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99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99B1
KR101242799B1 KR1020120070342A KR20120070342A KR101242799B1 KR 101242799 B1 KR101242799 B1 KR 101242799B1 KR 1020120070342 A KR1020120070342 A KR 1020120070342A KR 20120070342 A KR20120070342 A KR 20120070342A KR 101242799 B1 KR101242799 B1 KR 10124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ed
hole
seed suppl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장경자
김승기
Original Assignee
김진호
김승기
장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김승기, 장경자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2007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들고 허리를 편 상태로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손잡이를 누를 때마다 자동으로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며 필요 시 비료나 농약 및 물을 주는 작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종자공급통과;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을 고정하는 메인 관과;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종기{SOWER}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들고 허리를 편 상태로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손잡이를 누를 때마다 자동으로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며 필요 시 비료나 농약 및 물을 주는 작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은 작물의 번식에 쓰이는 씨앗을 심는 것을 말하고 대체로는 씨앗을 뿌려 심는 것을 의미한다.
파종은 재배양식에 따라 흩어뿌림(散播〕골뿌림(線播) 점뿌림(點播〕적파(摘播)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콩,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로 파종 구멍을 형성한 다음 일정 개수의 씨앗을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 구멍을 메워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통적으로 파종은 작업자가 호미 등의 농기구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파종 구멍이나 골을 형성한 후 종자를 뿌리고 흙을 덮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나 다리의 무릎 및 발목 등에 많은 무리를 가하게 되어 피로를 가중되어 장시간 작업이 어려워 작업능률이 저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농촌 인력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여 쉽고 간단하게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파종기를 가볍고 작게 만들어서 작업자가 쉽게 들거나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메고 휴대할 수 있어 규모가 큰 파종기나 바퀴가 달린 파종기가 진입할 수 없는 지역에서 파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표층에 파종 공간을 형성하고, 작물에 물을 주거나 비료 및 농약을 주는 작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파종기를 개발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파종기의 일 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468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식 파종기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자저장통(12), 파이프(14) 및 삽날(16), 손잡이(18b)와 깔때기(18c)가 형성된 몸체(18), 2개의 타원형 개구(20a, 20b)가 형성된 노즐(20), 슬라이딩판(26)을 포함한 관통홀개폐부 등을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18b)를 감싸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이용해 노즐(20)의 개구(20a, 20b)를 각각 하나씩 막은 다음 다른 손으로 슬라이딩판(26)을 눌러 슬라이딩판(26)의 개구(26a)가 관통홀(18a)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관통홀(18a)이 개방되도록 하고, 관통홀(18a)이 개방되어 종자저장통(12) 내부의 종자가 종자배출관(12a)과 관통홀(18a)과 노즐(20)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노즐(20)의 하단 개구(20a, 20b)를 막고 있는 작업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면 삽날(16)을 토양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깊이 삽입한 다음 삽날(16)의 끝을 토양에 고정한 상태에서 파이프(14)와 삽날(16)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삽날(16)의 내부곡면(16b) 전면에 파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후 작업자는 노즐(20)의 개구(20a,20b)를 막고 있던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만들어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한 개의 종자가 들어오도록 한 다음 손가락 감각에 의해 한 개의 종자가 들어온 것이 확인되면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비틀어 해당 종자를 깔때기(18c) 내부로 떨어뜨려 깔때기(18c) 내부로 떨어진 종자가 파이프(14)의 내부면과 삽날(16)의 내부곡면(16b)을 따라 차례대로 이동하여 토양에 형성된 파종공간에 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파종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식 파종기는 작업자가 종자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손가락으로 막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감각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종자의 수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계속하여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한쪽 손이 항상 손잡이에 고정되어있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고 종자저장통의 배출구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종자가 배출됨으로 인해 배출구가 막히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작업자가 양손으로 들고 허리를 편 상태로 파종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손잡이를 누를 때마다 자동으로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볍고 작게 만들어서 작업자가 쉽게 들거나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메고 휴대할 수 있어 규모가 큰 파종기나 바퀴가 달린 파종기가 진입할 수 없는 지역에서 파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토에 일정 간격으로 파종 구멍을 파거나 골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물 주위에 비료를 주거나 파종과 함께 농약을 살포하거나 파종 후에 물을 주는 작업 등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일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종자공급통과;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을 고정하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메인 관과;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에는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가 통과하도록 관통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관에는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통과시키거나 임시 보관하는 관통 홈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관에 형성된 관통 통로는 상기 메인 관의 상판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상기 메인 관의 하판에 형성된 제2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관의 관통 홈이 상기 관통 통로의 제1 구멍과 일치하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종자가 배출된다.
상기 슬라이드 관의 관통 홈이 상기 관통 통로의 제2 구멍과 일치하면 상기 관통 홈 내의 종자가 가이드 관으로 배출된다.
상기 슬라이드 관은 철선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된 손잡이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메인 관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 관과 손잡이 사이에는 손잡이의 회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볼트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관의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드 관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관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 통로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관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자 종자공급통에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를 커버하여 종자가 한꺼번에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구비되어 종자의 흐름을 양분하여 종자가 일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렬 판을 포함하는 포켓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포켓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종자공급통의 바닥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절판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판은 상기 배출구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외 측으로 양단이 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 홈이 형성되어 좌우 양측에 상기 배출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날개가 형성되고, 두 개의 날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관의 상판에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하판에는 상기 제1 구멍의 하부에 제1 구멍보다 큰 크기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멍의 하부에는 제2 구멍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가이드 관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관과 가이드 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관을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메인 관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 관과 상기 고정 관의 하단에 결합하는 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에는 농약이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이 끼워지는 노즐 삽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관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고정 봉과 상기 고정 봉의 하단에 설치된 삽날로 이루어진 파종구가 설치된다.
상기 파종구의 상단과 고정 관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파종구를 좌우로 돌려서 체결할 수 있는 체결 플랜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들고 허리를 편 상태로 파종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손잡이를 누를 때마다 자동으로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므로 장시간 작업하여도 작업자의 허리나 다리의 무릎 및 발목 등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능률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가볍고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들거나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메고 휴대할 수 있어 규모가 큰 파종기나 바퀴가 달린 파종기가 진입할 수 없는 지역에서 파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표토에 일정 간격으로 파종 구멍을 파거나 골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물 주위에 비료를 주거나 파종과 함께 농약을 살포하거나 파종 후에 물을 주는 작업 등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한꺼번에 많은 종자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하여 배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종자의 종류나 파종 방식에 따라 통로의 구조를 바꾸고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종자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종자공급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파종기의 슬라이드 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포켓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메인 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메인 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메인 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 관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 기술에 다른 수동식 파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는 토양에 씨를 뿌리기 위한 파종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씨 뿌리는 파종 기능 외에 작물에 비료를 주는 시비기능과 물이나 농약 등을 살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0)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손잡이를 한 번 잡았다 놓을 때마다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0)는. 일정 크기의 배출구(21)가 형성된 종자공급통(20)과, 상기 종자공급통(20)의 배출구(21)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관(30)과, 상기 슬라이드 관(30)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20)을 고정하는 메인 관(40)과, 상기 메인 관(4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30)을 작동시키는 손잡이(50)와, 상기 메인 관(4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20)의 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 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자공급통(20)은 일정한 양의 종자를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관된 종자의 양이나 종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자공급통(20)의 측면에는 종자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종자공급통(20)의 바닥에는 종자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1)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종자공급통(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작업자가 종자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종자공급통(20)에는 도시되지 않은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관(40)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고 작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한 손으로 종자공급통(20)이 고정된 메인 관(40)의 후방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후단에 설치된 손잡이(50)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관(40)은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작업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관(4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관(40)의 내부에는 종자공급통(20)의 배출구(21)를 단속하기 위한 슬라이드 관(3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관(30)은 메인 관(40)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하여 배출구(21)를 개폐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 관(30)이 후진하면 배출구(21)가 열려서 종자가 배출되고, 슬라이드 관(30)이 전진하면 배출구(21)가 닫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슬라이드 관(30)은 메인 관(4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관(30)은 메인 관(40)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는 사각 관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관(30)의 길이는 20~40cm 정도이다.
상기 슬라이드 관(30)에는 관통 홈(3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홈(35)은 슬라이드 관(30)을 상하로 관통하여 종자를 통과시키거나 일정 개수의 종자를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 홈(35)은 일정 개수의 종자를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 홈(35)은 슬라이드 관(30)의 상판에 형성된 상부구멍(31)과 상기 슬라이드 관(30)의 하판에 형성된 하부구멍(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구멍(31)과 하부구멍(32)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구멍(31)과 하부구멍(32)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거나 약간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구멍(31)과 하부구멍(32) 사이에는 두 개의 차단 판(33)(34)이 설치된다. 차단 판(33)(34)은 슬라이드 관(30)의 내부를 폐쇄하여 종자가 슬라이드 관(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나의 차단 판(33)은 상부구멍(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절단한 철편은 전방으로 구부려서 슬라이드 관(30)의 전방을 폐쇄하고, 다른 하나의 차단 판(34)은 하부구멍(32)을 형성하기 위해서 절단한 철편을 후방으로 구부려서 슬라이드 관(30)의 후방을 폐쇄한다. 상기 상부구멍(31)과 하부구멍(32)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거나 일정 거리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구멍(31)을 통해 유입된 종자는 하부구멍(32)을 통해서 아래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메인 관(40)의 내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관(30)은 철선(55)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50)의 후단에 설치된 손잡이(50)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 관(40)의 후단에는 철선(5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6)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고정된 철선(55)은 상기 메인 관(40)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손잡이(50)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50)는 메인 관(4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회동 축(5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철선(55)은 손잡이(50)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50)를 메인 관(40) 쪽으로 회동시키면 철선(55)이 슬라이드 관(3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관(40)과 손잡이(50) 사이에는 손잡이(50)의 회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볼트(95)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 볼트(95)는 메인 관(40)을 관통하여 그 하단이 손잡이(50)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 볼트(95)를 일 측으로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하면 상기 손잡이(50)의 회동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의 회동 폭이 좁아지면 상기 슬라이드 관(40)이 후방으로 이송되는 거리가 짧아지며 이 경우 배출구(21)가 개방되는 폭이 좁아지므로 상기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의 수가 적어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손잡이(50)의 회동 폭이 넓어지면 슬라이드 관(40)이 후방으로 충분히 이송되어 배출구(21)가 완전히 개방되므로 배출되는 종자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파종하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절 볼트(95)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종사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관(30)의 하방에는 압축스프링(58)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8)은 슬라이드 관(30)과 상기 메인 관(40) 내부에 구비된 스토퍼(46) 사이에 삽입된다. 스토퍼(46)는 슬라이드 관(3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8)은 슬라이드 관(3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관(30)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50)를 누르면 철선(55)이 슬라이드 관(30)을 후진시켜 배출구(21)가 열리고 손잡이(50)를 놓으면 압축스프링(58)이 슬라이드 관(30)을 다시 전진시켜 배출구(21)가 닫히게 된다.
상기 메인 관(40)에는 종자공급통(20)의 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종자가 통과하도록 관통 통로(45)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통로(45)는 메인 관(40)의 상판에 형성된 제1 구멍(41)과 상기 메인 관(40)의 하판에 형성된 제2 구멍(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t) 떨어져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관(40)의 하부에는 제2 구멍(42)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관(6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60)의 상단은 상기 제2 구멍(42)과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관(40)의 하단은 지면에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관(60)은 상기 메인 관(40)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 종자공급통(20)에는 종자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한 포켓 부재(25)가 설치된다. 종자공급통(20)은 많은 양의 종자를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자공급통(20)에 담겨 진 종자에는 중력이 작용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종자가 배출구(21)로 유입되어 배출구(21)가 막히게 된다.
상기 포켓 부재(25)는 배출구(21)의 상부를 커버하여 종자가 한꺼번에 배출구로 유입되어 배출구(2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종자가 일렬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포켓 부재(25)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종자가 배출구(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2)와, 상기 커버(22)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23)에 구비되어 종자의 흐름을 양분하여 종자가 일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렬 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22)는 배출구(21) 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유입구(23)가 형성되는 후방을 제외한 모든 방향의 테두리에는 일정 높이의 수직 판(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종자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수직 판(28)의 높이는 약 5~10mm이다. 그리고 수직 판(28)의 하단에는 종자공급통(21)의 바닥과 밀착하도록 소정 크기로 플랜지(26)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2)는 플랜지(26)에 형성된 관통 구멍(27)에 나사를 체결하여 종자공급통(20)에 고정된다.
상기 정렬 판(24)은 상기 유입구(23)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종자공급통(20)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정렬 판(24)은 커버(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버(20)를 관통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정렬 판(24)은 유입구(23)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구(23)로 들어오는 종자를 정렬 판(24)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일렬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 부재(24)에는 상기 배출구(21)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판(7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조절판(70)은 배출구(21)를 덮을 수 있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판(70)은 커버(22)와 종자공급통(20)의 바닥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절판(70)은 커버(22)의 외 측으로 양단이 약간 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판(70)에는 상기 배출구(21)와 대응하는 크기와 같거나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 절개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 홈(71)은 커버(22)의 유입구(23) 쪽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7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 홈(7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일정한 폭으로 날개(72)(73)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날개(72)(73)를 연결하는 연결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5)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관통 구멍(7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76)은 상기 커버(2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29)가 관통하여 종자공급통(20)의 바닥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29)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상기 커버(22)의 외 측으로 노출된 조절판(70)의 가장자리를 잡고 좌우로 밀면 조절판(7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70)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나사(29)를 다시 조여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판(70)을 일 측으로 밀면 다른 쪽에 형성된 날개(72)가 배출구(21)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배출구(21)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판(70)을 다른 쪽으로 밀면 일 측에 형성된 날개(73)가 배출구(21)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배출구(21)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70)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배출구(21)의 폭을 원하는 크기로 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자의 크기에 따라 조절판(70)을 좌우로 이동시켜 배출구(2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종자가 한꺼번에 배출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자가 굵은 경우에는 조절판(70)을 가운데에 위치시켜 배출구(21)의 폭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종가가 작은 경우에는 조절판(70)을 좌 또는 우로 이동시켜 배출구(21)의 폭을 줄임으로써 종가가 일렬로 원활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먼저 종자공급통(20)에 적당량의 종자를 투입하여 파종작업을 준비한 다음, 한 손으로 메인 관(40)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50)를 잡은 상태에서 메인 관(40)을 잡은 손으로 종자를 투입할 위치에 가이드 관(60)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40)를 잡았다 놓으면 손잡이(40)의 회동에 따라 철선(55)이 슬라이드 관(30)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관(3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관(30)에 형성된 관통 홈(35)과 메인 관(40)의 제1 구멍(41)의 위치가 상하로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멍(41)의 위치는 상기 종자공급통(20)의 배출구(21)와 일치하므로 상기 종자공급통(20) 내의 종자는 배출구(21)와 제1 구멍(41)을 통해서 슬라이드 관(30)의 관통 홈(35)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았던 손잡이(50)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58)이 슬라이드 관(30)을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관(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관(30)의 관통 홈(35)과 메인 관(44)의 제1 구멍(41)이 어긋나게 되므로 더 이상 배출구(21)를 통해서 종자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슬라이드 관(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관(30)의 관통 홈(35)이 메인 관(40)의 하판에 형성된 제2 구멍(42)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구멍(42)은 가이드 관(60)과 연결되므로 상기 슬라이드 관(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관통 홈(35)에 임시로 보관되어 있던 종자가 상기 제2 구멍(42)을 통해 가이드 관(60)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관(60)을 따라 내려온 종자는 사용자가 지정한 파종위치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0)는 사용자가 허리를 편 상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올라가고 장시간 작업하여도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손잡이를 잡았다 놓을 때마다 일정 개수의 종자가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손가락으로 종자 수를 샐 필요가 없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다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파종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비료 등을 살포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파종기(10)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메인 관(40)의 상판에 형성된 제1 구멍(41)의 위치와 하판에 형성된 제2 구멍(42)의 위치가 상하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종자공급통(20)에 비료 등을 투입하고, 한 손으로 메인 관(40)의 가운데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50)를 잡아당기면, 손잡이(50)가 회동하고 손잡이(50)와 연결된 철선(55)이 슬라이드 관(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드 관(30)에 형성된 관통 홈(35)의 상부구멍(31)이 메인 관(40)의 제1 구멍(41)과 일치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 홈(35)의 하부 구멍(32)은 메인 관(40)의 제2 구멍(42)과 일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구(21)와 제1 구멍(41)을 통해서 슬라이드 관(30)의 관통 홈(35)으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관통 홈(35)으로 유입된 비료는 제2 구멍(42)을 통해서 가이드 관(6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관(40)에 형성된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의 상하 위치가 동일하게 되면 손잡이(50)를 잡아당길 때 비료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시비작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량의 비료가 배출되면 사용자는 잡았던 손잡이(50)를 놓는다.
그러면 압축스프링(58)의 작용으로 슬라이드 관(3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관(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관(30)의 관통 홈(35)과 메인 관(40)의 제1 구멍(41) 및 제2 구멍(42)이 모두 어긋나 막히게 되므로 더 이상 비료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0)는 메인 관(40)에 형성된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의 위치에 따라서 종자를 파종하거나 비료를 시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의 상하 위치가 동일하면, 손잡이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비료가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시비작업에 적합하다. 반면에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의 상하 위치가 서로 어긋나면 손잡이(50)를 잡았다가 높을 때마다 일정 양의 종자가 배출되므로 파종작업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다른 실시 예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제2 구멍(4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관(40)에 형성되는 제2 구멍(42)의 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관(40)의 상판에는 일정한 크기로 제1 구멍(41)이 형성되고, 하판에는 상기 제1 구멍(41)의 하부에 제1 구멍(41)보다 큰 크기로 제2 구멍(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구멍(42)의 하부에는 제2 구멍(42)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가이드 관(6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관(60)은 상기 메인 관(40)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관(60)이 전방 쪽에 위치하면, 제1 구멍(31)과 제2 구멍(42)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 관(60)이 전방 쪽에 위치하면, 제1 구멍(41)과 제2 구멍(42)이 엇갈린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는 시비작업에 적합하고 후자는 파종작업에 적합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메인 관(40)과 가이드 관(60) 사이에는 안내 부재(65)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 부재(65)는 상기 메인 관(40)의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된 가이드 레일(66)과, 상기 가이드 관(6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66)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판(6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66)과 고정판(67)에는 다수 개의 체결 구멍이 일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판(67)이 부착된 가이드 관(60)을 전후로 이동시켜 제2 구멍(42)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상기 가이드 레일(66)과 고정판(67)에 형성된 체결 구멍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관(60)을 메인 관(4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가이드 관(60)을 이용하여 물이나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관(60)은 메인 관(40)의 하면에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고정 관(61)과 상기 고정 관(61)의 하단에 결합하는 호스(6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관(61)은 상기 메인 관(40)과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사각 관으로 상기 메인 관(40)에 용접되거나 상술한 실시 예의 안내 부재(65)를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 호스(62)는 투명한 플라스틱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관(61)은 10~30cm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62)는 50~100cm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62)는 작업자가 메인 관(40)을 양손으로 잡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당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62)의 하단부에는 노즐 삽입구(63)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 삽입구(63)는 살충제나 살균제와 같은 농약(액상 또는 분말상태)이나 액상 비료 또는 물을 분무하는 노즐(64)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64)은 별도의 동력 분무기나 펌프와 호스를 통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호스(62)의 노즐 삽입구(63)에 노즐(64)을 삽입하여 농액이나 액상비료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자가 배출되는 호스(62)의 내부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분무함으로써 파종과 동시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으므로 조류나 설치류가 종자를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자를 파종한 후 물을 공급하여 종자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종기(1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관(61)의 하단에 파종 구멍이나 골을 형성하기 위한 파종구(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종구(80)는 일정한 길이의 고정 봉(81)과 상기 고정 봉(81)의 하단에 설치된 삽날(8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봉(81)은 상기한 호스(62)와 유사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관(62)의 후방이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진다. 이때, 상기 고정 관(61)의 하단과 상기 고정 봉(81) 사이에는 체결 플랜지(8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플랜지(85)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삽날(82)이 도시되어 있으나 삽날 외에 다른 형태의 도구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봉(81)이 고정 관(61)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메인 관(40)에 바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삽납의 형태나 고정 봉의 결합형태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서, 종자공급통(20)에 콩이나 깨 등과 같은 씨앗을 적당량 채운 후, 메인 관(40)의 가운데 부분을 잡아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파종구(80)를 파종할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삽날(82)을 이용하여 땅에 파종 구멍을 파거나 골을 파서 파종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손잡이(50)를 한 번 잡았다 놓으면 일정 개수의 종자가 파종 구멍이나 고랑으로 투입된다. 그런 다음 삽날(82)을 이용하여 흙으로 종자를 덮음으로써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종기는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 작업을 수행하면 넓은 면적의 재배지에도 손쉽게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호스(62)에 연결된 노즐(64)을 통해서 농약이나 물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종자가 들짐승이나 새에 의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종기는 작업자가 허리를 펴고 선 상태에서 골을 파거나 씨앗을 뿌리고 다시 흙을 덮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하여도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파종기는 가볍고 조작이 간단하므로 어떠한 곳이라고 쉽게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파종 작업 외에 시비와 물주기 등의 작업도 수행하므로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파종기 20: 종자공급통
21: 배출구 22: 커버
23: 유입구 24: 정렬 판
25: 포켓 부재 30: 슬라이드 관
31: 상부구멍 32: 하부구멍
33,34: 차단 판 35: 관통 홈
36: 고정편 40: 메인 관
41: 제1 구멍 42:제2 구멍
45: 관통 통로 46: 스토퍼
50: 손잡이 51: 회동 축
55: 철선 58: 압축스프링
60: 가이드 관 61: 고정 관
62: 호스 63: 노즐 삽입구
64: 노즐 70: 조절판
71: 절개 홈 72:73: 날개
80: 파종구 82: 삽날
95: 조절 볼트

Claims (13)

  1. 일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종자공급통과;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을 고정하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메인 관과;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관은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된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관의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드 관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관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에는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가 통과하도록 관통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관에는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통과시키거나 임시 보관하는 관통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에 형성된 관통 통로는 상기 메인 관의 상판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상기 메인 관의 하판에 형성된 제2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관의 관통 홈이 상기 관통 통로의 제1 구멍과 일치하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종자가 배출되며, 상기 슬라이드 관의 관통 홈이 상기 관통 통로의 제2 구멍과 일치하면 상기 관통 홈 내의 종자가 가이드 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과 손잡이 사이에는 손잡이의 회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볼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메인 관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 관과 상기 고정 관의 하단에 결합하는 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에는 농약이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이 끼워지는 노즐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관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고정 봉과 상기 고정 봉의 하단에 설치된 삽날로 이루어진 파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구의 상단과 고정 관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파종구를 좌우로 돌려서 체결할 수 있는 체결 플랜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9. 일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종자공급통과;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을 고정하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메인 관과;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되,
    상자 종자공급통에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를 커버하여 종자가 한꺼번에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구비되어 종자의 흐름을 양분하여 종자가 일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렬 판을 포함하는 포켓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종자공급통의 바닥 사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절판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배출구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외 측으로 양단이 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 홈이 형성되어 좌우 양측에 상기 배출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날개가 형성되고, 두 개의 날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2. 일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종자공급통과;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종자공급통을 고정하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메인 관과;
    상기 메인 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관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메인 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자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지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관의 상판에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관의 하판에는 상기 제1 구멍의 하부에 제1 구멍보다 큰 크기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멍의 하부에는 제2 구멍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가이드 관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관과 가이드 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관을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자 종자공급통에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를 커버하여 종자가 한꺼번에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구비되어 종자의 흐름을 양분하여 종자가 일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렬 판을 포함하는 포켓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1020120070342A 2012-06-28 2012-06-28 파종기 KR10124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42A KR101242799B1 (ko) 2012-06-28 2012-06-28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42A KR101242799B1 (ko) 2012-06-28 2012-06-28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799B1 true KR101242799B1 (ko) 2013-03-12

Family

ID=4818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342A KR101242799B1 (ko) 2012-06-28 2012-06-28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0964A1 (ko) * 2019-11-04 2021-05-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휴대용 파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590A (ja) * 2002-12-04 2004-07-02 Hirayama Seisakusho:Kk 手持ち式種蒔き器
KR100794259B1 (ko) * 2006-11-17 2008-01-11 김덕중 파종기
KR20080004305U (ko) * 2007-03-29 2008-10-02 최기봉 멀티 파종 이식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590A (ja) * 2002-12-04 2004-07-02 Hirayama Seisakusho:Kk 手持ち式種蒔き器
KR100794259B1 (ko) * 2006-11-17 2008-01-11 김덕중 파종기
KR20080004305U (ko) * 2007-03-29 2008-10-02 최기봉 멀티 파종 이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0964A1 (ko) * 2019-11-04 2021-05-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휴대용 파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090A (en) Dry granular fertilizer root feeder
US7735436B2 (en) Granule dispensing tool
CN104145575A (zh) 多功能水稻直播机
JP4855543B1 (ja) ハンドタイプの播種器
CA2631473C (en) Agricultural furrowing tool
KR101242799B1 (ko) 파종기
KR101805787B1 (ko) 모종기
CN205726993U (zh) 小型手提播种机
US5487236A (en) Plant food and fertilizer applicator
KR20160011684A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20150109513A (ko) 파종기
US5438940A (en)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KR101303011B1 (ko) 다용도 살포기
KR101880949B1 (ko) 작업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파종기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US7500377B2 (en) Tool for calibrating granular dispensers and method incorporating the same
KR101743451B1 (ko) 인삼씨 파종 장치
CN210959435U (zh) 一种便捷式甘蔗种植工具
JP2015535686A (ja) 顆粒状粒子を施用するためのポータブルシステム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20210035647A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CN202455794U (zh) 便携背负式多功能施播器
KR101855462B1 (ko) 물공급이 가능한 고구마순 식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