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631B1 - 시비 겸용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시비 겸용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631B1
KR100455631B1 KR10-2002-0025991A KR20020025991A KR100455631B1 KR 100455631 B1 KR100455631 B1 KR 100455631B1 KR 20020025991 A KR20020025991 A KR 20020025991A KR 100455631 B1 KR100455631 B1 KR 10045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pply
fixed
gulto
movab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077A (ko
Inventor
서영수
Original Assignee
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수 filed Critical 서영수
Priority to KR10-2002-002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6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2Fertiliser distributors for hand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환경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면서 어느 누구나 손쉽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비 겸용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종장치는 일정 면적이상의 고른 토양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등 작업환경이 좋지 아니한 장소에서는 사용상 제약을 받고 있고, 단지 파종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용도가 한정되고, 굴토, 파종 및 복토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대하여 휴대 및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비료나 종자를 수납하였다가 굴토후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필요한 일정량만을 공급한 다음에 복토가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크기를 적게 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비료나 종자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범용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농기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시비 겸용 파종장치{Manuring and Sow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환경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면서 어느 누구나 손쉽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비 겸용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종장치는 일정 면적이상의 고른 토양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자투리땅이나 경사가 심한 곳 등 작업환경이 좋지 아니한 장소에서는 사용상 제약을 받고 있다.
물론,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선등록인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0011832호(실용신안등록 제209474호)의 파종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단지 파종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용도가 한정되고, 기구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굴토, 파종 및 복토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대하여 휴대 및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자투리 땅, 경사지, 일반의 평지 등 사용하고자은 하즌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비료나 종자를 수납하였다가 굴토후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필요한 일정량만을 공급한 다음에 복토가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크기를 적게 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료의 시비나 종자의 파종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범용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농기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2의 결합상태로서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의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동부가 하강시 중간 상태로서 굴토의 직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동부가 하강하여 굴토가 이루어지고 시비 또는 파종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동부가 상승하여 복토가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고정가이드부, 4:공급부, 6:가동부, 8:스탠드부,
10:공급기구, 20:가이드기구, 30:공급량조절기구,
40:구동안내기구, 50:승하강부재, 60:굴토부재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시비하고자 하는 비료나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 등과 같은 피방출물을 소정량씩 공급하고, 상기 피방출물을 굴토부위에 투하한 다음 다시 복토를 수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치에 있어서, 공급호스와 연결 설치되는 공급기구와 하기 공급량조절기구와 하기 가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의 공급기구 내측에 끼워 설치되는 공급량조절기구와 상기 공급량조절기구를 승,하강 구동 안내시키는 구동안내기구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손잡이와 결합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기구의 내측에 끼워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복귀력을 갖도록 힌지 결합 설치되는 굴토부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가동부와; 그리고 지면과 맞닿아 위치를 자리잡고 복토를 행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스탠드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그 구성을 대별하여 살펴보면, 고정가이드부(2), 공급부(4), 가동부(6) 및 스탠드부(8)를 상호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시비하고자 하는 비료나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 등의 피방출물을 소정량씩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피방출물을 굴토부위에 투하한 다음 다시 복토를 수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치에 있어서, 공급호스와 연결 설치되는 공급기구(10)와 하기 공급량조절기구(30)와 하기 가동부(6)를 안내하는 가이드기구(20)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가이드부(2)와;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공급기구(10) 내측에 끼워 설치되는 공급량조절기구(30)와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를 승,하강 구동 안내시키는 구동안내기구(40)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급부(4)와; 손잡이(1)와 결합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기구(20)의 내측에 끼워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승하강부재(50)와 상기 승하강부재(50)의 하부에 복귀력을 갖도록 힌지 결합 설치되는 굴토부재(6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가동부(6)와; 그리고 지면과 맞닿아 위치를 자리잡고 복토를 행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부(2)에 설치되는 스탠드부(8)를 결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공급기구(10)는 통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간부위 내측엔 브러시부재(12)를 내장 설치하여 브러시부재(12)의 상부에 피방출물을일시적으로 체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기구(20)는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상부의 통체(22)와 하부의 굴토가이드부(23)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굴토가이드부(23)엔 경사돌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공급기구(10)의 하부 내측과 대향되는 상기 가이드기구(20)의 내측엔 연통공(25)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의 사이로서 상기 연통공(25)의 상부위치에 안내간극부(26)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급기구(10)의 일측엔 투시창(14)을 마련하여 내부를 드려다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를 서로 결합하고 보강하기 위하여 중간에 절곡돌부(16)를 갖는 양측의 고정부재(18)를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공급부(4)의 공급량조절기구(30)는 상기 브러시부재(12)와 인접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 설치되고 일측엔 피방출물의 필요한 방출량만큼 요부(3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안내기구(40)는 상부가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와 서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 절곡부(42)는 상기 고정부재(18)의 절곡돌부(16) 내측으로서 상기 안내간극부(26)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하부 양측엔 가이드홈(4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21)(44)과 통공(54)을 경유 후술되는 가동부(6)의 승하강부재(50)와 함께 고정핀(46)을 결합하여 상기 공급부(4)와 가동부(6)가 서로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의 경우, 상,하부에 서로 크기가 다른요부(32,34)를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안내기구(40)와 서로 고정핀(35)으로 결합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36,38)을 상호 위치에 맞게 각각 형성하여 이들 요부(32,34)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위치에 맞게 결합 구성하느냐에 따라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겠다.
또한, 전술한 가이드홈(21,44)의 경우 가이드기구(20)의 가이드홈(21)이 구동안내기구(40)의 가이드홈(44)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와 함께 상기 가동부(6)가 1차적으로 하강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는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나 가동부(6)의 굴토부재(60)는 더욱 하강하여 굴토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가동부(6)의 승하강부재(50)와 일부 굴토부재(60)의 상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가이드기구(20) 내측에서 상기 고정핀(46)이 상기 가이드홈(21)(44)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어지고 하부 굴토부재(60)의 후부엔 상부 스토퍼(62)와 하부 가이드부재(64)가 설치되어 상승 작동시엔 상부 스토퍼(62)에 의하여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고 하강 굴토 작업시엔 하부의 가이드부재(64)가 굴토가이드부(23)에 형성된 경사돌부(24)를 타고 하강 및 후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 굴토부재(60)는 힌지부(52)를 중심으로 상기 승하강부재(50)와 결합 설치되어지되, 내부엔 미도시된 원위치 복귀용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굴토부재(60)는 끝단부가 항상 내향의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끝단부는 뾰족하고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 굴토부(66)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기구(2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7)을 경유 끼워진 상태로 결합 설치되는 경사 가이드부(68)를 각각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스탠드부(8)는 지면과 맞닿아 위치를 자리잡고 복토를 행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부(2)에 설치되어지되, 내측에 공간부(82)가 마련되고 선단부엔 복토용 스프링(84)이 설치되는 노루발 형태인 수평부재(80)와, 이 수평부재(80)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설치되고 고정가이드부(2)와 서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부재(90)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설치부재(90)의 경우, 고정간(91)을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구(92)의 끼움공(93)에 끼워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 설치구(92)에 마련한 체결스크류(94)에 의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를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설치구(92,92)의 사이로서 상기 고정간(91)에 스프링(95)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스탠드부(8)의 좌,우 방향 스윙가이드부재(96)를 끼워 설치하며, 이 스윙가이드부재(96)는 스윙작동하면서 그 내측으로 상기 굴토부재(60)의 하강과 함께 하부 가이드부재(64)의 하강시엔 경사돌부(24)에 의하여 하강 및 후진이 이루어져 상기 굴토부재(60)와 굴토가이드부(23)가 서로 벌어진 상태, 즉 지면의 하부로 굴토가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반대로 굴토부재(64)의 상승시엔 상기 가이드부재(64)가 상기 스윙가이드부재(96)의 외주면을 타고 상부에서 벗어날 때까지 상기 굴토부재(60)와 상기 굴토가이드부(23)가 벌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싱기와 같이 굴토부에 확보된 공간을 유지하다가 이러한 한계 부위를 벗어나게 되면 복토용 스프링(84)이나 힌지부(52)에 형성된 복귀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굴토부재(60)와 상기 굴토가이드부(23)가 서로 원위치로 오므라들면서 흙이 다시 메워지는 복토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00은 비료나 종자와 같은 피방출물을 넣고 짊어질 수 있게 구성한 운반통을 예시한 것이고, 110은 상기 운반통(100)과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공급부(4)의 경우,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고정가이드부(2)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통(100)의 하부에 설치하고 가동부(6)와는 고정핀(35,46)을 상호간 케이블로 연결하여 함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겠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 파종이나 시비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파종용 종자나 아니면 비료 등의 피방출물을 저장통에 넣고 작업자가 이를 짊어진 상태에서 피방출물이 호스를 거쳐 공급기구(10)에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방출물은 공급기구(10)의 내측 공간으로서 브러시부재(12)의 상부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고 공급량조절기구(30)가 구동안내기구(40)과 함께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의 요부(32)에 피방출물이 채워진 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 피방출물을 파종 또는 시비하고자 하는 위치, 예를 들면 밭의 이랑, 두둑, 비탈면 등의 지면상에 스탠드부(8)를 위치시키면서 고정가이드부(2)와 스탠드부(8)를 가만히 놓으면 공급부(4)가 하강하면서 구동안내기구(40)가 공급량조절기구(30)와 함께 가동부(6)의 고정핀(46)도 함께 1차 하강하는 동작을 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요홈(32)내부에 들어가 있던 피방출물은 브러시부재(12)의 끝단을 벗어나 하부 공간으로 낙하하게 되고 나머지는 공급량조절기구(30)와 상기 브러시부재(12)가 맞닿으면서 이동을 막아 하부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된 피방출물은 하부의 경사부를 거쳐 연통공(25)을 경유 굴토가이드부(23)와 굴토부재(60)의 사이 공간 내부로 낙하하게 되나 굴토가이드부(23)의 하부와 굴토부재(60)의 굴토부(66)는 서로 맞닿아 하부가 막힌 상태에 있게 되므로 내부의 피방출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내부에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6)를 손잡이(1)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면 스탠드부(8)를 포함한 고정가이드부(1)의 굴토가이드부(23)는 거의 제자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굴토가이드부(23)의 하부는 지면의 하부로 약간 하강 이동하다가 멈추고 가동부(6)는 승하강부재(50) 및 굴토부재(60)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굴토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경사가이드부(68)가 가이드슬롯(27)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이드슬롯(27)의 하부면과 마찰이 되고 가이드부재(64)는 경사돌부(24)를 타고 하강 후진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굴토부재(60)와 굴토가이드부(23)가 서로 벌어진 상태, 즉 지면의 하부로 굴토가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굴토작업이 이루어지되, 이와 같은 작동과 함께 상기 굴토부재(60)와 상기 굴토가이드부(23)사이에 있던 피방출물도 굴토부의 내측 공간으로서 지면상에 낙하 위치하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굴토 및 피방출물의 낙하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를 잡고 다시 가동부(6)를 들어 올리면 반대로 굴토부재(60)의 상승시엔 상기 가이드부재(64)가 상기 스윙가이드부재(96)의 외주면을 타고 상부에서 벗어날 때까지 상기 굴토부재(60)와 상기 굴토가이드부(23)가 벌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굴토부에 확보된 공간을 유지하다가 이러한 한계 부위를 벗어나게 되면 복토용 스프링(84)이나 힌지부(52)에 형성된 복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굴토부재(60)와 상기 굴토가이드부(23)가 서로 원위치로 오므라들면서 흙이 다시 메워지는 복토작업이 이루어져 굴토부 내부에 있던 피방출물은 그대로 땅속에 정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에 흙이 메워지는 복토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과정을 거치면서 피방출물의 공급, 굴토 및 복토의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손잡이(1)를 잡고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가이드부(2), 공급부(4), 가동부(6) 및 스탠드부(8)를 함께 들어 올렸다가 지면을 내려치고 들어 올리는 하강 및 상승 동작에 의하여 순차적이면서도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작동에 의하여 파종이나 시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치에 의하면, 자투리 땅, 경사지, 일반의 평지 등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비료나 종자와 같은 피방출물을 수납하였다가 굴토후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필요한 일정량만을 공급한 다음에 복토가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고정가이드부(2), 공급부(4), 가동부(6) 및 스탠드부(8)의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경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크기를 적게 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굴토 및 복토의 과정중에 흙의 내부에서 피방출물이 확실하게 정위치로 자리잡을 때까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의 확보가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방출물이 외부로 다시 나오거나 아니면 정위치에 자리잡는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확실하게 배제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7)

  1. 시비하고자 하는 비료나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 등의 피방출물을 소정량씩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피방출물을 굴토부위에 투하한 다음 다시 복토를 수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치에 있어서,
    고정가이드부(2), 공급부(4), 가동부(6) 및 스탠드부(8)를 상호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가이드부(2)는 공급호스와 연결 설치되는 공급기구(10)와 하기 공급량조절기구(30)와 하기 가동부(6)를 안내하는 가이드기구(20)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4)는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공급기구(10) 내측에 끼워 설치되는 공급량조절기구(30)와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를 승,하강 구동 안내시키는 구동안내기구(40)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6)는 손잡이(1)와 결합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기구(20)의 내측에 끼워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승하강부재(50)와 상기 승하강부재(50)의 하부에 복귀력을 갖도록 힌지 결합 설치되는 굴토부재(6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탠드부(8)는 지면과 맞닿아 위치를 자리잡고 복토를 행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부(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공급기구(10)는 통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간부위 내측엔 브러시부재(12)를 내장 설치하여 브러시부재(12)의 상부에 피방출물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가이드기구(20)는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상부의 통체(22)와 하부의 굴토가이드부(23)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굴토가이드부(23)엔 경사돌부(2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공급기구(10)의 하부 내측과 대향되는 상기 가이드기구(20)의 내측엔 연통공(25)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의 사이로서 상기 연통공(25)의 상부위치에 안내간극부(2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구(10)의 일측엔 투시창(14)을 마련하고,
    상기 공급기구(10)와 상기 가이드기구(20)를 서로 결합하고 보강하기 위하여 중간에 절곡돌부(16)를 갖는 양측의 고정부재(18)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의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는 상기 브러시부재(12)와 인접되게 상하방향으로 끼워 설치되고 일측엔 피방출물의 필요한 방출량만큼 요부(3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4)의 구동안내기구(40)는 상부가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와 서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 절곡부(42)는 상기 고정부재(18)의 절곡돌부(16) 내측으로서 상기 안내간극부(26)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하부 양측엔 가이드홈(4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21)(44)과 통공(54)을 경유 가동부(6)의 승하강부재(50)와 함께 고정핀(46)을 결합하여 상기 공급부(4)와 가동부(6)가 서로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조절기구(30)가 상,하부에 서로 크기가 다른 요부(32,34)를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안내기구(40)와 서로 고정핀(35)으로 결합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36,38)을 상호 위치에 맞게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홈(21,44)은 가이드기구(20)의 가이드홈(21)이 구동안내기구(40)의 가이드홈(44)보다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6)의 승하강부재(50)와 일부 굴토부재(60)의 상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가이드기구(20) 내측에서 상기 고정핀(46)이 상기 가이드홈(21)(44)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어지고,
    상기 굴토부재(60)의 후부엔 상부 스토퍼(62)와 하부 가이드부재(64)가 설치되고,
    상기 굴토부재(60)는 힌지부(52)를 중심으로 상기 승하강부재(50)와 결합 설치되어지되, 상기 굴토부재(60)는 끝단부가 항상 내향의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끝단부는 뾰족하고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 굴토부(66)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기구(2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7)을 경유 끼워진 상태로 결합 설치되는 경사 가이드부(6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8)는 내측에 공간부(82)가 마련되고 선단부엔 복토용 스프링(84)이 설치되는 노루발 형태인 수평부재(80)와, 이 수평부재(80)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설치되고 고정가이드부(2)와 서로 결합 설치되는 설치부재(90)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설치부재(90)는 고정간(91)을 상기 고정가이드부(2)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구(92)의 끼움공(93)에 끼워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 설치구(92)에 마련한 체결스크류(94)에 의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를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설치구(92,92)의 사이로서 상기 고정간(91)에 스프링(95)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스탠드부(8)의 좌,우 방향 스윙가이드부재(96)를 끼워 설치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10-2002-0025991A 2002-05-11 2002-05-11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10045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91A KR100455631B1 (ko) 2002-05-11 2002-05-11 시비 겸용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91A KR100455631B1 (ko) 2002-05-11 2002-05-11 시비 겸용 파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415U Division KR200287460Y1 (ko) 2002-05-11 2002-05-11 시비 겸용 파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77A KR20030088077A (ko) 2003-11-17
KR100455631B1 true KR100455631B1 (ko) 2004-11-08

Family

ID=323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91A KR100455631B1 (ko) 2002-05-11 2002-05-11 시비 겸용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93B1 (ko) 2007-03-07 2009-04-28 최기봉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200122823A (ko) * 2019-04-19 2020-10-28 제이케이로보틱스 주식회사 밭농사용 투입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88A (ko) * 1987-09-10 1989-05-10 에스. 르 바그레즈 차량의 창문
KR950007686U (ko) * 1993-09-06 1995-04-15 강창수 각종 씨앗 직파기
KR950009819A (ko) * 1993-09-07 1995-04-24 오가 노리오 에칭법, 및 색선별기구 및 그 제작방법
KR200159398Y1 (ko) * 1997-01-23 1999-10-15 조승제 수동식 분말 비료공급기
KR100257216B1 (ko) * 1996-10-17 2000-05-15 임옥만 밭작물 파종기
KR200209474Y1 (ko) * 1998-12-16 2001-01-15 이성춘 파종장치
KR200254749Y1 (ko) * 2001-08-23 2001-11-26 전광진 파종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88A (ko) * 1987-09-10 1989-05-10 에스. 르 바그레즈 차량의 창문
KR950007686U (ko) * 1993-09-06 1995-04-15 강창수 각종 씨앗 직파기
KR950009819A (ko) * 1993-09-07 1995-04-24 오가 노리오 에칭법, 및 색선별기구 및 그 제작방법
KR100257216B1 (ko) * 1996-10-17 2000-05-15 임옥만 밭작물 파종기
KR200159398Y1 (ko) * 1997-01-23 1999-10-15 조승제 수동식 분말 비료공급기
KR200209474Y1 (ko) * 1998-12-16 2001-01-15 이성춘 파종장치
KR200254749Y1 (ko) * 2001-08-23 2001-11-26 전광진 파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93B1 (ko) 2007-03-07 2009-04-28 최기봉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200122823A (ko) * 2019-04-19 2020-10-28 제이케이로보틱스 주식회사 밭농사용 투입기
KR102288831B1 (ko) * 2019-04-19 2021-08-13 전진경 밭농사용 투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077A (ko)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2758B (zh) 一种可选取块状农作物的种植施肥一体机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KR102228840B1 (ko) 파종기
KR20160035181A (ko) 점파식 파종기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어셈블리
KR100275634B1 (ko) 마늘 파종기
KR20030013109A (ko) 비닐피복 파종기
KR100455631B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387467Y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287460Y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160011684A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CN201111344Y (zh) 点播器
KR200300859Y1 (ko) 경운기용 마늘 파종기
KR200209474Y1 (ko) 파종장치
JP5012206B2 (ja) 苗植嘴
KR200428578Y1 (ko) 파종기
JPH09107732A (ja) 手動点播機
KR200187996Y1 (ko) 자동 파종기
KR200263925Y1 (ko) 관리기에 견인되는 파종기
KR101958765B1 (ko) 파종기
CN112772057A (zh) 一种农业种植用播种设备
KR100758772B1 (ko) 인삼 씨앗 직파기
KR20150017005A (ko) 벼씨 파종기
JP2008283939A5 (ko)
CN108353575B (zh) 播种器
CN218789063U (zh) 一种烟草施肥装置及烟草施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