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424B1 -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424B1
KR100721424B1 KR1020027000596A KR20027000596A KR100721424B1 KR 100721424 B1 KR100721424 B1 KR 100721424B1 KR 1020027000596 A KR1020027000596 A KR 1020027000596A KR 20027000596 A KR20027000596 A KR 20027000596A KR 100721424 B1 KR100721424 B1 KR 10072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scharge
waste
level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157A (ko
Inventor
세데르보그페르
노르레니우스켄트
얀케빅스베르너
Original Assignee
엔박 센트럴서그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4165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214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엔박 센트럴서그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엔박 센트럴서그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2002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4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inducing feed of the materials by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65F2210/1443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슈트(CH)가 각각의 배출 밸브(DV)를 통해 이송 파이프 시스템에 연결되고, 쓰레기 슈트와 이송 파이프 시스템 사이의 소통이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성립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배출 밸브들을 대응하는 쓰레기 슈트들에 대해 그룹들(G1-G5)로 분할하여 그룹을 기초로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행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이 선택된 그룹내의 배출 밸브의 개방을 위해 하나의 그룹을 선택한다. 이 방식으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이용이 개선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실현한다. 상기 해결책은 레벨 제어 배출과 비교할 때, 대형 시스템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REFUSE COLLECTION}
본 발명은 쓰레기 관리 및 폐기물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쓰레기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 흡입에 의해 쓰레기를 이송하는 대기압 이하 또는 진공 압력에서 작동하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수년 동안 사용되고 있으며 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한 능률적이고, 청정하며, 편리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간단하게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라 하는 쓰레기의 흡입 이송을 위한 이러한 시스템은 소규모 및 중규모 주거 및 업무 빌딩 영역에서 별 문제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대규모 및 고층 빌딩으로 된 더 복잡한 주거 및 업무 빌딩 영역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시스템의 요구 사항이 크게 증가된다.
특히, 고층 빌딩에 쓰레기 슈트가 배치될 때, 단기간에 상기 슈트로 유입되는 쓰레기 량이 매우 많게 되고, 쓰레기 슈트들의 배출 주기들 사이에 쓰레기 슈트에 모이게 되는 쓰레기 량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 문제는 배출 사이클을 짧게 하고 더욱 자주 쓰레기 슈트를 비우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쓰레기 슈트가 시스템에 연결되는 경우, 사이클 주기를 최소로 감소시킨다 하더라도 만족스러운 작동을 확보하기에는 너무 길게 되므로 상기 문제를 그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게 된다.
각 빌딩에 2개의 분리된 쓰레기 슈트를 제공함에 의해 상기한 용량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되고 있다. 이 해결 방법은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쓰레기 슈트가 추가되는 점에서도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고려한 본 출원인의 국제 출원 WO 98/47788호에서,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 위에 쓰레기 제한 밸브가 제공되어 그 제한 밸브 위의 쓰레기 슈트 내에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여러 응용들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쓰레기 슈트 자체가 쓰레기의 저장 체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특히 고층 빌딩 및 대형 시스템에서, 제한 밸브 위의 슈트가 다음 번 배출 전에 제 1 접근 포트까지 쓰레기로 가득 채워지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어도 일부의 쓰레기 슈트에 소위 팽창된 저장 체적을 제공하려는 다른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통상 쓰레기 슈트보다 단면적이 큰 컨테이너 형태의 상기 팽창된 저장 체적은 배출 밸브 위쪽의 위치에 제공되어, 비교적 다량의 쓰레기의 일시적인 저장을 허용한다. 그러나, 팽창된 저장 체적은 종종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전체적인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통상 쓰레기는 더 긴 기간 동안 상기 팽창된 저장 체적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더욱 진전된 환기 시스템이 사용되어야 한다.
최근에,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소위 레벨 제어 배출이 도입되었다. 레벨 제어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각 쓰레기 슈트에는 쓰레기 슈트의 소정 레벨까지 쓰레기가 쌓여있음을 지시하는 레벨 센서가 제공된다. 쓰레기가 소정 레벨에 도달되면, 레벨 센서가 제어 시스템에 레벨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 레벨 제어 배출 시에, 제어 시스템은 레벨 지시를 받은 쓰레기 슈트에 더 빠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선도달 선배출" 개념을 기초로 그러한 쓰레기 슈트를 비우게 된다. 이 방식으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구조적 배출 순서를 변경하여 레벨 지시를 받은 쓰레기 슈트에 대한 쓰레기 수거를 명령한다.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 방식은 소형 시스템의 일정 부하 조건에서,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대형 시스템에서는, 레벨 제어 배출은 비제어된 방식에서의 시스템의 다른 지선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건너 뛰는 현상을 야기함으로써 유용한 쓰레기 수거 수단을 불충분하게 이용하는 정반대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대형의 복잡한 시스템에서의 레벨 제어 배출 시에, 배출 빈도, 즉 단위 시간 당 배출 밸브 개방 횟수가 통상의 소정의 구조적인 배출 시의 배출 빈도의 50% 이하로 감소되기 쉽다. 다른 단점은 "선도달 선배출" 원칙은 쓰레기 슈트가 비워지는 순서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예컨대, 대기 라인에서 첫 번째가 아닌 위험 영역에서 쓰레기 슈트가 과부하로 될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국제 출원 WO 96/22238호는 쓰레기의 차별화된 수거 플랜트를 개시하고 있 다. 상기 플랜트는 다수의 수거 유닛들을 가지며, 각 수거 유닛은 다수의 컨테이너, 다른 컨테이너들에 다른 량의 쓰레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 및 각 컨테이너 내의 쓰레기 량에 대해 상대적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검출 수단은 컨테이너 내의 쓰레기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극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제어된 쓰레기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안정성 및 작동 비용 면에서 최적화하고, 또한 배출 효율을 개선시키며 작동 방해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쓰레기의 효율적인 배출을 실행하기 위한 개선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의 더 복잡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만족스럽고 효율적인 작동이 확보되도록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종래의 레벨 제어 쓰레기 배출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쓰레기 슈트가 각각의 배출 밸브를 통해 이송 파이프 시스템에 연결되고, 쓰레기 슈트와 이송 파이프 시스템 사이의 소통이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성립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배출 밸브들을 대응하는 쓰레기 슈트들에 대해 그룹들로 분할하여 그룹을 기초로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행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시스템이 선택된 그룹내의 배출 밸브의 개방을 위해 하나의 그룹을 선택한다. 이 방식으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이용이 개선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실현하게 된다.
상기 해결책은, 특히 레벨 제어 배출 방식과 조합될 때 대형 시스템에서 크게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개별 배출 밸브의 레벨 대신에 그룹 레벨에 대해 레벨 제어 배출을 행함으로써,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 시의 많은 단점들이 해소되는 반면에, 장점들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룹 작동 시에, 제어 시스템은 전체 그룹의 총 용량 및 그룹으로의 쓰레기의 유입량을 고려하게 된다. 그룹 작동 및 레벨 제어 배출을 조합시킬 때, 각 그룹의 배출 밸브들은 통상 소정 배출 조건과 연계되며, 배출 조건은 소정 임계 레벨까지 쓰레기로 채워져 있는 대응하는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그룹은 그 그룹에서의 상대적인 쓰레기 배출 중요성을 나타내는 우선순위와 연계된다. 다음, 상기 제어 시스템은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 중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가진 그룹이 쓰레기의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선택되도록 그룹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레벨 제어 배출과 관련하여, 다수의 쓰레기 슈트들 각각에, 쓰레기 슈트에 쌓여있는 쓰레기의 하부 레벨을 지시하는 제 1 하부 레 벨 지시기 및 쓰레기 슈트에 쌓여있는 제 2 상부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상부 레벨 지시기를 포함하는 레벨 지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고부하 모드 시에,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 1 하부 레벨 지시기를 감시하여 상기 시스템이 쓰레기 수거에 준비가 되었을 때 지시된 제 1 하부 레벨에 반응하여 배출 밸브를 개방한다. 저부하 모드 시에, 제 2 상부 레벨 지시기가 감시되며 지시된 제 2 상부 레벨에 반응하여 배출 밸브가 개방된다.
이와 다르게, 하나 이상의 레벨 지시 시스템이 2개의 불연속적인 레벨 지시기 대신에 아날로그 레벨 지시기를 포함할 수 있고, 다음 상기 제어 시스템이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고부하 모드 시에 제 1 소정 방식으로 그리고 저부하 모드 시에 제 2 소정 방식으로 아날로그 레벨 지시기에서의 레벨 정보에 반응하게 될 수 있다.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에 사용되는 단일의 소정 레벨은 시스템의 고부하 시에 쓰레기 슈트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매우 높게 하는 반면에, 시스템의 저부하 시에, 상기 소정 레벨은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은 쓰레기 슈트들의 배출이 계획되도록 매우 낮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방식으로 2개의 다른 레벨들을 이용함에 의해, 쓰레기 슈트의 과부하 위험 및 완전하거나 또는 거의 완전하게 채워진 쓰레기 슈트들을 비우는 것이 최적이라는 사실 사이에서 양호한 절충안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그룹의 배출 밸브들 및 개별 배출 밸브들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장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이해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논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계통도, 및
도 4는 2개의 레벨 지시기를 가진 쓰레기 슈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들에서, 유사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들로 나타낸다.
오해의 소지를 없애도록, 용어 "쓰레기"는 '가정 쓰레기' 또는 '부엌 쓰레기' 뿐만 아니라 종이, 의류, 세탁물, 패키지 등의 쓰레기 처리 분야에서의 모든 단편들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을 잘 이해하도록,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일반적인 개관을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시스템 개관
도 1은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일례로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1)은 다수의 빌딩을 갖는 주거 및/또는 사업 영역에 설치된다고 가정한다. 각 빌딩(2)에는 쓰레기 슈트(3)가 설치되며, 그의 하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쓰레기 슈트는 빌딩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슈트이고, 통상적으로 각 슈트는 여러 개의 접근 포트들(도시 안됨)을 가진다. 각 쓰레기 슈트에는 개폐가능하며 빌딩의 지하층에 위치되는 배출 밸브(4)가 제공된다. 배출 밸브(4)가 개방되면 쓰레기 슈트(3) 및 상기 밸브 위에 수거된 쓰레기를 이송 파이프로 배출시키는 지하 이송 파이프(5) 사이를 연통시키게 된다. 폐쇄될 때 상기 배출 밸브(4)는 슈트와 이송 파이프(5)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쓰레기 슈트의 하단부를 차단시킨다.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통상 쓰레기를 공기 흡입에 의해 중앙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6)으로 이송하는 지하 이송 파이프 시스템을 형성하는 다수의 이송 파이프(5)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파이프 시스템은 다수의 가지들이 연결된 주 파이프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의 이송 파이프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의 각 지선은 그의 단부에 입구 밸브(8)를 가진다. 중앙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6)의 주 밸브(7)가 개방되면, 이송 파이프 시스템 또는 적절한 부분들이 대기압 이하의 압력 또는 진공에 노출되며, 특정 지선의 공기 입구 밸브(8)가 이송에 필요한 공기를 개방시킬 때 지선 이송 파이프(5)에 수거된 쓰레기가 시스템으로 진입되어 상기 쓰레기를 중앙 스테이션(6)으로 이송한다. 효과적인 흡입 이송을 위해 각 섹션들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서로 다른 섹션들을 밀봉시키도록 섹션 밸브(도시 안됨)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시스템 내의 쓰레기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0)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쓰레기 슈트에서 이송 파이프 시스템으로의 쓰레기의 배출 및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다른 지선들로부터 중앙 수거 스테이션으로의 쓰레기의 흡입 이송을, 사용 가능한 제어 기술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배출 밸브, 공기 입구 밸브, 섹션 밸브 및 주 밸브를 제어함에 의해, 제어한다.
본 발명은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잘 알려져 있는 종래의 어떤 타입의 배출 밸브, 공기 입구 밸브, 섹션 밸브 및 주 밸브의 특정 설계와 관련된 것은 아니다. 같은 방식으로, 중앙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도 종래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단 쓰레기가 중앙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면, 그 쓰레기는 중앙 스테이션에서 압축되어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에 저장된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 분석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고층 빌딩에서 대형의 더 복잡한 시스템으로서 서비스하게 될 때 봉착되는 일반적인 용량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여러 가지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레벨 제어 배출이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식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시스템에서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 방식은 종종 유용한 수단의 비효율적인 이용을 초래한다.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에 대한 조심스러운 분석에 의해, 종종 비제어 방식에서의 지선들 사이에서 건너뛰는 현상과 함께 중앙 수거 스테이션으로의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흡입 시간, 또는 추가 흡입 시간을 필요로 하며 통상적으로 각 지선의 단일 쓰레기 슈트에서의 쓰레기는 대형의 더 복잡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용으로 부적절한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을 행하는 수거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종래, 상기 제어 시스템이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일 지선에서 쓰레기 슈트에 대한 레벨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슈트에서의 쓰레기 배출 및 중앙 스테이션으로의 흡입 이송을 명령한다. 상기 슈트에서 중앙 스테이션으로의 흡입 이송을 위해 필요한 기간은 추가 흡입 기간이라 하며, 이 기간 중에 상기 시스템이 채워지며 다른 지선들에서의 흡입 이송이 보류된다. 다음, 다른 지선의 쓰레기 슈트에서 레벨 지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그 슈트로부터의 쓰레기 배출 및 흡입 이송을 명령하며, 또 다른 추가 흡입 기간을 필요로 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중앙 스테이션으로 실제로 매우 작은 쓰레기가 수거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선들 사이에서 건너뛰게 될 수 있다. 또한, "선도달 선배출" 원칙이 쓰레기 슈트 배출 순서로서 고려되지 않게 된다.
문제 해결-그룹 작동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배출 밸브들, 즉 대응하는 쓰레기 슈트들을 분할하여 한번에 하나의 그룹에서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쓰레기 수거를 시작함으로써 제어되는 쓰레기 배출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해결책은 그 자체만으로도 효율적이지만, 레벨 제어 배출과 조합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후자의 경우에, 레벨 제어 배출은 개별 배출 밸브의 레벨 대신에 그룹 레벨이 적용된다. 그룹을 기초로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일 그룹의 쓰레기 슈트들 내의 적절한 수의 쓰레기 슈트들에 서의 쓰레기가 모여서 중앙 스테이션으로 집합적으로 이송된다. 이 방식으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이용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서의 제어되는 쓰레기 배출 시에 완전한 그룹으로의 전체 쓰레기 유입량 및 그 그룹의 전체 용량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논리도이다. 도 2의 논리도는 중앙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CS), 이송 파이프 네트워크 형태의 이송 파이프 시스템, 배출 밸브/쓰레기 슈트(DV/CH), 섹션 밸브(SE1-SE2) 및 공기 입구 밸브(AV1-AV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밸브들은 그룹들(G1-G5)로 분할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그룹 분할은 단지 일례이며, 배출 밸브들의 다른 방식으로의 그룹들로의 분할도 가능하다. 상기 그룹들은 일반적으로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구조 및 상기 시스템에 부여되는 특정 요구 조건들에 따라 정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그룹 작동 및 시스템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실행 기능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그 시스템의 감시 및 제어 기능을 가진 컴퓨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컴퓨터 제어 시스템(10)은 CPU(11) 또는 그 등가물, 주메 모리(12), 통상의 신호 인터페이스(13) 및 통상의 유저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주 메모리(12)는 컴퓨터 프로그램(16)용 프로그램 기억부(15) 및 데이터용 데이터 기억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10)은 통상의 접속 링크를 통해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에 접속되며 상기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의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배출 밸브, 공기 입구 밸브, 섹션 밸브 및 주 밸브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인터페이스(13)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 자바, C, C++ 또는 그 등가물 등의 객체지향형 프로그램 언어가 그룹 작동 및 시스템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이용된다.
통상, 상기 제어 시스템(10)은 다음 기능들을 포함한다 :
- 그룹 정의 기능
- 그룹 선택 기능
- 배출 조건(옵션)
- 우선 순위(옵션)
- 배출 밸브 제어 및 쓰레기 흡입 제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기능.
상기 그룹들은 통상 특수 그룹 정의 메뉴에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다. 그룹 정의 메뉴에서, 관리자는 어떤 그룹들에 어느 공기 입구 밸브 및 어느 배출 밸브가 속할 것인 지를 결정한다. 도 2에 연관된 그룹 정의 메뉴의 일례를 다음의 표 I에 나타낸다.

표 I
AV DV 1 2 3 4 5 6 7 8
1 G1 G2 G3 G4 G4 G4 G5 G5
2 G1 G2 G3 G4 G4 G4 G5 G5
3 G1 G2 G3 G4 G4 G4 G5 G5
4 G1 G3 G4 G4 G4 G5
5 G1 G3 G4 G4 G5
6 G4 G5
상기 표 I에 주어진 실시예에서, 다음 그룹이 정의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AV1의 모든 DV는 그룹 G1에 속함.
- AV2의 모든 DV는 그룹 G2에 속함.
- AV3의 모든 DV는 그룹 G3에 속함.
- AV4-6의 모든 DV는 그룹 G4에 속함.
- AV7-8의 모든 DV는 그룹 G5에 속함.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시스템은 다른 모드에서 동작하여 구조적인 배출 및 레벨 제어 배출을 실행할 수 있다.
구조적 배출 : 상기 제어 시스템은 소정 순서로 상기 그룹들을 통해 하나씩 진행한다. 이와 다르게, 예컨대 하루의 끝 무렵에 시스템을 정지시킬 때, 상기 그룹 동작은 불가능하고 대신에 모든 슈트와 이송 파이프들이 구조적으로 소정 순서로 배출된다.
레벨 제어 배출 : 상기 제어 시스템은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레벨 지시기 또는 레벨 센서로부터의 쓰레기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에 따라 쓰레기 배출을 위한 그룹을 선택한다. 이는 통상 배출 조건의 이용을 필요로 하며, 각 그룹에 대해 소정 배출 조건들이 주어진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배출 조건은 적어도 소정 임계 레벨에 이를 때까지 쓰레기로 채워진 그룹의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각 그룹은 이러한 배출 조건과 연관되어진다. 그러나, 다른 형식의 배출 조건들도 이용될 수 있다.
그룹에서 상대적인 쓰레기 배출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우선 순위와 각 그룹을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배출 조건과 우선 순위는 통상 배출 조건 및 우선 순위 메뉴에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정의되며, 그의 일례를 표 II에 나타낸다 :
표 II
그룹 G1 G2 G3 G4 G5
우선 순위 0.30 0.30 0.30 0.20 0.20
레벨 배출 조건 1 2 1 1 1
우선 순위는 그룹의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며, 표 II에서 우선 순위는 실수 0 내지 1 사이이다. 각 그룹의 우선 순위는 통상 그룹의 쓰레기 슈트의 저장 용량, 및 그룹으로의 쓰레기의 측정된 또는 예측된 유입량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정해진다. 과부하 민감도 및 서비스 이용도 등의 다른 인자들이 그룹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레벨 배출 조건은 그룹의 쓰레기 배출의 계획 전에 필요로 되는 레벨 지시의 수를 나타낸다.
배출 조건들을 이용할 때,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에 대한 배출 순서를 일부 기준에 따라 정립함이 중요하다. 상기 배출 순서는 적절한 방식으로 결정되며 적절한 시기, 예컨대 다른 그룹이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갖추었을 때 또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갱신된다.
우선 순위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이 소정의 구조적 순서로 쓰레기를 배출시키도록 계획되어진다.
우선 순위 기능이 이용 가능한 경우,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 중 가장 빠른 우선 순위를 가진 그룹이 쓰레기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선택된다. 여러 그룹들이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진 경우, 특정 그룹 오더 리스트에 정의된 소정 그룹 순서에 따라 상기 그룹들 중 하나가 선택되며, 그 리스트의 일례를 다음의 표 III에 나타낸다.
표 III
그룹 오더 리스트 G1, G3, G2, G4, G5
우선 순위 기능의 주 임무는 쓰레기 배출을 위해 가장 먼저 선택되어야 하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다수의 그룹들 중 어떤 그룹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의 변동으로서 예컨대 운전 시간에 대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작동을 최적화하도록 배출하기 위해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을 배열시키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다음에,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얻어진 배출 순서는 상기 얻어진 배출 순서의 결과의 분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운전 시간 면에 있어서는 다른 그룹 전에 배출되도록 소정 그룹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다른 그룹에서 과부하의 위험이 있으면 배출 순서 변경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어 그 그룹을 가장 먼저 배출될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개별적인 배출 밸브가 아닌 배출을 위한 그룹들이 선택되지만, 선택된 그룹 의 모든 배출 밸브들을 개방시킬 필요는 없다. 실제로, 그룹 내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소정 임계 레벨까지 쓰레기로 채워진 쓰레기 슈트와 연관된 배출 밸브들만을 개방함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그룹내의 배출 밸브들은 소정 시퀀스에 따라 하나씩 구조적인 순서로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이 기술에 의하면, 레벨 제어 배출 및 구조적 배출(선택된 그룹내의)을 결합시킬 수 있다. 어떻든, 선택된 그룹의 모든 배출 밸브들을 개방시킬 필요가 없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관리자는 특정 분류 메뉴에서 그룹들을 다른 분류들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의 일례를 다음의 표 IV에 나타낸다 :
표 IV
그룹 분류
G1 가정 쓰레기(R)
G2 가정 쓰레기(R)
G3 가정 쓰레기(R)
G4 종이류(P)
G5 종이류(P)
변화된 추가 흡입 시간 -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
시스템 성능을 더욱 최적화하도록, 제 1 그룹에서의 쓰레기가 수거 스테이션을 향해 제 2 그룹의 지선 또는 지선들이 제 1 그룹의 지선들중 하나에 연결되는 지점을 바로 통과하거나, 또는 연결 지점의 하류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배출 밸브들이 있는 경우, 수거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운 제 2 그룹의 상기 배출 밸브들을 바로 통과하도록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쓰레기의 흡입을 제어하는데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이라 하는 특징이 이용된다. 계속해서, 제 2 그룹에서의 쓰레기가 수거 될 때, 제 1 그룹에서의 쓰레기는 수거 스테이션을 향해 제 2 그룹의 쓰레기와 함께 이송된다. 즉, 일 그룹에서의 쓰레기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 중앙 진공 스테이션으로 결코 이송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귀중한 추가 흡입 시간이 절약된다.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은 특정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 메뉴에서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구조 및 치수의 정보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정의되며, 그의 일례를 다음에 표 V로 나타낸다.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은 초단위로 측정되며 안전 마진이 주어진다.
표 V
그룹 으로 그룹 에서 G1 G2 G3 G4 G5 중앙으로
G1 0 20 10 20 20 20
G2 30 0 30 30 30 30
G3 20 30 0 30 30 30
G4 35 35 35 0 20 35
G5 50 50 50 35 0 50
그룹들 사이의 흡입 시간이 중앙 스테이션으로의 흡입 시간과 같게 되면, 쓰레기는 직접 중앙 스테이션으로 흡입 이송된다.
개선된 레벨 제어 배출
다른 부하 조건 하에서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작동을 이해함에 따라 더 개선된 종래의 레벨 제어 배출이 실현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빌딩에 설치된 쓰레기 슈트의 일례가 나타내진다. 쓰레기 슈트(3)는 종래의 방식으로 빌딩(2)에 설치되며 개폐 가능한 배출 밸브(4)가 제공된다. 배출 밸브(4)는 빌딩의 지하층에 배치되며 쓰레기 슈트(3)와 지하 이 송 파이프(5) 사이를 소통시키도록 이용된다. 또한, 쓰레기 슈트(3)는 그의 다른 레벨들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레벨 지시기(24,25)를 포함하는 레벨 지시 시스템을 가진다. 레벨 지시기는 슈트 벽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다. 제 1 하부 레벨 지시기(24)는 배출 밸브 위로 제 1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쓰레기 슈트의 하부 레벨까지 쌓여있는 쓰레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생성하며, 보다 위쪽의 제 2 레벨 지시기(25)는 쓰레기 슈트의 더 높은 레벨까지 쌓여있는 쓰레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생성하도록 배출 밸브 위쪽의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레벨 지시기는 윗층 오물처리 입구 근처에 배치된다.
쓰레기 슈트의 정상 작동에 방해되지 않고, 쓰레기의 존재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종래의 임의 타입의 레벨 센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레벨 지시기들의 예는 :
- 기계적 레벨 센서(예컨대, 슈트로 연장하는 스프링 바이어스식 핑거(finger)를 가진 타입);
- 광학 레벨 센서(예컨대, 포토셀 레벨 센서); 및
- 초음파 센서.
레벨 지시기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정보는 직접 또는 분배 제어 유닛(26)을 통해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실행하도록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다수의 쓰레기 슈트의 레벨 지시 시스템에서의 신호 정보에 반응한다. 또한, 제어 시스템에서 배출 밸브(4)로 제어 신호를 보내도록 분배된 제어 유닛(26)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다른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이 특정 제어 모드에서 동작함에 따라,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대응하는 쓰레기 수거 모드에서 작동하게 된다. 하루 중의 추정되는 오물처리 패턴 및 체적에 따라 다른 모드들이 허용되어야 할 시기를 정의하도록 관리자에 의해 타임 스케줄 메뉴가 이용된다. 이러한 타임 스케줄 메뉴의 일례를 다음의 표 VI에 나타낸다.
표 VI
시작 정지 모드 우선순위 날자 분류
07.00 10.00 고부하모드 - 모든 날 모두
10.00 17.00 저부하모드 이용불가능 모든 날 P
17.00 23.00 고부하모드 이용가능 모든 날 R
23.00 구조적모드 - 모든 날 R
상기 특정 예에서, 저부하 모드, 고부하 모드 및 구조적 모드의 3개의 작동 모드들이 이용된다.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하루 중 다른 기간에 저부하 모드 및 고부하 모드에서 작동한다. 상기 시스템의 모든 쓰레기 슈트 및 파이프에서의 최종의 구조적인 쓰레기 수거는 23.00(오후 11시)에 실행된다. 그 후,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정지되고 밤에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타임 스케줄은 성능 최적화 또는 변경된 쓰레기 처리 패턴에 시스템을 적응시키도록 쉽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고부하 모드 시에 레벨 제어 배출을 위한 임계 레벨로서 하부 레벨을 이용하고, 저부하 모드 시에 임계 레벨로서 상부 레벨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부하 모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 1 하부 레벨 지시기를 감시하여 상기 시스템이 쓰레기를 수거할 준비가 되었을 때 지시된 하부 레벨에 반응하여 배출 밸브를 개방한다. 저부하 모드에서, 상기 제 2 레벨 지시기가 감시되며 지시된 상부 레벨에 반응하여 배출 밸브들이 개방된다.
상기 2개의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쓰레기 슈트의 과부하의 위험 및 거의 비어 있는 쓰레기 슈트를 배출하게 되는 위험 사이에 양호한 절충안(trade-off)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레벨들은 모든 쓰레기 슈트에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쓰레기 슈트가 위치한 특정 영역의 오물처리 패턴에 대해 상기 레벨들을 적합화함이 이롭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레벨 지시기는 상기 시스템의 쓰레기의 실제의 "아날로그" 레벨을 나타내지 않는 불연속의-정적 레벨 지시기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레벨 지시기 시스템은 예컨대 초음파 센서와 같이 아날로그 레벨 지시기로서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여전히 2개의 불연속 레벨들을 이용하며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아날로그 레벨 지시기에서의 신호 정보에 반응한다. 고부하 모드 시에,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가능한 한 빠르게 대응하는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쓰레기가 쓰레기 슈트의 적어도 하부 레벨까지 쌓여있음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에 반응한다. 저부하 모드 시에는, 상기 제어 시스템은 대응하는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쓰레기가 적어도 쓰레기 슈트의 상부 레벨까지 쌓여있음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에 반응한다.
상기 개선된 레벨 제어 배출은 개별 쓰레기 슈트/배출 밸브의 레벨은 물론 그룹 레벨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룹 레벨에 적용되는 경우, 다음의 원리가 이용된다 :
- 고부하 모드 시에, 각 그룹은 하부 레벨까지 쓰레기로 채워져 있는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른 배출 조건을 가지며;
- 저부하 모드 시에, 각 그룹은 상부 레벨까지 쓰레기가 쌓여있는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른 배출 조건을 가지며;
- 각 부하 모드에서, 적어도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배출 밸브들만이 개방된다.
그룹 동작과 조합된 상기 계획에 따른 레벨 제어 배출이 대형의 복잡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에서는, 고부하 레벨 제어 배출 및 우선 순위 기능을 포함하는 그룹 동작 및 시스템 제어의 일례를 도 2 및 상기한 표 I - VI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부하 레벨 제어 배출이 17:00에 시작된다.
시스템 17:00에 시작
그룹 : G1 G2 G3 G4 G5
현재 우선순위 : 0.30 0.30 0.30 0.20 0.20
레벨 수 : 0 3 1 0 1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 : 아니오 예 예 아니오 예
그룹 G2, G3 및 G5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중앙 진공 시스템을 출발한다. G2, G3 및 G5 중 그룹 G2 및 G3가 가장 빠른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탐지하여, G2 및 G3가 분류 R에 속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을 분류 R로 절환시킨다. 표 III의 그룹 오더 리스트를 고려하면, G3가 리스트에서 G2보다 선행하므로, 주 밸브, 섹션 밸브(SE1) 및 공기 입구 밸브(AV3)를 개방하여 그 룹 G3의 배출 절차가 개시된다. 다음,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그룹 G3의 모든 DV가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그룹 G3의 DV에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의해 구조적인 순서로 개방된다.
궁극적으로 모든 그룹들이 비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시스템은 배출을 위해 그룹이 선택될 때마다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각각의 비선택 그룹에 대해 우선순위 팩터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그룹의 초기 우선 순위 팩터에 대한 선택된 그룹의 우선 순위 팩터를 리세트한다. 따라서, G2의 우선순위는 0.30(G2의 초기 우선 순위 1배의 팩터)만큼 증가하여 0.60으로 되고, G5는 0.20만큼 증가하여 0.40으로 된다.
시스템 17:03에 시작
그룹 : G1 G2 G3 G4 G5
현재 우선순위 : 0.30 0.60 0.30 0.20 0.40
레벨 수 : 0 3 0 0 1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 :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예
그룹 G2 및 G5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G2 및 G5 중 그룹 G2가 가장 빠른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탐지한다. 표 V에서 그룹 G3에서 그룹 G2로의 흡입 시간이 30초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 시스템이 그룹 G3의 최종 DV가 비워져서 G3의 쓰레기가 적어도 G2의 슈트를 통과하여 이송 파이프 시스템에서 이송되는 시기로부터 30초 대기함을 의미한다. 계속해서, 그룹 G3의 공기 입구 밸브(AV3)는 폐쇄되고 그룹 G2의 배출 절차가 시작된다. 공기 입구 밸브(AV2)가 개방된 후,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G2의 모든 DV가 구조적인 순서로 개방된다. G2의 우선순위 팩터는 0.30으로 리세트되고, G5의 우선순위 팩터는 0.20만큼 증가하여 0.60으로 된다.
시스템 17:05에 시작
그룹 : G1 G2 G3 G4 G5
현재 우선순위 : 0.30 0.30 0.30 0.20 0.60
레벨 수 : 0 0 1 0 1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 :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예
그룹 G3 및 G5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다. 상기 시스템은 G3 및 G5 중 그룹 G3(분류 P)가 가장 빠른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탐지한다. 이제, 상기 시스템은 G2 및 중앙 사이의 흡입 시간, 30초를 대기한다(G5가 다른 분류 및 다른 섹션에 속하고 상기 시스템이 분류 P로 절환되기 전에 그룹 G3 및 G2의 쓰레기가 수거되어야 하기 때문임). 계속해서, 상기 시스템은 분류(P)(종이류)로 절환되며, 섹션 밸브(SE2), 공기 입구 밸브(AV7, AV8) 및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대응하는 배출 밸브들을 구조적인 순서로 개방함에 의해 G5의 배출 절차를 진행한다. G5의 우선순위 팩터는 0.20으로 리세트되고, G3의 우선순위 팩터는 0.30만큼 증가하여 0.60으로 된다.
시스템 17:09에 시작
그룹 : G1 G2 G3 G4 G5
현재 우선순위 : 0.30 0.30 0.60 0.20 0.20
레벨 수 : 0 0 1 0 0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 :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그룹 G3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다. 상기 시스템은 G3가 다른 분류(R), 및 다른 섹션에 속하므로 50초(G5 및 중앙 사이의 흡입 시간) 대기한다. 그 후, 상기 시스템은 분류(R)로 되돌아가고, 섹션 밸브(SE1)를 개방하여, 그룹 G3의 배출 절차를 진행한다. G3의 우선순위 팩터는 0.30으로 리세트된다.
시스템 17:12에 시작
그룹 : G1 G2 G3 G4 G5
현재 우선순위 : 0.30 0.30 0.30 0.20 0.20
레벨 수 : 0 0 0 0 0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 :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타당한 배출 조건이 없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구조적 배출을 시작하거나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진행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중앙은 시스템에서 하부 레벨 지시가 발생되지 않으면 잠시 후에 정지된다.
하루 중의 쓰레기 배출 및 수거 과정은 필요하다면, 예컨대 상기 표에서의 설정치를 변경함에 의해 언제라도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쓰레기 슈트 당 보다 많은 쓰레기 량 및 시스템에 연결된 더 많은 수의 쓰레기 슈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시스템은 고층 빌딩 및 동일 시스템에 많은 빌딩이 연결된 영역 또는 대형 공항 쓰레기 시스템에 특히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복잡한 고부하 응용에 대해 주문 생산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모든 종류의 ARCS(자동 쓰레기 수거 시스템) 응용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들이며, 본 발명은 그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된 기본 원리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내용을 계속해서 이용하는 다른 변형, 개조 및 개선들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Claims (37)

  1.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6,RCS), 상기 수거 스테이션으로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파이프 시스템(5), 각각의 배출 밸브(4)를 통해 상기 이송 파이프 시스템(5)에 연결된 다수의 쓰레기 슈트(3), 및 상기 쓰레기 슈트에서 이송 파이프 시스템으로의 쓰레기의 배출 및 배출된 쓰레기의 상기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으로의 수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0)을 포함하며, 쓰레기 슈트와 이송 파이프 시스템 사이의 소통이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성립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0)이, 배출 밸브(G1-G5)의 그룹에 대해 동작하여, 선택된 그룹 내의 배출 밸브를 동시에 개방하여 배출되는 쓰레기의 수거를 개시하도록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이 쓰레기 배출을 위해 선택 가능하도록 그룹(G1-G5)의 배출 조건에 따라 동작하며, 각 그룹에 대해 소정 배출 조건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쓰레기 슈트의 쓰레기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쓰레기 슈트 각각의 레벨 지시기(24,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각 그룹에 대해 그 그룹의 배출 조건이 타당성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레벨 지시기(24,25)에서의 신호 정보에 반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배출 조건은 적어도 소정 임계 레벨까지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라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벨 지시기(24,25)는 쓰레기 슈트의 제 1 하부 레벨까지 쌓여있는 쓰레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하부 레벨 지시기(24), 및 쓰레기 슈트의 제 2 상부 레벨까지 쌓여있는 쓰레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상부 레벨 지시기(25)이며,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소정 기간 동안 각각 저부하 모드 및 고부하 모드에서 상기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부 레벨은 고부하 모드 시에 임계 레벨로서 이용되며, 상기 제 2 상부 레벨은 저부하 모드 시에 임계 레벨로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선택된 그룹 내에서, 하부 레벨 지시를 받은 쓰레기 슈트에 대응하는 배출 밸브들만을 개방시키며, 상기 배출 밸브들은 소정의 순서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이 쓰레기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선택되도록 배출 순서를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그룹에서 쓰레기 수거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는, 각 그룹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 중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가진 그룹이 쓰레기의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선택되도록 그룹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가진 경우, 소정의 그룹 순서에 따라 그 그룹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동작 장치가:
    쓰레기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일 그룹이 선택될 때,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각각의 비선택 그룹의 우선순위를 증가시키는 장치; 및
    선택된 그룹의 우선순위를 그 그룹과 연계된 초기 우선순위로 리세트하는 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증가 장치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각각의 비선택 그룹의 우선순위를 그 그룹과 연계된 초기 우선순위와 동일한 일정치만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 밸브 그룹은 상기 이송 파이프 시스템의 동일 지선에 속하는 배출 밸브의 세트로써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파이프 시스템은 다수의 지선들을 포함하고, 제 1 그룹의 배출 밸브들은 하나 이상의 지선들의 배출 밸브에 의해 정의되며, 제 2 그룹의 배출 밸브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지선들의 배출 밸브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10)은, 제 1 그룹에서의 쓰레기가 상기 제 1 그룹의 지선들 중 하나에 제 2 그룹의 지선을 연결하는 지점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 지점의 하류에 제 2 그룹에 속하는 배출 밸브가 있다면, 상기 수거 스테이션(6,RCS)에 가장 가까운 제 2 그룹의 배출 밸브들을 통과하여 수거 스테이션(6,RCS)을 향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 파이프 시스템으로의 쓰레기의 흡입을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에서 이송된 쓰레기는 계속해서 제 2 그룹의 쓰레기와 함께 수거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
  14.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다수의 쓰레기 슈트(3)로부터 각각의 배출 밸브(4)를 통해 이송 파이프 시스템(5)으로의 쓰레기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기 쓰레기 슈트(3)와 이송 파이프 시스템(5) 사이의 소통을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4)를 개방함에 의해 성립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위한 목적으로 배출 밸브들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다수의 배출 밸브들을 포함하는, 그룹들(G1-G5)로 분할하는 단계; 및
    그룹을 단위로 배출 밸브들을 개방함에 의해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실행하는 단계는 일 그룹의 배출 밸브의 개방 시작 및 배출된 쓰레기의 수거를 동시에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각 그룹에 소정 배출 조건을 할당하여,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에서 배출을 위한 일 그룹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이 없는 경우 소정의 그룹 순서에 따라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 쓰레기 슈트에 대해, 쓰레기 슈트의 쓰레기 레벨을 지시하는 단계; 및
    각 그룹의 배출 밸브들에 대해, 레벨 지시에 반응하여 그 그룹의 배출 조건이 타당한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배출 조건은 적어도 소정 임계 레벨까지 쓰레기가 채워져 있는 쓰레기 슈트의 수에 따라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소정 기간 동안, 각각 저부하 모드 및 고부하 모드에서 작동하며,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고부하 모드 시에 제 1 하부 레벨이 임계 레벨로서 이용되고, 상기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저부하 모드 시에 제 2 상부 레벨이 임계 레벨로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하부 레벨까지 쓰레기가 채워진 상태로 지시된 쓰레기 슈트에 대응하는, 선택된 그룹내의, 배출 밸브만을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들에 대한 배출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배출 순서에 따라 배출을 위한 일 그룹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그룹 중에서 상대적인 쓰레기 배출 중요성을 나타내는 , 각 그룹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 중에서 가장 빠른 우선 순위를 가진 그룹이 쓰레기 배출을 위해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그룹이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갖는 경우, 소정 그룹 순서에 따라 그 그룹들 중 하나가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쓰레기 배출 및 수거를 위해 일 그룹이 선택될 때마다, 타당한 배출 조건을 가진 각각의 비선택된 그룹의 우선순위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선택된 그룹의 우선순위를 그 그룹과 연계된 초기의 우선순위로 리세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을 실행하는 단계는 분할된 그룹들의 쓰레기 슈트들의 쓰레기 레벨에 따라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의 제어된 배출 방법.
  26.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서 다수의 쓰레기 슈트(3)로부터 각각의 배출 밸브(4)를 통해 이송 파이프 시스템(5)으로의 쓰레기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기 쓰레기 슈트(3)와 이송 파이프 시스템(5) 사이의 소통을 쓰레기 슈트의 배출 밸브(4)를 개방함에 의해 성립시키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 그룹들의 배출 밸브들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는 장치; 및
    - 배출 밸브들의 개방을 시작하도록 선택된 그룹내의 배출 밸브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 제어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각 그룹에 대해, 각 그룹내의 쓰레기 레벨에 따라 소정의 배출 조건을 할당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장치는 타당성 있는 배출 조건을 가진 그룹에서 배출을 위한 하나의 그룹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 제어 시스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027000596A 1999-07-16 2000-06-22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0721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2719-5 1999-07-16
SE9902719A SE514563C2 (sv) 1999-07-16 1999-07-16 En metod för avfallsuppsamli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57A KR20020021157A (ko) 2002-03-18
KR100721424B1 true KR100721424B1 (ko) 2007-05-23

Family

ID=2041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596A KR100721424B1 (ko) 1999-07-16 2000-06-22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212246B1 (ko)
JP (1) JP2003505309A (ko)
KR (1) KR100721424B1 (ko)
CN (1) CN1247422C (ko)
AT (1) ATE278620T1 (ko)
AU (1) AU6191400A (ko)
DE (1) DE60014683D1 (ko)
ES (1) ES2230124T3 (ko)
HK (1) HK1046524B (ko)
SE (1) SE514563C2 (ko)
WO (1) WO2001005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5535B9 (es) * 2002-12-05 2011-07-13 Ros Roca, S.A. Sistema para la recogida de residuos urbanos.
WO2004094270A1 (en) * 2003-04-24 2004-11-04 Envac Centralsug Ab Automated next-hop algorithm for a multi-branch refuse collection system
ES2307394B1 (es) * 2006-08-02 2009-10-26 Ros Roca, S.A. Recogida por nivel continuo de residuos.
PT2022731E (pt) * 2007-08-09 2010-04-29 Ros Roca Sa Método para eliminação controlada de lixo
FI122682B (fi) * 2007-09-18 2012-05-31 Maricap Oy Jätteiden siirtojärjestelmä
EP2268561B1 (en) * 2008-03-17 2020-09-30 Urban Refuse Development, Slu Refuse control system for refuse chutes
SE532516C2 (sv) * 2008-06-04 2010-02-16 Logiwaste Ab Schakt för uppsamlingsanläggning samt sammanhängande enhet för schakt med löstagbart monterad enhet innefattande bl.a. ett ventilorgan
ES2355336B1 (es) * 2008-12-03 2012-01-31 Envac Iberia, S.A. Método para recogida mejorada de la fracción de envases en un sistema para recogida neumática de residuos.
US20120321395A1 (en) * 2010-03-04 2012-12-20 Envac Ab Waste emptying control
CA2803507C (en) 2010-06-23 2017-03-14 Envac Ab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FI20106150A0 (fi) * 2010-11-03 2010-11-03 Maricap Oy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PT2666737T (pt) * 2012-05-21 2022-08-16 Ros Roca Envirotec S L Método para a remoção de resíduos de uma rede de entradas de resíduos
FI124837B (fi) *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KR101455962B1 (ko) *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CN104790638A (zh) * 2014-01-16 2015-07-22 北京建都伟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污物通道
CN107377595A (zh) * 2017-08-25 2017-11-24 珠海市云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系统及控制方法
CN109723130B (zh) * 2018-12-20 2021-05-25 西安理工大学 集成道路排污与垃圾回收的智能处理系统和方法
US11565892B2 (en) 2020-07-08 2023-01-31 Trans-Vac System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on of a vacuum transpor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2238A1 (en) 1995-01-19 1996-07-25 Tecnocad S.R.L. A plant and a process for differentiated refuse collection
WO1998047788A1 (en) 1997-04-21 1998-10-29 Ab Centralsug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ed refuse dischar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803A (ja) * 1995-04-14 1996-10-29 Shimizu Corp 物体の空気輸送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2238A1 (en) 1995-01-19 1996-07-25 Tecnocad S.R.L. A plant and a process for differentiated refuse collection
WO1998047788A1 (en) 1997-04-21 1998-10-29 Ab Centralsug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ed refuse dis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78620T1 (de) 2004-10-15
KR20020021157A (ko) 2002-03-18
SE9902719D0 (sv) 1999-07-16
AU6191400A (en) 2001-02-05
EP1212246A1 (en) 2002-06-12
SE9902719L (sv) 2001-01-17
CN1358154A (zh) 2002-07-10
HK1046524B (zh) 2006-09-15
HK1046524A1 (en) 2003-01-17
JP2003505309A (ja) 2003-02-12
CN1247422C (zh) 2006-03-29
WO2001005683A1 (en) 2001-01-25
DE60014683D1 (de) 2004-11-11
ES2230124T3 (es) 2005-05-01
SE514563C2 (sv) 2001-03-12
EP1212246B1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4B1 (ko)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A2803507C (en)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CN104271471B (zh) 控制气力输送系统操作的方法
CN206562742U (zh) 一种垃圾收集系统
EP1165406B1 (en) Refuse transport system
DK1214260T3 (en) Adaptive prediction-based management of a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KR101558943B1 (ko) 쓰레기의 적하 방법 및 쓰레기 저장 탱크
CA2791689A1 (en) Waste emptying control
CN1747881B (zh) 用于多个分支垃圾收集系统的自动化下一步传输算法
JPH0372158A (ja) ダストシュート
US115658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on of a vacuum transport system
JP3154228B2 (ja) コンテナ満杯判定装置
KR20000020117U (ko) 공기압 쓰레기 집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