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40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40B1
KR102228840B1 KR1020200029687A KR20200029687A KR102228840B1 KR 102228840 B1 KR102228840 B1 KR 102228840B1 KR 1020200029687 A KR1020200029687 A KR 1020200029687A KR 20200029687 A KR20200029687 A KR 20200029687A KR 102228840 B1 KR102228840 B1 KR 10222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seed
groove
sow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성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1Fertiliser distributors with slowly turn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로 됨과 동시에 종자통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지주관의 소정위치에 종자공급장치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작동부와 파종부, 그리고 파종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부로 이루어진 파종홈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의 하단 베이스를 지면에 대고 손잡이로 누르면 파종부가 하강하면서 오물어진 상태로 지면에 들어가게 되어 자연스럽게 소정깊이의 파종홈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종자공급장치도 연동하여 파종부 내부로 종자를 공급할 수 있게 하고, 파종기를 드는 순간 작동부의 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파종부가 개방되면서 파종부 안으로 낙하된 종자를 파종홈으로 투입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종자 파종시 보다 정확하면서도 확실한 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제작이 손쉬워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종기{A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경운 작업된 밭에 깨, 무씨, 배추씨, 콩, 옥수수 등 각종 씨앗을 선택적으로 손쉽게 파종할 수 있게 한 파종기로서, 지면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파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파종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단순하여 조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잔고장이 없으며,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종기는 경운 작업된 밭에 소정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깨, 무씨, 배추씨, 콩,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각종 작물의 종자를 파종할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은 단위 면적당의 수확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흙의 준비 작업에 뒤따르는 모든 농업의 가장 초보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종자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 이들의 생육에 알맞은 밀도를 형성하는 일은 수량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파종 작업에서는 파종량이 적당하고 결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파종법은 대개 산파, 조파, 그리고 점파로 분류된다.
산파법은 지표면에서 사방으로 넓게 파종하는 방법으로, 목초, 곡물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조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연속으로 파종하는 방법으로, 곡류, 채소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점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콩류, 감자, 야채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또 파종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나, 점진적으로 기계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파종기는 작물의 종류 및 재배 목적에 따라 파종 양식이 다르며, 크게 산파기, 조파기 및 점파기의 세 종류로 나뉜다.
점파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기구로 보통 점파기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점파기가 사용된다. 근래에는 크기가 다른 종류의 작물에 따라 다른 점파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파종기로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는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이러한 다품종 파종기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99582호의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었다. 이 다품종 파종기는 다양한 크기의 종자들을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로 파종할 수 있고, 종자의 종류에 따라 토양에 묻히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균일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다품종 파종기는 파종시에 씨앗의 깨어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파종하는 구멍에 흙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파종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결주가 발생하는 것은 다품종 파종기의 중요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파종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형태로 됨과 동시에 종자통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지주관의 소정위치에 종자공급장치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작동부와 파종부, 그리고 파종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부로 이루어진 파종홈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의 하단 베이스를 지면에 대고 손잡이로 누르면 파종부가 하강하면서 오물어진 상태로 지면에 들어가게 되어 자연스럽게 소정깊이의 파종홈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종자공급장치도 연동시켜 파종부 내부로 종자를 공급할 수 있게 하고, 또 파종기를 드는 순간 작동부의 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파종부가 개방되면서 파종부 안으로 낙하된 종자를 파종홈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정확하면서도 확실한 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제작이 손쉬워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파종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자 공급장치의 구성 중 가이드블록은 종자홈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한 여러 개의 가이드블록으로 구성하여 종자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파종기(100)는,
상단에 뚜껑(11)과 손잡이(12)가 구비된 파이프 형태로 된 원통형의 종자통(1)과, 상기 종자통(1)의 하부에 장착되며 90°~ 180°로 회전하면서 종자통(1) 내부의 종자를 일정량, 또는 소정 개수만 파종부(2)로 회전 이송시켜 낙하시키는 종자공급장치(6), 그리고 상기 종자공급장치(6)가 종자를 파종부(2) 안으로 떨어뜨릴 때 통로로 작용하는 지지관(8)과, 상기 지지관(8)의 하부에 장착되어 경운된 지면에 대고 누르면 파종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종자공급장치(6)를 연동시켜 종자를 파종홈(5)으로 투입시키는 파종홈 성형장치(234)로 이루어진 파종기(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자공급장치(6)는 상하부에 투입부(60a)와 배출부(60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60a)와 배출부(60b) 사이에 횡방향으로 드럼삽입부(60c)를 형성한 본체(6a)와, 상기 드럼삽입부(60b)에 삽입되고, 외주면 상부에 종자홈(67')을 가진 가이드블록(67)를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 끼움홈(61)이 구비되며, 일 측면에는 피니언(63)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본체(6a) 외부에서 측면고정판(66)을 대고 볼트(65)로 체결 조립함으로서, 본체(6a)와 가이드블록(67)를 조립한 드럼(6b)이 볼트(65)에 의해 연결 조립되어 회전유도부(7)에 의해 종자공급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누를 때 파종부(2)가 파종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드럼(6b)도 회전하여 자동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63)에 수직으로 회전유도부(7)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회전유도부(7)는 피니언(63)에 치합되는 랙기어(L)와, 상기 랙기어(L) 하부에 길게 연장형성된 연장부(L1), 그리고 상기 연장부(L1)가 후술하는 지지대(34)를 관통한 뒤 압축스프링(LS)을 개재시키도록 된 스프링받침부(L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L1) 하단은 파종부(2)의 승강거리와 드럼(6b)의 회전각도를 감안하여 베이스(31)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종자공급장치(6)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에 투입부(60a)와 하부에 배출부(60b)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60a)와 배출부(60b) 사이에 종자구멍(67a)을 가진 슬라이드블록이 인장스프링(68)과 함께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공간(60c')을 가진 본체(6a')와, 소정크기의 종자구멍(67a)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된 전후진유도부(7a)가 작용하는 가이드구멍(69)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관(8) 하단에는 파종부(2)와 작동부(3), 그리고 스토퍼부(4)로 이루어진 파종홈 성형장치(234)를 장착하여, 상기 작동부(3)의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손잡이(12)를 잡은 상태에서 지면 쪽으로 누르기만 하면 간편하면서도 균일하게 소정크기의 파종홈(5)이 형성되게 하되,
상기 파종부(2)는 종자통(1) 하단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형 파종삽(21)과, 상기 고정형 파종삽(21)의 일 측 상부에 힌지 조립되는 작동삽(22)으로 구성하는데, 상기 작동삽(22)의 일 측 상단에는 예각으로 된 작동간(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간(22') 끝이 후술하는 작동부(3)의 가이드봉(32)에 장착된 승강블록(33)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파종부(2)가 하강할 때는 작동삽(22)이 닫히고 상승할 때는 개방되게 하며,
상기 작동부(3)는, 파종부(2) 상단에 장착 고정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의 양측 안내관(34')에 관통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31) 양측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봉(32),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32) 하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봉(32)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31)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봉(32) 상단은 외향 절곡된 절곡부(3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32')와 지지대(34)를 인장스프링(35)으로 연결 구성하고, 양측 가이드 봉(32) 상측 소정위치에 지지대(34)의 승강거리를 제어하는 스톱돌기(32")를 형성하며, 일 측 가이드봉(32)에는 전술한 작동간(22') 끝이 연결되는 승강블록(33)을 설치하되, 상기 승강블록(33)은 가이드봉(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승압력 또는 하강압력을 받았을 때만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스토퍼부(4)는 상기 작동삽(22) 일측에 설치하되, 고정판(41)과 조절판(42)으로 형성하고, 고정판(41)의 외측 면에는 짧은 육각축(43')과 나사봉(43")이 일체로 된 결합축(43)을 형성하며, 조절판(42)에는 상기 육각축(43')에 끼워지도록 육각구멍(42')을 형성함으로서 조절판(42)이 다양한 높이로 조절 설치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파종부(2)와 작동부(3), 그리고 스토퍼부(4)가 유기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손잡이(12)를 잡아 누르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종자 파종 및 모종이식이 가능하게 하고, 또 파종홈(5)의 깊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41)의 기본 높이는 작동부(3)가 하강하여 지지대(34)가 상단에 닿았을 때 콩 또는 옥수수 종자를 심을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파종홈을 형성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하고, 깨를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작동부 상단에 씌워 고정판(41)의 높이를 더 높게 연장할 수 있는 연장블록(41')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드럼(6b')을 드럼삽입부(60c)에 삽입되는 삽입부(a6)와, 스크류봉(a1)을 전 후진시킴으로서 가이드홈(a61)에 삽입된 슬라이더(a2)를 전 후진 시켜 종자홈(a6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노브(a3)가 장착되는 노출부(a6')가 일체형으로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홈(a61) 내에 위치하는 스크류봉(a1) 부위에는 압축스프링(a4)을 내장 설치함에 따라 회전노브(a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스크류봉(a1)이 전후진되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더(a2)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종자홈(a6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삽입부(a6) 후미에는 걸림판(a7)을 가진 피니언(a8)을 고리볼트(a9)로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상기 피니언(a8)이 베이스(3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랙기어(L')와 치합되게 함으로서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할 때 파종홈 성형장치(234)가 하강하면서 랙기어(L')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a8)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면서 피니언(a8)과 일체로 된 드럼(6b')이 회전하여 종자홈(a61')에 들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6b) 또는 드럼(6b') 일단에 피니언(a8) 대신 외주면 일단에 연결돌부(b8')를 가진 원형판(b8)을 장착하되, 상기 연결돌부(b8')에는 종자공급장치(6) 본체(6a)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65b)과 함께 베이스(31)의 소정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봉(L")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인장스프링(65a')이 구비된 견인와이어(65a)를 연결 설치하여,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할 때 견인와이어(65a)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형판(b8)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드럼(6b)(6b')을 회전시켜 종자홈(a61')에 들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키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65b)의 복원력에 의해 원형판(b8)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파종부(2)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봉(32) 각각에 승강블록(33)을 설치하고, 파종삽(21)은 중앙부에 형성하되 양측이 개방되게 하며, 상기 파종삽(21)의 양측에 작동삽(22)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삽(22)의 작동간(22')을 각각의 승강블록(33)에 조립 구성함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주관(1)의 하부에 종자공급장치(2)와, 상기 종자공급장치(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부(7), 그리고 파종홈 성형장치(234)를 구비하되, 파종홈(5)을 형성할 때 손잡이(12)를 잡고 작동부(3)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31)를 경운된 지면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파종홈(5)이 형성되면서 회전유도부(7)에 의해 종자공급장치(2)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종자를 배출하는 것으로,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제조가 손쉽고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어 농가부담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으며, 파종작업 시 힘이 덜 들어 오랜 시간 작업하더라도 피로감이 적고, 파종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6b) 또는 드럼(6b')의 구성이 종래 파종기 구성에 비해 지극히 간단하여 조립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형비를 비롯한 조립에 따른 제조원가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로서 지면에 파종홈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로서 스토퍼부를 나타낸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토퍼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면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확대 종단면예시도.
도7은 도6의 단면 예시도.
도8은 회전유도부가 종자공급장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9는 종자공급장치의 드럼을 분해한 사시도.
도10은 종자공급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
도11은 파종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정면예시도.
도12~도15는 본 발명의 드럼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12는 사시도이고,
도13은 종단면 분해도이며,
도14는 요부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
도15는 파종기의 정면예시도이다.
도16~도19는 종자공급장치에 삽입 설치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6과 도18은 드럼구동부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예시도이고,
도17과 도19는 파종기의 정면예시도이다.
도20~도22는 파종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0은 파종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21는 파종기의 정면예시도이며,
도22는 스토퍼부에 대한 확대정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깨, 콩, 무씨, 배추씨, 옥수수를 비롯하여 각종 씨앗을 파종하고자 할 때 파종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씨앗 파종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파종기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정면예시도이고, 도2는 경운된 지면에 파종홈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파종홈 성형장치부에 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4는 파종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스토퍼부의 분해사시도, 도5는 스토퍼부의 측면예시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종자공급장치에 대한 종단면예시도, 도7은 도6의 A-A'선 단면예시도, 도8은 회전유도부가 종자공급장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9는 종자공급장치의 드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첨부도면 도1~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종기(100)는, 종자통(1)의 하부에 종자공급장치(6)와 파종홈성형장치(234)를 구비하여 상기 파종홈 성형장치(234)를 지면에 대고 가압하면 파종홈을 성형함과 동시에 종자도 자동 공급될 수 있게 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손쉬우며, 오동작 없이 안정적으로 파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자통(1)은 상단에 뚜껑(11)이 구비됨과 동시에 종자통(1)의 측면으로 손잡이(12)를 설치하여 파지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뚜껑(11)을 열지 않아도 종자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공급장치(6)는 본체(6a)와 드럼(6b)으로 이루어지고, 파종홈성형장치(234)와 회전유도부(7)에 의해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상기 본체(6a)는 종자통(1)이 연결 장착되는 상부에 투입부(60a)를 형성하고, 파종홈성형장치(234)를 결합한 지지관(8)이 조립되는 하부에는 배출부(60b)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부(60a)와 배출부(60b) 사이에 횡방향으로 원통형의 드럼(6b)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삽입부(60c)를 형성하였다.
상기 드럼삽입부(60b)에 삽입 설치되는 드럼(6b)은, 외주면 상부에 종자홈(67')을 가진 가이드블록(67)를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 끼움홈(61)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회전유도부(7)의 랙기어(L)가 치합되어 드럼(6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피니언(63)을 형성하며, 타 측면에는 본체(6a)의 드럼삽입부(60c)에 삽입 후 본체(6a) 외부에서 측면고정판(66)을 대고 볼트(65)로 체결 조립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상기한 가이드블록(67)은 다수로 구비하는데, 이는 파종할 씨앗에 따라 끼움홈(61)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서 손쉽게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가이드블록(67)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본체(6a) 측면으로 노출된 볼트(65)를 풀고 드럼(6b)의 끼움홈(61)에 기 장착되어 있던 가이드블록(67)을 빼 낸 다음 선택한 새로운 가이드블록(67)을 끼운 뒤, 드럼(6b) 측면에 측면고정판(66)을 대고 볼트(65)로 체결하면 된다.
그리고 피니언(63) 일 측에는, 상기 피니언(63)에 치합되는 랙기어(L)와, 상기 랙기어(L) 하부에 길게 연장 형성된 연장부(L1), 그리고 상기 연장부(L1)가 후술하는 지지대(34)를 관통한 뒤 압축스프링(LS)을 개재시키도록 한 스프링받침부(L2)로 이루어진 회전유도부(7)를 수직으로 장착 구성하되, 상기 연장부(L1) 하단은 파종부(2)의 승강거리와 드럼(6b)의 회전각도를 감안하여 베이스(31)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여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파종기(100)를 내리 누르면 지지대(34)와 파종부(2)가 함께 하강하다가 뒤이어 연장부(L1) 하단이 베이스(31)에 닿게 되면 회전유도부(7)는 그대로 멈춰 있는 상태에서 파종홈성형자치(234)와 종자공급장치(2), 그리고 종자통(1)과 지지관(8)이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회전유도부(7)는 자연적으로 압축스프링(LS)을 압축시키면서 랙기어(L)가 피니언(63)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종자통(1) 내부의 종자를 일정량씩 파종홈(5)으로 낙하시켜 파종하게 되는 것이다.
파종홈 성형장치(234)는 지지관(8) 하단에 장착되는데, 이는 파종부(2)와 작동부(3), 그리고 스토퍼부(4)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파종홈(5)을 형성할 때는 상기 작동부(3)의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손잡이(12)를 잡아 지면 쪽으로 누르기만 하면 간편하면서도 균일하게 소정크기의 파종홈(5)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파종부(2)는 지지관(8) 하단에 장착되며, 고정형 파종삽(21)과 상기 고정형 파종삽(21)의 일 측 상부에 힌지 조립된 작동삽(22)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작동삽(22)의 일 측 상단에는 예각으로 된 작동간(22')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간(22') 끝을 작동부(3)의 가이드봉(32)에 장착한 승강블록(33)에 연결 구성하여 파종부(2)가 하강할 때는 승강블록(33)을 기점으로 작동삽(22)이 닫히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파종홈(5)이 형성되고, 상승하는 순간에는 작동삽(22)이 개방되어 파종홈(5) 안에 안정적으로 씨앗을 투입시킨 뒤 상승하게 된다.
작동부(3)는, 파종부(2) 상단에 장착 고정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의 양측 안내관(34')에 관통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31) 양측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봉(32), 그리고 가이드봉(32) 하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봉(32)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31)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봉(32) 상단은 외향 절곡된 절곡부(3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32')와 지지대(34)를 인장스프링(35)으로 연결 구성하고, 양측 가이드 봉(32) 상측 소정위치에 지지대(34)의 승강거리를 제어하는 스톱돌기(32")를 형성하며, 일 측 가이드봉(32)에는 전술한 작동간(22') 끝이 연결되는 승강블록(33)을 설치하되, 상기 승강블록(33)은 가이드봉(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절로 하강하는 등 헐겁게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상승압력 또는 하강압력을 받았을 때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종홈(5)을 형성할 때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누르면 파종부가 지지대(34)와 함께 하강하여 지면에 파종홈(5)을 형성하고, 이때 인장스프링(35)이 인장되게 되면서 파종홈(5)이 형성되며, 이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인장스프링(35)력에 의해 파종부(2)와 지지대(34)가 본래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스토퍼부(4)는 고정판(41)과 조절판(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삽(22) 후미에 설치되는데, 고정판(41)의 외측 면에는 짧은 육각축(43')과 나사봉(43")이 일체로 된 결합축(43)이 형성되고, 조절판(42)에는 상기 육각축(43')에 끼워지도록 육각구멍(42')이 형성됨으로서 육각축(43')에 조절판(42)을 끼울 때 조절판(42)의 돌출 높이를 감안하여 끼우면 견고하게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스토퍼부(4)에 의해 파종홈(5)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종기(100)로서 각종 작물의 씨앗을 파종하고자 할 때는 지주관(1)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12)를 잡고 지주관(1) 하부에 장착 구성된 파종홈 성형장치(234)의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누르면 파종부(2)가 지면으로 하강하는 순간 승강블록(33)에 연결된 작동삽(22)의 작동간(22')에 의해 파종삽(21)에 작동삽(22)이 닫치게 됨과 동시에 인장스프링(35)이 인장되면서 가이드봉(32)을 타고 지지대(34)도 함께 하강하여 지면에 파종홈(5)을 형성하게 되고, 지지대(34)와 파종부(2)가 함께 하강하는 과정에서 회전유도부(7) 또한 연장부(L2)이 베이스(31)에 닿아 멈추게 되면서 종자공급장치(6)에 구비된 피니언(63)을 회전시켜 파종홈(5)에 종자를 낙하시키게 됨으로서, 원활하게 파종홈 형성과 동시에 종자를 공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손잡이(1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34)와 파종부(2)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파종부(2)가 상승할 때 승강블록(33)에 연결된 작동간(22')에 의해 작동삽(22)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종홈(5)에 종자를 파종하고자 할 경우 파종부(2)가 지면에 박혀 소정크기의 파종홈(5)을 형성하는 순간 자동으로 종자가 투입된 뒤 파종기(100)를 들면 자연스럽게 작동삽(22)이 개방되면서 들리게 됨으로 종자가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파종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파종부(2)와 작동부(3), 그리고 스토퍼부(4)가 유기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손잡이(12)를 잡아 가볍게 누르는 단순한 동작으로도 종자 파종이 가능한 것이고, 또 종자에 따라 파종홈(5)의 깊이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파종효율 극대화와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종자공급장치(6)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본체(6a')와 슬라이드블록으로 구성하되, 본체(6a')는 상부에 투입부(60a)와 하부에 배출부(60b)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60a)와 배출부(60b) 사이에 종자구멍(67a)을 가진 슬라이드블록(6b')이 인장스프링(68)과 함께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공간(60c')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블록(6b')은 소정크기의 종자구멍(67a)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전후진 시킬 수 있는 전후진유도부(7a)가 작용하는 가이드구멍(69)을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한 슬라이드블록(6b')은 종자구멍(67a)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하여 작물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한 쌍의 가이드봉(32) 모두에 상기한 승강블록(33)을 설치한 것으로, 이 경우 작동삽(22)은 양측에 구비하여야 하고 고정된 파종삽(21) 부분은 중앙부에 위치하되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2~도15는 본 발명의 드럼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드럼(6b')을 드럼삽입부(60c)에 삽입되는 삽입부(a6)와, 스크류봉(a1)을 전 후진시킴으로서 가이드홈(a61)에 삽입된 슬라이더(a2)를 전 후진 시켜 종자홈(a6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노브(a3)가 장착되는 노출부(a6')가 일체형으로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홈(a61) 내에 위치하는 스크류봉(a1) 부위에는 압축스프링(a4)을 내장 설치함에 따라 상기 회전노브(a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스크류봉(a1)이 자연스럽게 전 후진되면서 슬라이더(a2)를 매우 안정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노브(a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슬라이더(a2)를 전후진 시킬 수 있게 한 것이기에 슬라이더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따라 조절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드럼(6b')은 가이드홈(a61) 및 종자홈(a61')의 폭이나 깊이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여 드럼(6b')를 파종할 종자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삽입부(a6) 후미에 걸림판(a7)을 가진 피니언(a8)을 고리볼트(a9)로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며, 더불어 상기 피니언(a8)이 베이스(3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랙기어(L')와 치합되게 함으로서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할 때 파종홈 성형장치(234)가 하강하면서 랙기어(L')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a8)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a8)과 일체로 된 드럼(6b')이 회전하여 종자홈(a61')에 들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6~도17은 종자공급장치에 삽입 설치된 드럼 회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6은 요부확대 정면예시도이고, 도17은 파종기의 정면예시도이다.
상기 도16~도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드럼(6b) 또는 드럼(6b') 일단에 피니언(a8) 대신 외주면 일단에 견인와이어(65a) 및 복귀스프링(65b)이 연결되는 연결돌부(b8')가 구비된 원형판(b8)을 장착하고, 상기 연결돌부(b8')에 종자공급장치(6) 본체(6a)와 연결된 복귀스프링(65b)을 연결 장착함과 동시에 베이스(31)의 지지봉(L") 상단에 연결된 견인와이어(65a)의 하단을 연결하였으므로, 파종기(100)의 베이스(31)를 지면에 대고 누르면 베이스(31)를 기준으로 종자통(1)을 비롯한 파종홈 성형장치(234)가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됨으로서 견인와이어(65a)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형판(b8)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드럼(6b) 또는 드럼(6b')을 회전시키게 되어 종자홈(a61')에 들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키게 되고,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과 더불어 복귀스프링(65b)의 복원력도 작용하여 드럼(6b) 또는 드럼(6b')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도18-도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견인와이어(65a)에 인장스프링(65a')이 연결 구성된 경우에는 인장스프링(65')의 복원력도 함께 작용하게 되어 원형판(b8)의 복귀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20~도22는 파종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고정판(41) 상단에 별도 구성의 연장블록(41')을 덧씌워 작동부(3)의 하강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고정판(41)의 기본 높이는 파종삽(21)이 하강하여 지면에 파종홈을 형성할 때 콩을 심기에 적합한 깊이로 파종홈을 형성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깨를 파종하고자 할 때는 파종홈의 깊이도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는 고정판(41)의 상단에 연장블록(41')을 덧씌움으로서 작동부(3)가 덜 하강되도록 함으로서 자연적으로 파종홈이 얕게 형성되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지주관 2 : 파종부 3 : 작동부
4 : 스토퍼부 5 : 파종홈 6 : 종자공급장치
6a,6a' : 본체 6b : 드럼 6b' : 슬라이드블록
7 : 회전유도부 7a : 전후진유도부 8 : 지지관
11 : 투입부 12 : 손잡이 21 : 파종삽
22 : 작동삽 22' : 작동간 31 : 베이스
32 : 가이드봉 32' : 절곡부 32": 스톱돌기
33 : 승강블록 34 : 지지대 34': 안내관
35 : 인장스프링 41 : 고정판 42 : 조절판
42' : 육각구멍 43 : 결합축 43' : 육각축
43 ": 나사봉 60a : 투입부 60b : 배출부
60c : 드럼삽입부 60c' : 슬라이드공간 61 : 끼움홈
63: : 피니언 65 : 볼트 65a : 견인와이어
65a' : 인장스프링 65b : 복귀스프링 66 : 측면고정판
67 : 가이드블록 67' : 종자홈 67a : 종자구멍
68 : 인장스프링 69 : 가이드구멍
a1 : 스크류봉 a2 : 슬라이더 a3 : 회전노브
a4 : 압축스프링 a6 : 삽입부 a6' : 노출부
a7 : 걸림판 a8 : 피니언 a9 : 고리볼트
a61 : 가이드홈 a61' : 종자홈 b8 : 원형판
b8' : 연결돌부 L, L' : 랙기어 L" : 지지봉
L1 : 연장부 LS : 압축스프링 L2 : 스프링받침부
100 : 수동식 파종기 234 : 파종홈 성형장치

Claims (8)

  1. 상단에 뚜껑(11)과 손잡이(12)가 구비된 파이프 형태로 된 원통형의 종자통(1),
    상기 종자통(1)의 하부에 장착되며 90°~ 180°로 회전하면서 종자통(1) 내부의 종자를 일정량, 또는 소정 개수만 파종부(2)로 회전 이송시켜 낙하시키는 종자공급장치(6),
    상기 종자공급장치(6)가 종자를 파종부(2) 안으로 떨어뜨릴 때 통로로 작용하는 지지관(8),
    상기 지지관(8)의 하부에 장착되어 경운된 지면에 대고 누르면 파종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종자공급장치(6)를 연동시켜 종자를 파종홈(5)으로 투입시키는 파종홈 성형장치(234)로 이루어진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종자공급장치(6)는
    상하부에 투입부(60a)와 배출부(60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60a)와 배출부(60b) 사이에 횡방향으로 드럼삽입부(60c)를 형성한 본체(6a)와,
    상기 드럼삽입부(60c)에 삽입되고, 외주면 상부에 종자홈(67')을 가진 가이드블록(67)를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 끼움홈(61)이 구비되며, 일 측면에는 피니언(63)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본체(6a) 외부에서 측면고정판(66)을 대고 볼트(65)로 체결 조립하여서 된 드럼(6b),
    그리고 상기 피니언(63)에 치합되어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누를 때 파종부(2)가 파종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드럼(6b)도 회전하여 자동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회전유도부(7)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도부(7)는 피니언(63)에 치합되는 랙기어(L)와, 상기 랙기어(L) 하부에 길게 연장형성된 연장부(L1), 그리고 상기 연장부(L1)가 지지대(34)를 관통한 뒤 압축스프링(LS)을 개재시키도록 된 스프링받침부(L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L1) 하단은 파종부(2)의 승강거리와 드럼(6b)의 회전각도를 감안하여 베이스(31)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여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드럼(6b)을 드럼(6b')로 대체하되, 상기 드럼(6b')은 드럼삽입부(60c)에 삽입되는 삽입부(a6)와, 스크류봉(a1)을 전 후진시킴으로서 가이드홈(a61)에 삽입된 슬라이더(a2)를 전 후진 시켜 종자홈(a6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노브(a3)가 장착되는 노출부(a6')가 일체형으로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a61) 내에 위치하는 스크류봉(a1) 부위에는 압축스프링(a4)을 내장 설치함에 따라 회전노브(a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스크류봉(a1)이 전 후진되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더(a2)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종자홈(a6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삽입부(a6) 후미에는 걸림판(a7)을 가진 피니언(a8)을 고리볼트(a9)로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상기 피니언(a8)이 베이스(3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랙기어(L')와 치합되게 함으로서 파종기(100)를 지면에 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할 때 파종홈 성형장치(234)가 하강하면서 랙기어(L')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a8)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면서 피니언(a8)과 일체로 된 드럼(6b)이 회전하여 종자홈(a61')에 들어 있던 종자를 낙하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29687A 2019-09-16 2020-03-09 파종기 KR102228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65 2019-09-16
KR20190115065 2019-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840B1 true KR102228840B1 (ko) 2021-03-17

Family

ID=7524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87A KR102228840B1 (ko) 2019-09-16 2020-03-09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110A (zh) * 2022-02-11 2022-05-10 内蒙古中加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铃薯种植使用的智能化自动播种设备
CN114793559A (zh) * 2022-05-30 2022-07-29 龚志强 一种人参培育用播种装置
WO2023205809A1 (en) * 2022-04-22 2023-10-26 Bison Undergroun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in soil
CN117099537A (zh) * 2023-10-24 2023-11-24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227U (ko) * 1999-04-30 2000-11-25 정의종 씨앗 파종기 겸용 비료 시비기
KR20040060421A (ko) * 2002-12-30 2004-07-06 이제형 파종기
KR20080082044A (ko) * 2007-03-07 2008-09-11 최기봉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227U (ko) * 1999-04-30 2000-11-25 정의종 씨앗 파종기 겸용 비료 시비기
KR20040060421A (ko) * 2002-12-30 2004-07-06 이제형 파종기
KR20080082044A (ko) * 2007-03-07 2008-09-11 최기봉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110A (zh) * 2022-02-11 2022-05-10 内蒙古中加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铃薯种植使用的智能化自动播种设备
CN114451110B (zh) * 2022-02-11 2023-09-05 内蒙古中加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铃薯种植使用的智能化自动播种设备
WO2023205809A1 (en) * 2022-04-22 2023-10-26 Bison Undergroun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in soil
CN114793559A (zh) * 2022-05-30 2022-07-29 龚志强 一种人参培育用播种装置
CN114793559B (zh) * 2022-05-30 2024-03-15 龚志强 一种人参培育用播种装置
CN117099537A (zh) * 2023-10-24 2023-11-24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CN117099537B (zh) * 2023-10-24 2023-12-26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840B1 (ko) 파종기
CN111492758B (zh) 一种可选取块状农作物的种植施肥一体机
KR102037034B1 (ko) 수동식 파종기
CN219068887U (zh) 一种牧草种植施肥一体机
KR100895093B1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101919004B1 (ko)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KR20090060708A (ko) 버킷 조절형 마늘파종기
KR100724810B1 (ko) 반자동 육묘 파종기
KR101990206B1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210202434U (zh) 一种新型园艺播种器
CN111771477A (zh) 一种草籽精量穴播机
CN107484474B (zh) 一种全自动大葱移栽机
CN105532094B (zh) 一种联合式耕地播种机
KR0150943B1 (ko) 인삼씨 파종기
CN108934317B (zh) 一种手持式播种器
CN218998822U (zh) 一种向日葵精量播种施肥机
KR200480773Y1 (ko) 파종기
CN214709283U (zh) 育苗钵营养土压实装置
CN215421604U (zh) 排种式播种器
KR101241768B1 (ko) 파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종자 배출 롤러
KR100257216B1 (ko) 밭작물 파종기
KR200454209Y1 (ko) 스틱형 파종기
CN212436305U (zh) 一种草籽精量穴播机
KR200416221Y1 (ko) 승용이앙기 부착용 담수 직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