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89B1 -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89B1
KR100796389B1 KR1020060034769A KR20060034769A KR100796389B1 KR 100796389 B1 KR100796389 B1 KR 100796389B1 KR 1020060034769 A KR1020060034769 A KR 1020060034769A KR 20060034769 A KR20060034769 A KR 20060034769A KR 100796389 B1 KR100796389 B1 KR 10079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guide tube
variable
cov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099A (ko
Inventor
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기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기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기건
Priority to KR102006003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8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지 면의 굴곡에 따라 비료 안내관이 가변됨으로써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한 채 시비할 수 있고, 비료 배출기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비료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농지 면과 밀착되도록 그 기울기가 가변되고 비료 고랑을 형성하는 전방 작조기와, 비료 고랑에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시비장치가 그 프레임 상에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있어서, 전방 작조기 후방에 설치되어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가로대와, 비료 고랑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가로대 상에 취부된 비료 배출관과, 비료 배출관에 그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비장치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비장치, 전방 작조기, 가로대, 슬라이드, 비료 안내관

Description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DIRECT SEEDER WITH APPARATUS HAVING VARIABLE FERTILIZER GUIDE TU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상세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정지판
31: 비료 수납통 32a: 비료 배출기
33a: 가변형 비료 안내관 34: 가로대
35: 비료 배출관 36: 슬라이드 관
37: 슬라이드 봉 38: 조임구
41: 복토재통 41a: 복토재 배출구
42: 복토재배출기 43: 배출관
50: 흙 메움 장치 60: 작업선 표시장치
70: 비료 고랑 성형장치 100: 복토직파기
본 발명은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지 면의 굴곡에 따라 비료 안내관이 가변됨으로써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한 채 시비할 수 있고, 비료 배출기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후방에 견인된 채 사용되는 복토 직파기는 농지 면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과 고랑을 형성하여 종자를 파종하는 작업 및 파종 된 종자를 복토하는 작업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복토 직파기는 파종 전에 일정량의 비료를 시비할 수 있도록 시비장치가 마련된다.
즉, 종래 시비장치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고 그 내측에 비료가 수납된 비료 수납통과, 비료 수납통 하부에 설치되고 정량의 비료를 배출하기 위한 비료 배출기 및 그 끝단이 프레임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비료 배출기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비료 고랑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 시비장치는 비료 배출기의 구동에 의해 비료 수납통으로부터 일정량의 비료가 하향 배출되고, 비료 안내관을 통해 비료 고랑 측으로 안내되어 시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농지 면이 경사졌거나 굴곡이 있는 경우 종래 시비장치는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이 있었다.
트랙터에 의해 구속된 채 견인되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은 트랙터와 일체로 움직이게 되고,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나 굴곡 정도에 따라 기울게 된다. 이에 반하여, 농지 면을 평탄하게 고르거나 비료 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전방 작조기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 상에 힌지결합된 상태이므로 복토 직파기가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나 굴곡 정도에 따라 기울게 된다.
즉,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 면과 복토 직파기가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 정도나 굴곡 정도가 다를 경우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과 프레임 상에 힌지결합된 전방 작조기는 그 기울기가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시비장치는 그 비료 안내관이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 하단에 고정 설치된 관계로 트랙터의 좌우 유동에 따라 그 기울기가 결정됨으로써 시비하고자 하는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비료 안내관을 통해 배출된 비료가 비료 고랑을 벗어나 시비되는 등 시비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농지 면의 굴곡에 따라 비료 안내관이 가변됨으로써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한 채 시비할 수 있고 비료 배출기로부터 배출된 비료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여 시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를 제공하는 데 있 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농지 면과 밀착되도록 그 기울기가 가변되고 비료 고랑을 형성하는 전방 작조기와 비료 고랑에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시비장치가 그 프레임 상에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있어서, 전방 작조기 후방에 설치되어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가로대와, 비료 고랑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가로대 상에 취부된 비료 배출관과, 비료 배출관에 그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비장치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대는 전방 작조기 후방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시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전방 작조기 후방에 장착된 슬라이드 관과, 슬라이드 관에 삽입 내재되고 가로대에 장착된 슬라이드 봉 및 슬라이드 봉을 조여 슬라이드 관에 고정 위치시키기 위한 조임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상세도,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농지 면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과, 비료 고랑 및 종자 고랑을 형성하여 종자를 직파하는 작업 및 직파 된 종자를 복토하기 위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토 직파기(100)에 구현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은 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체 동력에 의해 주행하며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장치에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복토 직파기(100)는 트랙터(미도시)에 의해 견인되며 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장착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종자를 직파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고랑형성돌기(미도시)가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정지판(20)이 구비된다.
또, 복토 직파기(100)는 프레임(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시비하기 위한 비료를 수납하기 위한 비료 수납통(31)과, 비료 수납통(31) 하부에 설치되며 정량의 비료가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비료 배출기(32a)와, 비료(32a)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비료 고랑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으로 이루어진 시비장치(미부호)가 구비된다.
또한, 복토 직파기(100)는 프레임(10) 전방 하단에 설치되며 트랙터의 바퀴자국 양측으로부터 흙을 쳐 올려 쇄토(碎土)된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바퀴자국을 메우기 위한 로터리식 흙 메움 장치(50)가 구비된다.
또, 복토 직파기(100)는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주 행시 농지 면에 작업 선(線)을 그어 표시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 공간과 작업할 공간을 구분토록 하고, 그에 따라 다음 작업시 주행안내 선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작업선 표시장치(60)가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복토 직파기(100)는 시비장치의 비료 안내관(33a)을 통하여 안내된 비료를 농지 면에 일정 깊이로 시비할 수 있도록 비료 고랑을 성형하기 위한 비료 고랑 성형장치(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토 직파기(100)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며 복토재가 수납된 복토재통(41)과, 복토재통(41) 하부에 설치되어 복토재의 균일 배출을 제어하는 복토재 균일 배출기(42)와, 배출된 복토재를 유도하여 고랑에 직파 된 종자를 복토하기 위한 배출관(43)으로 이루어진 복토재 배출장치(미부호)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로터리식 흙 메움 장치(50)와 비료 고랑 성형장치(70)는 전방 작조기를 구성하며, 전방 작조기는 농지 면과 밀착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10) 상에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전방 작조기는 그 중간 부분이 프레임(10) 상에 힌지결합되어 농지 면을 따라 좌우로 유동 됨으로써 농지 면과 밀착되게 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장치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비료가 수납된 비료 수납통(31)과, 비료 수납통(31) 하부에 설치되고 정량의 비료를 배출하기 위한 비료 배출기(32a)와, 비료 배출기(32a)로부터 배출된 비 료를 비료 고랑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은 비료 시비시 그 끝단이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농지 면과 밀착된 상태로 작업하는 전방 작조기 후방에 설치되어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가로대(34)와, 비료 고랑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가로대(34)에 취부된 비료 배출관(35) 및, 비료 배출관(35) 내에 그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비료 배출기(32a)와 연결된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이 비료 배출관(35)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농지 면의 기운 정도에 따라 가변 되게 된다.
한편, 가로대(34)와 전방 작조기 후방 간에는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부재가 구비되는데, 가변부재는 전방 작조기 후방에 장착된 슬라이드 관(36)과, 이 슬라이드 관(36)에 삽입 내재되고 가로대(34)에 장착된 슬라이드 봉(37) 및 슬라이드 봉(37)을 조여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구(38)가 슬라이드 관(36) 상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가로대(34)를 앞뒤로 조절하여 비료 배출관(3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비료 배출관(35)으로부터 배출되는 비료가 비료 고랑 측으로 정확히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의 작동 상태도 이다.
트랙터에 의해 구속된 채 견인되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10)은 트랙터와 일 체로 움직이게 되고,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나 굴곡 정도에 따라 기울게 된다. 이에 반하여, 전방 작조기(A)는 좌우로 유동가능하도록 프레임(10) 상에 힌지(h)결합된 상태이므로 복토 직파기의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나 굴곡 정도에 따라 기울게 된다.
즉,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 면과 복토 직파기가 위치한 농지 면의 경사 정도나 굴곡 정도가 다를 경우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 상에 힌지결합된 전방 작조기(A)는 그 기울기가 다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10)과 전방 작조기(A)의 기울기가 상호 다르더라도 비료 배출관(35) 끝단의 높이가 농지 면으로부터 항상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비료 배출기(32a)로부터 배출된 비료가 비료 고랑 측으로 정확히 안내되도록 하였다.
즉, 전방 작조기(A)의 후방에 가로대(34)를 설치하고, 비료 고랑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가로대(34) 상에 비료 배출관(35)이 취부함으로써, 비료 배출관(35) 끝단이 농지 면과 항상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변형 비료 안내관(33a)의 단부가 비료 배출관(35)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토 직파기의 프레임(10)과 전방 작조기(A)의 기울기가 다르더라도 비료 안내관(33a)이 비료 배출관(35) 내에서 소정 부분 슬라이드 되어 가변됨으로써 비료 배출기(32a)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비료 고랑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료 배출관이 전방작조기에 취부됨으로써 농지면과 항상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비료 배출기로부터 연장 형성된 비료 안내관이 비료 배출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트랙터에 의한 견인시 농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비료 배출관 측으로 안정적으로 비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농지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항상 시비가 이루어짐으로써 시비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료 배출관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소정 간격 조절할 수 있어 작업 환경에 맞게 시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농지 면과 밀착되도록 그 기울기가 가변되고 비료 고랑을 형성하는 전방 작조기와 상기 비료 고랑에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시비장치가 그 프레임 상에 구비된 복토 직파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작조기 후방에 설치되어 농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가로대와,
    상기 비료 고랑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가로대 상에 취부된 비료 배출관과,
    상기 비료 배출관에 그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비장치로부터 배출된 비료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상기 전방 작조기 후방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시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작조기 후방에 장착된 슬라이드 관과, 상기 슬라이드 관에 삽입 내재되고 상기 가로대에 장착된 슬라이드 봉 및 상기 슬라이드 봉을 조여 상기 슬라이드 관에 고정 위치시키기 위한 조임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20060034769A 2006-04-18 2006-04-18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079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69A KR100796389B1 (ko) 2006-04-18 2006-04-18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69A KR100796389B1 (ko) 2006-04-18 2006-04-18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099A KR20070103099A (ko) 2007-10-23
KR100796389B1 true KR100796389B1 (ko) 2008-01-22

Family

ID=3881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769A KR100796389B1 (ko) 2006-04-18 2006-04-18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687A (zh) * 2018-08-17 2018-12-21 绩溪袁稻农业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稻种植用播种设备
CN110140483B (zh) * 2019-07-02 2020-10-02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水稻插秧同步施肥机开沟施肥及覆土装置
CN110679245A (zh) * 2019-10-17 2020-01-14 宿州学院 一种自动播种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14A (ja) 1997-07-04 1999-01-26 Aguri Techno Yazaki Kk 乾田直播装置及び直播方法
KR100321095B1 (ko) 1999-07-08 2002-03-18 선길웅 다용도 직파기
KR200283857Y1 (ko) 2002-04-29 2002-08-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작용 복토직파기
KR100553033B1 (ko) 2003-12-24 2006-02-17 노오섭 복토직파기
KR100643202B1 (ko) 2005-10-20 2006-11-23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직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14A (ja) 1997-07-04 1999-01-26 Aguri Techno Yazaki Kk 乾田直播装置及び直播方法
KR100321095B1 (ko) 1999-07-08 2002-03-18 선길웅 다용도 직파기
KR200283857Y1 (ko) 2002-04-29 2002-08-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작용 복토직파기
KR100553033B1 (ko) 2003-12-24 2006-02-17 노오섭 복토직파기
KR100643202B1 (ko) 2005-10-20 2006-11-23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직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099A (ko) 200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202B1 (ko) 직파기
JP5577552B2 (ja) 施肥できる農作業機
KR101255151B1 (ko)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CA2824410C (en) Molded ribs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tank
KR100796389B1 (ko)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1651067B1 (ko) 승용식 점파 파종 및 시비장치의 시비홈 복토기구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KR20180097409A (ko) 개량형 파종기
KR101880949B1 (ko) 작업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파종기
KR200449730Y1 (ko) 파종기에서 복토용 흙의 공급량 조절장치
JP6559978B2 (ja) 播種機
KR101423600B1 (ko) 파종기의 종자 및 비료 원활 배출장치
KR100688934B1 (ko) 농약 살포기가 구비된 복토 직파기
CN106717356B (zh) 一种小区播种机
CN211792825U (zh) 一种可调式双行播种机
CN209201480U (zh) 一种手拉式耕地起垄施肥机
JP3590934B2 (ja) 施肥機を利用した水稲湛水直播き方法及びその播種機
CN220858885U (zh) 一种种苗育苗盘精量穴播机
KR200232978Y1 (ko) 파종기
JP4570721B2 (ja) 播種機用粒状物散布装置
KR100796388B1 (ko) 종자 결주 방지장치가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1409284B1 (ko) 파종모듈용 위치조절기구
CN213187152U (zh) 一种新型土豆播种机
KR200329334Y1 (ko) 볍씨 파종기
RU130779U1 (ru) Сошник для разбросного посе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