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009B1 - 마늘 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09B1
KR101320009B1 KR1020110091461A KR20110091461A KR101320009B1 KR 101320009 B1 KR101320009 B1 KR 101320009B1 KR 1020110091461 A KR1020110091461 A KR 1020110091461A KR 20110091461 A KR20110091461 A KR 20110091461A KR 101320009 B1 KR101320009 B1 KR 10132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rlic
garlic planter
plate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542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CN201110337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870529A/zh
Publication of KR2013000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6Lateral adjustment of thei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4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의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된 마늘 파종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농기계에 장착되어 마늘을 파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 측에 절곡부가 구비된 로터리날이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장착된 로터리축; 및 상기 로터리날에 의해 튀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의 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터리축을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튐 방지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마늘 파종기의 내구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늘 파종기{SEEDER FOR GARLIC}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마늘 파종 작업시에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고,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하며 유지보수에 따른 부품교환 및 정비가 용이하도록 하는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을 파종함에 있어 복토작업으로 분쇄된 흙을 괭이나 쟁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깊이로 이랑작업하고, 이랑작업으로 형성된 고랑을 따라 마늘을 일정 간격으로 파종한 후 다시 이랑작업을 통해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흙으로 마늘을 덮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마늘을 파종 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이농현상 및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일손이 턱없이 부족함은 물론 괭이나 쟁기 등으로 골을 형성함에 있어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한편, 근자에는 상기에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리기 또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마늘의 공급 및 파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늘파종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마늘이 심어지는 즉시 흙으로 묻어 마늘 파종여부의 확인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마늘 파종률의 변동은 마늘 수확량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종기 대부분이 상용화되지 못하고 한해 사용 후 도태되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또한, 마늘파종기를 사용함에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까다로워 고장에 따른 부품교체 및 소모품의 교체로 인해 발생되는 유지보수비용의 추가부담으로 인해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편리함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부품의 교환, 정비가 용이한 마늘 파종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인 김성수가 2004년 7월 7일자로 출원한 "마늘파종기의 직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축(10), 지지봉(20), 호퍼(30) 및 마감판(40)으로 구성되며, 관리기 또는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장착되어 마늘공급부를 통해 투입되는 마늘을 파종함에 있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마늘이 파종되는 상태를 식별하면서 미파종된 곳에 추가 파종이 가능하여 파종률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마늘 파종기의 직파장치는 복토작업 시,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땅을 부드럽고 고르게 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물질에 의해 기계 동작이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관리기나 경운기 등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이 어려워,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토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마늘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파종기 내부로 튀어 부품이 손상되거나, 동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늘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기나 경운기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늘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기계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결합부재가 구비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마늘 파종기는 별도의 농기계에 장착되어 마늘을 파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 측에 절곡부가 구비된 로터리날이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장착된 로터리축; 및 상기 로터리날에 의해 튀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의 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터리축을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튐 방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리날의 절곡부는 이웃하는 로터리날의 절곡부와 그 절곡방향이 반대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체인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외경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높낮이 조절레버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주 바퀴; 및 상기 높낮이 조절레버의 회전 시 바퀴 측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 측에서 돌출되고 그 끝단부가 본체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면서 회전궤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주 바퀴가 장착된 타측방향에 장착되는 보조 바퀴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만 바퀴 측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구덩이를 파는 마감판이 설치되고, 상기 마감판에는 양 끝단이 직각을 이루는 굴삭날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굴삭날에 부착된 흙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굴삭날의 일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접촉부로 이루어진 흙 털개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는 일측에 농기계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재가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농기계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회전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가로판;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판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을 구성하는 세로판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에는, 일측에 상기 농기계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가 장착된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클러치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에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는 클러치판이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치판은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돌기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종동기어에 형성된 클러치돌기와 맞물리는 클런치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클러치의 끝단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늘 파종기는 회전하는 로터리날의 끝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복토 성능을 향상시키고, 튐 방지판을 부착하여 흙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튀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이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회전축에 끼워지는 체인기어의 내경에는 회전축의 외경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 형상이 구비되어 장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바퀴에는 스토퍼를 장착하여 높낮이 조절레버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보조 바퀴를 장착하여 농기계에서 마늘 파종기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판에 형성되는 굴삭날의 양 끝단이 직각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마늘이 충분하게 누운 상태로 묻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흙 털개에 의해 굴삭날에 부착되는 흙을 털어낼 수 있어 작업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국가마다 서로 다른 결합구조를 농기계에 대응되는 각각의 결합부재를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마늘 파종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마늘 파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늘 파종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터리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튐 방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마감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흙 털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마늘파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결합부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마늘 파종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마늘 파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늘 파종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터리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튐 방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마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흙 털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마늘 파종기의 본체(101)에는 로터리축(110), 튐 방지판(120), 다수개의 회전축(130), 주 바퀴(140), 보조 바퀴(150), 마감판(160), 흙 털개(170) 및 호퍼(18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전방 측이 농기계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고, 로터리축(110)은 본체(101)의 전방 하단부 측에 장착된다. 로터리축(110)은 본체(101)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회전축(130)에 감기는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본체(101)의 잔방 측에는 농기계와 연결되는 결합부재(180)이 장착된다. 결합부재(181)에는 본체(101)에 구비되는 회전축(131)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181)과 본체(101)에 구비되는 고정축(132)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182)이 형성된다.
로터리축(110)은 일측 끝단에 체인이 감기는 체인기어가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로터리축(11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로터리날(111)이 짝을 이루어 열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로터리날(111)이 짝을 이루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터리날(111)의 끝단 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12)가 형성된다. 짝을 이루는 로터리날(111)의 절곡부(112)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도 무관하다. 그리고 로터리날(111)의 절곡부(112)는 이웃하는 로터리날(111)의 절곡부(112)와 그 절곡방향이 반대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 도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로터리축(110)에 이웃하는 위치에 튐 방지판(120)이 장착된다. 튐 방지판(120)은 본체(101)에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21)와, 고정부(121)에서 판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 플레이트부(122)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부(122)는 로터리축(110)의 회전되면서 튀는 흙이나 돌이 본체(101) 의 내부 측을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축(13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축(130)에는 다수개의 체인기어(131)가 끼워져 고정된다. 회전축(130)은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단면 형상이 육각형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130)에 끼워지는 체인기어(131)에는 회전축(130)의 외경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 형상을 갖는다. 회전축(130)이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체인기어(131)를 회전축에 용접으로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회전축(130)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체인기어(131)를 회전축(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축(130)이 장착된다 그 중에서도 마늘을 공급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배동구동축이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후방 측에는 주 바퀴(140)가 장착된다. 주 바퀴(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높낮이 조절레버(141)를 회전시키면 바퀴(142)가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바퀴(14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에서 돌출되고 그 끝단부가 본체(101)의 측면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면서 바퀴(142) 측의 회전궤적을 제한하는 스토퍼(143)가 장착된다.
본체(101)의 전방 측에는 보조 바퀴(150)가 장착된다. 보조 바퀴(150)는 농기계에서 본체(101)가 분리된 상태에서만 바퀴(151)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부(152)가 구비된다. 높낮이 조절부(152)는 바퀴(151)가 고정된 하단축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홀(152a)과, 하단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끼워지는 핀(152b)로 구성된다. 본체(101)가 농기계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하단축의 하단에 위치하는 관통홀(152a)에 핀(152b)이 삽입되도록 하여 바퀴(151)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본체(101)가 농기계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하단축의 상단에 위치한 관통홀(152a)에 핀(152b)가 삽입되도록 하여 바퀴(151)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조 바퀴(15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주 바퀴(140)의 바퀴(142)와 보조 바퀴(150)의 바퀴(151)가 지면에 닿으면서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하단 측에는 마늘을 공급 받아 지면에 투척하는 호퍼(180)가 장착되고, 지면을 향하는 호퍼(180)의 선단에는 마감판(160)이 장착된다. 마감판(160)에는 양 끝단(162)기 직각을 이루는 굴삭날(161)이 구비되어 바닥에 마늘을 심기 위한 구덩이를 판다. 이와 같이 굴삭날(161)의 양 끝단(162)이 직각을 이루는 이유는 파종되는 마늘이 눕혀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굴삭날(161)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땅에 폭이 좁은 구덩이를 파게 되면 마늘이 세워진 상태로 묻히게 되므로 싹이 잘 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하단 측에는 흙 털개(170)가 장착된다. 흙 털개(170)는 굴삭날(161)에 부착된 흙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101)에 장착되는 고정부(171)와, 고정부(171)에 연결되고 굴삭날(161)의 일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접촉부(172)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72)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된 끝단이 굴삭날(161)이 형성된 마감판(160)의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작업 중 마감판(16)에 부착되는 흙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호퍼(180)는 행거에 의해 열렸다 닫혔다 하는 동작이 실시된다. 호퍼(180)는 굴삭날(161)이 땅에 구덩이를 파고 마늘 파종시에 땅에 묻힐 때 마늘을 파종될 자리에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늘 파종기는 기계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마늘 파종 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동이 용이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마늘파종기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전방측에 결합부재(180, 280)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각 국가마다 서로 다른 결합구조를 농기계에 대응되는 각각의 결합부재(180, 280)를 본체(101)에 선택적으로 장착한다. 첫번째 결합부재(180)은 국내에서 사용중인 농기계에 결합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갖고, 두번째 결합부재(280)은 중국에서 사용중인 농기계에 결합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부재(180, 280)은 국내 및 중국에 사용가능한 구조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농기계에 결합가능한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80)는 일측에 결합부를 이루는 다수개의 결합홀(282a)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가로판(282)와, 가로판(28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을 구성하는 세로판(281)으로 구성된다. 가로판(282)에 형성된 결합홈(282a)에 농기기의 결합홈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을 끼워 고정한다.
세로판(281)에는 본체(101)에 형성된 회전축(130)이 끼워지는 장착홀(281a)과, 본체(101)에 형성된 고정축(132)이 끼워지는 장착홀(281b)이 형성된다. 또한 세로판(281)에는 구동축(28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축(283)의 일측에는 농기계 측에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284)가 장착된다. 구동축(283)의 중간부에는 종동기어(28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종동기어(285)는 구동축(2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제한되고, 구동축(283)과는 별개로 회전하는 것은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축(283)은 본체(101)의 전방 측에 형성된 회전축(130)에 구비된 체인기어(131)와 체인으로 연결된다. 구동축(283)의 중간부에는 종동기어(285)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클러치판(286)이 장착된다. 클러치판(286)의 내경은 구동축(2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축(183)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클러치판(286)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돌기에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 되므로, 구동축(283)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특징을 갖는다. 클러치판(286)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에 닿도록 연장되는 클러치(287)의 끝단이 결합되도록 끼움홈(286a)이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판(286)의 일측면에는 종동기어(285)의 일측면에 형성된 클러치돌기(285b)에 맞물리는 클러치돌기(286b)가 형성된다. 각각의 클러치돌기(285b, 296b)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엇갈리게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마늘 파종기는 농기계의 종류에 따라 결합부재(280)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에 적합한 결합부재를 별도로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모든 농기계에 마늘 파종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결합부재(280)에 설치된 클러치(287)이 작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판(286)이 종동기어(285)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종공기어(285)가 구동축(28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구동축(283)의 회전력이 종동기어(285)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농기계의 회전력이 마늘 파종기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마늘 파종기는 동작을 멈춘 상태를 유지한다.
마늘 파종기의 작동을 원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클러치(287)를 가동시켜 클러치판(286)을 종동기어(285) 측으로 이동시킨다. 클러치판(286)이 이동되면 클러치판(286)에 형성된 클러치돌기(286b)가 종동기어(285)에 형성된 클러치돌기(285b)에 맞물린다. 각각의 클러치돌기(285b, 286b)가 서로 맞물려 클러치판(286)과 종동기어(285)는 일시적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283)의 회전력은 클러치판(286)을 통해 종동기어(285)에 전달된다. 그리고 종동기어(285)에 연결된 체인기어(131)가 회전되면서 마늘 파종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교체되는 결합부재(28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조와 작동과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1 : 본체 110 : 로터리 축
111 : 로터리날 120 : 튐 방지판
130 : 회전축 140 : 주 바퀴
150 : 보조 바퀴 160 : 마감판
170 : 흙 털개

Claims (13)

  1. 별도의 농기계에 장착되어 마늘을 파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 측에 절곡부(112)가 구비된 로터리날(111)이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장착된 로터리축(110); 및
    상기 로터리날(111)에 의해 튀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101)의 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터리축(110)을 따라 상기 본체(101) 내부에 장착되는 튐 방지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1)에는
    높낮이 조절레버(141)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주 바퀴(140); 및
    상기 높낮이 조절레버(141)의 회전 시 바퀴(142) 측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142) 측에서 돌출되고 그 끝단부가 본체(101)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면서 회전궤적을 제한하는 스토퍼(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날(111)의 절곡부(112)는 이웃하는 로터리날(111)의 절곡부(112)와 그 절곡방향이 반대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30)은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축(130)에 장착되는 체인기어(131)는 상기 회전축(130)의 외경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주 바퀴(140)가 장착된 타측방향에 장착되는 보조 바퀴(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150)는
    상기 농기계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만 바퀴(151) 측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부(1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농기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구덩이를 파는 마감판(160)이 설치되고, 상기 마감판(160)에는 양 끝단(162)이 직각을 이루는 굴삭날(16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굴삭날(161)에 부착된 흙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1)에 장착되는 고정부(171)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굴삭날(161)의 일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접촉부(172)로 이루어진 흙 털개(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9.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전방측에는
    일측에 농기계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재(180, 280)가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80)에는 상기 농기계에서 상기 본체(101)에 장착된 회전축(130)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287)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80)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결합홀(282a)이 형성되고,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가로판(282); 및
    상기 본체(101)에 결합되는 장착홀(281a, 281b)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판(28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을 구성하는 세로판(28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80)에는,
    일측에 상기 농기계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284)가 장착된 구동축(28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283)에는
    상기 본체(101)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285)와, 상기 클러치(287)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기어(285)에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83)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285)에 전달하는 클러치판(286)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판(286)은
    상기 구동축(28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돌기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종동기어(285)에 형성된 클러치돌기(285b)와 맞물리는 클러치돌기(286b)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클러치(287)의 끝단이 결합되는 끼움홈(28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KR1020110091461A 2011-07-15 2011-09-08 마늘 파종기 KR10132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370882A CN102870529A (zh) 2011-07-15 2011-10-31 大蒜播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15 2011-07-15
KR20110070215 2011-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42A KR20130009542A (ko) 2013-01-23
KR101320009B1 true KR101320009B1 (ko) 2013-10-29

Family

ID=4783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461A KR101320009B1 (ko) 2011-07-15 2011-09-08 마늘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5776B (zh) * 2014-06-05 2015-11-11 山东农业大学 半自动大蒜播种机
KR101700430B1 (ko) * 2015-06-24 2017-01-31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마늘 파종기
CN108934197A (zh) * 2018-08-16 2018-12-07 江苏众创空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改进型农机结构
CN110375979B (zh) * 2019-08-27 2024-05-03 山东农业大学 大蒜播种机勺式取种漏播重播实验台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49Y1 (ko) * 2004-07-07 2004-11-10 김성수 마늘파종기의 직파장치
KR20070083313A (ko) * 2006-02-20 2007-08-24 주식회사 금강기건 로터리식 흙 메움 장치가 구비된 복토 직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49Y1 (ko) * 2004-07-07 2004-11-10 김성수 마늘파종기의 직파장치
KR20070083313A (ko) * 2006-02-20 2007-08-24 주식회사 금강기건 로터리식 흙 메움 장치가 구비된 복토 직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42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009B1 (ko) 마늘 파종기
KR101881004B1 (ko) 수동형 파종장치
KR101859384B1 (ko) 트랙터용 파종장치
KR100553033B1 (ko) 복토직파기
KR20110101950A (ko) 로터리용 배토기
KR20200001388U (ko) 마늘 파종기용 복토장치
JP2015142538A (ja) 播種機の覆土装置
KR20030071180A (ko) 직파기
KR101142797B1 (ko) 두둑 성형기
JP6173825B2 (ja) 降雨後の早い時期に田圃に乾田直播を行える直播機
KR20130042817A (ko) 써래기를 갖춘 트랙터용 배토기
EA009157B1 (ru) Сеялка
CN210130109U (zh) 一种核桃种植用施肥设备
KR101283576B1 (ko) 파종기
KR200473704Y1 (ko) 파종기가 구비되는 농기계의 로터리날
JP7034859B2 (ja) 車輪跡消し装置、及び、作業車両
CN210352104U (zh) 一种新型播种机
KR200221942Y1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KR20170003409U (ko) 원판형 쟁기가 부착된 파종장치
CN203457511U (zh) 旋耕整畦一体机
CN105265050A (zh) 与旋耕机配合的开沟播种器
KR101864212B1 (ko) 비닐 피복 기능이 구비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KR102657992B1 (ko) 좌식의자를 갖는 전동식 씨앗 파종기
CN109874428A (zh) 水稻直播-开沟-整平一体机及其播种方法
KR102657990B1 (ko) 전동식 씨앗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