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513A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513A
KR20150109513A KR1020140032036A KR20140032036A KR20150109513A KR 20150109513 A KR20150109513 A KR 20150109513A KR 1020140032036 A KR1020140032036 A KR 1020140032036A KR 20140032036 A KR20140032036 A KR 20140032036A KR 20150109513 A KR20150109513 A KR 20150109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member
slide member
insertion unit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윤
Original Assignee
박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윤 filed Critical 박병윤
Priority to KR102014003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513A/ko
Publication of KR2015010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제1 및 제2 삽 날과,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이 각각 결합되는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손잡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의 양 날개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삽 유닛과, 'ㄷ'자형 몸체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루 중 어느 하나의 제1 및 제2 삽 날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제1 홀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내부 공간부에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 공급부와, 상기 제1 홀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삽 유닛의 힌지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안내 부재의 제1 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삽 날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2 홀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마주보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홀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종기 {Seeding machine}
본 실시예는 작물 별로 정해진 소정 수량의 종자를 배출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련된 것이다.
파종은 곡식이나 채소 따위를 키우기 위하여 논밭에 작물의 종자를 뿌려 심는 것으로 씨뿌리기라고도 한다.
파종 방법에는 재배 양식에 따라 1) 밭 전체에 종자를 뿌리는 흩어뿌림, 2) 현재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아 후의 관리가 수월한 줄뿌림, 3) 이랑에서 포기 사이를 띄워서 1~2개씩 파종하는 점뿌림 등이 있다.
파종기를 크게 나누면 1) 산파기(broad caster), 2) 조파기(grain grill), 3) 점파기(planter)의 3 종류가 있다. 산파기는 주로 알갱이가 작고 가벼운 목초나 아마 등의 종자를 흩뿌리는데 사용된다. 조파기는 맥류와 같은 곡물의 줄뿌림에 사용되며, 점파기는 비교적 넓은 그루 사이를 필요로 하는 옥수수, 두류, 감자 등을 파종하는데 사용한다.
파종량은 각 작물 별로 적량이 결정되어 있으며, 너무 밀파하면 양분 흡수나 광합성이 나쁘고 연약하게 웃자라서 수확량이 저하된다.
콩,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로 파종 구멍을 형성한 다음 일정 개수의 씨앗을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 구멍을 메워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통적으로 파종은 작업자가 호미 등의 농기구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파종 구멍이나 골을 형성한 후 종자를 뿌리고 흙을 덮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나 다리의 무릎 및 발목 등에 많은 무리를 가하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되어 장시간 작업이 어려워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42799 호(2013.03.06. 등록)
본 실시예는 작물별로 정해진 소정 수량의 종자 또는 비료를 공급할 수 있는 교체식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제1 및 제2 삽 날과,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이 각각 결합되는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손잡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의 양 날개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삽 유닛과, 'ㄷ'자형 몸체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루 중 어느 하나의 제1 및 제2 삽 날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제1 홀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와, 내부 공간부에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 공급부와, 상기 제1 홀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삽 유닛의 힌지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안내 부재의 제1 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삽 날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2 홀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마주보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홀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 단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삽 유닛의 내측 방향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삽 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2 위치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은 어느 하나의 본체 외측면에 상기 삽 날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자루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 날과 결합되는 끝단을 통해 노출되는 물 공급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노즐의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삽 유닛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 및 슬릿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관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일단에 걸쇠 홀이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이며, 상기 제2 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일단에 걸쇠 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2 홀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내측벽으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부재의 양 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걸쇠 홀에 체결되는 걸쇠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 제2 홀 및 상기 연결관의 단면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 손으로 작동되는 삽 유닛을 이용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 반복적인 파종 작업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 부재는 종자에 따라 교체 사용될 수 있어 파종 작업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부재는 일정 부피의 비료를 공급할 수 있어, 본 파종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비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정면 확대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에서 본 파종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에서 본 파종기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에서 본 파종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에서 본 파종기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장착된 파종기의 부분 확대 사 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0)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0)는 삽 유닛(10), 안내 부재(20), 종자 공급부(30), 연결관(40), 슬라이드 부재(50a) 및 가이드 호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 유닛(10)은 제1 및 제2 삽 날(12a)(12b)과,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이 각각 결합되는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손잡이(16a)(16b)를 가지는 제1 및 제2 자루(14a)(14b)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의 양 날개(12c)(12d)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은 선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며, 선단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뾰족한 모양을 갖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삽 유닛(10)을 토양 내의 파종 위치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은 토양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날개(12c)(12d)의 힌지 결합부(13)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이 벌어질 때 토양 내에 파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 유닛(10)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일 단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삽 유닛(10)의 내측 방향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를 상기 삽 유닛(10)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슬라이딩 거리(L1)를 후술할 제2 위치로 제한하는 스토퍼(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일 단부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70)의 일 측면은 제2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20)와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안내 부재(20)는 상기 스토퍼(70)에 가로 막혀 상기 삽 유닛(10)은 더 이상 내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 중 어느 하나의 본체 외측면에는 상기 삽 날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삽입 깊이 조절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90)는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이 토양 내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파종 깊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90)는 토양의 수평면과 마주하는 수평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90)는 종자에 따라 파종 깊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삽 날(12a)(12b)의 깊이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90)는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 중 어느 하나의 본체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90)는 상기 삽 날(12a)(12b)의 본체에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은 내구성,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 유닛(10)은 상기 제1 및 제2 자루(14a)(14b)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16a)(16b)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과 결합되는 끝단을 통해 노출되는 물 공급 노즐(9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노즐(95)의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삽 유닛(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노즐(95)은 파종 공간으로 종자가 배출된 후 파종 공간에 소정의 물을 공급하여 종자의 발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상기 물 공급 노즐(95)은 물 대신 액상의 농약 등을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 노즐(95)의 일단은 온-오프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삽 유닛(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파종 공간 내에 종자가 배출될 때 온 상태에 놓임으로써 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킬 수 있고, 소정이 물이 분사된 후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펌프(미도시)의 작동을 중지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삽 유닛(10)의 회동 동작과 관계없이 작업자의 의사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될 수도 있다.
안내 부재(20)는 'ㄷ'자형 몸체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루(14a)(14b) 중 어느 하나의 제1 및 제2 삽 날(12a)(12b)과 손잡이(16a)(16b)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제1 홀(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개구부가 구비된'ㄷ'자형 몸체는 예를 들어, 사각 파이프의 일 측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20)의 몸체 외측벽은 상기 제1 및 제2 자루(14a)(14b)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20)는 예를 들어 사각 파이프 형상의 접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자루(14a)(14b)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설치 방식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용접에 의한 접합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20)는 자루의 중간 위치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20)의 몸체 양 측벽에는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8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20)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된 슬릿(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슬릿(22) 대신 복수의 체결공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관(40)의 결합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20)의 바닥면 일측에는 제1 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홀(21)은 원형이거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20)에는 상기 제1 홀(21)과 상기 가이드 호스(60)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홀(21)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종자 공급부(30)는 내부 공간부에 종자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자 공급부(3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로 종자를 쉽게 투입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종자 공급부(30)에는 상부면을 덮는 뚜껑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자 공급부(3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남아 있는 종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자 공급부(30)는 상기 연결관(40)과 연결되는 유입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저장된 종자는 연결관(40)으로 순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관(40)은 상기 제1 홀(21)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20)에 결합되되, 상기 안내 부재(20)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종자 공급부(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관(40)의 일단은 상기 안내 부재(20)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종자 공급부(30)의 유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슬릿(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미도시) 및 슬릿(22)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관(40)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이 형성된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정 거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슬라이딩 거리(L1)에 대응된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관(40)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제2 홀(51a)과 마주보아야 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제2 홀(51a)은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과 마주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50a)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에서 본 파종기(10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에서 본 파종기(100)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에서 본 파종기(10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에서 본 파종기(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슬라이드 부재(50a)는 상기 안내 부재(2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삽 유닛(10)의 힌지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홀(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제2 홀(51a)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종자 공급부(30)와 연결되는 연결관(40)을 마주보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홀(21)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 홀(51a)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는 일단에 걸쇠 홀(53)이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이며, 상기 제2 홀(51a)에는 테이퍼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종자는 제2 홀(51a) 내에 유입되기 쉽고, 상기 제2 홀(51a) 내에 유입되어 임시 저장된 종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일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테이퍼부(55)를 포함한 상기 제2 홀(51a)에는 소정 수량의 종자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종 작업시 종자의 수량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는 높이 및 제2 홀(51a)의 형상과 크기를 달리하여 몇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0)는 종자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50a)의 제2 홀(51a)은 원,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 홀(51a)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은 상기 제2 홀(51a)에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51a)이 원형인 경우 종자 중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홀(51a)이 교차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끼워져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40)의 관로의 단면은 상기 제2 홀(51a)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홀(21), 제2 홀(51a) 및 상기 연결관(40)의 단면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일단에 형성된 걸쇠 홀(53)에는 이에 대응한 걸쇠(52)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쇠(52)는 상기 안내 부재(20)에 구비된 스프링(80)을 걸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80)은 일단이 상기 안내 부재(20)의 몸체 일 측벽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걸쇠(52)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사각 파이프 형상의 결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안내 부재(20)의 몸체 일 측벽과 대향하는 타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20)에 장착된 후 걸쇠(52)에 연결된 스프링(80)에 의해 상기 안내 부재(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걸쇠 홀(53)이 형성된 위치 반대편 끝단은 상기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7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80)은 상기 걸쇠(52)에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프링(80)은 상기 걸쇠(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약간 늘어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는 상기 삽 유닛(10)의 내측 방향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70)의 반력에 의해 상기 삽 유닛(10)의 외측 ??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슬라이딩 거리(L1)는 제한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삽 유닛(10)의 내측 방향의 회동 동작과 함께 상기 안내 부재(20)가 이동하는데, 상기 안내 부재(20)가 상기 스토퍼(70)에 가로 막히면 더 이상 상기 삽 유닛(10)을 회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는 상기 제1 및 제2 홀의 중심 거리(L2) 만큼 슬라이딩 되었다가 다시 처음 위치로 슬라이딩 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50a)의 제2 홀(51a)은 제2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과 마주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홀(51a)은 상기 제1 홀(21)과 정확하게 마주볼 필요는 없다.
상기 제1 홀(21)을 향해 이동하는 제2 홀(51a)은 상기 제1 홀(21)을 조금 더 지나쳐서 위치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거리(L1)는 상기 제1 및 제2 홀의 중심 거리(L2)보다 조금 더 길 수 있다.
상기 스프링(80)은 제2 위치에서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에 이 때, 상기 스프링(80)의 복원력에 해당하는 탄성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삽 유닛(10)의 손잡이(16a)(16b)를 잡은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고 제2 위치에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삽 유닛(10)은 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외측 방향으로 회동 동작 할 수 있다.
가이드 호스(60)는 일단이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호스(60)는 상기 제1 홀(21)을 통해 배출되는 종자가 파종 위치에 정확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삽 날(12a)(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50b)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50b)가 장착된 파종기(10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50b)는 일단에 걸쇠 홀(53)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2 홀(51b)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내측벽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 때,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50b)는 파종 보다는 비료를 이용한 시비 작업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내측벽이 구비된 수직 저장 공간인 제2 홀(51b)은 비료 등의 미세 입자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수직 저장 공간의 부피는 간단하게 측정 가능하여 공급할 수 있는 비료의 양을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제2 홀(51b)에 저장된 비료는 파종기(100)의 회동 동작에 의한 흔들림 등으로 상기 수직 저장 공간에서 일부 소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50b)에는 제2 홀(51b) 입구를 덮는 개폐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폐부(미도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0b)의 제2 홀(51b)이 연결관(40)과 마주볼 때 열려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안내 부재(20)에 대해 결합 위치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50b)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50b)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50b)는 높이 및 제2 홀(51b)의 형상과 크기를 달리하여 몇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50b)의 제2 홀(51b)은 원,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 홀(51b)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안내 부재(20)의 제1 홀(21)은 상기 제2 홀(51b)에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40)의 관로의 단면은 상기 제2 홀(51b)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홀(21), 제2 홀(51b) 및 상기 연결관(40)의 단면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삽 유닛 12a,12b; 제1 및 제2 삽 날
13; 힌지 결합부 14a,14b; 제1 및 제2 자루
16a,16b; 손잡이 20; 안내 부재
21; 제1 홀 22; 슬릿
30; 종자 공급부 40; 연결관
50a; 직사각형 패널 슬라이드 부재 50b; 직육면체 슬라이드 부재
51a,51b; 제2홀 52; 걸쇠
53; 걸쇠 홀 55; 테이퍼부
60; 가이드 호스 70; 스토퍼
80; 스프링 90; 삽입 깊이 조절부
95; 물 공급 노즐 100; 파종기
L1: 슬라이딩 거리 L2; 제1 및 제2 홀의 중심거리

Claims (10)

  1. 제1 및 제2 삽 날과,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이 각각 결합되는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손잡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자루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의 양 날개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삽 유닛;
    'ㄷ'자형 몸체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루 중 어느 하나의 제1 및 제2 삽 날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제1 홀이 형성되는 안내 부재;
    내부 공간부에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 공급부;
    상기 제1 홀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안내 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안내 부재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삽 유닛의 힌지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안내 부재의 제1 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삽 날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2 홀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종자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마주보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홀과 마주보는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 단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삽 유닛의 내측 방향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삽 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2 위치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삽 날은 어느 하나의 본체 외측면에 상기 삽 날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자루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 날과 결합되는 끝단을 통해 노출되는 물 공급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노즐의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삽 유닛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파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파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 및 슬릿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관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일단에 걸쇠 홀이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이며, 상기 제2 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파종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일단에 걸쇠 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2 홀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내측벽으로 둘러싸인 파종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양 측벽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걸쇠 홀에 체결되는 걸쇠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파종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제2 홀 및 상기 연결관의 단면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파종기.


KR1020140032036A 2014-03-19 2014-03-19 파종기 KR20150109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36A KR20150109513A (ko) 2014-03-19 2014-03-19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36A KR20150109513A (ko) 2014-03-19 2014-03-19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13A true KR20150109513A (ko) 2015-10-02

Family

ID=5434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36A KR20150109513A (ko) 2014-03-19 2014-03-19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95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73Y1 (ko) * 2015-11-02 2016-07-05 이배동 파종기
CN107046874A (zh) * 2017-04-25 2017-08-18 谢英 一种花生播种装置
KR20190094504A (ko) * 2018-02-05 2019-08-14 이배동 비료 투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73Y1 (ko) * 2015-11-02 2016-07-05 이배동 파종기
CN107046874A (zh) * 2017-04-25 2017-08-18 谢英 一种花生播种装置
CN107046874B (zh) * 2017-04-25 2019-06-21 淮安荣宇机械有限公司 一种花生播种装置
KR20190094504A (ko) * 2018-02-05 2019-08-14 이배동 비료 투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9513A (ko) 파종기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CA2631473C (en) Agricultural furrowing tool
KR101742233B1 (ko) 파종기
KR20100052257A (ko)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20080082044A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JP4855543B1 (ja) ハンドタイプの播種器
KR101805787B1 (ko) 모종기
KR101880949B1 (ko) 작업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파종기
KR20160011684A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101303011B1 (ko) 다용도 살포기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101605462B1 (ko) 파종용 삽
JP6072923B2 (ja) 顆粒状粒子を施用するためのポータブルシステム
KR20170002990U (ko) 입식 파종기
KR101242799B1 (ko) 파종기
KR20120123764A (ko) 비닐절개용 파종 헤드와 그를 사용한 파종기
KR101791361B1 (ko) 토사 제거부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101743451B1 (ko) 인삼씨 파종 장치
US7500377B2 (en) Tool for calibrating granular dispensers and method incorporating the same
KR20140002598U (ko) 입식 파종기
KR20220016313A (ko) 종자의 선택적 흡입과 배출이 가능한 파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