 추기 횟수를 대폭 늘리면, (C2) 최초의 보더 내 영역(BRDA #1)의 기록 위치 관리 존을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 배치함(도 16)으로써, 최초의 보더 내 영역의 보더인을 데이터 리드 인과 겸용함으로써 데이터 영역의 유효 활용이 가능하고, (C3)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에 RMD 복제 존(RDZ)을 배치함(도 16)으로써,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일부 중복하여 가짐으로써 결함 등에 의해 재생 불능시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 (C3α) 보더 내 영역에 관계한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를 RMD 복제 존(RDZ) 내 기록(도 16)에 의해, RMD 복제 존(RDZ) 내를 유효 활용하여 추기 가능 횟수를 향상시킬 수 있고, (C3β) 새로운 RMZ가 만들어질 때마다 RMD 복제 존(RDZ) 내에 최후의 RMD가 기록됨(도 17a 및 도 17b)으로써,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추기 가능 횟수를 대폭 증대하고, 최신의 RMD 위치 검색이 용이하며, RMD 신뢰성 향상과, (C4) 데이터 리드인 영역 내에 RDZ 리드 인을 기록함(도 17a 및 도 17b)으로써, 제조 직후에 한 번이라도 사용했는지의 식별이 가능하고, (C4α) RMD 복제 존(RDZ) 내에 RDZ 리드인(RDZLI) 배치(도 17a 및 도 17b)에 의해, 필요 정보 수집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으며, (C5) RDZLI 사이즈 또는 RMD 사이즈를 64KB로 함(도 17a 및 도 17b)으로써, RDZLI 또는 RMD의 기록 효율 저하 방지 가능하고, (C6) RMD의 복사(CRMD가 다중 기록됨(도 86a 및 도 86b)으로써, RMD의 복사(CRMD의 신뢰성 향상과, (C7)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가 다중 기록(도 86a 및 도 86b)에 의해,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의 신뢰성 향상과, (C8) R 존을 확장 기록 위치 관리 존(RMZ)에 사용함(도 103)으로써, 동일 보더 내 영역의 추기 횟수를 대폭 늘리고, (G1) 기록 속도에 따른 리비전 정보를 갖게 함(도 23a 및 도 23b)으로써 장래의 고속 기록 대응의 매체로의 확장 기능을 보증, 리비전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규격을 대응할 수 있으며, (L6α) RMD에서 RMZ 위치의 관리에 이용함(도 92)으로써 RDZ에 의한 RMZ 위치 검색이 용이 해지고, (L7) 초기화 시나 R 존 예약·R 존의 클로즈 시나, 보더 클로즈 시인지를 기록 중단 시에 RMD의 갱신을 함(도 89, 도 101)으로써 RMD 갱신에 의해 재생 시의 검색 제어 간소화나 추기 시의 기록 가능 영역의 검색 용이성을 확보하고, (L8) RMZ 내가 가득차게 되거나 RMZ 내의 나머지의 예약 영역이 적어진 때에는 새로운 RMZ의 작성을 행(도 91)함으로써, RMZ 내가 가득차게 되어 갱신된 RMD의 추기 불가능으로 추기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막으며, (L11α)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도 새로운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NDTLDO) 내에 포함시킴(도 119, 도 120, 도 18)으로써, 재생 전용 장치가 잘못 확장 드라이브 테스트 존(EDRTZ) 내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한다.
효과 8 .다른 종류의 매체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정보 재생 장치/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한다: 새로운 기록 위치 관리 존(RMZ)의 설정 시나 보더 클로즈 시에 데이터의 간극을 특정 데이터로 매립함으로써 정보 재생 장치에서의 DPD 방식을 이용한 안정된 트랙킹을 보증한다. 버스트 컷팅 영역(BCA) 정보나 물리 포맷 정보 등의 각종 매체 간의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제어 회로의 공통화에 의하는 정보 재생 장치/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간소화와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재생시의 안정화를 확보함으로써 정보 재생 장치/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더한 간소화와 저가격화가 추진 가능해진다. 이 효과에 기여하는 요점은, [A], [B], (B1), [G], [H], (L2), (L10), (L10β), (L11α), [N]; (A1), (A2), (A3), (B2), (B4), [F], (H1), (H2), (H3), (H4), (H5), (H6), (J5ε), (L3); [L], (L1), (L1α), (L1β), (B3)이다. 즉, 기여율이 높은 요점은 [A] 데이터 영역, 데이터 리드인 영역, 데이터 리드아웃 영역에서는 재생에 PRML을 사용함으로써(도 5, 도 9), 정보 기억 매체의 고밀도화, 특히 선밀도가 향상되고, [B] 시스템 리드인 영역, 시스템 리드아웃 영역에서는 재생에 슬라이스 레벨 검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도 3, 도 9), 현행 DVD와의 호환성 확보와 재생의 안정화와, (B1) 시스템 리드 인/아웃 영역의 밀도를 데이터 리드 인/아웃 영역보다도 낮게 함으로써(도 13∼도 15), 현행 DVD와의 호환성 확보와 재생의 안정화와, [G] 물리 포맷의 정보 배치 위치를 공통화함으로써(도 22a 및 도 22b), 장치의 정보 재생 처리의 공통화와 간소화를 꾀할 수 있고, [H]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 내를 복수의 소 ECC 블록에 분산 배치함으로써(도 35),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록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L2) 대응 보더 내 영역 클로즈 시 또는 종료 처리 시에서 예약 영역을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에서 모두 매립함으로써(도 17, 도 85), DPD에 의한 트랙킹의 안정성 확보, 최후의 기록 위치 관리 데이터(RMD)의 신뢰성 확보와, (L10) 보더 클로즈 시에는 RMZ를 매립한다, PFI의 기록, 보더아웃(BRDO)의 기록이 행해짐으로써(도 94), 재생 전용 장치에서의 안정된 트랙킹과 기록 정보의 액세스 처리를 보증하고, (L10β) 보더 클로즈 시에는 R 존 내를 매립함으로써(도 97), DPD에 의한 R 존 내의 트랙 어긋남 방지와, (L11α) 2번째 이후의 보더 내 영역(BRDA)을 클로즈할 때에는 RDZ 내에의 최신 RMD의 복사 처리를 행함으로써(도 95), 2번째 이후의 보더 내 영역(BRDA)의 RMZ 위치 검색이 용하게 되며, 액세스 제어가 용이하고 신뢰화되며, [N] 데이터 ID 내 영역 타입 정보(935)에 의해 데이터 리드아웃 위치의 식별 정보를 설정함으로써(도 118, 도 119, 도 120), 액세스 직후에 데이터 ID에서 용이하게 데이터 리드아웃 위치를 알 수 있고 액세스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도 136,도 13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영역내의 그룹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8에는, 워블 데이터 유닛 내에서의 변조 영역의 1차 배치 장소와 2차 배치 장소에 관한 변조 영역 배치로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9에는,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상에 기록되는 추기형 데이터의 추기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40에는 제어 데이터 존 내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41a 및 도 141b에는 물리 포맷 정보와 R 물리 포맷 정보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에서의 데이터 영역 내의 그룹 구조를 도 136, 도 137에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섹터 번호를 랜드(L)측을 작은 번호로 설정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대체 영역(SPA)이 도 136, 도 137의 대체 영역에 대응하여, 대체 영역(SPA)은 데이터 영역(DTA) 내의 최내주의 랜드 영역(물리 섹터 번호 "30000h"부터 "41F7F"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도 74(b)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138(b)에 도시한다. 도 138에 있어서 (a), (c), (d)는 도 74의 (a), (c), (d)와 일치한다. 도 74(b)에서는 IPW 영역에 4워블, IPW 영역에 둘러싸인 NPW 영역에 6워블을 할당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도 138(b)와 같이 IPW 영역에 6워블, IPW 영역에 둘러싸인 NPW 영역에 4워블 을 할당해도 좋다.
도 82에 도시한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로의 추기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 139에 도시한다.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경계 위치로부터 24워블 후방의 위치가 기록 개시 포인트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새롭게 추기되는 데이터는 71데이터-바이트분의 VFO 영역을 형성한 후, ECC 블록 내의 데이터 영역(데이터 필드)이 기록된다. 이 기록 개시 포인트와 직전에 기록한 기록 데이터의 버퍼 영역(537)의 종료 위치가 일치하고, 그보다 8데이터 바이트 분의 길이만큼 확장 가드 필드(528)가 형성된 후가 추기 데이터의 기록 종료 위치(기록 종료 포인트)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추기한 경우에는, 직전에 기록되어 있는 확장 가드 필드(529)와 새롭게 추기하는 VFO 영역의 부분으로 8데이터 바이트분만큼 중복 기록된다.
도 22에 도시한 제어 데이터-존 내의 데이터-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 140에 도시한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데이터 존(CDZ)은 엠보스 피트 영역(211)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데이터 존(CDZ)은 물리 섹터 번호 151296(024F00h)에서 시작되는 192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0의 실시예에서는 제어 데이터 존(CDZ) 내에는 16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제어 데이터 섹션(CTDS)과 16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카피라이트 데이터 섹션(CPDS)이 각각 2개소씩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예약 영역(RSV)이 설정되어 있다. 2개소씩 배치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이에 예약 영역(RSV)을 배치함으로써 2개소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넓히고, 정보 기억 매체 표면의 흠집 등에 의해 발생하는 버스트 에러에 대한 영향을 경감하고 있다.
1개의 제어 데이터 섹션(CTDS) 안은 도 14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0" 내지 "2"까지의 최초의 3개의 물리 섹터 정보가 16회 반복하여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16회 다중 기록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0"인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최초의 물리 섹터에는 도 23a 및 도 23b 또는 도 141a 및 도 141b에 기재된 물리 포맷 정보(PFI)가 기록된다. 또한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1"인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2번째의 물리 섹터에는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가 기록되어 있다.
더욱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2"인 데이터 세그먼트 내의 3번째의 물리 섹터에는 카피라이트 방지(보호) 정보(CPI)가 기록된다. 상대적인 물리 섹터 번호가 "3"내지 "31"까지인 예약 영역(RSV)에는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리저브되어 있다.
상기한 매체 제조 관련 정보(DMI)의 내용으로서는 0 바이트째로부터 127 바이트째까지의 128 바이트에 매체 제조사명이 기록되고, 128 바이트째로부터 255 바이트째까지의 128 바이트에 매체 제조자가 존재하는 장소 정보(어디에서 이 매체가 제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매체 제조사명은 ASCII 코드로 기재된다. 단지, 매체 제조자명으로서 사용 가능한 ASCII 코드는 "0Dh" 까지와 "20h" 내지 "7Eh"까지 한정되고 있다. 이 영역 내의 최초의 1 바이트째로부터 매체 제조자명이 기재되고, 이 영역 내의 남은 부분에는 "0Dh"의 데이터로 매립된다(터미네이터됨). 또는 다른 기재 방법으로서 매체 제조자명으로서 기재 가능한 사이즈를 처음부터 "0Dh"까지의 범위로 하고, 그보다도 매체 제조자명이 긴 경우에는 "0Dh"까지로 중단하며, "0Dh"보다 후에는 "20h"의 데이터로 매립해도 좋다.
또한 어디에서 이 매체가 제조되었는지를 도시하는 상기한 매체 제조자가 존재하는 장소 정보는 해당하는 국가명 또는 지역을 ASCII 코드로 기재한다. 여기의 영역도 매체 제조자명과 함께 사용 가능한 ASCII 코드는 "0Dh"까지이고 "20h" 내지 "7Eh"까지로 한정되고 있다. 이 영역 내의 최초의 1 바이트째로부터 매체 제조자가 존재하는 장소 정보가 기재되고, 이 영역 내의 남은 부분에는 "0Dh"의 데이터로 매립된다(터미네이터됨). 또는 다른 기재 방법으로서 매체 제조자가 존재하는 장소 정보로서 기재 가능 사이즈를 처음부터 "0Dh"까지의 범위로 하고, 그것보다도 매체 제조자가 존재하는 장소 정보가 긴 경우에는 "0Dh"까지로 중단하고, "0Dh"보다 후에는 "20h"의 데이터로 매립해도 좋다.
또한, 도 140(c)의 예약 영역(RSV) 내에는 모두 "00h"의 데이터로 매립된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물리 포맷 정보와 R 물리 포맷 정보 내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 141a 및 도 141b에 도시한다. 도 141a 및 도 141b에서는 더욱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에 대해서도 비교 기재하였다. 도 141a 및 도 141b에 있어서 0 바이트째로부터 31 바이트째까지를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9)의 기록 영역으로서 이용하고, 32 바이트째 이후를 각 규격서용으로 설정하고 있다.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리드인 영역(DTLDI) 내의 R 물리 정보 존(RIZ) 내에 기록된 R 물리 포맷 정보는 도 88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 포맷 정보(PFI)(HD-DVD 패밀리의 공통 정보의 복사)에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최초 보더의 최외주 어드레스)가 부가되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21(d) 또는 도 86 (d)에 도시하는 보더인(BRDI) 내의 갱신된 물리 포맷 정보(U_PFI) 내에는 도 88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 포맷 정보(PFI)(HD-DVD 패밀리의 공통 정보의 복사)에 갱신된 개시 위치 정보(자기 보더의 최외주 어드레스)가 부가되어 기록되어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서는 이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가 197 바이트째로부터 204 바이트째까지 배치되어 있음에 대하여, 도 141a 및 도 141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피크 파워나 바이어스 파워(1) 등 기록 조건에 관한 정보[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보다도 선행한 위치로서, 또한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9)보다도 후의 위치인 133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에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갱신된 개시 위치 정보도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와 같이 피크 파워나 바이어스 파워(1) 등 기록 조건에 관한 정보[각 리비전마다 고유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 내용(264)]보다도 선행한 위치로서, 또한 DVD 패밀리 내의 공통 정보(269)보다도 후의 위치인 133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에 배치된다. 장래 리비전 번호가 업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기록 조건을 구한 결과,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의 기록 조건 정보로서 197 바이트째로부터 207 바이트째까지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3a 및 도 23b의 실시예와 같이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내에 기록되는 R 물리 포맷 정보의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를 197 바이트째로부터 204 바이트째에 배치하면, 기록 조건의 배치 위치에 관한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사이에서의 대응(호환성)이 무너질 위험성이 있다. 도 141a 및 도 1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와 갱신된 개시 위치 정보를 133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에 배치함으로써 장래 기록 조건에 관한 정보량이 증가해도 재기록형 정보 기억 매체와 추기형 정보 기억 매체 사이에서의 각종 정보 사이의 기록 위치의 대응(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보더 존의 개시 위치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 내용은 133 바이트째로부터 136 바이트째에 현재사용하고 있는 (전류의) 보더 내 영역(BRDA)의 외측에 있는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PSN)로 기재되고, 137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에는 다음에 사용되는 보더 내 영역(BRDA)에 관한 보더인(BRDI)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PSN)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갱신된 개시 위치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 내용은 보더 내 영역(BRDA)이 새롭게 설정된 경우의 최신의 보더 존 위치 정보를 도시하고, 133 바이트째로부터 136 바이트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류의)보더 내 영역(BRDA)의 외측에 있는 보더아웃(BRDO)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PSN : Physical Sector Number)로 기재되며, 137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에는 다음에 사용되는 보더 내 영역(BRDA)에 관한 보더인(BRDI)의 개시 위치 정보가 물리 섹터 번호(PSN)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음 보더 내 영역(BRDA)이 기록 불가능한 경우에는, 여기(137 바이트째로부터 140 바이트째)는 모두 "00h"로 매립된다.
또한,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실시예에 비교해서 도 141a 및 도 141b의 실시예에서는 "매체 제조업체명 정보"와 "매체 제조업체로부터의 부가 정보"가 삭제되고, 128 바이트째로부터 기록 마크의 극성(H→L인지 L→H인지의 식별) 정보가 배치된다.
다음에 결함 관리에서의 특징적인 부분의 실시예에 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42∼도 155를 참조하여, 제1 결함 관리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억 매체(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억 매체는 DMA의 사이에 대체 영역(SA) 및 사용자 영역(UA)을 구비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142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는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의 데이터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영역(UA)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다. 대체 영역(SA)은 사용자 영역 상에 존재하는 결함 영역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교체 기록되는 영역이다. 결함 영역은 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 단위의 영역이다. 즉, ECC 블록의 단위의 데이터가 대체 영역(SA)에 교체 기록되게 된다. 후술하지만, DMA는 DMA 카운터(오버라이트 관리 영역)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경우, 이 DMA 카운터의 카운트값에는, DMA에 대한 오버라이트 횟수가 반영된다.
도 143은 교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 용자 영역 중에 발생한 결함 영역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대체 영역(SA)에 교체 기록된다(STT1). 그리고, 교체원(결함 영역)과 교체처[대체 영역(SA)의 소정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가, DMA 내의 SDL에 등록된다. DMA는, 예컨대 도 1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의 내주 및 외주에 배치되어 있고, 양 DMA의 SDL에는 동일한 데이터가 등록된다. SDL에 대하여 정보가 등록되면, SDL의 갱신 카운터가 증분(+1)된다(STT2).
종래, DMA는 매체 상의 고정 물리 어드레스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DMA에 대한 내장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동일한 내용이 저장된 DMA가 매체 상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DVD-RAM의 경우는, DMA는 최내주에 2개소, 최외주에 2개소, 합계 4개소에 DMA가 배치되어 있고, 4개의 DMA에는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도록 되고 있다.
도 144는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 중에 배치되는 DMA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억 매체는 복수의 DMA를 갖고, 각 DMA는 DDS/PDL 블록과 SDL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DL은 Primarily Defect List의 약칭이다. DDS/PDL 블록도 SDL 블록도, 1 ECC 블록(=32KB)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1 ECC 블록이 32KB인 사례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1 ECC 블록을 64KB로 구성할 수도 있다. 64KB로 구성되는 ECC 블록에 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는 DMA의 내장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 중의 DMA가 약해진 시점에서 이 DMA에 저장된 결함 관리 정보를, 새로운 DMA에 추이하도 록 정의되어 있다. DMA가 약해진 경우란 이 DMA에 대한 오버라이트 횟수가 이 DMA를 갖는 매체의 오버라이트 허용 횟수에 임박해 온 경우, 또는 이 DMA 상에서 결함이 증가하여 에러 정정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생긴 경우이다.
각 DMA는 드라이브 내의 참된 기록 단위인 ECC 블록의 정수배의 사이즈로 구성된다. DVD-RAM에서는 1 ECC 블록은 16섹터로 구성되어 있고, 1 ECC 블록의 사이즈는 32KB이다. PDL은 초기 결함 등록용의 리스트이며, SDL은 2차 결함 등록용 리스트이다. PDL에는, 매체를 포맷할 때에 실행되는 서티파이에 있어서 찾아낸 결함, 즉 초기 결함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가 등록된다. 이것에 대하여, SDL에는 통상의 기록 시(예컨대 사용자 데이터 기록 시)에 있어서 발견된 결함, 즉 2차 결함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가 등록된다. 결함 관리 정보에는, 교체원의 어드레스와 교체처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리스트의 사이즈가 커지면 등록 가능한 결함수가 증가한다. DMA0∼DMAn은 시퀀셜로 배치되어 있고, DMA0부터 순서대로 사용된다.
도 145는 DMA에 포함되는 DDS/PDL 블록의 선두 섹터 내에 기술되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DDS/PDL 블록의 소정의 영역에는, 4 바이트의 DDS/PDL 갱신 카운터 및 4 바이트의 DMA 기록 카운터(1) 등이 배치되어 있다.
DDS/PDL 블록의 내용이 갱신될 때에, DDS/PDL 갱신 카운터가 증분(+1)된다. DMA 기록 카운터(1)는 DDS/PDL 블록이, 재기록되었을 때에 카운트업되는 카운터이다. 매체의 초기화(첫회)의 시점에서, 모든 DMA 기록 카운터(1)에는 제로가 설정된다. 이 카운터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46는 DMA에 포함되는 SDL 블록에 기술되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SDL 블록의 소정의 영역에는, 4 바이트의 SDL 갱신 카운터, 4 바이트의 DMA 기록 카운터(2) 및 복수의 SDL 엔트리 등이 배치되어 있다.
즉, SDL 블록은 바이트 위치(BP) 0-1에 SDL 식별자가 기술되고, 바이트 위치(BP) 4-7에 SDL 갱신 카운터, 바이트 위치(BP) 4-7에 DMA 기록 카운터(2)가 기술된다.
SDL 블록도 DDS/PDL 블록과 마찬가지로, SDL 블록의 내용이 갱신될 때에, SDL 갱신 카운터가 증분(+1)된다. 따라서, 이 카운터에서는 S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갱신 동작의 총 수가 특정된다. 보충용 대체 영역의 개시 물리 섹터 번호에서는, 최초, 대체 영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올 제로가 설정된다. 이 대체 영역은 물리 세그먼트의 제1 물리 섹터로부터 시작된다. 논리 섹터의 총 수는 사용자 영역 내의 논리 섹터의 총 수를 도시한다.
DDS/PDL 갱신 카운터는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갱신 및 재기록의 총 수를 도시한다. 대체 영역 풀 플래그는 대응하는 대체 영역의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이 장치에 판단됨으로써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 플래그는, 대체 영역이 할당되고 있을 때, 또는 모두 사용되고 있을 때는, "1"에 설정된다. 또한 대체 영역이 할당되었을 때 또는 확장되었을 때에는 "0"이 된다. SDL 내의 엔트리 수는 이 SDL 내의 엔트리 수를 나타내고 있다.
DMA 기록 카운터(2)는 SDL 블록이, 갱신 또는 재기록되었을 때에 카운트업되는 카운터이다. SDL에는 2차 결함에 관한 관리 정보가 기술된다. 매체의 초기화(첫 회)의 시점에서, 모든 DMA 기록 카운터(2)에는 제로가 설정된다. 이 카운터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후기한다.
도 147은 SDL에 포함되는 복수의 SDL 엔트리 중의 하나의 SDL 엔트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SDL 엔트리는, 예컨대 8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SDL 엔트리에는 교체전의 어드레스의 어드레스를 기술하기 위한 3 바이트의 필드 및 교체후의 어드레스의 어드레스를 기술하기 위한 3 바이트의 필드가 배치되어 있다. 교체는, 예컨대 ECC 블록 단위로 행해진다. 교체원의 어드레스의 필드 및 교체처의 어드레스의 필드에는, 각각의 ECC 블록에 포함되는 선두 섹터의 어드레스가 등록된다. 도 147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의 예로서는, 어드레스 지정용으로 3 바이트의 필드가 할당되고 있지만, 매체가 보다 대용량이 되면(어드레스 공간이 커지면), 어드레스 지정용의 필드의 사이즈도 커진다.
도 148은 DMA 계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DMA 계열은 DMA0∼n까지의 (n+1)개의 DMA를 구비하고 있다. DMA0을 현재 사용중인 DMA라고 하면, DMA1∼n까지의 DMA는 예비의 DMA라고 할 수 있다.
DMA 계열에 포함되는 복수의 DMA는 DMA0부터 순서대로 사용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DMA0이 사용되고, DMA1 이후는 미사용 상태이다. DMA0에 결함이 증가하거나, 오버라이트수가 규정수를 넘거나 한 경우에는, DMA0은 사용 종료 영역이 되어, DMA0에 저장되어 있던 결함 관리 정보는 DMA1에 교체 기록된다. 이후마찬가지로 DMA를 순서대로 사용함으로써 DMA에서 결함이나 오버라이트 손상이 생겨도 시스템으로서 혼란시키는 일없이 매체의 사용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49는, DMA에 배치된 각 카운터의 상태와 DMA의 추이의 관계「그 1」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시하는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는 DMA가 천이해도 (DMA0+DMA1에 천이해도), 누적 카운트하는 누적 카운터이다.
도 1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의 소정 영역에는 DMA 카운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 DMA 카운터는 DMA가 재기록된 경우에 증분되는 카운터이다. 즉, DMA에 포함되는 DDS/PDL 블록의 DMA 기록 카운터(1)의 카운트값 및 DMA 에 포함되는 SDL 블록의 DMA 기록 카운터(2)의 카운트값 중의 큰 쪽의 값이 DMA 카운터의 카운트값이다.
즉, 이 DMA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체크함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DMA에 대하여 몇 회 오버라이트가 실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DMA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DMA에 대한 오버라이트에 따라 DMA가 받고 있는 손상을 나타내고 있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서 미리 결정할 수 있었던 오버라이트 가능 횟수(Nov)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현행 사용 중인 DMA(예컨대 DMA0)를 예비의 DMA(예컨대 DMA1)에 이행시킨다. 물론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최대한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DMA 카운터의 최대값(Nov-1)까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DMA 카운터가 최대값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 사용 중인 DMA 상에 결함이 늘어난 것을 검출하면, 현행 사용 중인 DMA를 예비의 DMA에 이행시킨다. 각 DMA에는 사용 시작되어 비로소 값이 입력된다. 즉, 미사용의 DMA에는 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매체가 장전되었을 때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를 찾는다.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예컨대 DMA2)가 발견되면, 찾아낸 DMA의 하나 전의 DMA(예컨대 DMA1)를 현재 사용 중인 DMA로서 인식한다.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예컨대 DMA2)가 발견되지 않으면, 최종 DMA(예컨대 DMAn)를 현재 사용 중인 DMA로서 인식한다.
도 150은 DMA에 배치된 각 카운터의 상태와 DMA의 추이의 관계「그 2」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 있어서 도 149를 참조하여, DMA가 천이해도,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가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사례에 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50에서는, DMA가 천이하면(DMA0+DMA1에 천이하면),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리셋되는 사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의 소정 영역에는 DMA 카운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 DMA 카운터는 DMA가 재기록된 경우에 증분되는 카운터이다. 즉, DMA에 포함되는 DDS/PDL 블록의 DDS/PDL 갱신 카운터(DMA 기록 카운터(1)]의 카운트값 및 DMA에 포함되는 SDL 블록의 SDL 갱신 카운터[DMA 기록 카운터(2)]의 힘
도 150에 도시하는 사례에서는, DMA가 이동될 때마다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가 리셋된다. 이 때문에, 이 사례로서는 DDS/PDL 갱신 카운터는 DNIA 기록 카운터(1)와 동등한 작용을 하고, SDL 갱신 카운터는 DMA 기록 카운터(2)와 동등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 150에 도시하는 사례로서는 DMA 카운터(1, 2)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51은 현재 사용 중인 DMA를 검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현재 사용 중인 DMA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는,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는 오버라이트 등에 따라 DMA가 추이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디스크가 장전된 때에, 현재 사용 중인 DMA를 검색해야 한다. 매체상의 각 DMA(DMA0∼DMAn)에는 DMA 기록 카운터(1, 2)가 배치되어 있다. 매체가 초기화된 시점에서는 각 DMA의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은 제로 세트되어 있다. 매체의 사용이 시작되면, DMA1의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카운트업되고, 또한 사용을 계속 할 수 있으면, DMA2의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카운트업된다. DMA0∼DMAn의 사용순서는 미리 정해지고 있다. DMA0+DMA1+DMA2+…+DMAn의 순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DMA0∼DMAn의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을 조사함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매체가 장전되었을 때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를 찾는다(STT21).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예컨대 DMA2)가 발견되면(STT22의 예), 찾아 낸 DMA의 하나 전의 DMA(예컨대 DMA1)를 현재 사용 중인 DMA로서 인식한다(STT24). DMA 기록 카운터(1, 2)의 카운트값이 모두 0인 DMA(예컨대 DMA2)가 발견되지 않으면(STT22의 아니오), 최종 DMA(예컨대 DMAn)를 현재 사용 중인 DMA로서 인식한다(STT23).
도 152는 DMA의 등록 및 갱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DMA의 등록 및 갱신 처리는 도 156에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주제어부(20)는 DMA의 DMA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의 재기록 횟수가 규정수를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T31). 규정수를 넘어 있는 것이 판명되면(STT31의 예), 현재 사용 중인 DMA에 저장된 결함 정보 이동 가능한지 여부(예비의 DMA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동 가능하면(STT34의 예), 다음 이동 전에 정해지고 있는 DMA에 대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에 저장된 결함 정보를 이동한다(STT35). 이 때, 필요한 값을 이어받는다. 예컨대, 도 149에 도시하는 사례로서는,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의 값을 이어받는다.
재기록 횟수가 규정수 이하의 경우라도(STT31의 아니오), 주제어부(20)에 의해 DMA에 결함이 다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STT32의 예), 현재 사용 중인 DMA에 저장된 결함 정보를 이동 가능한지 여부(예비의 DMA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동 가능하면(STT34의 예), 다음 이동 전에 정해지고 있는 DMA에 대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에 저장된 결함 정보를 이동한다(STT35). 이동 불능하면(STT34의 아니오), 이 처리는 이상 종료한다.
현재 사용 중인 DMA의 재기록 횟수가 규정수 이하이며(STT31의 아니오), 현재 사용 중인 DMA에 결함이 다발하는 일도 없는 경우에는(STT32의 아니오), 현재 사용 중인 DMA가 필요에 따라서 갱신된다(STT33).
도 153은 복수의 DMA 계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1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는, 단수의 DMA 계열의 사용에 관해서 설명하 여 왔다. 즉, 하나의 DMA 계열이 DMA0∼DMAn을 포함하는 사례에 관해서 설명하여 왔다. 여기서는, 도 1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DMA 계열의 사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복수의 DMA 계열 각각이 DMA0∼n을 포함하는 사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4개의 DMA 계열을 구비한 정보 기억 매체에 관해서 설명한다. 4개의 DMA 계열은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DMA 계열 1, 2는 매체의 최내주에 배치되고, DMA 계열 3, 4는 매체의 최외주에 배치된다. DMA 계열 1∼4 중에서, 예컨대 DMA 계열 3에 결함이 다발하고 있는 것이 검지되었다고 한다(도 153의 초기 상태).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가 결함의 다발을 검지한다. 이 결함 검지에 수반하여, 모든 DMA 계열에서의 현재 사용 중인 DMA(예컨대 DMA0)의 결함 관리 정보는 다음 DMA(예컨대 DMA1)에 이행(교체 기록)된다(도 153의 제2 상태).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가 결함 관리 정보를 이행(교체 기록)한다.
도 154는 복수의 DMA 계열이 배치되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광 디스크 : 1)는 최내주에 리드인 영역(A1)을 구비하고, 최외주에 리드아웃 영역(A3)을 구비한다. 또한, 매체 1은 리드인 영역(A1)과 리드아웃 영역(A3) 사이에 데이터 영역(A2)을 구비한다. 데이터 영역(A2)은 사용자 영역(UA)과 대체 영역(SA)을 구비한다.
최내주의 리드인 영역(A1)은 제1 DMA 계열(DMA 계열 1, 2)을 구비하고, 최외주의 리드아웃 영역(A3)은 제2 DMA 계열(DMA 계열 3, 4)을 구비한다. 이렇게 최내주와 최외주에 DMA 계열을 배치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복수의 DMA 계열이 떨어져 배 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DMA가 장해에 대하여 보다 강해진다.
도 155는 복수의 DMA 계열이 배치된 매체의 재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매체가 장전되면, 장치는 모든 DMA 계열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고, 현재 사용 중인 DMA에서 결함 관리 정보를 판독한다(ST41). 즉, 도 153에 도시하는 사례에 들어맞으면, DMA 계열 1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DMA(예컨대 DMA1)를 찾아내고, DMA 계열 2 중에서도 현재 사용중인 DMA(예컨대 DMA1)를 찾아내며, DMA 계열 3 중에서도 현재 사용 중인 DMA(예컨대 DMA1)를 찾아내고, DMA 계열 4 중에서도 현재 사용 중인 DMA(예컨대 DMA1)를 찾아낸다.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는 처리는, 도 15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장해 등의 영향으로, 어떤 DMA로부터도 결함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는(ST42의 아니오), 이 처리는 이상 종료한다. DMA에서 결함 관리 정보가 판독할 수 있는 경우는, DMA의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체크한다. 복수의 DMA 계열 중 현재 사용 중인 각 DMA에는 동일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DMA의 DDS/PDL 갱신 카운터 및 SDL 갱신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DMA 계열 중 각 DMA에 대하여 순서대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도중에서 어떠한 장해가 발생하면, 몇 개의 DMA가 갱신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복수의 DMA 계열 중 현재 사용 중인 각 DMA의 갱신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다른 경우는(ST43의 아니오), 최신의 카운트값을 갖는 DMA에 다른 DMA를 일치시킨다(ST44). 이로서 기록 재생의 준비가 완료한다.
도 15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설명한 매체(광 디스크 : 1)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매체(1)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한다. 또한,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교체 처리도 실행한다.
도 1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변조 회로(2), 레이저 제어 회로(3), 레이저(4), 콜리메이트 렌즈(5), 편광빔 분할기(이하 PBS : 6), 4분의 1 파장판(7), 대물 렌즈(8), 집광 렌즈(9), 광검출기(10), 신호 처리 회로(11), 복조 회로(12), 포커스 에러 신호 생성 회로(13),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 회로(14), 포커스 제어 회로(16), 트랙킹 제어 회로(17), 주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부(20)는 드라이브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드라이브부는 변조 회로(2), 레이저 제어 회로(3), 레이저(4), 콜리메이트 렌즈(5), 편광 빔스플리터(이하 PBS : 6), 4분의 1 파장판(7), 대물 렌즈(8), 집광 렌즈(9), 광검출기(10), 신호 처리 회로(11), 복조 회로(12), 포커스 에러 신호 생성 회로(13),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 회로(14), 포커스 제어 회로(16) 및 트랙킹 제어 회로(17)를 포함하는 것이다.
우선,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에 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의 기록은 주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된다. 기록 데이터(데이터 심볼)는 변조 회로(2)에 의해 소정의 채널 비트 계열에 변조된다. 기록 데이터에 대응한 채널 비트 계열은 레이저 제어 회로(3)에 의해 레이저 구동 파형에 변환된다. 레이저 제어 회로(3)는 레이저(4)를 펄스 구동하여, 원하는 비트 계열에 대응한 데이터를 매체(1) 상에 기록한다. 레이저(4)로부터 방사된 기록용의 광 빔은 콜리메이트 렌즈(5) 와 평행광이 되고, PBS(6)에 입사하여 투과한다. PBS(6)를 투과한 빔은 4분의 1 파장판(7)을 투과하고, 대물 렌즈(8)에 의해 매체(1)의 정보 기록면에 집광된다. 집광된 빔은 포커스 제어 회로(16)에 의한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 회로(17)에 의한 트랙킹 제어에 의해 기록면 상에 최량의 미소 스폿을 얻을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재생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의 재생은 주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된다. 주제어부(20)로부터의 데이터 재생 지시에 기초하여 레이저(4)는 재생용의 광 빔을 방사한다. 레이저(4)로부터 방사된 재생용의 광 빔은 콜리메이트 렌즈(5)와 평행광이 되고, PBS(6)에 입사하여 투과한다. PBS(6)를 투과한 광 빔은 4분의 1 파장판(7)을 투과하여 대물 렌즈(8)에 의해 매체(1)의 정보 기록면에 집광된다. 집광된 빔은 포커스 제어 회로(16)에 의한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 회로(17)에 의한 트랙킹 제어에 의해 기록면 상에 가장 좋은 미소 스폿을 얻을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매체(1) 상에 조사된 재생용의 광 빔은 정보 기록면 내의 반사막 또는 반사성 기록막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광은 대물 렌즈(8)를 역방향으로 투과하고, 다시 평행광이 된다. 반사광은 4분의 1 파장판(7)을 투과하고, 입사광에 대하여 수직한 편광을 가지며 PBS(6)에서는 반사된다. PBS(6)에서 반사된 빔은 집광 렌즈(9)에 의해 수속광이 되어, 광검출기(10)에 입사된다. 광검출기(10)는 예컨대, 4분할의 포토 디텍터로 구성되고 있다. 광검출기(10)에 입사한 광속은 광전 변환되어 전기 신호가 되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11)로써 등화되어 바이너리화되고 복조 회로(12)에 보 내진다. 복조 회로(12)로서는 소정의 변조 방식에 대응한 복조 동작을 실시하여 재생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광검출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 생성 회로(13)에 의해 포커스 에러 신호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광검출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 회로(14)에 의해 트랙킹 에러 신호가 생성된다. 포커스 제어 회로(16)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빔 스폿의 포커스를 제어한다. 트랙킹 제어 회로(17)는 트랙킹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빔 스폿의 트랙킹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주제어부(20)에 의한 교체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매체를 포맷 할 때에는 서티파이가 실행된다. 이 때, 주제어부(20)는 매체 상의 결함을 검출한다. 이 때 검출된 결함, 즉 초기 결함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는 주제어부(20)에 의해 매체의 DMA 중의 PDL에 기록된다. 결함 관리 정보는 교체원의 섹터의 어드레스와 교체처의 섹터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록 시에도 주제어부(20)는 매체 상의 결함을 검출한다. 이 때 검출된 결함, 즉 2차 결함에 관한 결함 관리 정보는 주제어부(20)에 의해 매체의 DMA 중의 SDL에 기록된다. 결함 관리 정보는 교체원의 ECC 블록의 선두 섹터의 어드레스와 교체처의 ECC 블록의 선두 섹터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PDL 및 SDL에 기초하여 교체원에 대한 액세스는, 교체처에 대한 액세스로 보인다. 또한, 주제어부(20)는 도 151에 도시한 현재 사용 중인 DMA의 검색처리, 도 152에 도시한 DMA의 등록 및 갱신 처리, 도 155에 도시한 재생 처리 등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157∼도 38을 참조하여, 제2 결함 관리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결함 관리 방법은 도 153에 도시하는 결함 관리를 답습하고, 또한 DMA 관리자를 이용한 결함 관리이다. 이 제2 결함 관리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도 142∼도 156에 도시하는 제1 결함 관리 방법과 중복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적절하게, 설명이 완료된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는 재기록 가능한 영역을 구비하고, 이 재기록 가능한 영역은 복수의 DMA, 복수의 관리자 저장 영역, 사용자 영역을 구비한다. 도 154에 도시하는 매체 상에 있어 재기록 가능한 영역은 리드인 영역(A1), 데이터 영역(A2), 리드아웃 영역(A3)에 포함된다. 복수의 DMA에는 동일한 결함 관리 정보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DMA에 대한 내장해성이 높아진다.
도 157 및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정보 기억 매체는 DMA1, DMA2, DMA3, DMA4를 구비한다. 또한 자세히 말하면, 도 154에 도시하는 정보 기억 매체의 최내주에 배치되는 리드인 영역(A1)(도 158에 도시하는 리드인 영역 LI)에 DMA1 및 DMA2가 배치되고, 정보 기억 매체의 최외주에 배치되는 리드아웃 영역(A3)(도 158에 도시하는 리드아웃 영역 LO)에 DMA3 및 DMA4가 배치된다. 각 DMA(DMA1, DMA2, DMA3 및 DMA4)는 각각이 복수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1-N, DMA 세트 #2-1∼ #2-N, DMA 세트 #3-1∼ #3-N, DMA 세트 #4-1∼ #4-N)을 구비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각 DMA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에, 현재의 결함 관리 정보가 저장된다. 어떤 DMA(예컨대 DMA1)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예컨대 DMA 세트 #1- 1)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모든 DMA(DMA1∼4)의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에 저장된 결함 관리 정보가 모든 DMA(DMA1∼4)의 제2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2, DMA 세트 #2-2, DMA 세트 #3-2, DMA 세트 #4-2)에 천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 상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천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DMA 예약 영역 중으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단시간에 검색하기 위해서 DMA 관리자를 도입한다. 즉,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는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 관리자를 저장하는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을 구비하고 있다. DMA 관리자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어드레스를 관리한다. 다시 말해서, 관리자 저장 영역은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영역이다.
도 157은 DMA 관리자에 의한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어드레스관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DMA1은 N개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DMA 세트 #1-N)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DMA2는 N개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2-1∼DMA 세트 #2-N)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DMA3은 N개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 3-1∼DMA 세트 #3-N)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DMA4는 N 개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4-1∼DMA 세트 #4-N)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가 현재 사용 중이라고 한다. 이 경우, DMA 관리자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의 위치(예컨 대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어드레스)를 갖는다.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은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 배치된다. 리드인 영역에 배치되는 관리자 저장 영역(Man1)과 리드아웃 영역에 배치되는 관리자 저장 영역(Man2)은, 동일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은 각각이 복수의 관리자 예약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DMA 관리자의 결함 대책이다.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하나의 관리자 저장 영역(Man1)은 10개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DMA_Man #10)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자 저장 영역(Man2)도, 10개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Man #1∼DM-A_Man #10)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초기 단계에서는 각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에 포함되는 제1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에,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도시하는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오버라이트에 따라, 어떤 관리자 저장 영역(Man1)에 포함되는 제1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모든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의 제1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에 저장된 위치 정보가 모든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의 제2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2)에 천이된다(재기록된다).
단지, DMA 관리자는 DMA에 비교해서 재기록 빈도가 낮다. 이 때문에, DMA 관리자를 저장하는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 즉 관리자 예약 영역은, DMA에 비교해서 오버라이트에 의해서 결함이 될 가능성은 적다. 그러나 흠집 또는 지문 등 으로 관리자 예약 영역으로부터 DMA 관리자가 판독되지 않게 되는 일은 있다. 그래서, 하나의 DMA 관리자 내에 동일 내용(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 정보)를 복수개 갖게 한다. 즉, 관리자 예약 영역 내에 동일 내용을 다중 기록한다. 이에 따라, ECC 블록으로서 에러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나 데이터(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하나의 DMA 관리자는, 하나의 관리자 예약 영역에 저장된다. 관리자 예약 영역은 하나의 ECC 블록으로 구성된다. 관리자 예약 영역을 구성하는 하나의 ECC 블록 내에 동일 내용이 64 바이트 단위(2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 단위)로 다중 기록된다.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위치 정보가 64 바이트 단위로 다중 기록된다. 하나의 ECC 블록이 32섹터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1섹터는 2048 바이트라고 한다. 즉, 하나의 ECC 블록의 사이즈는 2048 바이트*32섹터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각 섹터에 32개의 동일 내용이 기록된다. 즉, 하나의 ECC 블록에는 32*32개의 동일 내용이 반복 기록되게 된다. 이에 따라, ECC 블록으로서는 전혀 정정할 수 없을 정도로 결함이 많은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ECC 블록을 정정할만 있으면 상당한 확률로 옳은 정보(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ECC 블록에 관해서는 도 34∼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64 바이트 단위의 다중 기록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4∼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ECC 블록 중 하나의 데이터 라인은 172 바이트이다. ECC 블록 전체로서 에러 정정할 수 없게 되어도, 172 바이트의 데이터 라인의 단위에서의 에러 정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172 바이트보다 충분히 작은 데이터 사이즈(예컨대 64 바이트)의 단위로 동일 정보를 다중 기록해 둠으로써, ECC 블록 전체로서 에러 정정할 수 없게 되어도 데이터 라인의 단위에서의 에러 정정에 의해 옳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59는 도 158에서 도시한 DMA 관리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 관리자는, 현재 사용 중인 4개의 DMA의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있다. 예컨대, 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의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있다. 현재 사용 중인 DMA의 위치를 한번에 특정할 수 있으면, 어드레스가 아니고 영역 번호를 기술하도록 해도 좋다. 도 159의 예에서는, 현재 사용 중(Current)인 DMA의 최초의 PSN(물리 섹터 번호)를 관리하고 있다.
도 160은 4개의 DMA(DMA1∼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1은 DMA와 ECC 블록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DMA 예약 영역은 DDS/PDL 블록, SDL 블록, RSV(reserved)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RSV 블록은 연속하는 DMA 예약 영역의 물리적 거리를 분리하여 결함의 연쇄를 피하기 위한 블록이다. 즉, 실제로는 도 1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 예약 영역에는 DDS/PDL 블록, SDL 블록이 저장된다.
도 171은 PDL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0-1 바이트 위치의 PDL 식별 정보(PDL 식별자)는 0001h에 설정된다. 2-3의 바이트 위치에는 PDL 내의 엔트리 수가 기술된다. PDL 엔트리는 4 바이트로 이루어지고, 비트 b0-b23에 결함 물리 섹터 번호가 기술되며, 비트 b30-b31에는 엔트리 타입이 기술된다. 엔트리 타입은 00b가 1차 결함 리스트인 것을 도시한다. PDL은 최대 15871개 엔트리 가능하다((2048*31- 4)/4+15871).
이 PDL은 각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에, 예를 들면 그것이 비어 있어도 항상 기술되어야 한다. PDL은 포맷팅일 때 나타난, 전체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엔트리를 포함한다. 각 엔트리는 엔트리 타입,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 번호를 도시한다. 물리 섹터 번호는 오름 차순으로 리스트된다. PDL은 필요한 물리 섹터의 최소의 수 내에서 기술되고, 그리고, PDL의 최초의 물리 섹터의 바이트 위치 0으로 시작된다. PDL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최후의 물리 섹터는 FFh가 설정된다. 또한,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의 미사용의 물리 섹터는 FFh에서 매립된다. 엔트리는 엔트리 타입과 결함 물리 섹터 번호를 갖는다. 엔트리 타입은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기원을 도시한다. 00b이면 P-list, 10b이면 G1-list, 11b이면 G2-list이다. P-list는 디스크 제조자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리스트이며, G1-list는 검증 프로세스일 때에 발견된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리스트, G2-list는 검증 프로세스없이 SDL에서 전송되어 온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리스트이다.
도 172(A)는 SDL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SDL은 각 SDL 물리 세그먼트 블록 내에, 예를 들어 그것이 비어져 있더라도 항상 기술되어야 한다. SDL은 엔트리를 포함하고, 이 엔트리는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포함하는 동시에, 또한, 교체하기 위한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포함한다. SDL의 각 엔트리는 8 바이트로 이루어지고, 3 바이트가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위 해 사용되고, 별도의 3 바이트가 교체하기 위한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를 위해 사용되며, 1 바이트 중, 1비트가 SLR을 위해 이용되고, 나머지의 7비트와 나머지의 1 바이트가 예약을 위해 확보되고 있다.
앞의 물리 섹터 번호는 오름 차순으로 리스트된다. SDL은 필요한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최소의 수내에 기술된다.
만약 SDL 내에 리스트된 교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후에, 결함인 것이 발견되었으면 SDL 내의 정보 등록을 위해 다이렉트 포인터 방법이 적용된다. 이 방법으로는 결함 교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등록되어 있는 SDL 엔트리에 있어서, 결함 교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새로운 교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에 변경됨으로써, 상기 SDL 엔트리가 수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SDL 내의 엔트리 수는 열화한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있어도 변화되는 일은 없다.
SDL은 최대 8189개 엔트리 가능하다((2048*31-24)/8-8189).
도 172(B)는 SDL에 포함되는 복수의 SDL 엔트리 중의 하나의 SDL 엔트리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DL 엔트리는, 각 8 바이트 세트이다. 62비트번째에는 "0" 또는 "1"이 기술되는 것으로, "0"일 때에는,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을 수반하여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교체 처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1"일 때에는 교체 처리는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32-55 비트에는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기술되어 있다. 0-23비트에는 리플레이스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 가 기술되어 있다.
각 DMA(DMA1, DMA2, DMA3 및 DMA4)는 예컨대 100개의 DMA 예약 영역을 구비한다. 즉, 총 400개의 DMA 예약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하나의 DMA 예약 영역은 상기한 바와 같이 3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총 1200개의 블록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DMA1과 DMA2는 리드인 영역에 배치된다. DMA1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과, DMA2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에는, 동일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즉, DMA1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과, DMA2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은, 동시에 사용된다. 즉, DMA1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과, DMA2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은, 물리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쪽이 효율적으로 양자에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DMA1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과, DMA2에 포함되는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물리적 배치를 채용한다.
예컨대, 도 160 및 도 1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1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DMA2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2-1)→DMA1에 포함되는 제2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2)→DMA2에 포함되는 제2 DMA 예약 영역(DMA 세트 #2-2)→…→DMA1에 포함되는 제N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N)→DMA2에 포함되는 제N DMA 예약 영역(DMA 세트 #2-N)의 순으로 배치한다. 이에 따라, DMA1 및 DMA2에 포함되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으로부터의 결함 관리 정보의 판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서 DMA1 및 DMA2에 포함되는 DMA 예약 영역에 대한 결함 관리 정보의 천리 처리(재기록 처리)도 단축할 수 있다.
리드 아웃 영역에 배치되는 DMA3 및 DMA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1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A3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3-1)→DMA4에 포함되는 제1 DMA 예약 영역(DMA 세트 #4-1)→DMA3에 포함되는 제2 DMA 예약 영역(DMA 세트 #3-2)→DMA4에 포함되는 제2 DMA 예약 영역(DMA 세트 #4-2)→…→DMA3에 포함되는 제N DMA 예약 영역(DMA 세트 #3-N)→DMA4에 포함되는 제N DMA 예약 영역(DMA 세트 #4-N)의 순으로 배치한다.
단지, 액세스 속도를 중요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DMA 예약 영역은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흠집 또는 지문 등의 결함 요인에 강한 DMA를 구축할 수도 있다. 액세스 속도와 신뢰성의 밸런스에 의해서 DMA1∼4의 물리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2 및 도 169는 DMA 관리자와 DMA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DMA 관리자는 리드인 영역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 관리자 1-1∼1-10)과 리드아웃 영역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 관리자 2-1∼2-10)에 저장된다. DMA는 리드인 영역에 두 개(DMA1, DMA2), 리드아웃 영역에 두 개(DMA3, DMA4) 배치된다.
100개의 DMA 세트가 있다. 각각의 DMA 세트는 DMA1, DMA2, DMA3 그리고 DMA4로 구성된다. DMA 세트로는, DMA #1 내지 #100이 사용된다. 현재 사용 중인 DMA 세트의 어떤 DMA로 결함이 검출되었다고 하면, 그 DMA 세트는 다음의 DMA 세트에 교체된다. 현재 사용 중인 DMA 세트는 DMA 관리자로 도시되어 있다. 10개의 DMA 관리자 세트가 있다. 각각의 DMA 관리자 세트는 DMA 관리자(1)와 DMA 관리자(2)로 구성 된다. 각 DMA 매니서 세트에서는 DMA 관리자 세트 #1 내지 #10이 사용된다. DMA 관리자 세트도 현재 사용 중인 세트의 어떤 DMA 관리자로 결함이 검출되었다면, 그 세트는 다음의 DMA 관리자 세트에 교체된다.
DMA1과 DMA2는 예약 물리 세그먼트 블록인 2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인 두 개의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의해 플로우되어 있다. DMA3과 DMA4도 마찬가지이다. 각 DMA의 제1 물리 세그먼트 블록은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라 불리고, 디스크 정의 구성(DDS)과 일차 결함 리스트(PDL)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물리 세그먼트 블록이 S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일 불리고, 이차 결함 리스트(SDL)를 포함한다. 4개의 DMA의 내용은 동일하다.
초기화된 후의 디스크에 있어서 각 DMA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각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는 DDS를 포함한다. DDS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각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2 물리 섹터는 PDL의 제1 물리 섹터이다. 각 S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제1 물리 섹터는 SDL의 제1 물리 섹터이다. SDL 및 PDL의 길이는 각 리스트에 포함되는 엔트리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63은 DMA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DMA는 동시에 천이한다. 각각의 DMA가 단독으로 천이한 경우에 비교하여, 4개의 DMA를 동시에 천이시킴으로써, DMA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넓히지 않고 완료된다. 이에 따라, 액세스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고서 완료된다. 또한, 시스템 장해 발생 시의 리커버리가 용이하게 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각 DMA(DMA1, DMA2, DMA3, DMA4)의 선두(제1)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sct #3-1, DMA 세트 #4-1)이 사용된다. 각 DMA의 선두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 중 1개 이상의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 DMA의 2번째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2, DMA 세트 #2-2, DMA 세트 #3-2, DMA 세트 #4-2)에 결함 관리 정보가 천이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결함 관리 정보가 천이되고, 각 DMA의 N번째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N, DMA 세트 #2-N, DMA 세트 #3-N, DMA 세트 #4-N)에 결함 관리 정보가 천이되면, 기록 동작이 금지된다. 그 후, 매체는 재생 전용의 매체로서 취급된다.
도 164는 DMA 관리자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DMA 관리자에 대해서도, DMA와 같이 천이한다. 즉, 초기 상태에서는, 각 관리자 저장 영역(Man1, Man2)의 선두(제1)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1, DMA_Man #2-1)에, 최신의 DMA 관리자가 저장된다. 각 관리자 저장 영역의 선두(제1)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1, DMA_Man #2-1) 중 1개 이상의 관리자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 관리자 저장 영역의 2번째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2, DMA_Man #2∼2)에 DMA 관리자가 천이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DMA 관리자가 천이되고, 각 관리자 저장 영역의 N번째의 관리자 예약 영역(DMA_Man #1-N, DMA_Man #2-N)에 DMA 관리자가 천이되면 기록 동작이 금지된다.
도 165는 각 DMA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 결함 영역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DMA 예약 영역은, 통상, 그 후에도 계속하여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끔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해 결함 영역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DMA 예약 영 역은, 그 후, 결함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일도 있다. 즉, 일단 결함 영역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DMA 예약 영역이라도, 그 후,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통상은, 제1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이 제1 DMA 예약 영역의 다음 제2 DMA 예약 영역에 결함 관리 정보가 천이되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요인으로 제1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 제3 DMA 예약 영역 또는 제4 DMA 예약 영역 등에 결함 관리 정보가 천이되는 일도 있다. 이 경우, 제2 DMA 예약 영역은 예약된 상태가 된다. 즉, 제2 DMA 예약 영역은 블랭크라고 판정된다. 즉, 정상 상태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으로부터는 결함 관리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 상태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거나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블랭크이기도 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결함 영역의 오판정은 DMA 예약 영역이 필요없는 추이를 초래하게 된다. 즉, 단순히 판독의 상태만으로 DMA 예약 영역의 상태를 판정할 수는 없다.
도 166은 정상의 DMA 예약 영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사례 1∼5가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DMA는 복수의 DMA 예약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DMA 예약 영역의 중앙 선두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1, DMA 세트 #2-1, DMA 세트 #3-1, DMA 세트 #4-1)을 "선두", 최후의 DMA 예약 영역(DMA 세트 #1-N, DMA 세트 #2-N, DMA 세트 #3-N, DMA 세트 #4-N을 "말미", 선두의 DMA 예약 영역과 최후의 DMA 예약 영역 사이의 몇 개의 DMA 예약 영역을 "본체"라 칭한다.
사례 1은 포맷되지 않은 상태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즉, "선두", "말미"에 해당하는 모든 DMA 예약 영역은 예약 상태이다.
사례 2는 초기화된 상태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즉, "선두"에 해당하는 DMA 예약 영역이 현재 사용 중이며, "본체", "말미"에 해당하는 DMA 예약 영역은 예약 상태이다.
사례 3은 DMA의 천이가 발생한 상태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즉, "선두"에 해당하는 DMA 예약 영역은 결함 영역이며, "본체"에 해당하는 몇 개의 DMA 예약 영역 중의 소정의 DMA 예약 영역이 현재 사용 중인 영역이 되고,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보다 뒤의 DMA 예약 영역은 예약 상태이다.
사례 4는 최종 단계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즉, "선두", "본체"에 해당하는 DMA 예약 영역은 결함 영역이며, "말미"에 해당하는 DMA 예약 영역이 현재 사용 중인 영역이다.
사례 5는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된 상태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즉, "선두", "본체", "말미"에 해당하는 모든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이다.
한편, 예약 상태를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예약 상태의 영역에 이저브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하도록 해도 좋다.
도 156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주제어부(20)]는,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는 방식으로서, 테이블 룩업 방식 및 증분 방식의 양방을 지원한다. 즉,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는, 테이블 룩업 방식 및 증분 방식의 양 방을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검색 포맷(HSF)이다. 통상은, 주제어부(20)는 테이블 룩업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낸다. 테이블 룩업 방식이란 DMA 관리자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는 방식이다. 만일, DMA 관리자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제어부(20)는 증분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낸다. 증분 방식이란, DMA에 포함되는 모든 DMA 예약 영역을 순서대로 체크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를 찾아내는 방식이다. 즉, 증분 방식은 테이블 룩업 방식의 리커버리로서 사용된다.
도 16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분 방식에만 의지하여,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검색하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오판정하는 일이 있다. 도 167은 이상 상태의 DMA 예약 영역의 오판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컨대, 제1(선두)의 DMA 예약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결함 관리 정보가, 제2 DMA 예약 영역보다도 후속의 제2+α의 DMA 예약 영역에 천이되는 일이 있다. 원래라면, 제1 DMA 예약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결함 관리 정보는 제2 DMA 예약 영역에 천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제2 DMA 예약 영역의 어드레스 에러 등의 장해에 의해, 이 제2 DMA 예약 영역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2 DMA 예약 영역보다도 후속의 제2+α DMA 예약 영역이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이 천이의 후에, 예컨대 제1(선두)의 DMA 예약 영역으로부터 결함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이 제1(선두) DMA 예약 영역이 현재 사용 중이라고 오판정한다. 이러한 오판정을 막기 위해서, 증분 방식으로 검색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창 폭으로 판정하는 것이 필요하여 판정에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고속 검색이 가능한 테이블 룩 업 방식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테이블 룩업 방식으로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만, 증분 방식으로 검색한다.
도 170은 교체 처리에 따라 재기록할 필요가 있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사용자 영역 상의 소정의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 판명되면, 이 소정의 영역에 기록될 것인 정보는 대체 영역에 교체 기록된다. 이에 따라, 이 소정의 영역(교체전)의 어드레스와 대체 영역(교체후)의 어드레스가 결함 관리 정보로서, 각 DMA(DMA1∼4)의 제k 번째의 DMA 예약 영역에 기록된다. DMA 관리자는, DMA의 추이가 발생한 경우에 재기록된다. 따라서, DMA 관리자의 재기록의 빈도는 낮다.
도 173은 DMA의 갱신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20)는, 테이블 룩업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검색한다(ST101). 즉, 최신의 DMA 관리자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도시하는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내기 시작할 수 있다 (ST102의 예). 테이블 룩업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내기 시작할 수 없으면(ST102의 아니오), 주제어부(20)는 증분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검색한다(ST103). 증분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낼 수 없다면(ST104의 아니오), DMA 갱신 처리는 실패가 된다(ST105).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발견되면(ST102의 예)(ST104의 예), 주제어부(20)는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천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ST106).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천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ST106의 예).
천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ST106의 아니오), 주제어부(20)는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결함 관리 정보를, 교체 처리에 따라 갱신한다 (ST108). 천이가 필요한 경우는(ST106의 예), 주제어부(20)는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결함 관리 정보를 새로운 DMA 예약 영역(다음 DMA 예약 영역)에 재기록하고(ST107), 또한 결함 관리 정보를 교체 처리에 따라 갱신한다(ST108).
도 174는 DMA 관리자의 갱신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주제어부(20)는 현재의 DMA 관리자의 천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T111).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관리자를 저장한 관리자 예약 영역이 결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의 천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ST111의 예). 천이가 필요한 경우는(ST111의 예), 주제어부(20)는 현재 사용 중인 DMA 관리자를 새로운 관리자 예약 영역(다음 관리자 예약 영역)에 재기록한다(ST112). 또한, DMA의 천이가 있었던 경우에는(ST113의 예), 주제어부(20)는 DMA의 천이에 따라 DMA 관리자를 갱신한다(ST114).
도 175는 DMA에 기초하는 재생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도 156에 도시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20)는 테이블 룩업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검색한다(ST121). 즉, 최신의 DMA 관리자로부터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도시하는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내기 시작할 수 있다(ST122의 예). 테이블 룩업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내기 시작할 수 없으면(ST122의 아니오),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주제어부(20)는 증분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검색한다(ST123). 증분 방식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을 찾아내기 시작할 수 없으면(ST124의 아니오), 재생 처리는 실패가 된다(ST125).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이 발견되면(ST122의 예)(ST124의 예), 주제어부(20)의 재생 제어에 의해 이 현재 사용 중인 DMA 예약 영역으로부터 결함 관리 정보가 판독된다(ST126). 판독된 결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영역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가 재생된다(ST127).
여기서, 도 34∼도 38을 참조하여 64KB에서 구성되는 ECC 블록에 관해서 설명을 추가한다. 현행의 DVD-RAM에 기록되는 하나의 ECC 블록은, 32KB로 구성되어 있다. 현행의 DVD-RAM보다도 한층 더 고밀도 기록을 실현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64KB에서 구성되는 ECC 블록에 관해서 설명한다.
ECC 블록은, 연속하는 32개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세로 방향으로 192행+16행, 가로 방향으로 (172+10)×2열이 배치되어 있다. B0,0, B1,0, …은 각각 1 바이트이다. PO 및 PI는 에러 정정 코드이며, PO는 아우터 패리티, PI는 이너 패리티이다.
ECC 블록은, (6행×172 바이트)단위가 1 스크램블드 프레임으로서 취급된다. 즉 연속하는 32개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블록 182 바이트× 207 바이트)가 쌍으로서 취급된다. 좌측의 ECC 블록의 각 스크램블드 프레임의 번호에 L을 붙이고 우측의 ECC 블록의 각 스크램블드 프레임의 번호에 R을 붙여 도시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좌측의 블록에 좌측과 우측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이 교대로 존재하고, 또한 우측의 블록에도 좌측과 우측의 스크램블드 프레임이 교대로 존재한다.
즉, ECC 블록은 32개의 연속 스크램블드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된다. 홀수 섹터의 좌측 절반의 각 행은 우측 절반의 행과 교환되고 있다. 172×2 바이트×192행은 172 바이트×12행×32스크램블드 프레임과 동일하고 정보 필드가 된다. 16 바이트의 PO가 각 172×2열에 RS(208,192,17)의 아우터 코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가된다. 또한 10 바이트의 PI[RS(182,172,11)]가 좌우의 블록의 각 208×2행에 부가된다. PI는, PO의 행에도 부가된다.
프레임 내의 숫자는, 스크램블드 프레임 번호를 도시하고, 서픽스의 R, L은 스크램블드 프레임의 우측 절반과, 좌측 절반을 의미한다. PO, PI의 생성은 이하와 같은 순서로 행해진다.
우선, 열 j(j=0∼171과, j=182∼353)에 대하여, 16 바이트의 Bi, j(i=192∼207)가 부가된다. 이 Bi, j는 다항식 Rj(X)에 의해 정의되어 있고, 이 다항식은 아우터 코드 RS(208, 192, 17)를 각 172×2열에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행 i(i=0∼207)에 대하여, 10 바이트의 Bi, j(j=172∼181, j=354∼363)가 부가된다. 이 Bi, j는 다항식 Ri(X)에 의해 정의되어 있고, 이 다항식은 이너 코드 RS(182,172,11)를 (208×2)/2의 각 행에 형성하는 것이다.
ECC 블록에 있어서, 아우터 패리티(PO)가 좌측 블록, 우측 블록에 각각 인터리브된 모습을 도시한다. 각 B 매트릭스의 요소인 Bi, j는 208행×182×2열을 구성하고 있다. 이 B 매트릭스는 Bi, j가 Bm, n에서 재배치되도록 행간에 있어서 인터리브되어 있다.
이 결과, 16의 패리티행은 한줄씩 분산된다. 즉, 16의 패리티행은 2개의 기록프레임 둠에 대하여 1행씩 배치된다. 따라서, 12행으로 이루어지는 기록 프레임은, 12행+1행이 된다. 이 행 인터리브가 행해진 후, 13행×182 바이트는 기록 프레임으로서 참조된다. 따라서, 행 인터리브가 행해진 후의 ECC 블록은, 32개의 기록 프레임이다. 하나의 기록 프레임 내에는 우측과, 좌측의 블록의 행이 6행씩 존재한다. 또한, PO는 좌측의 블록(182×208 바이트)과, 우측의 블록(182×208 바이트) 사이에서는 다른 행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완결형의 ECC 블록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데이터 재생 시에는 이러한 ECC 블록이 연속하여 에러 정정 처리부에 도래한다. 이러한 에러 정정 처리의 정정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인터리브 방식이 채용된다.
기록된 데이터 필드(짝수 필드와 홀수 필드)에 있어서, 짝수 기록 데이터 필드 및 홀수 기록 데이터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최후의 2동기 프레임(즉 최후의 "동기 코드가 SY3"인 부분과 그 직후의 "동기 데이터" 및 "SYNC code가 SY1"인 부분과 그 직후의 "동기 데이터"가 나열한 부분) 중의 동기 데이터 영역에 PO(Parity Out)의 정보가 삽입된다.
즉, 짝수 기록 데이터 필드 내의 최후의 2동기 프레임 개소에는 "좌측의 PO 의 일부"가 삽입되고, 홀수 기록 데이터 필드 내의 최후의 2동기 프레임 개소에는 "우측의 PO의 일부"가 삽입된다. 1개의 ECC 블록은 각각 좌우의 "소 ECC 블록"으로 구성되고, 섹터마다에 교대로 상이한 PO 그룹(좌측의 소 ECC 블록에 속하는 PO인지 우측의 좌측의 소 ECC 블록에 속하는 PO인지)의 데이터가 삽입된다.
도 176(A)에는 DDS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DDS는 1 물리 섹터의 길이의 테이블이다. DDS는 디스크의 포맷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DDS는 포맷의 최종 단계에서 각 DMA의 제1 물리 섹터 내에 기록된다.
이 DDS는 DDS 식별자, 디스크 인증 플래그, DDS/PDL 갱신 카운터(갱신 카운터), 그룹 번호, 존 번호, 1차 대체 영역의 로케이션, LSN0의 로케이션, 각 존의 개시 LSN(논리 섹터 번호) 등을 포함한다. 디스크 인증 플래그에는 진행 중 플래그, 사용자 인증 플래그, 매체 제조업체 인증 플래그가 포함된다. 진행 중 플래그가 "0"이면, 포맷팅이 완료된 것이며, "1"이면 포맷팅이 진행 중인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 인증 플래그가 "0"일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 아직 이 디스크가 검증되어 있지 않은 것이고, "1"일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한 번은 검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매체 제조업체 인증이 "0"일 때에는, 제조자에 의한 검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이고, "1"일 때에는 적어도 한 번은 검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DDS/PDL 갱신 카운터는 이 DDS/P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갱신 및 재기록 동작의 총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다. 이 DDS/PDL 갱신 카운터는 초기값 0이라고 되고, 재기록 포함, 또는 갱신이 행해질 때마다 +1이 된다. DDS/PDL 및 SDL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카운터는 포맷이 완료했을 때에는 동일한 카운트값이다. 그룹번호는 000h에 설정된다. 또한 존 번호는 0013h(19존)에 설정된다.
1차 대체 영역의 로케이션은 도 17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식이다. 1차 대체 영역의 제1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b 32-b55에 기술된다. 또한 1차 대체 영역의 최후의 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b 0-b23에 기술된다.
LSN0의 로케이션의 필드에서는, 제1 논리 섹터의 물리 섹터 번호가 기술된다. 각 존의 개시 LSN(논리 섹터 번호)의 필드에서는 4 바이트로 각 존의 스타트 논리 섹터 번호가 기술된다.
다음에, 결함 관리에서의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영역에서의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은 결함 관리에 따라서, 정상적인 물리 세그먼트 블록에 교체되어야 한다. 디스크는 존 0의 안에 하나의 1차 대체 영역을 가지고, 또한 존 18 내에 하나의 확장 가능한 보충형 대체 영역을 가져도 좋다. 1차 대체 영역 내의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수는 2300이다. 보충형 대체 영역 내의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수는 최대 7104이다. 보충형 대체 영역 내의 대체 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수는 32물리 세그먼트 블록의 배수이다. 보충형 대체 영역은 데이터 영역의 선두를 향하여 확장 가능하다.
결함 물리 세그먼트 블록은 슬리핑 교체 알고리즘, 선형 교체 알고리즘, 또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스키핑 알고리즘에 의해서 취급된다. PDL과 SDL에 리스트되는 엔트리의 총 수는 이하의 요구를 만족할 채울 필요가 있다.
1≤SPDL≤31, 1≤SSDL≤31
SPDL=[((EPDL×4+4)+2047)]/2048]
SSDL=[((ESDL×8+24)+2047)]/2048]
단, SPDL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 물리 섹터의 수
SSDL은 S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 물리 섹터의 수
EPDL은 PDL 내의 엔트리의 수
ESDL은 SDL 내의 엔트리의 수
[P]는 여기에서는 P보다도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이용했다.
이하, 상기 설명한 제2 결함 관리 방법에 의한 작용·효과에 관해서 정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정보 기억 매체가, 1000회의 오버라이트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이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10000건의 결함 관리 정보의 등록을 실현한다. 이 경우, DMA를 1000회마다 천이시키면, 10회(=10000/1000)의 천이로 계산 상은 10000건의 결함 관리 정보의 등록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DMA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버라이트 특성의 문제점을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는 DMA 자신이 결함 관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반복 기록 가능한 횟수보다도 결함 관리 정보의 재기록 횟수가 많아지면, 사실상 충분한 결함 관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1000회 정도밖에 오버라이트할 수 없는 정보 기억 매체의 경우에는, 1000회를 넘는 결함 관리 정보의 재기록에 의하여, DMA 자체가 결함으로 될 가능성이 있었다. 시장에 나도는 정보 기억 매체 중에는 품질이 나쁜 것도 있고, 이러한 매체의 경우에는 100회 정도의 오버라이트에 의해 결함 블록으로 되는 일도 있다. 이러한 조악한 매체로서는, 일부의 결함을 때문에 매체 전체가 못 쓰게 되는 일이 있다.
이하에 정리한 바와 같은 이 제2 결함 관리 방법에 의해, 1000회 정도밖에 오버라이트할 수 없는 정보 기억 매체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목표
최대 0W 횟수 : 100,000
·예상
단일 DMA의 OW 제한 :1,000
·솔루션
전이가 있는 복수의 DMA
DMA 수 : 100,000/1000=100 세트
4개의 동형 DMA
본 발명의 결함 관리에 따르면, 1000회 정도의 오버라이트밖에 할 수 없는 매체의 외관 상의 오버라이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10만회 정도의 오버라이트가 가능해진다. 이것은 DVD-RAM의 오버라이트 횟수와 동등한 값이다. 1000회의 오버라이트된 영역을 새로운 영역으로 교체시킨다. 계산 상에는 100000/1000=100세트의 DMA 예약 영역이 준비되어 있으면 좋다. 매체가 100세트인 DMA 예약 영역을 가짐으로써 1000회 정도의 오버라이트밖에 할 수 없는 매체만으로도, 10만회 정도의 오버라이트가 가능한 매체와 동등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매체가 동일한 내용의 DMA를, 예컨대 리드인 영역에 2개, 리드아웃 영역에 2 개, 합계 4개 갖는다. 이에 따라, 어떤 DMA에서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되어도 다른 DMA에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옳은 결함 관리를 계속할 수 있다. 즉, 동시에 쓸 수 있는 DMA를 복수 가지는 동시에, 개개의 DMA가 열화된 경우에, 새로운 DMA 예약 영역에 결함 관리 정보를 옮긴다. 이에 따라, DMA 자체를 장해로부터 지키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매체 상에 동시에 4개의 DMA를 배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각 DMA가 DMA 예약 영역을 100개씩 갖는다. 즉, 매체 상에 총 400개의 DMA 예약 영역을 준비해 두면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는 가능한 한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고, 그 경우 조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고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서의 적당한 조합에 의하여 여러 가지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표시되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의 란에서 진술되고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라이트에 대한 내구성이 비교적 낮은 매체라도, 신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가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 뢰성이 높은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그대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한 맞춤에 의하여 여러 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맞추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 먼지와 흠집에 강한 정보 기억 매체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b) 기록 중단 횟수가 실질적으로 무제한인 정보 기억 매체,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되고 확실하게 결함 정보 및 결함 관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장치 및 기억 매체의 양면에서 향상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워블 변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각각이 물리 기록 장소들로서 정의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로서, 이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할당되는 것인, 상기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들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세그먼트 내의 제1 워블 데이터 유닛에는 워블 동기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정보 기록 매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728) 및 물리 세그먼트 순서 정보(724)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기록 매체.
  7. 워블 변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고; 각각이 물리 기록 장소들로 정의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과;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로서, 이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할당되는 것인, 상기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재생 방법.
  8. 워블 변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고; 각각이 물리 기록 장소들로 정의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과;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로서, 이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할당되는 것인, 상기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재생 장치.
  9. 워블 변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고; 각각이 물리 기록 장소들로 정의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과;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로서, 이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할당되는 것인, 상기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10. 워블 변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고, 각각이 물리 기록 장소들로 정의되는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과; 이 물리 세그먼트 블록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로서, 이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가 할당되는 것인, 상기 7개의 물리 세그먼트들과; 상기 물리 세그먼트들의 각각에 구성되는 17개의 워블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된 물리 세그먼트 블록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KR1020050086869A 2004-09-17 2005-09-16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22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1545A JP2006085862A (ja) 2004-09-17 2004-09-17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装置
JPJP-P-2004-00271545 2004-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389A KR20060051389A (ko) 2006-05-19
KR100722213B1 true KR100722213B1 (ko) 2007-05-29

Family

ID=3531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69A KR100722213B1 (ko) 2004-09-17 2005-09-16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77883A1 (ko)
EP (1) EP1638098A3 (ko)
JP (1) JP2006085862A (ko)
KR (1) KR100722213B1 (ko)
CN (2) CN101783159B (ko)
TW (1) TW2006273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926A (ja) * 2005-01-31 2006-08-10 Toshiba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4660217B2 (ja) 2005-01-31 2011-03-30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6209925A (ja) * 2005-01-31 2006-08-10 Toshiba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6289877A (ja) * 2005-04-14 2006-10-26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4473768B2 (ja) * 2005-04-14 2010-06-02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2007018563A (ja) * 2005-07-05 2007-01-2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装置
US7804750B2 (en) * 2005-11-09 2010-09-28 Sanyo Electric Co., Ltd. Test disc and drive verification method
JP2007164928A (ja) * 2005-12-16 2007-06-28 Fujitsu Ltd 記憶媒体管理装置、記憶媒体管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管理方法
WO2007072862A1 (ja) * 2005-12-22 2007-06-28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323776A (ja) 2006-06-02 2007-12-13 Toshiba Corp 光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
JP2007328873A (ja) * 2006-06-08 2007-12-20 Toshiba Corp 追記型多層光ディスク、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5049518B2 (ja) * 2006-06-14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8004151A (ja) * 2006-06-21 2008-01-10 Toshiba Corp 片面多層光ディスク、bca記録装置、bca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516939B2 (ja) * 2006-06-23 2010-08-04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8547860B2 (en) 2009-02-09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arrier allocation
US20100226227A1 (en) * 2009-03-09 2010-09-09 Chih-Ching Yu Methods and apparatuses of processing readback signal generated from reading optical storage medium
BRPI1004211A2 (pt) * 2009-05-08 2016-02-23 Panasonic Corp meio de gravação de informações, método de gravação de informações, dispositivo de gravação de informações, método de reprodução de informações e dispositivo de reprodução de informações
JP2010044862A (ja) * 2009-11-26 2010-02-25 Toshiba Corp 光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
JP2011138619A (ja) * 2011-04-11 2011-07-14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方法
JP6754942B2 (ja) * 2016-08-10 2020-09-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10878859B2 (en) 2017-12-20 2020-12-29 Micron Technology, Inc. Utilizing write stream attributes in storage write commands
US11803325B2 (en) * 2018-03-27 2023-10-31 Micron Technology, Inc. Specifying media type in write commands
CN112799379A (zh) * 2021-01-04 2021-05-14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基于OPC UA架构Pub-Sub模式的分布式自动测试系统
CN113810244B (zh) * 2021-08-18 2022-09-16 柳州达迪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空闲信道识别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204A (ja) * 1996-05-31 1997-12-12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288938A (ja) 2001-03-22 2002-10-04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KR20040065004A (ko) * 2003-01-1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임시 정리 결함 관리 영역을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디스크
KR20040065005A (ko) * 2003-01-1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 디스크
JP2004288285A (ja) 2003-03-20 2004-10-14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769A (ja) 1986-03-12 1987-09-16 Fujitsu Ltd 加入者回路試験方式
JP2621459B2 (ja) 1989-02-07 1997-06-18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システム
JP2812243B2 (ja) * 1995-04-21 199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3552223B2 (ja) * 1996-02-05 2004-08-11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方法
US6134214A (en) 1996-03-18 2000-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substituting defective recording of discoid recording medium and discoi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6581167B1 (en) * 1999-02-01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2004014088A (ja) * 2002-06-11 2004-01-15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媒体、記録方法、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4039076A (ja) * 2002-07-02 2004-02-0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TWI291168B (en) * 2003-02-25 2007-12-11 Lg Electronics Inc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204A (ja) * 1996-05-31 1997-12-12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288938A (ja) 2001-03-22 2002-10-04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KR20040065004A (ko) * 2003-01-1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임시 정리 결함 관리 영역을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디스크
KR20040065005A (ko) * 2003-01-1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 디스크
JP2004288285A (ja) 2003-03-20 2004-10-14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7883A1 (en) 2006-04-13
KR20060051389A (ko) 2006-05-19
JP2006085862A (ja) 2006-03-30
CN1767037A (zh) 2006-05-03
EP1638098A2 (en) 2006-03-22
TW200627398A (en) 2006-08-01
EP1638098A3 (en) 2008-09-10
CN101783159A (zh) 2010-07-21
CN101783159B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213B1 (ko)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37796B1 (ko)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30552B1 (ko)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및 정보 재생 방법
KR100778000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기록 방법
JP2007080367A (ja)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08027481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媒体の検査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検査装置
JP2008010125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8010128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8010107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8010129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US20060171277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2008152914A (ja)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装置
US20060171276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2008140543A (ja) 記憶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