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831B1 - 밭농사용 투입기 - Google Patents

밭농사용 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831B1
KR102288831B1 KR1020190046073A KR20190046073A KR102288831B1 KR 102288831 B1 KR102288831 B1 KR 102288831B1 KR 1020190046073 A KR1020190046073 A KR 1020190046073A KR 20190046073 A KR20190046073 A KR 20190046073A KR 102288831 B1 KR102288831 B1 KR 10228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ample
inflow
outl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823A (ko
Inventor
전진경
Original Assignee
전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경 filed Critical 전진경
Priority to KR102019004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8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2Fertiliser distributors for hand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는 시료를 필요한 분량만큼만 강제 배출할 수 있고 배출구로 흙이 유입되지 않는 밭농사용 투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며 지면에 삽입되어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시료가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부, 지면을 향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을 하면서 커버 및 유입수단의 유입경로를 개폐하고 시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부 및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길이방향 이동을 하고 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칭이 완료된 밭의 작물에도 멀치 제거 없이 비료나 씨앗을 쉽게 투입할 수 있어 작업환경 및 작업효율이 개선되고 비료를 필요 이상으로 분배하여 낭비하지 않아 비료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밭농사용 투입기{FEEDING APPARATUS FOR FIELD FARMING}
본 발명은 밭농사용 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료 살포 또는 파종 방법에 따르면 멀칭(mulching)이 완료된 이랑을 따라 수작업을 통해 멀치(mulch)를 일일이 절취한 뒤 비료나 씨앗을 주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로 작업을 하여 신체상 무리를 가져오고 일일이 멀치를 절취해야 했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895093호와 같은 최근에 지팡이 형태의 비료 및 종자 투입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지팡이 형태의 몸체의 말단이 개폐되도록 하고 투입버튼을 눌러 말단이 열리고 일정량의 비료 또는 종자가 흙속에 투입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투입기는 서서 작업을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능률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투입기는 조작이 불편하고, 토양의 상태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조작 미숙으로 배출구를 통해 흙이 유입되어 배출구가 막히거나 배출하고자 하는 시료에 흙이 혼합되기도 한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작업 중 흙을 제거해야 해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시료를 필요한 분량만큼만 강제 배출할 수 있고 배출구로 흙이 유입되지 않는 밭농사용 투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는 지면에 삽입되어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힌지결합되되, 내부가 중공되어 시료가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유입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수단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관을 포함하여 상기 관을 통해 상기 시료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함 ―; 상기 본체부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지면을 향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하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유입수단의 상기 유입경로를 개폐하고 상기 시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부 ―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됨 ―;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하고 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돌출된 채 배치되며, 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지면 방향으로의 전진 또는 후퇴 이동에 의해 변형되되, 변형에 대해 상기 지지수단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1복원수단 ― 상기 제1복원수단은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지면을 향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커버를 밀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며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시료를 밀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개방수단; 상기 삽입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입수단의 상기 시료 유입경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이 전달되는 삽입부몸체; 및 상기 삽입부의 지면 방향으로의 전진 또는 후퇴 이동에 의해 변형되되, 변형에 대해 상기 삽입부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2복원수단 ― 상기 제2복원수단은 상기 삽입부몸체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됨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가 지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입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수단의 시료 유입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시료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며, 상기 삽입부에 지면을 향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복원수단이 상기 제2복원수단보다 먼저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로부터 지면을 향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복원수단이 상기 제2복원수단보다 먼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가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지면쪽으로 전진하는 이동을 시작하며, 상기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여서 지면쪽으로 전진하여 이동한 상태에서는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부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이동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이동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멀칭이 완료된 밭의 작물에도 멀치 제거 없이 비료나 씨앗을 쉽게 투입할 수 있어 작업환경 및 작업효율이 개선된다.
둘째, 비료를 필요 이상으로 분배하여 낭비하지 않아 비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비료 과다 분배를 원인으로 발생하는 토양의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한 휴경 및 객토가 불필요하게 된다.
셋째, 비료를 필요 이상으로 분배하여 빗물에 의해 하천으로 비료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녹조 등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비료가 직접 작물에 투입되므로 비료의 작용이 비교적 단기간에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의 제1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의 제2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밭농사용 투입기의 구조에 대한 설명 >
도 3에는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를 나타낸 도 1의 사시도에서 B-B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 4에는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를 나타낸 도 2의 측면도에서 A-A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밭농사용 투입기는 본체부(100), 삽입부(200) 및 지지부(3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지면에 삽입되어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유입수단(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어 비료 내지 씨앗 등의 시료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가 형성된 일단은 멀칭 비닐 등을 찢기 용이하도록 예리한 칼날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는 수용공간에 저장된 시료가 배출되는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한다.
유입수단(110)에는 외부와 연결된 관 등을 통해 유입경로로 시료가 계속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에 힌지결합된 커버는 통상시에는 배출구를 덮어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되, 필요에 따라 힌지운동을 통해 열려 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다시 배출구를 덮는 상태로 원상복구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의 힌지결합 상에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제3복원수단이 마련되어질 수 있다.
삽입부(200)는 본체부(100)의 배출구 반대편인 타단쪽으로 삽입된 채 배치된다. 삽입부(200)의 말단을 잡고 사용자가 시료를 배출하고자 하는 지면을 향해 힘을 가하는 등 지면을 향한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할 수 있다. 유입수단(110)의 유입경로를 열고 닫거나, 배출구의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삽입부(200)의 이동으로 인해 배출구가 개방되면 배출구를 통해 본체부(100) 내 수용공간에 있던 시료가 배출됨과 동시에 유입수단(100)의 유입경로가 폐쇄된다. 이를 통해 삽입부(200)는 배출구로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 일정 분량의 시료만을 강제로 밀어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본체부(100)의 유입수단(110)과 겹치지 않는 타측면에 일부분이 결합되되, 지면과 맞닿는 부분은 본체부(100)의 배출구 주변에 배치된다. 상술한 지면을 향한 압력에 의해 삽입부(200)뿐만 아니라 지지부(300)도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300)는 가장 먼저 지면에 닿음으로써 지면에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실시하기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지지부(300)는 지지수단(310) 및 제1복원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310)은 본체부(100)의 배출구 주변에 배치되며,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지지수단(310)은 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복원수단(320)은 지지부(300)가 지면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이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나, 지지부(300)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있다. 제1복원수단(320)은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지지수단(310)을 변형 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삽입부(200)는 개방수단(210), 개폐수단(220), 삽입부몸체(230) 및 제2복원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복원수단(240)은 삽입부(200)가 지면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이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나, 삽입부(200)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있다. 제2복원수단(240)은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삽입부(200)을 변형 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개방수단(210)은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 배치될 수 있다. 개방수단(210)은 배출구를 덮어 막고 있던 커버를 밀어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고, 수용공간 내에 있던 시료를 강제로 밀어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방수단(210)은 말단이 멀칭 비닐을 찢기 용이하도록 예리한 칼날형태가 될 수 있다.
개폐수단(220)은 삽입부(2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입수단(110)의 시료 유입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삽입부(200)가 지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유입수단(110)과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수용공간과 유입수단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개폐수단(220)은 유입수단(110)의 유입경로를 차단하는 밸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부몸체(230)는 개폐수단(220)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몸체(230)로 사용자 등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전달된다.
제2복원수단(240)은 삽입부(200)의 이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복원력이 있어 위 변형에 대해 다시 원상복구될 수 있다. 즉, 삽입부(200)가 지면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이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나, 탄성 복원력이 있어 삽입부(200)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실시하기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고정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120)은 삽입부(200)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마련되어 소정의 위치에 삽입부(200)를 고정한다. 제2복원수단(240)은 삽입부(200)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형된 형태로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300)는 해제수단(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제수단(330)은 삽입부(200)의 이동이 위 고정수단(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300)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고정수단(120)을 삽입부(200)로부터 풀어 삽입부(200)의 이동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삽입부(200)의 이동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고 제2복원수단(240)은 탄성 복원력을 통해 삽입부(200)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며 삽입부(200)를 지면 반대쪽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120)은 삽입부몸체(23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홈에 걸릴 수 있는 형태로 본체부(100)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삽입부(200)의 이동에 의해 삽입부몸체(230) 일면에 고정수단(120)이 걸려 삽입부(200)를 고정한다. 지지부(300)의 일부분으로 마련될 수 있는 해제수단(330)은 지지부(300)의 이동에 의해 고정수단(120)을 걸어 삽입부몸체(230)의 일면으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삽입부몸체(230) 일면에 걸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삽입깊이제한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깊이제한수단(130)은 지지부(300)의 이동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깊이제한수단(130)은 지지부(300)가 지면에 닿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여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본체부(100)가 지면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부(200)는 이동제한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수단(250)은 삽입부(200)의 이동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제한수단(130)은 삽입부(200)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한함으로써 삽입부(200)의 개방수단(210)이 과도하게 지면을 향해 이동하여 본체부(100)의 배출구 밖으로 돌출되거나 과도하게 지면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본체부(1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복원수단(320)이 먼저 변형되고나서 제2복원수단(240)이 변형되기 시작하고, 복원과정에서도 제1복원수단(320)이 먼저 복원되고나서 제2복원수단(240)이 복원될 수 있다.
<밭농사용 투입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 >
상술한 밭농사용 투입기의 동작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동작 전 기본 상태에서는 본체부(100)의 유입수단(110)을 통해 시료가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 개방수단(210)을 제외한 공간에 충분히 채워져 있다. 이러한 시료의 분량은 해당 작업에 필수적인 소정의 분량이 될 수 있다. 이때 커버는 배출구를 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는 작업자 등이 밭농사용 투입기를 지면으로 꽂는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업자 등이 밭농사용 투입기를 지면으로 꽂는 동작에 의해 지지부(300)의 지지수단(310)이 지면을 지지하면서 소정의 일정 길이만큼 이동한다. 즉, 밭농사용 투입기에 지면을 향한 압력이 가해지면 지지부(300)는 먼저 지면에 닿아 길이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복원수단(320)이 변형되며 본체부(100)의 배출구는 상대적으로 지면과 가까워진다.
이후, 도 5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삽입깊이제한수단(130)에 걸려 지지수단(310)의 이동이 제한되어 지지부(300)가 충분히 이동하면 제2복원수단(240)이 변형되면서 삽입부(200)가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제1복원수단(320)이 먼저 변형되고나서 제2복원수단(240)이 변형되기 시작할 수도 있다.
도 5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때, 지면이 멀칭 상태인 경우, 멀칭이 본체부(100)의 배출구가 있는 말단 및 본체부(100)의 배출구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개방수단(210)에 의해 찢긴다. 배출구를 덮고 있던 커버를 개방수단(210)이 밀어 열고 본체부(100) 수용공간 내 시료는 배출구를 통해 강제로 개방수단(210)에 의해 밀어내진다. 이와 동시에 개폐수단(220)이 유입수단(110)의 시료 유입경로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더이상 시료는 수용공간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시료를 토양 내로 필요 분량만 투입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배출구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고정수단(120)에 의해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 내 시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도 5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상태가 순간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유지될 수 있다.
이하는 작업자 등이 밭농사용 투입기를 지면으로부터 뽑는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업자 등이 밭농사용 투입기를 지면으로부터 뽑기 시작하거나 지면을 향해 힘을 가하지 않으면 밭농사용 투입기는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아 제1복원수단(320)은 변형된 상태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 위치로 원상회복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지지수단(310)은 지지수단(3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5의 (d)에서 지지수단(310)이 도 5의 (c)에서 보이는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앞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복원수단(320)이 수축된 상태에서 본래 위치로 원상회복된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120)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었다면, 지지수단(310)이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해제수단(330)이 고정수단(120)의 일부분을 쳐서 삽입부(200)에 걸려있던 고정수단(120)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5의 (e)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부(300)가 지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고 나서 비로소 삽입부(200)는 제2복원수단(240)이 변형되었던 상태를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 위치로 복원하기 시작하면서 지면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개방수단(210) 및 개폐수단(220)이 지면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며 배출구는 다시 자동으로 커버에 의해 덮여 폐쇄되고, 유입수단(110)은 개방되어 유입경로를 통해 시료가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로 유입된다.
즉, 지지수단(3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고나서 개방수단(210)이 후퇴함으로써 배출구가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진다. 따라서, 배출구가 밭 토양 내에서 폐쇄되는 동작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지지수단(3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고 비로소 배출구가 커버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불필요하게 흙을 커버로 긁어 담지 않아 흙이 배출구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시료를 토양 내로 필요 분량만 투입하는 과정이 다시 준비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지면 반대쪽으로 삽입부(200)가 과도하게 후퇴하여 본체부(100)로부터 삽입부(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부(200)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고 나서 이동제한수단(250)에 삽입부(200)의 일부가 걸릴 수 있다.
위 과정을 수행하고 나서 도 5의 (f)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이탈한 밭농사용 투입기는 작업자 등이 동작을 수행하기 전인 도 5의 (a)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후, 다시 작업자 등이 밭농사용 투입기를 지면을 향해 꼽는 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뽑는 동작을 수행하면 위와 같은 도 5의 (a) 내지 (f)의 수행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균등 내지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유입수단
120: 고정수단
130: 삽입깊이제한수단
200: 삽입부
210: 개방수단
220: 개폐수단
230: 삽입부몸체
240: 제2복원수단
250: 이동제한수단
300: 지지부
310: 지지수단
320: 제1복원수단
330: 해제수단

Claims (6)

  1. 밭농사용 투입기로서,
    지면에 삽입되어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힌지결합되되, 내부가 중공되어 시료가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부 ―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시료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유입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수단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관을 포함하여 상기 관을 통해 상기 시료가 유입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함 ―;
    상기 본체부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지면을 향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하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유입수단의 상기 유입경로를 개폐하고 상기 시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부 ―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됨 ―;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지면쪽으로 전진하거나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길이방향 이동을 하고 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 방향으로 돌출된 채 배치되며, 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지면 방향으로의 전진 또는 후퇴 이동에 의해 변형되되, 변형에 대해 상기 지지수단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1복원수단 ― 상기 제1복원수단은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됨―;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지면을 향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커버를 밀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며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시료를 밀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개방수단;
    상기 삽입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입수단의 상기 시료 유입경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이 전달되는 삽입부몸체; 및
    상기 삽입부의 지면 방향으로의 전진 또는 후퇴 이동에 의해 변형되되, 변형에 대해 상기 삽입부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2복원수단 ― 상기 제2복원수단은 상기 삽입부몸체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됨 ―;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지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유입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수단의 시료 유입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시료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며,
    상기 삽입부에 지면을 향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복원수단이 상기 제2복원수단보다 먼저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로부터 지면을 향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복원수단이 상기 제2복원수단보다 먼저 복원될 수 있는
    밭농사용 투입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가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지면쪽으로 전진하는 이동을 시작하며, 상기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여서 지면쪽으로 전진하여 이동한 상태에서는 지면 반대쪽으로 후퇴하는 이동을 시작하는
    밭농사용 투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부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이동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지면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이동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밭농사용 투입기.
  6. 삭제
KR1020190046073A 2019-04-19 2019-04-19 밭농사용 투입기 KR10228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73A KR102288831B1 (ko) 2019-04-19 2019-04-19 밭농사용 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73A KR102288831B1 (ko) 2019-04-19 2019-04-19 밭농사용 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23A KR20200122823A (ko) 2020-10-28
KR102288831B1 true KR102288831B1 (ko) 2021-08-13

Family

ID=7301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73A KR102288831B1 (ko) 2019-04-19 2019-04-19 밭농사용 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631B1 (ko) * 2002-05-11 2004-11-08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428578Y1 (ko) * 2006-07-07 2006-10-16 김영대 파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631B1 (ko) * 2002-05-11 2004-11-08 서영수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200428578Y1 (ko) * 2006-07-07 2006-10-16 김영대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23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7131A (en) Animal waste flushing assembly
KR102288831B1 (ko) 밭농사용 투입기
KR100627642B1 (ko) 강관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압입방법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CN201414295Y (zh) 钎插式追肥器械
CN112567931B (zh) 一种园林种植用点种设备
CN212035296U (zh) 一种农用插入式根部施肥器
CN211909638U (zh) 一种槭树选育扩繁用施肥装置
JP7232114B2 (ja) 埋土種子の蒸気加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90103793A (ko) 씨앗 보식기
JP3098208B2 (ja) シールド掘進機の同時裏込注入装置
CN212344502U (zh) 一种防堵施肥装置
KR101791361B1 (ko) 토사 제거부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KR100822060B1 (ko) 수목 병충해 방제약제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목병충해 방제방법
KR101430434B1 (ko) 다목적 투입기
JP2005185260A (ja) 手持ち押圧式土中施肥機
CN210328511U (zh) 一种人工施肥装置
KR20210023571A (ko) 복토 기능을 갖는 파종기
JPH1084727A (ja) 肥料注入器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CN211481904U (zh) 一种农业种植用施肥装置
CN220326459U (zh) 一种黄桃种植用根部定量施肥装置
CN220476278U (zh) 一种农艺种子施肥设备
CN215269461U (zh) 一种农用有机肥料下料工具
KR200296914Y1 (ko) 비료, 종자 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