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832U -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832U
KR19990011832U KR2019980025125U KR19980025125U KR19990011832U KR 19990011832 U KR19990011832 U KR 19990011832U KR 2019980025125 U KR2019980025125 U KR 2019980025125U KR 19980025125 U KR19980025125 U KR 19980025125U KR 19990011832 U KR19990011832 U KR 19990011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seed
roller
main body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9474Y1 (ko
Inventor
이성춘
Original Assignee
이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춘 filed Critical 이성춘
Priority to KR2019980025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4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474Y1/ko

Links

Landscapes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파종기가 접근할 수 없는 환경의 토양에서 농사를 전문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별다른 인력의 수고 없이 간편하게 종자를 파종시킬 수 있도록 한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종장치들은 모두 일정면적 이상의 고른 토양에서만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두렁, 이랑등 환경이 고르지 못한 척박한 토양에서는 파종작업을 헹할 수 없고, 파종된 종자에 대해서도 별도의 복토작업이 재차 필요하게됨으로서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작업시간이 연장되어 인력의 수고를 절감시킨다는 기본취지에도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농부 또는 일반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한번의 하강 및 이에 이은 연속적인 상승동작에 의해 어떠한 조건의 토양에 대해서도 종자를 파종한 후 복토작업까지 완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통상적인 파종기가 접근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던 척박한 토양에 대해서도 손쉽게 파종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토지이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비전문가 또는 노약자라도 노력을 적게 들이면서 빠른 시간 내에 원활하게 파종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파종장치
본 고안은 각종 농작물의 씨앗을 파종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인 파종기가 접근할 수 없는 환경의 토양에서 농사를 전문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별다를 인력의 수고 없이 간편하게 종자를 파종할 수 있도록 한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그 근원이 되는 종자를 파종하는 방식에는 줄파종과 점파종하는 방법이 있는데, 통상 농지의 면적과 종자량에 맞추어 파종 종자량이 많은 경우에는 줄파종을 선택하고, 면적과 종자량을 비교할 때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좀 더 여유 있는 파종공간의 확보를 위해 점파종을 선택하여 종자를 파종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줄파종 및 점파종 등의 방식에 의해 종자를 파종함에 있어 인력의 수고를 절감시키기 위해 여러 다양한 형태의 파종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그 중 동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는 통상의 이양기에 종자가 수납된 호퍼를 설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양기를 작동시켜 이 이양기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토양에 골을 형성하며, 이 골로 호퍼에 수납되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켜 파종을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인력에 의해 파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6-5254호 점뿌림 직파기가 기 공고되어 있는바, 이는 종자를 수납하고 있는 호퍼가 설치된 구조체를 마련하고 이 구조체를 인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상태에서, 구조체의 이동 중 바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바퀴 상에 형성된 환형체에 의해 토양으로 골을 형성하고, 이 골에 간헐적으로 종자를 투입하는 것으로 파종을 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종장치들은 모두 일정면적 이상의 고른 토양에서만 파종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두렁, 이랑 등 환경이 고르지 못한 척박한 토양에서는 파종작업을 행할 수 없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특히 상기한 파종기 중 동력을 이용하는 파종기는 농업용 기계인 이양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여 일반인이 손쉽게 파종작업을 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파종된 종자의 원활한 발아와 생육을 위해서는 파종기에 의해 골로 투입된 종자에 대한 복토작업을 행하여야 하지만, 상기한 파종기들은 단순히 토양에 골을 내고 종자를 투입하는 작업까지만 수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복토작업이 재차 필요하게됨으로서,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작업시간이 연장되어 인력의 수고를 절감시킨다는 기본취지에도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파종기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소하여 고르지 못한 토양에서 농사를 업으로 하지 않는 일반인들도 간편하게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즉, 본 고안은 농부 또는 일반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한번의 하강 및 이에 이은 연속적인 상승동작에 의해 어떠한 조건의 토양에 대해서도 종자를 파종한 후 복토작업까지 완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통상적인 파종기가 접근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던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두렁, 이랑 등의 척박한 토양에 대해서도 손쉽게 파종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토지이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비전문가 또는 노약자라도 노력을 적게 들이면서 빠른 시간 내에 원활하게 파종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인력의 수고 및 제반 인건비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파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요소로 적용되는 손잡이부와 파종구의 구성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구성요소로 적용되는 파종구와 기체의 구성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절결 배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구성요소로 적용되는 종자공급구의 구성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절결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14 : 스탠드
15 : 복토스프링 20 : 파종구
21 : 본체 23 : 작동간
30 : 손잡이부 40 : 종자공급구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인 장치에 있어서 기본동작이 이루어지는 필수구성부터 살펴보면, 파종구(20)와 손잡이부(30)는 일체 또는 분리 구성되고, 파종구(20)의 승, 하강시 지지, 유도시키는 기체(10)의 내부에 파종구(20)가 끼워 결합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파종구(20)는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21)의 상부 일측에 소정 길이로 안내공(22)을 관통 형성하고 일 부위에는 종자투입공(23)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부에 종자대기홈(24a)이 마련되고 외부 일측엔 이송로울러(24b)가 설치된 작동간(24)을 상기 본체(21)와 힌지결합에 의해 설치하여 초기상태에서 작동간(24)의 종자대기홈(24a) 끝단이 본체(21)의 끝단과 접촉되어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기체(10)는 소정형태를 갖는 몸체(11)의 일측에 파종시키고자 하는 종자가 투입되는 종자투입구(12)를 관통 형성하고, 내부에는 하부측으로 경사면(13a)을 갖는 가이드홈(13)을 마련한 상태에서 하부에 스탠드(14)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10)의 몸체(11) 내부로는 상기 파종구(20)의 본체(21) 일 부위와 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작동간(24)측이 내장되고, 작동간(24)의 이송로울러(24b)는 몸체(11)의 가이드홈(13)내에 끼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부(30)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파종구(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구(20)와 분리 형성하여 소정형태의 손잡이(31)와, 이 손잡이(31) 저부로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대(32)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2)의 저부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는 핀로울러(34)가 설치된 핀(33)이 관통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파종구(20)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 내부로 상기 손잡이부(30)의 지지대(32)가 내장되고, 안내공(22)상에 끼워지는 핀(33)의 핀로울러(34)는 외부로 노출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파종구(20)의 본체(21) 상부 일측에는 장력조절볼트(25)에 의해 회전구동의 강, 약이 조절되는 공전로울러(26)가 설치되어 일단은 핀로울러(34)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공전로울러(26)를 권취한 후 후술하는 기체(10)의 일부위에 그 타단이 고정되는 구동조정케이블(C1)이 설치되고, 상기 공전로울러(26)와 핀로울러(34) 사이에는 이들에 각각 그 끝단이 고정되는 장력스프링(S1)이 설치된다.
다음 기체(10)의 하부에 마련된 스탠드(14)의 경우, 첨부도면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태의 하부구조를 갖추고 그 끝단에 복토스프링(15)이 고정 설치되며 높이조절나사(142)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체(141)가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스탠드(14)를 마련하여, 이 스탠드(14)의 높이조절나사(142)를 상기 몸체(11)의 플랜지상에 고정너트(16)로서 결합되어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스탠드(14)의 선단에는 복토스프링(15)을 설치하며, 몸체(11)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봉(17)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봉(17)에는 파종구(20)의 본체(21) 일 부위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7)가 끼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와 파종구(20)의 핀로울러(34) 및 공전로울러(26)를 권취하고 있는 구동조정케이블(C1)의 일단이 기체(10)의 몸체(11) 일 부위에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파종장치에서는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를 수납시킨 종자공급구(40)를 별도로 마련하여 상기의 구성에 결합, 활용할 수 있는바, 이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자가 수납되는 통(41)의 내부 일측에 종자수납홈(42a)이 형성된 회전체(4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42)의 일 부위에는 파종구(20)의 본체(21)상에 형성된 플랜지(27)와 그 끝단이 고정된 상태의 구동케이블(C2) 타단을 고정하며, 회전체(42) 의 타 부위에는 복귀스프링(S2)을 설치한 상태에서, 소정형태의 이송관(43)을 통해 기체(10)의 몸체(11)상에 형성된 종자투입구(12)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파종장치에서는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그 낙하시기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작동간조절기구(50)가 부가적으로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는바, 이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 외부로 일정길이의 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봉(52)을 설치하고 이 고정봉(52)의 나사부(51)로 스페이서(53)를 체결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봉(52)의 외부에 상기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과 동일형상을 갖는 가이드판(54)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판(54)은 몸체(11)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S3)의 타단이 고정되어 구성한 작동간폐쇄조절부(50')와; 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외부 일측으로 이탈방지나사(55a)가 체결되는 걸림구(55)를 하나 이상 돌출형성하고, 이 걸림구(55)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이고 일정길이의 장공(56a)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판(56)을 부착하며, 상기 높이조절판(56)의 외측에 가압판(57)과 지지판(58)을 각각 순차적으로 걸림구(55)상에 끼움설치하되, 상기 가압판(57)은 지지판(5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위치고정나사(59)의 끝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도록 한 높이조절부(50);로서 결합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로서 C2a는 구동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된 피복체를, 11a는 격벽을, 44는 적정량의 종자가 공급될 수 있도록 회전체(42)의 종자수납홈(42a)을 제어하는 브러시를, 45는 종자공급구(40)를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어깨걸이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파종장치에 대해 우선적으로 기본적인 원리에 입각한 작동과정을 아래에서 먼저 설명한 후 상세한 작동관계는 추후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파종장치를 파종하고자 하는 토양에서 위치시킨 후 하강시켜주면 스탠드(14)의 저부가 토양에 밀착됨과 동시에 파종구(20)가 하강 동작되어 본체(11)와 함께 작동간(24)은 하강하게 되고, 이 작동간(24)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로울러(24b) 역시 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의 가이드홈(13)내에서 하강 동작하게 된다. 이때, 기체(10)의 종자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종자는 파종구(2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종자투입구(12)와 연통되는 부위를 지나는 본체(21)의 투입공(23)을 통해 파종구 본체(21)와 작동간(24)사이의 종자대기홈(24a)으로 낙하하여 수납되게 하며, 상기 파종구(20)의 하강동작을 통해 파종구(20)의 본체(21)와 작동간(24) 일 부위는 토양 속으로 파고들게 된다.
이러한 파종구(20)의 하강과정에서 이송로울러(24b)가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에 이르면 이송로울러(24b)는 상기 경사면(13a)을 타고 이동되게 되며, 이 이송로울러(24b)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로울러(24b)를 설치하고 있던 작동간(24)은 본체(21)로부터 벌어지며 토양 내에서 일정면적의 골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작동간(24)의 벌어짐으로 인해 본체(21)와 작동간(24)사이의 종자대기홈(24a)내에 위치하고 있던 종자는 낙하하여 토양의 골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간(24)에 의해 형성된 골로 종자가 낙하, 투입된 후 작동간(24)을 상승시켜 주면 토양에 대한 작동간(24)의 침입 및 벌어짐 작동으로 인해 흙과 함께 강제로 벌어졌던 복토스프링(15)이 본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복토스프링(15)에 의해 이송되는 흙은 작동간(24)에 의해 형성된 골을 메우는 것으로 종자의 파종 및 복토작업이 한번의 동작에 의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작동과정을 갖는 본 고안의 파종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에 앞서 준비과정을 살펴보면 종자공급구(40)상에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를 투입하여 수납시킨 다음, 종자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낙하시기 - 즉, 파종구(20)의 본체(21)와 작동간(24)간의 폐쇄시기- 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간조절기구(50)의 하나인 작동간폐쇄조절부(50')의 스페이서(53)를 고정봉(52)의 나사부(51)내에서 회전 이동시켜 일정높이를 유지시켜 주면,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판(54)은 스프링(S3)에 의해 항상 상승되어 스페이서(53)의 저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어 작동간조절기구(50)를 이루는 또 하나의 구성요소인 높이조절부(50)의 지지판(58)상에 설치된 위치고정나사(59)를 조정하여 가압판(57)에 대한 적절한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높이조절판(56)이 장공(56a)을 통해 끼워져 있는 걸림구(55)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준비과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상적인 파종기가 접근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던 자투리 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두렁, 이랑 등의 척박한 토양에 본 고안의 파종장치를 휴대하여 위치시킨 후 손잡이부(30)의 손잡이(31)를 잡고 토양으로 하강시켜주면 기체(10)의 스탠드(14)가 토양에 접촉하는 동시에 지지대(32)는 순간적으로 하향 동작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지지대(32)의 저부측에 끼움 설치되어 있던 핀(33) 및 핀로울러(34)는 파종구(20) 본체(21)의 안내공(22)을 따라 함께 하향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32) 및 핀(33), 그리고 핀(33)에 결합되어 있는 핀로울러(34)가 하강하면 상기 일측에 형성된 공전로울러(26)를 통해 핀로울러(34)와 장력스프링(S1)및 구동조정케이블(C1)로서 연결되어 있던 파종구(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종구(20)의 하강으로 인해 파종구 본체(21)의 일 부위에 형성된 플랜지(27)는 기체(10)의 가이드봉(17)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고정되어 있던 구동케이블(C2) 역시 하강하게 되며, 이어 상기 구동케이블(C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종자공급구(40)의 회전체(42)가 당겨져 상기 회전체(42)의 종자수납홈(42a)내에 수납되어 있던 정량의 종자가 낙하한 후 이송관(43)을 통해 기체(10)의 종자투입구(12)측으로 이송, 투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종구(20)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파종구 본체(21)와 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작동간(24)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 작동간(24)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로울러(24b)는 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의 가이드홈(13)내에서 하강된다. 이때, 이송관(43)을 통해 기체(10)의 종자투입구(12)측으로 투입되어 있던 종자는 파종구(20)의 본체(21)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공(23)과 연통되는 순간에 상기 투입공(23)을 통해 낙하하여 파종구 본체(21)와 작동간(24)사이의 종자대기홈(24a)으로 투입, 대기하게 되고, 파종구 본체(21)와 작동간(24)의 일 부위는 토양 내로 파고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파종구(2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홈(13)을 타고 하강되던 작동구(24)의 이송로울러(24b)는 일정높이로 미리 설정된 작동간조절구(50)의 가이드판(54)을 가압하며 지속적으로 하강하여 가이드홈(13)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면(13a)에 도달하게 되고, 이 경사면(13a)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송로울러(24b)를 설치하고 있는 작동간(24)은 본체(21)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동간(24)의 벌어짐을 통해 토양 내에는 일정면적의 골이 형성됨과 동시에 종자대기홈(24a)에 수납되어 있던 종자가 낙하하여 골로 투입되게 되고, 골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빠져나오는 흙은 복토스프링(15)과 함께 일 방향 후퇴하게 되며, 이송로울러(24b)와 함께 하강되었던 가이드판(54)은 스프링(S3)에 의해 본래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양에 골을 형성하고 종자를 파종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 손잡이(31)를 들어주면 기체(10)의 스탠드(14)가 아직 토양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0) 및 파종구(20)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종구(20)는 상승과정에서 본래위치로 복귀한 가이드판(54)에 의해 가이드홈(13)내로 곧장 진입하지 못하고 작동간조절기구(50)의 높이조절판(56)을 들어올리며 상승될 수밖에 없어 일정시간 본체(21)와 작동간(24)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종자에 따른 낙하시간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어 가이드판(54)의 상부로 위치된 후에는 기체(10)의 가이드홈(13)내로 재차 진입하여 상승함으로서 다음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과정에 의해 파종구(20)가 상승된 후 종자공급구(40)에서는, 플랜지(27)의 하강에 의해 구동케이블(C2)로부터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진 회전체(42)가 복귀스프링(S2)에 본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작업에 투입할 종자를 종자수납홈(42a)내에 수납시킴과 더불어, 작동간(24)에 의해 흙과 함께 벌어졌던 스탠드(14)의 복토스프링(15)이 본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복토스프링(15)과 함께 후퇴됐던 흙은 작동간(24)에 형성되어 종자가 투입된 상태의 골을 메우는 것으로 한번의 승, 하강동작에 의해 종자의 파종에서 복토작업까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부 또는 일반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한번의 하강 및 이에 이은 연속적인 상승동작에 의해 어떠한 조건의 토양에 대해서도 종자를 파종한 후 복토작업까지 완료시킬 수 있어 통상적인 파종기가 접근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던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두렁, 이랑 등의 척박한 토양에 대해서도 손쉽게 파종작업이 가능함으로서 토지이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비전문가 또는 노약자라도 노력을 적게 들이면서 빠른 시간 내에 원활하게 파종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인력의 수고 및 제반 인건비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물론 전술한 본 고안의 경우 종자공급구(40)에 종자를 넣고 활용하는 파종목적이외에 비료를 넣고 활용하게 되면 시비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파종구(20)와 손잡이부(30)는 일체 또는 분리 구성되고, 파종구(20)의 승,하강시 지지, 유도시키는 기체(10)의 내부에 파종구(20)가 끼워 결합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파종구(20)는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21)의 상부 일측에 소정 길이로 안내공(22)을 관통 형성하고 일 부위에는 종자투입공(23)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부에 종자대기홈(24a)이 마련되고 외부 일측엔 이송로울러(24b)가 설치된 작동간(24)을 상기 본체(21)와 힌지결합에 의해 설치하며 초기상태에서 작동간(24)의 종자대기홈(24a) 끝단이 본체(21)의 끝단과 접촉되어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기체(10)는 소정형태를 갖는 몸체(11)의 일측에 파종시키고자 하는 종자가 투입되는 종자투입구(12)를 관통 형성하고, 내부에는 하부측으로 경사면(13a)을 갖는 가이드홈(13)을 마련한 상태에서 하부에 스탠드(14)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10)의 몸체(11) 내부로는 상기 파종구(20)의 본체(21) 일 부위와 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작동간(24)측이 내장되고, 작동간(24)의 이송로울러(24b)는 몸체(11)의 가이드홈(13)내에 끼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30)는 파종구(20)와 분리 형성하여 소정형태의 손잡이(31)와, 이 손잡이(31) 저부로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대(32)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2)의 저부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는 핀로울러(34)가 설치된 핀(33)이 관통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파종구(20)는 본체(21) 내부로 상기 손잡이부(30)의 지지대(32)가 내장되고, 안내공(22)상에 끼워지는 핀(33)의 핀로울러(34)는 외부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파종구(20)의 본체(21) 상부 일측에는 장력조절볼트(25)에 의해 회전구동의 강, 약이 조절되는 공전로울러(26)가 설치되어 일단은 핀로울러(34)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공전로울러(26)를 권취한 후 기체(10)의 일부위에 그 타단이 고정되는 구동조정케이블(C1)이 설치되고, 상기 공전로울러(26)와 핀로울러(34) 사이에는 이들에 각각 그 끝단이 고정되는 장력스프링(S1)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10)의 하부에 소정형태의 하부구조를 갖추고 스탠드(14)의 선단에 복토스프링(15)이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나사(142)가 일정 길이로 형성된 봉체(141)가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스탠드(14)의 높이조절나사(142)를 상기 몸체(11)의 플랜지상에 고정너트(16)로서 결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몸체(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7)에는 파종구(20)의 본체(21) 일 부위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7)를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와 파종구(20)의 핀로울러(34) 및 공전로울러(26)를 권취하고 있는 구동조정케이블(C1)의 일단이 기체(10)의 몸체(11) 일 부위에 고정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종자가 수납되는 통(41)의 내부 일측에 종자수납홈(42a)이 형성된 회전체(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42)의 일 부위에는 파종구(20)의 본체(21)상에 형성된 플랜지(27)와 그 끝단이 고정된 상태의 구동케이블(C2) 타단이 고정되며, 회전체(42) 의 타 부위에는 복귀스프링(S2)이 설치된 종자공급구(40)를 별도 구비하여, 소정형태의 이송관(43)을 통해 기체(10)의 몸체(11)상에 형성된 종자투입구(12)와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0)에는 파종구(20)의 작동간 폐쇄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작동간폐쇄조절부(50')와 높이조절부(50)로서 결합 구성되는 작동간조절기구(50)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작동간폐쇄조절부(50')는 파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 외부로 일정길이의 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봉(52)을 설치하고 이 고정봉(52)의 나사부(51)로 스페이서(53)를 체결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봉(52)의 외부에 상기 가이드홈(13)의 경사면(13a)과 동일형상을 갖는 가이드판(54)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판(54)은 몸체(11)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S3)의 타단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부(50)는 기체(10)를 이루는 몸체(11)에 형성된 가이드홈(13)의 외부 일측으로 이탈방지나사(55a)가 체결되는 걸림구(55)를 하나이상 돌출형성하고, 이 걸림구(55)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이고 일정길이의 장공(56a)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판(56)을 부착하며, 상기 높이조절판(56)의 외측에 가압판(57)과 지지판(58)을 각각 순차적으로 걸림구(55)상에 끼움 설치하되, 상기 가압판(57)은 지지판(5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위치고정나사(59)의 끝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KR2019980025125U 1998-12-16 1998-12-16 파종장치 KR200209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25U KR200209474Y1 (ko) 1998-12-16 1998-12-16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25U KR200209474Y1 (ko) 1998-12-16 1998-12-16 파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32U true KR19990011832U (ko) 1999-03-25
KR200209474Y1 KR200209474Y1 (ko) 2001-01-15

Family

ID=6950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25U KR200209474Y1 (ko) 1998-12-16 1998-12-16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4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45B1 (ko) * 2002-06-28 2004-10-26 (주)광산엠.티.시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KR20210133499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부농테크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631B1 (ko) * 2002-05-11 2004-11-08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101239790B1 (ko) 2010-09-08 2013-03-06 한상준 휴대용 소형 고체입자 배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45B1 (ko) * 2002-06-28 2004-10-26 (주)광산엠.티.시 점파식 종파장치 및 이 점파식 종파장치가 구비된 직파기
KR20210133499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부농테크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474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2758B (zh) 一种可选取块状农作物的种植施肥一体机
CN2153208Y (zh) 自动选点施肥器
KR100794259B1 (ko) 파종기
KR102228840B1 (ko) 파종기
JPH01160410A (ja) 野菜移植機
KR100433265B1 (ko) 비닐피복 파종기
KR100318052B1 (ko) 마늘 파종기
KR200209474Y1 (ko) 파종장치
KR200444545Y1 (ko) 멀티 파종 이식기
US5471939A (en) Handheld mechanical device to plant seed
KR200387467Y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200300859Y1 (ko) 경운기용 마늘 파종기
KR20190045694A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107018719A (zh) 用于核桃播种施肥的方法
CN106489360B (zh) 一种用于深坑播种的装置
KR200428578Y1 (ko) 파종기
CN211671313U (zh) 一种棉花种植用施肥装置
CN210202434U (zh) 一种新型园艺播种器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KR100455631B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454209Y1 (ko) 스틱형 파종기
KR200287460Y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CN2128446Y (zh) 镐式播种器
KR101241768B1 (ko) 파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종자 배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