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499A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3499A KR20210133499A KR1020200052158A KR20200052158A KR20210133499A KR 20210133499 A KR20210133499 A KR 20210133499A KR 1020200052158 A KR1020200052158 A KR 1020200052158A KR 20200052158 A KR20200052158 A KR 20200052158A KR 20210133499 A KR20210133499 A KR 20210133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bar
- handle
- upper body
- plant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기는 중공의 경량 재질의 지주관, 지주관의 하부에 장착되는 금속 슬리브, 금속 슬리브와 지주관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 이음 및 축 이음을 매개로 지주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모종삽을 포함하는 파종부, 하단이 파종부의 금속 모종삽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주관의 상부의 주변까지 연장되는 작동 바, 지주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상부 몸체, 상부 몸체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된 고정 손잡이 및 고정 손잡이의 하부에서 상부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작동 바와 결속되어 작동 바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작동 바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플랜지 및 높이 조절 플랜지와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경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기는 씨앗이나 모종, 비료 등을 장전하였다가 정량으로 밭이나 논에 심기 위한 장비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0260호를 보면, 해당 특허의 파종기는 씨앗이나 모종을 장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깔대기형을 한 원통형의 장전통, 장전통의 하부에는 고정핀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하여 펼쳐졌다 접혀졌다 하는 한 쌍의 모종삽, 장전통의 일측에 장착되어 삽입구를 형성된 가이드봉, 가이드봉의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승,하강하는 지지대의 상부측에 연결된 손잡이 및 손잡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 탄성스프링과 연결함과 동시에 한 쌍의 모종삽에 돌출한 돌출구와 연결되어 지지대의 상, 하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모종삽을 접었다 펼쳐지게 하는 원호형의 작동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봉으로 삽입된 지지대가 삽입구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가입드봉의 삽입구를 압착기로 압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7034호를 보면, 수동식 파종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식 파종기는 파이프 형태로 된 지주관의 하부에 작동부와 파종부, 그리고 파종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부로 이루어진 파종홈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작동부의 하단 베이스를 지면에 대고 손잡이로 누르면 파종부가 하강하면서 오물어진 상태로 지면에 들어가게 되어 자연스럽게 소정 깊이의 파종홈을 형성하게 되고, 파종기를 들면 작동부의 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파종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파종홈에 종자 또는 모종을 파종 또는 식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기는 하단의 모종삽 부분이 지면 아래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모종삽 부분이 벌어지면, 벌어진 부분으로 지주관에 저장된 씨앗이나 모종이 지면 아래로 삽입되거나 심어지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파종기는 강한 금속재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와 동시에 매우 무거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037034호의 하부는 매우 무거운 구조물로 형성되어 한 손으로 들기 어려우며, 한국등록특허 제10-1470260호의 파종기도 장전통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매우 무거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씨앗이나 모종이 저장되는 지주관을 경량의 소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조립이나 탄성 스프링의 장력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는 중공의 경량 재질의 지주관, 지주관의 하부에 장착되는 금속 슬리브, 금속 슬리브와 지주관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 이음 및 축 이음을 매개로 지주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모종삽을 포함하는 파종부, 하단이 파종부의 금속 모종삽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주관의 상부의 주변까지 연장되는 작동 바, 지주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상부 몸체, 상부 몸체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된 고정 손잡이 및 고정 손잡이의 하부에서 상부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작동 바와 결속되어 작동 바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작동 바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플랜지 및 높이 조절 플랜지와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조절부를 포함한다.
경량 재질의 지주관은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의 상부 몸체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따라서, 강성이 필요한 파종부의 금속 모종삽, 축 이음 및 작동 바 정도만 무거운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주관이나 손잡이부의 상부 몸체를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의 경량 재질로 구현할 수가 있다.
대신 금속 모종삽으로 지면을 타격하면서 축 이음이 지주관의 하부에 지속적인 충격과 변형을 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관의 하부를 금속 슬리브로 보강하면서 축 이음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금속 슬리브가 받아들이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작동 바를 잡아당길 때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작동 바의 주변에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는데, 작동 바의 상부에 스프링을 위치시키고, 스프링의 하단에서 높이 조절 플랜지로 탄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몸체를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하면서, 가이드부를 상부 몸체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작동 바를 조립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의 측면으로 작동 바의 상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수직 슬릿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의 하부로 작동 바를 수용하고 주변으로 가이드부의 저부에 지지되는 환형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허브를 더 제공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고정 허브는 스프링의 상단과 접하며, 작동 바와 결속된 상태에서 수직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작동 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면에 수직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그 하부에 결속되는 고정 허브를 이용하여 작동 바를 지주관의 측면에 용이하게 밀착 및 고정시킬 수가 있다.
작동 바의 상단에는 고정 손잡이에 대응하는 이동 손잡이가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 및 이동 손잡이를 잡고 쥐는 동작으로 지주관 하부의 모종삽이 벌어지도록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가 있고,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파종기를 들고 작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부 몸체의 상부는 외부의 저장장치를 통해서 씨앗이나 모종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지만, 다르게는 나팔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목적물을 수시로 충전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파종기는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파종기를 들고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며, 굳이 한 손 작업이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작업을 하면서 느끼는 피로감을 경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파종기는 강성이나 내구성이 필요한 부분만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며, 전체 부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주관이나 손잡이부의 상부 몸체를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의 경량 재질로 구현할 수가 있다. 대신 지주관의 하부를 금속 슬리브로 보강하여 파종 시 축 이음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금속 슬리브가 감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존과 다르게 작동 바의 장력 조절을 위한 스프링을 상부로 이동하고, 스프링의 상단을 제한하면서 작동 바를 상부 몸체에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조립,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종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종기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종기의 상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파종기의 탄성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종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종기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종기의 상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파종기의 탄성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종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종기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파종기의 상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파종기의 탄성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0)는 파이프 구조의 지주관(110), 파종부(120), 작동 바(130), 손잡이부(140)를 포함한다.
지주관(110)은 중공의 경량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다른 부착 구조 없이 동일 단면의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알루미늄 파이프를 원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주관(110)의 하부로는 주로 강철,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강성 및 내구성 소재로 이루어진 파종부(120)가 제공된다. 파종부(120)는 지주관(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금속 슬리브(122), 금속 슬리브(122)와 지주관(11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는 축 이음(124) 및 축 이음(124)을 매개로 지주관(110)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 모종삽(1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금속 모종삽(126)이 제공되어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을 형성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모종삽은 끝이 넓은 삽 모양과 같이 다른 모양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한 쌍이 아닌 일측에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슬리브(122)는 지주관(110)의 하부와 함께 축 이음(124)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금속 모종삽(126)을 통해 충격이 전달되면, 금속 슬리브(122)가 축 이음(124)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당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슬리브(122)의 하단으로는 내측으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단부(123)를 형성하여, 지주관(11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작동 바(130)는 아래로 파종부(120)의 모종삽(126)과 연결되고, 상부로는 지주관(110) 상부의 손잡이부(1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작동 바(130)의 하단으로 원호 연결부(132)가 형성되어 모종삽(126)과 결속될 수 있으며, 상단으로는 이동 손잡이(134)가 형성되어 고정 손잡이(144)와 함께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쥐고 당길 수 있다.
작동 바(130) 역시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 바(130)의 하단의 원호 연결부(132)는 작동 바(130)와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파종부(120)와 마찬가지로 경량화하기에 제한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지주관(110)의 상부로 손잡이부(140)가 장착된다. 손잡이부(140)는 지주관(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상부 몸체(142), 상부 몸체(142)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된 고정 손잡이(144) 및 고정 손잡이(144)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부 몸체(142)의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142)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관(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파이프 형상의 지주관(110) 상부에 작동 바(130)나 손잡이(134, 144), 나팔관 입구(148) 등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가 형성되는 부속이며, 이를 위해 성형이 용이한 사출이나 조립 등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몸체(142)는 플라스틱 사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46) 역시 고정 손잡이(144)의 아래는 물론 그 주변에 형성되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 손잡이(144)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6)는 작동 바(130)의 상부와 결속되어 작동 바(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변의 다른 가이드부는 호스를 끼우거나 특정 부속을 부착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46)의 측면으로 작동 바(130)의 상부가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수직 슬릿(147)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슬릿(147)을 형성함으로써 작동 바(130)를 가이드부(146)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필요가 없다. 다만, 작동 바(130)의 이탈을 막기 위해, 가이드부(146)의 하부로 작동 바(130)를 수용하고 주변으로 가이드부(146)의 저부에 지지되는 환형 돌출부(137)가 형성된 고정 허브(136)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고정 허브(136)를 가이드부(146)에서 아래로 이동한 상태에서, 작동 바(130)를 가이드부(146)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그 역순으로 조립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 허브(136)의 환형 돌출부(137)는 스프링(152)의 상단과 접하며, 스프링(152)과 작동 바(13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다.
탄성 조절부(150)는 작동 바(130)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플랜지(154) 및 높이 조절 플랜지(154)와 가이드부(146)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높이 조절 플랜지(154)의 조임쇠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 플랜지(154)를 작동 바(130)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할 수 있으며, (a)와 같이 높이 조절 플랜지(154)의 고정 위치를 상승시키면 스프링(152)에 의한 장력이 증가하여 모종삽(126)의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b)와 같이 높이 조절 플랜지(154)의 고정 위치를 하강시키면 스프링(152)에 의한 장력이 감소하여 모종삽(126)을 벌릴 때의 가해야 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152)을 작동 바(130)의 상부,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플랜지(154)와 가이드부(146) 사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 바(130) 주변의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조립 및 분해, 보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손잡이(144)에 대응하는 이동 손잡이(134)가 작동 바(130)의 상단에 장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바 형태의 이동 손잡이 대신 수동 고리 또는 자동 장치의 와이어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40)의 상부로 나팔관 입구(148)가 형성되지만, 상부 몸체(142)의 상부는 외부의 저장장치를 통해서 씨앗이나 모종을 자동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지주관(110), 파종부(120), 작동 바(130), 손잡이부(140) 및 스프링(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손잡이(144)의 단부에 외부 호스(166)와 연결될 수 있는 용수 공급부(145)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급 호스(160)는 용수 공급부(145)의 하부에 형성된 입수관에 어댑터(162)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공급 호스(160)는 고무호스, 플라스틱 호스 또는 좌굴이 가능한 알루미늄 호스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40)에 형성된 다른 가이드부(146)를 통해서 지주관(1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급 호스(160)의 하부는 일반 타이나 기타 체결 부속을 통해서 지주관(1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급 호스(160)는 외부 호스(166)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을 파종부(120)의 주변 또는 모종삽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파종과 물뿌리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좌굴이 용이한 알루미늄 호스를 이용하는 경우, 물이 공급되는 위치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용수 공급부(145)는 고정 손잡이(144)의 단부에서 형성되며, 내부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수 공급부(145)는 고정 손잡이(14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별도로 장착하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공급 호스 등을 외부에서 직접 인가하여 가이드부 등에 고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호스(160)가 지주관(110) 및 손잡이부(140)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144)의 단부에 외부 호스(166)를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용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공급 호스(160)에는 밸브(164) 등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용수의 양 또는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파종기 110:지주관
120 : 파종부 122 : 금속 슬리브
124 : 축 이음 126 : 금속 모종삽
130 : 작동 바 140 : 손잡이부
120 : 파종부 122 : 금속 슬리브
124 : 축 이음 126 : 금속 모종삽
130 : 작동 바 140 : 손잡이부
Claims (6)
- 중공의 지주관;
상기 지주관의 하부에 장착되는 금속 슬리브, 상기 금속 슬리브와 상기 지주관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 이음 및 상기 축 이음을 매개로 상기 지주관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모종삽을 포함하는 파종부;
하단이 상기 파종부의 상기 금속 모종삽과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지주관의 상부의 주변까지 연장되는 작동 바;
상기 지주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된 고정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손잡이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 바와 결속되어 상기 작동 바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작동 바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플랜지 및 상기 높이 조절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관은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상부 몸체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측면으로 상기 작동 바의 상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직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로 상기 작동 바를 수용하고 주변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저부에 지지되는 환형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허브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접하며, 상기 작동 바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슬릿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바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 손잡이에 대응하는 이동 손잡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는 나팔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공급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2158A KR102337638B1 (ko) | 2020-04-29 | 2020-04-29 | 파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2158A KR102337638B1 (ko) | 2020-04-29 | 2020-04-29 | 파종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3499A true KR20210133499A (ko) | 2021-11-08 |
KR102337638B1 KR102337638B1 (ko) | 2021-12-09 |
Family
ID=7848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2158A KR102337638B1 (ko) | 2020-04-29 | 2020-04-29 | 파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76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02850A (zh) * | 2022-06-27 | 2022-08-16 | 江西省华贡电子商务有限责任公司 | 一种防损伤的农业用移苗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660U (ko) * | 1997-07-07 | 1999-02-05 | 전영남 | 비료 주입기 |
KR19990011832U (ko) * | 1998-12-16 | 1999-03-25 | 이성춘 | 파종장치 |
KR20140032467A (ko) * | 2014-02-21 | 2014-03-14 | 유종순 | 파종기 |
KR20150112155A (ko) * | 2014-03-27 | 2015-10-07 | 홍종락 |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
-
2020
- 2020-04-29 KR KR1020200052158A patent/KR1023376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660U (ko) * | 1997-07-07 | 1999-02-05 | 전영남 | 비료 주입기 |
KR19990011832U (ko) * | 1998-12-16 | 1999-03-25 | 이성춘 | 파종장치 |
KR20140032467A (ko) * | 2014-02-21 | 2014-03-14 | 유종순 | 파종기 |
KR20150112155A (ko) * | 2014-03-27 | 2015-10-07 | 홍종락 | 급수기능을 가진 육묘 이식 및 파종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02850A (zh) * | 2022-06-27 | 2022-08-16 | 江西省华贡电子商务有限责任公司 | 一种防损伤的农业用移苗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7638B1 (ko) | 202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7034B1 (ko) | 수동식 파종기 | |
US4932339A (en) | Bulb and bedding planter | |
JP2009065893A (ja) | 植付器 | |
KR102337638B1 (ko) | 파종기 | |
KR102228840B1 (ko) | 파종기 | |
KR102276957B1 (ko) | 파종기 | |
KR101506846B1 (ko) | 씨앗 심는 삽 | |
US5471939A (en) | Handheld mechanical device to plant seed | |
KR102386731B1 (ko) |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파종기 | |
KR20220141419A (ko) | 파종기 | |
KR20210097944A (ko) | 수동 점파종기 | |
KR102322515B1 (ko) | 반자동 모종파종기 | |
KR20150105873A (ko) | 수동식 파종기 | |
KR20160011684A (ko) | 한 손용 씨앗 파종기 | |
US7252042B1 (en) | Fertilizer spike injection tool | |
KR20180097409A (ko) | 개량형 파종기 | |
US10897843B1 (en) | Apparatus for planting seeds | |
KR20150108726A (ko) | 파종기 | |
KR20060133925A (ko) | 파종기 | |
KR20100009077U (ko) | 모래가 복토되는 파종기 | |
KR200399582Y1 (ko) | 다품종 파종기 | |
KR200404966Y1 (ko) | 파종기 | |
KR20230002301U (ko) | 파종기 | |
KR200292921Y1 (ko) | 비료 시비기 | |
KR20200016618A (ko) | 파종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