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93A - 씨앗 보식기 - Google Patents

씨앗 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93A
KR20190103793A KR1020180024659A KR20180024659A KR20190103793A KR 20190103793 A KR20190103793 A KR 20190103793A KR 1020180024659 A KR1020180024659 A KR 1020180024659A KR 20180024659 A KR20180024659 A KR 20180024659A KR 20190103793 A KR20190103793 A KR 2019010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nting
push rod
handle
seeds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279B1 (ko
Inventor
강동만
Original Assignee
강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만 filed Critical 강동만
Priority to KR102018002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장치를 이용하여 씨앗의 식재가 이루어지거나 단독으로 씨앗을 식재 한 후 씨앗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새들이 먹이로 사라진 부분에 간편하게 씨앗의 보식(補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씨앗 보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손잡이의 측면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는 사각관의 보식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손잡이의 전방으로 보식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한편 보식기 몸체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는 밀음봉 손잡이를 몸체 손잡이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내부에는 밀음봉을 설치하되 상기 밀음봉의 후단에는 보식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돌출되는 슬라이딩판을 형성한 후 상기 슬라이딩판은 몸체 손잡이의 상부와 복귀 스프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밀음봉 손잡이의 상측은 슬라이딩판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측면에는 씨앗을 보식기 몸체의 내부로 투입하는 씨앗 투입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보식기 몸체의 선단은 회동되는 개폐판으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개폐판은 보식기 몸체에 스프링으로 결합되어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막아주게 하고, 상기 개폐판은 밀음봉이 전진할 때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개방시키게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씨앗 보식기{A sower for seed}
본 발명은 식재장치를 이용하여 씨앗의 식재가 이루어지거나 단독으로 씨앗을 식재 한 후 씨앗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새들이 먹이로 사라진 부분에 간편하게 씨앗의 보식(補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씨앗 보식기에 관한 것이다.
묘삼(苗蔘)을 만들기 위한 인삼씨앗의 식재 또는 각종 작물의 묘목을 만들거나 생육을 위하여 씨앗을 식재하게 되며, 씨앗의 식재 방법으로는 식재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다량으로 식재가 이루어지거나 수작업으로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씨앗의 식재가 이루지게 되면 모든 씨앗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야외에 식재된 경우에는 새 또는 동물이 먹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씨앗의 식재 후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빈 곳에는 별도로 씨앗의 보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씨앗을 보식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고, 씨앗을 넣고, 땅을 덮어주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주변으로 씨앗의 발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씨앗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은 곳만 선택하여 씨앗을 보식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땅을 팔 때 주변의 씨앗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구멍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고, 식재에 필요한 1-3개의 씨앗을 정확히 구멍에 투입하기도 쉽지 않으며, 씨앗이 보식된 구멍을 다시 흙으로 덮어줄 때 주변 흙을 파내면서 발아가 잘 되고 있는 씨앗이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씨앗의 보식작업을 하는 경우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특히, 인삼씨앗을 파종하는 경우는 차양막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장시간에 걸친 보식 작업을 하기에는 작업이 쉽지 않은 것이다.
국내 특허등록 10-1743451호(2017.05.30. 등록) 국내 특허등록 10-1645818호(2016.07.28. 등록)
본 발명은 씨앗을 식재한 후에 식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은 곳에 새로운 씨앗을 보식하는 경우, 땅을 파고 씨앗을 심고 덮어주는 수작업에 의존할 경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식에 필요한 씨앗을 투입한 상태에서 보식을 원하는 곳에 찔러 넣은 후 밀음봉 손잡이를 당기고 빼내게 되면, 씨앗의 보식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손잡이의 측면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는 사각관의 보식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손잡이의 전방으로 보식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한편 보식기 몸체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는 밀음봉 손잡이를 몸체 손잡이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내부에는 밀음봉을 설치하되 상기 밀음봉의 후단에는 보식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돌출되는 슬라이딩판을 형성한 후 상기 슬라이딩판은 몸체 손잡이의 상부와 복귀 스프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밀음봉 손잡이의 상측은 슬라이딩판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측면에는 씨앗을 보식기 몸체의 내부로 투입하는 씨앗 투입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보식기 몸체의 선단은 회동되는 개폐판으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개폐판은 보식기 몸체에 스프링으로 결합되어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막아주게 하고, 상기 개폐판은 밀음봉이 전진할 때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개방시키게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평상시 복귀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판이 후방으로 당겨져 밀음봉이 후방으로 당겨지는 한편 개폐판은 스프링에 의해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막아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씨앗 투입호퍼로 씨앗을 투입하면 씨앗은 보식기 몸체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폐판에 받쳐지게 되며, 이때, 씨앗은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로 몸체 손잡이를 잡고 보식을 원하는 곳에 보식기 몸체의 선단을 찔러 넣은 후 밀음봉 손잡이를 당기면, 슬라이딩판을 전방으로 밀어주어 밀음봉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개폐판을 밀어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개폐판에 받쳐져 있던 씨앗이 땅속에 박히게 되면서 보식기 몸체를 땅에서 빼낸 다음 밀음봉 손잡이를 놓게 되면, 슬라이딩판이 복귀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밀음봉도 원위치 되고, 개폐판도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막아주는 형태로 원위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시 씨앗을 보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보식기 몸체에 씨앗을 넣고 지면에 꽂아준 상태에서 밀음봉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슬라이딩판의 이동으로 밀음봉이 개폐판을 밀어 보식기 몸체에 넣어진 씨앗이 땅에 심겨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를 땅에서 빼낸 후 밀음봉 손잡이를 놓게 되면, 초기 상태로 원위치 되는 것이어서, 정확한 위치에 씨앗의 보식을 할 수 있으며, 땅을 파거나 덮는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씨앗의 보식 시간이 적게 걸리는 한편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보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식기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보식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식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식기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식기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보식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보식기의 사용순서를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권총형 보식기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씨앗의 보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식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씨앗 투입호퍼를 이용하여 보식기 몸체의 내측으로 씨앗을 넣고, 보식이 이루어질 장소에 보식기 몸체를 찔러 넣은 후 밀음봉 손잡이를 당겨 씨앗을 배출시킨 다음 보식기 몸체를 빼내게 되면, 간편하게 씨앗의 보식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몸체 손잡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체 형상의 보식기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보식기 몸체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의 전방에 경사지게 개방된 부분은 개폐판으로 막아주되 상기 개폐판은 스프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의 전방 개폐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보식기 몸체의 경사진 부분은 예각이 이루어진 부분이 개폐되고, 둔각을 이루는 부분에서 개폐판이 힌지 결합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을 받도록 한다.
몸체 손잡이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같은 방향으로 밀음봉 손잡이를 형성하되 상기 밀음봉 손잡이는 보식기 몸체에 힌지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밀음봉 손잡이는 보식기 몸체에 끼워진 밀음봉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슬라이딩판을 밀어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딩판은 보식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몸체 손잡이와 복귀 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밀음봉 손잡이를 당겨 슬라이딩판을 전방으로 밀어준 후 놓게 되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판이 본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밀음봉 손잡이도 복귀되게 한다.
여기서, 밀음봉과 슬라이딩판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밀음봉은 보식기 몸체에 내장되고, 슬라이딩판은 슬라이딩홈을 타고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딩판은 몸체 손잡이와 복귀 스프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밀음봉 손잡이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으로, 밀음봉 손잡이를 당길 때 슬라이딩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음봉이 보식기 몸체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밀음봉은 보식기 몸체에 끼워지되 보식기 몸체와 밀음봉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씨앗투입호퍼로 투입되는 씨앗이 보식기 몸체와 밀음봉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보식기 몸체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폐판에 받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보식기 몸체 측면에는 씨앗을 투입하기 위한 씨앗 투입호퍼가 형성되는 한편 보식기 몸체에는 깊이 조절기를 끼워서 보식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깊이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깊이 조절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보식기 몸체의 내측으로 씨앗을 끼워 준 다음 몸체 손잡이를 잡고 보식기 몸체를 원하는 위치에 찔러 넣으면 씨앗은 개폐판에 받쳐진 상태에서 깊이 조절기가 지면에 닿는 위치에서 깊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때 밀음봉 손잡이를 당기면 슬라이딩판에 연결된 밀음봉이 전진하면서 개폐판을 밀어주어 씨앗이 배출되며, 이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를 땅에서 빼내면 씨앗은 보식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며, 밀음봉 손잡이를 놓게 되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 밀음봉이 원위치 되면서 개폐판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식기 몸체의 전방을 막아주게 되고, 밀음봉 손잡이도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씨앗을 보식할 때 씨앗을 보식기 몸체에 끼운 다음 원하는 위치에 찔러 넣은 후 밀음봉 손잡이로 개폐판을 열어주고 보식기 몸체를 빼내게 되면 씨앗은 땅속에 남아 보식이 이루어진 상태로 보식기 몸체만 빠져 나오기 때문에 씨앗의 보식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몸체 손잡이(10)의 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돌출하는 사각관 형태의 보식기 몸체(20)를 형성하되 상기 보식기 몸체(20)의 전방은 경사지게 형성하는 한편 보식기 몸체(20)의 중간에는 씨앗 투입호퍼(40)를 설치하고, 보식기 몸체(20)의 전방 쪽으로는 깊이 조절기(50)를 설치하여 보식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깊이 조절기(50)는 깊이 조절나사(51)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몸체 손잡이(10)의 전방으로 몸체 손잡이(10)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밀음봉 손잡이(30)를 설치하되 상기 밀음봉 손잡이(30)는 몸체 손잡이(10)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보식기 몸체(20)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밀음봉 손잡이(30)의 상측은 보식기 몸체(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2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1)에 끼워진 채로 돌출되는 슬라이딩판(61)을 밀어주게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판(61)은 몸체 손잡이(10)와 복귀 스프링(70)으로 연결한다.
즉, 밀음봉 손잡이(30)를 당기면 슬라이딩판(61)을 전방으로 밀어주되 상기 슬라이딩판(61)은 몸체 손잡이(10)와 연결된 복귀 스프링(70)에 의해 탄성력을 받은 채로 밀리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판(61)은 보식기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밀음봉(6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판(61)은 슬라이딩홈(21)에 끼워진 채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식기 몸체(20)는 전방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경사진 부위를 막아주는 개폐판(80)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판(80)은 스프링(81)에 결합되어 개폐판(80)이 보식기 몸체(20)의 전방을 막아주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개폐판(80)는 밀음봉(60)이 전진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보식기를 이용하여 씨앗(1)의 보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개폐판(80)이 스프링(81)의 탄성력에 의해 보식기 몸체(20)의 전방 개방된 부위를 막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20)가 지면을 향하게 한 상태로 씨앗 투입호퍼(40)에 보식을 위한 씨앗(1)을 투입하고, 씨앗 투입호퍼(40)로 투입된 씨앗(1)은 중력에 의해 보식기 몸체(20)의 내부에서 밀음봉(6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보식기 몸체(20)의 전방으로 이동한 후 개폐판(80)에 받쳐진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씨앗(1)은 개폐판(80)이 개방될 때 가장먼저 개방되는 선단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20)를 보식이 이루어질 장소에 찔러 넣게 되고, 이때, 깊이 조절기(50)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들어가면서 깊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깊이 조절기(50)의 위치는 깊이 조절나사(51)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이 같이, 보식기 몸체(20)에 씨앗(1)을 넣고 몸체 손잡이(10)를 잡은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20)를 지면에 찔러 넣되 깊이조절기(50)로 정해진 깊이까지 찔러 넣으면, 밀음봉 손잡이(30)를 당기게 되고, 밀음봉 손잡이(30)가 당겨지면 밀음봉 손잡이(30)의 상측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판(61)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판(61)은 보식기 몸체(2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1)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판(61)이 이동함에 따라 보식기 몸체(20)에 내장된 밀음봉(60)이 전진하게 되고, 밀음봉(60)이 전진하면 개폐판(80)을 밀어주면서 보식기 몸체(20)의 전방으로 개방시켜 씨앗(1)이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밀음봉 손잡이(30)를 당긴 상태에서 보식기 몸체(20)를 땅에서 빼내게 되면, 씨앗(1)은 땅에 보식이 이루어진 상태로 남겨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밀음봉 손잡이(30)를 놓게 되면, 복귀 스프링(70)이 슬라이딩판(61)을 복귀시킴에 따라 밀음봉 손잡이(30)가 원위치되는 동시에 밀음봉(60)도 원위치되고, 밀음봉(60)의 원위치에 따라 개폐판(80)도 스프링(81)에 의해 보식기 몸체(20)의 전방을 막아줌으로써,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고, 씨앗(1)의 보식도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씨앗(1)의 보식이 완료되면 다시 씨앗 투입호퍼(40)에 씨앗(1)을 넣은 후 보식을 원하는 위치에 보식기 몸체(20)를 찔러 넣고 밀음봉 손잡이(30)를 당겨서 씨앗(1)만 땅속에 남은 채로 보식기 몸체(20)를 빼내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으로, 씨앗(1)의 보식이 간편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몸체 손잡이 20 : 보식기 몸체
21 : 슬라이딩홈 30 : 밀음봉 손잡이
40 : 씨앗 투입호퍼 50 : 깊이 조절기
60 : 밀음봉 61 : 슬라이딩판
70 : 복귀 스프링 80 : 개폐판
81 : 스프링

Claims (3)

  1. 몸체 손잡이(10)의 측면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게 사각관의 보식기 몸체(2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손잡이(10)의 전방으로 보식기 몸체(20)에 힌지 결합되는 한편 보식기 몸체(20)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는 밀음봉 손잡이(30)를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20)의 내부에는 밀음봉(60)을 설치하되 상기 밀음봉(60)의 후단에는 보식기 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1)에 끼워져 이동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판(6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판(61)은 몸체 손잡이(10)의 상부와 복귀 스프링(70)으로 연결되는 한편 밀음봉 손잡이(30)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20)의 측면에는 씨앗을 보식기 몸체(20)의 내부로 투입하는 씨앗 투입호퍼(40)를 설치하고,
    상기 보식기 몸체(20)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하되 개폐판(80)으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개폐판(80)은 보식기 몸체(20)에 스프링(81)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씨앗 투입호퍼(40)로 투입되는 씨앗(1)은 보식기 몸체(20)의 내부에서 밀음봉(60)과의 공간을 통하여 개폐판(80)에 받쳐지게 이동하고, 상기 개폐판(80)는 밀음봉(6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개방되면서 보식기 몸체(20)의 씨앗(1)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보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밀음봉(60)은 후단에는 보식기 몸체(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판(61)을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딩판(61)은 보식기 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1)을 타고 이동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딩판(61)의 상측은 몸체 손잡이(10)와 복귀 스프링(70)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보식기.
KR1020180024659A 2018-02-28 2018-02-28 씨앗 보식기 KR10202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59A KR102029279B1 (ko) 2018-02-28 2018-02-28 씨앗 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59A KR102029279B1 (ko) 2018-02-28 2018-02-28 씨앗 보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93A true KR20190103793A (ko) 2019-09-05
KR102029279B1 KR102029279B1 (ko) 2019-10-07

Family

ID=6794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59A KR102029279B1 (ko) 2018-02-28 2018-02-28 씨앗 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5636A (zh) * 2021-12-03 2022-04-22 岳颜岭 一种种子破壳种植装置
KR102482950B1 (ko)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종비토 식재기 및 이를 이용한 식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1473A (ja) * 2013-03-12 2014-09-22 Yumiko Hayashi 種蒔きワニぐちグリップ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KR20150105873A (ko) * 2014-03-10 2015-09-18 장래익 수동식 파종기
KR101645818B1 (ko) 2014-11-03 2016-08-04 신봉건 인삼씨 파종 장치
KR101651724B1 (ko) * 2014-02-21 2016-08-26 유종순 파종기
KR101743451B1 (ko) 2015-07-24 2017-06-20 신봉건 인삼씨 파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1473A (ja) * 2013-03-12 2014-09-22 Yumiko Hayashi 種蒔きワニぐちグリップ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KR101651724B1 (ko) * 2014-02-21 2016-08-26 유종순 파종기
KR20150105873A (ko) * 2014-03-10 2015-09-18 장래익 수동식 파종기
KR101645818B1 (ko) 2014-11-03 2016-08-04 신봉건 인삼씨 파종 장치
KR101743451B1 (ko) 2015-07-24 2017-06-20 신봉건 인삼씨 파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5636A (zh) * 2021-12-03 2022-04-22 岳颜岭 一种种子破壳种植装置
KR102482950B1 (ko)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종비토 식재기 및 이를 이용한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79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034B1 (ko) 수동식 파종기
KR102029279B1 (ko) 씨앗 보식기
KR20200005509A (ko) 종자 자동공급용 수동 파종기
CN105340425A (zh) 播种插秧器
KR20150085163A (ko) 작물 파종기
KR101782017B1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101990206B1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204031772U (zh) 便携式玉米精密播种器
KR102161879B1 (ko) 휴대용 파종기
KR20180097409A (ko) 개량형 파종기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CN109716897A (zh) 一种播种器操作方法
KR20150108726A (ko) 파종기
CN215269435U (zh) 一种林木种子苗床播种点播覆土装置
KR101743451B1 (ko) 인삼씨 파종 장치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102029289B1 (ko) 묘삼 보식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20210023571A (ko) 복토 기능을 갖는 파종기
KR950009819B1 (ko) 파종기
KR20210035647A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KR101242799B1 (ko) 파종기
KR20180054280A (ko) 파종기
CN108353575B (zh) 播种器
CN108934312A (zh) 一种手杖式播种器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