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372B1 - 점파식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점파식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372B1
KR100721372B1 KR1020070005968A KR20070005968A KR100721372B1 KR 100721372 B1 KR100721372 B1 KR 100721372B1 KR 1020070005968 A KR1020070005968 A KR 1020070005968A KR 20070005968 A KR20070005968 A KR 20070005968A KR 100721372 B1 KR100721372 B1 KR 10072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main frame
coupled
mechanisms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길
Original Assignee
문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길 filed Critical 문동길
Priority to KR102007000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파식 파종기구와, 승용기의 일측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아암, 상기 각각의 파종기구 아래쪽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로우트,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구동시키도록 승용기의 PTO축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의 사이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배수홈파기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파종되는 종자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진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파종폭을 맞추어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파종기, 점파, 직파기, 플로우트, 배수

Description

점파식 파종장치{ A direct spot-see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파식 파종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파식 파종장치를 나타낸 부분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점파식 파종장치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을 따라 바라본 일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점파식 파종장치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로우트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아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배수홈파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파종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메인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파종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파종기구를 나타낸 개략적 횡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파종기구의 캠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복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승용기 102 : PTO축
110 : 지지아암 120 : 선회부재
130 : 리프터 200 : 메인프레임
210 : 지지베어링 220 : 체인결합부재
250 : 리미트부재 260 : 선회 지지스프링
265 : 연장체인 270 : 시소 지지스프링
300 : 구동축 310 : 제1구동축
320 : 제2구동축 330 : 구동스프라켓
340 : 종동스프라켓 350 : 구동체인
360 : 고정피스 400 : 파종기구
410 : 연동풀리 420 : 파종기 결합브라켓
415 : 연동벨트 421 : 장공
430 : 파종기프레임 440 : 호퍼
450 : 회전통 451 : 종자수용부
452 : 종자배출구 455 : 회전축
460 : 캠기구 471 : 마개작동레버
471a : 롤러 472 : 개폐링크부재
473 : 개폐마개 480 : 피동풀리
490 : 복토기구 491 : 제1복토 결합브라켓
492 : 제2복토 결합브라켓 493 : 복토체
494 : 하중체 495 : 결합핀
496 : 결합봉 497 : 스토퍼
500 : 플로우트 501 : 힌지핀
510 : 파종홈파기 520 : 측판
550 : 링크부재 600 : 배수홈파기
601 : 힌지핀 610 : 가이드부재
620 : 탄성스프링 630 : 결합판
635 : 결합피스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점파식 파종기구를 구비한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는 주로 이앙재배의 방법으로 재배되나, 벼의 육묘 과정 과 이앙과정을 생략하고 벼가 자라야할 논에 직접 볍씨를 파종하여 생육 시키는 직파식 재배방법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담수용 직파기는 종자를 본답에 직접 파종하는 농기계로, 승용기의 차체에 파종기구를 견인하여 파종하게 되고, 상기 파종기구는 플로우트에 의해 무논의 표면에 지지된다.
본인의 등록특허 제443790호에 개시된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를 보면, 복수개의 플로우트마다 배수홈을 형성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배수홈의 갯수가 과다하게 형성되어 파종홈으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종하고자 하는 지면의 폭이 좁은 경우(예를 들어, 마지막 가장자리에서 작업할 경우)에도 모든 파종기구들이 작동하게 되므로 파종폭을 맞추어 부분적으로 파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승용기의 폭 보다 전체 파종기구들이 파종하는 폭이 더 넓으므로, 승용기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면이 경사진 경우 파종기구의 일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파종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파종되는 종자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진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파종폭을 맞추어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는 점파식 파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파식 파종기구; 승용기의 일측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아암; 상기 각각의 파종기구 아래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로우트;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구동시키도록 승용기의 PTO축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배수홈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홈파기는 인접하는 플로우트와 고정되어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구동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종기구와 플로우트를 연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파식 파종장치는, 승용기의 일측에 리프터(130)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아암(110), 상기 지지아암(11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200), 승용기의 PTO 축(102)에 연동되는 구동축(300),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개의 파종기구(400), 상기 각각의 파종기구(400)의 아래쪽에 각각 구비되는 플로우트(500),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배수홈파기(600), 상기 파종기구(400)와 플로우트(500)를 연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링크부재(550), 상기 파종기구(400)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리미트부재(250), 상기 선회하는 파종기구(400)를 탄성지지하는 선회 지지스프링(260), 상기 시소운동하는 메인프레임(200)을 탄성지지하는 시소 지지스프링(27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아암(110)은 승용기(101)의 차체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아암(110)의 선단에는 선회부재(120)가 선회축(115)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선회부재(120)의 일측에는 메인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선회부재(120)의 다른 일측에는 리프터(130)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리프터(130)의 일단이 승용기(101)의 차체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아암(110)과 선회부재(120) 및 리프터(130)가 승용기(101)의 차체에 대하여 4절 링크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리프터(130)는 실린더기구로 신장/신축동작하게 되고, 리프터(130)의 신장/신축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아암(110)이 선회하면서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선회부재(120)가 선회축(115)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메인프레임(200)을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130)가 신장/신축하게 되면 상기 지지아암(110)과 함께 선회부재(120) 및 메인프레임(200)이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구동축(300)과 파종기구(400)를 비롯하여 메인프레임(200)에 결합된 모든 부재들이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승용기(101)의 이동시에는 리프터(130)를 신축시켜 메인프레임(20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고, 파종작업시에는 리프터(130)를 신장시켜 메인프레임(200)을 지면으로 내리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상기 지지아암(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선회부재(120)의 일측에 결합되되, 구동축(300)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피봇축(121)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피봇결합된다.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중앙부분에서 피봇축(121)으로 선회부재(120)와 피봇결합되어 피봇축(121)을 중심으로 좌우측이 시소운동하게 된다.
상기 시소 지지스프링(270)은 선회부재(120)와 메인프레임(200)을 연결하여 메인프레임(200)이 선회동작 후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이 피봇축(12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함으로써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파종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축(300)은 상기 지지아암(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되되, PTO축(102)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메인프레임(200)의 일측에 다수개의 지지베어링(210)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기(101)의 엔진 동력을 인출하는 PTO 축(102)의 선단에는 구동스프라켓(330)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300)의 일측에는 종동스프라켓(34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켓(330)과 종동스프라켓(340)에는 구동체인(350)이 구비되어 PTO축(102)의 동력을 구동축(3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300)은 승용기(101)의 PTO축(102)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제1구동축(310) 및 제2구동축(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에는 다수개의 파종기구(400)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스프라켓(340)의 일측에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은 고정피스(36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종동스프라켓(340)과 일체로 축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정피스(360)로 제1구동축(310)만을 고정시키게 되면 제1구동축(310)만이 축회전하고 제2구동축(320)은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은 고정피스(360)로 고정된 경우에만 종동스프라켓(34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제1구동축(310)의 회전시 제1구동축(310)에 결합된 파종기구(400)들이 작동하게 되고, 제1구동축(310)과는 별개로 제2구동축(320)이 회전하는 경우 제2구동축(320)에 결합된 파종기구(400)들이 작동하게 된다.
이는 농지의 가장자리에서 파종폭을 맞추어 파종하고자 하는 경우(가장자리에서 미파종된 폭이 좁은 경우), 제1구동축(310)과 제2구동축(32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켜 파종기구들 중 일부만을 동작시켜 파종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구동축(300)과 메인프레임(20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파종기구(400)가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파종기구(400)의 아래쪽에는 플로우트(500)들이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플로우트(500)들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힌지핀(501)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상기 플로우트(500)의 측면에는 측판(520)이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플로우트(500)의 측판(520)과 면접촉함으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동작시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측판(520)은 플로우트(500)의 선회폭보다 높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플로우트(500)들이 서로 교차하는 동작에서 측판(520)들끼리 항상 면접촉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인접하는 다른 플로우트(500)의 저면으로 측판(520)이 들어가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플로우트(500)의 저면에는 하나의 파종홈파기(510)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파종홈파기(510)는 파종기구(400)로부터 낙하하는 종자가 투입될 파종홈을 지면에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로우트(500)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 서 진행할 때 줄의 형태로 파종홈을 연속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로우트(500)와 파종기구(400)는 링크부재(550)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파종기구(400)는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플로우트(500)는 힌지핀(501)을 중심으로 선회하나, 파종기구(400)나 플로우트(500) 중 어느 하나가 선회하게 되면 다른 하나도 함께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우트(500)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진행되다가 지면의 굴곡에 의해 플로우트(500)가 승강하게 되면 파종기구(400)도 함께 거동하여 승강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중앙에는 배수홈을 형성하는 배수홈파기(600)가 힌지핀(601)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수홈파기(600)는 상기 제1구동축(310)에 결합된 파종기구(400)들과 제2구동축(320)에 결합된 파종기구(400)들의 사이에 구비된다. 즉, 배수홈파기(600)를 중심으로 양쪽에 다수개의 파종기구(400)들과 플로우트(500)들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우트(500)에 의해 형성되는 파종홈들의 중간 위치에 배수홈이 하나만 형성된다.
상기 배수홈파기(600)는 탄성스프링(6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작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홈파기(600)의 상부면에는 메인프레임(200)의 일측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재(610)가 힌지결합되고, 그 가이드부 재(610)의 외주면에 탄성스프링(620)이 끼워져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홈파기(600)는 지면의 굴곡에 따라 선회하여 승강하면서 배수홈을 형성하게 된다. 상승한 배수홈파기(600)는 자중에 의해 복원될 수 있으나 탄성스프링(620)에 의해 강제복원된다.
한편, 상기 배수홈파기(600)의 측면에는 결합판(630)이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플로우트(500)의 측판(520)과 피스결합된다. 상기 결합판(630)과 측판(520)에는 피스결합구멍이 형성되어 결합피스(635)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홈파기(600)는 양쪽에 인접하는 플로우트(500)와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써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상기 배수홈파기(600)는 자중에 의해 배수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인접하는 플로우트(500)의 하중을 이용함으로써 지면을 누르는 힘을 증가시켜 배수홈을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파종기구(400)는 상기 구동축(30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결합브라켓(420), 상기 파종기 결합브라켓(420)에 결합되는 파종기프레임(430), 상기 파종기프레임(43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호퍼(440)와, 상기 파종기프레임(430)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통(450) 및, 상기 회전통(450)의 일측에 구비되는 캠기구(460), 상기 캠기구(460)에 의해 종자배출구(452)를 개폐하는 개폐기구(470), 상기 회전통(450)의 회전축(455)에 결합되는 피동풀리(480), 및 상기 파 종기프레임(43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복토기구(4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종기 결합브라켓(420)은 일측이 구동축(300)의 외주면에 축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타측이 파종기프레임(430)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파종기프레임(430)의 일측에 선회 지지스프링(260)이 결합되어 파종기구(4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선회 지지스프링(260)의 일단에는 연장체인(265)이 연결되어 있고, 메인프레임(200)에 연장체인(265)이 끼워지는 체인결합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체인(265)은 메인프레임(20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종기구(400)를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체인(265)은 다수개의 고리로 형성되므로 고리의 위치를 변경시켜 체인결합부재(220)에 끼우게 되면 선회 지지스프링(260)과 연장체인(265)을 합한 길이가 달라지면서 파종기구(400)의 정지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파종기프레임(430)과 메인프레임(200)은 리미트부재(250)에 의해 연결되어 선회각이 제한된다.
상기 리미트부재(250)는 체인과 같이 길이가 신장되지는 않고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선회하는 파종기구(400)의 최대 선회각을 제한하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종기구(400)는 메인프레임(200)에 대하여 리미트부재(250)의 펼친 길이만큼 최대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에 대한 리미트부재(250)의 결합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최대 선회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종기 결합브라켓(420)의 일측에 링크부재(55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플로우트(500)의 상부면에 링크부재(550)의 타측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링크부재(550)에 의해 파종기 결합브라켓(420)과 플로우트(500)가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상기 호퍼(440)는 종자를 저장하였다가 종자유도관(445)과 종자수용부(451)를 통해 종자배출구(452)로 종자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회전통(450)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종자배출구(452)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440)와 종자유도관(445)을 통해 연통되어 종자를 공급받아 종자배출구(452)로 배출한다.
상기 캠기구(460)는 상기 회전통(450)의 일측에 그 회전통(45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통(450)의 회전축(455)에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써 회전통(4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운동을 하면서 개폐기구(47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기구(470)는 상기 회전통(450)의 일측에 시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작동레버(471)와, 상기 마개작동레버(471)에 링크결합되는 개폐링크부재(472)와, 상기 개폐링크부재(472)의 선단에 결합되어 종자배출구(452)를 개폐하는 개폐마개(47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작동레버(471)는 상기 캠기구(460)에 의해 시소운동하면서 개폐링 크부재(472)를 링크운동시켜 개폐마개(473)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마개작동레버(471)와 개폐링크부재(472)는 상기 회전통(450)의 일측에 각각의 종자배출구(452)와 한조를 이루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마개작동레버(471) 선단에는 롤러(471a)가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캠기구(460)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동풀리(480)는 상기 회전통(450)의 일측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구동축(300)의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구동축(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동풀리(480)를 구동시키는 연동풀리(410)가 결합되고, 연동풀리(410)는 연동벨트(415)에 의해 피동풀리(480)에 구동축(300)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피동풀리(4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통(450)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통(45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개폐마개(473)가 개폐되어 종자를 배출하게 되므로 승용기에서 상기 PTO축(P)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동풀리(4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종자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토기구(490)는 상기 파종기프레임(43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복토 결합브라켓(491)과, 상기 복토 결합브라켓(491)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에 결합 되는 평판형의 복토체(493) 및, 상기 복토체(493)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하중체(49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토체(493)는 상기 플로우트(500)의 파종홈파기(530)에 의해 형성된 파종홈(S)에 씨앗의 후방에서 씨앗을 눌러 주어 발아율을 높여주고 조수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은 제1복토 결합브라켓(491)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복토작업시 선회하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복토 결합브라켓(491)의 일측에는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의 선회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497)가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의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이 복토작업시 1쌍의 스토퍼(497)의 사이 공간에서 선회하게 된다.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홈(49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파종기구의 높이에 따라 복토체(493)와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복토 결합브라켓(492)은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벨트로, 상기 복토체(493)가 지면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거동하면서 벨트면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게 결합함으로써 그 벨트면과 수평한 폭방향으로는 큰 폭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나, 벨트면을 가로지르는 상하방향으로는 큰 폭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복토체(493)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거동시키게 된다.
상기 하중체(494)는 노면의 굳은 정도에 따라 복토체(493)에 하중을 가하여 종자를 눌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복토체(493)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결합된 결합봉(496)에 끼워져 결합핀(495)으로 결합된다.
즉, 노면이 굳은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하중체(494)를 다수개 장착하여 복토체(493)에 하중을 더함으로써 종자를 효과적으로 눌러 주게 되고, 노면이 연약한 상태에서는 하중체(494)의 숫자를 줄이거나 제거하여 종자를 적당하게 눌러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파종장치에 의하면, 무논에 배수로를 하나만 형성하여 파종되는 종자에 과량의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진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파종폭을 맞추어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파식 파종기구;
    승용기의 일측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아암;
    상기 각각의 파종기구 아래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로우트;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구동시키도록 승용기의 PTO축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
    상기 복수개의 파종기구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배수홈파기;를 포함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파기는,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파기는,
    인접하는 플로우트와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구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리미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하는 파종기구를 탄성지지하는 선회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구동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운동하는 메인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시소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구와 플로우트를 연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KR1020070005968A 2007-01-19 2007-01-19 점파식 파종장치 KR10072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68A KR100721372B1 (ko) 2007-01-19 2007-01-19 점파식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68A KR100721372B1 (ko) 2007-01-19 2007-01-19 점파식 파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372B1 true KR100721372B1 (ko) 2007-05-23

Family

ID=3827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968A KR100721372B1 (ko) 2007-01-19 2007-01-19 점파식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3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018A (ja) * 1996-03-15 1997-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ート
JPH09248019A (ja) * 1996-03-15 1997-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ート装置
KR100443790B1 (ko) 2003-09-26 2004-08-11 문동길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
KR20190000890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스 금지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018A (ja) * 1996-03-15 1997-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ート
JPH09248019A (ja) * 1996-03-15 1997-09-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ート装置
KR100443790B1 (ko) 2003-09-26 2004-08-11 문동길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
KR20190000890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스 금지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007B1 (ko) 점파식 파종장치
KR100721371B1 (ko) 점파식 파종장치
KR100908149B1 (ko) 점파식 파종장치
KR101303756B1 (ko) 마늘 파종기
JP4005471B2 (ja) 複合作業機
WO2012121576A2 (ko)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KR100421809B1 (ko) 직파기
KR101790572B1 (ko)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CN100584186C (zh) 插种机
CN210537381U (zh) 玉米播种装置
CN107950131A (zh) 一种双旋耕按比例分层施肥宽苗幅精量播种机
KR100721372B1 (ko) 점파식 파종장치
KR100443790B1 (ko)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
KR200219524Y1 (ko)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JP4952831B2 (ja) 苗移植機
JP3234466B2 (ja) 直播機
JP3383511B2 (ja) 直播機
JP4810723B2 (ja) 苗移植機
KR100454245B1 (ko)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JP3887508B2 (ja) 苗移植機
JP3968530B2 (ja) 苗移植機における条間調節方法
KR200352560Y1 (ko) 일관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파종기
KR101241768B1 (ko) 파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종자 배출 롤러
JP5042416B2 (ja) 2条植え苗移植機
CN209882537U (zh) 一种种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