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846B1 - 씨앗 심는 삽 - Google Patents

씨앗 심는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846B1
KR101506846B1 KR1020140165054A KR20140165054A KR101506846B1 KR 101506846 B1 KR101506846 B1 KR 101506846B1 KR 1020140165054 A KR1020140165054 A KR 1020140165054A KR 20140165054 A KR20140165054 A KR 20140165054A KR 101506846 B1 KR101506846 B1 KR 10150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seed
rod
groun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14016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앗 심는 삽에 관한 것으로서, 땅을 경운할 수 있는 삽판과, 삽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그 내부를 통해 씨앗을 땅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삽자루를 포함하는 삽에 있어서, 삽은, 삽자루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그 내부의 씨앗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씨앗통; 및 삽자루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씨앗 심는 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씨앗 심는 삽{Plant seed Shovel}
본 발명은 씨앗 심는 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딱딱한 땅이나 경운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땅에 삽을 삽입시킨 후 삽입된 삽을 제끼는 작업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삽자루에 형성된 씨앗통의 씨앗을 낙하시키므로써, 기존에 별개로 이루어지던 경운작업과 씨앗을 심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씨앗 심는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 무나 배추 등의 농작물을 심기 위해서는 삽을 이용하여 땅을 파고, 판 자리에 씨앗을 넣어 심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씨앗을 심는 작업은 씨앗과 별도로 흙을 파기 위한 삽을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30751호에서는 씨앗 심는 삽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씨앗 심는 삽은, 모종삽 땜할부분에 직경 30mm 정도의 원통쇠파이프 110cm의 아래 땜할부분을 부착(땜)하고 삽위쪽에는 깔때기를 끼울 수 있게 원통쇠파이프 위에 안쪽너트를 만들고 깔때기 아래부분에 볼트를 만들어 볼트와 너트를 돌려서 잠그면 부착된 깔때기를 통해 씨앗, 비료 등을 편리하게 넣을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쪼그리고 앉아서 힘들게 모든 씨앗을 심었던 것을 서서 쉽고, 편하고, 빠르게, 심으며 식물의 포기마다 비료를 쉽게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등록실용신안 제20-0430751호에 개시된 씨앗 심는 삽은, 원통쇠파이프의 상단부에 결합된 깔때기를 통해서 씨앗을 공급하는데, 이와 같이 공급되는 씨앗은 깔때기에 씨앗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깔때기에 담아져 있는 다량의 씨앗이 한번에 모두 배출되어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삽과 별도로 씨앗을 가지고 다니면서 깔때기에 하나의 씨앗만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기존과 같은 불편함이 그대로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621호에서는 씨앗통을 구비한 삽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씨앗통을 구비한 삽은, 상호간 X자 형태로 교차 연결된 제 1모종삽과 제 2모종삽; 및 제 1모종삽의 자루에 부착되며, 씨앗을 수용하는 씨앗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씨앗통은, 씨앗이 삽입되는 삽입구; 및 씨앗이 배출되는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씨앗통을 구비한 삽은, 일단은 제 1모종삽의 손잡이에 고정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막는 폐쇄부가 형성된 씨앗통 개폐기;로 이루어진다.
특히, 씨앗통 개폐기는 자루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제 1모종삽의 손잡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막는 폐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씨앗통 개폐기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배출구를 막고 있던 폐쇄부 역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개방시켜, 씨앗통 내의 씨앗을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하지만,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621호에 개시된 씨앗통 개폐기는, 씨앗통 개폐기를 아래쪽으로 당겨 씨앗통 개폐기를 폄으로써 폐쇄부가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방시키고, 역으로 씨앗통 개폐기를 위로 당겨 씨앗통 개폐기를 원상태로 접음로써 폐쇄부가 씨앗통의 배출구를 막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씨앗통 개폐기가 반복적인 절첩 작동으로 인해 헐거워져 형상 유지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폐쇄부가 씨앗통의 배출구를 견고히 막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씨앗통에서 씨앗이 임의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씨앗 심는 삽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0751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621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운작업을 통해 형성된 홈으로 씨앗을 뿌려 심을 수 있도록 한 씨앗 심는 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자루에 구비된 씨앗통의 배출구를 견고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씨앗의 배출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씨앗 심는 삽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은, 땅을 경운할 수 있는 삽판과, 삽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그 내부를 통해 씨앗을 땅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삽자루를 포함하는 삽에 있어서, 삽은, 삽자루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그 내부의 씨앗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씨앗통; 및 삽자루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씨앗 심는 삽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개폐부재는, 삽자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작동로드; 작동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작동로드에 구비되는 한편 그 양단부가 각각 작동로드와 삽자루에 지지되어 이동된 작동로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자루에는 작동로드가 관통 결합되어 작동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삽에는 씨앗을 심는 땅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이 더 구비되되, 측정수단은, 삽자루에 나사 결합되어 삽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로드; 및 승강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씨앗을 심고자하는 땅과 접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에 의하면, 삽판으로 밭의 흙을 경운시켜서 생긴 홈으로 씨앗통 내의 씨앗을 삽자루를 통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씨앗통의 배출구와 삽자루의 유입구를 견고하게 개폐시켜 줌으로써 씨앗의 임의적인 배출을 방지하여 씨앗의 배출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삽을 45°~ 60°정도의 각도로 위치시킨 후 발로 밟아 일정 깊이까지 눌러 삽자루를 지면과 90°정도의 위치까지 제끼는 경운작업 후 손잡이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통해 씨앗을 배출시키는 동작만으로 파종이 끝나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파종이 끝난 후 파종의 흔적이 남지 않게 되므로 비둘기 등 야생조수로부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씨앗통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편의데로 용도에 따라 삽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통이 개방된 씨앗 심는 삽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의 분리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의 작동도로서, 도 5는 흙을 파내는 과정의 동작이고, 도 6은 파인 흙의 홈에 씨앗을 심는 과정의 동작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씨앗 심는 삽(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을 경운할 수 있는 삽판(140)과, 삽판(14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삽자루(110)를 포함한다.
삽판(140)은 밭의 흙을 잘 경운할 수 있는 통상적인 삽판의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삽자루(110)는 중공부재로 형성되는 한편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삽판(140)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삽자루(110)는 그 상단부가 손잡이에 의해 폐쇄되고, 하단부는 삽판(140)의 배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삽판(140)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개구됨으로써 씨앗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즉 삽판(140)의 배면부와 결합되는 상기 하단부의 말단은 씨앗이 경운공간으로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는 투입되는 씨앗이 경운공간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삽판의 후면부를 향하여 완만한 곡률을 갖는 안내부(150)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씨앗은 상기 안내부(150)를 통과하면서 삽판의 배면과 접하면서 삽판의 배면을 따라 경운공간으로 안전하게 안착하게 된다.
한편, 삽자루(110)의 전면부에는 씨앗통(200)이 구비되고, 삽자루(110)와 마주하는 씨앗통(200)의 후면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씨앗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201)가 형성된다.
특히, 씨앗통(200)의 후면부는 삽자루(110)에 대응한 원호의 홈으로 형성되고, 그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하로 돌출된 연장부(202)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202)는 삽자루(110)에 접한 상태로 링형태의 클램프(210)로서 삽자루(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씨앗통(200)의 연장부(202)를 삽자루(110)에 결합 고정시키는 클램프(210)는 그 양단부가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씨앗통(200)의 배출구(201)에 대응한 삽자루(110)의 전면부에는 씨앗통(200)의 배출구(201)를 통해 배출된 씨앗이 삽자루(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1)에는 삽자루(110) 내부로 씨앗의 유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브라켓이 씨앗통(200)의 배출구(20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삽자루(110)의 전면부에는 씨앗통(200)의 배출구(201)를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30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00)는, 삽자루(110)의 전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작동로드(310)와, 작동로드(3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작동로드(31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311)와, 작동로드(3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씨앗통(200)의 배출구(201)를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313)과, 작동로드(310)에 구비되어 상승된 작동로드(31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삽자루(110)의 전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로드(310)는 삽자루(110)에 일정간격마다 구비된 링형상의 가이드부재(120)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00)의 손잡이부(311)는 작동로드(310)의 상단부 양편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동로드(310)의 상승을 용이케 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 이라 한다)(320)으로서, 삽자루(110)의 일측 가이드부재(120)와 작동로드(310)에 고정되게 설치된 걸림돌부(312)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로드(310)의 상승 시 스프링(320)은 작동로드(310)와 같이 상승되는 걸림돌부(312)에 의해서 가이드부재(120)와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작동로드(310)를 상승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320)이 인장되면서 걸림돌부(312)를 밀어내 작동로드(310)를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작동로드(310)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로드(310)에 의해서 개폐판(313) 역시도 작동로드(310)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씨앗통(200)의 배출구(201)를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개폐부재의 작동로드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넘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120)에 저지되도록 상기 작동로드에는 스토퍼(3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삽(100)에는 씨앗을 심는 땅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인 높이측정부재(4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높이측정부재(400)는, 삽자루(110)의 후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된 너트부재(130)에 나사 결합되어 삽자루(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로드(410)와, 승강로드(4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씨앗을 심고자하는 땅과 접하는 바닥판(420)을 포함한다.
삽자루(110) 후면부에는 복수개 이상의 너트부재(130)가 일정간격마다 용접 등이 고정수단을 통해서 고정되게 설치되고, 너트부재(130)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로드(410)는 무두볼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승강로드(410)의 하단부에는 바닥판(420)이 용접 등을 통해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심고자하는 땅의 깊이에 맞게 바닥판(420)의 위치를 조절하여 땅의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씨앗을 일정한 깊이로 심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심는 삽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씨앗을 심을 때에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씨앗 심는 삽(100)을 이용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밭의 흙을 경운시킨다.
경운의 과정은 삽을 45°~ 60°정도의 각도로 위치시킨 후 발로 밟아 일정 깊이까지 누른 후 삽자루를 지면과 90°정도의 위치까지 밀어 경운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운작업 후 삽을 땅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흙을 경운한 후, 개폐부재(300)의 손잡이부(311)를 위로 당겨 작동로드(310)를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작동로드(310)에 의해서 일측의 가이드부재(120)와 걸림돌부(312)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320)이 압축되면서 작동로드(310) 하단부의 개폐판(313)이 작동로드(310)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폐판(313)의 상승으로 인해 씨앗통(200)의 배출구(201)는 개방되고, 개방된 배출구(201)를 통해서 씨앗통(200) 내에 저장된 씨앗이 배출되어 삽자루(110)의 유입구(111)로 바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구(111)를 통해 삽자루(110) 내부로 유입된 씨앗은 중공의 삽자루(110)를 통해서 삽판(140)의 배면부에 위치한 삽자루(110)의 하단부를 통해서 경운공간, 즉 홈으로 공급되어 심어진다.
이때, 씨앗이 심어지는 흙의 깊이는 삽(100)의 배면부에 구비된 높이측정부재(400)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즉, 씨앗을 심고자하는 깊이에 따라 높이측정부재(400)의 승강로드(410)를 삽자루(110)의 너트부재(130)에서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파헤쳐진 흙의 홈 내부로 높이측정부재(400)의 바닥판(420)이 흙에 접할 때까지 삽(100)을 삽입시켜 경운공간의 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정한 깊이로 파헤쳐진 흙에 씨앗을 심음으로써 씨앗을 일정한 깊이로 균일하게 심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씨앗 심는 삽 110 : 삽자루
111 : 유입구 120 : 가이드부재
130 : 너트부재 140 : 삽판
150: 안내부
200 : 씨앗통 201 : 배출구
202 : 연장부 210 : 클램프
300 : 개폐부재 310 : 작동로드
311 : 손잡이부 312 : 걸림돌부
313 : 개폐판 314: 스토퍼
320 : 스프링
400 : 높이측정부재 410 : 승강로드
420 : 바닥판

Claims (5)

  1. 땅을 경운할 수 있는 삽판과, 삽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그 내부를 통해 씨앗을 땅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삽자루를 포함하는 삽에 있어서,
    삽은, 삽자루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그 내부의 씨앗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씨앗통; 및
    삽자루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자루에는 삽판의 배면을 향하여 곡률을 갖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땅으로 공급되는 씨앗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심는 삽.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부재는, 삽자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작동로드;
    작동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씨앗통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작동로드에 구비되는 한편 그 양단부가 각각 작동로드와 삽자루에 지지되어 이동된 작동로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심는 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삽자루에는 작동로드가 관통 결합되어 작동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심는 삽.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에는 씨앗을 심는 땅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이 더 구비되되,
    측정수단은, 삽자루에 나사 결합되어 삽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로드; 및
    승강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씨앗을 심고자하는 땅과 접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심는 삽.
KR1020140165054A 2014-11-25 2014-11-25 씨앗 심는 삽 KR10150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054A KR101506846B1 (ko) 2014-11-25 2014-11-25 씨앗 심는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054A KR101506846B1 (ko) 2014-11-25 2014-11-25 씨앗 심는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846B1 true KR101506846B1 (ko) 2015-03-27

Family

ID=5302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054A KR101506846B1 (ko) 2014-11-25 2014-11-25 씨앗 심는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8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298A (zh) * 2017-06-20 2017-09-22 朱彩玲 一种农用快速播种铁锹
CN107333495A (zh) * 2017-04-26 2017-11-10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花生播种铲锹
CN113207324A (zh) * 2021-05-27 2021-08-06 胡晨 一种便于种植黄豆的农用铲子
CN114073182A (zh) * 2020-08-19 2022-02-22 怀化恒祺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蔬菜种植用翻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192U (ko) * 1998-11-27 2000-06-26 임옥만 밭작물 파종기
KR200430751Y1 (ko) * 2006-06-09 2006-11-13 양태진 씨앗 심는 삽
JP3143993U (ja) * 2008-05-13 2008-08-14 池邊商事株式会社 定量追肥ショベルスコ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192U (ko) * 1998-11-27 2000-06-26 임옥만 밭작물 파종기
KR200430751Y1 (ko) * 2006-06-09 2006-11-13 양태진 씨앗 심는 삽
JP3143993U (ja) * 2008-05-13 2008-08-14 池邊商事株式会社 定量追肥ショベルスコップ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3495A (zh) * 2017-04-26 2017-11-10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花生播种铲锹
CN107182298A (zh) * 2017-06-20 2017-09-22 朱彩玲 一种农用快速播种铁锹
CN114073182A (zh) * 2020-08-19 2022-02-22 怀化恒祺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蔬菜种植用翻土装置
CN113207324A (zh) * 2021-05-27 2021-08-06 胡晨 一种便于种植黄豆的农用铲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US9155244B2 (en) Furrow tool for seed placement
KR20200005509A (ko) 종자 자동공급용 수동 파종기
KR101782017B1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101689533B1 (ko) 마늘 파종기
CN201414295Y (zh) 钎插式追肥器械
US6659027B1 (en) Seed and feed dispenser
KR101605462B1 (ko) 파종용 삽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20180097409A (ko) 개량형 파종기
KR20150105873A (ko) 수동식 파종기
US10897843B1 (en) Apparatus for planting seeds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KR20150109513A (ko) 파종기
KR102029279B1 (ko) 씨앗 보식기
JP6072923B2 (ja) 顆粒状粒子を施用するためのポータブルシステム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102130625B1 (ko) 비료주입량 조절이 가능한 비료주입장치
KR20150108726A (ko) 파종기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KR100796389B1 (ko)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20140002598U (ko) 입식 파종기
KR20210133499A (ko) 파종기
KR20100009077U (ko) 모래가 복토되는 파종기
KR101958765B1 (ko)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