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093B1 - 다용도 씨앗 파종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씨앗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93B1
KR100895093B1 KR1020070022282A KR20070022282A KR100895093B1 KR 100895093 B1 KR100895093 B1 KR 100895093B1 KR 1020070022282 A KR1020070022282 A KR 1020070022282A KR 20070022282 A KR20070022282 A KR 20070022282A KR 100895093 B1 KR100895093 B1 KR 10089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pocket
unit
coupled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044A (ko
Inventor
최기봉
Original Assignee
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봉 filed Critical 최기봉
Priority to KR10200700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파종할 씨앗 양의 임의 조절과 이 씨앗의 깨짐 방지가 가능하며, 또한 파종 깊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종구의 토출개구에 흙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하단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의 종자이송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일체로 운동하되, 상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하강운동 및 작동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상승운동이 이루어지는 종자이송본체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상부에 관통 결합하고, 종자의 종류에 따른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파종량조절부; 상기 파종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종자이송본체부 및 파종량조절부를 통해 이송하는 종자가 배출되는 종자배출부; 및 상기 종자배출부의 배출구 개폐를 작동하는 배출구개폐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종기, 종자

Description

다용도 씨앗 파종기{Multi-Breed Seeder}
도 1은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량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량조절부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및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용도 씨앗 파종기 110: 종자이송부
114: 우회이송통 115: 이송량조절구
116: 이송량 조절나사 120: 종자이송본체부
121: 탄성부재연결고리 122: 조절안내공
123: 깊이조절핀 130: 파종량조절부
131: 포켓작동부 132: 포켓부
133: 조절다이얼부 134: 미세각도조절대
140: 종자배출부 141: 배출구마개부
150: 배출구개폐작동부 151: 지지대
152: 받침대 153: 작동탄성부재
154: 흙차단막 155: 비닐절취부
160: 작동암 200: 종자적재부
본 발명은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파종할 씨앗 양의 임의 조절과 이 씨앗의 깨짐 방지가 가능하며, 또한 파종 깊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종구의 토출개구에 흙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은 단위 면적당의 수확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흙의 준비 작업에 뒤따르는 모든 농업의 가장 초보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종자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 이들의 생육에 알맞는 밀도를 형성하는 일은 수량 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파종 작업에서는 파종량이 적당하고 결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파종법은 대개 산파, 조파, 그리고 점파로 분류된다. 산파법은 지표면에서 사방으로 넓게 파종하는 방법으로, 목초, 곡물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조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연속으로 파종하는 방법으로, 곡류, 채소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점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콩류, 감자, 야채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파종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나, 점진적으로 기계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파종기는 작물의 종류 및 재배 목적에 따라 파종 양식이 다르며, 크게 산파기, 조파기 및 점파기의 세종류로 나뉜다.
점파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기기로, 보통 점파기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점파기가 사용된다. 근래에는 크기가 다른 종류의 작물에 따라 다른 점파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파종기로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는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이러한 다품종 파종기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0399582호의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었다. 이 다품종 파종기는 다양한 크기의 종자들을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로 파종할 수 있고, 종자의 종류에 따라 토양에 묻히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균일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다품종 파종기는 파종시에 씨앗의 깨어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파종하는 구멍에 흙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파종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결주가 발생하는 것은 다품종 파종기의 중요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 2006-0023729호에서 "다품종 파종기"를 제안한 바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는 파종구(10)가 하단에 결합한 고정파이프(11)에 끼워지고 지지관(12) 상에서 작동되게 장치된 작동스피링(13)에 의해서 관형상의 종자통체(14)가 승강 작동가능케 구성되고, 종자통체(14)의 승강 작동으로 종자통체(14)내에 수납된 종자가 일정 파종분량씩 파종구(10)의 토출개구를 통해 토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자통체(14)의 중간부에는 우회이송구(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종자통체(14)의 하단 내측에는 종자이송 작동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는 파종할 종자의 깨어짐을 최소화하고 파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종자통체의 하단 내부에 종자이송 작동체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종자이송 작동체는 작물 씨앗의 크기에 따른 다수의 포켓부를 형성하는 작동구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자이송 작동체는 깨 작물과 같은 작은 크기의 종자의 파종 시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콩과 같은 비교적 크기가 종자의 경우에는 작동구와 조절구 사이의 공간 확보가 어려워 파종기의 작동시에 종자가 원활하게 토출개구를 통해 토출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콩과 같은 크기가 큰 종자의 경우 종자의 깨짐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이러한 깨짐 현상으로 인해 포켓부에 잔류하게 되는 깨진 종자로 인해 파종량이 조절되지 못하고, 또한 깨진 종자가 다음에 토출되는 종자와 함께 배출되어 파종 상태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파종할 토양의 상태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파종기의 사용시에 종자통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파종구에 흙이 달라 붙어 파종구 막힘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막힌 흙을 제거해야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늘어나고 파종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파종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른 파종량을 선택할 수 있는 파종량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종자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파종시에는 종자의 배출구를 자동으로 막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구 개폐를 자동하는 배출구개폐작동부를 구비함으로써, 배출구에 흙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하단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의 종자이송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하강운동 및 작동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상승운동이 이루어지는 종자이송본체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상부에 관통 결합하고, 종자의 종류에 따른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파종량조절부; 상기 파종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종자이송본체부 및 파종량조절부를 통해 이송하는 종자가 배출되는 종자배출부; 및 상기 종자배출부의 배출구 개폐를 작동하는 배출구개폐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자이송본체부는 하단 양측에 장공의 조절안내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절안내공에 결합하는 상기 종자배출부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파종 깊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종량조절부는 포켓작동부; 상기 포켓작동부 내에서 반 회전 운동을 통해 상부에서 떨어지는 크기가 다른 종자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포켓부에 적재되는 종자 의 크기를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조절다이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부는 상부에 라운드형 제1 적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재홈에 크기가 큰 종자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1 포켓; 상기 제1 적재홈에 삽입 결합하고, 상부에 라운드형 제2 적재홈이 형성되어 크기가 작은 종자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2 포켓; 상기 제2 적재홈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제2 포켓과의 연동을 통해 크기가 다른 종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포켓; 및 상기 제1 포켓에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제2 포켓 및 제3 포켓에 타단이 각각 결합하되, 상기 제1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다이얼부의 선택적 조절에 의해 상기 제2 포켓 및 제3 포켓을 각각 전/후 운동시키는 한 쌍의 포켓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다이얼부는 외측에 미세각도조절대가 더 결합하되; 상기 조절다이얼부의 외측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분할되는 방사형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각도조절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켓부에 적재되는 종자의 종류 및 양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자배출부는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배출부에 중심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하 수직운동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마개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는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 단에 고정 결합하고, 내측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의 각 상단 및 상기 종자이송본체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가 하강 운동이 완료된 후 복원력을 통해 다시 상승 운동시키는 작동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하단부에 결합하고, 끝단이 톱니 형상의 절단날이 형성된 비닐절취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부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승 운동시 흙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흙차단막을 더 구비한다.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기 파종량조절부 및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파종량조절부 및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파종량조절부를 회전 운동시키는 작동암을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단에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다량의 종자를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종자적재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인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다양한 크기의 종자들을 하나의 장치로 파종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파종시 종자의 깨짐을 최소화하고 파종 배출구의 흙 막힘을 방지할 수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용도 씨앗 파종기(100)는 상/하단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의 종자이송부(110)와, 종자이송본체부(120)와, 파종량조절부(130)와, 종자배출부(140), 및 배출구개폐작동부(150)로 구성된다.
-종자이송부(11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종자이송부(110)의 상단에는 마개(111)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하술할 파종량조절부(130)가 위치하여 있다. 또한, 상기 마개(111)의 하부에 손잡이(112)가 결합하여 있으며, 종자이송부(110)의 하부 내측에는 격판(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판(113)은 종자이송부(110)의 상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종자를 일시적으로 멈추게 하여 우회이송통(114) 측으로 종자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격판(113)은 우회이송통(114) 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우회이송통(114)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종자의 이송을 볼 수 있도록 외관이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회이송통(114)에는 이송량조절구(1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이송량 조절나사(116)를 조작하면 이송량조절구(115)를 통해 이송되는 종자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우회이송통(114)의 구비함으로써, 종자가 종자이송부(110) 내에서 배출되는 낙하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종자의 깨짐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종자이송부(110)의 구성 및 작용은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와 동일함을 밝혀둔다.
-종자이송본체부(12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는 상기 종자이송부(11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하여 종자이송부(110)의 상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강 운동하며, 하술할 작동탄성부재(15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중심부는 관통 형성되고, 이 관통 형성된 중심부에는 하술할 종자배출부(140)가 삽입 결합하며, 또한 종자이송본체부(120)의 하단 양측에는 탄성부재연결고리(121)가 각각 형성되며, 여기에는 작동탄성부재(153)의 일단이 결합하게 된다.
이 종자이송본체부(120)에는 관통구(미도시)를 통해 배출구개폐작동부(150)의 지지대(151)가 양측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관통구(미도시) 내에서 지지대(151)가 안내되면서 상/하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의 하부에는 종자배출부(140)가 결합하며, 이 종자배출부(140)는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상/하 운동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의 하단 양측에는 장공의 조절안내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깊이조절핀(123)이 삽입되며, 이 깊이조절핀(123)의 위치변경에 따른 고정에 의해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이 토양 속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안내공(122)에는 깊이조절핀(123)이 고정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깊이조절핀(123)은 홈의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홈에서 깊이조절핀(123)의 결합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이 토양 속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세 개의 홈에서 상부의 홈에 깊이조절핀(123)을 고정하게 되면, 배출부개폐작동부(150)가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상부로 위치 변경되어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은 받침대(152)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깝게 되며,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이 토양 속에 파고드는 깊이는 깊어지게 된다.
또한, 세 개의 홈에서 하부의 홈에 깊이조절핀(123)을 고정하게 되면, 배출부개폐작동부(150)가 종자이송본체부(120)의 하부로 위치 변경되어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은 받침대(152)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게 되며,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이 토양 속에 파고드는 깊이는 얕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자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가 토양 속에 매설되는 깊이가 달라지며 파종되는 종자의 종류에 따라 파종깊이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깊이조절핀(123)의 고정은 볼트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 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량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량조절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파종량조절부(130)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종량조절부(130)는 파종되는 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알맞은 양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종자이송부(110)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상부에 관통 결합한다.
이러한 파종량조절부(130)는 포켓작동부(131)와, 포켓부(132) 및 조절다이얼부(133)로 구성되며, 하술할 배출구개폐작동부(150)와 작동암(160)으로 연결되어 배출구개폐작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포켓부(132)에 적재되는 종자를 배출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112)를 누르게 되면, 배출구개폐작동부(150)의 받침대(152)가 토양 위를 지지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종자이송본체부(120)는 지지대(151)를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종자이송본체부(120)를 관통하여 파종량조절부(130)와 연계된 작동암(160)이 작동함으로써, 작동암(160)과 연결된 파종량조절부(130)의 포켓부(132)가 회전하게 되고, 아울러 포켓부(132)에 적재되는 종자가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켓작동부(131) 내에서 조절다이얼부(133)를 포함한 포켓부(132)가 회전을 하며, 이 포켓부(132)에는 상기 종자이송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종자가 선택적으로 담겨져 작동암(160)의 회전에 의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켓부(132)는 제1 포켓(132a)과, 제2 포켓(132b)과, 제3 포켓(132c), 및 포켓탄성부재(132d, 132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포켓(132a) 제2 포켓(132b)에는 각각 라운드형 적재홈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종자를 받아서 하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 중,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포켓부(132)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1 포켓(132a)의 상부에는 라운드형 제1 적재홈(132a')이 형성되고, 이 제1 적재홈(132a')에 크기가 큰 종자- 예컨대, 콩이나 큰 씨앗- 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적재홈(132a')에는 제1 포켓(132a)의 크기보다 작은 제2 포켓(132b)이 삽입 결합하는데, 이 제2 포켓(132b)의 상부에 라운드형 제2 적재홈(132b', 132b")이 형성되어 크기가 작은 종자 -예컨대, 깨 또는 작은 씨앗- 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적재홈(132b', 132b")에는 제2 포켓(132b)의 크기보다 작은 제3 포켓(132c)이 삽입 결합하며, 이 제3 포켓(132c)은 상기 제2 포켓(132b)과의 연동을 통해 크기가 다른 종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켓(132a)의 양측 끝단에는 한 쌍의 포켓탄성부재(132d, 132d')가 결합하며, 이 포켓탄성부재(132d, 132d')는 제2 포켓(132b)의 끝단과 제3 포켓(132c)의 끝단에 각각 결합하여 조절다이얼부(133)의 선택적 조절에 의해 제1 포켓(132a)의 내부에서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을 전/후 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조절다이얼부(133)는 상기 포켓부(132)의 일단에 고정 결합하며, 이는 포켓부(132)에 적재되는 종자의 크기를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포켓탄성부재(132d, 132d')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의 전/후 구동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절다이얼부(133)의 내측에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경사도가 다른 두 경사면(133a', 1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133a', 133a")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다이얼부(133)는 완만한 경사면(133a')과, 급한 경사면(133a"), 및 완만한 경사면(133a')과 급한 경사면(133a")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133a)으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 조절함으로써 제3 포켓(132c)의 후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끝단(132c')이 경사면(133a, 133a', 133a")과 선택적으로 맞닿게 된다. 그리고, 포켓탄성부재 중 하나의 포켓탄성부재(132d)의 일단이 제2 포켓(132b)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포켓탄성부재(132d')는 제3 포켓(132c)과 연결되어 있어, 각각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하여 경사도가 완만한 경사면(133a')을 선택하면, 제2 포켓(132b)과 제3 포켓(132c)의 후면(132c')이 동시에 포켓탄성부재(132d, 132d')의 탄성력에 의해 완만한 경사면(133a')을 따라 후방으로 움직이고 되며, 이로 인해 제1 포켓(132a)의 상부에 제1 적재홈(132a')을 형성하여 여기에 콩이나 큰 씨앗이 적재하게 되고, 이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하여 경사도가 급한 경사면(133a")을 선택하면, 제2 포켓(132b)은 정지됨과 동시에 제3 포켓(132c)은 후방으로 움직여 제2 포켓(132b)에 제2 적재홈(132b', 132b")을 형성하여 여기에 작은 씨앗이 적재하게 되고, 이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포켓(132b)의 제2 적재홈(132b', 132b")은 큰 홈(132b')과 작은 홈(132b")으로 형성되는데, 조절다이얼부(133)를 중립으로 위치시키면,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이 제1 적재홈(132a')의 전면에 정지된 상태로 있으며, 상기 제2 포켓(132b)에 형성된 작은 홈(132b")에 깨와 같은 더욱 작은 씨앗이 적재하게 되고, 이를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다이얼부(133)의 외측에는 미세각도조절대(134)가 더 결합하는데, 이 미세각도조절대(134)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켓부(132)에 적재되는 종자의 종류 및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미세각도조절대(134)의 회전을 통해 상기 조절다이얼부(133)의 외측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분할되어 형성되는 방사형 각도조절홈(133b)을 기준으로 각도 조절을 함으로써, 배출되는 종자의 종류에 따른 파종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첨부 도면 중,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종량조절부(130)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하여 경사도가 완만한 경사면(133a')을 선택하면,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의 후면이 동시에 포켓탄성부재(132d, 132d')의 탄성력에 의해 완만한 경사면(133a')을 따라 후방으로 움직이고 되며, 따라서 제1 포켓(132a)의 제1 적재홈(132a')에 콩이나 큰 씨앗이 적재하게 된다.(도 8a 참조)
또한, 상기 조절다이얼부(133)를 회전하여 경사도가 급한 경사면(133a")을 선택하면, 제2 포켓(132b)은 정지됨과 동시에 제3 포켓(132c)은 후방으로 움직여 제2 포켓(132b)의 제2 적재홈(132b', 132b")에 작은 씨앗이 적재하게 된다.(도 8b 참조)
아울러, 상기 제2 포켓(132b)의 제2 적재홈(132b', 132b")은 큰 홈(132b')과 작은 홈(132b")으로 형성되는데, 조절다이얼부(133)를 중립으로 위치시키면, 제2 포켓(132b) 및 제3 포켓(132c)이 제1 적재홈(132a')의 전면에 정지된 상태로 있으며, 상기 제2 포켓(132b)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은 홈(132b")에 깨와 같은 더욱 작은 씨앗이 적재하게 된다.(도 8c 참조)
이와 같이, 포켓부(132)에 적재된 종자는 작동암(16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적재홈에 담겨 있던 종자는 배출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5는 포켓부(132)에 포켓탄성부재(132d, 132d')를 고정 결합시키는 부재(135) 및 결합나사(136)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량조절부(130)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종자의 밀림 에 의한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종자이송부(110)에 구비되는 우회이송통(114)과 함께 종자의 깨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 도면 중,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종자배출부(140)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종자배출부(140)는 상단부가 종자이송본체부(120)의 하부에 삽입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포켓부(132)를 통해 쏟아지는 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이다. 상기 종자배출부(140)는 배출구마개부(141)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구마개부(141)의 개폐를 통해 종자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마개부(141)는 일단이 배출구개폐작동부(150)의 일측 지지대(151)에 힌지(142) 결합함과 동시에 중심측이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151)와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즉, 상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종자이송부(110) 및 종자이송본체부(120)가 수직하강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151)에 고정되는 힌지(142)에 의해 힌지 결합측이 윗쪽으로 올라가면서 배출구마개부(141)의 하측이 배출구를 막게 되며, 또한 작동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종자이송부(110) 및 종자이송본체부(120)가 수직상승하게 되면, 배출구를 개방하여 포켓부(132)에 담겨진 종자가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배출구개폐작동부(150)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150)는 상술한 종자배출부(140)의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이는 전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대(151)와 받침대(152) 및 작동탄성부재(153)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51)는 각각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미도시)에 삽입 결합하여 위치하며, 상기 관통공(미도시) 내에서 동작이 가이드된다.
상기 받침대(152)는 파종할 땅 위에서 파종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51)의 끝단과 고정결합되며, 이 받침대(152)의 내측은 종자배출부(140)가 관입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52)의 상부 일측에는 종자배출부(140)의 상승 운동시 흙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흙차단막(154)이 더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끝단이 톱니 형상의 절단날이 형성된 비닐절취부(15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탄성부재(153)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51)의 상부 끝단과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연결고리(121)에 결합하며, 상기 종자이송본체부(120)의 지지대(151)를 통한 상대적인 하강 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종자이송본체부(120)를 상승 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인 파종기(100)는 파종되는 종자의 양이 많을 경우에, 별도로 적재하여 파종기(100)의 종자이송부(110)의 상단으로 공급관(201)을 통해 종자를 공급할 수 있는 종자적재부(200)를 더 결합할 수 있다. 이는 파종하는 종자의 양이 많을 경우에 다량의 종자를 적재하여 사용자가 짊어지고 다닐 수 있으며, 상기 종자이송부(110) 내부에 공급관(201)을 통해 종자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씨앗 파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종자이송부(110)에 종자를 적재한 후에, 이송량 조절나사(116)를 조절하여 하부로 이송되는 종자의 양을 조절하고, 아울러 파종량조절부(130)의 조절다이얼부(133)를 조절하고 포켓부(132) 설정을 통해 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른 파종량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파종할 위치에 받침대(152)를 위치시킨 다음에, 손잡이(112)를 누르게 되면, 종자이송부(110) 및 종자이송본체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종자이송부(110)와 종자이송본체부(120) 및 지지대(151)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지지대(151)와 결합한 배출구마개부(141)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를 밀폐하게 되고, 이 배출구의 밀폐된 상태에서 종자배출부(140)의 끝단이 흙을 파헤치게 된다. 또한, 작동암(160)의 회전에 의해 포켓부(132)에는 파종할 종자가 적재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상부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게 되면, 작동탄성부재(153)의 복원력에 의해 종자이송부(110) 및 종자이송본체부(120)는 상승을 함과 동시에 배출구 마개부(141)는 다시 회전하여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작동암(160)의 회전에 의해 포켓부(132)는 회전을 하여 포켓부(132)에 적재되어 있던 종자가 배출하게 된다.
또한, 종자의 배출과 동시에 배출구마개부(141)는 개방되면서 파종된 종자에 흙을 덮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으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강시에 배출구마개부(141)가 자동으로 밀폐되면서 흙을 파헤치기 때문에 배출구 내부에 흙이 들어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흙 막힘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의하면, 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른 파종량을 손쉽게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종자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파종할 토양의 상태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파종기의 사용시에 배출구의 흙 막힘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상/하단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의 종자이송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하강운동 및 작동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상승운동이 이루어지는 종자이송본체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상부에 관통 결합하고, 종자의 종류에 따른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파종량조절부;
    상기 파종량조절부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종자이송본체부 및 파종량조절부를 통해 이송하는 종자가 배출되는 종자배출부; 및
    상기 종자배출부의 배출구 개폐를 작동하는 배출구개폐작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파종량조절부는 포켓작동부; 상기 포켓작동부 내에서 반 회전 운동을 통해 상부에서 떨어지는 크기가 다른 종자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포켓부에 적재되는 종자의 크기를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조절다이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하단 양측에는 장공의 조절안내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절안내공에 위치 변경되어 깊이조절핀이 결합하며,
    상기 깊이조절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와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상기 종자배출부에 의한 종자의 파종 깊이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부에 라운드형 제1 적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재홈에 크기가 큰 종자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1 포켓;
    상기 제1 적재홈에 삽입 결합하고, 상부에 라운드형 제2 적재홈이 형성되어 크기가 작은 종자를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2 포켓;
    상기 제2 적재홈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제2 포켓과의 연동을 통해 크기가 다른 종자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포켓; 및
    상기 제1 포켓에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제2 포켓 및 제3 포켓에 타단이 각각 결합하되, 상기 제1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다이얼부의 선택적 조절에 의해 상기 제2 포켓 및 제3 포켓을 각각 전/후 운동시키는 한 쌍의 포켓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다이얼부는 외측에 미세각도조절대가 더 결합하되;
    상기 조절다이얼부의 외측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분할되는 방사형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각도조절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켓부에 적재되는 종자의 종류 및 양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배출부는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배출부에 중심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하 수직운동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마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는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단에 고정 결합하고, 내측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의 각 상단 및 상기 종자이송본체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가 하강 운동이 완료된 후 복원력을 통해 다시 상승 운동시키는 작동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하단부에 결합하고, 끝단이 톱니 형상의 절단날이 형성된 비닐절취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본체부 및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승 운동시 흙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흙차단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기 파종량조절부 및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파종량조절부 및 상기 배출구개폐작동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파종량조절부를 회전 운동시키는 작동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씨앗 파종기는 상기 종자이송부의 상단에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다량의 종자를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종자적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1020070022282A 2007-03-07 2007-03-07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10089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82A KR100895093B1 (ko) 2007-03-07 2007-03-07 다용도 씨앗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82A KR100895093B1 (ko) 2007-03-07 2007-03-07 다용도 씨앗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044A KR20080082044A (ko) 2008-09-11
KR100895093B1 true KR100895093B1 (ko) 2009-04-28

Family

ID=4002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282A KR100895093B1 (ko) 2007-03-07 2007-03-07 다용도 씨앗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67B1 (ko) 2012-07-06 2013-07-08 김순배 토사 점파기장치
KR101314147B1 (ko) 2012-04-18 2013-10-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종장치
WO2014098412A1 (ko) * 2012-12-18 2014-06-26 Kim Soon Bae 토사 점파기장치
KR20200002241U (ko) * 2019-04-04 2020-10-14 이주환 자동 개방식 파종기
KR102482950B1 (ko) *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종비토 식재기 및 이를 이용한 식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605A1 (en) * 2013-03-15 2014-09-18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Singulating hand planter and fertilizer applicator
KR102228840B1 (ko) * 2019-09-16 2021-03-17 김성림 파종기
CN112970387B (zh) * 2021-04-15 2022-05-20 杜冰 便携式手动快速播种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5408U (ko) 1976-11-04 1978-06-01
JPS61247305A (ja) 1985-12-28 1986-11-04 株式会社 ミツワ 豆類播種機
KR100455631B1 (ko) 2002-05-11 2004-11-08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387467Y1 (ko) 2005-03-14 2005-06-17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399582Y1 (ko) * 2005-06-10 2005-10-27 최환철 다품종 파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5408U (ko) 1976-11-04 1978-06-01
JPS61247305A (ja) 1985-12-28 1986-11-04 株式会社 ミツワ 豆類播種機
KR100455631B1 (ko) 2002-05-11 2004-11-08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387467Y1 (ko) 2005-03-14 2005-06-17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399582Y1 (ko) * 2005-06-10 2005-10-27 최환철 다품종 파종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47B1 (ko) 2012-04-18 2013-10-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종장치
KR101280467B1 (ko) 2012-07-06 2013-07-08 김순배 토사 점파기장치
WO2014098412A1 (ko) * 2012-12-18 2014-06-26 Kim Soon Bae 토사 점파기장치
KR20200002241U (ko) * 2019-04-04 2020-10-14 이주환 자동 개방식 파종기
KR200493973Y1 (ko) * 2019-04-04 2021-07-07 이주환 자동 개방식 파종기
KR102482950B1 (ko) *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종비토 식재기 및 이를 이용한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044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093B1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EP3547816B1 (en) Apparatus for planting tree seedlings
KR102228840B1 (ko) 파종기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KR101919004B1 (ko)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JP2015104353A (ja) 甘薯の苗の育苗方法
KR20070097248A (ko) 종자 결파율이 개선된 종자 파종기
KR101990206B1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JP6256945B2 (ja) 苗移植機
CN210579978U (zh) 一种大豆播种装置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KR102026779B1 (ko)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200428578Y1 (ko) 파종기
KR101791361B1 (ko) 토사 제거부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KR102268232B1 (ko) 모종을 화분에 이식하는 장치
KR101880949B1 (ko) 작업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파종기
KR102291280B1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KR20200016618A (ko) 파종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100984503B1 (ko) 모래가 복토되는 종합파종기
CN215935537U (zh) 一种辣椒育苗种植机
KR20200043645A (ko) 콩 수확기
CN218998822U (zh) 一种向日葵精量播种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