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409B1 -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 Google Patents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409B1
KR102522409B1 KR1020200184740A KR20200184740A KR102522409B1 KR 102522409 B1 KR102522409 B1 KR 102522409B1 KR 1020200184740 A KR1020200184740 A KR 1020200184740A KR 20200184740 A KR20200184740 A KR 20200184740A KR 102522409 B1 KR102522409 B1 KR 10252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shaft
clutch
power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721A (ko
Inventor
한재헌
Original Assignee
한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헌 filed Critical 한재헌
Priority to KR102020018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4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8Fertiliser distributors with endless chains, i.e. side transporting elements, e.g. auger or screw conveyors, sw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감속기가 탑재되는 받침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바가 연결되는 측면프레임;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감속축의 동력을 체인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에 횡설된 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감속기에 연결된 감속축의 동력을 횡설되는 구동축을 통해 체인으로 전달받아 마늘을 동시 파종하는 다수의 마늘파종유닛;과,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는 마늘저장호퍼;와,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에 횡설된 구동축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축설되는 제1클러치부;와, 상기 감속기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속축에 설치되는 제2클러치부;와, 상기 구동축과 감속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GARLIC SEEDING MACHINE WITH CLUTCH AND GEARBOX}
본 발명은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박스를 통해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제1클러치부를 통해 구동수단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2클러치부를 통해 마늘파종유닛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파종기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도록 한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을 파종함에 있어 복토작업으로 분쇄된 흙을 괭이나 쟁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깊이로 이랑작업하고, 이랑작업으로 형성된 파종골을 따라 마늘을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한 후 흙으로 마늘을 덮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마늘을 파종 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이농현상 및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일손이 턱없이 부족함은 물론 괭이나 쟁기 등으로 골을 형성함에 있어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농업 기술의 발전 및 다양한 농기계의 개발로 인하여 최근에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견인형 마늘파종기를 이용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경운기 또는 트랙터와 같이 자체 주행이 가능한 농기계에 장착되어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마늘종자를 적재하는 종자통과, 종자통에 적재된 마늘종자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버켓과, 지면에 일정한 깊이로 파종홈을 형성하는 쟁기와, 상기 쟁기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쟁기에 의해 형성된 파종홈에 파종된 마늘 종자를 흙으로 덮어주는 복토로터리와, 복토로터리에 의해 복토된 흙을 다져주는 복토판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버켓이 결합된 다수의 체인과, 로터리가 마늘종자통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파종기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분해조립이 어려워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인에 결합된 버켓에는 마늘종자가 2개씩 탑재될 수 있고, 또한 버켓에 탑재된 마늘종자가 이송되면서 낙하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 또한 야기된다.
또한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버켓에 탑재된 마늘종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버켓에 스프링을 매개로 덮개를 연결하여 구성하였으나, 이는 마늘종자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고, 또한 모래나 이물질이 침투되어 덮개가 작동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인에 결합된 버켓의 간격을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27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기어박스를 통해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제1클러치부를 통해 구동수단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2클러치부를 통해 마늘파종유닛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파종기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도록 한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마늘종자의 파종과 복토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파종골을 형성하는 회전디스크와, 파종골을 복토하는 누름롤러가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된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써 마늘파종기에 대해 교체와 증설이 편리한 마늘파종유닛이 다수 설치된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제1버켓에 낙하구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마늘종자가 탑재된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선별하여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마늘종자만을 파종할 수 있고, 또한 제1버켓의 타면에는 다수의 탄성돌기를 형성하여 마늘종자가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늘파종유닛이 다수 설치된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감속기가 탑재되는 받침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바가 연결되는 측면프레임;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감속축의 동력을 체인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에 횡설된 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감속기에 연결된 감속축의 동력을 횡설되는 구동축을 통해 체인으로 전달받아 마늘을 동시 파종하는 다수의 마늘파종유닛;과,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는 마늘저장호퍼;와,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에 횡설된 구동축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축설되는 제1클러치부;와, 상기 감속기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속축에 설치되는 제2클러치부;와, 상기 구동축과 감속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은 하우징의 둘레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체인에 다수의 마늘버켓이 결합되고, 상기 각 마늘버켓은 마늘저장호퍼의 측벽에 노출되어 마늘저장호퍼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상승되는 마늘버켓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파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1클러치부는 상기 기어박스와 체인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축과, 상기 제1동력축과 구동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동력전달관과, 상기 제1동력전달관을 이동시켜 제1동력축과 구동축의 동력전달을 ON/OFF 시키는 제1클러치암과, 상기 제1클러치암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클러치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러치레버는 손잡이바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클러치레버의 조작에 의해 손쉽게 구동축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2클러치부는 상기 기어박스와 스프라켓을 통해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축과, 상기 제2동력축과 감속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동력전달관과, 상기 제2동력전달관을 수평 이동시켜 제2동력축과 감속축의 동력 전달을 ON/OFF 시키는 제2클러치암과,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클러치암을 작동시키는 핸들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제2동력축과 체인 연결되는 스프라켓을 통해 회전하고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는 기어뭉치와, 상기 기어뭉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기어비에 따른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1변속기어와, 상기 제1변속기어와 맞물려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고 회전축이 축설되는 제2변속기어와, 상기 제1변속기어를 조작하는 기어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은 스프라켓과 결합되는 체인을 통해 상기 제1클러치부의 제1동력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축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은 상기 마늘저장호퍼와 결합되는 날개플레이트을 갖고, 상기 구동축이 축설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하부에 연결된 장력스프라켓에 체인이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우징;과,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마늘저장호퍼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개별적으로 탑재시켜 파종골에 낙하시키는 마늘버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어 파종골을 형성하는 한쌍의 회전디스크;와, 파종골에 낙하된 마늘종자를 눌러 파종골에 다짐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2개로 분기된 연장부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늘버켓은 상기 마늘저장호퍼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선별하여 탑재하는 제1버켓과, 상기 제1버켓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버켓에 탑재된 마늘종자가 체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버켓의 타면으로 안내하는 제2버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버켓은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탈락시켜 선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낙하구와, 마늘종자가 타면으로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파종골을 형성하는 회전디스크와, 파종골을 복토하는 누름롤러가 일체로 결합되어 마늘종자의 파종과 복토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마늘파종기에 대해 교체와 증설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장력스프라켓은 체인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장력스프라켓에 축설되되 하우징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종동축과, 상기 각 수직장공의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종동축의 양측에 밀착되는 탄성코일과, 상기 종동축의 이탈방지를 위해 종동축의 양측에 결합되는 스토퍼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회전디스크는 파종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방이 벌어지는 ">" 형태로 조합되고, 상기 하우징은 제1버켓의 타면에 안착된 마늘종자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이드통로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통로는 회전디스크의 사이로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각 회전디스크의 양측면에 근접되어 표면에 점착된 흙의 제거와 함께 상기 회전디스크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판이 더 연결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에 횡설되는 지지프레임이 관통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누름롤러의 원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된 다수의 스포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누름롤러의 스포크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후방에 내부로 부분 중첩되게 배치시켜 파종되는 마늘종자가 파종골에 낙하되는 동시에 회전 롤링에 의해 다짐되면서 복토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따르면, 기어박스를 통해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클러치부를 통해 구동수단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의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2클러치부를 통해 마늘파종유닛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와 후륜다짐롤러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파종기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은 마늘종자의 파종과 복토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파종골을 형성하는 회전디스크와, 파종골을 복토하는 누름롤러가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마늘파종기에 대해 손쉽게 교체 증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은 제1버켓에 낙하구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마늘종자가 탑재된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선별하여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마늘종자만을 파종할 수 있고, 또한 제1버켓의 타면에는 다수의 탄성돌기를 형성하여 마늘종자가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클러치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클러치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마늘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장력조절수단과 회전디스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발췌된 마늘버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마늘종자통에 설치된 마늘파종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클러치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클러치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박스(800)를 통해 구동축(421)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제1클러치부(600)를 통해 구동수단(1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2클러치부(700)를 통해 마늘파종유닛(400)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파종기(900)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도록 한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9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900)는 크게 8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받침플레이트(100)와,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와, 마늘파종유닛(400)과, 마늘저장호퍼(500)와, 제1클러치부(600)와, 제2클러치부(700)와, 기어박스(80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100)는 구동수단(110)과 상기 구동수단(110)에 연결되는 감속기(120)가 탑재되는데, 상기 구동수단(110)은 엔진 또는 모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일측은 상기 받침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바(210)가 연결되어 마늘파종기(900)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는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120)와 연결되는 감속축(121)의 동력을 체인(C)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마늘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지면을 평탄화시켜 파종골이 형성하기 전에 마늘종자가 균형있는 깊이로 파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후륜다짐롤러(300b)는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체인(C)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마늘종자가 파종되어 복토된 파종골을 다짐하여 마늘종자의 발아 조건이 증대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은 상기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된 지지프레임(220)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감속기(120)에 연결된 감속축(121)의 동력을 횡설되는 구동축(421)을 통해 체인(C)으로 전달받아 마늘을 동시 파종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러치부(600)는 도 4와 같이,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을 횡설하는 구동축(421)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421)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클러치부(600)는 마늘 파종 구간이 아닐 경우, 구동수단(110)의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이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제1클러치부(600)는 상기 기어박스(800)와 체인(C)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축(610)과, 상기 제1동력축(610)과 구동축(42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동력전달관(620)과, 상기 제1동력전달관(620)을 이동시켜 제1동력축(610)과 구동축(421)의 동력전달을 ON/OFF 시키는 제1클러치암(630)과, 상기 제1클러치암(63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와어어(W)를 통해 연결되는 클러치레버(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클러치부(600)는 제1동력축(610)과 구동축(421)의 사이에 제1동력전달관(620)을 연결시키고, 제1클러치암(630)을 통해 제1동력전달관(620)을 수평이동시켜 제1동력축(610)을 동력을 구동축(421)에 전달(ON)시키거나 차단(OFF)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클러치레버(640)는 손잡이바(21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클러치레버(640)의 조작에 의해 손쉽게 구동축(421)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마늘파종유닛(400)의 파종을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클러치부(700)는 상기 감속기(120)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속축(121)에 설치되는 것으로, 마늘파종유닛(400)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클러치부(700)는 상기 기어박스(800)와 스프라켓(S)을 통해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축(710)과, 상기 제2동력축(710)과 감속축(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동력전달관(720)과, 상기 제2동력전달관(720)을 수평 이동시켜 제2동력축(710)과 감속축(121)의 동력 전달을 ON/OFF 시키는 제2클러치암(730)과, 캠(7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클러치암(730)을 작동시키는 핸들레버(7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클러치부(700)는 도 5와 같이, 제2동력축(710)과 감속축(121)의 사이에 제2동력전달관(720)을 연결시키고, "┏" 형상의 제2클러치암(730)을 캠(741)으로 선회시켜 제1동력전달관(620)을 수평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감속축(121)의 동력을 제2동력축(710)에 전달(ON)시키거나 차단(OFF)시킬 수 있게 기능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클러치암(730)의 작동은 핸들레버(740) 이외에 와이어(미도시)를 연결시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미도시)의 작동은 손잡이바(210)에 별도로 클러치레버(미도시)를 연결시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800)는 도 6과 같이, 구동축(421)과 감속축(121)의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421)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기어박스(800)는 제2동력축(710)과 체인(C) 연결되는 스프라켓(S)을 통해 회전하고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는 기어뭉치(810)와, 상기 기어뭉치(8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기어비에 따른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1변속기어(820a)와, 상기 제1변속기어(820a)와 맞물려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고 회전축(821)이 축설되는 제2변속기어(820b)와, 상기 제1변속기어(820a)를 조작하는 기어레버(830)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821)은 스프라켓(S)과 결합되는 체인(C)을 통해 상기 제1클러치부(600)의 제1동력축(610)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축(421)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어박스(800)는 구동축(421)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상기 구동축(421)과 연결되는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기어레버(830)를 통해 제1변속기어(820a)를 기어뭉치(810) 중 어느 하나에 기어에 맞물리게 조작하여 제1변속기어(820a)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고, 이렇게 가변된 회전속도는 제1변속기어(820a)와 맞물린 제2변속기어(820b)의 회전축(821)과, 제1동력축(610)을 거쳐 최종적으로 구동축(4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때문에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900)는 기어박스(800)를 통해 구동축(421)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마늘파종기(900)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제1클러치부(600)를 통해 구동수단(1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2클러치부(700)를 통해 마늘파종유닛(400)과 더불어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의 동력을 모두 차단하여 마늘파종기(900)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마늘 파종을 임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파종유닛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마늘파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장력조절수단과 회전디스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발췌된 마늘버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마늘종자통에 설치된 마늘파종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마늘파종유닛(400)은 독립된 형태로 일정크기의 우량 마늘종자만을 선별하여 파종시킬 뿐만 아니라, 파종골을 형성하는 회전디스크(460)와, 파종골을 복토하는 누름롤러(470)가 하우징(410)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늘파종기(900)에 대해 교체와 증설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늘파종유닛(400)은 상기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개별적으로 탑재시켜 파종골에 파종하는 것으로,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유지보수가 편한 효과가 있다.
상술된 마늘파종유닛(400)은 하우징(410)과, 회전디스크(460)와, 마늘버켓과, 누름롤러(4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0)은 마늘저장호퍼(500)와 결합되는 날개플레이트(414)을 갖으며, 상기 마늘저장호퍼(500)는 마늘종자가 적재되어 마늘종자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은 구동축(421)이 축설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420)과, 하부에 연결된 장력스프라켓(430)에 체인(C)이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410)은 구동스프라켓(420)에 마늘파종기(9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421)이 축설된다.
아울러 상기 장력스프라켓(430)은 체인(C)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수단(440)은 상기 장력스프라켓(430)에 축설되되 하우징(410)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장공(413)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종동축(441)과, 상기 각 수직장공(413)의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종동축(441)의 양측에 밀착되는 탄성코일(44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종동축(441)의 양측에는 종동축(441)의 이탈방지를 위해 스토퍼링(443)이 더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링(443)은 상기 탄성코일(442)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감싸 상기 탄성코일(442)이 상기 수직장공(4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장력조절수단(440)은 탄성코일(442)의 장력이 항시적으로 종동축(441)의 양측에 가해지도록 하여 장력스프라켓(430)에 맞물린 체인(C)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은 가이드통로(412)가 더 형성되어 마늘종자를 제1버켓(450a)의 타면으로 낙하시켜 하강할 때 외부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마늘버켓은 상기 체인(C)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개별적으로 탑재시켜 파종골에 일정간격을 두고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마늘버켓은 "┛"자 형태를 취하고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바 상기 마늘저장호퍼(500)에 노출된 마늘버켓은 "┛" 형태로 상승하고, 상기 하우징(410)의 가이드통로에서는 "┏"의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마늘버켓은 상기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선별하여 탑재하는 제1버켓(450a)과, 상기 제1버켓(450a)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버켓(450a)에 탑재된 마늘종자가 체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버켓(450a)의 타면으로 안내하는 제2버켓(450b)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1버켓(450a)은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탈락시켜 선별할 수 있도록 낙하구(451)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낙하구(451)가 형성된 제1버켓(450a)은 2개의 마늘종자가 탑재된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선별하여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우량 마늘종자만을 선별하여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켓(450b)은 하우징(410)의 최고점에서 하강할 때 방향이 ┏"의 형태로 전환되어 가이드통로(412)로 진입되는데 있어 제1버켓(450a)에 안착된 마늘종자가 체인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부에 배치된 제1버켓(450a)의 타면으로 마늘종자가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이 때 상기 제1버켓(450a)의 타면에는 마늘종자가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돌기(4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롤러(470)는 파종골에 낙하된 마늘종자를 눌러 파종골에 다짐되도록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에 2개로 분기된 연장부(411)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누름롤러(470)의 원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된 다수의 스포크(471)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포크(471)는 마늘종자를 파종골에 눌러주는 한편,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흙을 뿌려 파종골에 낙하된 마늘종자를 복토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롤러(470)의 스포크(471)는 상기 회전디스크(460)의 후방에 내부로 부분 중첩되게 배치시켜 파종되는 마늘종자가 파종골에 낙하되는 동시에 회전 롤링에 의해 다짐되면서 복토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디스크(460)는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61)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면에 파종골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디스크(460)는 후방이 벌어지는 ">" 형태로 조합시켜 구성되기 때문에 지면을 흙을 양쪽 방향으로 밀어내어 파종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410)에 형성된 가이드통로(412)는 마늘종자가 제1버켓의 타면에 안착되어 하강할 때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가이드하는 것으로, 2개의 회전디스크(460)의 사이로 근접시켜 마늘종자를 파종골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61)의 양측면에는 상기 각 회전디스크(460)의 양측면에 근접되어 표면에 점착된 흙의 제거와 함께 상기 회전디스크(460)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판(462)이 더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461)은 상기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되는 지지프레임(220)이 관통결합되도록 관통홀(461a)이 더 형성되어 마늘파종기(900)의 지지프레임(2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마늘파종유닛(400)은 제1버켓(450a)에 낙하구(451)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마늘종자가 탑재된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선별하여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마늘종자만을 파종할 수 있고, 또한 제1버켓(450a)의 타면에는 다수의 탄성돌기(452)를 형성하여 마늘종자가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늘파종유닛(400)은 누름롤러(470)의 스포크(471)가 상기 회전디스크(460)의 후방 내부로 부분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410)의 가이드통로(412)는 상기 회전디스크(460)의 사이에 근접되게 형성됨으로써 규모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늘파종기(900)의 전체 크기에 비해 많은 갯수의 마늘파종유닛(400)을 마늘파종기(90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받침플레이트 110: 구동수단 120: 감속기
121: 감속축
200: 측면프레임 210: 손잡이바 220: 지지프레임
300a: 전륜다짐롤러 300b: 후륜다짐롤러
400: 마늘파종유닛 410: 하우징 411: 연장부 412: 가이드통로 413: 수직장공
414: 날개플레이트 420: 구동스프라켓
421: 구동축 430: 장력스프라켓
440: 장력조절수단 441: 종동축
442: 탄성코일 443: 스토퍼링
450a: 제1버켓 451: 낙하구
452: 탄성돌기 450b: 제2버켓
460: 회전디스크 461: 브라켓
461a: 관통홀 462: 스토퍼판
470: 누름롤러 471: 스포크
500: 마늘저장호퍼
600: 제1클러치부 610: 제1동력축 620: 제1동력전달관
630: 제1클러치암 640: 클러치레버
700: 제2클러치부 710: 제2동력축 720: 제2동력전달관
730: 제2클러치암 740: 핸들레버
741: 캠
800: 기어박스 810: 기어뭉치 820a: 제1변속기어
820b: 제2변속기어 821: 회전축
830: 기어레버
900: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C: 체인 S:스프라켓 W: 와이어

Claims (9)

  1. 구동수단(110)과 상기 구동수단(110)에 연결되는 감속기(120)가 탑재되는 받침플레이트(100);
    일측은 상기 받침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바(210)가 연결되는 측면프레임(200);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120)와 연결되는 감속축(121)의 동력을 체인(C)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전륜다짐롤러(300a);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체인(C)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다짐롤러(300b);
    상기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된 지지프레임(220)을 통해 상기 전륜다짐롤러(300a)와 후륜다짐롤러(300b)의 사이에 일렬로 다수 설치되고, 감속기(120)에 연결된 감속축(121)의 동력을 횡설되는 구동축(421)을 통해 체인(C)으로 전달받아 마늘을 동시 파종하는 다수의 마늘파종유닛(400);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의 하우징(410)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플레이트(414)에 의해 고정되는 마늘저장호퍼(500);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에 횡설된 구동축(421)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421)에 축설되는 제1클러치부(600);
    상기 감속기(120)의 동력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속축(121)에 설치되는 제2클러치부(700);
    상기 구동축(421)과 감속축(121)의 사이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421)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마늘파종유닛(400)의 마늘 파종 간격을 조절하는 기어박스(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은 하우징(410)의 둘레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체인(C)에 다수의 마늘버켓이 결합되고, 상기 각 마늘버켓은 마늘저장호퍼(500)의 측벽에 노출되어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상승되는 마늘버켓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파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마늘파종유닛(400)은: 상기 마늘저장호퍼(500)와 결합되는 날개플레이트(414)을 갖고, 상기 구동축(421)이 축설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420)과, 하부에 연결된 장력스프라켓(430)에 체인(C)이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우징(410); 상기 체인(C)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개별적으로 탑재시켜 파종골에 낙하시키는 마늘버켓;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61)을 매개로 연결되어 파종골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디스크(460); 파종골에 낙하된 마늘종자를 눌러 파종골에 다짐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에 2개로 분기된 연장부(411)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롤러(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늘버켓은 상기 마늘저장호퍼(500)에 저장된 마늘종자를 선별하여 탑재하는 제1버켓(450a)과, 상기 제1버켓(450a)에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버켓(450a)에 탑재된 마늘종자가 체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버켓(450a)의 타면으로 안내하는 제2버켓(45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버켓(450a)은 크기가 작은 마늘종자는 탈락시켜 선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낙하구(451)와, 마늘종자가 타면으로 낙하될 때 낙하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돌기(4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10)은 파종골을 형성하는 회전디스크(460)와, 파종골을 복토하는 누름롤러(470)가 일체로 결합되어 마늘종자의 파종과 복토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마늘파종기에 대해 교체와 증설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600)는
    상기 기어박스(800)와 체인(C)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축(610)과,
    상기 제1동력축(610)과 구동축(42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동력전달관(620)과,
    상기 제1동력전달관(620)을 이동시켜 제1동력축(610)과 구동축(421)의 동력전달을 ON/OFF 시키는 제1클러치암(630)과,
    상기 제1클러치암(63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와어어(W)를 통해 연결되는 클러치레버(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러치레버(640)는 손잡이바(21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클러치레버(640)의 조작에 의해 손쉽게 구동축(421)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부(700)는
    상기 기어박스(800)와 스프라켓(S)을 통해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축(710)과,
    상기 제2동력축(710)과 감속축(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동력전달관(720)과,
    상기 제2동력전달관(720)을 수평 이동시켜 제2동력축(710)과 감속축(121)의 동력 전달을 ON/OFF 시키는 제2클러치암(730)과,
    캠(7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클러치암(730)을 작동시키는 핸들레버(7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800)는
    상기 제2동력축(710)과 체인(C) 연결되는 스프라켓(S)을 통해 회전하고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는 기어뭉치(810)와,
    상기 기어뭉치(8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기어비에 따른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1변속기어(820a)와,
    상기 제1변속기어(820a)와 맞물려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고 회전축(821)이 축설되는 제2변속기어(820b)와,
    상기 제1변속기어(820a)를 조작하는 기어레버(830)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821)은 스프라켓(S)과 결합되는 체인(C)을 통해 상기 제1클러치부(600)의 제1동력축(610)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축(421)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스프라켓(430)은 체인(C)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4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수단(440)은 상기 장력스프라켓(430)에 축설되되 하우징(410)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장공(413)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종동축(441)과, 상기 각 수직장공(413)의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종동축(441)의 양측에 밀착되는 탄성코일(442)과, 상기 종동축(441)의 이탈방지를 위해 종동축(441)의 양측에 결합되는 스토퍼링(4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460)는 파종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방이 벌어지는 ">" 형태로 조합되고,
    상기 하우징(410)은 제1버켓의 타면에 안착된 마늘종자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이드통로(412)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통로(412)는 회전디스크(460)의 사이로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61)은 상기 각 한 쌍의 회전디스크(460)의 양측면에 근접되어 표면에 점착된 흙의 제거와 함께 상기 회전디스크(460)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판(462)이 더 연결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0)에 횡설되는 지지프레임(220)이 관통결합되도록 관통홀(46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롤러(470)의 원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된 다수의 스포크(471)가 더 형성되고,
    상기 누름롤러(470)의 스포크(471)는 상기 회전디스크(460)의 후방에 내부로 부분 중첩되게 배치시켜 파종되는 마늘종자가 파종골에 낙하되는 동시에 회전 롤링에 의해 다짐되면서 복토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파종기.


KR1020200184740A 2020-12-28 2020-12-28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KR10252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40A KR102522409B1 (ko) 2020-12-28 2020-12-28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40A KR102522409B1 (ko) 2020-12-28 2020-12-28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21A KR20220093721A (ko) 2022-07-05
KR102522409B1 true KR102522409B1 (ko) 2023-04-14

Family

ID=8240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40A KR102522409B1 (ko) 2020-12-28 2020-12-28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4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43B1 (ko) * 2006-01-19 2006-08-01 주식회사 장 자동화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JP2009240265A (ja) * 2008-03-31 2009-10-22 Sasaki Corporation ニンニク等の球根植え付け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16Y1 (ko) 1999-12-30 2000-05-15 권삼석 마늘파종기용 버킷
KR102231619B1 (ko) * 2019-05-03 2021-03-23 최덕규 마늘파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43B1 (ko) * 2006-01-19 2006-08-01 주식회사 장 자동화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JP2009240265A (ja) * 2008-03-31 2009-10-22 Sasaki Corporation ニンニク等の球根植え付け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21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62496B8 (en) Seed metering system for use in a seeding machine
DE2448672A1 (de) Saatgut-abmessvorrichtung fuer eine saemaschine und in dieser verwendbare beschickungseinrichtung
US3122283A (en) Row crop seed planter
US7174839B2 (en) Seed planting system for multiple types of crops
KR100275634B1 (ko) 마늘 파종기
KR102522409B1 (ko) 클러치와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KR102403968B1 (ko)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CN214338587U (zh) 农业用小型播种机
KR20010035185A (ko) 직립형 마늘 파종기
CN212344480U (zh) 一种土豆自动播种装置
KR101852841B1 (ko) 이동식 양파 씨앗 파종용 상토층 형성장치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CN111295997A (zh) 一种用于蔬菜种植的播种覆土装置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KR100514664B1 (ko) 파종기
KR102657983B1 (ko) 분해 조립이 용이한 마늘파종 조립체
KR100493469B1 (ko) 파종기의 종자 파종장치
KR102399936B1 (ko) 마늘파종기의 마늘파종 조립체
CN209914460U (zh) 一种手推式菜籽播种机
JP2678353B2 (ja) 球根菜類用種いも植付機
KR100684494B1 (ko) 마늘 파종기
KR20230000843U (ko) 마늘크기 선별이 가능한 마늘파종기의 마늘파종 조립체
CN107396659A (zh) 穴播育苗播种机
KR200387546Y1 (ko) 곡물파종기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