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033B1 - 복토직파기 - Google Patents

복토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033B1
KR100553033B1 KR1020040098018A KR20040098018A KR100553033B1 KR 100553033 B1 KR100553033 B1 KR 100553033B1 KR 1020040098018 A KR1020040098018 A KR 1020040098018A KR 20040098018 A KR20040098018 A KR 20040098018A KR 100553033 B1 KR100553033 B1 KR 10055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unit
seed
cov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293A (ko
Inventor
노오섭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노오섭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섭,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노오섭
Publication of KR2005006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01B49/065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the soil-working tools being active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4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2Apparatus for sowing fertiliser; Fertiliser dr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Abstract

본 발명은
뼈대 구조물인 메인프레임과, 종자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종자고랑파기 유닛과,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파종유닛과, 파종된 종자위에 복토재를 덮기 위한 복토유닛과, 파종유닛과 복토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유닛으로 구성된 복토직파기에 있어서;
상기 복토직파기에 시비유닛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이 시비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비료고랑형성돌기가 형성된 비료고랑파기 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료통; 상기 비료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유닛의 동력에 의해 정량의 비료를 일정간격으로 배출되게 하는 비료배출기; 상기 비료배출기로 부터 배출되는 비료고랑으로 투입되게 안내하는 비료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25460321-pat00024
직파기, 복토직파기, 시비장치, 차단장치

Description

복토직파기 {Direct seeder}
도 1은 종래 복토직파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복토직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복토직파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복토직파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고랑파기 유닛과 종자고랑파기 유닛의 제 1구성도
도 7은 상기 도 6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상기 도 7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후방함체가 수평상태일 때의 상태도
도 9는 상기 도 7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후방함체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의 상태도
도 10은 상기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클러치 단속스위치의 단속적 상태도
도 11은 상기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클러치 단속스위치의 단속후 상태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토재배출관용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배출관용 개폐장치로서, 닫힌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배출관용 개폐장치로서, 열린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료고랑파기 유닛과 종자고랑파기 유닛의 제 2구성도
도 17은 상기 도 16의 정면도
도 18 및 도 19는 상기 도 17의 작동상태도
도 20은 스크류컨베이어의 피칭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유닛 및 동력차단장치의 구성도
도 22는 제 1, 2전자클러치의 상세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트랙터 100:메인프레임 200:종자고랑파기 유닛
602:전방함체 602a:전방횡바 220:후방함체
221:종자고랑형성돌기 300:파종유닛 310:종자통
320:종자배출기 331:제2소켓 400:복토유닛
410:복토재통 420:복토재배출관 421:제3소켓
601 : 비료고랑파기 유닛 602 : 비료고랑형성 롤러
500:동력유닛 600:시비유닛 603,603a:비료고랑형성돌기
610:비료통 620:비료배출기 630:비료배출관
631:제1소켓 700:동력차단장치 810,820:개폐장치
90:스크류컨베이어
본 발명은 파종작업 및 복토작업이 가능한 복토직파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시비기능이 부가된 것과 직파기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렸을 때 종자, 복토재, 비료의 배출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기능이 부가된 것에 주요 특징을 갖는 복토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직파기(direct seeder)는 트랙터의 후방에 견인된 채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면서 재배지에 종자를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견인식 농기계로서, 이전의 직파기는 경운장치 및 써레장치가 겸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 및 구매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12927호에 기재되어 있고 본원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지면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 및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작조판(10)과, 종자고랑에 정량의 종자를 파종하여 주는 파종기(20)와, 파종된 종자를 흙 또는 규산질비료 등의 복토재로서 덮어주는 복토기(30)로 단순 구성된 복토직파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복토직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째, 시비장치가 없다.
종래의 복토직파기에는 비료를 뿌려주는 시비장치가 없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해 비료를 흩뿌림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으나, 흩뿌림 방식은 비료유실량이 많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 이에 따라 별도의 시비기를 이용하여 시비(施肥)작업을 하였으나, 시비기를 이용한 시비작업은 흩뿌림 방식에 비해 비료유실량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작업자가 시비기를 직접 들고 다니면서 시비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또 시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 째, 종자 및 복토재의 자동차단장치가 없다.
파종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트랙터(1)에 의해 직파기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종자 및 복토재가 배출되지 않게 하려면 트랙터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차단레버(미도시)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해서 직파기로 통하는 유압공급라인을 차단해줌으로써 종자통(21)과 복토재통(31)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기(22,32)의 구동축(23,33)을 정지시켜서 종자 및 복토재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하지만, 직파기를 들어올리기 전에 유압차단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그 시점에서 종자와 복토재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재배지의 일정구간에서 파종 및 복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반대로 직파기를 들어올린 이후에 유압차단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직파기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종자 및 복토재가 불필요하게 배출되므로 종자 및 복토재가 유실되며, 유압차단레버를 조작하지 않거나 또는 조작시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종자 및 복토재의 유실량이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유압조절레버의 조작은 어느정도의 숙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세 째, 트랙터로 부터 직파기로의 동력전달방식이 유압방식이기 때문에 정확 한 동력전달이 어렵다.
직파기의 기어박스(미도시), 복토재통(31)의 스크류샤프트(34) 등은 각각의 유압모터에 의해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때 유압모터의 유압은 트랙터(1)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트랙터가 노후되면 트랙터로 부터의 유압공급이 불규칙하게 되므로 기어박스에 연계된 종자배출기(22)의 구동축(23)과 스크류샤프트(34)의 회전속도가 불규칙하게 되어 파종간격 및 복토재의 배출량도 불규칙하게 된다.
네 째, 트랙터 바퀴의 교체가 어렵다.
기존의 트랙터 바퀴는 재배지에서의 바퀴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광폭형의 고무바퀴 대신에 슬림형의 쇠바퀴(2)로 교환하여 사용하였으나, 고무바퀴를 쇠바퀴로 바꿔끼는 작업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쇠바퀴 및 고무바퀴 자체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이를 교체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다섯 째, 종자배출관과 복토재 배출관의 출구차단장치가 없다.
종자배출기(22)의 구동축(23)과 복토재 배출장치(32)의 구동축(34)을 정지시켜 종자와 복토재가 배출되지 못하게 하더라도 종자배출관(24)과 복토재 배출관(35)내에 남아있던 잔여의 종자 및 복토재는 별도로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 째, 작조판이 쉽게 손상된다.
종래 직파기의 작조판(10)은 박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지에 있는 돌과의 충돌로 인해 쉽게 변형 및 파손되어 교체가 잦다. 이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비료를 주기 위한 시비기능이 부가된 복토직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직파기를 들어 올렸을 때 트랙터로 부터 직파기로의 전달동력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종자, 복토재, 비료의 배출이 정확한 시점에서 중지되도록 한 복토직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여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복토직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뼈대 구조물인 메인프레임과, 종자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종자고랑파기 유닛과,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파종유닛과, 파종된 종자위에 복토재를 덮기 위한 복토유닛과, 파종유닛과 복토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유닛으로 구성된 복토직파기에 있어서;
상기 복토직파기에 시비유닛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이 시비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비료고랑형성돌기가 형성된 비료고랑파기 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료통; 상기 비료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유닛의 동력에 의해 정량의 비료를 일정간격으로 배출되게 하는 비료배출기; 상기 비료배출기로 부터 배출되는 비료고랑으로 투입되게 안내하는 비료배출관;으로 이루어지므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은,
삭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하측에 지면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전방함체와, 이 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여러줄의 비료고랑을 형성하는 비료고랑형성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고랑파기 유닛은,
선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핀(pin) 결합되어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후방함체와, 상기 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와는 어긋나게 배열되어 비료고랑의 사이사이에 여러줄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종자고랑형성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함체의 후단은 연결구에 의해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는 그 하단이 후방함체의 후단과 핀 결합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홀더에 일정범위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며,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중 홀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하측에 지면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전방횡바와, 이 전방횡바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여러줄의 비료고랑을 형성하는 비료고랑형성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고랑파기 유닛은,
선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핀(pin) 결합되어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후방함체와, 상기 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와는 어긋나게 배열되어 비료고랑의 사이사이에 여러줄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종자고랑형성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횡바는 그 길이방향 중심이 메인프레임에 핀 결합되며, 상기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매달리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토기에 연결되는 복토재배출관과 상기 파종유닛에 연결되는 종자배출관의 각 출구측에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토재배출관의 개폐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복토재배출관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와, 하기의 연결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 구성되고, 개폐부와 연결부의 사이가 종자배출관의 출구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과; 상기 연결부와 후방함체의 후방사이에 연결되어,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가면 개폐부에 의해 복토재배출관을 막게하고, 후방함체의 후방이 올라가면 개폐부에 의해 복토재배출관이 열리도록 조종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종자배출관의 개폐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종자배출관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와, 이 개폐부에 연결되는 작동부로 구성되고, 개폐부와 작동부의 사이가 종자배출관의 출구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과; 상기 후방함체의 후면상에 위아래로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상기 작동부가 위치하는 걸림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토직파기를 들어올렸을 때 파종유닛, 복토유닛, 시비유닛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장치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차단장치는, 상기 복토유닛, 파종유닛, 시비유닛으로의 동력전달축 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 상기 후방함체측에 설치되어 후방함체가 수평상태일 때는 전자클러치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갔을 때는 전자클러치로의 전원이 차단되게 하는 클러치 단속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단속스위치는 상기 연결구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편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의 전방에 스크류 컨베이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롤링 및 피칭수단에 의해 전방횡바와 함게 롤링되며, 전방횡바에 대해 피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링 및 피칭수단은, 상기 전방횡바의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판;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그 하부가 힌지 결합되는 다른 고정판; 상기 전방횡바의 좌우측으로 구비된 브라켓;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용 고정바 상의 좌우측에 하단이 핀 결합되며, 상부는 브라켓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봉; 상기 관통된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복토직파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복토직파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조기의 제 1구성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상기 도 7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후방함체가 수평상태일 때의 상태도이고, 도 9는 상기 도 7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후방함체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의 상태도이며, 도 10은 상기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클러치 단속스위치의 단속적 상태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클러치 단속스위치의 단속후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토재배출관용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배출관용 개폐장치로서, 닫힌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배출관용 개폐장치로서, 열린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조기의 제 2구성도이고, 도 17은 상기 도 16의 정면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상기 도 17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20은 스크류컨베이어의 피칭상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 및 동력차단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2는 제 1, 2전자클러치의 상세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면중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뼈대구조물인 메인프레임(100); 지면상에 종자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종자고랑파기 유닛(200)과;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파종유닛(300)과; 파종된 종자위에 복토재를 덮기 위한 복토유닛(400)과; 파종유닛과 복토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유닛(500);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복토직파기로 부터; 이러한 복토직파기에 시비유닛(600)이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시비유닛(60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횡방향으로 여러개의 비료고랑형성돌기(603)가 형성된 비료고랑파기유닛(601)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료통(610)과; 상기 비료통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유닛(500)의 동력에 의해 정량의 비료를 일정간격으로 배출되게 하는 비료배출기(620)와; 상기 비료배출기로 부터 배출되는 비료가 비료고랑으로 투입되게 안내하는 비료배출관(630)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비료배출관(630)은 그 상부가 비료배출기(620)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후술될 전방함체의 후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비료고랑파기 유닛(601)은 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하측에 지면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전방함체(602)와, 이 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여러줄의 비료고랑을 형성하는 비료고랑형성돌기(6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종자고랑파기 유닛(200)은 선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핀(pin) 결합되어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후방함체(220)와, 상기 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와는 어긋나게 배열되어 비료고랑의 사이사이에 여러줄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종자고랑형성돌기(221)로 구성된다.
상기한 후방함체(220)의 후단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3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되는데,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구(230)는 그 하단이 후방함체(220)의 후단과 핀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되는 홀더(101)에 일정범위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며, 또한 연결구(230)의 외주면중 홀더(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후방함체(220)의 후방이 상하진동될 때 이를 감쇠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2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구(2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구(230)는 대구경부(232)와 소구경부(231)로 구성되되, 대구경부는 홀더(101)의 통공(101a)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홀더의 상측에 위치하며, 반면 소구경부는 홀더의 통공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홀더의 통공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의 구조를 근거할 때, 연결구(230) 및 이에 연결된 후방함체 (220)의 상하유동범위(pitching range)는 소구경부(231)의 길이에 비례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전방함체(602)의 배면에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료배출관(630)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 1소켓(631)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함체(220)의 배면에는 상기 종자배출관(330)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 2소켓(331)과, 상기 복토재배출관(420)이 연결되는 제 3소켓(421)이 설치된다.
상기한 복토재배출관(420)과 종자배출관(330)의 각 출구측에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먼저, 복토재배출관의 개폐장치(810)는 도 14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복토재배출관(420)을 개폐하기 위한 평판형의 개폐부(811a)와, 하기의 연결링크(812)를 연결하기 위한 평판형의 연결부(811b)로 구성되며, 개폐부와 연결부의 사이가 복토재배출관(420)의 출구(420a)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811)과; 상기 연결부(811b)와 후방함체(220)의 후방사이에 연결되어,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가면 개폐부에 의해 종자배출관을 막게하고, 후방함체의 후방이 올라가면 개폐부에 의해 종자배출관이 열리도록 조종하는 연결링크(812);로 구성된다.
다음, 종자배출관(330)의 개폐장치(8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종자배출관(330)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821a)와, 이 개폐부에 연결되는 작동부(821b)로 구성되고, 개폐부와 작동부 사이가 복토재배출관의 출구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821)과; 상기 후방함체(220)의 후면상에 위아래로 구비되 며, 이들 사이에 상기 작동부가 위치하는 걸림돌부(82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비료고랑파기 유닛(601)은 도 16 내지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즉, 전방함체를 대신하여 전방횡바(602a)로 대체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전방횡바(602a)는 전방함체에 비해 부피가 매우 축소된 슬림형으로 되며, 그 저면에 비료고랑형성돌기(603a)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횡바(602a)는 전방함체에 비해 부피가 축소된 관계로 유동성에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전방횡바의 길이방향 중심이 메인프레임(100)에 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핀 결합부(602b)를 중심으로 좌우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프링(602c)으로서 매달리게 결합하므로써 전방횡바가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탄력적인 좌우측의 시소유동(rolling)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 한편, 상기한 동력유닛(5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파기의 전방중앙에 트랙터(1)의 PTO축(3)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좌측과 우측에 제 1출력축(511)과 제 2출력축(512)을 갖는 기어박스(510)와; 상기 제 1출력축(511)과 구동 및 종동치차(521,522)로서 연결되는 제 1종동축(520)과, 상기 제 2출력축(512)과 체인 및 체인기어(531,532)로서 연결되는 제 2종동축(5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종동축(520)은 종자배출기(320) 및 비료배출기(620)를 구 동시키기 위한 구동축(340)과 체인 및 체인기어(351,352)로서 연결되며, 제 2종동축(530)은 상기 복토재통(410) 내에 설치된 스크류샤프트(430)와 체인 및 체인기어(533,534)로서 연결된다.
상기 동력유닛(500)의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유닛(700)은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유닛(500)의 제 1종동축(520)에 설치되어 종동치차(522)와 제 1종동축(520)을 연결 또는 단락시켜주는 제 1전자클러치(710)와, 상기 제 2종동축(530)에 설치되어 제 2종동축상의 체인기어(534A)와 제 2종동축(530)을 연결 또는 단락시켜주는 제 2전자클러치(720)와, 상기 후방함체(220) 측에 설치되어 후방함체가 수평상태일 때는 각 전자클러치(710,72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며,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갔을 때는 각 전자클러치(710,720)로의 전원이 차단되게 하는 클러치 단속스위치(7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단속스위치(730)는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방식을 적용하고, 누름행위는 상기 연결구(230)의 상단에 구비되는 누름편(233)에 의해 행해진다.
참고적으로, 상기한 제 1전자클러치(710)는 제 1종동축(520)의 단부에 베어링(523) 결합되는 종동치차(5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석부(711)와, 상기 종동치차(522)와의 사이에 미세한 틈새(t)를 가지도록 제 1종동축(520)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동력단속부(712)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단속부(712)는 삼각형의 스토퍼 플레이트(713)의 전면상에 컵 형상의 댐퍼케이스(714)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케이스(714) 내에는 러버로 된 댐퍼(715)가 함입되어 있고, 상기 댐퍼케이스(714)는 금속재의 리벳(716)에 의해 스토퍼 플레이트(713)의 후면에 위치한 아마추어 디스크(717)와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제 2전자클러치(720)는 제 2종동축(530)의 단부에 베어링(533) 결합되는 체인기어(53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석부(721)와, 상기 체인기어(534a)와의 사이에 미세한 틈새(t)를 가지도록 제 2종동축(530)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동력단속부(72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한 동력단속부(722)는 삼각형의 스토퍼 플레이트(723)의 저면상에 컵 형상의 댐퍼케이스(724)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케이스(724) 내에는 러버로 된 댐퍼(725)아 함입되어 있고, 상기 댐퍼케이스(724)는 금속재의 리벳(726)에 의해 스토퍼 플레이트(723)의 후면에 위치한 아마추어 디스크(727)와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토직파기는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601)의 전방에 유압동력 또는 기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900)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된다. 여기서, 스크류 컨베이어(900)의 설치조건은 트랙터(1)의 바퀴가 고무바퀴(4)인 경우에 한해서 설치되며, 만일 쇠바퀴인 경우에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굳이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고무바퀴는 광폭바퀴이기 때문에 바퀴가 지나간 자리에 바퀴자국이 크게 나게 되므로 바퀴자국을 평평하게 정지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스크류 컨베이어가 담당하게 된다. 하지만, 쇠바퀴는 바퀴자국이 크게 남지 않으므로 스크류 컨베이어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한 스크류 컨베이어(900)는 전방횡바(602a)와 결합될 경우 피칭(pitching) 및 롤링(rolling)이 가능한 구조로 된다. 이를 위해서, 스크류컨베이어와 전방횡바의 결합관계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야 한다.
상기 전방횡바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고정판(604a)에 대하여 스크류컨베이어용 고정바(910)의 좌우측에 설치된 다른 고정판(920)을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용 고정바(910) 상에는 그 좌우측으로 가이드봉(940)의 하단을 핀(pin)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봉(940)의 상부는 전방횡바(602a) 상에 형성된 브라켓(605a)을 헐거운 상태로 관통되게 하고, 상기 관통된 가이드봉(940)의 상단에는 스프링(930)을 핀에 의해 고정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관계를 감안할 때, 전방횡바(602a)와 스크류 컨베이어(900)는 그 사이드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8 및 도 19에서 처럼 롤링(rolling:좌우유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에 더하여 스크류 컨베이어(900)는 전방횡바에 대해서 상하유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20에서 처럼 전방횡바와는 별개로 피칭(pitching:상하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롤링과 피칭기능은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 작업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토직파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랙터(1)의 PTO축(3)으로 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복토직파기의 기어박스 (510)로 전달되면, 이 기어박스의 제 1출력축(511)에 연결된 제 1종동축(520)과, 제 2출력축(512)에 연결된 제 2종동축(5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출력축(511)과 제 1종동축(520)은 구동 및 종동치차(521,5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또 종동치차(522)와 제 1종동축(520)은 제 1전자클러치(710)에 의해 동력이 연결된 상태에 있는데, 그 연결관계를 보면, 구동치차(521)와 맞물려 항상 회전되는 종동치차(522)에 내장된 전자석부(71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전자석부에 강한 자기흡인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격되어 있던 동력단속부(712)의 스토퍼플레이트(712)와 아마추어 디스크(717)가 중심을 기점으로 휘면서 종동치차(522)에 밀착되므로써 동력단속부는 종동치차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단속부(712)는 상기 제 1종동축(520)과 결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동력단속부의 회전과 함께 제 1종동축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샤프트(430)의 동력을 단속하는 제 2전자클러치(720)의 경우는 제 2종동축(530)과 동력단속부(722)가 결합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체인기어(534a)에 내장된 전자석부(72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자석부(721)에 강한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격되어 있던 동력단속부(722)의 스토퍼플레이트(713)와 아마추어 디스크(717)가 중심을 기점으로 휘면서 체인기어(534a)에 밀착되므로써 체인기어(534a)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전자클러치(710)에 의해 제 1종동축(520)이 회전하게 되면, 이 제 1종동축과 체인 및 체인기어(531,532)로서 연결된 종자배출기(320)의 구동축(340)에 전달되어 종자배출기 및 비료배출기(320,620)가 연동된다. 따라서, 종자통(310)과 비료통(610)에 수용된 종자와 비료가 각 배출장치(320,620)를 거쳐 정량 배출된다.
상기 종자배출기(320)와 비료배출기(620)로 부터 배출되는 종자와 비료는 각각의 종자배출관(330)과 비료배출관(630)을 통해 지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비료는 전방함체(602)의 밑면에 형성된 비료고랑형성돌기(603)에 의해 형성되는 비료고랑을 따라 골뿌림되며, 종자는 상기 후방함체(220) 밑면에 형성된 종자고랑형성돌기(221)에 의해 형성되는 종자고랑에는 상기 종자배출기(320) 및 종자배출관(330)을 통해 배출되는 종자가 골뿌림된다.
이때,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603)와 종자고랑형성돌기(221)는 좌우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형성되는 비료고랑과 종자고랑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골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비료고랑과 종자고랑을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는 이유는 비료와 종자를 같은 위치에 뿌림하게 되면 비료에 의해 종자가 손상되기 때문에 이들은 반드시 격리 뿌림해야 한다.
그리고, 제 2종동축(530)이 회전하게 되면, 제 2종동축과 체인 및 체인기어(533,534)로서 연결된 스크류샤프트(430)가 회전하게 되므로 복토재통(410)의 내부에 수용된 흙 또는 규산질비료(또는 흙 또는 규산질비료의 혼합물)로 된 복토재가 복토재배출관(420)을 통해 지면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복토재배출관(420)은 상기 종자배출관(330)의 직후방에 일렬로 설치되므로 종자와 함께 배출되면서 종자의 윗부분을 덮어주는 복토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종자를 복토재에 의해 덮어줌으로써 종자가 빗물에 떠내려가거나 새 의 먹이로 유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함체(2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즉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연결링크(812)가 복토재배출관(420)의 개폐판(811)의 연결부(811b)를 상향으로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이므로 복토재배출관은 개방된 상태이며, 또 종자배출관(330)의 개폐판(821)은 작동부(821b)가 하측의 걸림돌부(822)에 의해 들어올려져 개방된 상태에 있으므로 각 소켓으로부터 종자와 복토재가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직파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트랙터(1)에 의해 직파기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 후방함체(220)는 자중에 의해 메인프레임(100)과의 힌지 결합부(h)를 기점으로 후방이 하향 회동된다. 이와 함께 후방함체(220)의 후단에 핀 결합된 연결구(230)도 후방함체의 후단과 함게 하강되면서 그 상단에 구비된 누름편(233)에 의해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된 클러치 단속스위치(730)를 눌러주게 되므로써 각 전자클러치의 전자석부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전자클러치(710)의 전자석부(711)에서의 자기력이 상실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있던 동력단속부(712)의 스토퍼 플레이트(713)와 아마추어 디스크(717)가 이전의 곧은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종동치차(522)로부터 이격되므로써 종동치차의 회전력이 제 1종동축(520) 및 구동축(34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써 두 축은 정지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구동축(340)에 의해 동작되는 종자배출기(320)와 비료배출기(620)가 정지하게 되므로 종자와 비료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2전자클러치(720)의 전자석부(721)에서의 자기력이 상실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있던 동력단속부(722)의 스토퍼 플레이트(723)와 아마추어 디스크(727)가 이전의 곧은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체인기어(534a)로 부터 이격되므로써 체인기어는 정지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 체인기어(534a)와 연계된 스크류샤프트(430)가 정지되면서 복토재가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방함체(220)의 후단이 내려가게 되면 연결링크(812)가 후방함체의 후단과 함께 내려가면서 복토재배출관(420)측의 개폐판(811)의 연결부(811b)를 끌어내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부의 반대측은 힌지축(811c)을 기점으로 상승회동되면서 복토재배출관(420)의 출구를 막게 된다.
이와 동시에 종자배출관(330)측의 개폐판(821)은 후방함체(220)의 후방이 내려감에 따라서 상측의 걸림돌부(822)에 의해 작동부(821b)가 눌리면서, 이 작동부의 반대측은 힌지축(821c)을 기점으로 상승회동되면서 종자배출관의 제 2소켓(331)의 출구를 막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없이 종자배출관(330)과 복토재배출관(420)내에 남아있는 종자와 복토재가 배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종자 및 복토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토직파기는 시비장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파종과 동시에 시비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비기를 초가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경감된다.
또한, 직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종자 및 복토재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줌으로써 종자 및 복토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직파기를 구동함에 있어서 기존의 유압구동방식을 배제하고 기계방식으로 바꿈에 따라 동력전달이 확실하다.
또한, 트랙터의 바퀴를 고무바퀴로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쇠바퀴로 교환해야 하는 교환작업이 필요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종자배출관과 복토재배출관의 출구차단장치가 있어서 각 관내에 남아있는 종자 및 복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료고랑파기 유닛이 함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지의 돌과 충돌하더라도 쉽게 변형 및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다.

Claims (14)

  1. 뼈대 구조물인 메인프레임과, 종자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종자고랑파기 유닛과,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파종유닛과, 파종된 종자위에 복토재를 덮기 위한 복토유닛과, 파종유닛과 복토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유닛으로 구성된 복토직파기에 있어서;
    상기 복토직파기에 시비유닛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이 시비유닛(6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비료고랑형성돌기(603)가 형성된 비료고랑파기 유닛(601);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료통(610); 상기 비료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유닛(500)의 동력에 의해 정량의 비료를 일정간격으로 배출되게 하는 비료배출기(620); 상기 비료배출기로 부터 배출되는 비료고랑으로 투입되게 안내하는 비료배출관(6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601)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하측에 지면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전방함체(602)와, 이 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여러줄의 비료고랑을 형성하는 비료고랑형성돌기(603)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고랑파기 유닛(200)은,
    선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핀(pin) 결합되어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후방함체(220)와, 상기 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603)와는 어긋나게 배열되어 비료고랑의 사이사이에 여러줄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종자고랑형성돌기(2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함체(220)의 후단은 연결구(230)에 의해 메인프레임(100)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230)는 그 하단이 후방함체(220)의 후단과 핀 결합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홀더(101)에 일정범위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며,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중 홀더(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완충스프링(240)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고랑파기 유닛(601)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하측에 지면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전방횡바(602a)와, 이 전방횡바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여러줄의 비료고랑을 형성하는 비료고랑형성돌기(603a)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고랑파기 유닛(200)은,
    선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핀(pin) 결합되어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인 후방함체(220)와, 상기 후방함체의 밑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비료고랑형성돌기(603a)와는 어긋나게 배열되어 비료고랑의 사이사이에 여러줄의 종자고랑을 형성하는 종자고랑형성돌기(2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횡바(602a)는 그 길이방향 중심이 메인프레임(100)에 핀 결합되며, 상기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프링(602c)을 매개로 매달리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기에 연결되는 복토재배출관(420)과 상기 파종유닛(300)에 연결되는 종자배출관(330)의 각 출구측에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재배출관(420)의 개폐장치(820)는,
    일측과 타측에 복토재배출관(420)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811a)와, 하기의 연결링크(81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811b)로 구성되고, 개폐부와 연결부(811b)의 사이가 복토재배출관(420)의 출구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811)과;
    상기 연결부(811b)와 후방함체(220)의 후방사이에 연결되어,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가면 개폐부(811a)에 의해 복토재배출관(420)을 막게하고, 후방함체의 후방이 올라가면 개폐부에 의해 복토재배출관이 열리도록 조종하는 연결링크(8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배출관의 개폐장치(820)는,
    일측과 타측에 종자배출관(330)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821a)와, 이 개폐부에 연결되는 작동부(821b)로 구성되고, 개폐부와 작동부의 사이가 종자배출관의 출구측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821)과;
    상기 후방함체(220)의 후면상에 위아래로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상기 작동부가 위치하는 걸림돌부(8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9. 제 1항에 있어서,
    복토직파기를 들어올렸을 때 파종유닛(300), 복토유닛(400), 시비유닛(600)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동력차단장치(700)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장치(700)는,
    상기 복토유닛(400), 파종유닛(300), 시비유닛(600)으로의 동력전달축 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710,720); 상기 후방함체(220)측에 설치되어 후방함체가 수평상태일 때는 전자클러치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후방함체의 후방이 내려갔을 때는 전자클러치로의 전원이 차단되게 하는 클러치 단속스위치(7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11. 제 3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단속스위치(730)는 상기 연결구(230)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편(233)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12.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고랑파기유닛(601)의 전방에 스크류컨베이어(9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900)는 롤링 및 피칭수단에 의해 전방횡바와 함께 롤링되며, 전방횡바에 대해 피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및 피칭수단은
    상기 전방횡바(602a)의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판(604a); 상기 스크류컨베이어(90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그 하부가 힌지 결합되는 다른 고정판(920); 상기 전방횡바의 좌우측으로 구비된 브라켓(605a);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용 고정바(910) 상의 좌우측에 하단이 핀 결합되며, 상부는 브라켓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봉(940); 상기 관통된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9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토직파기.
KR1020040098018A 2003-12-24 2004-11-26 복토직파기 KR100553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6586 2003-12-24
KR1020030096586 200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93A KR20050065293A (ko) 2005-06-29
KR100553033B1 true KR100553033B1 (ko) 2006-02-17

Family

ID=3725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018A KR100553033B1 (ko) 2003-12-24 2004-11-26 복토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0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89B1 (ko) 2006-04-18 2008-01-22 주식회사 금강기건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0835926B1 (ko) 2007-06-13 2008-06-09 주식회사 금강기건 복토 직파기
KR101147795B1 (ko) * 2009-07-13 2012-05-29 전형기 복토점파기
KR200461002Y1 (ko) *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KR20120076938A (ko) * 2010-12-30 2012-07-10 지금강 주식회사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WO2012121576A2 (ko) * 2011-03-10 2012-09-13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KR101233767B1 (ko) 2010-10-18 2013-02-1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시비장치가 구비된 무논 복토점파기
WO2014003227A1 (ko) * 2012-06-27 2014-01-03 지금강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202B1 (ko) 2005-10-20 2006-11-23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직파기
KR100853506B1 (ko) * 2007-01-19 2008-08-21 전애자 직파기
CN102388702B (zh) * 2011-09-27 2013-06-12 山东理工大学 小麦播种用组合式开沟器
CN103477742B (zh) * 2013-09-24 2015-09-30 杨义华 小麦铲耕播种机
CN105210506A (zh) * 2015-10-10 2016-01-06 安徽兆鑫集团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防止缠绕铲柱的播种机
CN105123040A (zh) * 2015-10-26 2015-12-09 天津玉盈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免耕播种机
CN106612666B (zh) * 2016-12-23 2018-11-16 河北永发鸿田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农业大数据用土地施肥装置
CN108617174A (zh) * 2018-07-14 2018-10-09 台州市洲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农用翻土一体机
CN109196988B (zh) * 2018-10-30 2024-04-26 安徽农业大学 一种旋耕开沟施肥播种镇压喷药多功能旱直播机
CN115316099A (zh) * 2022-08-02 2022-11-11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拖拽管式液态粪肥施用装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89B1 (ko) 2006-04-18 2008-01-22 주식회사 금강기건 가변형 비료 안내관이 구비된 복토 직파기
KR100835926B1 (ko) 2007-06-13 2008-06-09 주식회사 금강기건 복토 직파기
KR101147795B1 (ko) * 2009-07-13 2012-05-29 전형기 복토점파기
KR200461002Y1 (ko) *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KR101233767B1 (ko) 2010-10-18 2013-02-1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시비장치가 구비된 무논 복토점파기
KR20120076938A (ko) * 2010-12-30 2012-07-10 지금강 주식회사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KR101595508B1 (ko) * 2010-12-30 2016-02-18 지금강 주식회사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WO2012121576A2 (ko) * 2011-03-10 2012-09-13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WO2012121576A3 (ko) * 2011-03-10 2012-12-20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KR101255151B1 (ko) * 2011-03-10 2013-04-22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WO2014003227A1 (ko) * 2012-06-27 2014-01-03 지금강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93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033B1 (ko) 복토직파기
CN108811623B (zh) 一种玉米播种装置
KR20030071180A (ko) 직파기
KR200219524Y1 (ko)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CN107980299B (zh) 用于油菜钵苗沟槽内纵向控制的移栽方法
KR101320009B1 (ko) 마늘 파종기
CN111819961A (zh) 一种农业播种机
CN101766075B (zh) 独轮花生播种机
CN115428620B (zh) 一种具有种子预埋深度可调功能的播种装置
CN217241381U (zh) 油菜播种装置
CN207612599U (zh) 多功能播种机
KR101301088B1 (ko) 직파기
CN112470570A (zh) 基于物联网的农作物种植用翻土设备
CN217694328U (zh) 开沟施肥机
CN206078037U (zh) 一种全自动谷物播种机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CN201733590U (zh) 一种人工施肥、播种机
US1823244A (en) Planter
KR102522409B1 (ko)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CN220326194U (zh) 一种用于旱田作业的联合整地机
CN108124544A (zh) 一种多功能播种机
KR200433309Y1 (ko) 파종용 쟁기
CN219248539U (zh) 一种油菜种植的播种挖坑一体化设备
JPH0624447B2 (ja) 草地整備工法
JP2003102202A (ja) 高畝形成作業機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高畝形成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