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245B1 -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 Google Patents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245B1
KR100454245B1 KR10-2002-0036935A KR20020036935A KR100454245B1 KR 100454245 B1 KR100454245 B1 KR 100454245B1 KR 20020036935 A KR20020036935 A KR 20020036935A KR 100454245 B1 KR100454245 B1 KR 10045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seed
dot
fram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648A (ko
Inventor
권영립
노오섭
송호
오남기
이덕렬
조민용
조승현
최영근
최정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주)광산엠.티.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엠.티.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광산엠.티.시
Priority to KR10-2002-003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2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구성물인 반점파식 또는 줄파식 종파장치에 더하여 점파식 종파장치를 신규로 설치하므로써 줄파와 점파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줄파 또는 점파를 택일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점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므로써 이물질에 의한 종자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구성적 특징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구동되는 접지구동륜(1)을 갖는 직파기에 있어서;
점파부 프레임(110);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122)과, 각 종자저장통(122)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120)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130); 상기 접지구동륜(1)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1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점파통(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구성적 특징은, 고랑형성 및 콘베어장치(12), 경운장치(14), 써레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 설치되어 이루어진 로터리장치(10); 상기 로터리장치(10)의 후방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상에 다열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로울러식 고랑형성장치(20); 지면에 접지구동륜의 회전동력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고랑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종자고랑내에 종자를 종파하는 반점파 및줄파식 종파장치(30); 상기 종파된 종자를 덮는 복토장치(40)로 이루어진 직파기에 있어서;
횡방향프레임(112)과, 이 횡방향프레임(1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 점파부 프레임;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에 설치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122)과, 각 종자저장통(122)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120)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130); 상기 접지구동륜(1)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1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점파통(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40)으로 이루어진 점파식 종파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INTERVAL TYPE SEEDING DEVICE AND HAVING A INTERVAL TYPE SEEDING DEVICE IN DIRECT SEEDER IT}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논밭 등의 재배지에 작물종자를 종파(파종)하기 위한 직파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구성물인 반점파식 또는 줄파식 종파장치에 더하여 점파식 종파장치를 신규로 설치하므로써 줄파와 점파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줄파 또는 점파를 택일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점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므로써 이물질에 의한 종자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2-10758호와 국내특허출원 제10-2002-13278호에 의한 직파기(direct seeder)는 트랙터의 후방에 견인 설치되어 트랙터의 운행동력에 의해 재배지에 종자를 직접 종파할 수 있도록 한 농기계로서, 경운, 정지, 종파 및 복토작업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랑형성 및 경운작업을 하는 로터리장치, 로터리부의 후위에 연결 설치되어 정지(整地)작업을 하는 써레장치, 정지된 재배지에 종자고랑을 파는 고랑형성장치, 고랑에 종자를 종파하는 종파장치, 고랑에 종파된 종자를 덮는 복토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파장치는 접지구동륜의 회동력이 체인 및 스프라켓을 매개로 하여 종자배출축에 전달되어 구동되며, 종자배출축에는 종자저장용 호퍼의 출구측에 위치하는 종자배출롤이 설치되어 종자저장용 호퍼로부터 일정량의 종자가 규칙적으로 배종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파장치측에 구비되는 종래의 점파간격조절장치는 구동륜에연동되는 축에 다단의 구동스프라켓을 설치하고, 피동축인 종자투입조절축에 다단의 종동스프라켓을 대응되게 설치하여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의 연결관계를 변환시켜 적절히 점파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예컨데, 작은 구동스프라켓과 큰 종동스프라켓이 연결되면 종자투입조절축의 회전속도가 느려져 점파간격이 커지며, 반면 큰 구동스프라켓과 작은 종동스프라켓이 연결되면 종자투입조절축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점파간격이 작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선원의 점파간격조절장치는 다단의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에 의해 종자배출롤의 회전속도를 가감하므로써 점파간격을 조절하게 되지만 줄파에 가까운 종자배출이 이루어져 사실상 반점파식에 가깝다. 보다 확실한 점파간격의 조절을 위해서는 스프라켓의 설치수가 많아야 하지만, 구조적으로 설치에 제약을 받으며, 설치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설치수에 비례하여 제품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다른 선원인 국내공개특허 제99-66629호는 확실한 점파간격조절이 가능한 개선된 로터리형 점파간격조절장치로서, 그 구성을 보면,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종자가 저장되는 호퍼와, 프레임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고 중앙 격벽으로 좌우측 공간이 구획되어 한쪽공간은 상기 호퍼에 종자유도관을 통하여 연통되어 종자수용부를 형성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좌우측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내부에 상기 회전통에서 유출되는 종자를 일정량 수용해둔 상태에서 지면과 맞닿을 때 마다 개폐기구에 의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종자를 지면으로 배출하는 종파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선원인 국내특허출원 제10-2000-16366호는 상기 점파간격조절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으로부터 각각의 종파구는 상기 회전통 몸체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종파구 몸체와, 종파구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종파구 몸체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종파구 몸체의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종파구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종파구 뚜껑은 회전통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편으로 개폐작동하도록 종파구 몸체에 힌지 결합된 구조를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한 두 선원에서 제시된 점파간격조절장치는 통체의 외주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종파구중 점파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폐쇄 및 개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점파간격조절이 간편하고, 또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출원명세서 전반에 걸쳐 명기되어 있듯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진행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종파구의 막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수시로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해야 하므로 연속작업이 불가능하고, 이로인해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해결 목적을 제시한다.
제 1목적은 로터리형 점파통을 지면으로 이격 설치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직파기용 점파식 종파장치를 제시한다.
제 2목적은 로터리형 점파통을 포함한 그에 연관된 부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직파기용 종파장치를 제시한다.
제 3목적은 줄파 및 반점파가 가능한 기존 설비에 더하여 점파식 종파장치를 신규로 설치하므로써 줄파와 점파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줄파나 점파를 택일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직파기를 제시한다.
제 4목적은 점파식 종파장치의 미사용시에는 상부로 접어올릴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직파기를 제시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1)본 발명의 제 1특징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구동되는 접지구동륜을 갖는 직파기에 있어서;
점파부 프레임; 상기 점파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과, 각 종자저장통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 상기 접지구동륜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점파통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2) 본 발명의 제 2특징은,
고랑형성 및 콘베어장치, 경운장치, 써레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 설치되어 이루어진 로터리장치; 상기 로터리장치의 후방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상에 다열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로울러식 고랑형성장치; 지면에 접지구동륜의 회전동력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고랑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종자고랑내에 종자를 종파하는 반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 상기 종파된 종자를 덮는 복토장치로 이루어진 직파기에 있어서;
횡방향프레임과, 이 횡방향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점파부 프레임; 상기 횡방향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과, 각 종자저장통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 상기 접지구동륜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점파통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점파식 종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3) 본 발명의 제 3특징은,
상기 점파식 종파장치가 복토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특징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접지구동륜과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의 종자배출축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1차 체인기어 및 체인; 상기 점파통의 배열방향을 따라 설치된 횡장형의 점파통 구동축;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의 종자배출축과 상기 점파통 구동축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2차 체인기어 및 체인; 상기 점파통 구동축과 각 점파통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3차 체인기어 및 체인;으로 구성된 것이다.
(4) 본 발명의 제 5특징은,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고랑형성장치측 프레임상에 힌지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 상기 점파부 프레임상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부; 및 상기 높이조절나사에 체결되어 나사관통부의 상하부를 구속하는 결속너트;로 구성된 것이다.
(5) 본 발명의 제 6특징은,
상기 점파식 종파장치는 적어도 상기 점파수단을 절첩 가능케 하는 절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6) 본 발명의 제 7특징은,
상기 절첩수단이, 상기 측편 프레임상에 일정간격마다 핀 삽입공을 갖는 호형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프레임과 일체이면서 상기 측편프레임상에 힌지결합되므로써 횡방향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한 프레임 회동편; 상기 프레임 회동편상에 설치되어 프레임 회동편을 인위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조절핸들; 상기 프레임 회동편과 상기 핀 삽입공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하므로써 프레임 회동편 및 횡방향프레임을 소정 절첩각도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종파장치의 전방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종파장치가 적용된 직파기의 후방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종파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4a는 점파통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의 구성도로서, 높이조절전 상태도
도 4b는 점파통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의 구성도로서, 높이조절후 상태도
도 5a는 절첩수단의 구성 및 높이조절범위
도 5b는 절첩수단의 사시도로서, 절첩전 상태도
도 5c는 도 5b의 d방향 사시도
도 5d는 절첩수단의 사시도로서, 절첩후 상태도
도 6a는 점파식 종파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로서, 점파식 종파장치의 사용상태
도 6b는 점파식 종파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로서, 점파식 종파장치의 비사용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구동륜 12 : 고랑형성 및 콘베어장치
14 : 경운장치 20 : 고랑형성장치
30 :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 32 : 종자배출축
40 : 복토장치 100 : 점파식 종파장치
110 : 점파부 프레임 112 : 횡방향프레임
114 : 측편프레임 115 : 핀 삽입공
116 : 호형장공 120 : 점파통
122 : 종자저장통 124 : 종자배출구
130 : 점파수단 140 : 동력전달수단
141 : 1차 체인기어 및 체인 142 : 축베어링
143 : 점파통 구동축 144 : 2차 체인기어 및 체인
145 : 3차 체인기어 및 체인 150 : 높이조절수단
152 : 높이조절나사 154 : 나사관통부
156 : 결속너트 160 : 절첩수단
162 : 프레임 회동편 164 : 조절핸들
166 : 고정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파기용 점파식 종파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접지구동륜(1)을 갖는 모든 직파기, 또는 특정의 직파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여기서, 특정의 직파기는 고랑형성 및 콘베어장치(12), 경운장치(14), 써레(미도시)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 설치되어 이루어진 로터리장치(10)와; 상기 로터리장치(10)의 후방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상에 다열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로울러식 고랑형성장치(20)와; 지면에 접지구동륜(1)의 회전동력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고랑형성장치(20)에 의해 형성된 종자고랑내에 종자를 종파하는 반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와; 상기 종파된 종자를 덮는 복토장치(40)로 이루어진 직파기를 지칭하며, 후술되는 점파식 종파장치(100)는 상기한 특정 직파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점파식 종파장치(100)는 복토장치(40)의 전방에 위치하되, 반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에 근접되게 설치하므로써 점파와 줄파의 동시작업 및 선택작업이 가능하다.
그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점파부 프레임(110)과;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122)과, 각 종자저장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점파배출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120)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130)과; 접지구동륜(1)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1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과; 상기 점파통(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은 도 3에서와 같이 직파기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프레임(112)과 이 횡방향프레임(1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형 점파통(120)은 원통형으로 되어, 그 외주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자전되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각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그 내부의 종자가 일정량씩 일정간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내부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터리형 점파통(12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에 주목되어야 한다. 이는 지면(재배지)의 이물질(흙 또는 돌멩이등)이 종자배출구(124)로 유입됨에 따른 막힘현상으로 종자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했던 종전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종파불량을 없앨 수 있는데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점파통(120)을 포함한 그 주변부품은 지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점파간격의 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은 접지구동륜(1)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점파통(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구성은 도 3을 통해 명확해진다.
즉, 동력전달수단(140)은 상기 접지구동륜(1)과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32)을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1차 체인기어 및 체인(141)과; 상기 점파통(120)의 배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양측단은 축베어링(142)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가능한 상태인 횡장형의 점파통 구동축(143)과;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132)과 상기 점파통 구동축(143)을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2차 체인기어 및 체인(144)과; 상기 점파통 구동축(143)과 각 점파통(120)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3차 체인기어 및 체인(14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접지구동륜(1)의 회전력은 1차 체인기어 및 체인(141)에 의해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32)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2차 체인기어 및 체인(144)에 의해 점파통 구동축(143)이 회전되고, 또한 동시에 3차 체인기어 및 체인(145)에 의해 점파통(120)이 회전되므로써, 결국 접지구동륜(1),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32), 점파통 구동축(143), 점파통(120)이 동시에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50)은, 도 4a 및 4b와 같이 상기 고랑형성장치(20)측 프레임(22)상에 입상(立像)으로 힌지 결합된 높이조절나사(152)와,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상에 구비되어 높이조절나사(152)가 관통되는 나사관통부(154)와, 상기 높이조절나사(152)에 체결되어 나사관통부(154)의 상하부를 동시에 구속하는 결속너트(156)로 구성된다.
이 높이조절수단(150)은 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점파통(120)의 높낮이를 미세 조절하므로써 지면(E)과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조절방법은 도 4a로부터 상하 결속너트(156)를 동시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너트(156)가 높이조절나사(152)에 체결된 상태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나사관통부(154) 및 이에 일체로 된 점파부 프레임(110)을 힌지축(HS)을 기점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이때 점파부 프레임(110)에 조합된 점파통(120)을 비롯한 그 외 관련부품들이 점파부 프레임(110)과 함께 미세상승 또는 미세하강하므로써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높이조절나사(150)의 길이를 길게하면 할수록 조절범위는 더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점파식 종파장치(100)에는 적어도 점파수단(130)을 절첩 가능케하는 절첩수단(160)이 더 포함된다. 이 절첩수단(160)은 도 5a 내지 5d와 같이 상기 측편프레임(114) 상에 일정간격마다 핀 삽입공(115)을 갖는 호형장공(116)을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프레임(112)과 일체이면서 상기 측편프레임(114)상에 힌지 결합되므로써 횡방향프레임(112)과 함께 회동 가능한 프레임 회동편(162)과; 상기 프레임 회동편(162)상에 설치되어 프레임 회동편을 인위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조절핸들(164)과; 상기 프레임 회동편(162)과 상기 핀 삽입공(115)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하므로써 프레임 회동편(162) 및 횡방향프레임(112)을 소정 절첩각도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166)으로 구성된다.
이 절첩수단(160)은 도 6a 내지 6b와 같이 점파식 종파장치(100)를 사용치 않을 때 이를 상부로 접어올리고, 그 후방에 위치하는 복토장치(40)를 점파식 종파장치(100)가 있던 위치까지 보상을 해 주므로써 직파기의 전장이 불필요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도 6a는 사용상태이다), 점파식 종파장치(100)의 다단 절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핀 삽입공(115)에 고정시켰느냐에 따라 절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 5a와 같이 높이차에 의해 점파통(120)과 지면(E)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점파통(120)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자의 낙하거리가 길기 때문에 점파간격을 크게 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점파간격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점파간격조절의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조절핸들(164)은 인위적인 절첩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이며, 절첩되는 부품들은 횡방향프레임(112)을 비롯하여 점파통 구동축(143), 축 베어링(142), 점파통 구동축(143)에 결합되어 있는 체인기어, 프레임 회동편(162)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 째, 점파간격조절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므로써 그 종자배출구로 흙 또는 돌멩이와 같은 지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
둘 째, 기존 반점파식 또는 줄파식 종파장치와 점파장치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점파를 해야 하는 볍씨와 줄파를 해야 하는 보리씨를 함께 종파할 경우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
세 째, 점파식 종파장치를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비사용시 상부로 접어올려 직파기의 전장확대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네 째, 점파통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지면과의 높이차에 의한 점파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점파간격조절범위를 보다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구동되는 접지구동륜(1)을 갖는 직파기에 있어서;
    점파부 프레임(110);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122)과, 각 종자저장통(122)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120)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130);
    상기 접지구동륜(1)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1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점파통(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용 점파식 종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점파수단(130)을 절첩 가능케 하는 절첩수단(16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용 점파식 종파장치.
  3. 고랑형성 및 콘베어장치(12), 경운장치(14), 써레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 설치되어 이루어진 로터리장치(10); 상기 로터리장치(10)의 후방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상에 다열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로울러식 고랑형성장치(20); 지면에 접지구동륜의 회전동력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고랑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종자고랑내에 종자를 종파하는 반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 상기 종파된 종자를 덮는 복토장치(40)로 이루어진 직파기에 있어서;
    횡방향프레임(112)과, 이 횡방향프레임(1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편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 점파부 프레임;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에 설치되며, 복수의 종자저장통(122)과, 각 종자저장통(122)으로 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124)를 통해 점파배출을 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120)으로 이루어진 점파수단(130);
    상기 접지구동륜(1)의 회동력이 상기 점파수단(1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점파통(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140)으로 이루어진 점파식 종파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파식 종파장치(100)는 복토장치(4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접지구동륜(1)과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32)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1차 체인기어 및 체인(141);
    상기 점파통(120)의 배열방향을 따라 설치된 횡장형의 점파통 구동축(143);
    상기 점파 및 줄파식 종파장치(30)의 종자배출축(32)과 상기 점파통 구동축(143)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2차 체인기어 및 체인(144);
    상기 점파통 구동축(143)과 각 점파통(120)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3차 체인기어 및 체인(1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50)은,
    상기 고랑형성장치(20)측 프레임(22)상에 힌지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162);
    상기 점파부 프레임(110)상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152)가 관통되는 나사관통부(154); 및
    상기 높이조절나사(152)에 체결되어 나사관통부(154)의 상하부를 구속하는 결속너트(15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파식 종파장치(100)는 적어도 상기 점파수단(130)을 절첩 가능케 하는 절첩수단(16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8.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160)은,
    상기 측편 프레임(114)상에 일정간격마다 핀 삽입공(115)을 갖는 호형장공(116)을 형성하고,
    상기 횡방향프레임(112)과 일체이면서 상기 측편 프레임(114)상에 힌지결합되므로써 횡방향프레임(112)과 함께 회동 가능한 프레임 회동편(162);
    상기 프레임 회동편(162)상에 설치되어 프레임 회동편(162)을 인위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조절핸들(164);
    상기 프레임 회동편(162)과 상기 핀 삽입공(115)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관통하므로써 프레임 회동편(162) 및 횡방향프레임(112)을 소정 절첩각도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16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기.
KR10-2002-0036935A 2002-06-28 2002-06-28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KR10045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35A KR100454245B1 (ko) 2002-06-28 2002-06-28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35A KR100454245B1 (ko) 2002-06-28 2002-06-28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48A KR20040001648A (ko) 2004-01-07
KR100454245B1 true KR100454245B1 (ko) 2004-10-26

Family

ID=3731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935A KR100454245B1 (ko) 2002-06-28 2002-06-28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2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6B1 (ko) * 2011-04-07 2013-09-11 대한민국 마늘 파종기
KR101722415B1 (ko) 2015-10-26 2017-04-03 염상민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CN109121501A (zh) * 2018-09-07 2019-01-04 曾金玉 一种环保工程用绿化装置
KR20190083468A (ko) 2018-01-04 2019-07-12 김선아 플런저 방식 점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82B1 (ko) * 2014-07-09 2014-10-01 지금강 주식회사 파종기의 파종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속도 자동제어방법
CN113316981B (zh) * 2021-02-23 2022-03-29 安徽东旭大别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油茶播种育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11U (ko) * 1995-06-30 1997-01-21 임종신 점파식 곡물파종기
KR19990011832U (ko) * 1998-12-16 1999-03-25 이성춘 파종장치
KR20010009168A (ko) * 1999-07-08 2001-02-05 선길웅 다용도 직파기
KR20010095400A (ko) * 2000-03-30 2001-11-07 문동길 점파식 자동파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11U (ko) * 1995-06-30 1997-01-21 임종신 점파식 곡물파종기
KR19990011832U (ko) * 1998-12-16 1999-03-25 이성춘 파종장치
KR20010009168A (ko) * 1999-07-08 2001-02-05 선길웅 다용도 직파기
KR20010095400A (ko) * 2000-03-30 2001-11-07 문동길 점파식 자동파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6B1 (ko) * 2011-04-07 2013-09-11 대한민국 마늘 파종기
KR101722415B1 (ko) 2015-10-26 2017-04-03 염상민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KR20190083468A (ko) 2018-01-04 2019-07-12 김선아 플런저 방식 점파장치
CN109121501A (zh) * 2018-09-07 2019-01-04 曾金玉 一种环保工程用绿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48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968C2 (ru) Система объем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с секционной заслонкой
RU2407267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с компактным сошником и бороздозаделывателем
CA2493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gricultural field seeding
KR100454245B1 (ko)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US3489321A (en) Feeding mechanism for seed
CN106612814B (zh) 一种甘蔗种植机
RU2473198C1 (ru) Широкозахват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0421809B1 (ko) 직파기
AU2007304849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lacement of seeds within a furrow
CN105874972B (zh) 双行种肥精量挖穴播种机
US4029028A (en) Device for metering granular material
KR100443790B1 (ko)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
CA1043173A (en) Agricultural machine for sowing seeds
KR200221942Y1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JP2002315407A (ja) 直播機
KR200365829Y1 (ko) 접철식 종자직파기
RU22406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рывистого высева семян и образования влагонакопительных углублений в почве
JP3234466B2 (ja) 直播機
JPS5913768Y2 (ja) 施肥播種機
KR200327932Y1 (ko) 점파파종기
CN114747336B (zh) 条播机的播种装置
JP2780878B2 (ja) 深層施肥装置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KR102622248B1 (ko) 고랑성형 비료살포기
KR20020026395A (ko) 마늘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